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058B1 - 완충구조를 가지는 군수차량의 하이브리드형 런플렛 - Google Patents

완충구조를 가지는 군수차량의 하이브리드형 런플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058B1
KR102113058B1 KR1020190141703A KR20190141703A KR102113058B1 KR 102113058 B1 KR102113058 B1 KR 102113058B1 KR 1020190141703 A KR1020190141703 A KR 1020190141703A KR 20190141703 A KR20190141703 A KR 20190141703A KR 102113058 B1 KR102113058 B1 KR 102113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
military vehicle
tire
circumferential surface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학진
Original Assignee
케이알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알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알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1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058B1/ko
Priority to US17/075,391 priority patent/US1148517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09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comprising annular protrusions projecting into the tyre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6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resilient
    • B60C17/061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resilient comprising lateral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48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comprising transverse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47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comprising circumferential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6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10Internal lubr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6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resilient
    • B60C2017/063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resilient comprising circumferentially extending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구조를 가지는 군수차량의 하이브리드형 런플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군수차량의 런플렛의 외주면에 소정두께를 가지면서 런플렛과 이종재질을 가지는 완충부재를 형성하도록 하여, 이러한 완충부재로 인하여 타이어 펑크시에도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완충부재 외주면에는 윤활제를 위한 홈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빈공간인 완충공간을 형성하여, 충격완화 효과 또한 증가될 수 있도록 한 완충구조를 가지는 군수차량의 하이브리드형 런플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완충구조를 가지는 군수차량의 하이브리드형 런플렛{Hybrid runflat device of military vehicle with shock absorbing structure}
본 발명은 군수차량이 주행 중 타이어가 손상되거나 펑크 시에, 타이어 손상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면서, 타이어가 휠에서 이탈되어도 휠에 장착되어 있는 런플렛만으로도 주행이 가능토록 한 완충구조를 가지는 군수차량의 하이브리드형 런플렛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에 펑크가 나더라도 주행이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는 타이어 재료 및 구조를 개선하여 강도를 높여 차량무게를 지지하면서 주행이 가능한 타이어를 사용하는 수단과, 타이어 내부에 설치한 별도의 장치에 의하여 차량을 지지하면서 주행이 가능하게 하는 수단 등이 있다.
런플렛 타이어로서는 사이드 월의 두께를 증가시켜 펑크시 사이드 월의 큰 두께에 의한 지지력으로 자동차를 주행하게 할 수 있는 타이어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사이드 월의 두께만큼 타이어 중량이 증가하고, 승차감에 나쁜 영향을 미쳐 그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한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사이드 월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고속 내구시간도 종래보다 짧아지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타이어 사이드 월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아닌 장치를 이용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의 하나로서, 타이어 압력 감소를 감지한 센서가 차량의 휠에 위치한 별도의 실린터 댐퍼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 실린더가 바깥 방향으로 진행하여 타이어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런플렛 장치가 제공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별도의 실린터 댐퍼 시스템을 구비하여 차량의 중량을 증가하여 연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직진 주행이 아닌 회전 주행시 적절한 타이어의 형상을 갖추게 하지 못해 차량의 운전에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군수차량에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면서, 외부 피격, 또는 돌발적 타이어 펑크시에도 차량 및 승무원의 안전을 위하여 일정거리를 주행이 가능토록하는 차량의 런플렛의 개발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47711호(2009.05.13.