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972B1 -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 - Google Patents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972B1
KR102113972B1 KR1020180121571A KR20180121571A KR102113972B1 KR 102113972 B1 KR102113972 B1 KR 102113972B1 KR 1020180121571 A KR1020180121571 A KR 1020180121571A KR 20180121571 A KR20180121571 A KR 20180121571A KR 102113972 B1 KR102113972 B1 KR 102113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minant
contaminants
accommodated
roll box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1492A (ko
Inventor
정충교
Original Assignee
정충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충교 filed Critical 정충교
Priority to KR1020180121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9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잡물의 수분건조가 가능하여 이동수단의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하며, 해당 협잡물이 수용되는 압롤박스 내부에 평탄작업이 기계적으로 가능하여 안전성과 경제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는 협잡물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폐수나 생활폐수인 폐기물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관 연결되어 상기 폐기물이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이동시에 해당 폐기물에 포함된 유입수와 협잡물이 서로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협잡물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와 관 연결되되 분리된 상기 협잡물이 수용되어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할 수 있으며, 제어신호에 의해 수용된 상기 협잡물이 균일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평탄화 작업을 수행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는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가 개폐가능하며 상기 이송부 하부와 승강에 의해 관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협잡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압롤박스, 상기 압롤박스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압롤박스 내부에 일 방향으로 낙하하는 상기 협잡물을 이동에 의해 균일하게 퍼뜨려 평탄작업을 실시하는 평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Trasferring system for collecting concomitant}
본 발명은 협잡물의 수분건조가 가능하여 이동수단의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하며, 해당 협잡물이 수용되는 압롤박스 내부에 평탄작업이 기계적으로 가능하여 안전성과 경제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는 협잡물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늘날에는 산업화의 성장에 따라 발생하는 산업폐수는 물론, 생활의 편의성이 향상되면서 발생하는 생활폐수에 의해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러한 산업폐수나 생활폐수는 물과 함께 찌꺼기 등과 같은 협잡물이 포함된 폐기물로 취급되어 적절한 정화시설을 거쳐 처리되는 것을 법으로 규정하여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산업폐수는 국가기관에서 그 규제를 엄격하게 실시하여 관리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생활폐수의 경우에는 현실적으로 이러한 규제를 가하기 어려운 것이 일반적이라 각 지역에서 수거된 해당 생활폐수를 별도의 정화시설에 제공하여 그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도록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생활폐수는 가축의 사료나 퇴비용으로 재활용되기 위해 별도의 선별작업을 거쳐 수분을 제거한 이물질인 협잡물만 콘테이너 등의 내부에 적재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이동수단으로 재활용시설로 보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협잡물에 존재하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콘테이너에 적재하기 때문에 악취는 물론, 해당 콘테이너에 적재된 협잡물의 적재용량이 필요 이상으로 넘쳐 과적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과적을 방지하기 위해 적정용량보다 더 적게 협잡물을 수용하도록 하여 이동수단으로 재활용시설에 보내지기에 잦은 이동에 의한 에너지 낭비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콘테이너에 적재되는 협잡물은 작업자가 해당 콘테이너 내부에 다수 진입하여 삽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일일이 해당 협잡물의 평탄 작업을 실시해야 하기에 그 악취에 의한 안전사고는 물론, 인건비의 부담을 고스란히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실용 제20-0353359호(공고일: 2004.06.16.) 