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417B1 - 부품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417B1
KR102118417B1 KR1020180167957A KR20180167957A KR102118417B1 KR 102118417 B1 KR102118417 B1 KR 102118417B1 KR 1020180167957 A KR1020180167957 A KR 1020180167957A KR 20180167957 A KR20180167957 A KR 20180167957A KR 102118417 B1 KR102118417 B1 KR 102118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unit
alignment device
sensing unit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김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태 filed Critical 김기태
Priority to KR1020180167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4Arrangements for aligning or assembling substrates
    • G02F2001/13335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정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위치나 자세를 상대적으로 정렬하는 부품 정렬 장치로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이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를 가공할 수 있는 가공 유닛;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자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 유닛;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크;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송함으로써,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상대 위치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센싱 유닛이 감지할 수 있도록, 빛이 상기 가공 유닛을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3 투시부가 상기 가공 유닛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압 헤드가 상기 조명 커버의 상방 근처까지 전진하여 상기 센싱 유닛의 촬영 영역에 침범한 상태에서도, 상기 센싱 유닛이 상기 제3 투시부를 통하여 상기 마크들과 전기 리드의 상대 위치나 자세를 실시간으로 계속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품 정렬 장치 {Part Aligning Device}
본 발명은 부품 정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공 유닛이 센싱 유닛의 감지 영역에 침범한 상태에서도, 상기 센싱 유닛이 정렬 대상인 부품들에 형성된 마크 등을 계속 모니터링하여 부품들의 상대 위치나 자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부품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TV등에 사용되는 LCD 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LCD 패널(S)의 불량 여부를 체크하는 검사 과정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러한 LCD 패널(S)의 불량 검사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CD 패널(S)에 연결된 제1 회로기판(P1)을 외부의 검사 장치(미도시)에 연결된 제2 회로기판(P2)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고 전기적으로 분리시켜주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1 회로기판(P1)은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PCB)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회로기판(P2)은 일반적인 경성회로기판(Rigid-PCB)의 형태를 가집니다.
종래에는 이러한 작업을 작업자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진행하였으나, 상기 제1 회로기판(P1)와 제2 회로기판(P2)에 형성된 전기 리드(L1, L2)의 개수가 너무 많고 그 간격도 조밀하여 작업 속도가 너무 느리고 검사 시간이 과도하게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리드(L1, L2)는 Y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X방향을 따라 매무 조밀한 간격으로 나열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기 제1 회로기판(P1)와 제2 회로기판(P2)간의 전기적 결합 및 해제를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자동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증가하는 상황이며, 본 발명은 그러한 필요성에 따라서 착상하게 된 발명입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공 유닛이 센싱 유닛의 감지 영역에 침범한 상태에서도, 상기 센싱 유닛이 정렬 대상인 부품들에 형성된 마크 등을 계속 모니터링하여 부품들의 상대 위치나 자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부품 정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정렬 장치는,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위치나 자세를 상대적으로 정렬하는 부품 정렬 장치로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이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를 가공할 수 있는 가공 유닛;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자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 유닛;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크;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송함으로써,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상대 위치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센싱 유닛이 감지할 수 있도록, 빛이 상기 가공 유닛을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투시부가 상기 가공 유닛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공 유닛에 형성된 상기 투시부는,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는, 빛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상기 투시부는,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크;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본체에 표시된 상기 마크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본체를 X방향, Y방향, Z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공 유닛은,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 헤드; 상기 가압 헤드를 Y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는 제1 헤드 이송 유닛; 상기 가압 헤드를 Z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는 제2 헤드 이송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 헤드는 상기 Z방향을 따라 하강함으로써,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을 가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자세를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부품은, 다수 개의 제1 전기 리드가 형성된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제1 전기 리드에 대응하는 제2 전기 리드가 형성된 경성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위치나 자세를 상대적으로 정렬하는 부품 정렬 장치로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이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를 가공할 수 있는 가공 유닛;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자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 유닛;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크;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송함으로써,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상대 위치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센싱 유닛이 감지할 수 있도록, 빛이 상기 가공 유닛을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3 투시부가 상기 가공 유닛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압 헤드가 상기 조명 커버의 상방 근처까지 전진하여 상기 센싱 유닛의 촬영 영역에 침범한 상태에서도, 상기 센싱 유닛이 상기 제3 투시부를 통하여 상기 마크들과 전기 리드의 상대 위치나 자세를 실시간으로 계속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부품 정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품 정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품 정렬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유닛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이드 유닛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 유닛의 A-A선 방향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부품 정렬 장치에 제2 부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부품 정렬 장치에 제2 부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부품 정렬 장치에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부품 정렬 장치의 B-B선 방향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부품 정렬 장치의 가압 헤드가 Y방향을 따라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부품 정렬 장치의 C-C선 방향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부품 정렬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가공 유닛의 하면에 형성된 투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부품 정렬 장치의 D-D선 방향 도면이다.
