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196B1 - 커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신발 밑창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커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신발 밑창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196B1
KR102117196B1 KR1020190109806A KR20190109806A KR102117196B1 KR 102117196 B1 KR102117196 B1 KR 102117196B1 KR 1020190109806 A KR1020190109806 A KR 1020190109806A KR 20190109806 A KR20190109806 A KR 20190109806A KR 102117196 B1 KR102117196 B1 KR 102117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shoe sole
oil
coffee grounds
gr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주텍
Priority to KR1020190109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26Composites, e.g. carbon fibre or aramid fibre; the sole, one or more sole layers or sole part being made of a composit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찌꺼기에서 추출된 커피 오일, 커피 오일이 제거된 커피찌꺼기 미세분말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된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신발 밑창용 부재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a) 커피찌꺼기를 건조시키는 단계; b) 상기 건조된 커피찌꺼기를 열 압착하여 커피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커피 오일이 제거된 커피찌꺼기를 분쇄하여 커피찌꺼기 미세분말로 만드는 단계; d) 상기 커피찌꺼기 미세분말과 상기 커피 오일을 유동성 고분자 수지와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조성물을 금형에 넣어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발 밑창용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커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신발 밑창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Sole of shoes comprising coffee wastes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커피 추출 후 버려지는 커피찌꺼기를 재활용하여 제조되는 친환경 신발 밑창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커피 소비량은 세계 7위로서, 업계에 따르면 국내 커피찌꺼기는 2014년 약 10만7천톤이 발생한 데 이어 2016년 약 12만4천톤, 2017년 약 13만톤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고, 최근 5년간 버려진 커피찌꺼기는 57만톤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커피 원두는 약 0.2%만이 커피로 추출되고 나머지 99.8%는 커피찌꺼기로 발생되기 때문에 소비되는 커피 원두 양 자체가 버려지는 커피찌꺼기 양과 같다. 커피찌꺼기는 일반 생활폐기물로 분류되어 그동안 소각 처리되다가, 2018년 5월 환경부는 커피찌꺼기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을 개정되면서 여러 용도로 재활용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커피찌꺼기는 일반적으로 방향제나 탈취제, 친환경 비료, 고형연료, 인테리어 마감재 등으로 재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커피찌꺼기를 이용하여 바이오원유를 생산하는 기술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발생되는 커피찌꺼기의 재활용률은 아직 낮고, 대부분은 폐기 처분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다양한 재활용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커피찌꺼기는 방향, 탈취, 항균 기능이 있어 이를 신발의 재료로 이용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40347호는 커피찌꺼기를 재활용한 신발 밑창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의 제조 방법은 커피찌꺼기를 건조하고, 분쇄하여 분말로 만든 다음,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커피찌꺼기 분말을 유동성 바인더와 혼합한 후 신발 밑창 부재의 형태로 가압 성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특허에 따르면 가수분해는 커피찌꺼기를 더욱 미세화하고, 유연화된 형태로 변성시키고, 커피찌꺼기의 뭉침을 방지하며, 유동성 바인더와의 혼합성을 증진시키는 여러 장점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가수분해를 위하여 커피찌꺼기를 강산성 용액인 황산 수용액 또는 강염기염 용액인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넣어 가수분해시키는 데, 이러한 강산, 강염기는 매우 강한 유독성 물질이어서 제조 공정에 위험성이 있으며, 신발은 인체에 착용되는 것이어서 강산, 강염기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면 발이나 피부를 자극하여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가수분해 공정 및 후 건조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한편, 신발은 크게 갑피(upper)와 밑창(sole)으로 구성된다. 갑피는 신발의 외관 디자인과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밑창은 신발의 하부 부분으로 발바닥 보호와 함께, 인체의 하중 및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신발 밑창(sole)은 일반적으로 겉창(outsole), 중창(midsole) 및 안창(insole)으로 구성되는 데, 겉창은 지면과 접하는 부분으로 신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안정감을 주는 역할을 하고, 중창은 안창과 겉창 사이에 삽입되는 중간층으로서 보행시 발에 걸리는 충격을 흡수,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안창은 직접 발과 접하는 부분으로 땀을 흡수하고 적당한 쿠션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운동화, 스니커즈, 캔버스화와 같은 신발은 착용감과 활동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밑창에 적절한 탄성과 쿠션이 요구되는 데, 이러한 밑창은 주로 폴리우레탄(PU) 수지,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합성고무와 같은 다양한 고분자 수지를 발포 성형함으로써 셀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발포에는 고분자 수지 외에 계면활성제, 발포제, 가소제 등 다양한 성분이 첨가된다. 특히 폴리우레탄, 에틸비닐아세테이드 발포체의 제조에는 통상적으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이용되어 왔다.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PU, EVA 성분의 유화제로 성형시 발포 셀의 크기를 조절하는 한편, 발포 셀의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안정화제로서 기능을 한다.
