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253B1 - 크리프 강도가 우수한 Ni계 초내열합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크리프 강도가 우수한 Ni계 초내열합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253B1
KR102114253B1 KR1020180022716A KR20180022716A KR102114253B1 KR 102114253 B1 KR102114253 B1 KR 102114253B1 KR 1020180022716 A KR1020180022716 A KR 1020180022716A KR 20180022716 A KR20180022716 A KR 20180022716A KR 102114253 B1 KR102114253 B1 KR 102114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sity
liquid phase
nickel
equation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393A (ko
Inventor
최백규
석진익
송영석
김영대
김인수
정중은
도정현
정인용
조창용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22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253B1/ko
Priority to PCT/KR2018/005366 priority patent/WO2019164061A1/ko
Publication of KR20190102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22C19/051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and Mo or W
    • C22C19/056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and Mo or W with the maximum Cr content being at least 10% but less than 2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단련용 니켈계 초내열합금으로서, 중량%로, 10 내지 12의 코발트(Co), 17 내지 19의 크롬(Cr), 4.0초과 5.7이하의 몰리브덴(Mo), 1.8 이상 5.0미만의 텅스텐(W), 0.05 내지 0.1의 탄소(C), 0.5 내지 2.0의 알루미늄(Al), 0.8 내지 2.0의 티타늄(Ti), 0.1 내지 1.0의 나이오븀(Nb), 0 초과 0.0008 이하의 붕소(B), 0초과 0.005 이하의 지르코늄(Zr) 및 잔부가 니켈(Ni)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조성범위를 가지는, 크리프 강도가 우수한 단련용 Ni계 초내열합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크리프 강도가 우수한 Ni계 초내열합금 및 그 제조방법{Ni based superalloy with high creep streng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련용 니켈(Ni)계 초내열합금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우수한 고온 크리프 특성을 가지고면서도 잉곳을 주조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편석과 주조결함의 발생 가능성이 낮은 단련용 니켈계 초내열합금에 대한 것이다.
초내열합금은 니켈(Ni)계, 철(Fe)계, 코발트(Co)계 합금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중에서도 산업적으로 가장 중요하면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니켈(Ni)계 초내열합금이다. 니켈(Ni)계 초내열합금은 기지(matrix)로 니켈(Ni)을 사용하며, 크롬(Cr), 코발트(Co), 알루미늄(Al), 텅스텐(W), 티타늄 (Ti), 몰리브덴(Mo) 및 탄소(C) 등 10여 가지의 합금원소를 첨가하여 고온 기계적 특성과 내환경 특성을 최적화한 합금군을 말한다. 니켈(Ni)계 초내열합금은 우수한 크리프 특성와 고온 내식성이 요구되는 많은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응용분야는 항공기용 엔진과 발전용 분야이다.
발전용 스팀터빈 로터와 같은 대형 부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먼저 주조 공정을 통해 대형 잉곳을 제조한 후 단조 공정 등과 같은 가공 단계를 통해 특정 형상을 가지는 부품으로 제조하게 된다. 가공 단계에서 대형 잉곳이 안정적으로 가공되고 균일한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주조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조성이 다른 거시적 편석이나 주조결함의 발생이 가능한 억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편석이나 주조결함으로 인해 기계적, 물리적 특성이 불균일해져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항공기 엔진 또는 발전용 가스터빈용 대형 부품의 소재로 사용되는 단련용 니켈계 초내열합금의 경우, 우수한 크리프수명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주조 과정 중에 편석과 주조결함의 발생이 가능한 억제되어야 한다.
국내등록특허 제10-072562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합금원소의 함량을 액상 밀도 차이의 최소화 관점에서 제어하여 주조 중에 발생되는 거시적 편석(macrosegregation)을 최대한 억제하면서도 동시에 우수한 크리프 특성을 가질 수 있는 단련용 니켈계 초내열합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단련용 니켈계 초내열합금으로서, 중량%로, 10 내지 12의 코발트(Co), 17 내지 19의 크롬(Cr), 4.0 초과 5.7 이하의 몰리브덴(Mo), 1.8 이상 5.0 미만의 텅스텐(W), 0.05 내지 0.1의 탄소(C), 0.5 내지 2.0의 알루미늄(Al), 0.8 내지 2.0의 티타늄(Ti), 0.1 내지 1.0의 나이오븀(Nb), 0 초과 0.0008 이하의 붕소(B), 0초과 0.005 이하의 지르코늄(Zr) 및 잔부가 니켈(Ni)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조성범위를 가지는, 고크리프수명을 가지는 단련용 니켈계 초내열합금이 제공된다.
