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954A - 유출유를 향해 방향성을 갖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유출유를 향해 방향성을 갖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954A
KR20230099954A KR1020210189419A KR20210189419A KR20230099954A KR 20230099954 A KR20230099954 A KR 20230099954A KR 1020210189419 A KR1020210189419 A KR 1020210189419A KR 20210189419 A KR20210189419 A KR 20210189419A KR 20230099954 A KR20230099954 A KR 20230099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elt
oil
type
oil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택
주슬기
이동엽
Original Assignee
(주)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아이 filed Critical (주)코아이
Priority to KR1020210189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954A/ko
Publication of KR20230099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8Oil collectors moved over the water skimming the wat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onveyers, e.g. of endless-belt or screw-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propulsion power units being controlled from exterior of engine room, e.g. from navigation bridge; Arrangements of order telegraph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4Conveyors; Paddle wheels;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6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 B63B2035/008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remotely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63H2005/1254Podded azimuthing thrusters, i.e. podded thruster units arranged inboard for rotation about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63H2025/028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using remote control means, e.g. wireless contro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컨트롤러로부터 무선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유출유가 위치하는 지점으로 이동하여 유회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출유를 향해 방향성을 갖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Belt-type skimming device with direction towards the spilled oil}
본 발명은 유출유를 향해 방향성을 갖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상 기름 유출 사고 발생시, 기름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고 현장에 신속히 도착하여 각종 장비를 통해 기름 유출 확산을 방지하고 유출된 기름을 회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름이 확산되기 전에 빠른 유회수가 요구되는데, 사고 발생이 접수되고, 관련 기관에 통보하여 유회수 인력들이 각종 장비를 갖춰 출동하는데, 기관 간의 의사 소통, 이동 수단의 준비, 장비의 준비 등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신속하게 대응하기가 어렵다. 기름 유출 시,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한 경우, 바람, 해류 등의 영향으로 기름이 광범위하게 퍼지게 되고,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유회수는 점점 더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저유황유(LSFO) 유출시, 기존의 유회수 메커니즘으로는 고형화된 기름을 회수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기름 유출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면서 고형화된 기름을 회수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등록번호 KR 10-211496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상에서 기름 유출 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유출유를 회수하기 위한 유출유를 향해 방향성을 갖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유회수 장치는 외부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신속하게 동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유회수 장치는 외부 컨트롤러로부터 무선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유출유가 위치하는 지점으로 이동하여 유회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점으로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추진부; 및 이동 방향 전환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조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1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추진부에 대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2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향부에 대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부는, 벨트의 움직임을 통해 유출유를 회수하는 유회수부; 및 회수유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저장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3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유회수부에 대한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4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부에 대한 제4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무선 신호, 제2 무선 신호, 제3 무선 신호 및 제4 무선 신호를 각각 독립된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상기 구동부는, 벨트를 통해 저유황유(LSFO)를 회수하는 유회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회수부는, 모터;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기초하여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걸쳐진 상태로 회전되고 래칫(rachet) 구조가 적용된 벨트; 및 상기 벨트에서 기름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한다.
상기 래칫 구조는 고형화된 기름을 건져 올리는 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유회수 장치는 유출유가 부유하는 물에 움직임을 부여하여, 유출유가 상기 벨트쪽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유도 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는, 하부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 장치는, 상기 하부 롤러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롤러를 회전시키는 동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움직임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유회수 장치는 상기 통신부, 상기 구동부, 상기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파이프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추진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따라 동작되는 스러스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러스터는, 상기 조향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파이프를 축으로 한 회전에 따라, 이동 방향의 전환을 유도한다.
상기 본체는, 부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플로트; 및 상기 한 쌍의 플로트 사이에 배치되고, 벨트의 움직임을 통해, 유출유를 회수하는 유회수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원격 컨트롤러를 통해 벨트형 유회수 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유회수 장치의 이동, 방향 전환, 벨트의 회전 속도 제어, 회수유의 이송 제어 등에 있어 정교한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추진 장치를 간결하게 구성하고, 추진 장치를 통해 조타도 수행할 수 있어 벨트형 유회수 장치의 제조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탈착 가능하고 수면에 부유할 수 있는 회수유 저장부를 구비함으로써, 유출유의 양에 따라 복수의 저장부를 교체해 가며 유회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저유황유 유출시에도 고형화된 기름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유도 장치를 구비하고, 전진 이동하면서 유출유를 회수하므로, 펌핑업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유회수 장치를 여러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i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회수 시스템(SYS)은, 수중에 유출된 기름(OL)을 회수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유회수 시스템(SYS)은, 해상에서 기름(OL)이 유출되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유회수 시스템(SYS)은, 벨트형 유회수 장치(1) 및 리모트 컨트롤러(800)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형 유회수 장치(1)는, 리모트 컨트롤러(800)에서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될 수 있다. 벨트형 유회수 장치(1)는, 리모트 컨트롤러(800)에서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유출유 지점으로 이동하여 유회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벨트형 유회수 장치(1)는, 리모트 컨트롤러(800)에서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벨트형 유회수 장치(1)는, 리모트 컨트롤러(800)에서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벨트형 유회수 장치(1)는, 리모트 컨트롤러(800)에서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조향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벨트형 유회수 장치(1)는, 리모트 컨트롤러(800)에서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벨트의 회전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벨트형 유회수 장치(1)는, 리모트 컨트롤러(800)에서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이송부의 동작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800)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800)는, 사용자 입력부로 버튼, 레버, 조이스틱, 터치 패널, 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유회수 장치 및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블럭도이다.
