KR101342564B1 -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564B1
KR101342564B1 KR1020130034641A KR20130034641A KR101342564B1 KR 101342564 B1 KR101342564 B1 KR 101342564B1 KR 1020130034641 A KR1020130034641 A KR 1020130034641A KR 20130034641 A KR20130034641 A KR 20130034641A KR 101342564 B1 KR101342564 B1 KR 101342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ousing
moving
skimmer
machine too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남
Original Assignee
김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남 filed Critical 김경남
Priority to KR1020130034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3/00Separating particles from liquids, or liquids from solids, otherwise than by sedimentation or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에 관한 것으로서, 공작기계 작동시 발생되는 기름과 절삭유가 수집되는 수집통의 내부에서 기름만 제거하여 절삭유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는,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자리 회전되면서 공작기계 작동시 발생되는 기름과 절삭유가 수집되는 수집통의 내부에 수집된 기름을 외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a machine tools oil skimmer}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를 이용한 절삭공정의 경우 절삭공구와 피착면과의 마찰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절삭유를 분사시키는 바, 폐기름 및 피착면에서 발생되는 칩은 공작기계의 하부에 위치한 저장탱크에 모이게 된다.
그런데 수용성 절삭유의 경우 저장탱크 내부에 유입되는 폐기름에 의해 산소공급이 차단되어 변질되므로 재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성용 절삭유와 유성인 기름이 저장탱크의 내부에 장기간 고여 있음에 따라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공보 제20-0249707호(2001.09.2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작기계 작동시 발생되는 기름과 절삭유가 수집되는 수집통의 내부에서 기름만 제거하여 절삭유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는,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자리 회전되면서 공작기계 작동시 발생되는 기름과 절삭유가 수집되는 수집통의 내부에 수집된 기름을 외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스크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름은 상기 스크류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따라 이동부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수집통 내부의 기름과 절삭유를 상기 이동부의 주변으로 모으는 모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작기계와 소정간격 떨어져 있고 수집통에 상부에 위치되며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의 일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수집통의 내부에 수용된다.
일측이 상기 스크류부의 빈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우징의 내부공간 측면에 설치되어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기름을 하우징의 바닥면으로 낙하시키는 기름 제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은 기름 제거부에 의해 낙하되는 기름이 한 곳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하우징의 일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관통설치되며 상기 한 곳으로 모아진 기름을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는 덕트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며 스크류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따라 이동되는 기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와 스크류부 및 이탈 방지부의 직경은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는, 공작기계 작동시 발생되는 기름과 절삭유가 수집되는 수집통의 내부에서 기름만 제거할 수 있어, 절삭유를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성인 절삭유에서 유성인 기름을 제거함에 따라 절삭유가 수집통에 장기간 고여 있더라도 악취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음부를 통해 기름과 절삭유에서 발생되는 소용돌이의 범위가 보다 넓어 지도록 할 수 있음에 따라 스크류부와 멀리 떨어져 있는 기름이 스크류부와 최대한 가까워지도록 할 수 있어, 효율적인 기름 제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에 적용된 회전부와 스크류부 및 이탈 방지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에 적용된 회전부와 스크류부 및 이탈 방지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1)는 이동부(10), 모음부(20), 기름 제거부(30)를 포함한다.
그 중 이동부(10)는 공작기계(80) 작동시 발생되는 기름(110)과 절삭유(120)가 수집되는 수집통(90)의 내부에서 기름(110)을 제거하여 절삭유(120)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다시 회전부(101)와 스크류부(102)로 나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집통(9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집통(90)은 공작기계(80) 작동시 발생되는 기름(110)과 절삭유(120)를 수집할 수 있는 부분에 설치된다.
일 예로, 상기 공작기계(80)에는 기름(110)과 절삭유(120)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관(801)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관(801)의 하부에는 수집통(90)을 설치하므로서, 상기 공작기계(80)가 작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기름(110)과 절삭유(120)가 상기 배출관(801)을 통해 배출되어 수집통(90)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101)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101)는 하우징(40)을 매개로 하여 상기 수집통(9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40)은 상기 공작기계(80)와 소정간격 이격되면서 상기 수집통(90)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4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된 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덮개(401)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덮개(401)는 상기 하우징(40)과 분리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기 덮개(401)를 상기 하우징(40)의 상면에 단순히 안착하면 상기 하우징(40)의 개방된 부분이 밀폐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덮개(401)를 하우징(40)의 위쪽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하우징(40)의 상면이 개방된다.