Figure 112019091355692-pat00001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이러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주된 고분자 수지에 비하면 비록 소량 첨가되지만 원료 면에서 고가의 화합물이어서 이를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첨가제로 대체할 수 있다면 그 만큼 제조에 유리할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4034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유해성분이 없어 안전하고, 친환경적이며, 저비용으로 제조되는 신발 밑창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피찌꺼기에서 추출된 커피 오일, 커피 오일이 제거된 커피찌꺼기 미세분말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된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신발 밑창용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상기 커피 오일은 커피찌꺼기를 열 압착하여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상기 커피찌꺼기 분말의 평균직경은 3 ~ 200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상기 신발 밑창용 부재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고분자 수지 60 ~ 95 중량%, 커피찌꺼기 5 ~ 40 중량%, 커피 오일 0.5 ~ 3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우레탄(PU) 수지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a) 커피찌꺼기를 건조시키는 단계; b) 상기 건조된 커피찌꺼기를 열 압착하여 커피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커피 오일이 제거된 커피찌꺼기를 분쇄하여 커피찌꺼기 미세분말로 만드는 단계; d) 상기 커피찌꺼기 미세분말과 상기 커피 오일을 유동성 고분자 수지와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조성물을 금형에 넣어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발 밑창용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a) 수거된 커피찌꺼기를 열 압착하여 커피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커피 오일이 제거된 커피찌꺼기를 건조시키는 단계; c) 상기 건조된 커피찌꺼기를 분쇄하여 커피찌꺼기 미세분말로 만드는 단계; d) 상기 커피찌꺼기 미세분말과 상기 커피 오일을 유동성 고분자 수지와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조성물을 금형에 넣어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발 밑창용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상기 커피 오일 추출은 90℃ 이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상기 신발 밑창용 부재의 중량비는 고분자 수지 60 ~ 95 중량%, 커피찌꺼기 5 ~ 40 중량%, 커피 오일 0.5 ~ 3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조성물을 펠렛 또는 파우더 형태로 만든 후, 상기 펠렛 또는 파우더를 금형에 넣어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상기 e)단계에서 커피 오일이 함유된 금형 이형제를 금형에 도포한 다음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신발 밑창 부재는 커피찌꺼기를 재활용하는 한편,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커피찌꺼기의 성분으로 최적, 최대로 이용함으로써 종래 신발 부재에 비해 화학물질의 사용을 낮춰 생산비용, 생산시간 면에서 유리하고 친환경적인 신발 밑창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용 부재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용 부재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신발 밑창용 부재(a)(실시예 1)와 종래 기술로 제조된 신발 밑창용 부재(b)(비교예 1)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신발 밑창용 부재(중창)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커피 추출 후 버려지는 커피찌꺼기를 재활용하여 신발 밑창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기술과 다른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특징 중 하나는 커피찌꺼기 파쇄 분말 자체가 아니라 커피찌꺼기로부터 커피 오일을 추출하고, 오일 추출 후 커피찌꺼기를 미쇄 분쇄(미세화)한 다음, 추출된 커피오일과 커피찌꺼기 미세분말을 신발 밑창용 부재의 주요 성분으로 이용하는 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은 PU 또는 EVA 수지의 성형에 주로 사용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유화제 및 안정제)를 상기 추출된 커피 오일이 어떠한 화학적 개질이나 변화 없이 그 성분 자체로 대체 계면활성제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용 부재는 a) 커피찌꺼기에서 추출된 커피 오일, b) 커피 오일이 제거된 커피찌꺼기 분말 및 c)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된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용 부재의 제조 공정도이다.