리모트 컨트롤러(800)는, 통신부(805) 및 조작 장치(80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805)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1)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부(805)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805)는, 조작 장치(806)에서 생성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신호를 벨트형 유회수 장치(1)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조작 장치(806)는, 사용자 입력을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조작 장치(806)는, 제1 조작부(810), 제2 조작부(820), 제3 조작부(830) 및 제4 조작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작부 내지 조4 조작부(810, 820, 830, 840)는, 버튼, 레버, 조이스틱, 터치 패널, 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조작부(8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무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통신부(805)를 통해, 벨트형 유회수 장치(1)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추진부(430a)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무선 신호는, 추진부(430a)에 포함된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제2 조작부(82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무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무선 신호는 통신부(805)를 통해, 벨트형 유회수 장치(1)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무선 신호는, 조향부(430b)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무선 신호는, 조향부(430b)에 포함된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제3 조작부(83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3 무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무선 신호는 통신부(805)를 통해, 벨트형 유회수 장치(1)로 전송될 수 있다. 제3 무선 신호는, 유회수부(11)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무선 신호는, 유회수부(11)에 포함된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제4 조작부(84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4 무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4 무선 신호는 통신부(805)를 통해 벨트형 유회수 장치(1)로 전송될 수 있다. 제4 무선 신호는, 이송부(75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무선 신호는, 이송부(750)에 포함된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방제작업자는 리모트 컨트롤러(800)를 이용해 벨트형 유회수 장치(1)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 장치(806)는, 좌측에 구비된 조이 스틱 우측에 구비된 2개의 다이얼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조이 스틱은 제1 조작부(810) 및 제2 조작부(8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조이 스틱을 통해 전진, 후진 좌측 방향 전환, 우측 방향 전환의 조작이 가능하다. 제1 다이얼 컨트롤러는 벨트(701)를 작동시키고 및 벨트(701)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다이얼 컨트롤러는 보관부(740)에서 저장부(20)로 회수유를 이송하는 스크류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벨트형 유회수 장치(1)는, 자율 항해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이경우, 벨트형 유회수 장치(1)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유출유 좌표로 이동하여 유회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벨트형 유회수 장치(1)는, 통신부(420), 구동부(401)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20)는, 리모트 컨트롤러(800)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부(42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20)는, 외부 컨트롤러(800)로부터 무선으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420)는, 조작 장치(806)를 통해 생성된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420)는, 제1 무선 신호, 제2 무선 신호, 제3 무선 신호 및 제4 무선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420)는, 제1 무선 신호, 제2 무선 신호, 제3 무선 신호 및 제4 무선 신호를 각각 독립된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구동부(401)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의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401)는, 유출유가 위치하는 지점으로 이동하여 유회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401)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401)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의 이동 방향 전환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401)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의 벨트의 움직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401)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의 회수유 이송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401)는, 추진부(430a), 조향부(430b), 유회수부(11) 및 이송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추진부(430a) 및 조향부(430b)는 후술하는 추진 장치(430)의 하위 구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추진부(430a)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추진부(430a)는, 모터를 통해, 유출유가 위치하는 지점으로 벨트형 유회수 장치(1)가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조향부(430b)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부(430b)는, 모터를 통해,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의 이동 방향 전환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유회수부(11)는, 벨트(701)의 움직임을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유회수부(11)는, 벨트(701)의 움직임을 통해 유출유를 회수할 수 있다. 모터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벨트(701)는, 상향 또는 하향 회전하고, 벨트(701)의 회전에 따라 유출유는 회수될 수 있다.
유회수부(11)는, 벨트(701)를 통해 저유황유(LSFO)를 회수할 수 있다.
이송부(750)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750)는, 모터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수유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저장부(20)로 이송할 수 있다.
이송부(750)는, 모터 및 회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장치는, 모터에서 제공받은 동력에 기초하여, 보관부(740)에서 저장부(20)로 회수유를 이송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통신부(420)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부(401)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통신부(420)를 통해 수신되는 제1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추진부(430a)에 대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추진부(430a)는,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벨트형 유회수 장치(1)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도록 동력을 스러스터(432)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통신부(420)를 통해 수신되는 제2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조향부(430b)에 대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조향부(430b)는,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벨트형 유회수 장치(1)가 방향 전환하도록 동력을 스러스터(432)에 제공할 수 있다. 스러스터(432)는, 조향부(430b)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파이프(431)를 축으로 회전하고, 스러스터(432)의 회전에 따라 벨트형 유회수 장치(1)는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통신부(420)를 통해 수신되는 제3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유회수부(11)에 대한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유회수부(11)는, 제3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벨트(701)를 움직여 유출유 회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유회수부(11)는, 제3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벨트(701)를 상향 또는 하향 회전시킬 수 있다. 유회수부(11)는, 제3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벨트(701)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통신부(420)를 통해 수신되는 제4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이송부(750)에 대한 제4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송부(750)는, 제4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회수유를 저장부(20)로 이송할 수 있다. 이송부(750)는, 제4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스크류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송부(750)는, 제4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스크류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송부(750)는, 제4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모터에서 생성되는 구동력에 따라 회전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유회수 장치를 여러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벨트형 유회수 장치(1)는, 리모트 컨트롤러(800)에서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유출유를 회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벨트형 유회수 장치(1)는, 자율 항해하면서 유출유를 회수할 수 있다.
벨트형 유회수 장치(1)는, 통신부(420) 추진 장치(430), 본체(10), 저장부(20), 구조체(500), 제어부(600) 및 배터리(6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은, GPS 장치(410) 및 각종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벨트형 유회수 장치(1)에는 수밀 구조가 적용된다.
통신부(420)는, 외부 장치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420)는, 유출유(OL)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420)는, 유출유(OL)의 면적에 대한 정보 및 유출유(OL)의 좌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유출유의 좌표 정보는, 유출유(OL)의 중심 좌표 정보 또는 경계 중 일 지점의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20)는, 외부 장치(예를 들면, 서버, 선박)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420)는, 해류 정보, 바람 정보, 선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선박에 대한 정보는, 선박의 경로 정보 및 선박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형 유회수 장치(1)는, 리모트 컨트롤러(800)를 이용한 무선 조정 모드와 자율 항해 모드간 상호 전환이 가능하다.