상기 하우징(40)의 상부가 덮개(401)를 통해 개폐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하우징(40)의 내부에 이동부(1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40)의 바닥면(40a)에 쌓인 기름 찌거기를 주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회전부(101)는 상측 부분이 상기 하우징(4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나머지 하측 부분은 상기 하우징(40)의 바닥면(40a)을 관통하여 수집통(90)의 내부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수집통(90)의 내부에 수집된 기름(110)과 절삭유(120)에 잠기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101)의 상단은 구동부(70)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7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자리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70)는 모터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는 덮개(401)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고 모터의 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축(701)은 덮개(401)를 관통하여 하우징(4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으며 베어링(B)을 매개로 하여 상기 회전부(101)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모터는 회전축(701)이 하우징(40)의 바닥면(40a)과 상,하로 대칭되도록 덮개(401)의 하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크류부(102)는 상기 회전부(101)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일부분이 상기 회전부(101)와 함께 기름(110)과 절삭유(120)에 잠기는 상태가 된다.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1)에 구비되는 제어부(130)를 통해 구동부(70)를 작동시키면 상기 회전부(101)와 스크류부(102)가 회전되어 그 주변에 위치된 기름(110)과 절삭유(120)에 소용돌이가 발생된다. 이로 인해 상기 기름(110)은 스크류부(102)와 최대한 가까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부(102)와 가까워진 기름(110)은 스크류부(102)의 사이 빈 공간(102a)으로 빨려 들어가게 되고 상기 빈 공간(102a)으로 빨려 들어간 기름(110)은 이동부(10)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이동부(10)의 외주연에는 빈 공간(102a)을 따라 이동되는 기름(110)이 다시 수집통(90)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부(60)가 장착된다.
상기 이탈 방지부(60)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10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부(101)의 하측 일부분과 스크류부(102)의 하측 일부분은 상기 이탈 방지부(60)의 외부로 노출되어 수집통(90)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이탈 방지부(60)의 상측 외주연에는 상기 하우징(40)의 저면에 용접 또는 볼팅 결합되는 결합편(6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탈 방지부(60)는 그 내경이 스크류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이동부(10)의 외주연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60)가 이동부(10)의 외주연을 감싸게 되면 상기 이탈 방지부(60)의 내벽과 스크류부(102)의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스크류부(102)의 사이 빈 공간(102a)을 따라 이동되는 기름(110)이 다시 수집통(90)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이동부(10)의 하부에는 수집통(90) 내부의 기름(110)과 절삭유(120)를 상기 이동부(10)의 주변으로 모으는 모음부(2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모음부(20)는 회전부(10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프로펠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101)의 하측에 용접 또는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모음부(20)는 상기 회전부(101)와 함께 회전되면서 기름(110)과 절삭유(120)에서 발생되는 소용돌이의 범위가 보다 넓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스크류부(102)와 멀리 떨어져 있는 기름(110)도 스크류부(102)와 최대한 가까워져 스크류부(102)의 빈 공간(102a)으로 빨려 들어가 상기 이동부(10)의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10)의 상측으로 이동된 기름(110)은 하우징(40)의 내부공간에서 기름 제거부(30)에 의해 제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름 제거부(30)는 단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하우징(40)의 내부공간 측면에 설치되고 이와 반대되는 타측은 상기 스크류부(102)의 빈 공간(102a)에 단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름(110)은 상기 스크류부(102)의 빈 공간(102a)을 따라 이동부(10)의 상측으로 이동되다가 상기 기름 제거부(30)에 의해 튕겨져 하우징(40)의 바닥면(40a)으로 낙하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40)의 바닥면(40a)은 하우징(40)의 일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기름 제거부(30)에 의해 낙하되는 기름(110)은 한 곳으로 모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0)의 측면에는 하우징(40)의 내부공간 및 바닥면(40a)과 연결되는 덕트부(50)를 더 관통설치하므로서, 상기 한 곳으로 모아진 기름(110)을 하우징(4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덕트부(50)의 하부에는 상기 수집통(90)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기름 수집통(100)을 별도로 설치하여 상기 배출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기름(110)이 수집되도록 하므로서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1)의 주변이 기름(110)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회전부(101)와 스크류부(102) 및 이탈 방지부(60)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회전부(101)와 스크류부(102) 및 이탈 방지부(60)의 직경은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01)와 스크류부(102)는 직경이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절삭유(120)와 기름(110)에서 발생되는 소용돌이의 범위가 보다 넓어지도록 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오일 스키머는 상기 모음부(20) 없이도 상기 스크류부(102)와 멀리 떨어져 있는 기름(110)이 스크류부(102)와 최대한 가까워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부(102)의 직경이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스크류부(102)의 빈 공간(102a)의 길이가 넓어져 보다 많은 양의 기름(110)을 이동부(10)의 상측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이동부 101 : 회전부
102 : 스크류부 102a : 빈 공간
20 : 모음부 30 : 기름 제거부
40 : 하우징 40a : 바닥면
401 : 덮개 50 : 덕트부
60 : 이탈 방지부 60a : 결합편
70 : 구동부 701 : 회전축
80 : 공작기계 801 : 배출관
90 : 수집통 100 : 기름 수집통
110 : 기름 120 : 절삭유
130 : 제어부 B : 베어링

