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194B1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194B1
KR102117194B1 KR1020190076108A KR20190076108A KR102117194B1 KR 102117194 B1 KR102117194 B1 KR 102117194B1 KR 1020190076108 A KR1020190076108 A KR 1020190076108A KR 20190076108 A KR20190076108 A KR 20190076108A KR 102117194 B1 KR102117194 B1 KR 102117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queeze
waste water
body fram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택
Original Assignee
임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택 filed Critical 임진택
Priority to KR1020190076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10Hydraulically loosening or dislodging undesirable matter; Raking or scraping apparatus ; Removing liquids or semi-liquids e.g., absorbing water, sliding-off mud
    • E01H1/101Hydraulic loosening or dislodging, combined or not with mechanical loosening or dislodging, e.g. road washing machines with brushes or wipers
    • E01H1/103Hydraulic loosening or dislodging, combined or not with mechanical loosening or dislodging, e.g. road washing machines with brushes or wipers in which the soiled loosening or washing liquid is removed, e.g. by su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캐스터가 설치된 차체 프레임과,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고 지면의 오염물을 수거하여 바닥을 청소하는 기기를 갖는 청소하는 청소유닛과, 상기 청소유닛에서 오염물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집수기 및 상기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 프레임의 이동방향을 조향하는 조향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집수기는 상기 청소유닛과 연동되어 상기 청소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청소유닛의 오염물을 상기 청소유닛으로부터 분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청소기{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장과 같은 넓은 면적을 갖는 지면으로부터 물기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오염된 건조한 지면을 손쉽게 물청소하고 건조시킬 수 있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걸레(mop)는 긴 말대 자루가 달린 걸레를 가리키는 것으로 막대 자루의 끝에 천이나 헝겊으로 된 걸레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대걸레는 주로 바닥을 닦는데 사용되며, 특히 닦아야 할 공간이 많은 빌딩의 플로어, 로비 및 주차장 등의 바닥을 닦을 때 대걸레가 많이 사용된다.
한편, 대걸레는 막대 자루를 잡고 천이나 헝겊으로 된 걸레를 바닥에 대고 밀면서 청소하기 때문에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대걸레는 청소뿐만 아니라 젖은 바닥에서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대걸레는 바닥과 접촉하는 면적이 협소하기 때문에 바닥을 청소하거나 바닥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러번에 걸쳐 걸레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하거나 걸레가 머금은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걸레를 짜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대걸레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공개특허 제10-1998-079217호의 "물걸레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하부에 바퀴가 설치된 물통에 다수의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어 엔드레스(endless) 타입의 걸레가 각 가이드 롤러에 지지되어 장력이 유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부연하자면,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물걸레 청소기는 가이드 롤러 중 일부가 엔드레스 타입의 걸레가 물통을 지나도록 물통의 내부에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며, 또한 가이드 롤러의 일부는 걸레를 청소하고자 하는 바닥과 접촉할 수 있게 물통의 외부에 설치되어 가이드 롤러와 엔드레스 타입의 걸레가 벨트 컨베이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엔드레스 타입의 걸레가 물통을 경유하여 순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엔드레스 타입의 걸레가 반드시 물통을 경유하여 세척을 하게 됨으로써, 물통에 저장된 물이 항상 오염된 상태를 갖기 때문에 물통에 저장된 물을 여러 번에 걸쳐 교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엔드레스 타입의 걸레는 가이드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장력이 조절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가이드 롤러의 파손 등의 이유로 엔드레스 타입의 걸레가 팽팽하게 긴장하지 않으면 엔드레스 타입의 걸레가 순환하지 않아 바닥을 청소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엔드레스 타입의 걸레가 다수의 가이드 롤러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엔드레스 타입의 걸레를 교체하고자 할 때 분리 및 조립에 어려움이 있다.
KR 10-1998-0079217 A (1998.11.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을 청소한 걸레로부터 오염된 물이 재순환하지 않도록 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바닥을 청소하는 걸레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젖은 바닥의 물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캐스터가 설치된 차체 프레임과, 상기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고 지면의 오염물을 수거하여 바닥을 청소하는 기기를 갖는 청소하는 청소유닛과, 상기 청소유닛에서 오염물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집수기 및 상기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 프레임의 이동방향을 조향하는 조향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집수기는 상기 청소유닛과 연동되어 상기 청소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청소유닛의 오염물을 상기 청소유닛으로부터 분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청소유닛은 지면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며 그 외주면에 수분을 머금는 섬유재가 구비된 워시롤러 및 상기 차체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차체프레임과 일체를 이루고 상기 워시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휠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휠 브라켓은 상기 차체프레임과 일체를 이루며 복수로 분할되어 일측 휠 브라켓 및 타측 휠 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일측 휠 브라켓을 상기 워시롤러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활주 가이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활주 가이드는 상기 차체프레임이나 상기 타측 휠 브라켓을 상기 차체프레임에 연결하는 행거 또는 상기 타측 휠 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고정 레일 및 상기 고정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일측 휠 브라켓과 함께 이동하는 이동레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활주 가이드는 상기 일측 휠 브라켓 및 상기 타측 휠 브라켓 중 상기 활주 가이드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일측 휠 브라켓에 인력을 제공하는 인력제공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력제공기는 상기 일측 휠 브라켓 및 상기 타측 휠 브라켓에 로드 및 실린더가 제각기 연결되어 이동하는 상기 일측 휠 브라켓에 의해 상기 로드가 수축되고, 상기 일측 휠 브라켓의 복귀를 위해 상기 로드가 신장되면서 인력을 제공하는 제1소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력제공기는 상기 일측 휠 브라켓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제1소버의 상기 로드에 타측이 고정되어 상기 제1소버를 상기 일측 휠 브라켓에 연결하는 연결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집수기는 상기 청소유닛에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오수를 흡수하는 워시롤러를 압착하여 상기 워시롤러로부터 오수를 집수가능하게 추출하는 스퀴즈 유닛 및 상기 스퀴즈 유닛에 의해 추출되는 오수를 저장하는 오수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퀴즈 유닛은 상기 워시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밀착되는 스퀴즈롤러와, 상기 스퀴즈롤러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에 마련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퀴즈롤러를 상기 워시롤러에 밀착시키는 스퀴즈서포터 및 상기 스퀴즈서포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스퀴즈롤러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력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퀴즈 유닛은 상기 스퀴즈서포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제어유닛은 상기 스퀴지서포터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스퀴즈서포터가 시이소 운동하도록 상기 제1와이어를 통해 장력을 발휘하여 상기 스퀴즈롤러를 상기 워시롤러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퀴즈 장력조절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워시롤러는 상기 휠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원통형을 이루는 섬유재질의 시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섬유재질의 시트는 상기 보빈의 외주면을 감싸는 안감, 상기 안감의 외주면을 감싸며 수분을 머금는 흡수재 및 상기 흡수재의 외주면을 감싸며 지면과 맞닿는 극세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트는 선단과 기단을 접합하는 접합선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오수통은 저수된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수위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위감지수단은 상기 오수통의 내부에 마련되어 오수의 수위에 따라 오수통의 상면을 향해 피벗하는 수위작동부와, 상기 수위작동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위작동부의 피벗 동작에 의해 상기 오수통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자성체와, 상기 오수통의 외부에서 상기 오수통의 표면을 투과하는 자력을 제공하여 상기 수위작동부에 의해 상승되는 상기 자성체를 자화시키는 마그네트 및 상기 오수통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위작동부의 상승을 경고하는 경고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오수통의 표면을 투과하는 상기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경고부재를 작동시키는 자기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위작동부는 상기 오수통의 내부에서 오수통의 상부를 향해 피벗되게 설치되는 부구서포터 및 상기 부구서포터의 선단에 설치되는 부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감지수단은 상기 오수통에 마련된 수위작동부를 향해 피벗되게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거, 상기 마그네트나 상기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탑재되는 비자성체 