또는 상기 단련용 니켈계 초내열합금에 있어서, 상기 몰리브덴(Mo)의 함량([Mo]) 및 상기 텅스텐(W)의 함량([W])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수학식 1 : 5.5 ≤[Mo]+[W]/2≤ 7.5
([Mo] 및 [W]는 각각 몰리브덴(Mo) 및 텅스텐(W)의 함량(중량%))
상기 단련용 니켈계 초내열합금에 있어서, 상기 몰리브덴(Mo)의 함량은 4.7 내지 5.7의 범위를 가지고, 상기 텅스텐(W)은 1.8 내지 3.2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몰리브덴(Mo)의 함량([Mo]) 및 상기 텅스텐(W)의 함량([W])은 하기 수학식 2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2 : 5.6 ≤[Mo]+[W]/2≤7.3
상기 단련용 니켈계 초내열합금에 있어서, 상기 조성범위를 가지는 합금 용탕을 이용한 주조공정 중 고상분율(fs)이 0.35일때 고상에 인접한 액상의 밀도(ρi)와 액상선 온도에서의 액상의 밀도(ρo) 차이인 △ρ와, 크리프수명(Creep Life) tc 간에 하기 수학식 3를 만족한다.
수학식 3 : 35134 ≤tc / △ρ≤54870
(여기서 크리프수명의 단위는 시간(hour), △ρ의 단위는 g/cm3 이다.)
상기 단련용 니켈계 초내열합금에 있어서, 상기 조성범위를 가지는 합금 용탕을 이용한 주조공정 중 고상분율(fs)이 0.35일때 고상에 인접한 액상의 밀도(ρi)와 액상선 온도에서의 액상의 밀도(ρo) 차이인 △ρ와, 크리프수명(Creep Life) tc 간에 하기 수학식 4를 만족한다.
수학식 4 : 45000 ≤tc / △ρ≤54870
(여기서 크리프수명의 단위는 시간(hour), △ρ의 단위는 g/cm3 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합금원소의 함량을 액상 밀도 차이의 최소화 관점에서 제어하여 주조 중에 발생되는 거시적 편석을 최대한 억제하면서도 동시에 우수한 크리프 특성을 가질 수 있는 단련용 니켈계 초내열합금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니켈계 초내열합금을 주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수지상(dendrite)의 위치에 따른 고상과 액상의 계면에서의 액상 밀도 차이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몰리브덴과 텅스텐의 함량([Mo]+[W]/2)에 따른 크리프수명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몰리브덴과 텅스텐의 함량([Mo]+[W]/2)에 따른 △ρ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몰리브덴과 텅스텐의 함량([Mo]+[W]/2)에 따른 파라메터 P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련용 니켈계 초내열합금은 잉곳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거시적 편석의 발생가능성을 가능한 한 최소화할 할 필요가 있다. 이하 잉곳을 주조하는 단계에서 액상의 밀도 차이에 기인한 거시적 편석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 기술한다.