상기 도 1에 따른 신발 밑창용 부재의 제조 방법은 a) 커피찌꺼기를 건조시키는 단계; b) 상기 건조된 커피찌꺼기를 열 압착하여 커피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커피 오일이 제거된 커피찌꺼기를 분쇄하여 커피찌꺼기 미세분말로 만드는 단계; d) 상기 커피찌꺼기 미세분말과 상기 커피 오일을 유동성 고분자 수지와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조성물을 금형에 넣어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용 부재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2에 따른 신발 밑창용 부재의 제조 방법은 a) 수거된 커피찌꺼기를 열 압착하여 커피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커피 오일이 제거된 커피찌꺼기를 건조시키는 단계; c) 상기 건조된 커피찌꺼기를 분쇄하여 커피찌꺼기 미세분말로 만드는 단계; d) 상기 커피찌꺼기 미세분말과 상기 커피 오일을 유동성 고분자 수지와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조성물을 금형에 넣어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발 밑창용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커피찌꺼기는 커피를 추출하고 남은 커피찌꺼기로서, 일반적으로 커피 전문점, 카페, 가정 등에서 버려지는 것을 수거하여 얻어진다. 수거된 커피찌꺼기는 그대로 다음 공정에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이물질 제거, 세척, 살균, 소독 과정이 부가될 수 있다.
수거된 커피찌꺼기는 통상적으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수분함량 20~40 %). 본 발명에서 수거된 커피찌꺼기는 수분 제거 없이 그대로 커피 오일이 추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커피 오일 추출물은 정치 또는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커피 오일 성분을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커피 오일의 원활한 추출을 위해서는 수거된 커피찌꺼기는 충분히 또는 완전히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피찌꺼기는 자연 건조, 가열 건조, 냉풍 건조, 열풍 건조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는 데, 건조효율 면에서 가열 건조 또는 열풍 건조가 더욱 바람직하다. 커피찌꺼기는 80℃ ~ 90℃에서 24시간 정도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된 커피찌꺼기의 수분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커피찌꺼기의 수분함량은 후술하는 밑창용 부재의 성형시 발포 물성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커피찌꺼기로부터 커피 오일이 추출된다. 커피 오일의 추출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추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물리적 추출은 착유기에서 커피찌꺼기를 가열하면서 고압으로 압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리적 추출은 화학적 추출에 비해 비용, 시간 면에서 장점이 있다.
상기 착유기에서 추출되는 착유액(커피 오일 추출물)은 대부분이 커피 오일이나, 이외 외에도 다양한 커피성분, 불순물이 포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착유액을 필터하거나, 정치하여 상등액을 취하거나, 원심분리하여 커피 오일을 수집할 수 있다.
착유기를 통한 커피 오일의 추출은 커피찌꺼기에 열을 가하고, 고압으로 압착(스크류 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는 제한되지는 않으나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 온도가 낮으면 커피 오일의 추출량이 적을 수 있고, 너무 높으면 커피찌꺼기 또는 커피 오일의 변성이 발생될 수 있다.
커피찌꺼기에서 추출되는 커피 오일의 양은 통상 10% ~ 15% 정도이다.