추진 장치(430)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1)에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은, 추진 장치(430)에서 제공하는 추진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추진 장치(430)는, 파이프(431), 스러스터(thruster)(432) 및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431)는, 본체(10)의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파이프(431)는, 본체(10)에서부터, 본체(10)의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경우, 연결부(520)의 로워 플레이트에는 파이프(431)가 관통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431)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431) 내부 공간에는 제어부(600)와 스러스터(432)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과 배터리(650)와 스러스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이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 내부에 스러스터(432)의 구동을 위한 모터가 배치되는 경우, 모터에서 생성되는 동력을 스러스터(432)까지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가 파이프(43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파이프(431)는, 연결부(520)에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경우, 연결부(520)는 제어부(600)와 스러스터(432), 배터리(650)와 스러스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공간을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600)와 스러스터(432)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과 배터리(650)와 스러스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은 연결부(520)의 내부 공간과 파이프(43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520)의 내부 공간과 파이프(431)의 내부 공간은 연통될 수 있다. 스러스터(432)의 구동을 위한 모터는 스러스터(432) 주변에 배치되고, 모터는 연결부(520)의 내부 공간과 파이프(43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전선에 의해 신호와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스러스터(432)는, 모터에서 생성되는 동력에 기초하여, 추진력을 생성할 수 있다.
모터는, 본체(10)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가 본체(10)에 배치되는 경우, 파이프(431)는, 본체(10)로부터 본체(10)의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파이프(431) 내부에는 모터에서 생성된 동력을 스러스터(432)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예를 들면, 기어, 샤프트)가 배치될 수 있다.
모터는, 스러스터(432)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가 스러스터(432) 주변에 배치되는 경우, 파이프(431)는, 연결부(520)로부터 본체(10)의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러스터(432)는, 파이프(431)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스러스터(432)는, 파이프(431)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파이프(431)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스러스터(432)는, 추진부(430a)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파이프(431)를 축으로 하는 스러스터(432)의 회전으로 인해, 스러스터(432)는, 조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조향부(430b)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스러스터(432)는, 파이프(431)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스러스터(432)는, 파이프(431)를 축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동 방향의 전환을 유도할 수 있다. 스러스터(432)가 파이프(431)를 축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의 이동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본체(10)는 통신부(600), 구동부(401) 및 제어부(6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통신부(600), 구동부(401) 및 제어부(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우징(13)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통신부(600), 구동부(401) 및 제어부(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플로트(12a, 12b)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본체(10)는, 유출유를 회수할 수 있다. 본체(10)는, 이동되면서 유출유를 회수할 수 있다. 이경우, 벨트형 유회수 장치(1)가 전진하면서 벨트(701)는 위쪽 또는 뒤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출유를 회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됨으로 인해, 펌핑업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펌핑업 현상은 벨트가 빠르게 회전하는 경우 회전력에 의해 유층과 닿는 부분에서 유층을 벨트 위로 끌어 올리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유층을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현상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라, 본체(10)는, 정지된 상태에서 유출유를 회수할 수 있다.
본체(10)는, 제1 좌표 주변에서 유출유를 회수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1)가 유출유 좌표 주변에 위치한 상태에서, 유회수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1)가 유출유 좌표에서 기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유회수부(11)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체(10)는, 하우징(13) 플로트(12a, 12b) 및 유회수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은, 본체(10) 상부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3)은, 벨트(701)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플로트(12a, 12b)는, 한쌍으로 구성되어 벨트형 유회수 장치(1)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플로트(12a, 12b)는,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공기를 수용하여 벨트형 유회수 장치(1)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플로트는 한쌍으로 구성되지 아니하고, 한개 또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플로트(12a, 12b)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고, 공간에는 각종 전자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로트(12a, 12b) 내부 공간에는, 벨트(701)의 구동을 위한 모터, 스러스터(432)를 통한 추진력 생성을 위한 모터, 스러스터(432)를 통한 조향을 위한 모터, GPS 장치(410), 통신부(420), 배터리(6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유회수부(11)는, 한 쌍의 플로트(12a, 1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회수부(11)는, 유출유를 회수할 수 있다. 유회수부(11)는, 벨트의 움직임을 통해, 유출유를 회수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부, 저장부 및 이송부의 개념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유회수부(11)는, 모터(710), 회전부(예를 들면, 롤러 또는 체인)(720), 벨트(701), 스크레이퍼(730) 및 보관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701)는, 회전부(720)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부(720)에 모터(710)에서 제공되는 동력이 전달되고, 회전부(720)가 동력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벨트(701)는 움직일 수 있다.
벨트(701)는, 회전부(720)에 걸쳐진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벨트(701)의 노출된 부분은, 상향 또는 하향 회전할 수 있다.
벨트(701)는 앞쪽이 아래쪽을 향하고 뒤쪽이 위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벨트(701)의 노출된 부분은 뒤쪽 및 위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벨트(701)는 유출유가 잘 부착되는 친유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따라, 벨트(701)는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벨트(701)는 래칫(rachet)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7b는 벨트(701)를 길이 방향으로 절개한 경우 래칫 구조의 단면을 예시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벨트(701)는, 래칫 구조(702a, 702b, 702c)가 적용될 수 있다.
래칫 구조(702a, 702b, 702c)는, 저유황유(LSFO)를 회수하기 위한 구조로 설명될 수 있다. 래칫 구조(702a, 702b, 702c)는, 고형화된 기름을 건져 올릴 수 있다.
래칫 구조(702a, 702b, 702c)는 고형화된 기름을 건져 올리는 단부(703a, 703b, 703c)를 포함할 수 있다.
고형화된 기름이 단부(703a, 703b, 703c)에 걸쳐진 상태에서, 벨트(701)가 회전하게 되면, 고형화된 기름 벨트(701)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스크레이퍼(703)에 의해 분리되면, 고형화된 기름은 보관부(740)에 수집되게 된다.
지시부호 702a 및 지시부호 70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래칫 구조의 단면은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시부호 70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래칫 구조의 단면이 직각 삼각형 또는 둔각 삼각형 형상을 가지게 되면, 기름과 접하는 면(704b)의 면적이 늘어나게 되어, 단부(703b)를 통한 고형화된 기름(저유황유) 회수뿐 아니라 면(704b)을 통한 고유황유 회수도 가능하다.