도 16은 LCD 패널에 연결된 제1 부품과 도 1에 도시된 부품 정렬 장치에 장착된 제2 부품을 서로 정렬하여, LCD 패널을 검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부품 정렬 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부품 정렬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품 정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품 정렬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정렬 장치(100)는,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의 위치나 자세를 상대적으로 정렬하는 부품 정렬 장치로서, 본체(10)와, 가공 유닛(20)과, 센싱 유닛(30)과, 밀착 유닛(40)과, 송풍 유닛(50)과, 이송 유닛(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부품 정렬 장치(100)가 LCD 패널(S)의 불량 검사에 사용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부품(P1)은 다수 개의 제1 전기 리드(L1)가 형성된 연성회로기판(Flexible-PCB)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품(P2)은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제1 전기 리드(L1)에 대응하는 제2 전기 리드(L2)가 형성된 경성회로기판(Rigid-PCB)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품(P1)의 상면에는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마크(M1)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제2 부품(P2)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마크(M2)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10)는, 금속 재질의 하우징으로서, 하부 본체(11)와 상부 본체(12)와 측면 부재(13)와 바닥 부재(14)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본체(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2 부품(P2)의 하방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 본체(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2 부품(P2)의 상방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 본체(12)는, 상기 하부 본체(11)와 대응하는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본체(11)로부터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본체(11)와 상부 본체(12)는, X방향과 그에 수직한 Y방향이 이루는 가상의 평면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측면 부재(13)는, 평판 형상의 금속 부재로서 한 쌍이 마련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Y방향과 그에 수직한 Z방향이 이루는 가상의 평면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 부재(13)는 X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상기 상부 본체(12)의 좌우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상기 하부 본체(11)의 좌우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 부재(13)는, 상기 하부 본체(11) 및 상부 본체(12)에 착탈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측면 부재(13)를 상기 하부 본체(11) 및 상부 본체(12)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닥 부재(14)의 상면에 제2 부품(P2)을 장착하기 용이한 측면 개방 상태가 된다.
상기 바닥 부재(1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판 부재로서, 미리 정한 너비(W)를 가지며, 상기 제1 부품(P1) 및 제2 부품(P2)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부재이다.
상기 바닥 부재(14)의 상면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4 마크(M4)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바닥 부재(14)의 전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본체(11)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발광부(미도시)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조명 커버(14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조명 커버(141)는, 상기 바닥 부재(14)와 동일한 너비(W)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으로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합성 수지 또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명 커버(141)의 상면은 상기 바닥 부재(14)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조명 커버(141)의 후방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흡착 유닛(142)이 장차되어 있다.
상기 진공 흡착 유닛(142)은, 진공력에 의하여 상기 제2 부품(P2)을 상기 바닥 부재(14)의 상면에 밀착시켜 위치 고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진공 흡착 유닛(142)의 좌우 지점에는 한 쌍의 위치 고정 돌기(14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위치 고정 돌기(14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 부재(14)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 부재(14)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높이만큼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원형 단면의 돌기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고정 돌기(143)은, Z방향을 따라 위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는데, 원뿔, 원뿔대, 반구형, 삿갓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 돌기(14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부품(P2)에 형성된 한 쌍의 위치 고정 구멍(144)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이다.
