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831B1 - 인클로저 조립체 - Google Patents

인클로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831B1
KR102117831B1 KR1020150101606A KR20150101606A KR102117831B1 KR 102117831 B1 KR102117831 B1 KR 102117831B1 KR 1020150101606 A KR1020150101606 A KR 1020150101606A KR 20150101606 A KR20150101606 A KR 20150101606A KR 102117831 B1 KR102117831 B1 KR 102117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mating
enclosure assembly
sub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0362A (ko
Inventor
알베르트 피이터 얀 무이
로날드 니코 아드리안 다아멘
프레디 장 필립 덴다스
테케 드리프호우트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비티 네덜란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비티 네덜란드 비.브이.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비티 네덜란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60010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8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ferrules, branching and break-out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2Cap coupling boxes
    • G02B6/4444Se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8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 G02B6/382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with axial spring biasing or loa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01R13/582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the means comprising additional parts captured between housing parts and c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ontaining optical and electrical condu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1Bayonet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5Casing or ring with bayonet engag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커넥터(201)를 수용하기 위한 다양한 깊이의 위치(100)들에 장착하기 위한 인클로저 조립체(100l 1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커넥터는 인클로저 조립체(100, 10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된 두 개 이상의 상이한 유지 위치(Emin, Emax)들에서 데이터 및/또는 전력 전송 라인(301)을 종결하며, 하나 이상의 하우징 하위-조립체(120) 및 유지 위치(Emin, Emax)를 제공하는 유지 섹션(106)을 구비한 신축성 하위-조립체(121)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 위치에서 적어도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유지된 상태(K)에서, 신축성 서브-조립체(121)는 적어도 하우징 서브-조립체(120)에 대해 길이 방향(X)으로 이동가능하지 않은 방식으로 하우징 하위-조립체(120) 내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인클로저 조립체 {ENCLOSURE ASSEMBLY}
본 발명은 다양한 깊이 위치들에 장착하기 위한 그리고 데이터 및/또는 동력 전송 선로(transmission line)의 종단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인클로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인클로저 조립체들은 충격, 응력, 부식 물질들, 화학약품 및/또는 태양 노출과 같은 유해 환경 영향들에 대해 커넥터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유형의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커넥터들을 수용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전송 선로는 하나 이상의 전송 선로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일부일 수 있다. 케이블은 하나 이상의 전송 선로가 케이블을 빠져나가는 케이블의 단부 섹션에 위치될 고정 장치 또는 단부 캡을 포함할 수 있는 종단 장치(terminating arrangment) 또는 보조-조립체(sub-assembly)에 의해 종결될 수 있다. 고정 장치는 인클로저 조립체 내에 커넥터 및/또는 전송 선로를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은 광섬유 케이블일 수 있으며 전송 선로는 광섬유일 수 있다. 광섬유들은 여러 개의 개별 섬유들 갖춘 섬유 요소를 포함하는 유닛들일 수 있다. 섬유들은 여러 섬유들을 포함하는 번들(bundle)들로 묶일 수 있다. 그와 같은 하나의 번들 또는 여러 개의 번들들이 케이블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섬유들 자체가 다소 길고 얇으며 따라서 예를 들면, 스냅핑(snapping) 또는 크랙킹(cracking)에 의해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섬유들 자체에 작용할 수 있는 임의의 응력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변형 경감(strain relief)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커넥터와 함께 인클로저 조립체는 각각의 정합(mating) 플러그 커넥터와 정합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및/또는 광학 플러그 커넥터로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정합 플러그 커넥터는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 및/또는 정합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 조립체는 커넥터를 정합 커넥터에 또는 이와는 반대로 플러그 결합되는 동시에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와 정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합 커넥터는 예를 들어, 전자/전기 설비용 하우징의 일부 일 수 있으며 이러한 하우징에 또는 하우징 내에 격벽(bulkhead)을 형성할 수 있다. 인클로저 조립체의 길이 방향 및/또는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방향을 따라서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 내에 또는 정합 인클로저에 대해 특히, 정합 커넥터를 위치시키기 위한 정합 플러그 커넥터의 치수들은 제작자마다 및/또는 용례마다 변화될 수 있다.
인클로저 조립체들의 요건들 그리고 정합 플러그 커넥터들 및/또는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들의 변형을 고려하여, 상이한 유형들의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들 및 정합 플러그 커넥터들에 사용될 수 있는 튼튼하고 안전하고 밀봉가능하며 취급이 용이한 인클로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클로저 조립체가 인클로저 조립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는 두 개 이상의 상이한 유지 위치들에서 데이터 및/또는 포트 및/또는 동력 전송 선로의 종단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하우징 보조-조립체 및 유지 위치들을 제공하는 유지 섹션을 갖춘 절첩식 보조-조립체를 포함하며, 적어도 인클로저 조립체의 유지 상태 및/또는 완전 조립 상태에서 절첩식 보조-조립체가 하우징 보조-조립체에 대해서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이동 불가능한 방식으로 하우징 보조-조립체 내부에 유지되는 본 발명에 따라서 달성된다.
이러한 해결책은 인클로저 조립체에 대해 커넥터 및/또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보조-조립체의 위치가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 및/또는 정합 커넥터에 가깝게 적응될 수 있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인클로저 조립체들에 비해서 결정적인 장점을 가진다. 환언하면, 인클로저 조립체 및 종단 조립체(terminating assembly)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는 두 개 이상의 유지 위치들 중의 하나의 유지 위치를 선택하는 정합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러므로, 커넥터는 두 개 이상의 유지 위치들에 따른 하우징 보조-조립체 및/또는 절첩식 보조-조립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내부 공간에 가변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내부 공간 내의 커넥터의 위치는 커넥터를 정합 커넥터에 연결하는 것을 허용하는 동시에, 인클로저 조립체가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와 결합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해결책은 본 발명의 다음의 유리한 실시예들 중의 임의의 하나와 임의의 방식으로 각각 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클로저 조립체가 상이한 유형의 정합 플러그 커넥터들, 즉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들 및 정합 커넥터들에 가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면 유리하다.
또한, 인클로저 조립체가 차폐 요소에 의한 차폐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가능한 추가의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유지 섹션은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다중 유지 위치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중 유지 위치들은 각각 최대 확장 위치와 최소 확장 위치일 수 있는 두 개 이상의 유지 위치들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그에 의해서, 인클로저 조립체에 대한 커넥터의 위치는 다중의 상이한 정합 커넥터들 및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들에 대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유지 위치들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증분 하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인클로저 조립체가 최대 또는 최소로 확장될 수 있는 증분 범위는 하우징 보조-조립체 내에 절첩식 보조-조립체를 단단히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동시에, 증가된 유지 위치들 중의 하나의 위치를 추정하게 하는 촉감 및/또는 가청 피드백을 제공한다.
유지 위치들은 절첩식 보조-조립체의 외주를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두 개 이상의 리브들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리브들은 절첩식 보조-조립체의 외주를 따라서, 예를 들어 홈들 사이에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첩식 보조-조립체가 바람직한 유지 위치 내에 단단히 유지될 수 있도록 각각의 톱니과 맞물리게 될 수 있는 톱니를 제공할 수 있다.
차폐 요소는 하우징 보조-조립체의 일부 일 수 있다. 인클로저 조립체의 미유지 상태 및/또는 예비 조립 상태에서, 절첩식 보조-조립체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하우징 보조-조립체 내에 이동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에 의해서, 하우징 보조-조립체 내의 절첩식(telescoping) 보조-조립체의 위치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케이블 상의 커넥터 및/또는 고정 장치는 커넥터 및/또는 고정 장치와 함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바람직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절첩식 보조-조립체에 지지될 수 있다.
