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336B1 -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336B1
KR102114336B1 KR1020190150938A KR20190150938A KR102114336B1 KR 102114336 B1 KR102114336 B1 KR 102114336B1 KR 1020190150938 A KR1020190150938 A KR 1020190150938A KR 20190150938 A KR20190150938 A KR 20190150938A KR 102114336 B1 KR102114336 B1 KR 102114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main body
unit
moto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화
Original Assignee
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화 filed Critical 정화
Priority to KR1020190150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336B1/ko
Priority to EP20889409.7A priority patent/EP4062955A4/en
Priority to PCT/KR2020/016411 priority patent/WO2021101286A1/ko
Priority to CN202080080868.0A priority patent/CN114746131A/zh
Priority to JP2022529826A priority patent/JP2023503129A/ja
Priority to US17/778,793 priority patent/US2022040980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05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2Enemata; Irrigators with electronic control means o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4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 A61M3/0258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by means of electric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61M31/007Injectors for solid bodies, e.g. supposit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65Rotational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61M2210/1067A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4Female reproductive, genital organs
    • A61M2210/1475Vagin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가 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는, 전진 또는 후진하는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소정의 수용공간에 저장된 내부의 물질을 전동 방식으로 전단으로 이동시키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단에 구성된 연결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며, 상기 본체의 연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체내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어 상기 본체의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전단에 구성된 분사구를 통해 상기 내부의 물질을 체내로 투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AUTOMATIC CLEANING AND WASHING DEVICE FOR MATERIAL ADMINISTRATION IN THE BODY}
아래의 실시예들은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전동 방식의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료 및 위생 등의 목적으로 여성의 질(膣, vagina) 또는 항문 내에 용액 형태의 치료약, 세척 용액 등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성의 질 세척을 위한 세척 용액을 투여, 피임을 위한 용액 형태의 피임약을 투여, 또는 치질, 성병 등의 치료를 위한 용액 형태의 치료약을 투여 및 성교 시의 윤활제 투여 등 그 활용 양태는 매우 다양하다. 여성의 질 또는 항문은 점막이 노출되는 부분으로 세균의 감염이 쉬우므로 체내 액체 투입 시 청결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체내 액체 투여기는 위생 상의 문제 및 세척의 어려움으로 인해 일회용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내부에 액체가 미리 수용된 상태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에 따라 일회용의 체내 액체 투여기를 임의로 세척하여 재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질병 및 세균의 감염의 위험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체내 액체 투여기를 위한 세척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10-2003-0028796호는 이러한 여성 질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길이가 긴 노즐 주사기를 이용하여 체내 세척 및 살균 가능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3-0028796호
실시예들은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질 세척액, 약액, 윤활제 등의 물질을 여성의 질이나 항문 내로 투여하기 위해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전동 방식의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겔(gel), 액체 및 정(캡슐) 타입에 따라 노즐부를 선택적으로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 가능하며,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해 가압 시 흔들림을 최소화 하도록 전동 방식으로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는, 전진 또는 후진하는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소정의 수용공간에 저장된 내부의 물질을 전동 방식으로 전단으로 이동시키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단에 구성된 연결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며, 상기 본체의 연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체내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어 상기 본체의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전단에 