Claims (9)

  1.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자리 회전되면서 공작기계 작동시 발생되는 기름과 절삭유가 수집되는 수집통의 내부에 수집된 기름을 외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프로펠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수집통 내부의 기름과 절삭유를 상기 이동부의 주변으로 모으는 모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스크류부
    를 포함하며,
    상기 기름은 상기 스크류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따라 이동부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공작기계와 소정간격 떨어져 있고 수집통에 상부에 위치되며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의 일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수집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
  5. 제4항에서,
    일측이 상기 스크류부의 빈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우징의 내부공간 측면에 설치되어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기름을 하우징의 바닥면으로 낙하시키는 기름 제거부
    를 더 포함하는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
  6. 제5항에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은 기름 제거부에 의해 낙하되는 기름이 한 곳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하우징의 일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
  7. 제6항에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관통설치되며 상기 한 곳으로 모아진 기름을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는 덕트부
    를 더 포함하는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
  8. 제7항에서,
    상기 이동부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며 스크류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따라 이동되는 기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
  9. 제8항에서,
    상기 회전부와 스크류부 및 이탈 방지부의 직경은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





KR1020130034641A 2013-03-29 2013-03-29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 KR101342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641A KR101342564B1 (ko) 2013-03-29 2013-03-29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641A KR101342564B1 (ko) 2013-03-29 2013-03-29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2564B1 true KR101342564B1 (ko) 2013-12-17

Family

ID=49988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641A KR101342564B1 (ko) 2013-03-29 2013-03-29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5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834B1 (ko) 2014-03-27 2015-10-07 아메코 주식회사 스크루 타입 오일 스키머
KR101875707B1 (ko) * 2016-12-14 2018-07-09 주식회사 하이드텍 오일 스키머
CN112023447A (zh) * 2020-08-26 2020-12-04 宁夏共享机床辅机有限公司 油水分离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0761B2 (ja) * 2003-10-22 2010-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混合液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0761B2 (ja) * 2003-10-22 2010-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混合液分離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834B1 (ko) 2014-03-27 2015-10-07 아메코 주식회사 스크루 타입 오일 스키머
KR101875707B1 (ko) * 2016-12-14 2018-07-09 주식회사 하이드텍 오일 스키머
CN112023447A (zh) * 2020-08-26 2020-12-04 宁夏共享机床辅机有限公司 油水分离装置
CN112023447B (zh) * 2020-08-26 2021-10-22 宁夏共享机床辅机有限公司 油水分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564B1 (ko)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
AU2015226848B2 (en) Drill fluid recovery apparatus
KR102093890B1 (ko)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WO2020237603A1 (zh) 一种建筑固体垃圾处理装置
JP2006263523A (ja) 廃棄物処分場における安定化方法と装置
KR102051398B1 (ko) 원자로 용기의 해체 방법
WO2008023768A1 (fr) Dispositif d'usinage avec dispositif de filtrage
US10071454B2 (en) Coolant and chip separator apparatus
CN206140191U (zh) 一种数控机床用排屑装置
JP4778964B2 (ja) 工作機械に発生するチップや冷却液を保持し分離するための装置
CN210412628U (zh) 一种具有废屑收集功能摇臂钻床
CN113634559B (zh) 一种钢管混凝土堵塞疏通机器
CN106269181A (zh) 一种具有吸尘功能的简易碎石机
KR101778973B1 (ko) 터널 내 배수관로 유지관리용 청소기
CN211438137U (zh) 一种车床铁屑收集装置
KR101760901B1 (ko) 드레인 필터가 마련된 오일 미스트 집진기
CN209716533U (zh) 易收集废料的法兰钻头
CN210412647U (zh) 一种便于收集废屑的齿轮加工用钻床
CN212634406U (zh) 一种机械加工用钻孔清污装置
KR101103996B1 (ko) 이동식 이물질 수거장치
KR102113972B1 (ko)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
CN203402938U (zh) 一种废液除渣处理装置
CN207373278U (zh) 一种包装纸箱开槽机废料收集装置
KR101723557B1 (ko) 클린룸 콘크리트바닥의 천공장치
CN211331463U (zh) 一种法兰盘加工用钻床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