유지 섹션은 절첩식 보조-조립체의 리테이너 부싱(bushing)에 형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 부싱은 슬리브에 성형되며 인클로저 조립체의 내부 공간의 적어도 부분들을 제공할 수 있다. 리테이너 부싱은 하나 이상의 전송 선로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단부 섹션에 안착되는 종단 조립체의 고정 장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장치는 리테이너 부싱에 및/또는 리테이너 부싱 내에 먼저 지지될 수 있으며, 그 후에 하우징 보조-조립체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절첩식 보조-조립체는 적어도 유지 상태 및/또는 완전 조립 상태로 유지 섹션과 상호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서 스프링 리테이너와 리테이너 부싱의 서로에 대한 이동이 적어도 길이 방향을 따라 방지된다. 스프링 리테이너는 유지 섹션의 유지 요소들과 상호작용하여, 이들이 예를 들어, 리테이너 부싱에 대한 스프링 리테이너의 이동들을 방지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배치되게 하는 상대 유지 요소들을 제공할 수 있다. 스프링 리테이너는 완전 조립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및/또는 길이 방향의 반대로 하우징 보조-조립체에 지지될 수 있다. 그에 의해서, 스프링 리테이너는 적어도 유지 상태 및/또는 완전 조립 상태로 하우징 보조-조립체 내에 절첩식 보조-조립체를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리테이너 부싱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이는 길이 방향으로 및/또는 길이 방향의 반대로 스프링 리테이너를 통해 하우징 보조-조립체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 요소는 하우징 보조-조립체에 의해 또는 하우징 보조-조립체에서 스프링 리테이너를 각각 래치, 잠금 및/또는 차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유지 상태 및/또는 완전 조립 상태에서, 스프링 리테이너는 하우징 보조-조립체에 형성된 가동 섹션에 의해 스프링 리테이너의 가동 기관에 유지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가동 기관은 개구를 래칭 내에 안착시키고 잠그거나/잠그고 차단하는 돌기, 예를 들어 스터드, 러그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있거나 예를 들어, 유지 위치의 내측으로 하우징 보조-조립체의 내측 원주에서 베벨을 따라 이동될 때 유지 위치로 가압된다. 유지 위치 및/또는 유지 상태는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양만큼 하우징 보조-조립체에 대해 절첩식 보조-조립체를 변위시킬 때, 특히 예비-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및/또는 예비 조립 상태로부터 완전 조립 상태로 인클로저 조립체를 이송시킬 때 미리-정해진 양만큼 스프링 리테이너에 대해 하우징 보조-조립체를 변위시킴으로써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기초로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무관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보조-조립체가 내부 본체, 적어도 인클로저 조립체의 완전 조립 상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 본체를 취하는 외부 셀, 및 적어도 완전 조립 상태에서 내부 본체를 외부 셀에 연결하는 잠금 기구를 포함하며, 여기서 잠금 기구가 내부 본체뿐만 아니라 외부 셀에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인클로저 조립체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완전 조립 상태에서 외부 셀에 대한 내부 본체의 이동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베이어닛 커플링(bayonet coupling)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상기 문제점이 대안적으로 및/또는 부가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 1 베이어닛 커플링은 본질적으로 길이 방향에 횡단 방향으로 서로에 대한 내부 본체와 외부 셀의 이동을 요구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서 절첩식 보조-조립체, 특히 리테이너 부싱에 대한 하우징 보조-조립체의 상당한 이동 없이 하우징 보조-조립체를 완전 조립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스프링 리테이너는 베이어닛 커플링을 작동시킴으로써 하우징 보조-조립체를 예비-잠금 상태로부터 잠금된 상태로 유도할 때 유지 위치로 동시에 이송될 수 있다. 베이어닛 커플링은 두 개 이상의 바람직한 유지 위치들 중 바람직한 하나의 위치가 고정될 때 미유지 상태로부터 유지 상태로 인클로저 조립체, 특히 스프링 리테이너 및/또는 리테이너 부싱, 즉 절첩식 보조-조립체에 대한 미리-정해진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베이어닛 커플링은 외부 셀 내에 형성되고 내부 본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1 핀을 취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의해서, 하우징 조립체는 제 1 베이어닛 커플링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잠금 기구는 정합 커넥터를 수용하는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에 인클로저 조립체를 연결하기 위한 제 2 베이어닛 커플링의 일부로서 외부 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기구는 외부 셀을 내부 본체에 그리고 인클로저 조립체를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에 연결하기 위한 이중 잠금 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인클로저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스프링 요소는 제 1 베이어닛 커플링뿐만 아니라 제 2 베이어닛 커플링용 잠금 기구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은 전이 슬롯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슬롯 및/또는 전이 슬롯의 폭은 제 2 슬롯의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그에 의해서,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의 제 2 핀은 제 1 슬롯으로 우연히 진입할 수 없으며, 따라서 이는 제 1 핀용으로 지정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제 2 슬롯은 삽입 개구를 통해서 인클로저 조립체의 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삽입 개구는 제 1 및 제 2 핀 모두를 각각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 내측으로 도입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기초로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전술한 실시예와는 무관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클로저 조립체가 하나 이상의 환형 밀봉 요소를 갖춘 밀봉 보조-조립체, 및 적어도 잠금 위치, 유지 상태 및/또는 완전 조립 상태로 하우징 보조-조립체와 절첩식 보조-조립체 중의 하나 이상과 밀봉 요소 사이에 배열되며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밀봉 요소의 압축에 기여하는 하나 이상의 와셔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문제점이 대안적으로 및/또는 부가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와셔는 하우징 보조-조립체의 선회 운동을 잠글 때, 예를 들어 고무 등과 같은 고 마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밀봉 요소에 대해 하우징 보조-조립체 및/또는 절첩식 보조-조립체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이는 하우징 보조-조립체에 외부 셀을 내부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베이어닛 커플링이 제공된다면 특히 유리하다.
밀봉 보조-조립체는 인클로저 조립체의 중간 축선에 동심으로 추가 배열될 수 있다. 중간 축선은 본질적으로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다. 밀봉 요소는 반경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이는, 길이 방향에 본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할 수 있어 이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및/또는 반경방향의 반대로 하우징 보조-조립체 뿐만 아니라 절첩식 보조-조립체에 접한다. 이는, 밀봉 요소에 대한 밀접한 끼워 맞춤 수용 및 하우징 보조-조립체와 절첩식 보조-조립체 사이의 신뢰가능한 밀봉을 허용한다. 절첩식 보조-조립체의 밀봉 섹션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으며, 본질적으로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측정된, 적어도 유지 섹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절첩식 보조-조립체는 하우징 보조-조립체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들에서 밀봉될 수 있다. 밀봉 섹션은 예컨대, 리테이너 부싱(retainer bushing)에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 및/또는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정합 플러그 요소(mating plug element)는,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클로저 조립체에 함께 플러그결합되고 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에는, 예를 들면 제 2 베이어닛 록(bayonet lock)을 구성하기 위해서 상기 언급된 제 2 핀 중 하나 이상이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 2 핀은, 예컨대,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의 칼라의 외주(outer circumference)로서 형성될 수 있다. 칼라는, 인클로저 조립체의 플러그 부분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의 정합 플러그 섹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이와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예시 목적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그러나, 설명된 실시예들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생략될 수 있는 개별 특징들의 단지 가능한 구성들이다. 도면들에서 예시된 대응 요소들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들이 제공된다. 상이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요소들과 관련한 일부 설명들이 생략된다.
도 1은 엔클로져 조립체의 완전 조립 상태에서 전송 선로를 종단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수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인클로저 조립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조립체의 일부로서 리테이너 부싱이 제공되는, 케이블 및/또는 전송 선로를 위한 종단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테이너 부싱이 제공된 종단 장치, 케이블 및 전송 선로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클로저 조립체의 보조-조립체의 일부로서 차폐 요소(shielding element), 밀봉 보조-조립체 및 스프링 리테이너를 갖는 하우징 보조-조립체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인클로저 조립체의 중간 축선을 따라 미유지 상태(unretained state) 및/또는 예비 조립 상태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인클로저 조립체 및 종단 조립체의 상세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완전 유지 및/또는 조립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인클로저 조립체 및 종단 조립체의 상세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중간 축선을 따라 최소로 확장된 유지 위치에서 완전 조립 상태의 인클로저 조립체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8은 중간 축선을 따라 최대로 확장된 유지 위치에서 완전 조립된 위치의 인클로저 조립체 및 종단 조립체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의 다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1은 예비 정합 위치에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에 완전 조립 및 예비 잠금 위치에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인클로저 조립체의 상세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2는 절반이 정합된 위치에 도시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에 완전 조립 및 예비 잠금 위치에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인클로저 조립체의 다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3은 잠금된 위치 및 완전 정합된 위치에서 뿐만 아니라 완전 조립 상태에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의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인클로저 조립체의 잠금 기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서 작은 변형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인클로저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보조-조립체의 일부로서 차폐 요소, 밀봉 보조-조립체 및 스프링 리테이너를 갖는 하우징 보조-조립체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일 실시예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1)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인클로저 조립체(100)는 완전 조립 상태(C)에 있으며, 데이터 및/또는 전력 전송을 위해서 케이블(300) 종단을 이루는 종단 장치(200)를 둘러싼다. 플러그 커넥터(1), 인클로저 조립체(100), 종단 장치(200) 및 케이블(300)의 길이 방향 축선(S)은, 상기 구성요소들의 길이 방향(X)을 따라서 그를 통해 중심에 이어지며, 또한 축 방향(S)을 규정하는 중심 축선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길이 방향(X)은 횡단 방향(Y)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하게 이어진다. 길이 방향(X) 및 횡단 방향(Y) 양자 모두는, 높이 또는 수직 방향(Z)에 수직으로 이어진다. 길이 방향(X), 횡단 방향(Y) 및 높이 방향(Z)은 함께, 플러그 커넥터(1) 및 그의 구성요소들, 즉, 인클로저 조립체(100), 종단 장치(200) 및 케이블(300)을 언급하는 직교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 system)를 구성한다. 길이 방향(X) 그리고 이에 따라 또한 길이 방향 축선(S)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플러그 방향(P)에서, 플러그 커넥터(1)는, 정합 플러그 커넥터(2)에 의해 정합, 즉 함께 플러그 결합될 수 있다 (도 7 내지 13 참조). "후방(rear)" 또는 "이후(back)"에 대한 모든 언급들은, 길이 방향들에 대향되게 향하는 방향을 말하는 것일 수 있다. "전방(front)" 또는 "이전(before)"에 대한 모든 언급들은, 길이 방향(x)을 향하는 방향을 말하는 것일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는 정합 커넥터(2, 2')의 정합 플러그 면(4, 4')들의 상이한 실시예들에 구성될 수 있는 플러그 면(3, 3')을 제공할 수 있다. 정합 커넥터(2, 2')는 또한 송수신기를 갖는 케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면(3, 3')은 플러그 방향(P)으로 향하는 종단 조립체(200) 및 인클로저 조립체(100)에 의해 제공되는 구조로서 간주될 수 있다. 정합 플러그 면(4, 4')은 정합 커넥터(2, 2')의 구조로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는,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및/또는 상이하게 위치 설정된 정합 커넥터들(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면(3, 3')은 플러그로서 형성될 수 있는 플러그 부분(5, 5')의 일 부분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정합 플러그 면(4, 4')은 리셉터클로서 형성될 수 있는 정합 플러그 부분(6, 6')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도 7 내지 13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해결책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커넥터들의 다중 유형들로 인해서, 플러그 및 리셉터클의 제공은 또한 역으로 될 수 있다.
