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327B1 -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327B1
KR102116327B1 KR1020180060278A KR20180060278A KR102116327B1 KR 102116327 B1 KR102116327 B1 KR 102116327B1 KR 1020180060278 A KR1020180060278 A KR 1020180060278A KR 20180060278 A KR20180060278 A KR 20180060278A KR 102116327 B1 KR102116327 B1 KR 102116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patient
request
terminal
transfer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5171A (ko
Inventor
조희선
최유빈
황자영
Original Assignee
(주)디더블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더블유아이 filed Critical (주)디더블유아이
Priority to KR1020180060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32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Abstract

병원 내에서 이송 요청지로부터 이송 목적지까지 환자를 이송할 때의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a) 이송 요청측 단말이 환자 이송 요청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b) 상기 환자 이송 요청이 통신망을 통해 상기 병원 내의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에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c) 상기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환자 이송 요청을 수락함으로써, 당해 수락한 이송 담당측 단말이 당해 이송 요청의 담당으로 지정되며, 당해 이송 요청의 상태는 접수중으로 변경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요청지에 도착하면,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요청의 상태를 이송중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e)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목적지에 도착하면,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요청의 상태를 완료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AFETY OF PATIENT TRANSFER}
본 발명은 병원 내에서 환자를 이송 호출함에 있어서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병원의 업무 중에서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병원 내에서의 환자 이송이다. 환자 이송은, 예컨대 입원실(병실)에서 검사실로 이동하는 것, 검사를 마치고 검사실에서 입원실로 이동하는 것, 입원실에서 수술실로 이동하는 것, 수술을 마치고 수술실에서 입원실로 이동하는 것 등의 여러 가지 경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환자 이송은 전화 통화를 통해서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송을 요청하는 측은 간호사이며, 이송을 요청받는 측은 이송 직원이다. 상황에 따라 편차가 있으나, 일예로, 간호사 500~600명, 이송 직원이 20명 정도인 병원에서 하루에 환자 이송은 약 500건 정도가 발생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15159호
병원의 규모가 작은 경우에는 환자 이송이 그리 어렵지 않으며, 절차가 지연될 일도 많지 않다. 그러나, 병원의 규모가 커질수록 환자 이송에 있어서의 효율 저하와 부서간 트러블이 많이 발생하는 상황이다.
일예로, 이송요청 업무를 유선으로 요청 후 진행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면, 유선으로 요청했을 때 이송 직원과 직접 통화하기 때문에 언제 도착할지를 바로 확인할 수는 있었으나. 업무가 누락될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환자 이송 지시가 제대로 전달되었는지에 대한 불안, 환자 이송이 완료되었는지에 대한 피드백 부재시의 확인의 번거로움, 간호사 입장에서 불필요한 인쇄물 등이 쌓이는 문제, 간호사와 이송 담당자 사이의 감정 소모의 문제, 이송 담당자들의 육체적 및 심리적 피로에 따른 이직률 증가 등의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병원 내에서 이송 요청지로부터 이송 목적지까지 환자를 이송할 때의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으로서, (a) 이송 요청측 단말이 환자 이송 요청을 행하는 단계; (b) 상기 환자 이송 요청이 통신망을 통해 상기 병원 내의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에 전송되는 단계; (c) 상기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환자 이송 요청을 수락함으로써, 당해 수락한 이송 담당측 단말이 당해 이송 요청의 담당으로 지정되며, 당해 이송 요청의 상태는 접수중으로 변경되는 단계; (d)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요청지에 도착하면,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요청의 상태를 이송중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e)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목적지에 도착하면,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요청의 상태를 완료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환자 이송 요청에는 당해 환자 이송 요청의 업무 특성에 따른 골든 타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이동 담당측 단말에 상기 골든 타임도 함께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든 타임은 (i) 상기 환자 이송 요청 시점부터 상기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요청지에 도달하여야 하는 시간, 또는 (ii) 상기 환자 이송 요청 시점부터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목적지에 도달하여야 하는 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골든 타임이 도과하면, 상기 골든 타임이 도과했음이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에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환자 이송 요청이 통신망을 통해 상기 병원 내의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에 전송될 때, 상기 환자 이송 요청은 관리자 단말에도 전송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자 이송 요청에 대한 상기 골든 타임이 도과한 경우에 당해 도과 사실이 상기 관리자 단말, 상기 이송 담당측 단말, 상기 이송 요청측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며, 상기 관리자 단말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골든 타임의 도과에 관하여,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에 전화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 송신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 요청지인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이송 목적지인 제2 위치로의 환자 이송 요청이 완료된 후에, 역으로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다시 동일 환자를 이송해야 하는 재이송 요청을 행할 필요가 생기면, 환자 이송에 대한 정보를 다시 입력할 필요없이, 상기 이송 목적지에 있는 이송 목적지 단말에서, 상기 환자 이송 요청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재이송 요청에 대한 정보를 재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 요청측 단말, 상기 이송 담당측 단말은 상기 병원의 의료용 시스템에 통합되어 있지 않은 별개의 시스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병원 내에는 상기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과 소정의 거리 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비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비컨과 통신 가능한 거리 내인지의 여부 또는 송수신되는 신호의 강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의 각각의 위치를 확인 가능하며,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의 위치를 상기 이송 요청측 단말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의 위치와 상기 이송 요청측 단말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요청측 단말의 위치까지 오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추정한다.
바람직하게는, 매회마다의 상기 환자 이송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는, 상기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송 담당자 각각에 대한 업무 통계를 작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업무 통계는, 이송 담당자 각각의 특정 기간별 이송 건수, 또는 특정 구간을 통과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는, 상기 업무 통계에 기초하여, 이송 담당자의 인력 배치 여부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병원 내의 이송 환자 안전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호간에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이 가능한 이송 요청측 단말, 이송 목적지 단말, 서버,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 담당측 단말은 모바일 기기인 이송 환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매회마다의 환자 이송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송 담당자 각각에 대한 업무 통계를 작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업무 통계는, 이송 담당자 각각의 특정 기간별 이송 건수, 또는 특정 구간을 통과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병원 내에는 상기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과 소정의 거리 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비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비컨과 통신 가능한 거리 내인지의 여부 또는 송수신되는 신호의 강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의 각각의 위치를 확인 가능하며, 상기 이송 담당측 단말의 위치를 상기 이송 요청측 단말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 환자 안전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병원의 의료용 시스템에 통합되어 있지 않은 별개의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요청 및 이송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업무의 진행 현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관리자의 경우 직원의 근무 패턴도 파악 할 수 있다.
또한, 진행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이송 업무의 준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상태가 접수중으로 변경되면, 간호사는 이송 업무를 미리 준비해, 이송직원이 병실에 도착한 경우 바로 환자를 이송보낼 수 있다.