재질의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오수통에 오수를 공급하는 호스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오수통의 오수유입구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며 오수가 관류하는 중공형의 유로를 갖는 중공 인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공 인서트는 상기 오수유입구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오수유입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공 인서트를 상기 오수유입구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패스너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스너는 상기 오수유입구의 상면 둘레에 설치되는 자화플레이트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오수유입구의 상면에 걸림되는 날개 및 상기 날개에 설치되고 자기력이 발휘되어 상기 자화플레이트에 밀착되는 고정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공 인서트는 상기 자화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상기 오수유입구의 하면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중공 인서트가 삽입되는 절개선이 형성되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기물부재 및 상기 기밀부재를 상기 오수유입구의 하면에 밀착시켜 상기 자화플레이트와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날개는 상기 자화플레이트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자화플레이트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과 자화플레이트의 측면은 제각기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중공 인서트와 자화플레이트의 겹합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체 프레임은 상기 워시롤러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수 공급기는 상기 워시롤러의 전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유닛 및 상기 분사유닛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유닛과 세척수 저장탱크는 관로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관로는 상기 세척수 저장탱크에서 분사유닛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급수량을 제어하는 급수량 제어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량 제어밸브는 상기 조향유닛에 설치되고 장력을 발휘하는 급수량 조절레버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수량 조절레버는 장력을 다단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유닛과 세척수 저장탱크는 관로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관로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주행이 정지하는 것에 따라 상기 세척수 저장탱크에서 분사유닛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단수하는 단수 제어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수 제어밸브는 상기 차체 프레임에 피벗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조향유닛과 연동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조향유닛이 차체 프레임으로 근접하는 것에 따라 장력을 발휘하는 단수 제어유닛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수 제어유닛은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단에 피벗되게 마련되며 일측에 걸림 핀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단수 제어밸브와 연결되어 장력을 제공하는 제4와이어가 구비된 제1편심 블록 및 상기 조향유닛과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조향유닛과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조향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편심 블록의 걸림 핀에 걸림되어 상기 제4와이어의 장력 제공을 위해 상기 제1편심 블록을 회전시키는 연장 암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향유닛은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단에 기립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 암 및 상기 핸들 암의 기단에 마련되는 핸들 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핸들 바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 암의 접힘을 단속하는 접철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철 제어모듈은 상기 핸들 암이나 상기 핸들 바에 피벗 회전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조작 레버와, 상기 조작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 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기 핸들 암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가 걸림되도록 상기 차체 프레임의 힌지 블록에 형성된 걸림 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 홈은 스토퍼가 상기 핸들 암의 접철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게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체 프레임에 피벗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조향유닛의 접촉에 의해 작동하는 접촉식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접촉식 스위치는 경고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향유닛이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방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경고등이 점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핸들 암은 보조 바퀴가 마련되되, 상기 보조 바퀴는 상기 핸들 암의 선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지면을 향하는 서포터 암에 설치되고, 상기 서포터 암은 상기 차체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오수통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체 프레임은 상기 캐스터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걸레를 제공하는 리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어유닛은 상기 차체 프레임의 하부와 피벗되게 설치되는 제2편심 블록과, 선단이 상기 제2편심 블록의 타측과 연결되고 기단이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드라이 암과, 상기 드라이 암의 기단에 설치되고 후방걸레가 장착되는 걸레 서포터 및 선단이 상기 차체 프레임의 하부와 피벗되게 설치되고 기단이 상기 제2편심 블록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2편심 블록이 설정된 회전각도를 벗어나는 것에 따라 척력을 제공하는 제2소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정된 회전각도는 상기 제2소버와 제2편심 블록이 수평을 이루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라이 암의 기단은 상기 차체 프레임의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걸레 서포터의 상면에 형성되는 장착 브라켓에 장착되되,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절곡부의 자유단이 삽입되어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된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드라이 암의 기단 상면과 측면을 지지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의 상면에서 상기 걸레 서포터를 향해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드라이 암을 지지하는 볼 플런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의하면, 차체 프레임에 설치된 워시롤러가 지나가면서 젖은 지면의 물기를 빨아 들이고, 이렇게 수분을 머금은 워시롤러는 스퀴즈 롤러에 의해 오수를 분리시킴으로써, 주차장의 젖은 지면을 신속하게 닦아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오염된 건조한 지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물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수에 의해 청소된 지면을 후방걸레로 닦아 지면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후방걸레를 쉽게 접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체 프레임의 주행이 멈추는 것에 따라 세척수를 단수시키거나 또는 차체 프레임이 주행하는 것에 따라 주변에 차체 프레임의 주행을 알려주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오수통에 집수된 오수의 수위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오수통에 오수가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워시롤러가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도록 차체 프레임이 기울어질 때 오수통이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워시롤러의 외주면을 감싸는 극세사의 접합선이 나선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워시롤러가 지면과 맞닿은 상태로 회전하게 될 때 덜컥거림을 방지하여 차체 프레임이 요동치는 것을 방지하여 정숙한 상태로 주행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나태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나태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중 활주 가이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중 차체 프레임의 선단에 마련되는 활주 가이드 및 스퀴즈 유닛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중 워시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중 수위감지수단을 나타낸 분해도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중 차체 프레임의 후단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중 급수량 제어밸브 및 단수 제어밸브와 연계된 단수 제어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중 조향바퀴 및 리어유닛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중 리어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중 걸레 서포터와 드라이 암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나태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나태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캐스터(130)가 설치된 차체 프레임(100), 상기 차체 프레임(100)의 전방에 설치되고 지면과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지면을 청소하는 워시롤러(210)가 마련된 청소유닛(200), 상기 청소유닛(200)의 워시롤러(210)를 가압하여 상기 워시롤러(210)에 흡수된 오수를 분리시켜서 저장하는 집수기(300) 및 차체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차체 프레임(100)의 이동방향을 조향하는 조향유닛(400)으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중 집수기(300)는 워시롤러(210)를 압착하여 워시롤러(210)로부터 오수를 추출하는 스퀴즈 유닛(310), 상기 스퀴즈 유닛(310)에 의해 추출되는 오수를 저장하는 오수통(330)으로 구성되며, 이때 오수통(330)은 차체 프레임(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착탈을 위한 손잡이 및 오수가 소통되는 중공 인서트(340)가 마련되며 수평으로 슬라이딩되어 차체 프레임(100)으로부터 착탈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집수기(300)는 스퀴즈 유닛(310)과 오수통(330)은 상기 스퀴즈 유닛(310)에 의해 추출되는 오수를 안내하는 오수 가이드(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차체 프레임(100)은 다수의 각관이 사각 틀의 형태를 갖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는데, 차체 프레임(100)의 선단에는 청소유닛(200)의 워시롤러(210)가 마련되고 상부에 세척수 저장탱크(130)가 장착된다.