도 2는 플러그 커넥터(1)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여기서,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부분들은, 커넥터(1) 특히 인클로저 조립체(100)가 예비 조립 상태(B)로 예시되도록 제거되어 있다. 인클로저 조립체(100)는 플러그 커넥터(1)를 조립할 때, 케이블(300)의 외주 둘레에 먼저 배치되어야 하는, 변형 경감 요소(101)를 포함한다. 변형 경감 요소(101)는 가요성 섹션(102)을 가지며, 여기서, 그의 외경은, 베어 케이블(bare cable; 300)을 향하여 길이 방향(X)의 반대로 테이퍼져서, 변형 경감 요소(101)가 내부에 유지되는 케이블(300)과 함께 가요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요성 섹션(102)은 변형 경감 요소의 유지 섹션(103)과 병합되며, 여기서 이는 본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유지 섹션(103)에서, 변형 경감 요소(101)는,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리테이너 부싱(104), 특히 그의 밀봉 섹션(105)에 연결되며, 이는 본질적으로 변형 경감 요소(101)의 유지 섹션(103)과 같은 외경을 갖는다. 길이 방향(X)을 따라 밀봉 섹션(105) 다음에서, 리테이너 부싱(104)에는 리테이너 부싱(104)을 보유하는 유지 섹션(106)이 제공되어, 종단 장치(200) 및/또는 케이블(300)에 대해서 길이 방향(X)을 따라 그의 이동이 방지된다. 리테이너 부싱(104)은 적어도 종단 장치(200)의 섹션들을 수용하는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내부 공간(107)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한다. 종단 장치(200)는 예컨대, 본원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데이터 전송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서 LC-유형 커넥터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포함한다. 특히, 종단 장치(200)는 2 개의 커넥터(201)들을 포함하며, 이는 안내 서포트(202)에 의해서 양자 모두가 유지된다. 이러한 안내 서포트(202)는 연결의 정합 커넥터 측에서 오프셋 및 허용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서 주로 수직 방향(Z)으로 그리고 플러그 방향(P)에 수직하게 횡단 방향(Y)으로 다소 가요성을 허용한다.
도 3은 미조립 상태(A)의 플러그 커넥터(1)를 도시한다. 여기서, 안내 서포트(202)는 커넥터(201)들 각각, 특히 거기에 연결되는 어댑터 피스 또는 그의 장착 섹션(204)을 위해서 시팅(203)을 함께 제공하는 상부 쉘(202a) 및 하부 쉘(202b)을 포함하는 것이 분명해진다. 안내 서포트(202)의 유지 구조(205) 다음에, 케이블의 전송 선로(301)들을 위한 채널(206)들이 형성된다. 유지 구조(205)는 종단 장치, 특히 고정 부재(208)의 고정장치(207)를 수용하도록 기능한다. 고정장치(207)는 케이블(300)에서 끝이 나며, 그의 클램핑 섹션(209)으로 케이블(300)을 근접하게 에워싼다. 고정장치는, 리테이너 부싱(104) 내에서 고정장치(207)를 지지하기 위한 칼라의 형태로 지지 요소(210)를 더 제공한다. 고정장치(207)의 관통 구멍(211)은, 예컨대, 안내 서포트(202)를 향하여 케이블(300)의 2 개의 전송 선로(301)들을 안내하도록 기능한다. 전송 선로(301)들은 관통 구멍(211)으로부터 고정장치(207)를 나가며, 이는 고정 부재(208)에 동심으로 형성 및 배열되고, 이후에 안내 서포트(202)의 각각의 채널(206) 내에서 느슨하게 안내되어, 각각의 장착 섹션(204)에서 단자(terminal)(201)들에 진입한다. 이에 의해, 안내 서포트(202)는, 고정장치(207), 특히 그의 고정 부재(208)와 커넥터(201)들, 특히 그의 장착 섹션(204)들 각각 사이에 전송 선로(301)들을 위한 변형 경감을 제공한다.
또한 조립 해제된 상태(A)에서, 변형 경감 요소(201)가 리테이너 부싱(104)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도 3에서 자명하게 된다. 변형 경감 요소(101) 및 리테이너 부싱(104) 모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들 각각의 위치들에 비교하여 길이 방향(X)에 대향하여 케이블(300)에서 다시 슬라이딩된다. 리테이너 부싱(104)에 변형 경감 요소(101)를 단단하게 연결하기 위해, 변형 경감 요소(101)에는 외측 나사 가공부(threading)(108)가 제공된다. 따라서, 리테이너 부싱(104)에는 내부 나사 가공부(109)가 제공되며, 이에 의해 이들은 함께 나사 결합될 수 있고 길이 방향(X)으로 그리고 길이 방향에 대향하여 서로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된다.
도 4는 조립체로부터 제거된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도면들에서 도시되지 않은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부품들을 도시한다. 도 4에서, 부품들은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로 도시된다. 인클로저 조립체(100)는 외부 셀(110), 내부 본체(111), 스프링 리테이너(112), 2 개의 와셔(113)들, 밀봉 요소(114), 스프링 요소(115) 및 차폐 요소(116)를 더 포함한다. 외부 본체에는 그 내부 둘레를 따라 연장하는 단차부(117), 뿐만 아니라 밀봉 칼라(118) 및 정면 에지(119)가 제공된다. 외부 셀(110), 내부 본체(111) 및 차폐 요소(116)는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하우징 보조-조립체(120)의 부분을 구성한다. 리테이너 부싱(104) 및 스프링 리테이너(112)는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절첩식 보조-조립체(121)의 부분들을 구성한다. 와셔(113)들 및 밀봉 요소(114)는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밀봉 보조-조립체(122)의 부분들을 구성한다.
외부 셀(110)은 절첩식 보조-조립체(121) 및 밀봉 보조-조립체(122)의 적어도 섹션들을 수용하기 위해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잠금 기구(123) 및 체적부(124)의 부분들을 제공한다. 잠금 기구(123)는 각각 제 1 슬롯(127) 및 제 2 슬롯(128)의 형태로 제 1 베이요닛 커플링(125) 및 제 2 베이요닛 커플링(126)을 포함하며, 이들은 본질적으로 길이 방향(X)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전이 슬롯(12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 2 슬롯(128)은 내부 본체(111)에 형성되는 제 1 핀(138) 및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의 제 2 핀(도 9 내지 도 13 참조)을 수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삽입 개구(130)에서 길이 방향(X)으로 개방한다.
내부 본체(111)는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내부 공간(107)의 적어도 일 부분을 제공한다. 밀봉 장치(122)를 향하여 대면하는 그의 측에서, 내부 본체(111)에는 내부 본체(111)에서 밀봉 장치(122), 특히 그의 와셔(113)들 중 하나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되는 플랜지가 제공된다. 상대 래칭 요소(133)들이 스프링 리테이너(112)의 유지 요소(134)들, 특히 그의 래칭 요소(135)들을 수용하기 위한 향하여들로서 내부 본체(111)의 벽에 형성된다. 유지 요소(134)들은 각각 스프링 섹션(137)에 의해 본질적으로 길이 방향(X)의 반대로 그리고 길이 방향 축선(S)에 평행하게 스프링 리테이너(112)의 칼라 섹션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는 잠금 후크들로서 형성된다. 각각의 스프링 섹션(137)들로부터, 래칭 요소(135)들 중 하나는 길이 방향 축선(S)으로부터 수직으로 멀어지게 그리고 길이 방향 축선 둘레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반경 방향(R)으로 멀어지게 연장한다. 각각의 유지 요소(134)들에는, 예컨대 반경 방향(R)으로 그리고 길이 방향(X)으로 향하는 래칭 요소(135)들의 각각의 둥근 선단부의 형태로 본원에 도시되는 것과 같은, 가동 기관(138)이 제공된다.
도 4와 유사하게,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본 발명에 따른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들, 즉 그의 부품들을 도시한다. 인클로저 조립체(100')는 외부 셀(110'), 내부 본체(111'), 2 개의 와셔(113')들, 밀봉 요소(114'), 스프링 요소(115') 및 차폐 요소(116')를 포함한다. 내부 본체(111')는 하나의 요소로 통합되는 도 4에 예시된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실시예의 스프링 리테이너(112) 또는 내부 본체와 조합되는 내부 본체(111)의 피쳐들을 갖는다. 래칭 및 유지 요소(135', 134')들은 내부 본체(111') 내에 또는 내부 본체에 형성된다. 스프링 요소(115)는 내부 스프링 본체(111')의 외주에 배열된다.
또한, 스프링 요소(115)가 내부 본체(111)의 외주를 에워싸고 길이 방향(X)으로 반대로 향하는 에지를 제공하는 림으로서 내부 본체(111)에 형성되는 지지부(139)에서 그의 정면 단부(115a)가 지지되는 것이 도 4에서 자명하게 된다. 스프링 요소(115)의 후방 단부(115b)는 외부 셀(110)을 향하여 길이 방향(X)에 대향되게 향한다. 차폐 요소(116)는 내부 본체(111)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슬리브 섹션(116a) 그리고 슬리브 섹션(116a) 주위로 환형으로 배열되는 다중 접촉 스프링 요소들을 포함하는 커프(116b)를 포함하여서 이에 의해 차폐 요소(116)는 내부 본체(111)의 정면 림(140)에 안착되며, 정면 림에 밀접하게 피팅될 수 있다. 포지티브 피팅에 의해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와 인클로저 조립체(100)를 밀접하게 결합되게 하기 위해(도 7 내지 도 13 참조), 내부 본체(111)에는 본질적으로 플러그 방향(P)으로 대면하고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의 상대 정합 외형에 상보적으로 형상을 갖는 정합 외형(141)이 제공된다(도 9 및 도 10 참조).