지시부호 70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래칫 구조 형성 시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을 가지는 경우, 단부(703c)를 보다 뾰족하게 형성할 수 있어 고형화된 기름의 회수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이경우, 단부(703c)는, 제1 곡면(704c1)과 제2 곡면(704c2)가 만남으로써 형성되게 된다.
스크레이퍼(730)는, 벨트(701)에서 기름을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730)는 일단이 벨트에 맞닿거나 벨트에서 미세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벨트(701)가 회전함에 따라 벨트에 부착된 기름은 스크레이퍼(740)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기름은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보관부(740)에 수집될 수 있다. 보관부(740)는 수집된 회수유를 임시 보관할 수 있다.
보관부(740)에 저장된 기름은 저장부(20)로 이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회수부(11)는 스크류 방식의 이송부(750)를 더 포함하고, 이송부(750)를 통해 보관부(740)의 기름이 저장부(20)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부(750)는, 모터 및 회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장치는 모터에서 제공받은 구동력에 기초하여, 회수유를 보관부(740)에서 저장부(20)로 이송할 수 있다.
한편, 유회수부(11)는, 기 공지된 벨트형 유회수기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저장부(20)는, 본체(10)와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20)는, 본체(10)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20)가 본체(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저장부(20)는, 추진 장치(430)에서 생성되는 추진력에 의해 본체(1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저장부(20)는, 보관부(740)로부터 기름을 유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0)는, 본체(10)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기름이 가득 저장된 저장부(20)는 본체(10)와 분리될 수 있다. 이후에, 비어 있는 저장부(20)가 본체(10)에 장착되어 유회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20)는, 수면에 부유할 수 있다. 저장부(20)는, 수면에 부유하면서, 본체(10)에 의해 회수된 유출유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0)는, 물위에 뜰 수 있다. 기름이 저장된 저장부(20)는, 물위에 뜰 수 있다. 기름이 저장된 저장부(20)를 본체(10)와 분리시켜, 물위에 뜬 채로 두면, 선박이 이동하면서 기름이 저장된 저장부(20)를 회수할 수 있다.
저장부(2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폴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20)는, 보관 및 이동 시,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저장부(20)는 적어도 하나의 형광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형광부(230)는, 저장부(2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야간에 선박이 기름이 저장된 저장부(20) 회수 시, 형광부(230)에 반사되는 빛을 통해 저장부(20)를 쉽게 발견하게 할 수 있다.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장치를 예시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벨트형 유회수 장치(1)는, 유도 장치(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도 장치(900)는, 유출유가 부유하는 물에 움직임을 부여하여, 유출유가 벨트(701)쪽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회전부(720)는, 하부 롤러(721) 및 상부 롤러(72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 장치(900)는 하부 롤러(721)의 축에 연결되어, 하부 롤러(721)를 회전시키는 동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물에 움직임을 부여할 수 있다.
유도 장치(900)는, 복수의 패들(901)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 장치(900)는, 플레이트(9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들(901)은, 플레이트(902)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패들(901) 및 플레이트(90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패들(901)이 회전하는 경우, 벨트형 유회수 장치(1) 주변의 물은 흐름이 형성되게 되고, 물의 흐름에 따라 유출유는 벨트(701)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패들(901)은, 플레이트(90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유도 장치(900)는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는, 하부 롤러(721)의 축과 복수의 패들(901) 사이에 배치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동력 전달부의 구성에 따라, 벨트(701)의 회전 방향 또는 하부 롤러(721)의 회전 방향과 패들(901)의 회전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7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유도 장치(900)는, 하부 롤러(721)의 축에 연결된 제1 기어(911) 및 플레이트(902)에 연결된 제2 기어(912)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71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하부 롤러(721)가 회전하고, 하부 롤러(721)의 회전에 의해 벨트(701)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경우, 제1 기어(911) 및 제2 기어(912)의 움직임에 의해, 패들(901)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동력 전달부의 구성에 따라, 패들(901)의 회전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벨트형 유회수 장치(1)가 유도 장치(900)를 구비함으로써, 펌핑업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벨트형 유회수 장치(1)가 전진 이동하면서 유도 장치(900)가 함께 동작되면서 벨트(701)가 회전하는 경우, 펌핑업 현상이 방지되고, 효율적인 유회수가 가능해진다.
구조체(500)는, 본체(10)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구조체(500)는, 추진 장치(430)를 보호할 수 있다. 구조체(500)는, 추진 장치(430)를 보호하면서 추진력에 의해 발생되는 물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 즉, 구조체(500)는, 추진력에 의해 발생되는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구조체(500)는, 앞이나 뒤에서 볼 때, 추진 장치(430)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체(500)는, 앞이나 뒤에서 볼 때, 내부에 추진 장치(430)가 위치하는 6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조체(500)의 높이(H)는, 파이프의 길이(L)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인해, 본체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된 추진 장치(430)를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이 수중이 아닌 지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구조체(500)에 의해 추진 장치(430)가 보호받을 수 있다.
구조체(500)는, 제1 보호부(511), 제2 보호부(512) 및 연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부(511)는, 추진 장치(430)의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호부(511)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의 앞쪽 또는 뒤쪽에서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을 바라볼 때,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보호부(511)는, 다각형 형상의 종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보호부(511)는, 제2 보호부(512)와 함께, 지상에서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보호보(511) 및 제2 보호부(512)를 구비함으로써,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을 지상에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제1 보호부(511)는, 다각형을 이루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부(511)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이 지상에 위치하는 경우, 지면에 맞닿음으로써 본체(10)를 지지하는 로워 플레이트(51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부(511)는, 적어도 두개의 꺾임부(511b)를 포함할 수 있다. 로워 플레이트(511a)가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사이드 플레이트(511c)와 로워 플레이트(511b) 사이에 꺽임부(511b) 존재해야 한다.