그리고, 차체 프레임(100)의 후단은 차체 프레임(100)이 주행할 때 방향 전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캐스터(130)가 설치되며, 차체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후방걸레(960) 및 청소에 필요한 기타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함이 마련될 수 있으며 후방에 조향유닛(400)이 설치된다.
이러한 차체 프레임(1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봤을 때 지면과 수평한 상태의 높이를 갖도록 평탄한 구조를 갖는 박스의 형태를 갖게 되며, 차체 프레임(100)의 양측면에는 차체 프레임(100)의 주행 중 구조물의 벽면과 충돌할 때 차체 프레임(100)을 보호하는 볼 가드(180)가 설치된다.
여기서, 볼 가드(180)는 구의 형태를 갖는 볼이 볼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는 구조를 갖게 되어 볼 가드(180)가 구조물의 벽면과 충돌할 때 볼이 회전하여 차체 프레임(100) 또는 구조물의 벽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차체 프레임(100)의 선단은 지면과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지면을 청소하는 청소유닛(200)이 마련되는데, 청소유닛(200)은 행거(220), 휠 브라켓(230), 워시롤러(210)로 구성된다.
행거(220)는 차체 프레임(100)의 전방에 위치하며 차체 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행거(22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의 형태를 갖고 차체 프레임(100)의 선단에 형성된다.
또한, 휠 브라켓(230)은 복수로 분할되어 일측 휠 브라켓(230a) 및 타측 휠 브라켓(230b)으로 구성되는데, 타측 휠 브라켓(230b)은 행거(220)의 측단에서 지면을 향해 연장되며 일측 휠 브라켓(230a)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활주 가이드(240)에 지지된다.
이러한, 일측 휠 브라켓(230a)과 타측 휠 브라켓(230b)은 제각기 워시롤러(210)가 회전되도록 지지할 수 있게 축 홀(231)이 형성된다. 이때, 축 홀(231)에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워시롤러(210)를 축받이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휠 브라켓(230)과 축 결합되어 회전되는 워시롤러(210)는 지면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워시롤러(210)는 젖은 지면으로부터 수분을 머금을 수 있게 그 외주면에 흡수재(211)가 구비되어 워시롤러(210)가 지나가는 지면의 물기를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청소유닛(200)은 워시롤러(210)를 휠 브라켓(230)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게 활주 가이드(240)가 마련되는데, 활주 가이드(240)는 행거(220)에 마련된 휠 브라켓(230) 중 일측 휠 브라켓(230a)을 워시롤러(210)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활주 가이드(24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00)이나 타측 휠 브라켓(230b)을 차체 프레임(100)에 연결하는 행거 또는 타측 휠 브라켓(230b)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고정 레일(241), 상기 고정 레일(24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측 휠 브라켓과 함께 이동하는 이동 레일(242)로 구성된다.
또한, 활주 가이드(240)는 일측 휠 브라켓(230a) 및 타측 휠 브라켓(230b) 중 활주 가이드(240)에 의해 이동하는 일측 휠 브라켓(230a)에 인력을 제공하는 인력제공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력제공기는 일측 휠 브라켓(230a) 및 타측 휠 브라켓(230b)에 로드 및 실린더가 제각기 연결되어 이동하는 일측 휠 브라켓(230a)에 의해 로드가 수축되고 일측 휠 브라켓(230a)의 복귀를 위해 로드가 신장되면서 인력을 제공하는 제1소버(243)가 될 수 있다.
또한, 인력제공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휠 브라켓(230a)에 일측이 고정되고 제1소버(243)의 로드에 타측이 고정되어 제1소버(243)를 일측 휠 브라켓(230a)에 연결하는 연결대(230c)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1소버(243)가 제각기 연결대 및 일측 휠 브라켓(230a)에 고정되면 휠 브라켓(230)이 워시롤러(210)의 측면으로 밀착되고, 워시롤러(210)를 분리할 때 사용자가 일측 휠 브라켓(230a)을 워시롤러(210)의 측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소버(243)가 신축되어 워시롤러(21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어 워시롤러(210)의 정비를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워시롤러(210)는 원통의 형상을 갖고 휠 브라켓(230)과 축 결합되는 마감판(212)이 양측면에 마련되는 보빈(211)과, 마감판(212)의 외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휠 브라켓(230)과 축 결합되어 보빈(211)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커버 휠(213)로 구성된다.
이때, 커버 휠(213)의 외주면에는 워시롤러(210)가 지면과 맞닿아 회전하게 될 때 접지력을 향상시켜 워시롤러(21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마찰링(213a)이 구비된다. 이러한 마찰링(213a)은 고무, 우레탄과 같은 탄성복원력을 발휘하며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워시롤러(210)는 지면의 젖은 수분을 신속하게 머금을 수 있게 보빈(211)의 외주면에 원통형을 이루는 섬유재질의 시트가 마련된다. 이러한 섬유재질의 시트는 보빈(211)의 외주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안감(214), 흡수재(215), 극세사(216)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워시롤러(210)를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중 워시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안감(214)은 보빈(211)의 외주면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거나 억지끼움으로 고정되어 흡수재(215)가 보빈(211)으로부터 헛도는 것을 방지하게 마찰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흡수재(215)는 스폰지와 같은 다수의 공극을 형성하며 탄성복원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지면의 수분을 머금게 된다.
또한, 극세사(216)는 흡수재(215)의 외주면을 감싸게 되며, 지면의 수분을 흡수재로 전달하게 되는 것으로 극세사(216)는 매우 가는 실로 촘촘한 조직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흡수재(215)의 외주면에 극세사(216)가 마련되면 지면의 수분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즉, 극세사(216)는 면 소재의 직물보다 흡수율이 2~5배 높아 지면의 수분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흡수재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극세사(216)는 워시롤러(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때 극세사(216)의 선단과 기단이 접합되는 접합선(216a)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극세사(216)의 선단과 기단이 중첩되어 접합되는 것에 따라 접합선(216a)은 극세사(216)의 두께보다 두꺼워지는 단차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극세사(216)의 접합선(216a)의 두께에 의해 단차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극세사(216)의 접합선(216a)이 워시롤러(210)의 축선과 평행한 상태로 형성되면 워시롤러(210)가 지면과 맞닿은 상태로 회전할 때 극세사의 접합선(216a)이 지면을 통과할 때 단차에 의해 덜컥거림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워시롤러(210)는 이러한 극세사의 접합선(216a)에 의해 발생하는 덜컥거림을 감소시키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세사(216)는 그 선단과 기단이 접합되는 접합선(216a)을 형성하여 흡수재(215)의 외주면을 감싸되, 접합선(216a)은 보빈(211)이 한 바퀴 회전할 때 나선 형태를 갖도록 하여 워시롤러(210)가 회전하게 될 때 극세사(216)의 접합선(216a)이 항시 지면과 접촉한 상태를 형성하여 워시롤러(210)의 덜컥거림을 감소시키게 된다.
