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966B1 -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 - Google Patents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966B1
KR102114966B1 KR1020180020871A KR20180020871A KR102114966B1 KR 102114966 B1 KR102114966 B1 KR 102114966B1 KR 1020180020871 A KR1020180020871 A KR 1020180020871A KR 20180020871 A KR20180020871 A KR 20180020871A KR 102114966 B1 KR102114966 B1 KR 102114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kimmer
unit
wind power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010A (ko
Inventor
박경택
강창환
Original Assignee
(주)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아이 filed Critical (주)코아이
Priority to KR1020180020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966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2Dis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해상에 유출된 기름을 회수하기 위해 풍력을 이용하여 스스로 동작하는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풍력에 의해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풍력에 의해 구동되어 유출유를 회수하고, 회수된 오일을 수집하는 디스크 스키머부, 디스크 스키머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인접하는 유회수기와 서로 결합되는 부력부, 및 디스크 스키머부 및 부력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오일 또는 부유물을 차단하는 차단막부를 포함하며, 인접하는 유회수기와 서로 결합됨으로써 해양 오염지역에서 유출된 오일을 회수함과 동시에 유출된 오일을 포위하여 확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Oil skimmer using wind power}
본 발명은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에 유출된 기름을 회수하기 위해 풍력을 이용하여 스스로 동작하는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행문헌에 나타난 디스크 스키머는 디스크 스키머의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디스크 스키머는 독자적으로 스스로 동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 나아가 기름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0711296(발명의 명칭 : 친유성 드럼디스크형 유회수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KR 10-2015-0083004(발명의 명칭 : 회수 용량 및 회수 효율이 증가된 유회수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KR 20-0419195(발명의 명칭 : 디스크타입 스키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해양 기름 유출시에 풍력을 이용하여 독자적으로 기름을 회수함과 동시에 유출된 기름이 타 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야간에 운용자가 없는 환경에서도 독자적으로 풍력을 이용하여 스스로 유출된 기름을 회수 및 차단하는 야간 독자 방제 작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풍력에 의해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풍력에 의해 구동되어 유출유를 회수하고, 회수된 오일을 수집하는 디스크 스키머부, 디스크 스키머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또는 인접하는 유회수기와 서로 결합되는 결합부), 및 디스크 스키머부 및 결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오일 또는 부유물을 차단하는 차단막부를 포함하며, 인접하는 유회수기와 서로 결합됨으로써 해양 오염지역에서 유출된 오일을 회수함과 동시에 유출된 오일을 포위하여 확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풍력에 의해 구동되어 회수된 오일을 한쪽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구동부는 디스크 스키머의 일측에 구비되어 바람에 의해 제1 회전력을 생성하는 제1 풍력부, 제1 풍력부와 결합됨으로써 제1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 샤프트 및 제1 샤프트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디스크 스키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기어를 구비하는 제1 기어부, 디스크 스키머의 타측에 구비되어 바람에 의해 제2 회전력을 생성하는 제2 풍력부, 및 제2 풍력부와 결합됨으로써 제2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 샤프트 및 제2 샤프트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이송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기어를 구비하는 제2 기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크 스키머부는 제1 기어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드럼부, 드럼부의 외주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구비되는 디스크부, 디스크 스키머부의 전방에 구비되어 드럼부 또는 디스크부로부터 회수된 오일을 1차적으로 수집하는 1차 오일 수집부를 포함하며, 이송부와 서로 연통됨으로써 회수된 오일을 저장하는 2차 오일 수집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이송부는 1차 오일 수집부에서 수집된 오일을 제2 기어의 회전에 의해 한쪽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 및 1차 오일 수집부와 연통 결합됨으로써 이송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오일을 2차 오일 수집부로 공급하는 파이프를 포함한다.
또한, 차단막부는 기능성 차단막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분 구획되는 제1,2 삽입부 및, 차단막부의 자세 유지를 위한 무게추를 포함한다.