상기 위치 고정 구멍(144)은, 상기 위치 고정 돌기(143)에 대응되는 원형의 구멍으로서, 상기 제2 부품(P2)을 상기 위치 고정 돌기(143)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는, Y방향을 따라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어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공 유닛(20)은,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이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 중 적어도 하나를 가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가공 유닛(20)은, 부품 가압 유닛, 레이저 가공 유닛, 실리콘 도포 유닛, 부품 조립 유닛, 부품 장착 유닛 등 그 가공 방법에 제한이 없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가공 유닛(20)은, 부품 자체의 가공과 부품들 간의 조립을 포함하는 광의의 가공 유닛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공 유닛(20)은,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는 부품 가압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가공 유닛(20)은, 가압 헤드(211)와, 제1 헤드 이송 유닛(22)과, 제2 헤드 이송 유닛(23)과, 수평 조절 장치(24)와, 직진 조절 장치(25), 전후 위치 조절 장치(26)와, 전후 위치 표시 장치(27)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 헤드(211)는, 상기 제1 부품(P1) 또는 상기 제2 부품(P2)에 접촉하여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X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가압 헤드(211)는,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 헤드이다.
상기 가압 헤드(211)는, 연질의 합성 수지 내지 고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Z방향을 따라 하단부로 갈수로 점점 폭이 작아지는 삼각 기둥형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헤드(211)는 실리콘 고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압 헤드(211)는, 가압 헤드 본체(21)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 헤드 본체(21)에 대하여 상대적인 위치나 자세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압 헤드(211)의 전단부에는, "ㄴ"자형 부재인 마크 표시 부재(21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마크 표시 부재(2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가압 헤드(211)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크 표시 부재(212)는 Y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적 형상을 가진다.
상기 마크 표시 부재(212)의 수평한 부분의 상면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3 마크(M3)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가압 헤드(211)와 상기 가압 헤드 본체(21)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3 투시부(H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투시부(H3)는, 상기 제1 마크(M1)와 제2 마크(M2)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센싱 유닛(30)이 감지할 수 있도록, 빛이 상기 가공 유닛(20)의 적어도 일부를 완전히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투시부이다.
상기 제3 투시부(H3)는,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투시부(H3)는, Z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기 가압 헤드(211) 및 가압 헤드 본체(21)를 상하로 완전회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헤드 이송 유닛(22)은, 상기 가압 헤드(211)를 Y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할 수 있는 이송 유닛으로서, 제1 실린더(221)와 제1 가이드(2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실린더(221)는, Y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막대형 실린더로서, 상기 상부 본체(12)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 실린더(221)는, 유공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1 가이드(222)는, Y방향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함 LM가이드로서, 상기 상부 본체(12)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헤드 이송 유닛(22)은 상기 제2 헤드 이송 유닛(23)을 Y방향을 따라 전후로 왕복 이송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2 헤드 이송 유닛(23)은, 상기 가압 헤드(211)를 Z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할 수 있는 이송 유닛으로서, 제2 실린더(231)와 제2 가이드(23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실린더(231)는, Z방향을 따라 연장된 실린더로서, 상기 제1 가이드(222)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 실린더(231)는, 유공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2 가이드(232)는, Z방향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함 LM가이드로서, 상기 가압 헤드 본체(21)의 후면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헤드 이송 유닛(23)은 상기 가압 헤드 본체(21)를 Z방향을 따라 상하로 왕복 이송하는 기능을 한다.
결국, 상기 가압 헤드(211)는, 상기 제1 헤드 이송 유닛(22) 및 제2 헤드 이송 유닛(23)에 의하여, Y방향 및 Z방향을 따라 전진 후진 상승 하강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헤드(211)는, Z방향을 따라 충분히 하강함으로써,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조절 장치(24)는, 상기 가압 헤드(211)의 수평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 헤드 본체(21)에 마련된 장치로서, 중심축(241)과 제1 나사(242)와 제2 나사(243)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축(241)은, 상기 가압 헤드(211)를 상기 가압 헤드 본체(21)에 Y방향 및 Z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부재이다.