구성된 분사구를 통해 상기 내부의 물질을 체내로 투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버튼을 통해 전원 및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상기 구동부의 모터를 선택하여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동작 모드 선택부; 및 선택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강도를 제어하는 강도 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전원부의 상태에 따라 배터리 잔량, 동작 모드 및 강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전진 또는 후진하는 두 개의 모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세정 모드 또는 청결 모드로 동작 가능하며, 질 세정제를 사용하는 세정 모드의 선택 시, 세정용 모터가 동작하여 세정용 피니언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내부의 물질을 소정의 시간 동안 분출한 후, 분출이 종료되면 상기 세정용 모터가 역회전하여 정 위치로 돌아오고, 여성 청결제를 사용하는 청결 모드의 선택 시, 상기 세정용 모터와 청결용 모터가 동시에 동작하여 상기 세정용 피니언과 청결용 피니언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세정용 모터는 지정 회전수 또는 거리만큼 움직이고 정지하게 되며, 상기 청결용 모터는 계속 전진하여 청결용 밀대를 전방 끝까지 이동시켜 상기 내부의 물질을 소정의 시간 동안 분출한 후, 분출이 종료되면 상기 세정용 모터 및 상기 청결용 모터가 역회전하여 정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상기 노즐부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노즐부를 외부요소로부터 보호하는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연결부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의 주름부로 이루어져 사용에 따라 자유롭게 구부러져 상기 노즐부의 방향을 변경 가능하며, 상기 노즐부는, 여성 청결제 및 질 세정제의 겔(gel), 액체 및 정(캡슐) 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질 세척액, 약액, 윤활제 등의 물질을 여성의 질이나 항문 내로 투여하기 위해 전동 방식으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해 가압 시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겔(gel), 액체 및 정(캡슐) 타입에 따라 노즐부를 선택적으로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 가능하고, 체내 투여 시 노즐부 및 물질이 손 등에 닿을 염려가 없어 보다 위생적인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를 포함하는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노즐부를 포함하는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노즐부를 포함하는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노즐부를 포함하는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의 분해 및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커버부를 포함하는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의 본체부 내에 삽입되는 펌프부의 결합 및 분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의 세정 사용 전 위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의 세정 사용 후 위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의 청결 사용 위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의 청결 사용 후 이동된 위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 및 청결용 모터 및 기어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버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들은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질 세척액, 약액, 윤활제 등의 물질을 여성의 질이나 항문 내로 투여하기 위해 전동 방식으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해 가압 시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겔(gel), 액체 및 정(캡슐) 타입에 따라 노즐부를 선택적으로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 가능하고, 체내 투여 시 노즐부 및 물질이 손 등에 닿을 염려가 없어 보다 위생적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를 포함하는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노즐부를 포함하는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1)는 본체(100) 및 노즐부(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노즐부(210)의 외부에 결합되어 노즐부(210)를 외부요소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캡(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내부에 액체 등의 물질을 수용하는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의 물질을 외부로 배출 또는 분출하기 위한 구동부가 구성될 수 있다. 즉, 본체(100)는 전진 또는 후진하는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소정의 수용공간에 저장된 내부의 물질을 전동 방식으로 전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는 전동 칫솔, 비데 등과 같이 전동으로 구동되는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한 두 개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는 전단에 노즐부(210)와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연결부(110)가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본체(100)의 연결부(110)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의 주름부로 이루어져 사용에 따라 자유롭게 구부러져 노즐부(210)의 방향을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사용자가 버튼을 통해 전원 및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0)와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전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원부(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130), 