제2 보호부(512)는, 추진 장치(430)의 뒤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호부(512)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의 앞쪽 또는 뒤쪽에서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을 바라볼 때,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보호부(512)는, 다각형 형상의 종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보호부(512)는, 제1 보호부(511)와 함께, 지상에서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보호부(512)는, 다각형을 이루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호부(512)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이 지상에 위치하는 경우, 지면에 맞닿음으로써 본체(10)를 지지하는 로워 플레이트(5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호부(512)는, 적어도 두개의 꺾임부(512b)를 포함할 수 있다. 로워 플레이트(512b)가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사이드 플레이트(512c)와 로워 플레이트(512b) 사이에 꺾임부(512b)가 존재해야 한다.
연결부(520)는, 제1 보호부(511) 및 제2 보호부(512)를 본체(10)에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520)는, 물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520)의 상부는 본체(10)에 부착될 수 있다. 연결부(520)는, 플로트(12a, 12b)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연결부(520)의 하부는 제1 보호부(511) 및 제2 보호부(512)에 부착될 수 있다. 연결부(520)의 하부는, 제1 보호부(511)의 상부 및 제2 보호부(512)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구조체(500)는, 하이드로포일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체(10)의 하부에 구조체(500)가 부착됨으로써, 물의 저항을 감소시킨다. 구조체(500)가 구비되는 경우, 구조체(50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의 이동시 소모되는 에너지량이 더 적어지게 되고, 에너지 효율성이 좋아지게 된다.
제어부(600)는, 구동부(401), GPS 장치(410), 통신부(420), 추진 장치(430), 배터리(650) 및 각종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벨트형 유회수 장치(1)가 자항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제어부(600)는, GPS 장치(410), 통신부(420) 및 각종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자항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경우, 제어부(600)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의 위치 정보, 유출유에 대한 정보 및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자항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600)는, 유출유의 좌표 정보, 해류 정보 및 바람 정보에 기초하여 유출유의 이동을 예측하고,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의 출동 시점에서의 유출유의 좌표를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의 출동 시점에서의 유출유의 좌표에 기초하여 자항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유출유의 면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자항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600)는, 유출유의 면적을 계산할 때 이용된 복수의 좌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복수의 좌표를 경유지로 설정하는 자항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자항 경로에 따라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이 항해하도록 추진 장치(430)를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650)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의 각 유닛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650)는, 본체(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650)는,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650)는, 벨트(1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650)가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됨으로 인해, 밸러스트(ballast)로 기능할 수 있다. 이경우, 배터리(650)로 인해, 수상에서 벨트형 유회수 장치(1)이 균형을 잡으면서 자율 항해가 가능해진다.
도 8a 내지 도 8i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부 및 몸체부의 상부면/하부면에 배치된 부력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의 선단 하부면이 도 8a에 비해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선박 등의 견인시에 파도를 잘 넘어갈 수 있도록 나타낸 도면이고, 도 8c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배치된 형상유지 프레임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배불림 현상이 발생하여 전복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중간부에 배치된 유출유 펌핑부 및 에어벤트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f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핑 접속부에 호스가 접속 결합되어 내부의 기름을 외부로 펌핑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g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h 및 도 8i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부가 접힐 수 있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20)는 회수유를 저장할 수 있는 몸체부(310)로 구성된다. 몸체부(310)는 물에 뜨기 쉬우면서도 낭창 한 재질 또는 몸체부가 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또는/및 PVC 비닐 원단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310)가 낭창한 재질 또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어 도 8h 및 도 8i와 같이 접혀질 수 있어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몸체부(310)는 대략적으로 유입부(311,유입영역), 중간부(312,중간영역), 및 후미부(313,후미영역)로 영역을 분리하여 설명할 수 있다. 유입부(311)는 보관부(740)로부터 회수유를 공급받는다. 회수유는 유입부(311)를 거쳐 점차적으로 중간부(312) 및 후미부(313)로 이동되며, 회수유가 가득 찬 경우에는 저장부(20)를 분리하여 바다에 띄워 놓을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10)의 중간부(312)의 상부면에는 제1,2 부력체(321,322)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 고정되며, 중간부(312)의 하부면에는 제3,4 부력체(323,324)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 고정된다. 부력체(320)는 몸체부(310)가 부력에 의해 해수면에 잘 떠 있도록 몸체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배치 고정된다. 부력체(320)는 발포 폼과 발포 폼을 보호 및 감싸는 보호부(또는 커버부)로 구성된다. 보호부는 몸체부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천막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b는 몸체부(310)의 유입부(311)의 하부면이 도 8a에 비해 곡선으로 이루어져 선박 등에 의해 견인될 때 물의 저항을 받지 않고 좀 더 잘 견인되도록 한다.