상기 제1 나사(242)와 제2 나사(243)은, 상기 가압 헤드(211)의 좌우를 각각 승강시킬 수 있는 조절나사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나사(242)와 제2 나사(243)를 각각 조이거나 풀면, 상기 가압 헤드(211)가 Y방향을 중심으로 미세하게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압 헤드(211)의 수평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직진 조절 장치(25)는, 상기 가압 헤드(211)의 직진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 헤드(211)에 마련된 장치로서, 상기 중심축(241)과 제3 나사(251)와 제4 나사(252)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나사(251)와 제4 나사(252)는, 상기 가압 헤드(211)의 좌우를 각각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는 조절나사이다.
따라서, 상기 제3 나사(251)와 제4 나사(252)를 각각 조이거나 풀면, 상기 가압 헤드(211)가 Z방향을 중심으로 미세하게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압 헤드(211)의 Y방향 직진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 헤드(211)를 상기 X방향과 평행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후 위치 조절 장치(2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본체(12)의 후단부에 배치된 장치로서, 상기 가공 유닛(20)의 Y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상부 본체(12)의 후단부에 마련된 조절 손잡이(261)이를 돌리면, 상기 제1 실린더(221)가 상기 Y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 헤드(211)의 Y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후 위치 표시 장치(27)는, 상기 전후 위치 조절 장치(26)에 의하여 조절된 상기 가공 유닛(20)의 Y방향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후 위치 표시 장치(27)는, 표시 바늘과 표시 눈금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센싱 유닛(30)은,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자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 유닛으로서, 상기 상부 본체(12)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싱 유닛(30)은,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자세를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촬영부(3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촬영부(31)는, 물체를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CCD소자 등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제1 마크(M1), 제2 마크(M2), 제3 마크(M3), 제4 마크(M4)를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31)의 전방에는 프리즘부(32)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프리즘부(32)와 상기 촬영부(31)는 광학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프리즘부(32)는, 상기 조명 커버(141)로부터 방출되어 수직으로 상승한 빛이 수평 방향으로 굴절되도록 하는 광학 장치이다.
상기 상부 본체(12)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 커버(141)로부터 방출되어 수직으로 상승한 빛이 상기 프리즘부(32)의 하면에 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광입구(3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광입구(33)는 원형의 관통공으로서, 상기 상부 본체(12)를 상하로 관통한다.
상기 밀착 유닛(40)은, 상기 바닥 부재(14)의 상면에 올려진 제1 부품(P1)을 기준면인 상기 바닥 부재(14)의 상면에 밀착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밀착 부재(41)와, 가이드 부재(42)와, 밀착 부재 승강 장치(43)와, 피스톤 부재(44)와, 실린더 부재(45)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품(P1)은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PCB)을 포함하므로, 상기 밀착 유닛(40)이 없다면 상기 바닥 부재(14)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밀착 부재(4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부품(P1)에 미리 정한 거리만큼 근접한 근접 위치와 상기 제1 부품(P1)으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만큼 멀어진 이격 위치 사이에서 Z방향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한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 부재(41)는, 상기 바닥 부재(14)와 동일한 너비(W)를 가진다.
상기 밀착 부재(41)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사구(411)와 기체 수용실(412)과 기체 통과공(41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밀착 부재(41)는, 전방에서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제1 부품(P1)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Y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분사구(411)는, 상기 밀착 부재(41)의 하면에 복수 개 마련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같은 기체를 상기 제1 부품(P1)의 상면에 골고루 분사할 수 있는 분사구이다.
상기 제1 분사구(411)는, 상기 제1 부품(P1)의 너비와 대응되는 영역에 복수 열과 복수 행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분사구(411)의 직경과 개수는, 상기 제1 부품(P1)의 상면에 가해질 공기압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상기 기체 수용실(412)은, 상기 밀착 부재(41)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공간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상기 피스톤 부재(44)를 통하여 공급된 공기가 잠시 체류하는 공간부이다.
상기 기체 수용실(4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분사구(411)와 직접적으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기체 통과공(413)은, 후술할 상기 송풍 유닛(50)에 의하여 분사되는 공기와 같은 기체를 통과시켜주는 복수 개의 구멍이다.
