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410B1 -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 - Google Patents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410B1
KR102118410B1 KR1020180055735A KR20180055735A KR102118410B1 KR 102118410 B1 KR102118410 B1 KR 102118410B1 KR 1020180055735 A KR1020180055735 A KR 1020180055735A KR 20180055735 A KR20180055735 A KR 20180055735A KR 102118410 B1 KR102118410 B1 KR 102118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ing
grounding
ground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186A (ko
Inventor
조홍석
김옥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55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41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접지동봉의 매설 단부에 결합되어 접지동봉의 매설 시 지반과의 저항을 최소화하고, 접지동봉이 부러지는 등의 시공불량을 예방할 수 있는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Easy guide for ground rods}
본 발명은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접지동봉의 매설 단부에 결합되어 접지동봉의 매설 시 지반과의 저항을 최소화하고, 접지동봉이 부러지는 등의 시공불량을 예방할 수 있는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에는 다양한 전기 및 통신 장치 등이 함께 고정 설치되며, 낙뢰를 대비한 다양한 형태의 안전장치 등도 함께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낙뢰에 대한 대비책으로 여러 방호기기들이 설치되는데, 대표적으로는 전선로 보다 더 높이 접지된 전선을 하나 더 설치하는 가공지선이 있으며, 전선로에 낙뢰가 맞았을 경우 이상전압을 대지로 방출시키는 피뢰기가 있고, 전주나 건물 위에 설치된 피뢰침 등이 대표적인 피뢰설비들이다.
특히, 상기 낙뢰용 방호기기 등은 지중 매설된 접지봉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가공지선이나 피뢰기에 낙뢰가 떨어지는 경우 전주를 따라 형성되는 접지선을 통해 지중 매설 상태의 접지봉으로 전달하게 되므로 낙뢰에 의한 선로 및 주변 가옥이나 사람의 피해를 최소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접지봉을 이용한 접지 시공방법은, 통상적으로 전주를 세워 설치한 상태에서 전주로부터 늘어진 상태의 접지선을 지중 매설된 접지봉에 연결하여 마감하는 것으로 완료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접지동봉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접지봉은 일반적으로 동으로 도금된 가늘고 긴 막대 형상으로, 지중 매설 시 항타 장치에 의해 단부가 타격되어 항타되면서 매설된다.
이때, 상기 접지봉과 지반 사이에 저항력이 증가하게 되어 상기 접지봉이 구부러지는 등의 시공 불량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자재비 및 노무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120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접지동봉의 양단 중 지중에 먼저 매설되는 단부에 화살 형상의 이지 가이드를 장착하여, 접지봉의 지중 매설 시 지반과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부러짐 등의 시공불량을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지 가이드를 사용하여 시공 시 표면적 증대로 인하여 접지 저항값을 저감하는데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에 있어서,
일단부가 항타되어 타단부가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동봉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접지동봉의 지중 매설 시 저항력을 저감시키고, 상기 접지동봉의 타단부가 내측에 일정 길이 삽입되도록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되어 있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타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의 타단부에는 일정 길이 부분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줄어드는 쐐기 형상의 쐐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쐐기부의 외측 둘레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의 날개부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날개부는, 일측은 직선으로 연장되며, 타측은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날개부의 단부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날개부의 타측에는, 상기 삽입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부분에 형성되는 제1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부분에서 상기 일측을 향하여 일정 각도 절곡되는 제2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상기 날개부는 일측이 서로 맞닿아 지중에 매설되는 상기 접지동봉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화살촉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상기 날개부의 개수는 짝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상기 날개부의 개수는 2개, 4개 및 6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날개부는 삽입부의 타단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1절곡부로부터 제2절곡부까지의 날개부 타측의 경사 각도 보다 삽입부로부터 제1절곡부까지의 날개부 타측의 경사 각도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날개부는 일측이 서로 맞닿아 화살촉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날개부에서,
삽입부로부터 제1절곡부까지의 길이와 제1절곡부로부터 날개부 단부까지의 길이 비율은 1.2:0.8 또는 0.8: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부와 삽입부의 재료는 주철이며, 구리로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지동봉의 매설 시 가이드부의 단부부터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지동봉의 지중 매설 시 지반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접지동봉이 부러지는 등의 시공 불량을 예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 불량 예방에 따라 자재비 및 노무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지 가이드를 사용하여 시공 시 표면적 증대로 인하여 접지 저항값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접지동봉.
도 2는 본 발명의 이지 가이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지 가이드의 설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지 가이드가 장착된 접지동봉.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접지동봉의 매설 단부에 결합되어 접지동봉의 매설 시 지반과의 저항을 최소화하고, 접지동봉이 부러지는 등의 시공불량을 예방할 수 있는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에 관한 발명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이지 가이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이지 가이드의 설계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지 가이드는 일단부가 항타되어 타단부가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동봉(2)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접지동봉(2)의 타단부가 내측에 일정 길이 삽입되도록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되어 있는 삽입부(4)와, 상기 삽입부(4)의 타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는 가이드부(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4)는 상기 접지동봉(2)의 타단부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지동봉(2)은 상기 삽입부(4)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삽입된다.
상기 삽입부(4)의 타단부에는 일정 길이 부분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줄어드는 쐐기 형상의 쐐기부(6)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8)는 상기 쐐기부(6)의 외측 둘레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의 날개부(10)로 구성된다.