한편, 청소유닛(200)의 워시롤러(210)를 가압하여 워시롤러(210)에 흡수된 오수를 분리시켜 저장하는 집수기(300)는 스퀴즈 유닛(310), 오수통(330)으로 구성된다. 이를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중 차체 프레임의 선단에 마련되는 활주 가이드 및 스퀴즈 유닛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집수기(300)를 구성하는 스퀴즈 유닛(310)은 워시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밀착되는 스퀴즈롤러(311), 상기 스퀴즈롤러(311)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에 마련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스퀴즈롤러(311)를 워시롤러(210)에 밀착시키는 스퀴즈서포터(312), 상기 스퀴즈서포터(31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스퀴즈롤러(311)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력제공부(313)로 구성된다.
또한, 스퀴즈 유닛(310)은 스퀴즈서포터(312)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며, 회전제어유닛은 스퀴즈서포터(312)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가 구비되고, 스퀴즈서포터(312)가 시이소 운동하도록 제1와이어를 통해 장력을 발휘하여 스퀴즈롤러(311)를 워시롤러(210)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퀴즈 장력조절레버(314)를 포함한다.
부연하자면, 스퀴즈롤러(311)는 워시롤러(210)의 후방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워시롤러(210)를 가압하여 흡수재(215)가 머금은 수분을 짜내거나 또는 워시롤러(210)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스퀴즈롤러(311)는 워시롤러(210)와 대등한 길이를 갖고 워시롤러(210)와 평행한 축선을 갖는 원기둥의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스퀴즈롤러(311)를 지지하는 스퀴즈서포터(312)는 차체 프레임(100)과 피벗되게 설치되고 스퀴즈롤러(311)를 워시롤러(210)에 인접하게 위치시키게 되는데, 스퀴즈서포터(312)는 스퀴즈롤러(311)의 양 측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가압력제공부(313)는 스퀴즈서포터(312)와 차체 프레임(100) 사이에 설치되어 스퀴즈롤러(311)를 워시롤러(210)를 향해 가압하는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력제공부(313)는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이 될 수 있으며, 토션 스프링의 선단은 제각기 차체 프레임(100)과 피벗되게 설치되는 스퀴즈서포터(312)에 고정되며, 토션 스프링의 기단은 차체 프레임(100)에 고정되어 토션 스프링에서 발휘되는 탄성력에 의해 스퀴즈서포터(312)가 워시롤러(210)를 향해 가압됨으로써 스퀴즈롤러(311)가 워시롤러(210)를 가압하게 된다.
또한, 스퀴즈 장력조절레버(314)는 스퀴즈서포터(312)와 연결된 상태로 장력을 발휘하여 스퀴즈롤러(311)를 워시롤러(210)로부터 이격시키게 된다. 이러한 스퀴즈 장력조절레버(314)는 조향유닛(400)을 구성하는 핸들 바(420)에 설치되며 스퀴즈 장력조절레버(314)와 스퀴즈서포터(312)는 제1와이어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스퀴즈 장력조절레버(314)와 스퀴즈서포터(312)가 제1와이어에 의해 장력이 발휘되도록 연결되면 사용자가 스퀴즈 장력조절레버(314)를 파지하여 회동시키는 것에 따라 제1와이어가 스퀴즈서포터(312)를 당기게 되어 스퀴즈롤러(311)를 워시롤러(210)로부터 이격시켜 가압력을 조절하게 됨으로써, 워시롤러(210)가 머금은 수분의 배출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렇게 스퀴즈 유닛(310)에 의해 워시롤러(210)에서 배출되는 오수는 스퀴즈롤러(311)의 하부에 마련된 오수 가이드(320)를 통해 차체 프레임(100)의 하부에 장착된 오수통(330)으로 집수된다.
이러한 오수통(330)은 오수 가이드(320)와 호스에 의해 연결되는데, 호스는 오수통(330)에 형성된 오수유입구(331)에 장착되는 중공 인서트(340)와 연결된다. 또한, 오수통(330)은 집수된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수위감지수단(350)이 마련된다. 이러한 중공 인서트(340) 및 수위감지수단(350)이 마련된 오수통(330)을 도 7 및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중 수위감지수단을 나타낸 분해도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오수통(330)에 마련되는 수위감지수단(350)은 오수통(330)의 내부에 마련되어 오수의 수위에 따라 오수통(330)의 상면을 향해 피벗하는 수위작동부(351), 상기 수위작동부(351)에 마련되어 수위작동부(351)의 피벗 동작에 의해 오수통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자성체(351c), 오수통(330)의 외부에서 상기 오수통(330)의 표면을 투과하는 자력을 제공하여 수위작동부(351)에 의해 상승되는 자성체(351c)를 자회시키는 마그네트(352b), 오수통(330)의 외부에 설치되고 오수통(330)의 표면을 투과하는 자성체(351c)의 자력에 의해 스위칭되는 자기스위치(352c) 및 상기 자기스위치(352c)의 작동에 의해 구동전원이 제어되어 수위작동부(351)의 상승을 경고하는 경고부재(352d)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수위작동부(351)는 오수통(330)의 내부에서 오수통(330)의 상부를 향해 피벗되게 설치되는 부구서포터(351a) 및 상기 부구서포터(351a)의 선단에 설치되는 부구(351b)로 구성되며 상기 부구(351b)의 상면에 자성체(351c)가 설치된다.
이러한, 수위작동부(351)은 오수통(330)에 오수가 집수되어 수위가 높아지는 것에 따라 부구(351b)가 오수통(330)의 상부를 향해 이동하여 자성체(351c)를 오수통(330)의 내측 상면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수위감지수단(350)은 오수통(330)에 마련된 수위작동부(351)를 향해 피벗되게 차체 프레임(100)의 하부에 마련되고, 마그네트(352b)나 자기스위치(352c)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탭재되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트레이(35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오수통(330)의 내부와 외부에 수위감지수단(350)가 마련되어 오수통(330)에 오수가 집수되어 수위가 높아지는 것에 따라 자성체(351c)가 오수통(330)의 내측 상면에 이동하게 된다.
이때, 트레이(352a)의 선단에 설치된 마그네트(352b)에 의해 자성체(351c)가 자화되고 이러한 자성체(351c)의 자기력 크기를 자기스위치(352c)가 감지하여 경고부재(352d)를 작동시킴으로써 오수통(330)에 집수된 오수의 양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어 오수통(330)에 오수가 흘러넘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오수통(330)에 형성된 오수유입구(331)는 중공 인서트(340)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중공 인서트(340)는 오수통에 오수를 공급하는 호스의 단부에 설치되고, 오수통의 오수유입구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며 오수가 관류하는 중공형의 유로를 갖는다.
부연하자면, 중공 인서트(340)는 오수유입구(331)에 삽입되는 삽입부(341) 및 상기 삽입부(341)와 일체로 형성되고 오수유입구(331)의 상부에 위치하는 몸체(342)로 구성된다.
한편, 오수통(330)에 형성된 오수유입구(331)는 중공 인서트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패스너가 마련된다. 이러한 패스너는 오수유입구(331)의 상면 둘레에 설치되는 자화플레이트(332), 상기 몸체(34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오수유입구(331)의 상면에 걸림되는 날개(344) 및 상기 날개(344)에 설치되고 자기력이 발휘되어 자화플레이트(332)에 밀착되는 고정자석(345)으로 구성된다.
이때, 자화플레이트(332)에 대응하여 오수유입구(331)의 하면 둘레에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기밀부재(333)가 설치된다. 이때 기밀부재(333)는 중공 인서트(340)가 삽입될 수 있게 십자 형태의 절개선이 형성된다.