또한, 이송부의 파이프는 1차 오일 수집부의 일측과 연통 결합됨으로써 이송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오일을 2차 오일 수집부로 공급하는 제1 파이프, 및 인접하는 유회수기와 서로 결합시에 인접하는 유회수기로부터 이송되는 오일을 제1 파이프로 이송하도록 1차 오일 수집부의 타측과 연통 결합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며, 회수된 오일은 제1,2 파이프를 거쳐 일측 유회수기에서 타측 유회수기로 이송됨으로써 2차 오일 수집부에 저장된다.
또한, 2차 오일 수집부는 이송 스크류의 이송방향과 상응하는 방향에 배치된다.
또한, 부력부에는 인접하는 유회수기를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며, 결합부재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유회수기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유출된 오일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해양 기름 유출시에 풍력을 이용하여 독자적으로 기름을 회수함과 동시에 유출된 기름이 타 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야간에 운용자가 없는 환경에서도 독자적으로 풍력을 이용하여 스스로 유출된 기름을 회수 및 차단하는 야간 독자 방제 작업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형 유회수기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부, 디스크 스키머부, 및 이송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형 유회수기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2 펜스형 유회수기가 오일 펜스와 함께 결합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형 유회수기(10) 또는 디스크 스키머(10)는 해양 기름 유출시 풍력을 이용하여 유출된 기름(또는 오일)을 포집하고 이를 저장소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해상의 풍력(또는 해풍)을 이용하여 유출유의 차단과 회수 작업을 스스로 가능하게 하고 특히 야간에 독립적인 유출유 회수 작업(또는 방제작업)이 가능하게 한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형 유회수기(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형 유회수기(10)는 대략적으로 디스크 스키머부(200)에 의해 유출유를 회수하고, 또한 펜스형 유회수기(10)를 서로 결합함으로써 유출유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펜스 기능을 수행한다(도 6 및 도 7 참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풍력을 이용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00)는 풍력과 기어에 의해 후술하는 디스크 스키머부(200) 및 이송부(500)에 제공되는 구동력을 생성한다. 구동부(100)는 디스크 스키머부(200)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디스크 스키머부(200)의 왼쪽에 구비되는 제1 풍력부(110) 및 제1 기어부(130), 이송부(500)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디스크 스키머부(200)의 오른쪽에 구비되는 제2 풍력부(120) 및 제2 기어부(140)를 포함한다.
제1 풍력부(1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풍력부(110)의 외측에 소정 각도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2,3 지지대(111,112,113)를 구비한다. 또한, 제1 회전부(114)는 해풍에 의해 회전하도록 날개 또는 팬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1 회전부(114)의 회전에 의해 이와 연동되는 제1 기어부(130)의 제1 샤프트(131)가 동작하게 된다. 제1 샤프트(131)의 일측(또는 상측)은 제1 회전부(114)와 서로 연동되도록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1 회전부(114)와 서로 결합되며, 제1 샤프트(131)의 타측(또는 하측)은 기 설정된 기어비에 따라 기어가 형성된다. 제1 샤프트(131)와 서로 맞물리며 연동되는 제1 기어(132)는 후술하는 디스크 스키머부(2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된다. 일예로서 디스크 스키머부(200)의 회전축 또는 샤프트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기어(132)와 제1 샤프트(131)의 기어는 디스크 스키머부(200)를 구동하도록 기 결정된 기어비를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풍력부(120)는 제2 풍력부(120)의 외측에 소정 각도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2,3 지지대(121,122,123)를 구비한다. 또한, 제2 회전부(124)는 해풍에 의해 회전하도록 날개 또는 팬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2 회전부(124)의 회전에 의해 이와 연동되는 제2 기어부(140)의 제2 샤프트(141)가 동작하게 된다. 제2 샤프트(141)의 일측(또는 상측)은 제2 회전부(124)와 서로 연동되도록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2 회전부(124)와 서로 결합되며, 제2 샤프트(141)의 타측(또는 하측)은 기 설정된 기어비에 따라 기어가 형성된다. 제2 샤프트(141)와 서로 맞물리며 연동되는 제2 기어(142)는 후술하는 이송 스크류(51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된다. 일예로서 이송 스크류(510)의 회전축 또는 샤프트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기어(142)와 제2 샤프트(141)의 기어는 이송 스크류(510)를 구동하도록 기 결정된 기어비를 가진다. 다만, 제1 기어(132)가 제2 기어(142)에 비해 직경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부(500)의 이송 스크류(510)가 디스크 스키머부(200)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기어(132) 보다 제2 기어(142)가 하측에 위치한다.