주조된 잉곳의 품질이 불균일해지는 거시적 편석은 주조 시 응고가 진행됨에 고상과 액상의 용질원소의 고용도 차이로 인하여 고상으로부터 액상으로 배출되는 용질원소로 인해 발생한 액상의 밀도 차이로 인하여 생성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즉, 고상으로부터 액상으로 배출되는 용질원소로 인하여 고상 부근의 액상 조성은 원래 합금의 조성과 달라지고 이러한 조성의 차이는 액상 간의 밀도차이를 유발한다. 이러한 액상에서의 밀도 차이에 기인한 액상의 유동과 이로 인해 파단된 수지상(dendrite) 가지나 액상내에서 생성된 고상의 유동에 의해 거시적 편석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고온용 대형 부품을 위한 소재 개발 시 이러한 거시적 편석의 발생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응고중에 형성된 수지상(즉, 고상)부근 즉, 수지상간 영역의 액상밀도 (ρi) 와 원래 합금 조성의 액상 밀도 (ρo), 즉 해당 합금조성의 액상선 온도에서의 밀도의 차이 (△ρ)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도 1은 용탕을 이용하여 주조하는 과정에 중에 형성되는 수지상(dendrite)의 형상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우선 니켈을 주성분으로부터 여러 종의 합금원소가 용질로서 첨가된 합금의 용탕으로서, 용탕의 조성은 C 0 라고 가정한다. 주조 과정 중에 이러한 액상을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몰드 내부로 주입할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몰드(M)의 벽(도 1의 영역 A)에서부터 응고가 시작되어 액상에서 고상으로 상변태된다. 이렇게 고상으로 상변태 되는 영역은 몰드의 벽으로부터 먼 영역(도 1의 영역 B)으로 나무가지 모양의 수지상으로 성장된다. 열역학적으로 모재인 니켈에 대한 용질원소의 고용도는 니켈이 고상일 때와 액상일때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다. 따라서 액상에서 고상으로 상변태되는 과정 중에 원래 액상이었던 영역이 고상화되면서 그 영역에 존재하던 용질원자의 재분배가 일어나게 된다. 응고 시 고상에서의 조성(CS)과 액상에서의 조성(CL) 차이는 분배계수(k)로 표현되는데 k는 CS/CL로 합금원소마다 다른 값을 가지며 k값이 1보다 큰 경우 고상에서의 농도가 높아지고 1보다 작은 경우 액상에서의 조성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고상과 액상의 계면 부근에 존재하는 액상에서의 용질 농도는 원래 최초 액상에서의 용질 농도와 상이한 값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액상에서의 용질 농도의 차이로 인하여 액상의 밀도 차이가 발생되며, 이러한 밀도의 차이를 구동력으로 하여 액상에서의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도 1에서 수지상 부분의 “-” 부분은 k가 1보다 작은 경우 용질 농도가 감소된 것을 나타내며, 액상 부분의 “+”는 수지상으로부터 배출된 용질로 인하여 농도가 증가된 것을 의미한다. 도 1에는 “+” 기호를 이용하여 액상 내 용질의 농도가 영역 A에서 영역 B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아직 응고가 일어나지 않은 영역(영역 B)에서는 최초 용탕의 액상 밀도 ρ0를 유지하나 응고가 일어나고 있는 수지상간 영역에서는 용질원자의 종류에 따라 ρ0에 비해 더 높거나 낮은 액상 밀도 ρ1을 가지게 된다.
이렇게 니켈계 초내열합금을 주조하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ρ1과 ρ0의 차이인 △ρ의 값을 최소화할 경우 액상의 밀도 차이에 기인한 액상의 유동이 억제됨에 따라 거시적 편석의 발생이 억제되게 된다.
본 발명자는 니켈계 초내열합금의 주조결함의 발생원인 중의 하나가 액상의 밀도차이에 기인한 액상의 유동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첨가되는 합금원소를 변화시켜 응고되는 고상 주변의 액상밀도의 차이를 감소시킴으로써 거시적 편석의 발생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크리프수명 및 액상의 밀도차이를 변수로 하는 파라메터를 도출하고, 이러한 파라메터가 몰리브덴 및 텅스텐의 함량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우수한 크리프수명과 함께 낮은 액상 밀도이 차이 을 가질 수 있는 최적의 텅스텐과 몰리브덴의 함량 범위를 도출하였다.
응고가 진행됨에 따라 달라지는 고상과 액상의 조성을 산출하는 모델인 샤일의 식(Scheil‘s equation)에 따르면 응고 도중 고상의 조성(CS) 및 액상의 조성(CL)은 아래 식과 같이 나타낸다.
CL=C0 (fL)(k-1), CS= kCo(1-fs)k-1
(Co는 합금의 조성, k는 CS/CL로 상태도에서 계산되는 분배계수, fs와 fL은 각각 고상 분율과 액상 분율임)
열역학 계산 프로그램인 JMatPro를 이용하면 합금원소들의 분배계수를 알 수 있고 위의 식을 바탕으로 응고가 진행됨에 따른 즉, 고상분율 또는 온도에 따른 고상 및 액상의 조성을 계산할 수 있다. 액상의 조성이 결정되면 각 합금원소의 밀도와 조성을 고려하여 액상의 밀도를 산출한다. 액상의 밀도 계산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도출하였다. 온도가 T 일때 액상에서 융점이 Ti mp인 합금원소 i 의 몰부피(molar volume) MVi L 는 다음 식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18019508512-pat00001
Figure 112018019508512-pat00002
여기서 αi L 은 합금원소 i의 액체상태에서의 열팽창계수, TLiq는 합금의 액상선 온도(liquidus temperature) 이다. 주어진 중량의 조성을 알고 있는 합금의 경우 각 합금원소의 몰 수 ai를 알 수 있고 주어진 온도 T에서의 합금의 액상 밀도는 다음과 같이 구해질 수 있다.