몸체부(310)는 폴더블 또는 낭창 낭창 하기 때문에 선박 등에 의해 견인되면 몸체의 전체 형상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도 8d와 같이 몸체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서 배불림 현상이 발생되어 전복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도 8c과 같이 중간부(312)에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상유지 프레임부(330, 형상 유지부)를 배치함으로써 형상을 유지하고 전복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2)의 상부면에는 제1,2,3 형상유지 프레임부(331,332,333)를 일정 간격 유지하면서 배치하고, 몸체(312)의 하부면에는 제4,5,6 형상유지 프레임부(334,335,336)를 일정 간격 유지하면서 배치한다. 형상유지 프레임부(330)의 배치에 의해 내구성 확보 및 몸체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폭 방향으로의 형상은 유지시키면서 몸체의 진행방향으로만 굽어지거나 변형되도록 함으로써(직진방향 또는 진행방향 이외의 방향으로는 변형 또는 뒤틀림 방지) 선박 등의 견인에 의해 몸체부(310)가 직진방향 또는 진행방향으로 나아갈 때 몸체의 길이방향으로만 울렁이게 하여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파도의 높낮이에 따라 길이방향으로는 굽어지거나 변형되도록 할 수 있어 파도를 넘어갈 때 유연하게 넘어갈 수 있다. 형상유지 프레임부(330)를 배치하더라도 길이방향으로는 몸체부(310)를 접을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310)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형상유지 프레임부(330)는 상부면 또는 하부면 바닥에 각각 접착 고정되면서 내부에 알루미늄 바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간을 구비한 삽입부(331a)와 삽입부에 삽입되는 알루미늄 바(331b)를 포함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형상 유지부(33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형상 유지 프레임부(33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직 형상 유지 프레임부(332a)와 대비하여, 형상 유지 프레임부(331, 332, 333, 334, 335, 336)는 수평 형상 유지 프레임부로 명명될 수 있다. 수평 형상 유지 프레임부(331, 332, 333, 334, 335, 336)는, 몸체부(3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고, 몸체부(3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20)가 이동되는 방향을 저장부(2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 방향과 수평을 유지한 채 수직되는 방향을 저장부(20)의 폭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수직 형상 유지 프레임부는, 수평 형상 유지 프레임부와 연결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직 형상 유지 프레임부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수직 형상 유지 프레임부(332a)는, 수평 형상 유지 프레임부(331, 332, 333, 334, 335, 336)에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수직 형상 유지 프레임부(미도시)는, 저장부(20)의 좌측에서 제1 수평 형상 유지 프레임부(331)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4 수평 형상 유지 프레임부(334)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수직 형상 유지 프레임부(미도시)는, 저장부(20)의 우측에서 제1 수평 형상 유지 프레임(331)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4 수평 형상 유지 프레임부(334)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수직 형상 유지 프레임부는 상술한 제1 및 제2 수직 형상 유지 프레임부와 유사한 형상으로, 제2 및 제5 수평 형상 유지 프레임부(332, 335)와 연결될 수 있다.
제5 및 제6 수직 형상 유지 프레임부는 상술한 제1 및 제2 수직 형상 유지 프레임부와 유사한 형상으로, 제3 및 제6 수평 형상 유지 프레임부(333, 336)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평 형상 유지 프레임부 및 수직 형상 유지 프레임부로 인해, 유회수 동작 초기에도 유체가 원활하게 저장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유 펌핑부(341)는 몸체부(310)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펌핑 접속부(341a)와 공기 구멍부(341b)를 포함한다. 펌핑 접속부(341a)는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회수유를 외부로 펌핑하기 위해 접속된다. 이때, 공기 구멍부(341b)를 오픈하여 회수유 펌핑이 원활하도록 한다. 유출유 펌핑부(341)의 배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도면과 다르게 배치시킬 수 있다. 즉, 후미부(313)로 갈수록 회수유가 더욱 안정하게 저장될 수 있고, 때에 따라 기름과 물이 비중 차이로 재차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펌핑 접속부(341a)가 후미부 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8e 및 도 8f에는 각각 제1,2 에어벤트부(342a,342b)가 형성되어 몸체부(31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도 8e 및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형상유지 프레임부(332)는 제1,2 부력체(321,322) 사이에 배치되고, 유출유 펌핑부(341) 및 에어벤트부(342)는 제1,2 부력체(321,322)의 외곽 주위에 가상의 사각형 선 상에 배치된다.
회수유는 보관부(740)에서 저장부(20)로 유입되며, 저장부(20)에 유입된 회수유는 도 8g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은 경로를 따라 점차 후미부(313)로 흘러간다. 몸체부(310)의 중간부(312)에는 몸체부(310)의 상부면에서 하부면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는 수직 베플부(351, 유출유 방향 전환부)가 배치된다.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베플부(351)의 배치에 의해 도 8g에 도시된 점선 화살표와 같이 회수유의 흐름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회수유의 유속을 늦출 수 있다. 베플부(351)는 회수유가 후방으로 흘러가도록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 방향으로 일정 폭만큼 베플판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플부(351)의 후방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제1,2 메쉬망(352,353)이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 고정된다. 제1,2 메쉬망(352,353)은 섬유 메시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면이 전방에 상부면이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되도록 소정 각도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제1,2 메쉬망(352,353)은 회수유가 후방으로 급격하게 이동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몸체부(310)의 무게 중심이 유지되어 몸체부가 전복되지 않도록 한다. 더 나아가 중간부(312) 영역에 배치된 제1,2 메쉬망(352,353)의 배치에 의해 낭창 낭창 한 몸체부(310)의 수직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한편, 회수유가 유입부(311)를 통해 저장부(20)에 저장되는 경우에 비중 차이에 의해 회수유가 2차적으로 유수 분리될 수 있다. 이때에는 해수 배출부(360)를 오픈하여 해수는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함수율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해수 배출부(360)는 후미부(313)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항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개방/폐쇄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저장부(20)에 유입된 회수유는 2차적으로 비중차이에 의해 유수 분리되며, 유출유 펌핑부(341)에 의해 외부로 수면에 떠 있는 기름만 펌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저장부(20)에 유수 분리된 기름을 핌핑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또는 저장부(20) 자체를 바다에 띄워 놓고 나중에 일괄적으로 선박에 회수시킬 수도 있다.
몸체부(310)는 방수 및 길이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h 및 도 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10)는 몸체부의 상단부 측으로 접을 수 있어 보관 및 운반이 매우 편리하다. 다만,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몸체부의 하단부측으로 접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0)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c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2 슬라이드 안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를 나타낸 단면이고, 도 9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에 나노 메시 필터 필터부가 부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f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몸체부가 제2 슬라이드 견인부의 견인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g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몸체부가 우측으로 이동되어 물배출 홈과 슬라이드 물 배출 홈이 서로 정렬되어 외부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20)의 후미 바닥부(113a)에는 유수 분리된 물이 바다로 배출되도록 하는 해수 배출부(150)가 연결 접속된다. 해수 배출부(150)의 일 영역에 후술하는 해수 배출 슬라이드부(200)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A' 지점에 해수 배출 슬라이드부(200)가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하나 배치 지점은 꼭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해수 배출부(150)의 선택된 일 지점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0)는 바다 또는 강의 기름 유출 지역에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 배출 슬라이드부(20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함으로써 저장부(20)에 저장된 유수 분리된 물을 외부로 배출(이하에서는 배출 모드라 함)하거나 또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이하, 닫힘 양식이라 함) 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저장부(20)가 기름 유출 지역에서 유출유를 회수할 때에는 배출 모드 상태로 되며, 기름 회수가 완료되어 저장부(20)를 수거할 때에는 닫힘 모드 상태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해수 배출 슬라이드부(200)는 슬라이드 지지부(210), 제1,2 슬라이드 안내부(220,230), 슬라이드부(240), 제1,2 슬라이드 견인부(250,260)를 포함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지지부(210)는 지지 몸체부(211), 물 배출 홈(212), 실링부(213)를 포함한다.