상술한 제2 풍력부(120)는 이송 스크류(5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한다. 제2 풍력부(120)의 구동력에 의해 이송 스크류(510)는 회전하게 되며 이때 이송 스크류(510)는 회수된 오일을 한 방향(디스크 스키머부를 기준으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보낸다. 다만, 해풍의 풍향은 시간, 조류 또는 날씨에 따라 그 방향이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제2 풍력부(120) 또는 이송부(500)에는 이송 스크류(510)의 회전 방향을 설정하는 방향 설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이송 스크류(510)가 회수된 오일을 왼쪽으로 이송시키고자 하는 경우 방향 설정부에 의해 왼쪽 이송에 상응하는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풍력부(120)의 팬의 구동 방향(또는 회전 방향)이 이러한 방향 설정부의 설정 방향과 맞지 않으면(일예로서 이송 스크류가 오일을 오른쪽으로 이송하도록 팬이 구동되면) 이송 스크류(510)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방향 설정부 대신에 왼쪽 또는 오른쪽 중 어느 한쪽의 선택된 방향으로만 이송 스크류(510) 또는 제2 회전부(124)가 동작되도록 하는 스토퍼부를 이송부(500) 또는 제2 풍력부(120)에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스키머부(200)는 친유성 디스크 스키머로써,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부(210), 디스크부(220) 및 1차 오일 수집부(230)를 포함한다. 드럼부(210)는 원통형으로서 그 중심축에 샤프트가 구비될 수 있으며, 드럼부의 샤프트와 제1 기어(132)가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어(132)의 구동에 따라 연동되어 드럼부(210)가 회전한다. 디스크부(220)는 드럼부(210)의 외주 둘레방향으로 디스크 형상으로 구비되며, 드럼부(2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드럼부(210)의 회전에 따라 드럼부(210) 또는 디스크부(220)에 유출된 오일이 묻게 되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각 디스크부(220) 사이의 설치영역(250)에 배치된 스크래퍼에 의해 드럼부(210) 또는 디스크부(220)에 묻혀진 기름을 스크래핑하여 회수하게 된다. 스크래퍼에 의해 오일을 회수하게 되면 회수된 오일은 도 1에 도시된 1차 오일 수집부(230)로 떨어지게 된다.