국내공개특허 제10-2012-823호(공개일: 2012.01.04.0) 국내등록특허 제10-1824663호(공고일: 2018.01.2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콘테이너에 수용되는 협잡물의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해당 콘테이너에 적정용량의 상기 협잡물이 수용되어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낭비를 해소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테이너에 수용되는 협잡물의 평탄작업을 기계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인 이득은 물론,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은 산업폐수나 생활폐수인 폐기물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관 연결되어 상기 폐기물이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이동시에 해당 폐기물에 포함된 유입수와 협잡물이 서로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협잡물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와 관 연결되되 분리된 상기 협잡물이 수용되어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할 수 있으며, 제어신호에 의해 수용된 상기 협잡물이 균일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평탄화 작업을 수행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는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가 개폐가능하며 상기 이송부 하부와 승강에 의해 관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협잡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압롤박스, 상기 압롤박스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압롤박스 내부에 일 방향으로 낙하하는 상기 협잡물을 이동에 의해 균일하게 퍼뜨려 평탄작업을 실시하는 평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탄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갖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압롤박스 내부에 수용된 상기 협잡물을 퍼뜨려 평탄작업을 실시하는 평탄작업봉 및 상기 평탄작업봉 일단과 결합하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평탄작업봉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압롤박스는 그 내벽과 소정거리 이웃하되 상기 이동수단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이 더 구비되며, 상기 평탄작업봉은 상기 격벽에 형성된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의 형성방향에 따라 상기 압롤박스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안내홈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격벽에 수직, 수평, 사선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내홈의 형성높이는 상기 압롤박스 내에 수용되는 상기 협잡물의 수용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하며, 다수의 상기 격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협잡물의 수용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폐기물이 이동가능하게 유입되어 상기 유입수와 상기 협잡물로 분리하는 분리부재 및 상기 분리부재에서 분리된 상기 협잡물이 건조와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건조이송부재 및 상기 건조이송부재에서 건조된 상기 협잡물을 수거하되 수거된 상기 협잡물을 상기 압롤박스에 공급하는 공급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부재는 속이 빈 함체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건조이송부재에서 자유낙하 하는 건조된 상기 협잡물이 수용되는 수거탱크, 상기 수거탱크와 관 연결되어 일정압력의 공기압을 상기 수거탱크에 공급하는 에어펌프, 일단이 상기 수거탱크와 관 연결되되 타단은 상기 압롤박스 상부와 근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협잡물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하는 이동관,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관 타단에 구비된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슈트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하는 상기 슈트는 하부가 상기 압롤박스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에어펌프의 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관 내부에서 이동하는 상기 협잡물이 외부 이탈 없이 상기 압롤박스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폐기물에서 분리된 협잡물의 수분을 완전히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이송부재를 통해 해당 협잡물에 포함된 악취제거는 물론, 압롤박스 내부에 적정용량의 협잡물이 수용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압롤박스 내부에 왕복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평탄부재를 통해 상기 압롤박스 내부에 수용된 협잡물을 균일하게 퍼뜨리는 평탄작업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어 인건비의 확보는 물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의 수용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의 이송부 개념도.
도 4는 도 3에 대한 분리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대한 건조이송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대한 공급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의 저장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8에 대한 압롤박스가 이동수단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이하, 간략하게 '이송시스템'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제어신호는 작업자가 수동 또는 원격으로 본 발명의 이송시스템(1)을 구성하는 이송부(200) 및 저장부(300)를 제어하는 통상의 컨트롤박스나 제어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진 제어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시스템(1)은 크게 수용부(100), 이송부(200) 및 저장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건조가 이루어진 고형의 협잡물(W1)이 압롤박스(310) 외부로 이탈 없이 안정적으로 상기 압롤박스(310) 내부에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압롤박스(310) 내부에 수용된 협잡물(W1)이 균일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평탄작업을 실시하여 해당 협잡물(W1)을 원활하게 폐기 또는 재활용할 수 있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수용부(100)는 더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업폐수나 생활폐수인 유입수에 이물질인 고형의 협잡물(W1)이 포함된 폐기물(W)이 수용되기 위한 구성이다.