구동부의 모터를 선택하여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동작 모드 선택부, 및 선택된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강도(LOW, MEDIUM, HIGH)를 제어하는 강도 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전원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제어부(130)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며, 동작 모드 선택부는 세정 모드 및 세척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강도 선택부는 강, 중, 하의 내부의 물질의 분출 강도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제어부(130) 및 전원부(140)의 상태에 따라 배터리 잔량, 동작 모드 및 강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LCD 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는 전진 또는 후진하는 두 개의 모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세정 모드 또는 청결 모드로 동작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질 세정제를 사용하는 세정 모드의 선택 시, 세정용 모터(105)가 동작하여 세정용 피니언(101)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내부의 물질을 소정의 시간 동안 분출한 후, 분출이 종료되면 세정용 모터(105)가 역회전하여 정 위치로 돌아오고, 여성 청결제를 사용하는 청결 모드의 선택 시, 세정용 모터(105)와 청결용 모터(106)가 동시에 동작하여 세정용 피니언(101)과 청결용 피니언(102)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세정용 모터(105)는 지정 회전수 또는 거리만큼 움직이고 정지하게 되며, 청결용 모터(106)는 계속 전진하여 청결용 밀대를 전방 끝까지 이동시켜 내부의 물질을 소정의 시간 동안 분출한 후, 분출이 종료되면 세정용 모터(105) 및 청결용 모터(106)가 역회전하여 정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노즐부(210)는 본체(100)의 전단에 구성된 연결부(110)에 결합 또는 분리되며, 원통형 또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본체(100)의 연결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체내에 적어도 일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노즐부(210)는 체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100)의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전단에 구성된 분사구(211)를 통해 내부의 물질을 체내로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노즐부(210)는 여성 청결제 및 질 세정제의 겔(gel), 액체 및 정(캡슐) 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본체(100)에 결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노즐부(210)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본체(100)의 전단에 결합되며, 전단에 분사구(211)가 구성되어 겔(gel) 또는 액체 타입의 내부의 물질을 외부로 분출할 수 있다. 이 때 겔(gel) 또는 액체 타입의 내부의 물질은 청결제용 및 다용도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액체 타입은 노즐부(210)의 경우 액체가 담긴 튜브가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액체를 담은 별도의 튜브는 본체(100)의 상단에 개폐구를 통해 본체(100)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 튜브는 압축에 의해 내부의 물질을 외부로 분출하는 주름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노즐부(210)는 제1 노즐부(210), 제2 노즐부(220) 및 제3 노즐부(230)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편의상 제1 노즐부(21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노즐부를 포함하는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노즐부(220)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본체(100)의 전단에 결합되며, 전단에 분사구(221)가 구성되고 노즐부(210)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보조 분사구(222)가 구성되어 겔(gel) 또는 액체 타입의 내부의 물질을 외부로 분출할 수 있다. 이 때 겔(gel) 또는 액체 타입의 내부의 물질은 세정제용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노즐부를 포함하는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노즐부(230)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본체(100)의 전단에 결합되며, 전단에 십자 형태 등 복수의 슬롯이 구성된 분사구(231)가 구성되어 정(캡슐) 타입의 내부의 물질을 외부로 분출할 수 있다. 제3 노즐부(230)는 내부에 정 또는 캡(300)술 하나가 들어가 있는 상태로 밀대를 누르면 노즐부(210)의 분사구(211)가 벌어지면서 내용물이 나오는 형태이다. 이 때 정(캡슐) 타입의 내부의 물질은 질정용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 타입의 제3 노즐부(230)를 전동기기와 결합한 후 버튼을 눌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처음 사용하는 사람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1)의 연결부(110)는 본체(100)의 전단에 노즐부(210)와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110)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의 주름부로 이루어져 사용에 따라 자유롭게 구부러져 노즐부(210)의 방향을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과 본체(100) 연결부(110)는 실리콘 재질로 유연성을 갖고 있어 사용에 따라 자유롭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의 분해 및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1)는 본체(100)의 전단의 연결부(110)를 통해 노즐부(210)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며, 노즐부(210)의 상단에 하측이 개방된 캡(300)을 덮어씌우는 형태로 캡(300)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노즐부(210)의 하단은 본체(100)의 연결부(110)와의 결합을 위해 나사부(213)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부(210)는 본체(100)의 연결부(110)에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노즐부(210)의 하단 끝 부분에는 고무마개(214)가 구성될 수 있다. 