또한, 업무의 혼선을 줄일 수 있고, 기존 유선상으로 요청시 누락에 대한 부분을 확인할 방법이 없었으나, 시스템을 통해 등록 및 요청이 되기 때문에 언제 요청을 했고, 진행이 되지 않은 업무와 진행중인 업무를 한번에 볼 수 있어 누락된 업무로 인한 불필요한 마찰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다양한 통계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는 바, 데이터가 쌓이게 되면 각 병동별 이송시간, 특정 검사실까지의 이동 횟수 등 원하는 통계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유선상 전달 오류가 감소한다. 예컨대, 검사실 명칭이나 이송 방법 등을 구두로 전달하는 경우의 누락이나 발음의 부정확함으로 인한 오인 등을 피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이송담당자나 이송 관리자들의 전화 통화를 통하는 것이 아니므로 효율이 개선된다.
간호사의 체크리스트 작성 필요도가 감소한다.
종래에는 불필요한 인쇄물이 많이 쌓이며, 관리가 용이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라 필요한 자료를 적시에 출력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간호사와 이송 담당자간의 감정소모가 감소된다.
이송담당자들의 피로도 및 이직률이 감소한다.
이송담당자의 이송 배치가 원활하다. 즉, 적은 이송인원으로 효과적인 업무진행 가능하고, 원거리에 있는 담당자도 업무 가능하다.
업무회전률 및 업무효율성이 증가한다. 시간대비 이송 완료 결과(이송 건수)가 증가한다.
빅데이터를 이용한 다양한 통계자료를 통해 질 높은 간호부, 병원 운영위원회 회의가 증가할 수 있다. 즉, 적절한 이송담당자의 인력구성이나 원활하게 일이 진행되지 않는 병동 간호사들 교육 등이 증가하는 순기능이 예상된다.
병원 규모와 상관없는 이송 업무 시스템 도입이 가능하다.
하나의 기기로 여러 이송직원들이 활동 가능(교대근무자의 탄력적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a~2d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이송 요청측 단말(101), 이송 목적지 단말(107), 이송 담당측 단말(103), 관리자 단말(104)의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3a~3c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이송 담당측 단말(103)의 화면의 일예(담당자 선택 절차)를 나타낸다.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이송 담당측 단말(103)의 화면의 일예(알림 표시)를 나타낸다.
도 5a~5c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이송 담당측 단말(103)의 화면의 일예(접수중, 이송중, 완료)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이송 목적지 단말(107)의 화면의 일예(환자 이송 내역 조회)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2a~도 6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른 흐름을 흐름도의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내는 블록도의 구성요소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송 요청측 단말(101), 이송 목적지 단말(107), 통합 서버(102), 이송 담당측 단말(103), 관리자 단말(104)이 중심적인 구조이다. 통합 서버(102; 이하, '서버'라고도 함)는, 경우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02-1)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비컨(105)은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비컨(105)이 없어도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비컨(105)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송 담당자와의 통신, 위치 파악, 소요 시간 예측 등이 더욱 용이해진다.
통계 자료(106)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서버(102)로부터 처리된 결과에 따라서 이송에 관한 통계(예컨대, 어떤 이송 담당자가 이번 달에 몇 건의 이송을 했으며, 평균적으로 걸리는 시간은 몇분인지 등)를 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통계 자료(106)는 서버(102)를 통해 작성될 수 있다. 서버(102)에 직접 접근한 사람만 통계 자료를 작성 또는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송 요청측 단말(101) 또는 이송 목적지 단말(107) 등에 서버(102)에 접속하여 간접적으로도 통계 자료를 작성 또는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송 요청측 단말(101), 이송 목적지 단말(107), 서버(102), 이송 담당측 단말(103), 관리자 단말(104), 비컨(105) 등의 사이에서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그 성질상, 예컨대, 서버(102)와 비컨(105) 사이의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일 수 있고, 서버(102)와 이송 담당측 단말(103) 사이의 통신은 와이파이, LTE 등일 수 있다.
이송 요청측 단말(101)은 기본적으로 PC인 경우를 상정하였으며, 이는 이송에 관한 요청을 하는 간호사측이 PC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다만, PC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간호사측(즉, 이송 요청측)에서도 PC(통상적으로 유선을 통해 통신망에 연결)가 아니라 모바일 단말(예컨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송 목적지 단말(107)도 기본적으로 PC인 경우를 상정하였다. 다만, 이 역시 PC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바일 단말(예컨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송 담당측 단말(103)은 병원 내에서 실제로 이송을 행하는 담당자(예컨대,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를 밀어서 이동시키거나, 환자의 휠체어를 밀어서 입원실에서 검사실까지 이동시켜주는 담당자)가 소지하는 단말이므로 그 특성상 모바일 단말(예컨대, 스마트폰)이다. 따라서, 이송 담당측 단말(103)은 이송 요청측 단말(101) 및/또는 서버(102)와 통신할 때에 적어도 모바일 통신망을 거치게 된다.
이송 요청측 단말(101)은 인터넷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되며,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웹 사이트는 브라우저 호환성을 갖도록 구축되어 동작한다. 예컨대, 인터넷 익스플로러, 크롬, 파이어폭스 등에서 동작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송 담당측 단말(103)에 설치될 프로그램(예컨대, 스마트폰용 앱)과 실시간 연동 처리가 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이송 요청측 단말(101)에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식이든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식이든, 이송 요청측 단말(101)이 서버(102) 및 이송 담당측 단말(103)과 통신을 행함에는 변함이 없다.
이송 담당측 단말(103)은 안드로이드 기반, iOS 기반 등의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비컨 기능을 지원하는 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 담당측 단말(103)은 와이파이 또는 데이터 네트워크(3G, 4G 등) 환경에서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송 담당측 단말(103)에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식의 구현도 가능하지만, 각종 메시지(푸시 메시지 등)의 전송에 있어서의 효율성을 고려하면, 앱의 형태로 구현하여 이송 담당측 단말(103)에 설치되는 것이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것이다.
관리자 단말(104)은 PC일 수도 있고 모바일 기기일 수도 있다. 다만, 이하의 예에서는 모바일 기기인 경우를 설명한다. 관리자가 고정된 위치에서 PC를 사용하여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겠으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예컨대, 문제가 생긴 것으로 판단되는 특정의 장소에 직접 왕래하면서 관리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인 경우가 많을 것이므로 관리자 단말(104)은 모바일 기기인 경우가 더 바람직할 것이다.
비컨(105)은 예컨대 BLE(Bluetooth Low Energy) 4.0 Advertising Packet 전송 표준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OS7, 안드로이드 4.3 이상의 OS를 이용하는 단말기와 함께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계 자료(106)는 서버(102)의 데이터베이스(102-1)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성된 각종 통계 자료 및 출력물을 의미한다. 서버(102)의 데이터(예컨대, 데이터베이스(102-1)의 데이터가 조회되므로 실시간 통계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이송 요청측 단말(101), 이송 목적지 단말(107), 이송 담당측 단말(103), 관리자 단말(104)의 사이에서 주고 받는 데이터는 서버(102)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이송 담당측 단말(103)에 일부 데이터가 저장될 필요가 있겠으나, 기본적으로 서버(102)에 데이터가 저장되면, 데이터의 신뢰성도 향상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통계 자료(106)의 작성과 같이 그 동안의 처리의 결과를 조회, 가공, 이용하는 것이 더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의 흐름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도 2a~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이송 요청측 단말(101), 이송 목적지 단말(107), 이송 담당측 단말(103), 관리자 단말(104)의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설정]
(1) 먼저, 간호사, 검사실 직원은 업무용 PC(이송 요청측 단말(101) 및 이송 목적지 단말(107)의 일예)에서 본 발명에 관한 사이트로 접속한다. 예컨대, 도 2a,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2a는 간호사가 업무용 PC(101)에서 본 발명에 관한 사이트에 접속한 예이며, 도 2b는 검사실 직원이 업무용 PC(107)에서 본 발명에 관한 사이트에 접속한 예이다.