수용부(100)는 속이 빈 탱크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100)는 후술하는 분리부재(210)와 관 연결되어 수용된 폐기물(W)이 상기 분리부재(21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수용부(100)의 상부는 그 내부로 폐기물(W)이 유입됨과 동시에 덩어리가 큰 이물질인 협잡물(W1)은 걸러져 상기 수용부(100) 내부에 유입될 수 있도록 별도의 필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00)에 수용된 폐기물(W)을 유입수(W2)와 협잡물(W1)로 분리하되 그 분리된 상기 협잡물(W1)을 건조하며, 건조된 상기 협잡물(W1)을 후술하는 저장부(3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분리부재(210), 건조이송부재(220) 및 공급부재(230)를 포함한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분리부재(210)는 폐기물(W)을 유입수(W2)와 협잡물(W1)로 분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분리몸체(211) 및 벨트컨베이어(214)를 포함한다.
분리몸체(211)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은 탱크 형상의 수용부(100)와 관 연결되어 폐기물(W)이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타단은 건조이송부재(220) 내부와 연통되게 관 연결된다.
이때, 분리몸체(211)는 일단에서 타단 방향 즉, 폐기물(W)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그 타단의 형상은 제1분리체(212)와 제2분리체(213)로 분할 형성되어 유입수(W2)와 협잡물(W1)이 상기 분리몸체(211) 내에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며, 상기 제1분리체(212)는 유입수(W2)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분리체(213)는 협잡물(W1)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분리체(212)는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선상으로 일직선의 형상을 갖거나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분리체(212)로 유입된 유입수(W2)가 원활하게 이동하여 처리될 수 있도록 하며, 제2분리체(213) 내부에는 제어신호에 의해 벨트컨베이어(214)가 일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수(W2)에서 협잡물(W1)이 분리될 수 있도록 측면으로 누운 'Y'자 형상을 갖도록 한다.
벨트컨베이어(2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분리체(213) 내부에 일 방향 즉, 건조이송부재(220) 방향으로 분리된 협잡물(W1)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벨트컨베이어(214)는 제2분리체(213)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롤러(215)가 체인(미도시) 등에 의해 서로 이웃하게 연결되어 다수의 상기 롤러(2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상기 롤러(215) 전체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다수의 롤러(215) 외면에는 이송벨트(216)가 띠 형상으로 감겨져 상기 롤러(215)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그 회전에 의해 폐기물(W)에 포함된 고형의 협잡물(W1)만 건져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벨트컨베이어(214)의 일측은 제1 및 제2분리체(212,213)가 서로 이어지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폐기물(W)에서 유입수(W2)를 제외한 협잡물(W1)만 건져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분리체(213)의 타측은 상방을 향하도록 사선의 형상을 갖게 형성되어 상기 폐기물(W)에서 상기 협잡물(W1)의 분리가 용이함과 동시에 상기 협잡물(W1)에 일부 포함된 유입수(W2)가 상기 벨트컨베이어(214)에서 자유낙하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송벨트(216) 외면에는 다수의 배출공(217)이 천공형성되어 상기 이송벨트(216)에 안착한 협잡물(W1)에서 배출되는 유입수(W2)가 제2분리체(213) 내벽을 따라 제1분리체(2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송벨트(216)에 의해 이송된 협잡물(W1)은 제2분리체(213) 하부에 천공형성되되 후술하는 이송체(221) 일단과 관 연결되는 이음관(219)을 통해 상기 이송체(22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송벨트(216) 외면에는 배출공(217)과 간섭되지 않게 협잡물(W1)을 건져 올리기 위한 고리 형상의 후크(218)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건조이송부재(220)는 상술한 제2분리체(213)와 서로 연통되게 관 연결되되 벨트컨베이어(214)에 의해 유입되는 협잡물(W1)을 건조시켜 후술하는 압롤박스(310)에 수용되는 상기 협잡물(W1)의 무게를 최소화하여 이송량을 높임과 동시에 상기 협잡물(W1)에 포함된 악취를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송체(221), 히터(223) 및 이송스크류(224)를 포함한다.
이송체(221)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이 제2분리체(213)에 형성된 이음관(219)과 관 연결되어 협잡물(W1)이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타단 하부에는 배출관(222)이 형성되어 건조가 이루어진 협잡물(W1)이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송체(22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설치공간으로도 협잡물(W1)의 건조시간이 최대한 유지될 수 있도록 타단이 상향되게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사선형상을 갖도록 설치된다.