Figure 112018019508512-pat00003
본 발명에서는 열역학 계산 프로그램인 JMatPro 를 이용하여 샤일의 식(Scheil‘s equation)에 적용되는 고상 분율이 35% (fs=0.35)일 때 고상에 인접한 액상의 밀도를 ρi 로 하고 액상선(liquidus) 온도에서의 원래 합금의 조성을 가진 액상의 밀도를 ρo로 하여 조성 변화에 따른 액상의 밀도차 (△ρ)를 계산하였다. 또한 해당 조성을 가지는 합금의 크리프수명(tc)와 △ρ를 조합한 파라메터 P를 도출하였다.
파라메터 P = tc / △ρ
tc: 크리프수명(hour)
△ρ: 조성 변화에 따른 액상의 밀도차(g/cm3)
크리프수명(tc)은 750℃, 350MPa 조건에서의 결과로서, 단위는 시간(hour)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단련용 초내열합금은, 중량%로, 10 내지 12의 코발트(Co), 17 내지 19의 크롬(Cr), 4.0 초과 5.7 이하의 몰리브덴(Mo), 1.8 이상 5.0 미만의 텅스텐(W), 0.05 내지 0.1의 탄소(C), 0.5 내지 2.0의 알루미늄(Al), 0.8 내지 2.0의 티타늄(Ti), 0.1 내지 1.0의 나이오븀(Nb), 0 초과 0.0008 이하의 붕소(B), 0초과 0.005 이하의 지르코늄(Zr) 및 잔부가 니켈(Ni)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코발트(Co)의 조성은 10중량% 내지 12중량%를 만족할 수 있다. 코발트(Co)는 Ni 기지에 고용되어 기지를 강화하는 고용강화 역할을 하여 강도와 크리프 특성을 향상시킨다. 코발트(Co) 양이 10중량% 보다 적게 첨가되면 크리프 특성이 저하되고 12중량%를 넘어서면 다른 합금원소들과 결합하여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하기 쉬우며 가격측면에서도 억제가 필요하다.
크롬(Cr)은 초내열합금에서 내식성과 내산화성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반면, 탄화물이나 텅스텐(W)이나 몰리브덴(Mo)이 첨가되어 있는 경우 기계적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TCP(Topologically tcose Packed) 상의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17.0% 보다 적게 첨가되면 내식성에 문제가 발생하고, 19.0%보다 많이 첨가되면 고온에서 장시간 노출 시 기계적 특성에 나쁜 영향을 주는 TCP상이 생성될 수 있다.
탄소(C)는 Ti, W, Mo, Cr 등과 결합하여 MC, M6C 또은 M23C6 형태의 탄화물을 형성하여 결정립계 미세화에 기여하며, 탄화물을 입계에 형성시킴으로써 결정립계 강도를 향상시킨다. 탄소함량이 0.05% 이하에서는 충분한 탄화물이 형성되지 않고 0.1%를 넘어서면 지나치게 많은 탄화물이 형성되어 연성, 가공성등이 저하되므로 함량을 0.05~0.1%로 정했다.
알루미늄(Al)은 니켈계 초내열합금의 주 강화상인 γ'의 구성 원소이므로, 고온 크리프 특성 향상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원소이다. 또한, 내산화성 향상에도 기여한다. 하지만, 0.5% 보다 작을 때는 석출상 형성에 의한 강도향상 효과를 보기 어렵고 2.0% 보다 많으면 과도한 γ' 상의 석출로 연성을 저하 저하시키고 γ'의 고용온도를 높여 열간가공을 어렵게 한다.
티타늄(Ti_은 알루미늄과 마찬가지로 γ' 상의 구성원소로 고온 강도 향상에 도움을 주며 내식성 향상에도 기여하므로 0.8% 이상 첨가한다. 그러나 과도하게 첨가될 경우 연성이 감소하고, eta상과 같은 불필요한 상을 생성 시킬 수 있으므로 2.0%로 제한된다.