또한, 기밀부재(333)의 하부에는 고정플레이트(334)가 마련되어 기밀부재(333)를 오수유입구(331)의 하면에 밀착시켜 자화플레이트(332)와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자화플레이트(332)는 바람직하게 자석에 의해 자화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오수유입구(331)에 자화플레이트(332)가 형성되고, 중공 인서트(340)의 날개(344)에 고정자석(345)이 형성되면 중공 인서트(340)를 오수유입구(331)의 근처에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고정자석(345)과 자화플레이트(332)의 인력에 의해 중공 인서트(340)를 용이하게 오수유입구(331)에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중공 인서트(340)를 오수유입구(331)에 정밀하게 정렬시킨 상태로 장착시킬 수 있도록 날개(344)는 자화플레이트(332)와 마주하는 면에 자화플레이트(332)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344a)이 형성된다.
또한, 삽입홈(344a)과 자화플레이트(332)의 측면은 제각기 경사면(344b)(332b)을 형성하여 중공 인서트(340)가 오수유입구(331)에 장착될 때 중공 인서트(340)의 삽입홈(344a)에 형성된 경사면(334b)과 자화플레이트(332)의 측면에 형성된 경사면(332b)에 안내되어 중공 인서트(340)를 오수유입구(331)에 정밀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한편, 차체 프레임(100)은 워시롤러(210)의 전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유닛(120)과, 상기 분사유닛(12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저장탱크(140)로 구성되어 워시롤러(21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기 및 차체 프레임(10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차체 프레임(100)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하는 조향유닛(400)이 마련된다.
조향유닛은(400)은 차체 프레임의 후단에 기립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 암(410), 상기 핸들 암(410)의 기단에 마련되는 핸들 바(420)로 구성된다. 이때 핸들 바(420)에는 핸들 암(410)의 접힘을 단속하는 접철 제어모듈(430)이 마련된다.
부연하자면, 핸들 암(410)은 선단이 차체 프레임(100)의 후단에 마련된 힌지 블록(150)에 피벗 회전되게 결합되어 핸들 암(410)의 기단이 차체 프레임(100)의 전방으로 회전하게 마련된다.
이와 같은 핸들 암(410)의 기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가슴으로 차체 프레임(100)을 밀며 이동할 수 있게 핸들 바(420)가 형성된다. 이러한 핸들 바(4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된 관의 형태를 갖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핸들 바(420)는 핸들 암(410)의 접힘을 단속하는 접철 제어모듈(430)이 설치되는데, 접철 제어모듈(430)은 조작 레버(431), 스토퍼(432), 걸림 홈(433),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조작 레버(431)는 핸들 바(420)의 외부 일측이나 핸들 암(410)에 피벗 회전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동하게 된다. 또한, 스토퍼(432)는 조작 레버(431)와 제3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힌지 블록(150)이 위치한 핸들 암(410)의 선단 내부에 설치되어 조작 레버(431)의 회동에 의해 핸들 암(410)을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스토퍼(432)는 일자형 핀이나 대략 T자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스토퍼(432)의 양 측단이 핸들 암(410)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렇게 돌출된 스토퍼(432)의 양 측단이 힌지 블록(150)에 형성된 걸림 홈(433)에 걸림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걸림 홈(433)은 스토퍼(432)가 걸림되도록 차체 프레임(100)의 힌지 블록(150)에 형성되는데, 힌지 블록(150)은 핸들 암(410)의 선단이 피벗 회전되도록 축 결합되며, 이러한 핸들 암(410)의 피벗 회전에 대응하는 곡율을 갖는 측벽이 형성된다. 또한, 측벽에는 앞서 설명한 스토퍼(432)가 걸림되는 걸림 홈(433)이 다수 형성되어 핸들 암(410)의 회전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는 핸들 암(410)의 선단과 스토퍼(432)를 연결하여 스토퍼(432)가 핸들 암(410)의 선단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접철 제어모듈(430)은 사용자가 조작 레버(431)를 파지하여 회동하는 것에 따라 제3와이어가 스토퍼(432)를 당겨 힌지 블록(150)에 형성된 걸림 홈(433)으로부터 스토퍼(432)를 이탈시키게 되고, 이와 반대로 조작 레버(431)의 회동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경우 탄성부재에서 발휘되는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가 힌지 블록(150)의 걸림 홈(433)에 인입되어 걸림된 상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 레버(431)를 조작하는 것에 따라 스토퍼(432)가 힌지 블록(150)의 걸림 홈(433)으로부터 이탈 또는 인입되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보관하게 되는 경우 조향유닛(400)의 핸들 암(410)을 차체 프레임(100)의 전방으로 향하게 접어 그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핸들 암(410)의 기단에 설치되는 핸들 바(420)는 핸들 암(410)과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보관하기 위해 조향유닛(400)을 차체 프레임(100)의 전방으로 접게 될 때 핸들 바(420)가 자중에 의해 경첩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조향유닛(400)의 전체 길이를 작게 하여 청소기의 부피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사유닛(12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시롤러(210)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홀이 형성된 관체로 형성되고 행거(220)의 전방에 설치된다.
이러한 분사유닛(120)은 세척수 저장탱크(140)와 관로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분사유닛(120)과 세척수 저장탱크(140)를 연결하는 관로에는 세척수 저장탱크(140)에서 분사유닛(12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급수량을 제어하는 급수량 제어밸브(500) 및 차체 프레임(100)의 주행이 정지하는 것에 따라 세척수 저장탱크(140)에서 분사유닛(12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단수하는 단수 제어밸브(700)가 마련된다. 이를 도 9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중 차체 프레임의 후단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중 급수량 제어밸브 및 단수 제어밸브와 연계된 단수 제어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급수량 제어밸브(500)는 조향유닛(400)에 설치되고 장력을 발휘하는 급수량 조절레버(600)와 연결되는데, 급수량 조절레버(600)는 조향유닛(400)을 구성하는 핸들 바(420)에 설치되며 급수량 조절레버(600)와 급수량 제어밸브(500)는 제2와이어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이, 급수량 조절레버(600)와 급수량 제어밸브(500)가 제2와이어에 의해 장력이 발휘되도록 연결되면 사용자가 급수량 조절레버(600)를 파지하여 회동시키는 것에 따라 제2와이어가 급수량 제어밸브(500)를 당기게 되어 분사유닛(12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급수량 조절레버(600)는 장력을 다단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세척수 저장탱크(140)에서 분사유닛(12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공급량을 용이하게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급수량 제어밸브(500)가 마련된 분사유닛(120)과 세척수 저장탱크(140)를 연결하는 관로에는 단수 제어밸브(700)가 마련된다. 이러한 단수 제어밸브(700)는 급수량 제어밸브(500)보다 세척수 저장탱크(140)와 가깝게 관로에 설치된다.