고무마개(214)는 노즐 내의 내용물 유출을 막고 내부의 밀대의 전진 시 노즐 내의 내용물을 밀어주는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밀대는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전진하여 내부의 물질을 노즐부(210)의 분사구(211)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커버부를 포함하는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노즐부(210)의 하단에 있는 슬라이딩 커버(212)를 열어 본체(100)에 수용되는 내부의 물질 외에 추가적인 물질을 충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즐부(210)의 경우 기존 청결제 외에 연고 등과 같은 밀대의 전진으로 주입이 가능한 다른 제품을 충진함으로써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제3 노즐부(230)의 경우 기존 질정 외에 다른 정 타입 제품을 넣어 사용이 가능하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하단에는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전원부(140)가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140)는 충전용 배터리 또는 충전 없이 사용 가능한 배터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충전용 배터리 및 충전 없이 사용 가능한 배터리가 모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배터리 소켓 커버를 개방하여 건전지 또는 수은전지 등의 배터리를 넣어 별도의 충전 없이도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충전용 배터리는 내부 배터리로 구성되어 스마트 폰 케이블과 같은 USB충전 포트를 통해 충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1)는 휴대가 간편한 무선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의 본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의 본체 내에 삽입되는 튜브의 결합 및 분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후면 커버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세정 모드로 사용 전 튜브를 본체(100) 내에 위치하기 위해 수직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또는 해제가 가능하다. 이 때 튜브(160)는 주름 펌프로 구성되어 압축에 의해 내부의 물질을 외부로 분출시킬 수 있다. 예컨대 튜브(160) 내의 내부 물질은 세정제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세정 모드 및 청결 모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의 세정 사용 전 위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의 세정 사용 후 위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 및 청결용 모터 및 기어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버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도 12,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1)의 세정 모드는, 전원을 인가하고 세정 모드 버튼을 누르면 세정용 모터(105)가 동작하여 세정용 피니언(101)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세정 모드의 강, 중, 약을 선택할 수 있으며 그 기준은 세정용 모터(105)의 회전수로 제어할 수 있다. 내용물을 서서히 소정의 시간 동안(예컨대, 수분간) 분출 후, 분출이 끝나면 모터는 역회전하여 정 위치에 돌아오며 다음 동작을 대기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의 청결 사용 위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의 청결 사용 후 이동된 위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3, 도 14,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1)의 청결 모드는, 전원을 인가하고 청결 버튼을 누르면 세정용 모터(105)와 청결용 모터(106)가 동시에 동작하여 세정용 피니언(101)과 청결용 피니언(102)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세정용 모터(105)는 지정 회전수 또는 거리만큼 움직이고 모터는 정지하게 되며, 청결용 모터(106)는 계속 전진하여 청결용 밀대를 전방 끝까지 이동시킨 후 정지할 수 있다. 이 때, 청결용 모드의 강, 중, 약을 선택할 수 있으며, 그 기준은 모터의 회전수로 제어할 수 있다. 내용물을 서서히 수분간 분출시킨 후 분출이 끝나면 모터는 역회전을 하여 정 위치에 돌아오며 다음 동작을 대기할 수 있다.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1)는 전진, 후진만 하는 두 개의 모터를 가지고 있으며, 본체(100)에 해당하는 전동기구에 캡(300)이 달린 여러 가지 타입의 노즐부(21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노즐부(210)는 캡(300)과 노즐부(210), 고무마개(214)로 이루어져 있으며 노즐부(210)를 본체(100)에 돌려끼움으로 끼운 다음 똑딱이 형태로 캡(300)을 제거한 후 원하는 버튼을 눌러 사용한다.
사용시 편리한 자세를 위하여 본체(100)의 앞면에 상하좌우 변화가 가능하도록 주름고무를 설치하였으며, 노즐부(210) 하단 윗면에 내용물을 충진이 가능하도록 개폐구와 개폐장치를 설치하였다.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강도(강, 중, 약)를 조절할 수 있는 버튼이 있고 전동기기 전면에 강, 중, 약 및 배터리 잔량 표시 등을 할 수 있는 LED 창의 디스플레이부를 두어 어두운 곳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기계 외부는 고무 등의 재질로 미끄럼을 방지하고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은 여성 청결제 및 질 세정제는 겔(gel), 액체 및 정(캡슐)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고, 노즐부(210)는 여러 가지 타입의 겔, 액체, 정(캡슐)을 체내에 투여하기 편리하도록 한 것이며 체내 투여 시 노즐부(210) 및 물질이 손 등에 닿을 염려가 없어 보다 위생적이다.
또한 많은 양의 세정제 등을 투여하기 위하여 많은 힘을 가하여야 하던 기존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여 가압시 힘이 들어가지 않아도 되며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가압시 흔들림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체내 상처 등을 예방할 수 있다.