두 화면이 다소 상이한 이유는, 도 2a의 간호사측과 도 2b의 검사실측이 서로 상이한 두 위치이기 때문이다. 즉, 도 2a의 화면은 특정의 병실을 기준으로 하여 이송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도 2b의 화면은 특정의 검사실을 기준으로 하여 이송(이송 재요청 포함)하는 경우를 보여주기 때문에, 차이가 생긴다. 통상적으로, 병실의 갯수(예컨대 10개)가 검사실의 갯수(예컨대 2개)보다 많을 것이므로, 특정 검사실에서 본 발명의 사이트에 접속한 경우에 보여지는 이송 환자수(예컨대, 도 2b)가, 특정 검사실에서 본 발명의 사이트에 접속한 경우에 보여지는 이송 환자수(예컨대 도 2a)가 더 많을 것이다. 이송 환자수는 정해져 있더라도, 병실은 갯수가 더 많으므로 이송 환자수가 분산될 것이고, 검사실은 갯수가 더 적으므로 이송 환자수가 집중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검사실은 이송 환자의 도착지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이송 환자의 검사가 완료되고 나면 새로운 이송(즉, 이송 재요청)에 있어서 이송 환자의 출발지가 되므로, 검사실이 이송 요청(이송 재요청)을 행하는 경우의 처리는, 병실에서 이송 요청을 행하는 경우의 처리와 거의 동일하다. 이송 재요청은 경우에 따라서는 재이송 요청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고, 동일한 의미이다. 즉, 이송 요청지인 제1 위치로부터 이송 목적지인 제2 위치로의 환자 이송 요청이 완료된 후에, 역으로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다시 동일 환자를 이송해야 하는 재이송 요청(이송 재요청)을 행할 필요가 생기면, 환자 이송에 대한 정보를 다시 입력할 필요없이, 이송 목적지에 있는 이송 목적지 단말에서, 환자 이송 요청시에 사용했던 정보로부터 재이송 요청에 대한 정보를 재구성할 수 있다.
(2) 그리고, 환자 이송 직원(이하, '이송 직원', '이송 담당자', '이송 담당 직원'이라고도 하며, 모두 동일한 의미임)은 모바일 기기(이송 담당측 단말(103)의 일예)에서 본 발명에 관한 앱을 실행한다. 예컨대, 도 2c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한편, 관리자는 모바일 기기(관리자 단말(104)의 일예)에서 본 발명에 관한 관리자용 앱을 실행한다. 예컨대, 도 2d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이송 담당측 단말(103)과 관리자 단말(104)의 화면의 차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3) 환자 이송 직원(이송 담당자)은 앱 실행 후에, 설정되어 있는 담당자 명을 확인하고, 만약 본인의 이름과 다른 경우 모바일 기기(103)에 설정된 담당자를 변경한다. 도 3a는 그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화면은 이송 담당측 단말(103)에서 본 발명에 관한 앱을 실행한 일예이다. 도 3a에서는 아직 이송 담당자가 지정되어 있지 않고, 디폴트값인 'DWI(DWI)'라고만 표시되어 있다.
도 3a에서 우측 상단의 '담당자 변경' 버튼을 클릭하면, 도 3b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이송직원 리스트가 조회되고, 해당 인원중 본인 이름을 클릭해 설정한다. 도 3b에 나타난 '김대현', '김정원', '김동기'가 데이터베이스(102-1)에 등록된 이송직원 리스트의 일예이다. 이 중에서 '김대현'을 선택하면, 도 3c와 같이 'DWI'가 '김대현'으로 바뀌게 된다.
[요청]
(1) 간호사(이송 요청자)는, 환자 이송 업무가 발생되면 전술한 본 발명에 관한 사이트의 해당 메뉴에서 업무내용을 입력한다.
항목은 텍스트로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등록)된 항목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다만, 병실 및 환자명, 호출 간호사 등의 정보는 텍스트로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시스템의 효율 및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미리 데이터베이스(102-1)에 등록된 항목에서 선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발위치, 도착위치, 이송방법, 준비사항은 미리 등록된 항목을 선택해 입력한다.
구체적으로는, 관리자(관리자 단말(104)의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송 업무를 진행하는 병동의 병실 정보를 미리 셋팅해 둔다. 관리자는, 호출 간호사를 이름으로 설정하거나 부서별 명칭을 미리 셋팅해 두는 것이 좋다. 이처럼 관리자가 미리 세팅해 둔 데이터를, 환자 이송 호출측(병실, 호출 간호사 등이 사용하는 이송 요청측 단말(101))에서는 키보드의 상하좌우 버튼 또는 콤보 박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선택해서 입력한다.
출발위치/도착위치와 관련하여서도, 관리자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해 이송 업무를 진행할 병동의 정보를 미리 셋팅해 둔다. 이처럼 관리자가 미리 셋팅해 둔 데이터는, 이송 요청측 단말(101)에서 키보드의 상하좌우 버튼 또는 콤보박스를 이용해 데이터를 선택해서 입력한다.
이송방법, 준비사항 항목과 관련하여, 관리자는 주로 발생되는 이송방법(예컨대, 침대, 이동 침대, 걸어서, 휠체어, 수술실 등)과 준비사항(링거액, 폴대, 휠체어 등)을 미리 셋팅한다. 미리 셋팅된 데이터는 키보드의 상하좌우 버튼 또는 콤보박스를 이용해 데이터를 선택해서 입력한다.
(2) 마지막 항목에서 Enter를 하거나, 요청 버튼을 클릭해 전송한다.