히터(223)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되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발열하여 이송스크류(224)에 의해 이송체(221)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협잡물(W1)을 건조시켜 상기 협잡물(W1)의 악취제거나 무게를 최소한(에어펌프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정도)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히터(223)는 이송체(221)의 둘레면에 구비되되 그 발열에 의해 상기 이송체(221) 내부에서 이동하는 협잡물(W1)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송체(221)의 길이 즉, 협잡물(W1)이 상기 이송체(221) 내부에서 이동하는 시간에 따라 그 온도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송스크류(224)는 이송체(221)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체(221) 내부로 유입된 협잡물(W1)이 일정속도로 이동할 수 있게 도와준다.
예컨대 이송스크류(224) 외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트위스터 형상의 날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날개에 의해 협잡물(W1)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송스크류(224)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며, 필요에 따라 한 쌍의 이송스크류(224)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되 각각의 날개가 서로 간섭되지 않게 회전할 수 있도록 이송체(221) 내부에 설치되어 건조가 이루지는 협잡물(W1)을 파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공급부재(230)는 건조가 이루어진 협잡물(W1)을 후술하는 압롤박스(310)에 이탈 없이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거탱크(231), 에어펌프(233), 이동관(234) 및 슈트(235)를 포함한다.
수거탱크(231)는 상부가 개방된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개방된 상부는 배출관(222) 직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배출관(222)을 통해 배출되는 건조된 협잡물(W1)이 수거탱크(231) 내부로 자유낙하에 의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수거탱크(231)는 후술하는 에어펌프(233) 및 이동관(234)과 그 내부가 연통되게 관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에어펌프(233)의 압력에 의해 수거된 협잡물(W1)이 상기 이동관(234)을 따라 압롤박스(310)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수거탱크(231) 내부에는 이동관(234) 방향으로 수거된 협잡물(W1)이 집중되어 상기 이동관(234)을 통해 용이하게 협잡물(W1)이 공급될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를 갖는 수집판(23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펌프(233)는 상술한 수거탱크(231)와 관 연결되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수거탱크(231) 내부로 소정의 압력을 갖는 공기압을 배출하여 상기 수거탱크(231) 내부에 수용된 건조가 이루어진 협잡물(W1)이 이동관(234)을 통해 압롤박스(31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에어펌프(233)의 압력은 이동관(234)의 길이나 구조에 따라 협잡물(W1)이 상기 이동관(234)을 관통하여 압롤박스(310)로 공급될 수 있는 배출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관(234)은 전체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은 수거탱크(231) 내부와 연통되게 관 연결되며, 타단은 상부가 개방된 압롤박스(310)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에어펌프(233)의 배출압력에 의해 협잡물(W1)이 상기 압롤박스(310)까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한다.
슈트(235)는 이동관(234) 타단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승강에 의해 하부가 압롤박스(3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일부 삽입되어 상기 이동관(234) 내부를 통해 이동하는 협잡물(W1)이 외부 이탈 없이 상기 압롤박스(310)에 공급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때, 슈트(235)는 이동관(234) 타측 외부에 배치되되 제어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인장/수축하는 실린더 등이나 작업자가 수동으로 상기 슈트(235)를 승강시키는 방식의 승강수단(236)에 의해 상기 이동관(234) 외부에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3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이송부(200)에 의해 공급되는 일정량의 건조된 협잡물(W1)을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저장하되 저장시에 많은 양의 상기 협잡물(W1)을 수용할 수 있도록 평탄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압롤박스(310) 및 평탄부재(3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압롤박스(310)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트럭 등과 같은 이동수단(324)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그 내부에 수용된 협잡물(W1)을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압롤박스(310) 내부에는 평탄부재(32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내부에서 수용된 협잡물(W1)의 평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 내벽(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측벽에 한정할 수 있음)에는 판 형상을 갖는 다수의 격벽(311)이 설치될 수 있다.