디스크 스키머부(200)는 상술한 드럼부(210) 및 디스크부(220)를 외측에서 감싸는 몸체 프레임(24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된다. 몸체 프레임(240)은 후술하는 제1,2 결합부(300,400)와 서로 결합된다. 몸체 프레임(240)의 전방에는 1차 오일 수집부(230)가 구비된다. 스크래퍼에 의해 드럼부(210) 또는 디스크부(220)에 묻혀진 오일을 회수하며, 1차 오일 수집부(230)는 스크래퍼에 의해 회수된 오일을 1차적으로 수집 저장한다. 따라서 1차 오일 수집부(230)는 드럼부(210) 또는 디스크부(220)에 비해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동시에 회수된 오일이 1차 오일 수집부(230)에 잘 수집되도록 디스크부(220)에서 1차 오일 수집부(230)까지 오일 회수 경로가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오일 수집부(230)는 회수된 오일이 떨어져 모이도록 상부가 개방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측 및 우측은 후술하는 제1 파이프(521) 및 제2 파이프(522)와 각각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된다. 바다에 유출된 유출유는 드럼부(210) 및 디스크부(220)의 회전에 의해 오일이 묻혀져 올라오며, 묻혀져 올라온 오일은 스크래퍼에 의해 회수되어 전방에 배치된 1차 오일 수집부(230)에 1차적으로 수집된다. 드럼부(210) 및 디스크부(22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 설명하였을 뿐 제작상에 있어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따로 제작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2 결합부(300,400)는 디스크 스키머부의 양측에 결합되어 부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공되는 부력에 따라 디스크 스키머부의 수면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2 결합부는 제1,2 부력부(300,400)일 수 있다. 제1,2 결합부는 디스크 스키머부(200)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결합되며 결합부재를 구비한다. 결합부재의 구비에 따라 인접하는 유회수기와 연속으로 연결이 가능하여 유출유가 다른 곳으로 확산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펜스형 유회수기(11,12)는 제1,2 결합부(300,40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즉, 제1 펜스형 유회수기(11)의 제2 결합부와 제2 펜스형 유회수기(12)의 제1 결합부가 서로 결합되고, 더 나아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3 펜스형 유회수기의 제1 결합부가 제2 펜스형 유회수기의 제2 결합부와 서로 결합되는 원리를 확장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회수기는 기름이 유출된 해양오염 지역에 투입되어 서로 결합됨으로써 펜스 기능을 할 수 있고, 따라서 유출된 기름이 다른 곳으로 확산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유회수기는 유출된 오일을 회수함과 동시에 펜스 기능을 수행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형 유회수기(11,12)는 독자적으로 기름이 유출된 해양 오염 지역에 투입되어 유출된 오일을 회수할 수 있고, 이와 달리 서로 결합되어 유출된 오일을 회수함과 동시에 오일이 확산되지 않도록 펜스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이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오일 펜스(20)와 서로 결합되어 오일이 더 이상 다른 곳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기름 유출이 심한 지역에 펜스형 유회수기(11,12)를 결합 배치하고(일예로서 중심 지역에), 펜스형 유회수기(11,12)의 좌측 및 우측에 기존의 오일 펜스(20)를 결합부(300,400)에 결합시켜 유출된 오일을 회수함과 동시에 펜스 길이를 원하는 대로 조절함과 동시에 펜스 기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오일 펜스(20)가 펜스형 유회수기(11,12)에 결합 고정되기 위해 제1,2 결합부(300,400)의 측면에 결합부재(일예로서 결합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펜스형 유회수기(11,12)에서 회수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수집부(13)가 구비된다. 도 6 및 도 7에는 제1,2 펜스형 유회수기(11,12)에서 회수한 오일이 왼쪽 방향으로 이송되어 오일 수집부(13)에서 최종 수집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오일 수집부(13)는 제1,2 펜스형 유회수기(11,12) 각각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제1 오일 수집부는 제1 펜스형 유회수기(11)의 몸체 프레임(240)의 좌측면과 서로 결합 구비되고, 제2 오일 수집부는 제2 펜스형 유회수기(12)의 몸체 프레임(240)의 좌측면과 서로 결합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크 스키머부의 몸체 프레임(240) 및 제1,2 결합부(300,400)는 서로 결합되어 오일 펜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2 펜스형 유회수기(11,12)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오일 펜스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2 결합부(300,400)는 각각 제1,2 펜스부일 수 있다.