도 5는 인클로저 조립체(100)가 예비 조립 상태(B) 및 예비 잠금 위치(V)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1)를 도시한다. 리테이너 부싱(104), 스프링 리테이너(112) 및 변형 경감 요소(101)를 포함하는 절첩식 보조-조립체(121)는 외부 셀(110) 및 내부 본체(111)를 포함하는 하우징 보조-조립체(120)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 공간(107)에 수용된다. 내부 본체(111) 및 밀봉 보조-조립체(122)는 외부 셀(110)에 의해 제공되는 체적부(124) 내에 수용된다. 종단 장치(200)는 내부 공간(107) 내에 수용된다.
케이블(300)은 케이블의 보강 부재(302)가 전송 선로(301)들을 에워싸는 점에서 종단 장치(200)에 연결되어서 이는 전송 선로(301)들 사이에 배치되고 케이블의 덮개(303)는 고정 장치(207)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케이블(300)은 고정 장치(207)에 느슨한 피팅으로 유지된다. 고정 장치(207)는 보강 부재(302)들을 수용하고 이들이 고정 장치(207)의 외측으로 지나가게 하기 위한 슬롯(212)들을 갖는다. 여기서 보강 부재(302)들은 고정 장치(207)에, 예컨대 글루(glue)에 의해 고정된다. 글루 또는 포팅(potting)은 고정 장치(207) 주위의 공간을 에워싸고 적어도 보강 부재(302)들을 통하여 고정 장치(207)에 케이블(300)을 고정하는데 사용되고 또한 부트(boot)(101)를 케이블에 밀봉한다.
또한, 케이블(303)은 변형 경감 요소(101)에 의해, 예비 조립 상태(B)에서 리테이너 부싱(104)의 내부 나사 가공부(109)와 나사 결합되는, 특히 외측 나사 가공부(108)의 영역에서 안내된다. 변형 경감 요소(101)는 "슬라이드 핏" 부트일 수 있고; 수밀이 아니고 오버몰딩되지 않는다. 고정 장치(207)의 고정 부재(208)는 안내 지지부(202)의 유지 구조물(205) 내에 유지된다. 그리하여, 전송 선로(301)를 위한 변형 경감이 이 전송 선로가 커넥터(201)에 들어가고 케이블(300), 특히 그의 보강 부재(302), 그리고 덮개(303), 고정 장치(207), 안내 지지부(202) 및 커넥터(201) 사이의 포지티브 피팅 및/또는 마찰 연결에 의해 종단을 이룰 때까지 케이블(300)의 덮개(303)를 빠져나가는 지점 사이에 제공된다. 고정 장치(207)는 지지 요소(210)가 유지 부싱(104)의 내부 둘레를 따라 연장하는 환형 림의 형태인 상대 지지 요소(142)에 접하고, 따라서 고정 장치(207)가 안착되는 좁은 부분을 제공하는 점에서 리테이너 부싱(104) 내에 지지된다.
리테이너 부싱(104)은 스프링 리테이너(112) 내에 그의 유지 섹션(106)이 수용된다. 길이 방향(X)으로 향하는 스프링 리테이너(112)의 칼라 섹션(136)의 단부 및 리테이너 부싱(104)의 정면 림(140)은 높이 방향(Z)으로 서로 본질적으로 정렬되며, 즉 길이 방향(X)으로 본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에 배열된다. 유지 기관들, 예컨대 치형부들로서 유지 요소(134)들의 각각에 형성되는 치형부들 또는 리브들(143)은 길이 방향(X)에 평행하게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나사부 또는 리브들 및/또는 치형부들의 형상의 유지 섹션(106)의 외주에 형성되는 상대 유지 리브(144)들로부터 이격되어 유지된다. 유지 리브(143)들은 가동 기관(138)들에 높이 방향(Z)에 대향하여, 즉 반경 방향(R)에 대향하여 래칭 요소(135)들의 측에 형성된다. 그리하여, 반경 방향(R)에 대향하여 가동 기관(138)들을 가압함으로써, 유지 요소(134)들은 유지 섹션(106)을 향하여 강제된다. 이에 의해, 유지 리브(143)들은 상대 유지 리브(144)들과 결합되며, 이에 의해 이들은 스프링 리테이너(112)에 대한 리테이너 부싱(104)의 이동들을 억제하기 위해 길이 방향(X)을 따라 돌출부에 겹쳐진다. 스프링 리테이너(112)는 래칭 요소(135)들이 상대 래칭 요소(133)들 내에 수용되는 점에서 내부 본체(104)에 대한 이동들에 대하여 고착된다. 그리하여, 스프링 리테이너(112)는 내부 본체(104)에 지지되고 길이 방향(X)으로 대향한다.
외부 셀(110)의 내부 둘레를 따라 길이 방향(X)으로 대향하는 래칭 요소(134)들의 가동 기관(138)들을 이동시킴으로써, 이들은 외부 셀(110)의 내부 둘레를 따라 연장하는 베벨(145) 상으로 작동한다. 베벨(145)은 외부 셀(110)의 가동 섹션(147)으로부터 외부 셀(110)의 해제 섹션(146)을 분리시킨다. 해제 섹션(146)은 가동 섹션(147)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갖는다. 그리하여, 내부 본체(110)의 내부 둘레는 길이 방향(X)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베벨(145)에서 테이퍼진다. 해제 섹션(146)에 접할 때, 유지 리브(143)들은 상대 유지 리브(144)들로부터 반경 방향(R)으로 어떠한 거리에 유지되고, 그리하여 인클로저 조립체(100)는 미 유지 상태(J)에 있다.
미유지 상태(J)로부터 유지 된 상태(K)로 인클로저 조립체(100)를 전환시키기 위해, 래칭 요소(134)들, 특히 그의 가동 기관(138)들은 베벨(145)을 따라 해제 섹션(146)으로부터 길이 방향(X)에 대향하여 가동 섹션(147) 상으로 다시 이동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동을 달성하기 위해, 스프링 요소(115)의 스프링력이 극복되어야 될 수 있는데, 이는 이 스프링 요소가 일 측이 리테이너 부싱(104)의 지지부(139)에서 그의 정면 단부(115a)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측의 외부 셀(110)의 내부 둘레에 형성되는 상대 지지부(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되기 때문이며, 이에 의해 따라서 길이 방향(X)으로 외부 셀(110)로부터 멀어지게 또는 그의 밖으로 강제될 수 있는, 외부 셀(110)과 내부 본체(111) 사이의 팽창 스프링력들을 발생한다. 이러한 스프링력들은 제 1 핀(138)을 안내하는 제 1 슬롯(127)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 1 베이요닛 커플링(125)을 안전하게 가동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 부싱(104)의 밀봉 섹션(105)이 가동 섹션(147)과 멈춤부(149) 사이의 외부 셀(110)의 내부 둘레에 의해 제공되는 상대 밀봉 섹션(148)과 정렬되고, 외부 셀(110)의 내부 둘레는 밀봉 섹션(148)에 대하여 더 좁아지는 것이 도 5에서 자명하게 된다. 밀봉 조립체(122)는 길이 방향(X)에 대향되게 향하는 내부 본체(111)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132)에 의해 제공되는 가압 표면(150)과 멈춤부(149) 사이에 배열된다. 멈춤부(149)는 외부 셀(110)의 안내 섹션(151)과 상대 밀봉 섹션(148) 사이에 배열된다. 변형 경감 요소(101)의 유지 섹션(103) 및 밀봉 섹션(105)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내 섹션(151)에 수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유지 섹션(103) 뿐만 아니라 일 측에서 밀봉 섹션(105) 그리고 반경 방향(R)으로 다른 측에 안내 섹션(151) 사이의 특정한 간극 아래에 에워싸일 수 있어서, 이들 사이의 특정한 여유(play)가 절첩식 보조-조립체(121)가 용이하게 하지만 정밀하게 길이 방향(X)으로 및 이에 대향되게 하우징 보조-조립체(120)에 대하여 대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은 인클로저 조립체(100)가 잠금 위치(W)에 그리고 유지 상태(K)에 있는, 인클로저 조립체(100)가 완전히 조립 상태(C)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1)를 도시한다. 도 5에 예시된 예비 조립 상태(B), 예비 잠금 위치(V) 및 미유지 상태(J)에 비교하여, 완전 조립 상태(C), 잠금 위치(W) 및 유지 상태(K)에서, 절첩식 보조-조립체(121)는 길이 방향(X)에 대향하여 하우징 보조-조립체(120)에 대하여 이동된다. 이에 의해, 상대 래칭 요소(133) 내의 래칭 요소(135)는 이들의 가동 기관(138)들이 해제 섹션(146)으로부터 베벨(145)에 걸쳐 가동 섹션(147) 상으로 이동되며, 이는 가동 기관(138) 상으로 가압하고 따라서 유지 리브(143)들을 상대 유지 리브(144)들을 향하여 압박한다. 이에 의해, 유지 리브(143)들은 상대 유지 리브(144)들과 맞물리게 되어서, 이에 의해 이들은 길이 방향(X)으로 서로 겹치고 길이 방향(X)에 평행하게 하우징 보조-조립체(120)에 대한 절첩식 보조-조립체(121)의 이동들을 방지한다.