격벽(311)은 압롤박스(310) 내벽과 소정거리 이웃하게 설치되어 상기 격벽(311)과 압롤박스(310) 내벽 사이에 이동수단(324)이 설치 및 이동할 수 있는 설치공간부(312)가 형성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도 10 참조).
이때, 각각의 격벽(311) 끝단은 압롤박스(310) 내부로 유입되는 협잡물(W1)이 설치공간부(31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용접 등에 의해 상기 압롤박스(310)와 이어지게 형성되며,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구비되는 격벽(311) 중 서로 마주보되 후술하는 평탄부재(320)가 설치되는 한 쌍의 상기 격벽(311)에는 상기 평탄부재(320)이 이동시에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홈(3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격벽(311)에 각각 형성된 안내홈(313)은 필요에 따라 수직, 수평 및 사선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평탄부재(320)의 이동에 의해 압롤박스(310) 내부로 유입된 협잡물(W1)이 상기 압롤박스(310) 내부에서 균일하게 퍼져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안내홈(313)은 압롤박스(310) 내부에 수용되는 협잡물(W1)이 상기 안내홈(313)을 통해 설치공간부(31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협잡물(W1)이 수용될 수 있는 높이(D2)보다 더 높은 높이(D1)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안내홈(313)이 형성된 한 쌍의 격벽(3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평탄작업이 이루어진 협잡물(W1)의 수용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314)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314)는 빛이나 직진성을 갖는 레이저의 반사에 의해 압롤박스(310) 내부에 수용된 상기 협잡물(W1)의 수용높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에 제공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상기 협잡물(W1)의 수용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압롤박스(310) 상부는 제어신호에 개폐가능한 도어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그 내부에 협잡물(W1)이 유입시에 개방된 상기 압롤박스(310) 상부를 통해 상술한 슈트(235) 하부가 하강에 의해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개방되어 협잡물(W1)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압롤박스(310)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는 압롤박스(310)의 상부 전체가 개방되는 방식이 아닌, 슈트(235) 하부가 형상맞춤으로 관통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개폐구(315)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조된 협잡물(W1)이 압롤박스(310) 내부에서 자유낙하에 의해 공급시, 그 충격이나 충돌에 의해 비산되는 먼지 등이 상기 압롤박스(310)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상기 협잡물(W1)에 남아있는 악취 등이 상기 압롤박스(310) 외부로 새어나갈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압롤박스(310) 상부에는 견인고리(미도시) 등이 형성되어 크레인 등에 의해 상기 견인고리가 체결되어 자동차 등과 같은 이동수단(324)에 안착하여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평탄부재(320)는 압롤박스(310) 내부에 왕복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이동에 의해 상기 압롤박스(310) 내부에 수용된 협잡물(W1)을 균일하게 퍼뜨리는 평탄작업을 실시하여 많은 양의 상기 협잡물(W1)이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평탄작업봉(321) 및 이동수단(324)을 포함한다.
평탄작업봉(321)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격벽(311)에 형성된 안내홈(313)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소정길이를 갖는 봉이나 바(BAR)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외면에는 트위스터(Twister) 형상의 나선홈(322)이 형성되어 상기 평탄작업봉(321)이 이동시에 협잡물(W1)이 균일하게 퍼짐과 동시에 한 쌍의 상기 격벽(311) 방향으로도 이동하여 평탄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한 쌍의 격벽(311)에 각각 형성된 안내홈(313)을 따라 이동하는 평탄작업봉(321)의 일단은 한 쌍의 상기 안내홈(313)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되 후술하는 이동수단(324)과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게 관통삽입되는 관통관(323)이 형성되며, 타단은 다른 하나의 상기 안내홈(313)에 삽입되어 한 쌍의 상기 안내홈(3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평탄작업봉(321) 타단에는 이동의 용이성을 위해 베어링 또는 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수단(324)은 상술한 평탄작업봉(321)이 제어신호에 의해 왕복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공간부(312) 내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구동모터(325) 및 이동스크류(326)를 포함한다.