나이오븀(Nb)은 주로 초내열합금 주 강화상인 γ' 상에 고용되어 γ' 상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고온 강도의 향상에 기여하므로 0.1%이상 첨가한다. 그러나 과도하게 첨가될 경우 연성과 인성을 저하시키고 가공성이 저하되므로 1.0%이하로 제한한다.
붕소(B)는 결정립계에 편석되어 입계 강도를 향상시키고 결정립 성장을 억제시킨다. 그러나 과도하게 첨가되면 기지의 융점을 저하시켜서 열간 가공성을 저하시키고, 연성이 저하되므로 0.008%이하로 함량을 제한한다.
지르코늄(Zr)은 결정립계에 편석하여 입계강도를 향상시킨다. 그러나 과도하게 첨가되면 합금의 인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0.05% 이하로 함량을 제한한다.
몰리브덴(Mo)은 및 텅스텐(W)은 고용강화 원소로 니켈계 초내열합금의 고온 크리프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소정의 함량을 초과할 경우 밀도가 높아지고 TCP상이 많이 생성되어 상안정성이 저하된다. 텅스텐(W)의 경우는 거시적 편석이나 프렉클(freckle)과 같은 주조 결함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몰리브덴(Mo)의 조성은 4.0중량% 초과 5.7중량% 이하의 범위을 가지며, 텅스턴(W)은 1.8중량% 이상 5.0중량%의 범위를 가진다. 또한 상기 몰리브덴(Mo)의 함량([Mo]) 및 상기 텅스텐(W)의 함량([W])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수학식 1 : 5.5 ≤[Mo]+[W]/2≤7.5
([Mo] 및 [W]는 각각 몰리브덴(Mo) 및 텅스텐(W)의 함량(중량%))
또한 상기 조성 범위를 가지는 합금 용탕을 이용한 주조공정 중 고상분율(fs)이 0.35일때 고상에 인접한 액상의 밀도(ρi)와 액상선 온도에서의 액상의 밀도(ρo) 차이인 △ρ와, 크리프수명 tc 간에 하기 수학식 3를 만족한다.
수학식 3 : 35134 ≤tc / △ρ≤54870
더욱 바람직하게는, 몰리브덴(Mo)의 조성은 4.7중량% 내지 5.7중량% 범위를 가지며, 텅스턴(W)은 1.8중량% 내지 3.2중량%의 범위를 가진다. 또한 상기 몰리브덴(Mo)의 함량([Mo]) 및 상기 텅스텐(W)의 함량([W])은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한다.
수학식 2 : 5.6 ≤[Mo]+[W]/2≤7.3
또한 상기 조성 범위를 가지는 합금 용탕을 이용한 주조공정 중 고상분율(fs)이 0.35일때 고상에 인접한 액상의 밀도(ρi)와 액상선 온도에서의 액상의 밀도(ρo) 차이인 △ρ와, 크리프수명 tc 간에 하기 수학식 3를 만족한다.
수학식 4 : 45000 ≤tc / △ρ≤54870
(tc의 단위는 시간 , △ρ의 단위는 g/cm3)
이하에서는 서로 다른 조성을 가지는 니켈계 초내열합금의 실험예들에 따른 tc , △ρ 및 파라메터 P의 결과를 설명하고, 이로부터 본 발명에서 제시한 몰리브덴(Mo) 및 텅스텐(W) 함량의 한정 이유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 1에는 본 발명의 실험예들에 사용된 합금조성이 나타나 있으며, 표 2에는 각 실험예에 따른 tc , △ρ 및 파라메터 P 값이 도시되어 있다. 표 1의 합금조성은 중량%이다.