이러한 단수 제어밸브(700)는 조향유닛(400)에 설치되고 장력을 발휘하는 단수 제어유닛(800)과 연결되는데, 단수 제어유닛(800)은 차체 프레임(100)에 피벗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조향유닛(400)과 연동되어 회전에 의해 조향유닛(400)이 차체 프레임(100)으로 근접하는 것에 따라 장력을 발휘하게 하여 단수 제어밸브(700)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단수 제어유닛(800)은 접철 제어모듈(430)에 설치되는데, 단수 제어유닛(800)은 힌지 블록(150)에 피벗되게 설치되는 제1편심 블록(810), 스토퍼(432)와 일체로 형성되고 핸들 암(410)의 선단으로 연장되는 연장 암(820), 힌지 블록(150)에 형성된 걸림 홈(433)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434)으로 구성된다.
제1편심 블록(810)은 차체 프레임(100)의 후단에 마련된 힌지 블록(150)에 피벗되게 설치된다. 또한, 제1편심 블록(810)은 일측에 걸림 핀(811)이 형성되고 타측에 단수 제어밸브(700)와 연결되는데, 제1편심 블록(810)의 타측과 단수 제어밸브(700)는 제4와이어에 의해 장력이 발휘되게 연결된다.
또한, 연장 암(820)은 스토퍼와 일체로 형성되어 핸들 암(410)의 선단으로 연장되는데, 연장 암(820)은 핸들 암(410)의 회전에 따라 제1편심 블록(810)에 형성된 걸림 핀(811)에 걸림된다.
그리고, 이격 공간(434)은 힌지 블록(150)에 형성된 걸림 홈(433)에 마련되는데, 이격 공간(434)은 스토퍼(432)가 핸들 암(410)의 접철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격 공간(434)은 힌지 블록(150)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 홈(433) 중 차체 프레임(100)을 주행시키기 위해 핸들 암(410)을 사용자가 밀때 핸들 암(410)이 가장 안정적인 위치에 있게 하는 걸림 홈(433)에 형성된다.
즉, 이격 공간(434)이 형성된 걸림 홈(433)은 힌지 블록(150)에 형성된 다른 걸림 홈(433)보다 그 폭이 크게 되어 스토퍼(432)가 이격 공간(434)이 형성된 걸림 홈(433)에 위치했을 때 이격 공간(434)의 폭만큼 이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차체 프레임(100)을 주행시키기 위해 핸들 암(410)을 밀게 되면 핸들 암(410)이 힌지 블록(150)을 중심으로 차체 프레임(100)의 전방으로 피벗되면서 스토퍼(432)가 이격 공간(434)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스토퍼(432)가 이격 공간(434)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 스토퍼(432)와 일체로 형성된 연장 암(820)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편심 블록(810)에 형성된 걸림 핀(811)에 걸림되어 결국 제1편심 블록(810)이 피벗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편심 블록(810)이 피벗하는 것에 따라 단수 제어밸브(700)와 연결된 제4와이어의 장력이 조절되면서 단수 제어밸브(700)를 개폐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핸들 암(410)을 밀게 되면 단수 제어밸브(700)가 개방되어 세척수 저장탱크(140)의 세척수가 분사유닛(120)으로 공급되고,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가 핸들 암(410)을 밀지 않게 되면 핸들 암(410)이 자중에 의해 단수 제어밸브(700)가 폐쇄되도록 제어하여 세척수 저장탱크(140)에서 분사유닛(120)으로 세척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힌지 블록(150)에는 차체 프레임(100)의 주행에 따라 자동으로 경고등(170)이 점등되도록 하여 차체 프레임(100)의 주변으로 차체 프레임(100)의 주행을 알릴 수 있다. 이를 위해 힌지 블록(150)은 제1편심 블록(810) 일측의 회전반경 내에 접촉식 스위치(160)가 설치된다
이러한 접촉식 스위치(160)은 차체 프레임에 피벗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조향유닛의 접촉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식 스위치(160)는 경고등(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향유닛(400)이 차체 프레임(100)의 전방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제1편심 블록(810)의 일측이 접촉식 스위치(160)와 접촉하거나 떨어지게 되어 경고등(170)의 점멸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핸들 암(410)에는 보조 바퀴(460)가 마련되어 워시롤러(210)와 맞닿게 되는 지면의 상태가 불량하거나 장애물이 있는 경우 워시롤러(210)를 지면으로부터 띠운 상태에서 차체 프레임(100)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즉, 보조 바퀴(460)는 핸들 암(410)의 선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지면을 향하는 서포터 암(470)에 설치되어 워시롤러(210)를 지면으로 띠우기 위해 사용자는 핸들 암(410)을 지면으로 향해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캐스터(130)와 보조 바퀴(460)가 지면에 접지되어 차체 프레임(100)이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갖게 된다.
이때, 차체 프레임(100)의 하부에 장착된 오수통(330)이 차체 프레임(100)의 후방으로 기울어져 이탈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보조 바퀴(460)를 지지하는 서포터 암(47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통(3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커버(480)가 마련된다.
이러한 방지커버(480)는 핸들 암(410)을 차체 프레임(100)의 전방으로 접철하는 것에 따라 오수통(330)을 막고 있던 방지커버(480)가 핸들 암(410)과 동일하게 회동하여 오수통(330)을 차체 프레임(100)의 하부에 착탈할 수 있다.
한편, 차체 프레임(100)은 캐스터(130)의 후방에 후방걸레(960)가 구비된 리어유닛(900)이 마련된다. 이를 도 12 및 도 1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중 조향바퀴 및 리어유닛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중 리어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리어유닛(900)은 차체 프레임(100)의 하부와 피벗되게 설치되는 제2편심 블록(910)과, 선단이 제2편심 블록(910)의 타측과 연결되고 기단이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드라이 암(920)과, 상기 드라이 암(920)의 기단에 설치되고 후방걸레(960)가 장착되는 걸레 서포터(930) 및 선단이 차체 프레임(100)의 하부와 피벗되게 설치되고 기단이 제2편심 블록(9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2편심 블록(910)이 설정된 회전각도를 벗어나는 것에 따라 척력을 제공하는 제2소버(950)로 구성된다. 이때 설정된 회전각도는 제2소버와 제2편심 블록(910)이 수평을 이루게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리어유닛(900)은 후방걸레의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 드라이 암(920)을 회동시켜 후방걸레(960)를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리게 된다. 이때, 제2편심 블록(910)은 힌지 블록(150)에 피벗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편심 블록(910)의 타측은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드라이 암(920)과 연결되며 제2편심 블록(910)의 일측은 제2소버(950)의 기단과 피벗되게 연결된다. 또한, 제2편심 블록(910)과 피벗 연결된 제2소버(950)의 선단은 차체 프레임(100)과 하부와 피벗되게 연결되어 제2편심 블록(910)이 설정 회전각도를 벗어나는 것에 따라 제2소버(950)에서 제공되는 척력에 의해 드라이 암(920)이 회동하게 된다.
즉, 후방걸레(960)로 지면을 닦게 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편심 블록(910)의 타측은 지면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를 갖게 되어 제2소버(950)에서 척력이 발휘되더라도 드라이 암(920)은 지면을 향하게 된다.
그러나, 후방걸레(960)의 사용이 필요없게 되면 사용자는 드라이 암(920)을 지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상향시키게 되면 제2편심 블록(910)의 타측은 힌지 블록(150)과 피벗되게 연결된 중심점보다 상향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2소버(950)에서 제공되는 척력에 의해 드라이 암(920)은 자동적으로 상향되어 후방걸레(960)를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리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후방걸레(960)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드라이 암(920)을 지면을 향해 가압하는 것에 따라 후방걸레(960)가 지면과 맞닿게 된다.