[처리]
(1) 환자이송 건이 등록되면(즉, 전술한 '요청' 작업에 행해지면), 이송 직원의 핸드폰으로 알림이 전송된다. 일반 이송요청 건(예컨대, 병실→검사실)과 재요청의 이송건(예컨대, 검사 완료 후의 검사실→병실)의 알림음이 다르게 울려 이송직원에게 어떤 종류의 이송 업무인지 알림음으로 먼저 전달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이송 담당측 단말(103)에서 앱이 실행 중이라면, 도 4a와 같이, 리스트가 자동으로 재조회되어 새로운 요청건을 자동 조회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a를 보면, 간호사 장미정, 환자명 E4 병동이라는 이송 요청이 최신의 것이었는데 그 후에 간호사 김미희, 환자명 노현숙이라는 이송 요청이 추가되면, 당해 이송 요청(간호사 김미희, 환자명 노현숙)이 가장 상위에 노출되고, '수락' 버튼이 생성된다. 이러한 화면이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103)에 표시되고, 그 복수의 단말(103)의 소지자(즉, 이송 담당 직원) 중에서 이송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담당 직원 본인이 당해 화면에서 '수락' 버튼을 누르면 당해 담당 직원이 당해 이송건을 담당하게 되는 구성이다.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103)에 표시된다 함은, 기본적으로는 당해 병원 내의 모든 이송 담당측 단말(103)에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로는 현재 배정하고 있는 이송 건수가 적은 순서대로 상위 몇명에게만 전송하거나, 비컨을 이용하여 이송 출발측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있는 몇명에게만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병원 내의 모든 이송 담당측 단말(103)에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송 출발측에서 가까운 직원에게만 요청을 노출시키면, 항상 붐비는 특정 병동에 있는 이송 담당자에게는 일이 계속 몰리고, 상대적으로 한산한 다른 특정 병동에 있는 이송 담당자에게는 일이 덜 배정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업무의 효율이나 이송 직원들의 사기를 떨어뜨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편, 만약 이송 담당측 단말(103)에서 앱이 백그라운드 실행 중이라면, 도 4b와 같이, 화면 상단에 알림이 뜨고, 하단에는 토스트 메시지("환자이송호출이 요청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만 조회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송건 중에, 검사실로 설정된 곳이 도착위치로 등록된 경우, 검사실 화면(예컨대, 도 2b)에서 해당 건이 조회된다.
관리자의 경우, 도 4a 또는 도 2c에 나타난 바와 같은 알림은 수신되지 않으나, 도 2d와 같이 접수내역이 조회된다.
(2) 이송직원은 모바일로 이송내역을 확인한 뒤, 가능한 이송 업무의 경우 수락 버튼을 클릭한다.
수락 버튼 클릭시 상태는 접수중으로 변경된다. 즉, 도 4a의 화면에서 '수락' 버튼을 누르면, 당해 이송 직원이 그 이송건을 담당하는 것으로 지정되며, 화면은 도 5a와 같이 '접수중'이라는 표시로 바뀐다.
'수락' 버튼을 클릭한 후에는, 다른 이송 직원의 모바일 기기에서 해당 건이 조회되지 않는다.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수중'의 경우에는 그 우측에 '취소' 버튼이 생성되며, 이 취소 버튼을 누르면 취소가 가능하다. 이송 직원이 취소시에는 다른 직원이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수락' 버튼이 보이는 상태(즉, 누군가의 수락을 기다리는 상태)로 변경된다.
요청한 곳(즉, 이송 요청측 단말(101))에서 이송 자체를 취소하면, 상태는 저장으로 변경되어 이송 직원의 모바일 기기(103)에서 해당 건 자체가 사라진다.
상태가 '접수중'으로 변경되면 해당 리스트에 시간이 디지털 시계 형식으로 표현된다.
해당 시간이 지정된 골든 타임과 동일해지면 리스트의 배경색이 변경된다. 골든 타임이란, 이송의 유형별 또는 환자별로 당해 이송에 대해 시간을 정해두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업무별로 골든 타임을 설정해 두어, 환자의 안정이 최우선 되도록 구현한다. 예를 들어, 수술실로 가야하는 이송 업무의 경우, 골든 타임 5분 이내에 이송이 시작되고(즉, 이송 요청 시점부터 실제 이송 시작 시점(이송 직원이 이송 출발지(이송 요청지)에 도착하는 시점)까지 5분), 10분 이내에 수술실까지 가야 하는(즉, 이송 요청 시점부터 실제 이송 완료 시점(이송 직원이 이송 목적지에 도착하는 시점)까지 10분) 업무로 설정이 되어 있을 수 있다. 수술실로 가는 이송 업무가 아니라 단순 검사의 경우라면, 예컨대 골든 타임 10분 내에 이송이 시작되고, 20분 이내에 검사실까지 가는 것으로 설정이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업무 특성별로 미리 설정된 골든 타임에 기초하여, 이송이 지연될 때 이송 기기(즉, 이송 담당측 단말(103))로 알림이 전달되어 환자의 컨디션을 우선으로 이송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지연이 발생할 때에 사후적으로 이송 담당측 단말(103)이 보고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으나, 그에 달리, 또는 그에 추가적으로 골든 타임의 개념을 미리 적용해 두면, 사후적인 대처가 아니라 선제적인 대처가 되므로 더욱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골든 타임은 (i) 환자 이송 요청 시점부터 이송 담당측 단말(103)이 이송 요청지에 도달하여야 하는 시간, 또는 (ii) 환자 이송 요청 시점부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103)이 상기 이송 목적지에 도달하여야 하는 시간을 포함하며, 골든 타임이 도과하면, 골든 타임이 도과했음이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103)에 표시될 수 있다. 이송 담당측 단말(103)에 표시된다고 하였으나, 당연히, 다른 단말(이송 요청측 단말(101), 관리자 단말(104)에 표시되는 것이 배제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취소 후 이송 직원에게 재요청이 가는 경우에는, 이송 직원의 모바일 기기(103)로 이송 업무가 다시 전달되고, 재요청 알림이 울리게 된다.
(3) 상태가 접수중으로 변경되면 근처에 있는 비컨(105)의 출발위치와 도착위치의 위치를 이용해 도착 예상 시간을 계산한다. 그러나, 이는 일예이며, 비컨(105)의 사용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컨대, 비컨(105)이 없다면 출발 위치와 도착 위치의 거리에 따라 도착 예상 시간을 계산할 수도 있고, 또는 그간의 이송 데이터가 누적되면 어느 지점에서 어느 지점까지의 평균적인 이송 시간이 얼마나 걸렸다는 점을 통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이러한 통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착 예상 시간을 계산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비컨(105) 없이도 구현 가능하며, 비컨(105)이 있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비컨(105)을 사용하는 경우, 비컨 거리 예상 시간에 대한 로직은 실제 현장에서 사용 될 비컨의 종류에 따라 수식이 조금씩 변경될 수 있다. 즉,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비컨의 종류 및 제조사에 따라 측정결과 및 오차범위가 다양해 현장 적용시 투입되는 비컨을 가지고 실제 현장에서 거리 측정을 하여, 오차범위를 산정해 비컨의 부착 위치 및 수식이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성인 도보속도가 20~30대 남성 기준으로 약 4km/h~4.5km/h의 속도이다. 환자 이송 직원의 경우, 휠체어나 침대를 끌고 도보로 다니기 때문에 일예로 4km/h의 속도로 가정할 수 있고, 층간이동시 엘리베이터 이동속도 및 대기시간도 적용해 현장 테스트를 통해 나온 거리 계산을 바탕으로 시간계산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계산된 도착예상시간은 이송직원 모바일기기, 간호사 웹페이지에서 조회된다.