상기 날개부(10)는 상기 삽입부(4)의 타단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플레이트 형상인 것으로, 상기 날개부(10)의 일측은 직선으로 연장되며, 타측은 상기 삽입부(4)로부터 상기 날개부(10)의 단부를 향하여 갈수록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상기 날개부(10)의 타측에는, 상기 삽입부(4)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부분에 형성되는 제1절곡부(12)와, 상기 제1절곡부(12)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부분에서 상기 날개부(10)의 일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2절곡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절곡부(12)로부터 상기 제2절곡부(14)까지의 상기 날개부(10) 타측의 경사 각도 보다 상기 삽입부(4)로부터 상기 제1절곡부(12)까지의 상기 날개부(10) 타측의 경사 각도가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절곡부(12)로부터 상기 제2절곡부(14)까지의 상기 날개부(10) 타측의 경사 각도 보다 상기 제2절곡부(14)로부터 상기 날개부(10)의 단부까지의 상기 날개부(10) 타측의 경사 각도가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날개부(10)에서 상기 삽입부(4)로부터 상기 제1절곡부(12)까지의 길이와 상기 제1절곡부(12)로부터 상기 날개부(10) 단부까지의 길이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1로 구성되지만 1.2:0.8 또는 0.8:1.2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하나의 상기 가이드부(8)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상기 날개부(10)는 일측이 서로 맞닿아 화살촉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하나의 상기 가이드부(7)를 구성하는 상기 날개부(10)의 개수는 짝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2개, 4개 또는 6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이지 가이드가 장착된 접지동봉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접지동봉(2)의 지중 매설 시 상기 가이드부(8)의 단부부터 매설된다.
화살촉 형태의 상기 이지 가이드의 형상에 의해 상기 접지동봉(2)의 표면적이 증가되어 지중 매설 시 지반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접지동봉(2)이 부러지는 등의 시공 불량을 예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적 증대로 인해 접지 저항값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 접지동봉
4 : 삽입부
6 : 쐐기부
8 : 가이드부
10 : 날개부
12 : 제1절곡부
14 : 제2절곡부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일단부가 항타되어 타단부가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동봉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접지동봉의 지중 매설 시 저항력을 저감시키고,
    상기 접지동봉의 타단부가 내측에 일정 길이 삽입되도록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되어 있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타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의 타단부에는 일정 길이 부분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줄어드는 쐐기 형상의 쐐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쐐기부의 외측 둘레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의 날개부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날개부는, 일측은 직선으로 연장되며, 타측은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날개부의 단부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날개부의 타측에는, 상기 삽입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부분에 형성되는 제1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부분에서 상기 일측을 향하여 일정 각도 절곡되는 제2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상기 날개부는 일측이 서로 맞닿아 지중에 매설되는 상기 접지동봉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화살촉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상기 날개부의 개수는 짝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상기 날개부의 개수는 2개, 4개 및 6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삽입부의 타단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
  13. 삭제
  14. 삭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상기 제2절곡부까지의 상기 날개부 타측의 경사 각도 보다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제1절곡부까지의 상기 날개부 타측의 경사 각도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상기 날개부는 일측이 서로 맞닿아 화살촉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에서,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제1절곡부까지의 길이와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상기 날개부 단부까지의 길이 비율은 1.2:0.8 또는 0.8: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삽입부의 재료는 주철이며, 구리로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동봉의 매설 시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부터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
  20. 삭제
KR1020180055735A 2018-05-16 2018-05-16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 KR102118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735A KR102118410B1 (ko) 2018-05-16 2018-05-16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735A KR102118410B1 (ko) 2018-05-16 2018-05-16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186A KR20190131186A (ko) 2019-11-26
KR102118410B1 true KR102118410B1 (ko) 2020-06-04

Family

ID=68731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735A KR102118410B1 (ko) 2018-05-16 2018-05-16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4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201B1 (ko) * 2012-04-17 2013-04-08 이수규 연결식 접지동봉의 결합구조
CN203631749U (zh) * 2013-12-30 2014-06-04 苏州市南方欣达双金属材料有限公司 一种铜包铝接地棒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201B1 (ko) * 2012-04-17 2013-04-08 이수규 연결식 접지동봉의 결합구조
CN203631749U (zh) * 2013-12-30 2014-06-04 苏州市南方欣达双金属材料有限公司 一种铜包铝接地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186A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2315A (ko) 심타용 접지봉 장치
TWI398063B (zh) 避雷器
JP6856248B2 (ja) 落雷抑制型避雷装置
KR102118410B1 (ko) 접지동봉용 이지 가이드
KR102019708B1 (ko) 구조가 개선된 접지장치
CN103414144A (zh) 一种山区特高压交流双回线路的防雷系统
KR100725268B1 (ko) 접지수단을 구비한 콘크리트 전주
US2825752A (en) Insulator
KR101317460B1 (ko) 공간전하 다중 방출형 피뢰장치
KR20210023517A (ko) 고전압 전선 방호관
KR200343950Y1 (ko) 배전 선로의 접지 장치
KR200201454Y1 (ko) 이온전기를 증폭시켜 낙뢰를 유도하는 피뢰침
KR200460855Y1 (ko) 폴리머 현수애자
KR200406263Y1 (ko) 심타용 접지봉의 리드단자 구조
CN205960230U (zh) 一种柔性石墨防雷接地体引下线
CN110534265A (zh) 一种串接式反冲灭弧绝缘子
KR100866933B1 (ko) 나선 스크류가 형성된 기초부를 갖는 접지봉
US1744353A (en) Support for transmission lines
CN104734102A (zh) 交流输电线路铁塔
US2535423A (en) Excess voltage cutout for lowvoltage systems
KR101515332B1 (ko) 서지저감방사링 장착 접지봉.
CN212033265U (zh) 防盗好的电力接地桩
KR200167231Y1 (ko) 접지봉
KR20150139653A (ko) 직류송전 방식 철탑
KR20150037361A (ko) 피뢰기 일체형 애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