각각의 유회수기(11,12)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제1,2 결합부(300,400)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인접하는 유회수기를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재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유회수기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유출된 오일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한다. 결합부재의 일예로서 제1 결합부(300)의 측면에는 공업용 지퍼의 한면(제1 공업용 지퍼부재)이 부착되고, 제2 결합부(400)의 측면에는 제1 공업용 지퍼부재에 대응되는 제2 공업용 지퍼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공업용 지퍼부재가 제1,2 결합부 의 측면 뿐만 아니라 차단막부(700)의 양측면에도 각각 부착됨으로써 제1,2 결합부(300,400)와 차단막부(700)까지 일체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결합부(300)의 측면에는 숫놈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되고, 제2 결합부(400)의 측면에는 암놈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또는 암놈과 숫놈이 반대로 부착되어도 적용 가능). 또 다른 예로서 제1 결합부(300)의 측면에는 연결봉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제2 결합부(400)의 측면에는 연결봉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연결봉의 구비 개수 및 이격 거리에 상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또는 서로 반대로 적용해도 됨). 또 다른 예로서 제1,2 결합부(300,40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는 별도의 결합부재가 제1,2 결합부(300,400)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서로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술한 예는 직접 결합에 대한 예이고 간접적인 결합의 예로서 제1 펜스형 유회수기의 제2 결합부(400)와 제2 펜스형 유회수기의 제1 결합부(300)의 사이에 차단막부재(일예로서 비닐 차단막)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차단막부재는 후술하는 차단막부(700)가 적용될 수도 있다. 간접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직접적으로 결합시키는 방식에 비해 거센 조류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된 유회수기를 좀 더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부(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스크류(510) 및 파이프(520)를 포함한다. 이송 스크류(510)의 샤프트는 제2 기어(142)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된다. 해풍에 의해 제2 회전부(124)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어비에 따라 제2 샤프트(141) 및 제2 기어(142)가 연동되어 회전하며 최종적으로 이송 스크류(510)가 회전하여 일방향으로 회수된 오일을 이송한다. 이송 스크류(510)는 전체적인 형상이 회오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오일 수집부(230)의 내부 및 디스크부(220)의 하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회수된 오일이 1차 오일 수집부(230)에서 수집되면 이송 스크류(51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회수된 오일을 풍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한다. 이송 스크류(510)는 회수된 오일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도록 이송 디스크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송 스크류(510)에 의해 회수된 오일이 좌측 방향으로 이송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2차 오일 수집부(600)까지 제1 이송 파이프(521)에 의해 이송된다. 이때, 이송 스크류(510)에 의해 회수된 오일이 우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설정되면 2차 오일 수집부(600)는 제2 이송 파이프(522)에 결합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2차 오일 수집부(600)가 제1 이송 파이프(521)에 서로 결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송 파이프(5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몸체 프레임(240)의 좌측면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결합되고, 타측은 2차 오일 수집부(60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결합되는 제1 이송 파이프(521)를 포함한다. 또한, 이송 파이프(520)는 제1,2 펜스형 유회수기(11,12)를 서로 결합시에 제2 펜스형 유회수기(12)에서 회수한 오일을 제1 펜스형 유회수기(11) 측으로 이송하기 위해 도 1,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제2 펜스형 유회수기(12)의 몸체 프레임(240)의 좌측면과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제1 펜스형 유회수기(11)의 몸체 프레임(240)의 우측면과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제2 이송 파이프(522)를 포함한다. 제1 이송 파이프(521)는 디스크 스키머부(200)를 기준으로 좌측에 결합되고, 제2 이송 파이프(522)는 디스크 스키머부(200)를 기준으로 우측에 결합되고, 1차 오일 수집부(230)는 제1,2 이송 파이프(521,522)의 중앙에 배치된다.