상기 기체 통과공(413)은, 상기 제1 부품(P1)의 너비와 대응되는 영역에 복수 열과 복수 행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체 통과공(41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분사구(411)의 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42)는, 전방에서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제1 부품(P1)을 안내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기 가이드 부재(42)는, 상기 Y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바닥 부재(14)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부재(42)는, 상기 밀착 부재(41)와 협력하여 전방에서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제1 부품(P1)을 용이하게 안내하게 된다.
상기 밀착 부재 승강 장치(43)는, 상기 밀착 부재(41)를 상기 근접 위치와 상기 이격 위치 사이에서 Z방향을 따라 왕복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상부 본체(12)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밀착 부재 승강 장치(43)는, 유공압 실린더, 리니어 모터 등 다양한 이송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착 부재 승강 장치(43)가 유공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피스톤 부재(4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Z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파이프형 부재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밀착 부재 승강 장치(43)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부재(44)의 내부에는 공기와 같은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중공(4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부재(44)의 상단부는 외부의 공기펌프(미도시) 등과 연통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부재(44)의 하단부는 상기 기체 수용실(412)과 연통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부재(44)는, 상기 밀착 부재 승강 장치(43)에 의하여 상기 근접 위치와 상기 이격 위치 사이에서 Z방향을 따라 왕복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부재(45)는, 상기 피스톤 부재(44)를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는 가이드용 부재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사이 밀착 부재 승강 장치(43)의 좌우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린더 부재(45)는, 상기 상부 본체(12)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 부재(44)는, 상기 밀착 부재(41)의 기체 수용실(412)에 공기와 같은 기체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밀착 부재(41)의 승강 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송풍 유닛(5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같은 기체를 상기 제1 부품(P1)의 상면에 골고루 분사할 수 있는 장치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사구(51)와, 분사 헤드(52)와, 본체(5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분사구(51)는, X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슬릿형 분사구로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같은 기체를 상기 제1 부품(P1)의 상면에 골고루 분사할 수 있는 분사구이다.
상기 제2 분사구(51)는, 상기 밀착 부재(41)에 형성된 기체 통과공(413)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 헤드(52)에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사 헤드(5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볼록한 반구형 부재로서, 상기 본체(53)에 전방향 피봇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분사 헤드(52)는 상기 본체(53)에 대하여 전후 각도 조절(항공기의 피치 운동 방향 조절), 좌우 각도 조절(항공기의 롤 운동 방향 조절), 회전 각도 조절(항공기의 요 운동 방향 조절) 등이 가능하며, 상기 제2 분사구(51)의 분사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본체(53)는, 상기 분사 헤드(52)를 수용하고 있는 부재로서, 상기 상부 본체(12)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본체(53)는, Y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된 상태로 위치 고정될 수 있으며, Z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된 상태로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53)의 위치 고정은 나사 결합에 의해서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분사구(51)는, 전후 위치 조절, 상하 위치 조절, 전후 각도 조절(항공기의 피치 운동 방향 조절), 좌우 각도 조절(항공기의 롤 운동 방향 조절), 회전 각도 조절(항공기의 요 운동 방향 조절) 등 다양한 분사 방향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이송 유닛(60)은,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 중 적어도 하나를 이송함으로써,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의 상대 위치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 유닛이다.
상기 이송 유닛(60)은, 상기 본체(10)를 X방향, Y방향, Z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하단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상기 본체(10)를 X방향, Y방향, Z방향을 따라 3축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품(P1)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투시부(H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부품(P2) 각각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투시부(H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투시부(H1) 및 제2 투시부(H2)는,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부품 정렬 장치(100)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측면 부재(13)를 상기 본체(10)로부터 제거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품(P2)을 상기 바닥 부재(14)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제2 부품(P2)에 형성된 위치 고정 구멍(144)은 상기 위치 고정 돌기(143)에 삽입된다.