또한, 가압 표면(150)은 인클로저 조립체(100)를 미유지 위치(J)로부터 유지된 위치(K)로 전달할 때 동시적으로 이동되어서, 이에 의해 가압 표면(150)은 멈춤부(149)에 대항하여 밀봉 보조-조립체(122)를 강제한다. 이에 의해, 밀봉 요소는 길이 방향(X)에 평행하게 압축되고 따라서 반경 방향(R)으로 팽창된다. 밀봉 요소(122)의 이러한 탄성 변형은 이 밀봉 요소가 하우징 보조-조립체(120)와 절첩식 보조-조립체(121) 사이, 특히 내부 본체(111)와 외부 셀(110)에 각각 제공되는 밀봉 섹션(105)과 상대 밀봉 섹션(148) 사이에서 밀봉하는 것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밀봉 보조-조립체(122)는 안내 섹션(151)의 근처에서 내부 본체(105)의 외주와 외부 셀(110)의 내주 사이를 밀봉하고, 여기서 변형 경감 요소(101)는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내부 공간(107)으로 들어간다. 내부 공간(107)은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후방측(152)을 향하여 밀봉된다(도 7 및 도 8 참조).
도 7은 완전히 정합된 위치(M)의 플러그 커넥터(1) 및 정합 플러그 커넥터(2)를 갖는 최종 상태(F)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를 도시하며, 여기서 밀봉 조립체(100)는 길이 방향 축선(S)에 따라 개략적인 횡단면도에서 예시되는 유지된 상태(K) 및 제 1 유지 위치(Emin), 즉 최소로 연장된 위치에서 완전히 조립 상태(C)이다. 제 1 유지 위치(Emin)에서, 커넥터(201)의 선단부(214)와 외부 셀의 전방 에지(119) 사이의 거리(d214, 119max) 그리고 따라서 밀봉 조립체(100)는 선단부(214)가 길이 방향(X)으로 전방 에지(119) 바로 위에 있다는 점에서(in the sense) 최대이다. 다시 말해서, 커넥터(201)가 길이 방향(X)으로 밀봉 조립체(100)의 내부 공간(107)의 밖으로 약간 이동된다.
제 1 유지 위치((Emin)에서, 밀봉 조립체(100)는 길이 방향(X)에 평행하게 측정되는 최소 길이(l100,min ,)를 가진다. 밀봉 조립체(100)의 최소 길이(l100, min)는 본질적으로 외부 셀(110)의 길이(l110)와 변형 경감 요소(101)의 가요성 섹션(102)의 길이(l100)의 합이며, 상기 모든 길이는 길이 방향(X)과 평행하게 모두 측정된다. 유지 섹션(103)이 이의 전체의 길이(l103)가 안내 섹션(15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밀봉 조립체(122)가 길이 방향(X)에 평행하게 측정되는 길이(l105)로 밀봉 섹션(105)의 후방 단부 위치에서 배열될 수 있다. 유지 기관(retaining organ)(143)이 길이 방향(X)에 평행하게 측정되는 길이(l106)를 가지는 유지 섹션(106)의 후방 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의 전체 최소 연결 길이(entire minimal connecting length)(l1,min)가 밀봉 조립체(100)의 길이(l100,min)와 선단부(214)와 전방 에지(119) 사이의 거리(d214,119,max)의 합으로 간주될 수 있다.
게다가, 정합 플러그 커넥터(2)가 플러그 방향(P)으로 정합 플러그 개구(403)을 통해 접근 가능한 정합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정합 하우징(401)을 갖는 정합 밀봉 조립체(400)를 포함하는 것이 도 7에서 명백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정합 플러그 개구(403)가 플러그 방향(P)의 반대편으로 이어지는 정합 플러그 방향(P')으로 열려 있다. 정합 플러그 커넥터(2)가 정합 플러그 방향(P')으로 플러그 커넥터(1) 쪽으로 정합 플러그 커넥터(2)를 이동시킴으로써 플러그 커넥터(1)와 정합될 수 있다. 완전히 정합된 상태(M)에서, 플러그 면(3)이 정합 플러그 면(4)과 상보적인 결합을 한다. 플러그 부분(5)이 정합 플러그 부분(6) 내에 플러그 결합된다. 커넥터(201)가 길이 방향(X)으로 플러그 커넥터(1)에 반대로 향하는 정합 하우징(401)의 단부에서 형성되는 정합 후방 개구(404)에서 길이 방향(X)으로 배열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와 정합 플러그 커넥터(2)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 정합 플러그 부분(6) 외측 둘레로 둘러쌀 수 있는 정합 밀봉 요소(405)가 제공될 수 있다. 정합 밀봉 요소(405)가 환형 밀봉부(annular seal)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합 밀봉 요소는 특히 밀봉 칼라(sealing collar)(118)의 영역에서 외부 셀(110)의 내주를 따라 밀봉 조립체(100)에 인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부 공간(107)이 정합 밀봉 요소(405)에 의해 전방에서 그리고 밀봉 장치(122)에 의해 후방에서 밀봉될 수 있다. 밀봉되어야 할 제 3 영역; 케이블에 대한 부트(boot)(101) 및 리테이너 부싱(104)이 존재한다. 이것이 고정 장치(fixator)(207) 주변의 공간을 포팅(pot)함으로써/글루잉(glue)함으로써 달성된다. 단차부(step)(117) 및/또는 전방 에지(119)는 길이 방향(X)으로 정합 밀봉 조립체(400)에 인접할 수 있다. 정합 플러그 부분(6)이 외부 셀(110)과 플러그 부분(5)의 적어도 부품들을 제공하는 내부 본체(111) 사이에 빈틈없이 피팅하여(closely fitting) 매립되어서, 플러그 요소(1)와 정합 플러그 요소(2) 사이에 기계식으로 안정한 포지티브-끼워 맞춤(positive-fit) 및/또는 마찰-끼워 맞춤(friction-fit) 연결이 제공되도록 정합 플러그 부분(6)이 반경 방향(R)에 따라 밀봉 칼라(118)와 전방 림(front rim)(140)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8은 플러그 커넥터(1)를 갖는 최종 상태(F)의 커넥터 조립체(10')의 추가적인 실시예 및 완전히 정합된 상태(M)의 정합 플러그 커넥터(2')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밀봉 조립체(100)는 도 7에서 도시되는 도면과 유사하게 중심 축선(S)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에서 예시되는 제 2 유지 위치(Emax), 즉 최대로 연장된 위치의 유지된 상태(K)에서, 완전히 조립 상태(C)이다. 도 7에서 도시되는 것과 같은 제 1 유지 위치(Emin)와 비교하여, 밀봉 조립체(100)가 최소 길이(l100,min)를 초과하는 최대 길이(l100,max)를 가지는 것은 도 8에서 명백하게 된다. 커넥터(201)의 선단부(214)가 길이 방향(X)에 평행하게 측정된, 전방 에지(119)에 대한 최소 거리(d214, 119,min)하에 배열된다. 최소 거리(d214, 119,min)가 음의(negative) 거리일 수 있으며, 이는 선단부(214)가 전방 에지(119) 뒤에서 길이 방향(X)에 대향하는 내부 공간(107) 내로 당겨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커넥터(1)는 플러그 면(3')의 추가적인 실시예 및 플러그 부분(5')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제공하고, 따라서 각각 정합 플러그 면(4') 및 정합 플러그 부분(6')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적응된다. 커넥터(201)가 길이 방향(X)으로 정합 후방 개구(404)로부터 이격되게 고정될 수 있다.