구동모터(325)는 설치공간부(312) 내에 고정설치되되 제어신호에 의해 정방향(시계방향) 및 역방향(반 시계반향)으로 회전하되 이동스크류(326) 일단과 고정결합하여 상기 이동스크류(326)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구동모터(325)는 안내홈(313)을 따라 이동하는 평탄작업봉(321)의 높이에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공간부(31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스크류(326) 외면에는 관통관(323)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서로 치(齒) 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구동모터(325)의 회전방향에 따라 평탄작업봉(321)이 왕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이송시스템(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폐기물(W)에서 분리된 협잡물(W1)의 수분을 완전히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이송부재(220)를 통해 해당 협잡물(W1)에 포함된 악취제거는 물론, 압롤박스(310) 내부에 적정용량의 협잡물(W1)이 수용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압롤박스(310) 내부에 왕복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평탄부재(320)를 통해 상기 압롤박스(310) 내부에 수용된 협잡물(W1)을 균일하게 퍼뜨리는 평탄작업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어 인건비의 확보는 물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1: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
100: 수용부 200: 이송부
210: 분리부재 220: 건조이송부재
230: 공급부재 300: 저장부
310: 압롤박스 320: 평탄부재
W1: 협잡물 W2: 유입수
W: 페기물

Claims (4)

  1. 산업폐수나 생활폐수인 폐기물(W)이 수용되는 수용부(100);
    상기 수용부(100)와 관 연결되어 상기 폐기물(W)이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이동시에 해당 폐기물(W)에 포함된 유입수(W2)와 협잡물(W1)이 서로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협잡물(W1)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송부(200); 및
    상기 이송부(200)와 관 연결되되 분리된 상기 협잡물(W1)이 수용되어 이동수단(324)에 의해 이동할 수 있으며, 제어신호에 의해 수용된 상기 협잡물(W1)이 균일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평탄화 작업을 수행하는 저장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300)는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가 개폐가능하며 상기 이송부(200) 하부와 승강에 의해 관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협잡물(W1)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압롤박스(310), 상기 압롤박스(310)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압롤박스(310) 내부에 일 방향으로 낙하하는 상기 협잡물(W1)을 이동에 의해 균일하게 퍼뜨려 평탄작업을 실시하는 평탄부재(320)를 포함하며,
    상기 평탄부재(320)는
    소정의 길이를 갖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압롤박스(310) 내부에 수용된 상기 협잡물(W1)을 퍼뜨려 평탄작업을 실시하는 평탄작업봉(321); 및
    상기 평탄작업봉(321) 일단과 결합하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평탄작업봉(321)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324);을 포함하되,
    상기 압롤박스(310)는 그 내벽과 소정거리 이웃하되 상기 이동수단(324)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부(312)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311)이 더 구비되며, 상기 평탄작업봉(321)은 상기 격벽(311)에 형성된 안내홈(313)에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313)의 형성방향에 따라 상기 압롤박스(310)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안내홈(313)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격벽(311)에 수직, 수평, 사선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313)의 형성높이(D1)는 상기 압롤박스(310) 내에 수용되는 상기 협잡물(W1)의 수용높이(D2)보다 더 높게 형성하며, 다수의 상기 격벽(3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협잡물(W1)의 수용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3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수용부(100)에 수용된 상기 폐기물(W)이 이동가능하게 유입되어 상기 유입수(W2)와 상기 협잡물(W1)로 분리하는 분리부재(210); 및
    상기 분리부재(210)에서 분리된 상기 협잡물(W1)이 건조와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건조이송부재(220); 및