한편, 드라이 암(920)과 걸레 서포터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드라이 암(920)은 기단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걸레 서포터(930)에는 장착 브라켓(940)이 마련된다. 이를 도 1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중 걸레 서포터와 드라이 암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드라이 암(920)의 기단은 차체 프레임(100)의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921)가 형성된다.
또한, 절곡부(921)는 걸레 서포터(930)의 상면에 형성되는 장착 브라켓(940)에 장착되는데, 장착 브라켓(940)은 절곡부(921)의 자유단이 삽입되어 관통하는 관통 홀(941a)이 형성된 제1고정부(941)와, 상기 제1고정부(941)로부터 이격되고 드라이 암(920)의 기단 상면과 측면을 지지하는 제2고정부(942) 및 상기 제2고정부(942)의 상면에서 걸레 서포터(930)를 향해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드라이 암(920)을 지지하는 볼 플런저(943)로 구성된다.
여기서, 볼 플런저(943)는 일측에 개구를 형성된 튜브의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 코일 스프링이 마련된다. 또한 튜브의 개구에 볼이 설치되어 볼이 가압되는 것에 따라 튜브의 내부로 인입되고, 볼이 가압되지 않는 경우 코일 스프링에서 발휘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튜브의 내부로 인입된 볼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볼 플런저(943)를 제2고정부(942)의 상면에서 걸레 서포터(930)를 향해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하게 되면 드라이 암(920)의 기단을 제2고정부(94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조립할 때 볼 플런저(943)의 볼이 튜브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또는 튜브의 외부로 돌출되어 드라이 암(920)과 걸레 서포터(93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의하면, 차체 프레임(100)에 설치된 워시롤러(210)가 지나가면서 젖은 지면의 물기를 빨아 들이고, 이렇게 수분을 머금은 워시롤러(210)는 스퀴즈롤러(311)에 의해 오수를 분리시킴으로써, 주차장의 젖은 지면을 신속하게 닦아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오염된 건조한 지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물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수에 의해 청소된 지면을 후방걸레(960)로 닦아 지면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후방걸레(960)를 쉽게 접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체 프레임(100)의 주행이 멈추는 것에 따라 세척수를 단수시키거나 또는 차체 프레임(100)이 주행하는 것에 따라 주변에 차체 프레임(100)의 주행을 알려주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오수통(330)에 집수된 오수의 수위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오수통(330)에 오수가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워시롤러(210)가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도록 차체 프레임(100)이 기울어질 때 오수통(330)이 차체 프레임(1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워시롤러(210)의 외주면을 감싸는 극세사(216)의 접합선(216a)이 나선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워시롤러(210)가 지면과 맞닿은 상태로 회전하게 될 때 덜컥거림을 방지하여 차체 프레임(100)이 요동치는 것을 방지하여 정숙한 상태로 주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차체 프레임 120 : 분사유닛
130 : 캐스터 140 : 세척수 저장탱크
150 : 힌지 블록 160 : 접촉식 스위치
170 : 경고등 200 : 청소유닛
210 : 워시롤러 211 : 보빈
212 : 마감판 213 : 커버 휠
214 : 안감 215 : 흡수재
216 : 극세사 216a : 접합선
220 : 행거 230 : 휠 브라켓
240 : 활주 가이드 241 : 고정 레일
242 : 이동 레일 243 : 제1소버
300 : 집수기 310 : 스퀴즈 유닛
311 : 스퀴즈롤러 312 : 스퀴즈서포터
313 : 가압력제공부 314 : 스퀴즈 장력조절레버
320 : 오수 가이드 330 : 오수통
331 : 오수유입구 332 : 자화플레이트
333 : 기밀부재 334 : 고정플레이트
340 : 중공 인서트 341 : 삽입부
342 : 몸체 343 : 유로
344 : 날개 344a : 삽입홈
345 : 고정자석 350 : 수위감지수단
351 : 수위작동부 351a : 부구서포터
351b : 부구 351c : 자성체
352 : 신호출력부 352a : 트레이
352b : 마그네트 352c : 자기스위치
352d : 경고부재 400 : 조향유닛
410 : 핸들 암 420 : 핸들 바
430 : 접철 제어모듈 431 : 조작 레버
432 : 스토퍼 433 : 걸림 홈
434 : 이격 공간 460 : 보조 바퀴
470 : 서포터 암 480 : 방지커버
500 : 급수량 제어밸브 600 : 급수량 조절레버
700 : 단수 제어밸브 800 : 단수 제어유닛
810 : 제1편심 블록 811 : 걸림 핀
820 : 연장 암 900 : 리어유닛
910 : 제2편심 블록 920 : 드라이 암
921 : 절곡부 930 : 걸레 서포터
940 : 장착 브라켓 941 : 제1고정부
941a : 관통 홀 942 : 제2고정부
943 : 볼 플런저 950 : 제2소버
960 : 후방걸레

Claims (21)

  1. 캐스터가 설치된 차체 프레임;
    상기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고 지면의 오염물을 수거하여 바닥을 청소하는 기기를 갖는 청소하는 청소유닛;
    상기 청소유닛에서 오염물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집수기; 및
    상기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 프레임의 이동방향을 조향하는 조향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집수기는
    상기 청소유닛과 연동되어 상기 청소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청소유닛의 오염물을 상기 청소유닛으로부터 분리하여 저장하며,
    상기 청소유닛은
    지면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며 그 외주면에 수분을 머금는 섬유재가 구비된 워시롤러; 및
    상기 차체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차체프레임과 일체를 이루고 상기 워시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휠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휠 브라켓은
    상기 차체프레임과 일체를 이루며 복수로 분할되어 일측 휠 브라켓 및 타측 휠 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일측 휠 브라켓을 상기 워시롤러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활주 가이드;가 마련되고,
    상기 활주 가이드는
    상기 차체프레임이나 상기 타측 휠 브라켓을 상기 차체프레임에 연결하는 행거 또는 상기 타측 휠 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고정 레일; 및
    상기 고정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일측 휠 브라켓과 함께 이동하는 이동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수기는
    상기 청소유닛에 구비되어 오수를 흡수하는 워시롤러를 압착하여 상기 워시롤러로부터 오수를 집수가능하게 추출하는 스퀴즈 유닛; 및
    상기 스퀴즈 유닛에 의해 추출되는 오수를 저장하는 오수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퀴즈 유닛은
    상기 워시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밀착되는 스퀴즈롤러;
    상기 스퀴즈롤러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에 마련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퀴즈롤러를 상기 워시롤러에 밀착시키는 스퀴즈서포터; 및
    상기 스퀴즈서포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스퀴즈롤러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력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7. 캐스터가 설치된 차체 프레임;
    상기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고 지면의 오염물을 수거하여 바닥을 청소하는 기기를 갖는 청소하는 청소유닛;
    상기 청소유닛에서 오염물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집수기; 및
    상기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 프레임의 이동방향을 조향하는 조향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집수기는
    상기 청소유닛에 구비되어 오수를 흡수하는 워시롤러를 압착하여 상기 워시롤러로부터 오수를 집수가능하게 추출하는 스퀴즈 유닛; 및
    상기 스퀴즈 유닛에 의해 추출되는 오수를 저장하는 오수통;을 포함하며,
    상기 스퀴즈 유닛은
    상기 워시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밀착되는 스퀴즈롤러;
    상기 스퀴즈롤러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에 마련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퀴즈롤러를 상기 워시롤러에 밀착시키는 스퀴즈서포터; 및
    상기 스퀴즈서포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스퀴즈롤러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력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퀴즈 유닛은
    상기 스퀴즈서포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제어유닛은
    상기 스퀴즈서포터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스퀴즈서포터가 시이소 운동하도록 상기 제1와이어를 통해 장력을 발휘하여 상기 스퀴즈롤러를 상기 워시롤러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퀴즈 장력조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시롤러는
    상기 휠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원통형을 이루는 섬유재질의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선단과 기단을 접합하는 접합선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0. 캐스터가 설치된 차체 프레임;
    상기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고 지면의 오염물을 수거하여 바닥을 청소하는 기기를 갖는 청소하는 청소유닛;
    상기 청소유닛에서 오염물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집수기; 및