본 발명에서 커피 오일이 제거된 커피찌꺼기는 다시 분쇄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분쇄는 1차적으로는 고압 착유하여 덩어리진 커피찌꺼기를 다시 분말화하는 것이며, 2차적으로는 커피찌꺼기는 더욱 작은 분말로 만들어 고분자 수지와 잘 혼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수거된 커피찌꺼기는 원두의 그라인딩, 추출 방식(드립식, 가압식 등)에 따라 그 입자 크기는 다양하나, 작은 입자라도 신발 밑창용 부재에 이용하기에는 혼합성, 물성 면에서 부적합하다. 따라서 수거된 커피찌꺼기는 자체에 다량의 커피 오일을 함유하고 있어 미세화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서 커피 오일이 제거된 커피찌꺼기는 수거 커피찌꺼기에 비해 더욱 효과적으로 미세화될 수 있다. 이는 커피 오일의 제거로 커피찌꺼기의 유분에 의한 결합력을 낮추기 때문이다.
상기 분쇄된 커피찌꺼기 분말의 평균직경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3 ~ 200 ㎛, 바람직하게는 3 ~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60 ㎛, 가장 바람직하게는 3 ~ 30 ㎛이다. 상기 커피찌꺼기 분말의 미세화는 고분자 수지와의 혼화성 뿐 아니라 성분들의 전체 표면적 증가에 따른 탈취, 항균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커피찌꺼기의 분쇄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예컨대, 볼 밀(ball mill) 등을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미세화가 가능하다.
상기 얻어진 커피 오일과 커피찌꺼기 분말은 유동성 고분자 수지와 혼합된다.
신발 밑창용 부재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고분자 수지 60 ~ 95 중량%, 커피찌꺼기 5 ~ 40 중량%, 커피 오일 0.5 ~ 3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신발 밑창에 사용되는 공지된 고분자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PU) 수지,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수지는 모노머를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고,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종래 기술과 다른 기술적 특징은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의 발포에 유화제 및 안정제로 사용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대신 커피 오일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필요없거나 실질적으로 매우 적은 량으로 사용되고, 이를 커피 오일 그 자체가 어떠한 화학적 개질없이 계면활성제로 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커피찌꺼기, 커피 오일, 고분자 수지가 혼합된 조성물은 신발 밑창용 부재를 위해 금형에서 발포 성형된다.
상기 발포 성형 후 신발 밑창용 부재를 금형에서 잘 분리하도록 필요에 따라서는 금형 이형제가 금형에 미리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금형 이형제로 상기 추출된 커피 오일이 이용될 수 있다. 커피 오일을 금형 이형제로 이용함으로써 밑창 부재의 원활한 이형과 함께 밑창 부재 표면에 커피 성분의 방향과 항균 기능이 더욱 부가될 수 있다.
실시예 1. 커피찌꺼기 및 커피 오일이 함유된 신발 밑창용 부재의 제조
커피 전문점에서 수거된 커피찌꺼기를 80 ℃에서 24시간 열풍 건조시켜 수분을 거의 제거하였다.
상기 건조된 커피찌꺼기를 착유기에 넣어 100 ℃에서 열 압착하여 커피 오일 추출물을 얻은 다음 24시간 정치시켜 커피 오일(상등액)과 불순물(고형물)로 층분리하여 커피 오일을 추출하였다.
상기 커피 오일이 제거된 커피찌꺼기 덩어리를 볼 밀(ball mill)에 넣고 분쇄하여 커피찌꺼기 미세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준비된 커피찌꺼기 미세분말 10 중량%와 커피 오일 1중량 %를 폴리우레탄 수지 89%와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경화시켜 펠렛 형태로 가공한 다음, 금형에 펠렛 조성물을 소량의 발포제와 함께 넣고 가열, 압착하여 신발 밑창용 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커피찌꺼기가 함유된 신발 밑창용 부재의 제조
커피 전문점에서 수거된 커피찌꺼기를 80 ℃에서 24시간 열풍 건조시켜 수분을 거의 제거한 다음, 볼 밀에 넣고 분쇄하여 커피찌꺼기 미세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준비된 커피찌꺼기 미세분말 10 중량%와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1중량 %를 폴리우레탄 수지 89%와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경화시켜 펠렛 형태로 가공한 다음, 금형에 펠렛 조성물을 소량의 발포제와 함께 넣고 가열, 압착하여 신발 밑창용 부재를 제조하였다.