이어서, 상기 이송 유닛(60)을 작동시켜, 상기 제1 부품(P1)이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 사이의 상대 위치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가압 헤드(2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한 후진되어 있고 상승되어 있는 상태로서, 상기 가압 헤드(211)가 상기 센싱 유닛(30)의 감지 영역 또는 촬영 영역에 침범하지 않는 상태이다.
상기 제1 부품(P1)의 일부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 부재(41)의 하방에 진입하면, 상기 이송 유닛(60)의 작동을 잠시 멈춘 후 상기 밀착 부재 승강 장치(43)를 작동하여 상기 밀착 부재(41)를 상기 근접 위치로 하강시키고, 상기 제1 분사구(411) 및 제2 분사구(51)에서 공기와 같은 기체가 계속 분사되도록 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한 제1 부품(P1)은, 상기 바닥 부재(14)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완벽하게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2 부품(P2)에 근접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이송 유닛(60)이 작동되는 상황에서, 상기 센싱 유닛(30)은 도 10에 도시된 제1 부품(P1) 및 제2 부품(P2)의 상대 위치나 자세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상기 센싱 유닛(30)은 상기 마크(M1, M2, M3, M4)들과 투시부(H1, H2, H3)들, 전기 리드(L1, L2)의 상대 위치나 자세도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상기 센싱 유닛(30)에 의하여 획득된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의 상대 위치나 자세가 목표하는 값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 헤드(211)는 상기 조명 커버(141)의 상방 근처까지 전진하게 된다.
도 12에는 상기 가압 헤드(211)가 조금 전진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5에는 상기 가압 헤드(211)가 상기 조명 커버(141)의 상방 근처까지 전진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렇게 상기 가압 헤드(211)가 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싱 유닛(30)의 촬영 영역에 침범하여 상기 센싱 유닛(30)의 감자를 방해하는 상태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투시부(H3)를 통하여 상기 마크(M1, M2, M3, M4)들과 투시부(H1, H2, H3)들, 전기 리드(L1, L2)의 상대 위치나 자세를 상기 센싱 유닛(30)이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센싱 유닛(30)에 의하여 획득된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의 상대 위치나 자세가 목표하는 값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압 헤드(211)는 Z방향을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을 동시에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이 전기적으로 정확하게 연결되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CD 패널(S)의 불량 검사가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LCD 패널(S)의 불량 검사가 완료되면, 상기 가압 헤드(211)는 상승하고, 상기 이송 유닛(60)에 의하여 상기 제1 부품(P1) 및 제2 부품(P2)는 서로 분리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대량의 LCD 패널(S)에 대한 불량 검사가 신속하게 자동으로 수행된다.
상술한 구성의 부품 정렬 장치(100)는,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의 위치나 자세를 상대적으로 정렬하는 부품 정렬 장치로서,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이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 중 적어도 하나를 가공할 수 있는 가공 유닛(20);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자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 유닛(30);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크(M1, M2); 상기 제1 부품(P1)과 상기 제2 부품(P2) 중 적어도 하나를 이송함으로써,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의 상대 위치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 유닛(60);을 포함하며, 상기 마크(M1, M2)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센싱 유닛(30)이 감지할 수 있도록, 빛이 상기 가공 유닛(20)을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3 투시부(H3)가 상기 가공 유닛(2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 헤드(211)가 상기 조명 커버(141)의 상방 근처까지 전진하여 상기 센싱 유닛(30)의 촬영 영역에 침범한 상태에서도, 상기 센싱 유닛(30)이 상기 제3 투시부(H3)를 통하여 상기 마크(M1, M2, M3, M4)들과 투시부(H1, H2, H3)들, 전기 리드(L1, L2)의 상대 위치나 자세를 실시간으로 계속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부품 정렬 장치(100)는, 상기 가공 유닛(20)에 형성된 상기 투시부(H3)가,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저렴하고 간단한 공정으로 상기 제3 투시부(H3)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부품 정렬 장치(100)는, 상기 제1 부품(P1)과 상기 제2 부품(P2) 중 적어도 하나에, 빛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시부(H1, H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부품(P1) 및 상기 제2 부품(P2)이 겹쳐진 상태에서도 상기 제2 마크(M2)를 상기 센싱 유닛(30)이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1 부품(P1) 및 제2 부품(P2)가 겹쳐진 상태에서도 상기 제4 마크(M4)를 상기 센싱 유닛(30)이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바닥 부재(14), 상기 가압 헤드(211), 상기 제1 부품(P1) 및 제2 부품(P2) 서로간의 상대 위치나 자세를 상기 센싱 유닛(30)이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부품 정렬 장치(100)는, 상기 