실험예 Cr Co Mo W Mo+W/2 Al Ti Nb C B Zr Ni
1 18 11 3.7 1.4 4.4 1.2 1.8 0.5 0.08 0.004 0.04 잔부
2 18 11 4 2 5 1.2 1.8 0.5 0.08 0.004 0.04 잔부
3 18 11 4 3 5.5 1.2 1.8 0.5 0.08 0.004 0.04 잔부
4 18 11 4.7 1.8 5.6 1.2 1.8 0.5 0.08 0.004 0.04 잔부
5 18 11 5 2 6 1.2 1.8 0.5 0.08 0.004 0.04 잔부
6 18 11 5.5 2.5 6.75 1.2 1.8 0.5 0.08 0.004 0.04 잔부
7 18 11 5.7 3.2 7.3 1.2 1.8 0.5 0.08 0.004 0.04 잔부
8 18 11 5 5 7.5 1.2 1.8 0.5 0.08 0.004 0.04 잔부
9 18 11 5.5 5 8 1.2 1.8 0.5 0.08 0.004 0.04 잔부
10 18 11 5.9 6.5 9.15 1.2 1.8 0.5 0.08 0.004 0.04 잔부
실험예 △ρ(g/cm3) tc(hours) P (hours·cm3/g)
1 0.00940 267 28457
2 0.01003 311 31024
3 0.00956 336 35134
4 0.00736 334 45404
5 0.00666 361 54195
6 0.00770 422 54870
7 0.00996 489 49086
8 0.01757 603 34299
9 0.01895 641 33845
10 0.02117 848 40067
도 2에는 ([Mo]+[W]/2)에 따른 크리프수명의 변화가 나타나 있으며, 도 3에는 ([Mo]+[W]/2)에 따른 △ρ 값의 변화가 나타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Mo]+[W]/2)가 증가함에 따라 거의 선형적으로 크리프수명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ρ값을 보이는 구간이 5. 5 내지 7.5 범위 내에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자는 파라메터 P(parameter P)는 합금의 조성 중 ([Mo]+[W]/2)에 대해서 뚜렷한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구간이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Mo]+[W]/2)의 값이 5.5 초과 7.5 미만의 범위일 때 파라메터 P의 값이 35000 내지 55000의 범위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Mo]+[W]/2)의 값이 5.6 내지 7.3의 범위일 때 파라메터 P의 값은 45000 내지 54870의 범위를 나타낸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Mo]+[W]/2)의 값이 5.6 내지 7.3의 범위일 때 파라메터 P의 값은 45000 내지 54870의 범위를 나타낸다.
즉, 이는 ([Mo]+[W]/2)가 상술한 범위의 값을 가질 경우, 크리프수명 및 거시적 편석의 발생가능성이 최적으로 조합된 합금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몰리브덴의 함량이 4중량% 이하이고 텅스텐의 함량이 3중량% 이하일 경우 크리프수명은 267 내지 336 범위로 비교적 낮은 값을 가지며, △ρ는 0.00940 내지 0.0010으로서 비교적 높은 값을 가진다. 즉, 이 범위는 상대적으로 낮은 크리프수명을 가지면서도 거시적 편석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몰리브덴 및 텅스텐의 함량이 5보다 클 경우에는 크리프수명은 600 이상으로서 우수한 값을 나타내나 △ρ는 0.0175 이상으로서 높은 값을 나타낸다. 즉, 본 조성범위의 합금은 높은 몰리브덴 및 텅스텐 함량으로 인하여 크리프 특성은 우수해지지만 액상의 밀도 차이가 커서 이로 인해 주조시 거시적 편석의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몰리브덴 및 텅스텐의 함량을 크리프수명 확보 및 액상 밀도 차이의 최소화 관점에서 제어하여 주조 중에 발생되는 거시적인 편석이나 국부적인 주조결함을 최대한 억제하면서도 동시에 우수한 크리프 특성을 가질 수 있는 단련용 니켈계 초내열합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단련용 니켈계 초내열합금으로서,
    중량%로, 10 내지 12의 코발트(Co), 17 내지 19의 크롬(Cr), 4.7 내지 5.7의 몰리브덴(Mo), 1.8 내지 3.2의 텅스텐(W), 0.05 내지 0.1의 탄소(C), 0.5 내지 2.0의 알루미늄(Al), 0.8 내지 2.0의 티타늄(Ti), 0.1 내지 1.0의 나이오븀(Nb), 0 초과 0.008 이하의 붕소(B), 0초과 0.05 이하의 지르코늄(Zr) 및 잔부가 니켈(Ni)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조성범위를 가지며,
    상기 몰리브덴(Mo)의 함량([Mo]) 및 상기 텅스텐(W)의 함량([W])은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크리프 강도가 우수한 단련용 Ni계 초내열합금.
    수학식 2 : 5.6 ≤[Mo]+[W]/2≤7.3
    ([Mo] 및 [W]는 각각 몰리브덴(Mo) 및 텅스텐(W)의 함량(중량%))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 범위를 가지는 합금 용탕을 이용한 주조공정 중 고상분율(fs)이 0.35일때 고상에 인접한 액상의 밀도(ρi)와 액상선 온도에서의 액상의 밀도(ρo) 차이인 △ρ와, 크리프수명 tc 간에 하기 수학식 3을 만족하는,
    크리프 강도가 우수한 단련용 Ni계 초내열합금.