도 3에서 (a)는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신발 밑창용 부재이고, (b)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신발 밑창용 부재의 사진이다.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신발 밑창용 부재의 커피찌꺼기 입자 크기는 동일 조건에서 분쇄한 비교예 1에 비해 더욱 미세화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커피 오일을 첨가한 실시예 1의 신발 밑창용 부재는 실리콘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혼화성, 안정성에서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신발 밑창용 부재(중창)의 사진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전용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커피찌꺼기에서 추출된 커피 오일, 커피 오일이 제거된 커피찌꺼기 미세분말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된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신발 밑창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오일은 커피찌꺼기를 열 압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용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찌꺼기 분말의 평균직경은 3 ~ 2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용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밑창용 부재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고분자 수지 60 ~ 95 중량%, 커피찌꺼기 5 ~ 40 중량%, 커피 오일 0.5 ~ 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용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우레탄(PU) 수지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용 부재.
  6. a) 커피찌꺼기를 건조시키는 단계;
    b) 상기 건조된 커피찌꺼기를 열 압착하여 커피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커피 오일이 제거된 커피찌꺼기를 분쇄하여 커피찌꺼기 미세분말로 만드는 단계;
    d) 상기 커피찌꺼기 미세분말과 상기 커피 오일을 유동성 고분자 수지와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조성물을 금형에 넣어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용 부재의 제조 방법.
  7. a) 수거된 커피찌꺼기를 열 압착하여 커피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커피 오일이 제거된 커피찌꺼기를 건조시키는 단계;
    c) 상기 건조된 커피찌꺼기를 분쇄하여 커피찌꺼기 미세분말로 만드는 단계;
    d) 상기 커피찌꺼기 미세분말과 상기 커피 오일을 유동성 고분자 수지와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조성물을 금형에 넣어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용 부재의 제조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오일 추출은 90℃ 이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용 부재의 제조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밑창용 부재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고분자 수지 60 ~ 95 중량%, 커피찌꺼기 5 ~ 40 중량%, 커피 오일 0.5 ~ 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용 부재의 제조 방법.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조성물을 펠렛 또는 파우더 형태로 만든 후, 상기 펠렛 또는 파우더를 금형에 넣어 성형하여 신발 밑창용 부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용 부재의 제조 방법.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커피 오일이 함유된 금형 이형제를 금형에 도포한 다음 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용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190109806A 2019-09-04 2019-09-04 커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신발 밑창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17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806A KR102117196B1 (ko) 2019-09-04 2019-09-04 커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신발 밑창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806A KR102117196B1 (ko) 2019-09-04 2019-09-04 커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신발 밑창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196B1 true KR102117196B1 (ko) 2020-06-01

Family

ID=71083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806A KR102117196B1 (ko) 2019-09-04 2019-09-04 커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신발 밑창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1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270B1 (ko) 2020-11-26 2021-05-31 김애지 커피 찌꺼기를 활용한 설거지 전처리용 가루 세정제