제1,2 펜스형 유회수기(11,12)를 서로 결합시켜 오일을 회수하는 경우에 각각의 디스크 스키머부(200)에서 회수된 오일은 각각의 이송 스크류(510)에 의해 왼쪽방향으로 이송되고, 제1,2 이송 파이프(521,522)를 거쳐 최종적으로 오일 수집부(13)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 오일 수집부(600)는 제2 회전부(124)의 회전방향 또는 이송 스크류(510)의 이송방향과 상응하는 방향에 배치된다. 즉, 일예로서 회전방향이나 이송방향이 결과적으로 회수된 오일을 왼쪽 방향으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2차 오일 수집부(600)는 제1 이송 파이프(521)와 서로 연통 결합되어 디스크 스키머부(200)를 기준으로 왼쪽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회전방향이나 이송방향이 결과적으로 회수된 오일을 오른쪽 방향으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2차 오일 수집부(600)는 제2 이송 파이프(522)와 서로 연통 결합되어 디스크 스키머부(200)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배치될 수 있다. 2차 오일 수집부(600)는 개별 펜스형 유회수기(11,12) 각각에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서 회수된 오일을 한쪽으로 모아서 어느 하나의 펜스형 유회수기와 서로 결합된 2차 오일 수집부(600)에서 한꺼번에 최종적으로 회수된 오일을 수집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막부(7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스키머부(200) 및 제1,2 결합부(300,4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유출된 오일 또는 부유물을 차단한다. 차단막부(700)는 디스크부(220) 보다 더 해수면 아래로 잠기게 되며, 디스크부(220)에서 미처 회수하지 못한 해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비중이 큰 오일 또는 부유물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따라서 차단막부(700)도 펜스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제1,2 결합부(300,400) 및 차단막부(700)가 펜스 기능을 수행한다. 제1,2 결합부(300,400)는 해수면 근처에서 오일 또는 부유물의 확산을 차단하며, 차단막부(700)는 제1,2 결합부(300,400)보다 더 낮은 해수면 아래에서 오일 또는 부유물의 확산을 차단한다.
차단막부(700)는 도 5(차단막부의 후방면) 및 도 7(차단막부의 전방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 형태의 섬유를 양면으로 겹쳐서 만들 수 있다. 이때, 차단막부(700)의 중앙영역에는 조류에 의한 수압에 의해 차단막부를 보호하는 중앙 섬유벨트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 섬유벨트부재(강질 섬유로 재봉될 수 있음)에 의해 상측영역과 하측영역으로 구분된다.
차단막부(700)의 후방면에는 중앙 섬유벨트부재를 경계로 하여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져 구분 구획되는 제1,2 삽입부(710,720)가 형성된다. 제1,2 삽입부(710,720)의 각각에는 복수의 기능성 차단막 삽입홈(711,721)이 형성된다. 기능성 차단막 삽입홈(711,721)은 지퍼를 이용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상 유출유의 점도(유출된 기름의 종류)와 조류의 속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차단막(일예로서 유출유의 점도에 따라 대응되는 메시 그물망일 수 있음)을 현장에서 손쉽게 교체하여 넣거나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 교체가 쉽도록 할 수 있다. 유출된 기름은 수면에서는 디스크 스키머부가 회수할 수 있는 고점도일 수 있으나 차단막부(700)가 위치하는 바닷속에는 점차 희석되어 저점도로 변한다. 이에 따라 유출된 오일의 점도에 맞는 메시 그물망을 선택함으로써 디스크 스키머부 아래에 배치되는 차단막부(700)에서도 오일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지 못하도록 하며, 더 나아가 메시 그물망을 통해 해수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여 강한 조류가 발생시에도 차단막부(700)가 조류에 의해 뒤집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는, 부유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차단막을 삽입할 수도 있다. 일예로서 제1 삽입부(710)의 삽입홈(711)에는 각각 저점도 오일을 차단하는 차단필터 또는 차단막이 삽입되고, 제2 삽입부(720)의 삽입홈(721)에는 각각 고점도 오일을 차단하는 차단필터 또는 차단막이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삽입부(710)의 삽입홈(711)에는 각각 오일을 차단하는 차단필터 또는 차단막이 삽입되고, 제2 삽입부(720)의 삽입홈(721)에는 부유물을 차단하는 차단필터 또는 차단막이 삽입될 수 있다(이와 반대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됨). 즉, 제1 삽입부(710)와 제2 삽입부(720)는 서로 동일한 종류의 차단막이 삽입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종류의 차단막이 삽입될 수도 있다.