제1 부품(P1)과 상기 제2 부품(P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상기 투시부(H1, H2)는,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저렴하고 간단한 공정으로 상기 투시부(H1, H2)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부품 정렬 장치(100)는, 상기 본체(10)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마크(M3);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 유닛(30)은 상기 제3 마크(M3)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 헤드(211) 등의 상대 위치나 자세를 상기 센싱 유닛(30)이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부품 정렬 장치(100)는, 상기 이송 유닛(60)이, 상기 본체(10)를 X방향, Y방향, Z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부품(P1) 및 제2 부품(P2)의 상대 위치나 자세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부품 정렬 장치(100)는, 상기 가공 유닛(20)이,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 헤드(211); 상기 가압 헤드(211)를 Y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는 제1 헤드 이송 유닛(22); 상기 가압 헤드(211)를 Z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는 제2 헤드 이송 유닛(23);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 헤드(211)는 상기 Z방향을 따라 하강함으로써,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을 가압할 수 있으므로, LCD 패널(S)의 불량 검사와 같이 2개의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신속히 연결하는 작업에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부품 정렬 장치(100)는, 상기 센싱 유닛(30)이,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자세를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촬영부(31)를 포함하므로, 상기 제1 부품(P1)과 제2 부품(P2)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자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부품 정렬 장치(100)는, 상기 제1 부품(P1)이 다수 개의 제1 전기 리드(L1)가 형성된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품(P2)이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제1 전기 리드(L1)에 대응하는 제2 전기 리드(L2)가 형성된 경성회로기판을 포함하므로,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부차된 전자 기기의 불량 검사에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착 부재 승강 장치(43)에 의하여 상기 밀착 부재(41)가 상하로 승강하고 있으나, 상기 밀착 부재(41)의 하강은 상기 송풍 유닛(50)에 의한 공기력에 의하여 수행되고 상기 밀착 부재(41)의 상승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탄성 부재(46)에 의하여 수행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기 본체(10)를 X방향, Y방향, Z방향을 따라 3축 이송할 수 있는 상기 이송 유닛(60)만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LCD 패널(S) 및 제1 부품(P1)을 X방향, Y방향, Z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송할 수 있는 또 다른 이송 유닛(70)이 상기 이송 유닛(60)을 대체하거나 상기 이송 유닛(60)에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분사구(411) 및 제2 분사구(51)은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슬롯 형태, 그물망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부품 정렬 장치
10: 본체
11: 하부 본체
12: 상부 본체
13: 측면 부재
14: 바닥 부재
20: 가공 유닛
21: 가압 헤드 본체
22: 제1 헤드 이송 유닛
23: 제2 헤드 이송 유닛
24: 수평 조절 장치
25: 직진 조절 장치
26: 전후 위치 조절 장치
27: 전후 위치 표시 장치
30: 센싱 유닛
31: 촬영부
32: 프리즘부
33: 광입구
40: 밀착 유닛
41: 밀착 부재
42: 가이드 부재
43: 밀착 부재 승강 장치
44: 피스톤 부재
45: 실린더 부재
50: 송풍 유닛
51: 제2 분사구
52: 분사 헤드
53: 본체
46: 탄성 부재
60: 이송 유닛
70: 이송 유닛
141: 조명 커버
142: 진공 흡착 유닛
143: 위치 고정 돌기
144: 위치 고정 구멍
211: 가압 헤드
212: 마크 표시 부재
221: 제1 실린더
222: 제1 가이드
231: 제2 실린더
232: 제2 가이드
241: 중심축
242: 제1 나사
243: 제2 나사
251: 제3 나사
252: 제4 나사
261: 조절 손잡이
411: 제1 분사구
412: 기체 수용실
413: 기체 통과공
441: 중공
H1, H2, H3: 투시부
M1, M2, M3, M4: 마크
L1, L2: 전기 리드
M1: 제1 마크
P1: 제1 부품
P2: 제2 부품

Claims (9)

  1.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위치나 자세를 상대적으로 정렬하는 부품 정렬 장치로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이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를 가공할 수 있는 가공 유닛;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자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 유닛;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며, 상기 센싱 유닛이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크;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송함으로써,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상대 위치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가공 유닛은,