    상기 건조이송부재(220)에서 건조된 상기 협잡물(W1)을 수거하되 수거된 상기 협잡물(W1)을 상기 압롤박스(310)에 공급하는 공급부재(230);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부재(230)는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건조이송부재(220)에서 자유낙하 하는 건조된 상기 협잡물(W1)이 수용되는 수거탱크(231), 상기 수거탱크(231)와 관 연결되어 일정압력의 공기압을 상기 수거탱크(231)에 공급하는 에어펌프(233), 일단이 상기 수거탱크(231)와 관 연결되되 타단은 상기 압롤박스(310) 상부와 근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협잡물(W1)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하는 이동관(234),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관(234) 타단에 구비된 승강수단(236)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슈트(235)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236)에 의해 승강하는 상기 슈트(235)는 하부가 상기 압롤박스(31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에어펌프(233)의 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관(234) 내부에서 이동하는 상기 협잡물(W1)이 외부 이탈 없이 상기 압롤박스(310)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
KR1020180121571A 2018-10-12 2018-10-12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 KR102113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571A KR102113972B1 (ko) 2018-10-12 2018-10-12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571A KR102113972B1 (ko) 2018-10-12 2018-10-12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492A KR20200041492A (ko) 2020-04-22
KR102113972B1 true KR102113972B1 (ko) 2020-06-02

Family

ID=70472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571A KR102113972B1 (ko) 2018-10-12 2018-10-12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9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764B1 (ko) 2020-04-02 2022-09-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Zbtb7c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074B1 (ko) * 2010-06-09 2010-12-03 제천시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KR101670790B1 (ko) * 2015-11-30 2016-10-31 주식회사 태산플랜트 분체형 이송 대상물용 출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880B1 (ko) * 1997-01-18 1999-12-15 손순식 수분제거기능을 갖는 식품처리장치
KR200353359Y1 (ko) 2004-03-27 2004-06-16 권청한 평탄 수단을 구비한 음식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59183Y1 (ko) * 2009-11-03 2012-03-22 (주)강원산업기계 높이 조정이 가능한 폐기물 슬러지 수거함 자동 평탄기
KR102012823B1 (ko) 2012-12-11 2019-08-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824663B1 (ko) 2016-02-12 2018-02-01 이종기 협잡물 감지기능을 갖는 제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074B1 (ko) * 2010-06-09 2010-12-03 제천시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KR101670790B1 (ko) * 2015-11-30 2016-10-31 주식회사 태산플랜트 분체형 이송 대상물용 출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492A (ko)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26016B (zh) 袋装垃圾处理装置
KR101610043B1 (ko) 슬러지 케이크 호퍼 침출수 수거장치
KR102113972B1 (ko)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
CN210734448U (zh) 一种带有拦污装置的水利清漂船
CN210235258U (zh) 一种拦污清漂船
KR101237835B1 (ko) 가축 배설물 선별 및 수거장치
DE3004682A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beseitigen von schlaemmen aus industrie- und hausklaergruben o.dgl. einrichtungen
CN107472781B (zh) 垃圾中转站
EP2712828B1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evenly distributing material into a container
CN111994400A (zh) 一种吨包袋自动拆包卸料、回收装置及工作方法
KR102133570B1 (ko) 하·폐수 슬러지의 비산 및 오염방지 장치
CN213159580U (zh) 危废物固液分离装置
CN212914765U (zh) 一种污水处理垃圾回收装置
CN212216564U (zh) 一种用于环保建设的垃圾处理装置
CN209737314U (zh) 锌铝合金压铸零件研磨筛选烘干一体生产线
CN211036823U (zh) 一种道路施工用废料收集装置
CN207536827U (zh) 一种密闭输焦系统
DE4127975C2 (ko)
US20130026267A1 (en) Movable metal separator
CN218258202U (zh) 一种风塔生产用原料运输装置
CN211337420U (zh) 一种生活垃圾输送装置
CN218578644U (zh) 垃圾处理站
CN214086106U (zh) 外置式进料装置及采用其的垃圾中转站
KR102560578B1 (ko) 금속 스크랩 자동 분리장치
KR102017107B1 (ko) 오일스키머 자동 수위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