    상기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 프레임의 이동방향을 조향하는 조향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집수기는
    상기 청소유닛에 구비되어 오수를 흡수하는 워시롤러를 압착하여 상기 워시롤러로부터 오수를 집수가능하게 추출하는 스퀴즈 유닛; 및
    상기 스퀴즈 유닛에 의해 추출되는 오수를 저장하는 오수통;을 포함하며,
    상기 오수통은 저수된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수위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수단은
    상기 오수통의 내부에 마련되어 오수의 수위에 따라 오수통의 상면을 향해 피벗하는 수위작동부;
    상기 수위작동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위작동부의 피벗 동작에 의해 상기 오수통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자성체;
    상기 오수통의 외부에서 상기 오수통의 표면을 투과하는 자력을 제공하여 상기 수위작동부에 의해 상승되는 상기 자성체를 자화시키는 마그네트; 및
    상기 오수통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위작동부의 상승을 경고하는 경고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오수통의 표면을 투과하는 상기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경고부재를 작동시키는 자기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오수통에 오수를 공급하는 호스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오수통의 오수유입구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며 오수가 관류하는 중공형의 유로를 갖는 중공 인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공 인서트는
    상기 오수유입구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오수유입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중공 인서트를 상기 오수유입구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패스너;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스너는
    상기 오수유입구의 상면 둘레에 설치되는 자화플레이트;
    상기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오수유입구의 상면에 걸림되는 날개; 및
    상기 날개에 설치되고 자기력이 발휘되어 상기 자화플레이트에 밀착되는 고정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4. 청구항 1, 청구항 7,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은
    상기 워시롤러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수 공급기는
    상기 워시롤러의 전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유닛; 및
    상기 분사유닛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과 세척수 저장탱크는 관로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관로는
    상기 세척수 저장탱크에서 분사유닛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급수량을 제어하는 급수량 제어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량 제어밸브는
    상기 조향유닛에 설치되고 장력을 발휘하는 급수량 조절레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과 세척수 저장탱크는 관로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관로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주행이 정지하는 것에 따라 상기 세척수 저장탱크에서 분사유닛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단수하는 단수 제어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수 제어밸브는
    상기 차체 프레임에 피벗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조향유닛과 연동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조향유닛이 차체 프레임으로 근접하는 것에 따라 장력을 발휘하는 단수 제어유닛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단수 제어유닛은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단에 피벗되게 마련되며 일측에 걸림 핀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단수 제어밸브와 연결되어 장력을 제공하는 제4와이어가 구비된 제1편심 블록; 및
    상기 조향유닛과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조향유닛과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조향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편심 블록의 걸림 핀에 걸림되어 상기 제4와이어의 장력 제공을 위해 상기 제1편심 블록을 회전시키는 연장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8. 청구항 1, 청구항 7,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유닛은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단에 기립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 암; 및
    상기 핸들 암의 기단에 마련되는 핸들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핸들 바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 암의 접힘을 단속하는 접철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철 제어모듈은
    상기 핸들 암이나 상기 핸들 바에 피벗 회전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조작 레버;
    상기 조작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 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기 핸들 암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가 걸림되도록 상기 차체 프레임의 힌지 블록에 형성된 걸림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0. 청구항 1, 청구항 7,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에 피벗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조향유닛의 접촉에 의해 작동하는 접촉식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접촉식 스위치는 경고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향유닛이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방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경고등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1. 청구항 1, 청구항 7,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은
    상기 캐스터의 후방에 후방 걸레를 제공하는 리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KR1020190076108A 2019-06-26 2019-06-26 청소기 KR102117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108A KR102117194B1 (ko) 2019-06-26 2019-06-26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108A KR102117194B1 (ko) 2019-06-26 2019-06-26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194B1 true KR102117194B1 (ko) 2020-06-01

Family

ID=7108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108A KR102117194B1 (ko) 2019-06-26 2019-06-26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1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9237A (zh) * 2020-06-22 2020-10-13 河海大学 一种吸水结构及地铁站积水清除装置
CN112854082A (zh) * 2021-03-31 2021-05-28 吴智鹏 一种用于建筑领域的地面清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217A (ko) 1997-04-29 1998-11-25 권기환 물걸레 청소기
JP2006045802A (ja) * 2004-07-30 2006-02-16 Konma Seisakusho:Kk 除雪機
KR101967348B1 (ko) * 2017-05-11 2019-04-09 임진택 물걸레 청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217A (ko) 1997-04-29 1998-11-25 권기환 물걸레 청소기
JP2006045802A (ja) * 2004-07-30 2006-02-16 Konma Seisakusho:Kk 除雪機
KR101967348B1 (ko) * 2017-05-11 2019-04-09 임진택 물걸레 청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9237A (zh) * 2020-06-22 2020-10-13 河海大学 一种吸水结构及地铁站积水清除装置
CN112854082A (zh) * 2021-03-31 2021-05-28 吴智鹏 一种用于建筑领域的地面清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194B1 (ko) 청소기
AU2019101774A4 (en) Floor cleaner
RU2394467C2 (ru) Бытовой электроприбор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KR101967348B1 (ko) 물걸레 청소기
AU2019333255B2 (en) Floor cleaner
AU2019327392B2 (en) Floor cleaner
AU2019329706B2 (en) Floor cleaner
JP4625197B2 (ja) 車輪を備えた装置の車輪清掃装置
AU2019101771A4 (en) Floor cleaner
EP2166913A1 (en) Cleaning apparatus with motor-driven endless belt
WO2020046828A1 (en) Floor cleaner
AU2019101772A4 (en) Floor cleaner
CN210414135U (zh) 一种便于使用的除尘设备
US11291345B2 (en) Floor cleaner
KR102019107B1 (ko) 물걸레 청소기
US9668633B1 (en) Portable mop cleaning apparatus
JP3245922B2 (ja) 据置き型電気掃除機
JP7382086B2 (ja) クリーナー
CN114468895A (zh) 加水换水工作站
KR102182640B1 (ko) 핸디스틱 물걸레 청소기
CN218474554U (zh) 清洁设备
CN218474553U (zh) 清洁设备及其储液装置
KR20100106047A (ko) 유리창 청소기
KR200368787Y1 (ko) 무인청소기
WO2011008149A1 (en) Vacuum cleaner with a separating device arranged in suction tub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