차단막부(700)의 하부면의 양측 또는 하부면의 전체면에는 차단막부의 안정적인 자세 유지를 위한 금속체인 무게추(73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펜스형 유회수기(또는 디스크 스키머)
11 : 제1 펜스형 유회수기
12 : 제2 펜스형 유회수기
13 : 오일 수집부
20 : 오일 펜스
100 : 구동부
110 : 제1 풍력부
111 : 제1 지지대
112 : 제2 지지대
113 : 제3 지지대
114 : 제1 회전부(또는 제1 날개부)
120 : 제2 풍력부
121 : 제1 지지대
122 : 제2 지지대
123 : 제3 지지대
124 : 제2 회전부(또는 제2 날개부)
130 : 제1 기어부
131 : 제1 샤프트
132 : 제1 기어
140 : 제2 기어부
141 : 제2 샤프트
142 : 제2 기어
200 : 디스크 스키머부
210 : 드럼부
220 : 디스크부
230 : 1차 오일 수집부
240 : 몸체 프레임
250 : 스크래퍼 설치영역
300 : 제1 결합부(제1 펜스부 또는 좌측 결합부)
400 : 제2 결합부(제2 펜스부 또는 우측 결합부)
500 : 이송부
510 : 이송 스크류
511 : 이송 디스크
520 : 이송 파이프(또는 원형관)
521 : 제1 이송 파이프(또는 제1 원형관)
522 : 제2 이송 파이프(또는 제2 원형관)
600 : 2차 오일 수집부
700 : 스커트부(또는 차단막부)
710 : 제1 삽입부
711 : 제1 기능성 차단막 삽입홈
720 : 제2 삽입부
721 : 제2 기능성 차단막 삽입홈
730 : 무게추

Claims (9)

  1. 풍력에 의해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상기 풍력에 의해 구동되어 유출유를 회수하고, 회수된 오일을 수집하는 디스크 스키머부,
    상기 디스크 스키머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 및
    상기 디스크 스키머부 및 부력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오일 또는 부유물을 차단하는 차단막부를 포함하며,
    인접하는 유회수기와 서로 결합됨으로써 해양 오염지역에서 유출된 오일을 회수함과 동시에 유출된 오일을 포위하여 확산을 방지하며,
    상기 풍력에 의해 구동되어 회수된 오일을 한쪽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디스크 스키머의 일측에 구비되어 바람에 의해 제1 회전력을 생성하는 제1 풍력부,
    상기 제1 풍력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상기 디스크 스키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기어를 구비하는 제1 기어부,
    상기 디스크 스키머의 타측에 구비되어 바람에 의해 제2 회전력을 생성하는 제2 풍력부, 및
    상기 제2 풍력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상기 이송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기어를 구비하는 제2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스키머부는,
    상기 제1 기어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드럼부,
    상기 드럼부의 외주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구비되는 디스크부,
    상기 디스크 스키머부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부 또는 디스크부로부터 회수된 오일을 1차적으로 수집하는 1차 오일 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와 서로 연통됨으로써 회수된 오일을 저장하는 2차 오일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1차 오일 수집부에서 수집된 오일을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에 의해 한쪽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 및
    상기 1차 오일 수집부와 연통 결합됨으로써 상기 이송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오일을 상기 2차 오일 수집부로 공급하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부는,
    기능성 차단막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분 구획되는 제1,2 삽입부 및,
    상기 차단막부의 자세 유지를 위한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파이프는,
    상기 1차 오일 수집부의 일측과 연통 결합됨으로써 상기 이송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오일을 상기 2차 오일 수집부로 공급하는 제1 이송파이프, 및
    인접하는 유회수기와 서로 결합시에 인접하는 유회수기로부터 이송되는 오일을 상기 제1 이송파이프로 이송하도록 상기 1차 오일 수집부의 타측과 연통 결합되는 제2 이송파이프를 포함하며,
    회수된 오일은 제1,2 이송파이프를 거쳐 일측 유회수기에서 타측 유회수기로 이송됨으로써 상기 2차 오일 수집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오일 수집부는 상기 이송 스크류의 이송방향과 상응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에는 인접하는 유회수기를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유회수기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유출된 오일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