게다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유지 위치(Emax)에서 유지 섹션(103)이 길이 방향(X)에 대향하는 안내 섹션(151)으로부터 거의 완전히 철회된다. 유지 기관(143)이 유지 섹션(106)의 전방 단부에 배열되며, 이는 거의 전체가 길이 방향(X)에 대향하는 상대 밀봉 섹션(counter sealing section)(148) 내로 빠진다. 상대 밀봉 섹션(148)의 길이(l148)이 본질적으로 밀봉 섹션(105)의 길이(l105)와 동일하며, 두 길이 모두가 길이 방향(X)에 평행하게 측정된다. 안내 섹션(151)의 길이(l151)가 본질적으로 유지 섹션(106)의 길이(l106)와 동일할 수 있으며, 두 길이 모두는 길이 방향(X)에 평행하게 측정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합 플러그 커넥터(2, 2')들의 상이한 실시예들에 적합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합 밀봉 조립체(400)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정합 밀봉 조립체(400)는 플러그 방향(P)으로 플러그 개구(403)를 통해 접근 가능한 정합 내부 공간(402) 및 정합 플러그 방향(P')으로 추가적인 정합 후방 개구(404)를 제공하는 정합 하우징(401)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은) 정합 플러그 커넥터의 바람직하고/바람직하거나 요구되는 실시예와 함께 정합 밀봉 조립체(400)는 정합 플러그 면(4, 4') 및 정합 플러그 부분(6, 6')의 각각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정합 플러그 개구(403)가 정합 플러그 방향(P')으로 정합 하우징(401)의 판-형 장착 기부(plate-like mounting base)(407)로부터 연장하는 본질적으로 원통형 정합 슬리브(essentially cylindrical mating sleeve)(406)로 형성된다. 정합 외형(mating contour)(408)이 플러그 요소(1)의 밀봉 조립체(100)의 외형(401)에 대해 상보적으로 정합 슬리브(406)들에서 형성된다. 정합 외형(408)이 정합 플러그 방향(P')으로 정합 슬리브(406)들의 전방 면으로부터 돌출하고 각각의 다른 두 개의 절개부(cut-out)(411)들 사이에서 형성하는 러그(lug)(409)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횡단 방향(Y) 및 높이 방향(Z)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평면 내에서 수학적으로 포지티브 회전 운동의 길이 방향(S)으로 둘레에 둘러싸는 회전 방향(T)의 밀봉 조립체(100), 특히 본체(111)의 운동들이 금지될 수 있도록 정합 외형(408)은 외형(141)에 의해 포지티브 끼워 맞춤을 도입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정합 핀들 또는 제 2 핀(412)들이 정합 플러그 부분(6, 6')에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 개의 제 2 핀(412)들이 정합 플러그 부분(6, 6')의 외주를 따라 길이 방향 축선(S)에 대해 서로 동일한 거리하에서 둘레에 분포될 수 있다. 제 2 핀(412)들은 반경 방향(R)으로 정합 플러그 부분(5, 5')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핀(412)들이 러그(409)들에서 배열될 수 있다. 두 개의 제 2 핀(412)들이 각각의 러그(409)들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핀(412)들이 제 2 베이어닛 커플링(second bayonet coupling)(126)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다. 이들이 정합 밀봉 조립체(400)에 밀봉 조립체(100)를 연결시키기 위해 제 2 슬롯(second slot)(128) 내에서 빈틈없이 피팅하여 안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정합 밀봉 조립체(400)가 각각 두 개 절개부들 및 네 개의 핀들 대신에 단지 하나의 절개부(411) 및 두 개의 제 2 핀(412)들과 함께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정합 밀봉 조립체(400)에서 정합 밀봉 요소(405)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정합 밀봉 조립체에는 정합 플러그 부분(6, 6'), 특히 정합 슬리브(406) 주변을 둘레로 연장하는 그루브(groove)의 형태로 안착부(seating)(413)가 제공될 수 있다. 정합 밀봉 조립체(400)를 장착하기 위해, 기부에는 장착 요소(414)들이, 예를 들어 포지티브 끼워 맞춤 및/또는 마찰 끼워 맞춤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들 또는 다른 요소들에 의해 전자 장비의 밀봉부, 하우징 또는 다른 부분들에 밀봉 조립체(400)를 장착하기 위한 예를 들어 아이릿(eyelet)들 또는 관통-홀(through-hole)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개략적인 사시도에서 정합 플러그 커넥터(2, 2')의 상이한 실시예를 위한 정합 밀봉 조립체(400)를 도시한다. 여기서 정합 내부 공간(402)이 본질적으로 사각형인 정합 후방 개구(404)를 통해 접근 가능한 것이 명백하게 되며, 상기 개구는 본질적으로 횡단 방향(Y) 및 높이 방향(Z)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평면에서 연장한다. 이에 의해, 회전 방향(T)인, 또는 회전 방향(T)에 반대인 정합 밀봉 조립체(400)에 대한 정합 커넥터의 운동들이 금지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송수신기(transceiver)를 갖는 케이지(cage)가 포지티브 끼워 맞춤 방식으로 정합 후방 개구(404)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게다가 정합 후방 개구(404)가 밀봉 조립체(400)의, 특히 정합 하우징(401)의 연장부(extension)(415)의 후방 측에 형성되는 것이 도 10에서 명백하게 된다. 연장부(415)가 (도시되지 않은) 전자 장비의 벽 부분을 통해 정합 밀봉 조립체(400)를 도달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미유지 상태(J)의 예비-잠금된 위치(V)의 밀봉 조립체(100)를 갖는 그리고 정합되지 않은 위치(O)의 정합 밀봉 조립체(400)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10, 10')의 상세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이들은 각각 플러그 방향(P)으로 그리고 언플러그 방향(unplug direction)(P')으로 서로에 대한 운동들에 의해 서로 결합하게 될 수 있다. 제 1 핀(131)이 삽입 개구(130)를 통해 잠금 기구(locking mechanism)(123) 내로 도입되며, 그 뒤에 제 2 슬롯(128)에 따라, 이어서 전송 슬롯(129)에 따라, 상기 잠금으로부터 제 1 슬롯(127) 내로 이동되고, 제 1 슬롯(127)의 안내부(guidance)(127b) 및 유지 구조물(127c)을 지난 후 최종적으로 제 1 슬롯(127)의 에비-잠금 단부(127a) 내에 놓인다. 본질적으로 길이 방향(X)에 평행하게 측정된 예비-잠금 단부(127a)와 유지 구조물(127c) 사이의 거리(d127a,127c)는 본질적으로 길이 방향(X)에 평행하게 측정된, 해제 섹션(release section)(146)과 액츄에이팅 섹션(actuating section)(147) 사이의 거리(d146,147)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거리(d127a,127c) 및 거리(d146,147) 모두는 본질적으로 예비-잠금된 위치(V)와 잠금된 위치(W) 사이의 거리(dVW)와 동일하다. 따라서, 회전 방향(T)으로 외부 셀(110)에 대해 내부 본체(111)를 회전시킴으로써, 제 1 핀(131)이 예비-잠금 단부(127a) 밖으로 안내부(127b)에 따라 유지 구조물(127c) 내로 이동될 수 있으며, 밀봉 조립체(100)가 예비-잠금된 위치(V)로부터 잠금 위치(W) 내로, 따라서 미유지 상태(J)로부터 유지 상태(K)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2는 예비-정합된 위치(N)의 커넥터 조립체(10, 10')를 갖는 잠금 기구(123)의 상세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정합 밀봉 조립체(400)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동안에, 밀봉 조립체(100)는 예비-잠금된 위치(V) 및 미유지 상태(J)에 있다. 예비-정합된 위치(N)에서, 외형(141) 및 정합 외형(411)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결합하게 된다. 제 2 핀(412)이 삽입 개구(13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커넥터 조립체(10, 10')를 밀봉 조립체(100)와 정합시키기 위해,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내부 케이블 조립체가 우선적으로 정합되며, 그 후에 하우징 보조-조립체(120)가 정합되며, 이는 도 4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셀(110)을 갖는 외부 셀 조립체가 정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상기 정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후에, 예비-정합된 위치(N)에서, 커넥터(201)가 (도시되지 않은) 정합 커넥터와 정확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동안에 유지 위치(Emin, Emax)가 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밀봉 조립체(100)가 해제 상태(K) 및 예비-잠금된 위치(V) 일 때의 예비-정합 위치(N)는 밀봉 조립체(100)가 완전히 조립 상태(C) 및 하우징 보조-조립체(120)에 대해 접철식 보조-조립체(121)를 이동시킴에 의한 종단 장치(terminating arrangement)(200)의 위치, 특히 외부 셀(110)에 대한 커넥터(201)의 선단부(214)의 위치일 수 있는 상황일 수 있으며, 상기 선 정합 위치(N) 및 상기 예비-잠금된 위치(V)가 길이 방향(X)에 평행한 커넥터 조립체(10, 10')의 바람직하고/바람직하거나 요구되는 크기들을 제공하기 위해 접철식 운동들을 수행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는 반면에, 커넥터(201)가 밀봉 조립체(100) 내에 그리고/또는 정합 커넥터와 정합된 후에 수용된다.