    상기 센싱 유닛이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크가 표시된 마크 표시 부재; 상기 마크 표시 부재를 Y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는 제1 헤드 이송 유닛; 상기 마크 표시 부재를 Z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는 제2 헤드 이송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마크 표시 부재는, 상기 센싱 유닛이 상기 마크 표시 부재에 표시된 상기 마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센싱 유닛과 상기 제1 부품 및 제2 부품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정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센싱 유닛이 감지할 수 있도록, 빛이 상기 가공 유닛을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투시부가 상기 가공 유닛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공 유닛에 형성된 상기 투시부는,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정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는, 빛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정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상기 투시부는,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정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크;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본체에 표시된 상기 마크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정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본체를 X방향, Y방향, Z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정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유닛은,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헤드 이송 유닛은 상기 가압 헤드를 Y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헤드 이송 유닛은 상기 가압 헤드를 Z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 헤드는 상기 Z방향을 따라 하강함으로써,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을 가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정렬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제1 부품과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자세를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정렬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은, 다수 개의 제1 전기 리드가 형성된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제1 전기 리드에 대응하는 제2 전기 리드가 형성된 경성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정렬 장치
KR1020180167957A 2018-12-21 2018-12-21 부품 정렬 장치 KR102118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957A KR102118417B1 (ko) 2018-12-21 2018-12-21 부품 정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957A KR102118417B1 (ko) 2018-12-21 2018-12-21 부품 정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417B1 true KR102118417B1 (ko) 2020-06-03

Family

ID=7108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957A KR102118417B1 (ko) 2018-12-21 2018-12-21 부품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4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513A (ko) * 2011-11-22 2013-05-30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
KR20160135950A (ko) * 2015-05-19 2016-11-29 세광테크 주식회사 고속 고정밀 본딩 로봇장치
KR101753685B1 (ko) * 2016-02-19 2017-07-04 스템코 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513A (ko) * 2011-11-22 2013-05-30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
KR20160135950A (ko) * 2015-05-19 2016-11-29 세광테크 주식회사 고속 고정밀 본딩 로봇장치
KR101753685B1 (ko) * 2016-02-19 2017-07-04 스템코 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418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CN204101689U (zh) 一种fpc的检测设备
KR100538796B1 (ko) 액정표시장치의 기판 모듈 검사장치
JP6406871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TWI403739B (zh) 面板檢測裝置及方法
US2013018591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ructur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tructure
CN110077002B (zh) 一种贴膜辅助检测对位方法
JP2013222771A (ja) 把持ノズル及び電子部品実装装置
JP2020193902A (ja) 電子部品搬送装置、判断方法、および電子部品検査装置
KR102118417B1 (ko) 부품 정렬 장치
KR20180067061A (ko)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
TWM627057U (zh) 水滴角量測機
JP6351486B2 (ja) 電子部品搬送ノズル及びこれを有する電子部品実装装置
US10766142B2 (en)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WI661190B (zh) 面板點燈檢查裝置
CN207882343U (zh) 屏幕电容电阻测试装置
JP6767625B2 (ja) 部品搭載装置
CN208984909U (zh) 一种对组压接装置
CN108029241B (zh) 插入元件定位检查方法及装置、插入元件安装方法及装置
CN210234049U (zh) 一种贴膜辅助检测对位装置
JP6457245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CN207965413U (zh) 一种检测快速的柔性液晶显示光学监测装置
KR101534766B1 (ko) 회로기판에 도광판을 부착시키는 조립장치
JP2003142891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2661266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と透明基板の回路位置合せ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