KR1020180020871A 2018-02-22 2018-02-22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 KR102114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871A KR102114966B1 (ko) 2018-02-22 2018-02-22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871A KR102114966B1 (ko) 2018-02-22 2018-02-22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010A KR20190101010A (ko) 2019-08-30
KR102114966B1 true KR102114966B1 (ko) 2020-05-25

Family

ID=6777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871A KR102114966B1 (ko) 2018-02-22 2018-02-22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9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3664A (ko) 2021-12-03 2023-06-12 (주)코아이 무인 자항 유출유 회수 로봇
KR20230099954A (ko) 2021-12-28 2023-07-05 (주)코아이 유출유를 향해 방향성을 갖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233A1 (ko) * 2019-04-05 2020-10-08 주식회사 코아이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043B1 (ko) * 2010-03-23 2012-06-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형 구동시스템에 의한 수표면 부유물 처리장치
KR200475068Y1 (ko) * 2014-06-19 2014-11-04 정성일 회수 용량 및 회수 효율이 증가된 유회수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296B1 (ko) 2005-11-22 2007-04-25 한국 해양오염방제조합 친유성 드럼디스크형 유회수기
KR200419195Y1 (ko) 2006-03-27 2006-06-19 이상기 디스크타입 스키머
KR20150083004A (ko) 2014-05-30 2015-07-16 정성일 회수 용량 및 회수 효율이 증가된 유회수기
KR101774868B1 (ko) * 2015-04-30 2017-09-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오염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043B1 (ko) * 2010-03-23 2012-06-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형 구동시스템에 의한 수표면 부유물 처리장치
KR200475068Y1 (ko) * 2014-06-19 2014-11-04 정성일 회수 용량 및 회수 효율이 증가된 유회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3664A (ko) 2021-12-03 2023-06-12 (주)코아이 무인 자항 유출유 회수 로봇
KR20230099954A (ko) 2021-12-28 2023-07-05 (주)코아이 유출유를 향해 방향성을 갖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010A (ko)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966B1 (ko)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
KR101865403B1 (ko) 스마트 스키머
NO316628B1 (no) Fremgangsmate og anordning for hydraulisk fjerning av sedimenter fra sandfang
WO1995018895A1 (fr) Dispositif de comblement d'une tranchee creusee dans le fond sous-marin pour recouvrir une canalisation deposee dans ladite tranchee
CA2846047C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pollution from a body of water
CN102373696A (zh) 滚桶形伸缩式开合网筛的水上捞油机
JPS5949965B2 (ja) オイルフエンス
US4978448A (en) System for recovery of floating material from the surface of a body of water
CN108978611A (zh) 一种用于治理河道漂浮物的装置
RU2323299C1 (ru) Плавуч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бора нефти 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с поверхности воды
CN101023225B (zh) 水下储水容器
US3635347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spersion of pollutants floating on a body of water
US3635032A (en) Boom for oil spilt on water
CN215483189U (zh) 一种用于水利工程的负压汲取碎石清淤装置
KR102253992B1 (ko) 해상유출 고점도유 회수 장치 및 그 회수 방법
CN109467162B (zh) 河道浮油分离装置
CN105130140B (zh) 环境修复系统
GB2557494A (en) Device for removal of surface contamination on water
KR101166326B1 (ko) 터널식 취수시스템
US5533832A (en) Oil spill containment and recovery system
CN106087921A (zh) 一种可变攻角海上除油装置
CN212308924U (zh) 水面浮油清理装置
KR102358593B1 (ko) 자가발전 기능이 있는 제진기
CN111119143A (zh) 水域垃圾收集装置及应用于该装置的嵌接盒
ES1135747U (es) Mecanismo para recogida de productos petrolífer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