도 13은 최종 상태(F)의 커넥터 조립체(10, 10')의 잠금 기구(123)의 상세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최종 상태(F)에서, 밀봉 조립체(100) 및 정합 밀봉 조립체(400) 그리고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1) 및 정합 플러그 커넥터(2, 2')는 완전히 정합된 위치(M)에 있다. 밀봉 조립체(100)는 유지된 상태(K) 및 잠금된 위치(W)에서 완전히 조립 상태(C)에 있다. 핀(131)은 유지 구조물(127c)에 놓인다. 제 2 핀(412)은 제 2 슬롯(128)의 정합 구조물(128b)에 놓인다. 제 2 핀(412)은 제 2 슬롯(128)의 정합 안내부(128a)에 따라 도 12에서 도시되는 삽입 개구(130) 내의 그의 위치를 벗어나 이동하였다. 이에 의해, 제 2 핀(412)은 길이 방향(X)에 평행하게 삽입 개구(130)와 정합 구조물(128b) 사이의 거리(향하여, 128b)를 이동하였으며, 상기 거리는 예비-잠금 단부(127a)와 유지 구조물(127c) 사이의 거리(d127a, 127c)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안내부(127b) 및 정합 안내부(128a)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이에 의해 제 1 핀(131) 및 제 2 핀(412)이 밀봉 조립체(100)를 예비-잠금 위치(V)로부터 잠금 위치(W) 내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커넥터 조립체(10, 10')를 예비-정합된 위치(N)로부터 완전히 정합된 위치(M)로 이르게 할 때 본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따라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 정합 플러그 커넥터(2, 2') 및 인클로저 조립체(100, 100') 및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400)를 각각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10, 10')의 전술된 실시예들로부터의 일탈은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가능하다. 플러그 커넥터(1)는 각각의 정합 커넥터(2, 2')들에 적응될 수 있는 플러그 면(3, 3') 및 플러그 부분(5, 5')을 구비한 플러그-요소 또는 플러그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상기 정합 커넥터들은 특정 적용에 대해 바람직한, 정합 플러그 면(4, 4')들 및 정합 플러그 부분(6, 6')들을 가지는 리셉터클들 또는 정합 플러그-요소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클로저 조립체(100, 100')는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우징 보조-조립체(120), 절첩식 보조-조립체(121) 및 밀봉 보조-조립체(122) 및/또는 잠금 기구(123)를 제공하기 위해 바람직한 개수가 몇 개든지 그리고 어떤 형상이든지 간에 변형 경감 요소(101)들, 가요성 섹션(102)들, 유지 섹션(103)들, 리테이너 부싱(104), 밀봉 섹션(105)들, 유지 섹션(106)들, 내부 공간(107)들, 외측 나사 가공부(outside threading; 108)들, 내측 나사 가공부(109)들, 외부 셀(110)들, 내부 본체(111)들, 스프링 리테이너(112)들, 와셔(113)들, 밀봉 요소(114)들 및 차폐 요소(116)들, 단차부(117)들, 밀봉 칼라(118)들, 전방 에지(119)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원하는 대로 형성 및 성형될 수 있고 특정 적용에 대해 요구된 개수가 몇 개든지 그리고 어떤 형상이든지 간에 체적부(124)들, 제 1 베이어닛 커플링(125)들, 제 2 베이어닛 커플링(126)들, 예비-잠금 단부(127a)들, 안내부(127b)들, 유지 구조물(127c)들을 구비한 제 1 슬롯(127)들, 정합 안내부(128a)들, 정합 구조물(128b)들을 구비한 제 2 슬롯(128)들 뿐만 아니라 플랜지(132)들, 상대 래칭 요소(133)들, 유지 요소(134)들, 래칭 요소(135)들, 칼라 섹션(136)들, 스프링 섹션(137)들, 가동 기관(138)들, 지지부(139)들, 전방 림(140)들, 외형(141)들, 상대 지지 요소(142)들, 유지 기관(143)들, 상대 유지 기관(144)들, 베벨(145)들, 릴리스 섹션(146)들, 가동 섹션(147)들, 상대 밀봉 섹션(148)들, 상대 밀봉 섹션들, 멈춤부(149)들, 가압 표면(150)들, 안내 섹션(151)들 및/또는 후방 측면(152)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 장치(200)는 바람직한 적용에 대해 개수가 몇 개든지 그리고 어떤 형태이든지 간에 전송 선로(301)들, 강화 부재(302)들 및/또는 덮개(303)들을 포함할 수 있는 케이블(300)의 종단을 이루기 위해 요구되는 것이 개수가 몇 개든지 그리고 어떤 형태이든지 간에 커넥터(201)들, 상부 셀(202a)들, 하부 셀(202b)들을 구비한 안내 지지부(202)들, 안착부(203)들, 장착 섹션(204)들, 유지 구조물(205)들, 채널(206)들, 고정 장치(207)들, 고정 장치 부재(208)들, 지지 요소(210)들, 관통공(211)들, 슬롯(212) 및/또는 선단부(21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400)는 바람직한 적용을 위해 요구된 것이 개수가 몇 개든지 그리고 어떤 형태이든지 간에 정합 하우징(401)들, 정합 내부 공간(402)들, 정합 플러그 개구(403)들, 정합 후방 개구(404)들, 정합 밀봉 요소(405)들, 정합 슬리브(406)들, 장착 기부(407)들, 정합 외형(408)들, 러그(409)들, 정방 면(410)들, 절개부(411)들, 정합 핀(412)들, 안착부(413)들, 장착 요소(414)들 및/또는 연장부(415)들을 포함할 수 있다.
1 플러그 요소/커넥터
2, 2' 정합 플러그 요소/커넥터
3, 3' 플러그 면
4, 4' 정합 플러그 면
5, 5' 플러그 부분(플러그)
6, 6' 정합 플러그 부분(리셉터클)
10, 10' 커넥터 조립체
100, 100' 인클로저 조립체
101 변형 경감 요소
102 가요성 섹션
103 유지 섹션
104 리테이너 부싱
105 밀봉 섹션
106 리테이너 섹션
107 내부 공간
108 외측 나사 가공부
109 내측 나사 가공부
110 외부 셀
111, 111' 내부 본체
112 스프링 리테이너
113, 113' 와셔
114, 114' 밀봉 요소
115, 115' 스프링 요소
115a 스프링 요소의 전방 단부
115b 스프링 요소의 후방 단부
116, 116' 차폐 요소
116a 슬리브 섹션
116b 커프
117 단차부
118 밀봉 칼라
119 전방 에지
120 하우징 보조-조립체
121 접철식 보조-조립체
122 밀봉 보조-조립체
123 잠금 기구
124 체적부
125 제 1 베이어닛 커플링
126 제 2 베이어닛 커플링
127 제 1 슬롯
127a 예비-잠금 단부
127b 안내부
127c 유지 구조물
128 제 2 슬롯
128a 정합 안내부
128b 정합 구조물
130 삽입 개구
132 제 1 핀
133 상대 래칭 요소들
134 유지 요소들
135 래칭 요소
136 칼라 섹션
137 스프링 섹션
138 가동 기관
139 지지부
140 전방 림
141 외형
142 상대 지지 요소
143 유지 기관/치형부
144 상대 유지 기관/리브
145 베벨
146 릴리스 섹션
147 가동 섹션
148 상대 밀봉 섹션
149 멈춤부
150 가압 표면
151 안내 섹션
152 후방 측면
200 종단 장치
201 커넥터/단자
202 안내 지지부
202a 안내 지지부의 상부 셀
202b 안내 지지부의 하부 셀
203 안착부
204 장착 섹션
205 유지 구조물
206 채널
207 단부 커넥터 어댑터 부분/고정 장치/단부 캡
208 고정 부재
210 지지 요소/칼라/플랜지
211 관통공
212 튜브 부분/슬롯
214 커넥터/단자의 선단부
300 케이블
301 전송 선로
302 강화 부재
303 덮개
400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
401 정합 하우징
402 정합 내부 공간
403 정합 플러그 개구
404 정합 후방 개구
405 정합 밀봉 요소
406 정합 슬리브
407 장착 기부
408 정합 외형
409 러그
410 전방 면
411 절개부
412 정합 핀/제 2 핀
413 안착부
414 장착 요소
415 연장부
A 미조립 상태
B, B' 예비 조립 상태
C 완전 조립 상태
Emin 제 1 유지 위치/최소 확장
Emax 제 2 유지 위치/최대 확장
F 최종 상태
J 미유지 상태
K 유지 상태
O 미정합 위치
N 예비 정합 위치
M 완전 정합 위치
U 잠금 해제 위치
V 예비 잠금 위치
W 잠금 위치
R 반경 방향
S 축방향/중심 축선/길이 방향 축선
P, P' 플러그 방향/정합 플러그 방향
T 회전 방향
X 길이 방향
Y 횡단 방향
Z 높이/수직 방향
l1,min 플러그 커넥터의 최소 길이
l1,max 플러그 커넥터의 최대 길이
l100,min 인클로저 조립체의 최소 길이
l100,max 인클로저 조립체의 최대 길이
l102 가요성 섹션의 길이
l103 유지 섹션의 길이
l105 밀봉 섹션의 길이
l106 유지 섹션의 길이
l110 외부 셀의 길이
l148 상대 밀봉 섹션의 길이
l151 안내 섹션의 길이
d214, 119,max 선단부(214)와 전방 에지(119) 사이의 최대 거리
d214, 119,min 선단부(214)와 전방 에지(119) 사이의 최소 거리
d146,147 릴리스 위치(146)와 작동 위치(147) 사이의 거리
dV,W 예비 잠금 위치(V)와 잠금 위치(W) 사이의 거리

Claims (15)

  1. 다양한 깊이 위치들에 장착하기 위한 그리고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길이 방향(X)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는 두 개 이상의 상이한 유지 위치(Emin, Emax)들에서 데이터 및 동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선로(301)의 종단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201)를 수용하기 위한 인클로저 조립체(100, 100')로서,
    하나 이상의 하우징 보조-조립체(120) 및 유지 위치(Emin, Emax)들을 제공하는 유지 섹션(106)을 갖춘 절첩식 보조-조립체(121)를 포함하며, 적어도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유지 상태(K)에서 절첩식 보조-조립체(121)가 하우징 보조-조립체(120)에 대해서 길이 방향(X)으로 적어도 이동 불가능한 방식으로 하우징 보조-조립체(120) 내부에 유지되고,
    상기 인클로저 조립체(100, 100')는 상기 유지 위치(Emin, Emax)들 각각에서 완전 조립 상태이고(C),
    상기 유지 위치(Emin, Emax)들은 절첩식 보조-조립체(121)의 상기 유지 섹션(106)의 외주를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두 개 이상의 리브(144)들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유지 섹션(106)은 절첩식 보조-조립체(121)의 리테이너 부싱(bushing; 104)에서 외주를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다양한 깊이 위치들에 장착하기 위한 그리고 데이터 및 동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선로의 종단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인클로저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섹션(106)은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다중 유지 위치(Emin, Emax)들을 제공하는,
    다양한 깊이 위치들에 장착하기 위한 그리고 데이터 및 동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선로의 종단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인클로저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위치(Emin, Emax)들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증분 하에서 길이 방향(X)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는,
    다양한 깊이 위치들에 장착하기 위한 그리고 데이터 및 동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선로의 종단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인클로저 조립체.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차폐 요소(116)는 하우징 보조-조립체(120)의 일부인,
    다양한 깊이 위치들에 장착하기 위한 그리고 데이터 및 동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선로의 종단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인클로저 조립체.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식 보조-조립체(121)는 적어도 완전 조립 상태(C)에서 유지 섹션(106)과 상호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134)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리테이너(112)를 포함하며, 그에 의해서 스프링 리테이너(112)와 리테이너 부싱(104)의 서로에 대한 이동이 적어도 길이 방향(X)을 따라 방지되는,
    다양한 깊이 위치들에 장착하기 위한 그리고 데이터 및 동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선로의 종단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인클로저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112)는 완전 조립 위치(C)에서 길이 방향(X)으로 또는 길이 방향(X)의 반대로 하우징 보조-조립체(120)에 지지되는,
    다양한 깊이 위치들에 장착하기 위한 그리고 데이터 및 동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선로의 종단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인클로저 조립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완전 조립 상태(C)에서,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112)는 하우징 보조-조립체(120)에 형성된 가동 섹션(147)에 의해 스프링 리테이너(112)의 가동 기관(138)에 유지 상태(K)로 유지되는,
    다양한 깊이 위치들에 장착하기 위한 그리고 데이터 및 동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선로의 종단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인클로저 조립체.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보조-조립체(120)가 내부 본체(111), 적어도 인클로저 조립체(100, 100')의 완전 조립 상태(C)에서 내부 본체(11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취하는 외부 셀(110), 및 적어도 완전 조립 상태(C)에서 내부 본체(111)를 외부 셀(110)에 연결하는 잠금 기구(123)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기구(123)가 내부 본체(111)뿐만 아니라 외부 셀(110)에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X)으로 적어도 완전 조립 상태(C)에서 외부 셀(110)에 대한 내부 본체(111)의 이동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베이어닛 커플링(bayonet coupling; 125)을 포함하는,
    다양한 깊이 위치들에 장착하기 위한 그리고 데이터 및 동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선로의 종단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인클로저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어닛 커플링(125)은 외부 셀(110)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 본체(111)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1 핀(131)을 취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슬롯(127)을 포함하는,
    다양한 깊이 위치들에 장착하기 위한 그리고 데이터 및 동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선로의 종단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인클로저 조립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123)는 정합 인클로저 조립체(400)에 상기 인클로저 조립체(100, 100')를 연결하기 위한 제 2 베이어닛 커플링(126)의 일부로서 외부 셀(11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슬롯(128)을 더 포함하는,
    다양한 깊이 위치들에 장착하기 위한 그리고 데이터 및 동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선로의 종단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인클로저 조립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슬롯(127) 및 제 2 슬롯(128)은 전이 슬롯(129)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다양한 깊이 위치들에 장착하기 위한 그리고 데이터 및 동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선로의 종단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인클로저 조립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슬롯(128)은 삽입 개구(130)를 통해서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다양한 깊이 위치들에 장착하기 위한 그리고 데이터 및 동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선로의 종단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인클로저 조립체.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환형 밀봉 요소(114)를 갖춘 밀봉 보조-조립체(122), 및 하우징 보조-조립체(120)와 절첩식 보조-조립체(121) 중의 하나 이상과 밀봉 요소(114) 사이에 배열되며 길이 방향(X)으로 하나 이상의 밀봉 요소(114)의 압축에 기여하는 하나 이상의 와셔(113)를 더 포함하는,
    다양한 깊이 위치들에 장착하기 위한 그리고 데이터 및 동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선로의 종단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인클로저 조립체.