겔(gel), 액체 및 정(캡슐) 타입의 세가지 타입을 모두 소화할 수 있는 본체(100)는 하나의 전동기기로 이루어져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위생적이다. 이러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1)는 충진 및 배터리 교체 등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밀대와 손잡이 등을 포함하지 않고 소비자의 요구에 맞게 용기에 항균, 항염, 보습, 탄력 등 다양한 물질(겔, 액체, 정) 등의 내용물을 직접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충진된 채로의 양산될 경우 원가 절감 및 소비자가를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
이상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에 있어서,
    전진 또는 후진하는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소정의 수용공간에 저장된 내부의 물질을 전동 방식으로 전단으로 이동시키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단에 구성된 연결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며, 상기 본체의 연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체내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어 상기 본체의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전단에 구성된 분사구를 통해 상기 내부의 물질을 체내로 투여하는 노즐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전진 또는 후진하는 두 개의 모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세정 모드 또는 청결 모드로 동작 가능하며,
    세정제를 사용하는 세정 모드의 선택 시, 세정용 모터가 동작하여 세정용 피니언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내부의 물질을 소정의 시간 동안 분출한 후, 분출이 종료되면 상기 세정용 모터가 역회전하여 정 위치로 돌아오고, 상기 세정용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함에 따라 세정 강도를 제어하며,
    청결제를 사용하는 청결 모드의 선택 시, 상기 세정용 모터와 청결용 모터가 동시에 동작하여 상기 세정용 피니언과 청결용 피니언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세정용 모터는 지정 회전수 또는 거리만큼 움직이고 정지하게 되며, 상기 청결용 모터는 계속 전진하여 청결용 밀대를 전방 끝까지 이동시켜 상기 내부의 물질을 소정의 시간 동안 분출한 후, 분출이 종료되면 상기 세정용 모터 및 상기 청결용 모터가 역회전하여 정 위치로 돌아오고, 상기 세정용 모터 및 상기 청결용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함에 따라 청결 강도를 제어하며,
    상기 노즐부는,
    청결제 및 세정제의 겔(gel), 액체 및 정(캡슐) 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버튼을 통해 전원 및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전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상기 구동부의 모터를 선택하여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동작 모드 선택부; 및
    선택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강도를 제어하는 강도 선택부
    를 포함하는,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전원부의 상태에 따라 배터리 잔량, 동작 모드 및 강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노즐부를 외부요소로부터 보호하는 캡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연결부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의 주름부로 이루어져 사용에 따라 자유롭게 구부러져 상기 노즐부의 방향을 변경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
KR1020190150938A 2019-11-22 2019-11-22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 KR102114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938A KR102114336B1 (ko) 2019-11-22 2019-11-22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
EP20889409.7A EP4062955A4 (en) 2019-11-22 2020-11-19 AUTOMATIC WASHING AND CLEANING DEVICE FOR DELIVERING SUBSTANCES TO A BODY
PCT/KR2020/016411 WO2021101286A1 (ko) 2019-11-22 2020-11-19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
CN202080080868.0A CN114746131A (zh) 2019-11-22 2020-11-19 用于物质的体内给药的自动清洁清洗设备
JP2022529826A JP2023503129A (ja) 2019-11-22 2020-11-19 体内物質投与のための自動清潔及び洗浄デバイス
US17/778,793 US20220409802A1 (en) 2019-11-22 2020-11-19 Automatic cleaning and washing device for administering substances to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938A KR102114336B1 (ko) 2019-11-22 2019-11-22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336B1 true KR102114336B1 (ko) 2020-05-28

Family

ID=7091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938A KR102114336B1 (ko) 2019-11-22 2019-11-22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409802A1 (ko)
EP (1) EP4062955A4 (ko)
JP (1) JP2023503129A (ko)
KR (1) KR102114336B1 (ko)
CN (1) CN114746131A (ko)
WO (1) WO202110128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7001A (zh) * 2020-12-31 2021-05-25 曾冬苟 一种妇产科阴道混合护理装置
CN113289111A (zh) * 2021-04-28 2021-08-24 姚顺行 一种妇产科阴道清洗器
CN113456927A (zh) * 2021-08-10 2021-10-01 重庆医科大学附属儿童医院 一种儿童消化内科用灌洗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796A (ko) 2003-03-14 2003-04-10 구남서 여성 질 세척기
KR200336276Y1 (ko) * 2003-09-19 2003-12-24 (주)뷰티라인 여성 청결기
KR200339793Y1 (ko) * 2003-11-06 2004-01-24 정성수 휴대용 질 세척기
KR100829538B1 (ko) * 2007-11-15 2008-05-16 주식회사 현진기업 휴대용 질 세정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73542A (de) * 1933-10-17 1934-11-30 Mislivecek Paul Vorrichtung zur Vornahme von Darm- und Scheidenspülungen ausserhalb einer Badewanne.