지지 몸체부(211)는 일예로서 아크릴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지지 몸체부(211)의 중앙 영역에는 유수 분리된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물 배출 홈(212)이 형성된다.
실링부(213)는 물 배출 홈(212)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다. 즉, 실링부(213)의 지름이 물 배출 홈(212)의 지름에 비해 더 넓다. 실링부(213)는 오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실링부(213)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몸체부(241)의 일면과 접촉될 때에는 외부로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실링부(213)가 슬라이드 몸체부(241)에 형성된 슬라이드 물 배출 홈(242)과 대응 정렬되는 경우에는 물 배출 홈(212)과 슬라이드 물 배출 홈(242)을 통해 외부로 유수 분리된 물을 배출한다.
지지 몸체부(211)는 후미 바닥부(113a)의 내측 바닥면에 지지 고정되고, 실링부(213)는 후미 바닥부(113a)의 외 측에 배치됨으로써 슬라이드 몸체부(241)의 슬라이딩에 따라 슬라이드 몸체부(241)의 일면과 접촉한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안내부(220)는 슬라이드 지지부(210)의 상부 영역에 수평방향으로 배치 고정되며, 제2 슬라이드 안내부(230)는 슬라이드 지지부(210)의 하부 영역에 수평방향으로 배치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제1 슬라이드 안내부(2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고, 제2 슬라이드 안내부(230)의 설명은 제1 슬라이드 안내부(220)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제1 슬라이드 안내부(220)는 제1 안내 몸체부(221) 및 제1 슬라이드 안내 홈(222)을 포함한다. 제1 안내 몸체부(221)는 아크릴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9c을 기준으로 제1 안내 몸체부(221)의 하부 영역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몸체부(241)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제1 슬라이드 안내 홈(2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몸체부(241)는 제1,2 슬라이드 안내 홈(222,232)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1,2 슬라이드 안내부(220,230)는 슬라이드 몸체부(241)가 제1,2슬라이드 안내 홈(222,232)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는 거리 만큼 떨어져 배치된다.
도 9d 및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240)는 슬라이드 몸체부(241), 슬라이드 물 배출 홈(242), 탈부착 나노 메시 필터부(243), 복수의 걸림부(244a, 244b, 244c, 244d)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몸체부(241)는 아크릴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슬라이드 몸체부(241)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치우지는 지점에 슬라이드 물 배출 홈(242)이 형성되고, 우측으로 치우지는 지점에 오링 접촉면(241a)이 형성된다. 슬라이드 물 배출 홈(242)의 지름은 물 배출 홈(212)의 지름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슬라이드 몸체부(241)가 도 9d 및 도 9f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면 도 9g과 같이 물 배출 홈(212)과 슬라이드 물 배출 홈(242)이 서로 정렬되어 저장된 유수 분리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9g에서 슬라이드 몸체부(241)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오링 접촉면(241a)이 오링(213)과 접촉되어 유수 분리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 나노 메시 필터부(243)는 슬라이드 물 배출 홈(242)을 덮도록 부착 배치되어 저장된 유수 분리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전에 한 번 더 유수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탈부착 나노 메시 필터부(243)는 나노 메시 필터의 교체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탈부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걸림부(244a,244b,244c,244d)는 슬라이드 몸체부(241)의 모서리 영역 4곳에 각각 형성되며, 슬라이드 몸체부(241)가 제1,2 슬라이드 안내 홈(222,232)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때 수평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즉, 오른쪽으로 슬라이드 몸체부(241)가 이동할 때에는 제1,3 걸림부(244a,244c)가 걸림 되어 오른쪽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며, 왼쪽으로 슬라이드 몸체부(241)가 이동할 때에는 제2,4 걸림부(244b,244d)가 걸림되어 왼쪽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도 9f 및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견인부(250)는 슬라이드 몸체부(241)의 좌측 영역에 고정 배치되며, 제2 슬라이드 견인부(260)는 슬라이드 몸체부(241)의 우측 영역에 고정 배치된다. 또한, 제3 슬라이드 견인부(270)는 제1,2슬라이드 안내부(220,230)의 좌측 영역에 고정 배치되며, 제4 슬라이드 견인부(280)는 제1,2 슬라이드 안내부(220,230)의 우측 영역에 고정 배치된다.
제1 슬라이드 견인부(250)는 고정부(251)와 견인부(252)를 포함한다. 고정부(251)는 슬라이드 몸체부(241)의 좌측 영역의 단부 영역에 견인부(252)를 고정하도록 배치된다. 제2 슬라이드 견인부(260)는 고정부(261)와 견인부(262)를 포함한다. 고정부(261)는 슬라이드 몸체부(241)의 우측 영역의 단부 영역에 견인부(262)를 고정하도록 배치된다.
제3 슬라이드 견인부(270)는 제1,2 고정부(271,272)와 제1,2 견인부(273,274)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271)는 제1 슬라이드 안내부(220)의 우측 영역에 제1 견인부(273)를 고정하도록 배치된다. 제2 고정부(272)는 제2 슬라이드 안내부(230)의 우측 영역에 제2 견인부(274)를 고정하도록 배치된다.