KR1020150101606A 2014-07-18 2015-07-17 인클로저 조립체 KR1021178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77612.0A EP2975700B1 (en) 2014-07-18 2014-07-18 Enclosure assembly
EP14177612.0 2014-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362A KR20160010362A (ko) 2016-01-27
KR102117831B1 true KR102117831B1 (ko) 2020-06-03

Family

ID=51212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606A KR102117831B1 (ko) 2014-07-18 2015-07-17 인클로저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18701B2 (ko)
EP (2) EP3573193A1 (ko)
JP (1) JP6595243B2 (ko)
KR (1) KR102117831B1 (ko)
CN (1) CN1053751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20210S1 (en) * 2015-01-26 2018-06-12 Tyco Electronics Svenska Ab Electrical or optical connector
MX2018010849A (es) * 2016-03-08 2019-01-10 Hubbell Inc Montajes de enchufe protectores contra traccion/tirones para cableado electrico.
US10802239B2 (en) * 2016-07-07 2020-10-13 Afl Telecommunications Llc Optical fiber trunk cable breakout canisters and assemblies
CN106680942B (zh) * 2016-10-28 2019-06-11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器及连接器壳体
CN106443898B (zh) * 2016-10-28 2019-06-11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连接器
WO2018094223A1 (en) * 2016-11-17 2018-05-2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Potting boot and in-lin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7011387B2 (ja) 2016-12-06 2022-02-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20180241139A1 (en) * 2017-02-23 2018-08-23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DE102018103015A1 (de) * 2018-02-09 2019-08-14 Stabilus Gmbh Steckkontaktanordnung
USD892745S1 (en) * 2018-10-02 2020-08-11 Nielsen-Kellerman Co. Bus connector plug
CN111007597A (zh) * 2018-10-08 2020-04-14 扇港元器件有限公司 一种光学连接器
US10938153B2 (en) 2018-11-06 2021-03-02 Optim Microwave Inc. Waveguide quick-connect mechanism, waveguide window/seal, and portable antenna
EP4176493A1 (en) * 2020-07-01 2023-05-10 CommScope Technologies LLC Power cable connectors and assemblies
CN112835147B (zh) * 2020-12-30 2021-11-12 上海毕科电子有限公司 一种附接到连接器本体带有屏蔽件的通信连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1398A (ja) * 2003-03-15 2004-10-07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ケーブル螺合装置
JP2005310640A (ja) * 2004-04-23 2005-11-04 Omron Corp コネクタ
US20120190234A1 (en) * 2010-04-14 2012-07-26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Cover for cable connectors
JP2014026134A (ja) * 2012-07-27 2014-02-0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プラグ及び光コネクタ接続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19702A (en) * 1978-03-30 1982-03-09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ce Of Her Majesty's Canadian Government Parametric frequency division
DE3022102C1 (de) * 1980-06-12 1981-11-26 Georg Dipl.-Ing. Dr.-Ing. 8152 Feldkirchen-Westerham Spinner Koaxialer HF-Steckerverbinder
US4365214A (en) * 1980-09-24 1982-12-21 American Electronic Laboratories, Inc. Semiconductor mounting and matching assembly
FR2579837B1 (fr) * 1985-03-29 1987-06-05 Bonhomme F R Serre-cable pour installations electriques
US5722846A (en) * 1990-04-30 1998-03-03 The Boeing Company Bayonet coupling, low impedance, vibration resistant cable clamp
CN1338135B (zh) * 1999-01-26 2010-10-13 加利福尼亚理工学院 具有光谐振器的光电振荡器
TW539307U (en) * 1999-08-24 2003-06-21 Hon Hai Prec Ind Co Ltd Plug connector
US7042305B2 (en) * 2002-12-20 2006-05-09 Com Dev Ltd. Transmission line termination
US7758389B2 (en) * 2008-01-25 2010-07-2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having a movable plug
DE102009011388B3 (de) * 2009-03-03 2010-08-05 Harting Electronics Gmbh & Co. Kg Steckverbinder für Lichtwellenleiter
JP5080600B2 (ja) * 2010-02-26 2012-11-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内蔵プラグ
JP5707808B2 (ja) * 2010-09-21 2015-04-30 富士通株式会社 結合デバイス
EP2579396B1 (en) * 2011-10-04 2016-12-21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Shielded enclosure assembly for at least one in particular standardized connector on a cab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1398A (ja) * 2003-03-15 2004-10-07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ケーブル螺合装置
JP2005310640A (ja) * 2004-04-23 2005-11-04 Omron Corp コネクタ
US20120190234A1 (en) * 2010-04-14 2012-07-26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Cover for cable connectors
JP2014026134A (ja) * 2012-07-27 2014-02-0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プラグ及び光コネクタ接続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18701B2 (en) 2017-04-11
EP2975700A1 (en) 2016-01-20
JP6595243B2 (ja) 2019-10-23
US20160018603A1 (en) 2016-01-21
KR20160010362A (ko) 2016-01-27
EP2975700B1 (en) 2019-08-21
CN105375171A (zh) 2016-03-02
EP3573193A1 (en) 2019-11-27
JP2016029654A (ja) 2016-03-03
CN105375171B (zh)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831B1 (ko) 인클로저 조립체
EP2302431B1 (en) Sealing enclosure for a connector on a cable, such as a standardised fibre-optic connector
ES2777851T3 (es) Conector óptico de fibra endurecido compatible con adaptadores ópticos de fibra endurecidos y no endurecidos
US8083416B2 (en) Hybrid fiber/copper connector system and method
US8357016B2 (en) Plug connector with adapter
US7182617B1 (en) Harsh environment sealing apparatus for a cable end and cable termination and associated methods
CA3125271C (en) Multiport assemblies including mounting features or dust plugs
JP6612535B2 (ja) ケーブルを保護するためのコルゲートチューブ、ハウジングをコルゲートチューブ上に結合するためのファスナ、およびコルゲートチューブをハウジングに封止するための封止要素
WO2022088841A1 (zh) 光纤连接器插头组件、光纤连接器组件及通信设备
CA2828814A1 (en) Modular plug connectors
CN113261215A (zh) 具有防脱结构的电缆端子组件
JP2023538690A (ja) ファイバコネクタプラグ、ファイバアダプタ、コネクタアセンブリ、および通信デバイス
WO2020133423A1 (zh) 光纤连接头、预制光纤、适配器、光纤盒及光纤连接组件
JP7459246B2 (ja) プリコネクタ及び通信装置
US9407073B2 (en) Guiding support and kit for terminating a transmission cable
AU2019204256A1 (en) Coupling for forming an optical plug connection
US9634442B2 (en) System of plug connectors fixed on mounting rails
WO2023043917A1 (en) Converters for fiber optic connectors
CN117855946A (zh) 连接器、连接组件和连接组
JP2011007839A (ja) 光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