(4) 각 이송방법별(업무특성별) 골든 타임을 미리 데이터베이스(102-1)에서 관리해, 골든 타임이 지나도 수락이 되지 않는 경우와, 수락 후 접수중인 상태에서 출발위치에 도착해 이송을 진행하지 않는 경우(이송중)에는, 관리자가 해당 리스트의 문자, 통화 버튼을 클릭(도 2d 참조)하여, 수락한 직원 또는 근무 직원에게 연락을 해 지연 사유를 확인하거나 업무를 지시할 수 있다.
(5) 간호사(이송 요청측)는 상태가 수락에서 접수중으로 변경되면 환자이송준비를 진행한다
(6) 이송직원이 출발위치에 도착한 경우 환자를 인계 받고 접수중 버튼을 클릭한다
'접수중' 버튼을 클릭하면 상태는 '이송중'으로 변경된다(즉, 도 5a에서 도 5b와 같이 변경된다).
이송중으로 변경된 업무는 취소가 불가능하다. 도 5a를 보면, '접수중'의 옆에는 취소 버튼이 있지만, 도 5b의 '이송중'의 옆에는 취소 버튼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7) 도착위치가 검사실인 경우, 상태가 이송중으로 변경되면 검사실에서는 도착환자에 대한 준비를 한다
(8) 도착위치에 이송 직원이 도착함으로서 당해 이송 업무가 종료되면 '이송중' 버튼을 클릭한다. 이송중버튼을 클릭하면 상태는 완료로 변경된다. 즉, 도 5b가 도 5c와 같이 변경된다.
완료된 업무는 리스트에서 사라진다.
[재요청]
(1) 검사실에서 환자를 다시 병실로 이송을 하기 위해서 검사실 메뉴에서 해당 업무 내용을 입력한다. 이는 도 2b에 나타난 화면에서 입력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이송(즉, 병실→검사실)된 환자의 경우, 자동으로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이송되지 않은 환자의 경우에는, 항목을 새로 입력하여야 할 것이다.
(2) 환자의 도착위치를 재확인한 후 마지막 항목에서 Enter를 하거나, 요청버튼을 클릭해 전송한다
(3) 환자이송건이 등록되면 이송직원의 핸드폰으로 알림이 전송된다
이송 직원의 업무는 간호사가 요청시의 업무와 동일하다.
[결과]
(1) 이송 업무가 완료되면, 처리결과를 조회한다. 일예로, 이는 도 6에 나타난 화면과 같다.
간호사나 이송 담당자가 원하는 자료를 검색하여 자동으로 다양한 데이터 분석 자료(도 1의 도면부호 106)를 제공한다.
원하는 그래프 유형(리스트, 원형, 막대 그래프, 꺽쇠 그래프) 및 X/Y 축의 값을 설정하여 원하는 통계 자료로 조회된다.
일일현황을 확인하거나, 월별/연도별/병동별 등 다양한 통계자료로 데이터를 확인한다.
(2) 종이로 작성되어 보관하던 환자 체크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한다.
도 7은 도 2a~도 6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른 흐름을 흐름도의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하나의 이송 요청에 대해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송 요청측 단말(101), 이송 담당측 단말(103), 관리자 단말(104), 서버(102), 이송 목적지 단말(107) 등이 관여된다.
도 7에서는, 이 중에서 이송 요청측 단말(101), 이송 담당측 단말(103), 이송 목적지 단말(107), 관리자 단말(104)을 각각 간호사, 이송 직원, 검사실, 관리자라고 표시하여 각각의 주체에서의 흐름 및 상호 연관 관계를 살펴본다.
일단 각각의 이송 담당자는 미리 담당자 선택을 해 둔다(단계 700). 담당자 선택을 해 둔다 함은, 도 3b, 도 3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급받은 업무용 스마트폰에서 시스템에 접속(앱 실행)한 후에 업무를 진행할 이송 직원으로 본인의 이름을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만약 개인 스마트폰으로 업무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경우 이미 설정이 되어 있을 것이다.
환자를 이송해야 할 상황이 발생하면, 간호사측 단말(101)에서는 환자 이송 요청을 행한다(단계 701). 웹에서 접수시, 병실 및 환자명과 간호사명를 미리 데이터베이스(102-1)에 등록된 항목에서 선택 및 직접 입력한다. 다른 항목들은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있는 항목에서 선택 후 등록한다. 미리 셋팅이 되어 있지 않아도 텍스트자료로 입력 가능하다. 접수시에는, 이송상태가 '접수중'으로 등록된다. 상태가 접수중인 경우 취소가 가능하다.
그 후, 모든 이송 담당측 단말(103)에 대해, 알림이 전송된다(단계 702). 그와 함께, 관리자 단말(104)에도 접수 내역이 조회된다(단계 703). 관리자의 경우, 알림은 수신되지 않으나, 접수내역을 조회할 수 있으며, 관리자 화면의 경우 수락, 접수, 이송중 버튼이 아닌 문자, 통화 버튼이 활성화된다. 필요시(예컨대,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 특정의 이송 담당자에게 직접 연락을 취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송 담당 직원은 이송 내역(환자명, 이송출발위치 및 이송도착위치, 이송방법 등)을 확인하여, 리스트 중에서 본인이 처리 가능한 내역을 클릭(수락 버튼 클릭)한다(단계 704). 접수내역을 수락한 경우 상태가 접수중으로 변경된다. 접수내역을 수락하지 않은 경우 상태는 변경되지 않으며, 다른 이송직원이 수락한 경우 내역이 조회되지 않는다. 긴급사항으로 업무진행이 어려운 경우 취소버튼을 클릭하면, 다른 이송 직원들에게 재차 요청이 나가고, 이송 가능한 직원이 수락 버튼을 누르게 된다. 접수 취소의 경우, 접수중인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접수중인 상황, 즉, 수락 버튼을 누른 후의 상황(단계 705)에서는, 이송 직원은, 접수내역에 기입된 준비사항을 확인한 후 출발위치로 이동한다. 접수중으로 상태가 변경되면 이송 직원의 핸드폰 위치와 출발위치의 거리가 계산되어 도착예상시간을 계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 거리측정은 비컨(105)을 활용해 현재위치를 확인 후에 출발위치까지의 도착예상시간을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고, 비컨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출발지와 도착지의 거리만으로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고, 지난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비컨(105)을 활용하여 이송 직원의 위치를 확인하는 경우라면, 간호사 화면에서는 도착 예상 시간(즉, 출발지에 도착하는 시간)이 조회되고, 해당 시간에 맞춰 업무를 준비한다. 예컨대, 수락 버튼을 누른 이송 직원이 출발지에 매우 가까이 있다면 2분 정도(이 시간이 간호사의 준비 시간이 됨) 후에 이송 직원이 출발지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수락 버튼을 누른 이송 직원이 출발지에 어느 정도 멀리 있다면 간호사의 준비 시간은 5분 정도를 예상하는 식이다. 비컨(105)이 있으면 좋지만, 비컨(105)이 없더라도 이송 직원 본인이 대략의 거리를 입력하게 한다든지, 또는 병원을 몇개의 구역으로 가상으로 나눈 후에 이송 직원 본인이 몇번째 구역에 있는지 입력하게 한다든지, 또는 일률적으로 도착 예상 시간을 3분으로 설정한다든지 하는 등의 변형이 가능하다.