    수학식 3 : 35134 ≤tc / △ρ≤54870
    (tc의 단위는 시간(hour), △ρ의 단위는 g/cm3)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 범위를 가지는 합금 용탕을 이용한 주조공정 중 고상분율(fs)이 0.35일때 고상에 인접한 액상의 밀도(ρi)와 액상선 온도에서의 액상의 밀도(ρo) 차이인 △ρ와, 크리프수명 tc 간에 하기 수학식 4를 만족하는,
    크리프 강도가 우수한 단련용 Ni계 초내열합금.
    수학식 4 : 45000 ≤tc / △ρ≤54870
    (tc의 단위는 시간(hour), △ρ의 단위는 g/cm3)
KR1020180022716A 2018-02-26 2018-02-26 크리프 강도가 우수한 Ni계 초내열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102114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716A KR102114253B1 (ko) 2018-02-26 2018-02-26 크리프 강도가 우수한 Ni계 초내열합금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8/005366 WO2019164061A1 (ko) 2018-02-26 2018-05-10 크리프 강도가 우수한 단련용 Ni계 초내열합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716A KR102114253B1 (ko) 2018-02-26 2018-02-26 크리프 강도가 우수한 Ni계 초내열합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393A KR20190102393A (ko) 2019-09-04
KR102114253B1 true KR102114253B1 (ko) 2020-05-22

Family

ID=67687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716A KR102114253B1 (ko) 2018-02-26 2018-02-26 크리프 강도가 우수한 Ni계 초내열합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4253B1 (ko)
WO (1) WO2019164061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2662A (en) * 1992-01-16 1994-12-13 Inco Alloys International, Inc. Nickel-base alloy with superior stress rupture strength and grain size control
US20060051234A1 (en) * 2004-09-03 2006-03-09 Pike Lee M Jr Ni-Cr-Co alloy for advanced gas turbine engines
KR100725624B1 (ko) 2005-12-28 2007-06-08 한국기계연구원 니켈기 단결정 초내열합금
JP5232492B2 (ja) * 2008-02-13 2013-07-10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偏析性に優れたNi基超合金
KR20110114928A (ko) * 2010-04-14 2011-10-20 한국기계연구원 크리프 특성이 우수한 단결정 니켈기 초내열합금
KR20120105693A (ko) * 2011-03-16 2012-09-26 한국기계연구원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단결정 니켈기 초내열합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64061A1 (ko) 2019-08-29
KR20190102393A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1913B2 (en) Cast nickel-base superalloy including iron
JP5869034B2 (ja) ニッケル超合金およびニッケル超合金から製造された部品
US8226886B2 (en) Nickel-based superalloys and articles
CN106119608B (zh) 制品和形成制品的方法
US20140169973A1 (en) Ni-Based Heat Resistant Alloy, Gas Turbine Component and Gas Turbine
US11414727B2 (en) Superalloy without titanium, powder, method and component
CN109576534B (zh) 一种低钨含量γ′相强化钴基高温合金及其制备工艺
JPH0239573B2 (ko)
US20110058977A1 (en) Ni based casting alloy and turbine casing
JP6148843B2 (ja) ニッケル基合金からなる大型鋳造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182140A (zh) 一种700℃机组用含钽铸造镍基高温合金及其制备方法
KR102114253B1 (ko) 크리프 강도가 우수한 Ni계 초내열합금 및 그 제조방법
JP2014051698A (ja) Ni基鍛造合金と、それを用いたガスタービン
TWI540211B (zh) 高應力等軸晶鎳基合金
TWI663263B (zh) 高抗潛變等軸晶鎳基超合金
US20150329941A1 (en) Alloy composition
US10415423B2 (en) Austenite steel, and austenite steel casting using same
KR20110114928A (ko) 크리프 특성이 우수한 단결정 니켈기 초내열합금
EP2913417B1 (en) Article and method for forming article
JP2004332114A (ja) ニッケル基超合金及び単結晶鋳造品
JP2021116432A (ja) Ni基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018394A (ja) Ni基超合金及びタービンホイール
JP2014047371A (ja) Ni基合金と、それを用いたガスタービン動翼兼ガスタービ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