IT8453638V0 (it) * 1984-07-13 1984-07-13 Bigano Pietro Dispositivo irrigatore per l igiene intima
CN1101828A (zh) * 1993-10-16 1995-04-26 周承富 妇科病人自用喷雾冲洗器
US6213970B1 (en) * 1993-12-30 2001-04-10 Stryker Corporation Surgical suction irrigation
IT1298398B1 (it) * 1997-07-24 2000-01-05 Giuseppe Fuca Apparecchio con pompa elettrica per irrigazione vaginale e/o enteroclisma
EP2301599B1 (en) * 2003-12-26 2014-04-16 Wet Trust Japan Co., Ltd. Portable ejection and injection device
CN101396323B (zh) * 2008-10-24 2010-12-15 虞灵 内阴清洁护理器
KR101621516B1 (ko) * 2011-10-18 2016-05-18 신미정 휴대용 기능성 질세정 장치
CN203710444U (zh) * 2014-02-26 2014-07-16 孔俊华 妇产科用清洗器
CN103800956A (zh) * 2014-02-27 2014-05-21 周霞 一种妇产科清洗器
CN203852652U (zh) * 2014-04-18 2014-10-01 蔡凯伦 清洗器
CN205494513U (zh) * 2016-03-15 2016-08-24 巩文学 一种妇科阴道冲洗器
CN206548903U (zh) * 2016-09-23 2017-10-13 郑学民 妇产科冲洗给药装置
CN110101962A (zh) * 2019-05-07 2019-08-09 战雪 一种妇产科临床用喷射式上药装置
CN110038740A (zh) * 2019-05-22 2019-07-23 吴丹凯 一种冲洗枪用旋转射流喷头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796A (ko) 2003-03-14 2003-04-10 구남서 여성 질 세척기
KR200336276Y1 (ko) * 2003-09-19 2003-12-24 (주)뷰티라인 여성 청결기
KR200339793Y1 (ko) * 2003-11-06 2004-01-24 정성수 휴대용 질 세척기
KR100829538B1 (ko) * 2007-11-15 2008-05-16 주식회사 현진기업 휴대용 질 세정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7001A (zh) * 2020-12-31 2021-05-25 曾冬苟 一种妇产科阴道混合护理装置
CN113289111A (zh) * 2021-04-28 2021-08-24 姚顺行 一种妇产科阴道清洗器
CN113456927A (zh) * 2021-08-10 2021-10-01 重庆医科大学附属儿童医院 一种儿童消化内科用灌洗装置
CN113456927B (zh) * 2021-08-10 2022-08-16 重庆医科大学附属儿童医院 一种儿童消化内科用灌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62955A4 (en) 2023-08-09
JP2023503129A (ja) 2023-01-26
WO2021101286A1 (ko) 2021-05-27
CN114746131A (zh) 2022-07-12
US20220409802A1 (en) 2022-12-29
EP4062955A1 (en) 202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336B1 (ko) 체내 물질 투여를 위한 자동 청결 및 세척 디바이스
TWI666365B (zh) 內建清潔器組件之清洗系統及方法
CN110062833B (zh) 具有可拆卸喷洒罐装置的清洗、清洁及干燥系统
TWI653378B (zh) ㄧ種用於儲存第一溶液並將第一溶液噴灑至人體區域上之儀器
JP6067672B2 (ja) アプリケータ
AU2010365395B2 (en) Dispensing apparatus
TW201716145A (zh) 遙控藥物傳遞系統
JP5539459B2 (ja) 離脱するシーリング部材が備えられた体内液体挿入装置
AU2010202542B2 (en) Dispenser with discrete dispense cycles
EP0580807A4 (ko)
JP2004533285A (ja) 注入装置のための駆動機構
WO2013058436A1 (ko) 휴대용 기능성 질세정 장치
JP2017501792A (ja) 充電安全機能を備えたモータ駆動式薬物送達デバイス
JP2002525140A (ja) 膣洗浄および/または直腸洗浄デバイス
JP2004532063A (ja) 注入装置の改良および注入装置に関連する改良
CN211912446U (zh) 妇科护理用照明探头给药器
CN110448790A (zh) 组合式妇科给药装置
JP3129241U (ja) 浣腸ユニット
TW201036662A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CN219110590U (zh) 一种宫颈护理给药装置
CN211383401U (zh) 一种妇科给药装置
US6129241A (en) Pill dispenser in toothbrush handle
KR102451546B1 (ko) 세정 효과가 향상된 체내 액체 분사기
CN210114738U (zh) 阴道给药装置
CN211214914U (zh) 一种旋转式妇科给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