단계 705에서, 도착 예상 시간(즉, 이송 출발지에 이송 직원이 도착할 예상 시간)과 다르게 변수가 발생되어 도착 시간이 변경될 경우 이송 직원이 지연사유와 변경된 예상 도착시간을 입력한다(예컨대, 엘리베이터 고장 및 긴급환자 이송으로 인한 지연 등). 웹상에서 간호사는, 이송 요청측 단말(101)을 통해, 지연된 시간을 확인한다.
이송 직원이 출발위치에 도착해 환자를 인계받는다. 인계받은 후, 접수중 버튼을 클릭 해 상태를 이송중으로 변경한다(단계 706). 그리고, 도착 위치(이송 목적지(예컨대, 검사실))로 이동한다.
단계 707에서, 환자 이송을 완료하면, 이송 직원은 이송중 버튼을 클릭해 상태를 완료처리로 변경한다. 완료처리된 업무는 리스트에서 사라지며, 상태 구분 변경 후 조회시 조회 가능하다.
이송 업무가 완료되면 검사실에서는 환자를 다시 병실로 요청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된다. 이 경우, 단계 708 및 단계 708-1과 같이, 재요청이 행해진다. 본 발명에서 재요청이란, '병실→검사실'로 이송된 환자를 다시 '검사실→병실'로 이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재요청(단계 708-1)과 관련하여, 화면에 조회되는 환자 중 다시 병실로 또는 다른 검사실로 이송을 보낼 환자를 확인한다. 이송환자를 리스트에서 확인한 후 재요청 버튼을 클릭해 이송 업무를 요청한다. 재요청의 경우 기존 출발위치의 병실에서 환자의 복귀 상태가 조회된다.
또는, 이송 목적지(이송 도착지)인 검사실에서도 '병실→검사실'의 환자 이송 요청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단계 709). 요청 주체가 검사실이기는 하지만, 이 경우에도 진행은 간호사(병실)가 요청한 경우와 동일하게 단계 702, 704, 705, 706, 707의 순으로 진행된다.
개념적으로, 간호사 측이 요청한 '병실→검사실' 이송(단계 701), 검사실 측이 요청한 '병실→검사실' 이송(단계 709), 검사실 측이 요청한 '검사실→병실' 이송(즉, 단계 708-1; 재요청)을 구분하기는 했지만, 일단 요청(또는 재요청)이 행해진 후의 진행 순서는 대부분 유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요청('병실→검사실'의 이송이 행해진 경우에, 동일 환자에 대해 그 반대로 '검사실→병실'로 되돌리는 이송)을 시스템적으로 구현해 두면, 사용자(특히, 검사실측)의 편의성은 매우 향상될 것이다. 일예로, 이송 요청지인 제1 위치(병실)로부터 이송 목적지인 제2 위치(검사실)로의 환자 이송 요청이 완료된 후에, 역으로 제2 위치(검사실)로부터 제1 위치(병실)로 다시 동일 환자를 이송해야 하는 재이송 요청을 행할 필요가 생기면, 환자 이송에 대한 정보를 다시 입력할 필요없이, 이송 목적지(검사실)에 있는 이송 목적지 단말(107)에서, 환자 이송 요청에 대한 정보로부터 재이송 요청에 대한 정보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관리자 단말(107)의 입장에서 보면, 관리자 단말(107)에 접수 내역이 통지(단계 703)에는 지연 업무 확인이 가능하다(단계 710). 일예로, 환자 이송 요청에 대한 상기 골든 타임이 도과(초과)한 경우에 당해 도과 사실이 관리자 단말(107)에 표시된다. 물론, 이와 병행하여, 이송 담당측 단말(103), 이송 요청측 단말(101)에도 표시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07)에 골든 타임의 도과 사실이 표시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107)은, 골든 타임의 도과에 관하여,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103)에 전화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 송신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도 2d에 나타난 문자 버튼, 통화 버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환자의 이송이 완료되거나 또는 그 외의 임의의 단계에서 원하는 경우, 접수된 환자이송내역을 조회하여, 작업상태 및 처리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711). 어떤 주체든 확인할 수 있겠으나, 간호사측(이송 요청측)에서 행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간호사 및 이송관리자가 원하는 자료를 검색하여 자동으로 다양한 데이터 분석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원하는 그래프 유형(리스트, 원형, 막대 등) 및 X/Y축의 값을 설정하여 원하는 통계자료를 조회한다.
<변형예, 또는 기타 사항>
(1) 부연하여 설명하자면, 본 발명은 이송 출발지(예컨대, 병실)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이송 단말에게만 요청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일괄적으로 이송 담당자에게 모두 전파하고, 이송 담당자 중 이송 가능한 사람이 선택하여 수락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항상 붐비는 곳에 있는 이송 직원(예컨대, 병실이 집중해 있는 특정 구역에 배정된 이송 직원)만이 계속하여 중첩적으로 일을 하게 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이는 이송 자체의 효율성 뿐만 아니라, 이송 직원의 근무 환경 개선 및 이직률 관리와도 연관되는 사항이다.
즉, 근거리에 위치한 단말에만 요청을 보내는 경우에는, A 병동의 요청사항은 근거리에 위치한 A 단말기에만 전달되고, B 병동의 요청사항은 근거리에 위치한 B 단말기에만 전달되어, 이송 업무가 바쁜 A 병동의 경우 A 단말기에만 이송 업무가 몰려 업무가 지연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모든 이송 직원에게 전달 후 업무가능한 인원이 선착순으로 선택해 업무를 진행하기 때문에 우선 접수된 이송순서 차례대로 처리가 가능하다.