KR102279221B1 (ko) * 2020-11-19 2021-07-19 주식회사 오투랩 친환경 업사이클링 가능한 신발용 부재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 신발용 부재
US20220410517A1 (en) * 2021-06-24 2022-12-29 Fuerst Group,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coffee grinds
KR20230022702A (ko) 2021-08-09 2023-02-16 정소진 코코넛 화이버를 포함하는 논슬립 아웃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44758A (ko) 2022-09-29 2024-04-05 (주)윌라밋코리아 커피분말을 함유한 신발중창과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124A (ko) * 2014-01-27 2015-08-05 송주빈 기능성 커피 비누 제조방법
KR101740347B1 (ko) 2015-12-18 2017-05-29 박종문 커피 찌꺼기를 재활용한 신발 밑창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799705B1 (ko) * 2016-12-19 2017-11-20 우현숙 다기능성 신발깔창과 그 제조방법
JP2018159046A (ja) * 2017-03-21 2018-10-11 株式会社岡村鉄工所 植物食材系潤滑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124A (ko) * 2014-01-27 2015-08-05 송주빈 기능성 커피 비누 제조방법
KR101740347B1 (ko) 2015-12-18 2017-05-29 박종문 커피 찌꺼기를 재활용한 신발 밑창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799705B1 (ko) * 2016-12-19 2017-11-20 우현숙 다기능성 신발깔창과 그 제조방법
JP2018159046A (ja) * 2017-03-21 2018-10-11 株式会社岡村鉄工所 植物食材系潤滑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221B1 (ko) * 2020-11-19 2021-07-19 주식회사 오투랩 친환경 업사이클링 가능한 신발용 부재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 신발용 부재
WO2022107917A1 (ko) * 2020-11-19 2022-05-27 (주)오투랩 친환경 업사이클링 가능한 신발용 부재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 신발용 부재
KR102258270B1 (ko) 2020-11-26 2021-05-31 김애지 커피 찌꺼기를 활용한 설거지 전처리용 가루 세정제
KR102267778B1 (ko) 2020-11-26 2021-06-22 김애지 커피 찌꺼기를 활용한 친환경 기름때 세척 방법
US20220410517A1 (en) * 2021-06-24 2022-12-29 Fuerst Group,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coffee grinds
KR20230022702A (ko) 2021-08-09 2023-02-16 정소진 코코넛 화이버를 포함하는 논슬립 아웃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44758A (ko) 2022-09-29 2024-04-05 (주)윌라밋코리아 커피분말을 함유한 신발중창과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196B1 (ko) 커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신발 밑창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49616B1 (ko) 신발류 물품, 재생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신발류를 성형하기 위한 제조 시스템 및 공정
KR101740347B1 (ko) 커피 찌꺼기를 재활용한 신발 밑창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US20200305540A1 (en) Ecological footwear elaborated from recycled plastic fibers and recycled or disposal organic material, product and process
JP7298946B2 (ja) インソールスクラップリサイクル方法、靴用発泡体、及びインソールスクラップ粉砕物
US20220264998A1 (en) 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reusable waste and surplus materials
KR100986452B1 (ko) 천연 라텍스를 주제로 한 신발 밑창의 제조방법
CN106046307A (zh) 一种用于鞋材的耐黄变的聚氨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997296B (zh) 一种多密度耐用弹性减震发泡中底及配方
KR101622706B1 (ko) 친환경 항균 신발중창의 성형체 제조방법
CN108995263A (zh) 一种环保型鞋底的成型工艺
GB2474015A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insole
KR102279221B1 (ko) 친환경 업사이클링 가능한 신발용 부재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 신발용 부재
KR101503360B1 (ko)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진 신발용 쿠션 및 그 제조 방법
US20220080689A1 (en) Environmentally Friendly Sho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202011852A (zh) 用於形成鞋底材料的組成物與環保拖鞋
KR20110013945A (ko) 신발 인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7241U (ko) 유기입자 성형 신발창
KR101386407B1 (ko)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 및 신발 중창의 제조방법
US2010000560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nvironmental protection insole
CN114073357A (zh) 环保鞋材及其制备方法
CN208821801U (zh) 鞋料件
TWI698327B (zh) 鞋料件的製造方法
WO2020000355A1 (zh) 鞋料件的制造方法
KR101067512B1 (ko) 이브이에이 발포체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그 발포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