제4 슬라이드 견인부(280)는 제1,2 고정부(281,282)와 제1,2 견인부(283,284)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281)는 제1 슬라이드 안내부(220)의 좌측 영역에 제1 견인부(283)를 고정하도록 배치된다. 제2 고정부(282)는 제2 슬라이드 안내부(230)의 좌측 영역에 제2 견인부(284)를 고정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몸체부(241)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제 4 슬라이드 견인부(280)의 제1,2 견인부(283,284)를 잡아당기면서 동시에 제2 슬라이드 견인부(260)를 잡아당기면 된다. 반대로 슬라이드 몸체부(241)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제 3 슬라이드 견인부(270)의 제1,2 견인부(273,274)를 잡아당기면서 동시에 제1 슬라이드 견인부(250)를 잡아당기면 된다.
견인부(252)는 일예로서 견인 밧줄일 수 있다. 따라서 견인 밧줄을 운용자가 잡아당기면 슬라이드 몸체부(241)가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동일한 원리로 제2 슬라이드 견인부(260)의 견인부(262)를 운용자가 잡아당기면 슬라이드 몸체부(241)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다른 예로서 견인 밧줄을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잡아 당길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견인부는 일정한 길이의 밧줄로 구체화될 수 있기 때문에 저장부(20)가 유출유를 회수하는 경우에 기름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또는 회수 작업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 9a의 후미부(113)의 상부면에 각 견인줄을 탈부착 고리로 걸어 견인줄을 정리 고정할 수 있는 탈부착 고리부가 더 추가될 수 있다. 탈부착 고리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정된 각 견인줄은 슬라이드 몸체부(24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때 고리에서 분리한다. 각 견인줄은 후미부(113)의 둘레방향으로 1회 또는 수회 감기면서 탈부착 고리부에 탈부착 걸림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SYS : 유회수 시스템
1 : 벨트형 유회수 장치
10 : 본체
20 : 저장부
500 : 구조체
600 : 제어부
650 : 배터리

Claims (12)

  1. 외부 컨트롤러로부터 무선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유출유가 위치하는 지점으로 이동하여 유회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점으로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추진부; 및
    이동 방향 전환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조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1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추진부에 대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2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향부에 대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3. 제 2항에 있어,
    상기 구동부는,
    벨트의 움직임을 통해 유출유를 회수하는 유회수부; 및
    회수유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저장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3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유회수부에 대한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4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부에 대한 제4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무선 신호, 제2 무선 신호, 제3 무선 신호 및 제4 무선 신호를 각각 독립된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벨트를 통해 저유황유(LSFO)를 회수하는 유회수부를 포함하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회수부는,
    모터;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기초하여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걸쳐진 상태로 회전되고 래칫(rachet) 구조가 적용된 벨트; 및
    상기 벨트에서 기름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구조는 고형화된 기름을 건져 올리는 단부;를 포함하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유출유가 부유하는 물에 움직임을 부여하여, 유출유가 상기 벨트쪽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유도 장치;를 더 포함하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하부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 장치는,
    상기 하부 롤러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롤러를 회전시키는 동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움직임을 부여하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 상기 구동부, 상기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파이프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추진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따라 동작되는 스러스터;를 더 포함하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터는,
    상기 조향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파이프를 축으로 한 회전에 따라, 이동 방향의 전환을 유도하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부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플로트; 및
    상기 한 쌍의 플로트 사이에 배치되고, 전진 이동하는 중에 벨트의 움직임을 통해, 유출유를 회수하는 유회수부;를 포함하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KR1020210189419A 2021-12-28 2021-12-28 유출유를 향해 방향성을 갖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KR20230099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419A KR20230099954A (ko) 2021-12-28 2021-12-28 유출유를 향해 방향성을 갖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419A KR20230099954A (ko) 2021-12-28 2021-12-28 유출유를 향해 방향성을 갖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954A true KR20230099954A (ko) 2023-07-05

Family

ID=87159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419A KR20230099954A (ko) 2021-12-28 2021-12-28 유출유를 향해 방향성을 갖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995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966B1 (ko) 2018-02-22 2020-05-25 (주)코아이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966B1 (ko) 2018-02-22 2020-05-25 (주)코아이 풍력을 이용한 펜스형 유회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10407T3 (es) Un sistema de buque draga
KR101935414B1 (ko) 부유물 수거용 자율 수상로봇
CN104508209A (zh) 快速铺设的溢油围栅和铺设方法
KR100972154B1 (ko) 쇄빙용 부가 추진 시스템과 쇄빙선
JP5563103B2 (ja) ムーンプールにおける流動抵抗を軽減するための装置
US20110297597A1 (en) Water vessel propelled oil spill recovery system and assembly
CA2799947C (en) Oil spill recovery system and method
ES2333007T3 (es) Embarcacion destinada a recoger en su interior residuos sin necesidad de bombeo.
KR20190013705A (ko) 해저 원격 동작 차량(rov) 허브
KR102705351B1 (ko) 전자석을 이용한 진회수 시스템, 구조물 및 방제 장치
KR20230099954A (ko) 유출유를 향해 방향성을 갖는 벨트형 유회수 장치
US9701377B2 (en) Semi submarine
KR102675244B1 (ko) 유출유 회수 장치
CN103282270B (zh) 能够上下移动的船用底板装置
SE513195C2 (sv) Metod och anordning vid oljebekämpning
WO2004063002A9 (ja) 自走船台
WO2015111776A1 (ko) 이동형 부유물 수거 장치
CN211696372U (zh) 一种水文观测平台
FI20187031A1 (fi) Öljyntorjuntayksikkö
CN210133253U (zh) 一种驳船标识用链式浮标群组
PT1524186E (pt) Dispositivo de recolha de fluidos que se escapam de uma fonte submarina
US8864415B1 (en) Buoyancy shifting apparatus for underwater plow
GB2463461A (en) Mobile marine barrier system
CN207826499U (zh) 一种船舶防碰撞系统保护组件
JP2008037250A (ja) 曳航索の取り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