(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은, 병원에 구비된 의료용 시스템과 통합되지 않는 별도의 시스템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환자 이송 호출 시스템을 병원에 구비된 의료용 시스템(환자, 의사, 간호사에 대한 정보를 가지며, 의사와 간호사 등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과 통합하는 경우에는 물론 장점도 있겠으나 그에 못지 않은 단점이 발생하여 본 발명과는 효과 차이가 발생한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이송 요청측 단말(101)과 이송 담당측 단말(103) 등이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이 때 외부 인터넷에 접속하게 된다. 그런데, 이 시스템을 의료용 시스템과 통합해 버리면, 의료용 시스템까지 외부 인터넷에 접속되는 결과를 낳게 되고, 환자의 개인 정보 노출 등에 대비하여 시스템의 보안에 더욱 큰 노력과 비용을 들여야 하는 결과를 낳는다. 즉, 이송 호출 시스템과 의료용 시스템을 통합하면, 의료용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의사 정보, 간호사 정보, 환자 정보 등을 이용하여 일부 정보를 더 이용함으로써 이송 호출 시스템을 좀 더 충실하게 개발할 수 있는 경우도 있겠으나, 시스템 통합의 어려움, 기능 부가에 있어서의 어려움, 보안에 대한 비용 및 노력 증가 등의 부작용도 발생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기존의 의료용 시스템(환자, 의사, 간호사에 대한 정보를 가지며, 의사와 간호사 등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과는 통합하지 않고 별도의 독립된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데이터베이스(102-1)에 미리 셋팅한 정보'란, 의료용 시스템으로부터 추출한 정보가 아니라 미리 텍스트를 입력해 두어 세팅한다는 의미로 파악하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은, 병원 시스템과 별개인 독립된 시스템이며, 독립된 시스템으로서 규모에 상관없이 도입이 가능하며, 개발 및 도입비용이 적다는 점(비용절감), 그리고 병원 시스템과 연계되지 않기 때문에 각 병원에 맞춰 활용 및 확장이 가능하며, 셋팅이 가능한 유연한 시스템이라는 점, 각 항목은 병원에 맞춰 DB화 되어 있으며, 텍스트 자료로 입력 가능하다는 점, 적은 이송직원으로도 효과적인 업무가 가능하다는 점, 기기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는다는 점 등이다. 다만, 필요한 경우, 병원시스템과 연계가 가능하며, 병원 시스템 연계시 이송 업무에 필요한 환자정보를 자동으로 셋팅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는 있을 것이다.
(3)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기기로 여러 이송직원들이 활동 가능(교대근무자의 탄력적 사용 가능)하다. 도 3b, 3c에서 이송 직원이 앱 실행 후에 이송 직원 본인의 이름을 선택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한 바 있다. 이송 직원 개인의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하여 근무하는 방법도 있으나, 직원 개인이 소지한 스마트폰의 사양 문제, 관리 문제, 실수로 스마트폰을 집에 놓고 오는 등의 문제 등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병원측에서 업무용 스마트 기기를 지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송 직원 본인의 이름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이송 직원이 30명이라면 스마트 기기 30개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이들이 3교대를 한다면 스마트 기기 10개만으로도 시스템의 운용이 가능하다.
(4) 본 발명은 단순히 환자를 이송하는 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송에 관한 데이터를 누적하여, 그 결과에 대한 활용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일예로, A 지점(이송 출발지)에서 B 지점(이송 목적지)까지의 이송 예상 시간, 또는 C 지점(이송 직원의 현재 위치)에서 A 지점(이송 출발지)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또는 두 시간의 합 등을 단순히 거리로만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지난 이송에서의 평균, 표준 편차 등을 감안하여 제시(예컨대, 5분 45초±1분 10초 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계 자료를 토대로 하여 병원 업무 분석 결과에 대한 자동적 또는 수동적인 개선 방안의 건의도 가능할 것이다.
단지 시간 계산(예측) 뿐만 아니라, 서버(102)(데이터베이스(102-1))에서 추출되는 모든 통계자료는 이송 업무에 국한되어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이송 업무와 관련된 모든 병원 업무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병동의 이송방법에 대한 결과를 확인한 뒤 이동침대로 이송하는 경우가 많고, 이동침대로 이송하는 경우 업무의 처리 시간이 다른 이송 업무에 비해 길다면, 이송직원을 충원해 이동침대업무를 2인 1조로 진행하게 하거나 이동침대의 교체작업을 진행하는 등 병원 업무에 활용해 사용할 수 있다. 즉, 시간 예측 뿐 아니라, 일예로 이송 직원의 충원 여부도 판단이 가능하다. 이송 직원의 충원이라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송 담당자의 인력 배치, 근무 시간 조정 등 이송 업무 전반에 걸쳐 필요한 사항에 대한 판단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판단은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제공하는 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사람이 직접 해도 좋고, 또는 당해 통계 자료를 기초로 하여 시스템적으로 신호가 발생하도록(즉, 특정 시간대나 병원 내의 특정 공간에 비효율이 발생하는지 여부의 임계값을 정해두고 그 임계값이 넘어가면 통지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데이터 활용에 대한 방법으로는, 요청 단말(이송 요청측 단말(101), 또는 이송 담당측 단말(103), 또는 관리자 단말(104) 등)에서 원하는 데이터 유형을 선택해 서버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정보로부터 업무 부하량, 이송 도구에 대한 업무파악 등 활용에 대한 프로세스를 가질 수 있다.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요청단말(간호사, 검사실, 외래)에서 항시 확인이 가능하며, 원하는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본 발명은 이송 지연에 대한 사후 대책(예컨대, 이송 직원이 이송 중에 '이러이러한 이유로 늦을 것 같습니다'라고 보고하는 것)보다는 이송 지연의 사전 방지에 중점을 둔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일예로 요청(즉, 수락 버튼이 보이는 상태), 접수중, 이송중, 완료 4가지의 상태로 구분되며, 접수 후에 진행(이송 진행)이 되기 전까지 대기 사유와 취소가 가능한 프로세스가 존재한다. 대기사유에 대한 항목을 집접 입력하기도 하지만, 이송 업무 관리자 화면(즉, 도 2d에 나타난 관리자 단말(104)의 화면)에서 이송단말로 전화 또는 문자 등으로 지연업무를 확인해 미리 골든 타임이 넘는 지연 업무가 발생되는 일을 사전에 차단한다. 본 발명은 골든 타임 시간을 미리 DB에 셋팅해 관리하는 바, 지연업무에 대한 사유를 입력받기도 하지만, 관리자가 진행 시간을 확인해, 지연되는 업무는 이송 단말에 전화/문자 기능을 활용해 골든 타임을 넘지 않도록 미리 업무지시를 진행한다.
다시 말해, 이송 직원이 현 위치에서 이송 출발지까지의 이동이 예상시간을 넘는 경우에 이를 사후적으로 지연 업무로 판단하기보다는, 미리 각 업무별 골든 타임을 셋팅해 두고, 골든 타임에 대해 미리 설정한 시간이 초과될 경우에 지연 업무로 판단하기 때문에, 지연 업무가 발생되는 것을 관리자가 미리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업무별 골든 타임의 개념 설정 및 관리자 단말(104)에서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을 통해, 환자의 안정이 최우선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수술실로 가야 하는 이송 업무의 경우 골든 타임 5분(즉, 이송 직원 현위치→이송 출발지) 이내에 이송이 시작되고, 10분 이내(즉, 이송 직원 현위치→이송 출발지→이송 목적지)에 수술실까지 가야 하는 업무로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이송이 지연될 때 이송 기기(이송 담당측 단말(103))로 알림이 전달되어 환자의 컨디션을 우선으로 하여 이송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비컨(105)을 이용하는 경우, 출발지 도착 예정 시각 정보는 비컨(105)을 이용해 거리 계산이 이루어지고, 완료 시간들은 여러 차례의 이송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102-1)에 쌓이면서 골든 타임 관리를 하게 된다.
위에서는 특정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첨부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사상 내에서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그 외의 다양한 변형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1: 이송 요청측 단말
102: 통합 서버
102-1: 데이터베이스
103: 이송 담당측 단말
104: 관리자 단말
105: 비컨
106: 통계 자료
107: 이송 목적지 단말

Claims (16)

  1. 병원 내에서 이송 요청지로부터 이송 목적지까지 환자를 이송할 때의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으로서,
    (a) 이송 요청측 단말이 환자 이송 요청을 행하는 단계;
    (b) 상기 환자 이송 요청이 통신망을 통해 상기 병원 내의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에 전송되는 단계;
    (c) 상기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환자 이송 요청을 수락함으로써, 당해 수락한 이송 담당측 단말이 당해 이송 요청의 담당으로 지정되며, 당해 이송 요청의 상태는 접수중으로 변경되는 단계;
    (d)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요청지에 도착하면,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요청의 상태를 이송중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e)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목적지에 도착하면,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요청의 상태를 완료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환자 이송 요청에는 당해 환자 이송 요청의 업무 특성에 따라 미리 설정된 골든 타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에 상기 골든 타임도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든 타임은 (i) 상기 환자 이송 요청 시점부터 상기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요청지에 도달하여야 하는 시간, 또는 (ii) 상기 환자 이송 요청 시점부터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목적지에 도달하여야 하는 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골든 타임이 도과하면, 상기 골든 타임이 도과했음이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환자 이송 요청이 통신망을 통해 상기 병원 내의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에 전송될 때, 상기 환자 이송 요청은 관리자 단말에도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이송 요청에 대한 상기 골든 타임이 도과한 경우에 당해 도과 사실이 상기 관리자 단말, 상기 이송 담당측 단말, 상기 이송 요청측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며,
    상기 관리자 단말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골든 타임의 도과에 관하여,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에 전화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 송신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6. 병원 내에서 이송 요청지로부터 이송 목적지까지 환자를 이송할 때의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으로서,
    (a) 이송 요청측 단말이 환자 이송 요청을 행하는 단계;
    (b) 상기 환자 이송 요청이 통신망을 통해 상기 병원 내의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에 전송되는 단계;
    (c) 상기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환자 이송 요청을 수락함으로써, 당해 수락한 이송 담당측 단말이 당해 이송 요청의 담당으로 지정되며, 당해 이송 요청의 상태는 접수중으로 변경되는 단계;
    (d)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요청지에 도착하면,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요청의 상태를 이송중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e)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목적지에 도착하면,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요청의 상태를 완료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요청지인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이송 목적지인 제2 위치로의 환자 이송 요청이 완료된 후에, 역으로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다시 동일 환자를 이송해야 하는 재이송 요청을 행할 필요가 생기면, 환자 이송에 대한 정보를 다시 입력할 필요없이, 상기 이송 목적지에 있는 이송 목적지 단말에서, 상기 환자 이송 요청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재이송 요청에 대한 정보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요청측 단말, 상기 이송 담당측 단말은 상기 병원의 의료용 시스템에 통합되어 있지 않은 별개의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내에는 상기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과 소정의 거리 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비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비컨과 통신 가능한 거리 내인지의 여부 또는 송수신되는 신호의 강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의 각각의 위치를 확인 가능하며,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의 위치를 상기 이송 요청측 단말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의 위치와 상기 이송 요청측 단말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된 이송 담당측 단말이 상기 이송 요청측 단말의 위치까지 오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매회마다의 상기 환자 이송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송 담당자 각각에 대한 업무 통계를 작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업무 통계는, 이송 담당자 각각의 특정 기간별 이송 건수, 또는 특정 구간을 통과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업무 통계에 기초하여, 이송 담당자의 인력 배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13. 제1항,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병원 내의 이송 환자 안전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호간에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이 가능한 이송 요청측 단말, 이송 목적지 단말, 서버,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 담당측 단말은 모바일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환자 안전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매회마다의 환자 이송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송 담당자 각각에 대한 업무 통계를 작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업무 통계는, 이송 담당자 각각의 특정 기간별 이송 건수, 또는 특정 구간을 통과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환자 안전 관리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내에는 상기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과 소정의 거리 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비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비컨과 통신 가능한 거리 내인지의 여부 또는 송수신되는 신호의 강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송 담당측 단말의 각각의 위치를 확인 가능하며,
    상기 이송 담당측 단말의 위치를 상기 이송 요청측 단말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환자 안전 관리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환자 안전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병원의 의료용 시스템에 통합되어 있지 않은 별개의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환자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180060278A 2018-05-28 2018-05-28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116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278A KR102116327B1 (ko) 2018-05-28 2018-05-28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278A KR102116327B1 (ko) 2018-05-28 2018-05-28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171A KR20190135171A (ko) 2019-12-06
KR102116327B1 true KR102116327B1 (ko) 2020-06-05

Family

ID=6883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278A KR102116327B1 (ko) 2018-05-28 2018-05-28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3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23679B (zh) * 2021-03-19 2024-04-26 白杨智慧医疗信息科技(北京)有限公司 患者转运过程管理方法、装置及电子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696B1 (ko) * 2004-04-09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택시호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815159B1 (ko) * 2017-08-22 2018-01-30 (주)에스텍휴먼서비스 환자 이송을 위한 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466A (ko) * 2014-04-25 2015-11-06 주식회사 오토피온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시운영방법
KR20160032401A (ko) * 2014-09-15 2016-03-24 이원찬 As고객관리시스템 구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696B1 (ko) * 2004-04-09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택시호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815159B1 (ko) * 2017-08-22 2018-01-30 (주)에스텍휴먼서비스 환자 이송을 위한 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171A (ko) 201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142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record verification
US114754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record verification
US10977590B2 (en) Computerized dat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US112401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and centralized real-time event detection and communication
US10157536B2 (en) Dispatch management platform for nurse call system
US11017337B2 (en) Computerized dat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interactive graphical user interfaces
US20170329908A1 (en) Automated Healthcare Scheduler System and Method
CN102438039A (zh) 基于移动互联网的感知健康社区信息服务系统及工作方法
US1067974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utomated real-time graphical user interfaces
US20230090000A1 (en) Operating room management system with mobile app
US1183811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transmission of digital data using a plurality of channels
US20070214011A1 (en) Patient Discharg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JP2014142889A (ja) クラウド型グループウエアによる老人等介護システム
KR102116327B1 (ko)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093754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ve and automated and centralized real-time event detection and communication
Chiodo et al. Using Lean principles to manage throughput on an inpatient rehabilitation unit
US20150242821A1 (en) Operating Room Management System with Actuateable Pictures
US1076298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uto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real-time facility capacity management
JP2016046810A (ja) デジタル番号呼び出しシステム
Norton Improving nurse call by evaluating a new technology
US11244756B1 (en)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real-time digital data concerning transportation and service monitoring scheduling
EP4138421A1 (en) Managing caregiver communications
US20210151199A1 (en) Tool and methods of use for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s and healthcare providers
AU20222755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record verification
WO20222327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orting iss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