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3개가 상호간 원 형태를 이루며 대응체결되어, 휠 외주면에 타이어가 장착되는 런플렛에 있어서, 이러한 런플렛의 외주면에 런플렛과는 이종재질로 완충부재를 형성하고, 이러한 완충부재의 외주면에는 윤활제가 채워지는 홈을 형성하거나, 이러한 완충부재의 내부에 별도로 완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완충부재뿐만 아니라, 내부의 완충공간에 의해서, 타이어 펑크시 런플렛만으로도 원활한 주행이 가능함과 동시에, 주행 시 및 타이어 펑크시의 충격 또한 완화될 수 있도록 하여 핸들 조향성을 개선한 완충구조를 가지는 군수차량의 하이브리드형 런플헷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양단에 상호간 엇갈리게 결합턱(11)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삽입홈(12)이 형성되고, 3개로 형성되면서 상호간 원을 이루며 결합되는 3개의 런플렛(10); 상기 삽입홈(12)에 각각 장착되어, 군수차량 휠(W)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고정패드(13); 상기 런플렛(10)과 상이한 이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런플렛(10)의 외주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런플렛(10) 외주면의 타이어(T)가 펑크 시, 군수차량에 전달되는 충격완화와 더불어, 타이어(T) 손상시에도 런플렛(10)이 타이어(T) 기능을 하면서 군수차량의 주행이 가능토록 하며,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향해 다수의 홈(21)이 이격형성되어, 상기 홈(21)에 채워지는 윤활제(22)에 의해 마찰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완충부재(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런플렛 외주면에 형성되는 완충부재를 통해, 타이어 펑크시 타이어 없이 런플렛만으로도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부재의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여 특별히 고안된 윤활제를 주입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런플렛과 타이어의 마찰열에 의한 손상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부재의 내부에 완충공간을 형성하고, 이러한 완충공간의 형태를 런플렛의 좌, 우측이 상호간 상이한 형태로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충격완화 효과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구조를 가지는 군수차량의 하이브리드형 런플렛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런플렛 중 하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의 첫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의 두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타이어 펑크시의 런플렛이 타이어 역할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양단에 상호간 엇갈리게 결합턱(11)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삽입홈(12)이 형성되고, 3개로 형성되면서 상호간 원을 이루며 결합되는 3개의 런플렛(10); 상기 삽입홈(12)에 각각 장착되어, 군수차량 휠(W)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고정패드(13); 상기 런플렛(10)과 상이한 이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런플렛(10)의 외주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런플렛(10) 외주면의 타이어(T)가 펑크 시, 군수차량에 전달되는 충격완화와 더불어, 타이어(T) 손상시에도 런플렛(10)이 타이어(T) 기능을 하면서 군수차량의 주행이 가능토록 하며,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향해 다수의 홈(21)이 이격형성되어, 상기 홈(21)에 채워지는 윤활제(22)에 의해 마찰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완충부재(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20)는 상기 런플렛(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폭방향을 향해 내부를 관통하는 완충공간(30) 다수개를 이격형성하여, 상기 완충공간(30)에 의해 타이어(T) 손상으로 런플렛(10)만으로 군수차량이 주행시, 충격완화 및 주행이 용이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공간(30)은 사선형태로 천공형성되되, 상기 결합턱(11)을 기준으로 런플렛(10)의 일측의 완충공간(30)은 상기 런플렛(10)의 시계회전방향을 향해 형성되고, 타측의 완충공간(30) 형성방향은 상기 런플렛(10)의 반시계회전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상호간 'X'자로 교차되도록 상이하게 형성됨으로써, 런플렛(10)의 시계 및 반시계 회전방향에 대해서 충격완화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3개의 런플렛(10)은 상호간의 결합턱(11)이 맞물리면서 결합되되, 상기 결합턱(11) 상호간은 볼트와 너트를 통한 볼팅결합 또는 파이프와 양끝단을 스냅링(40)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구조를 가지는 군수차량의 하이브리드형 런플렛.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구조를 가지는 군수차량의 하이브리드형 런플렛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구조를 가지는 군수차량의 하이브리드형 런플렛은 런플렛(10), 고정패드(13), 완충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런플렛(10)은 3개의 런플렛(10)이 상호간 원 형태를 이루며 체결되는 구조로써, 각각의 런플렛(10)은 양단에 서로 엇갈리게 결합턱(11)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삽입홈(12)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상기 3개의 런플렛(10)은 상호간의 결합턱(11)이 볼트, 너트의 볼팅에 의해 결합되어지나, 사용자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결합턱(11) 외주면을 감싸며 조이는 원 또는 타원형의 스냅링(40)에 의해 이러한 런플렛(10)과 런플렛(10) 상호간의 결합턱(11) 부분이 상호간 고정체결(파이프와 양끝단을 스냅링(40)에 의해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런플렛(10)의 삽입홈(12)에는 고정패드(13)가 삽입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정패드(13)는 런플렛(10)의 내주면을 향해 일정높이 돌출되어, 군수차량 휠(W)의 외주면에 말착되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런플렛(10)의 구조는 널리 공지된 기술로써, 상세할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완충부재(20)는 전술된 런플렛(10)의 재질인 나일론과는 상이한 이종재질(고무 등)로 이루어져, 상기 런플렛(10)의 외주면에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완충부재(20)는 런플렛(10) 외주면의 타이어(T)가 손상되거나 펑크 시, 펑크시 및 펑크된 상태로 주행시 군수차량에 전달되는 충격완화와 더불어, 런플렛(10) 자체가 타이어(T) 기능을 하면서 군수차량의 주행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완충부재(20)의 외주면은 폭방향으로 물결형상을 가지도록 하는데, 길이방향을 향해 다수의 홈(21)이 등간격으로 이격형성되도록 하며, 이러한 상기 홈(21)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유나 특별하게 사용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윤활제(22)가 주입되어 있도록 하여, 마찰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이다.
더불어,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완충부재(20)에는 링 형태의 런플렛(10) 원주방향을 따라, 폭방향을 향해 내부를 관통하는 완충공간(30) 다수개가 이격되며 형성되어 있도록 하여, 완충부재(20) 내부에 빈공간이 구비되어지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완충공간(30)에 의해 타이어(T) 손상으로 런플렛(10)만으로 군수차량이 주행시, 충격완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 완충공간(30)은 사선형태로 천공형성되되, 상기 결합턱(11)을 기준으로 런플렛(10)의 일측의 완충공간(30)의 형성방향과, 타측의 완충공간(30) 형성방향이 상호간 역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런플렛(10) 좌측에서 런플렛(10) 중심까지 폭방향으로 천공된 완충공간(30)은, 런플렛(10)의 회전방향을 향해 '\'와 같은 사선형태로 천공된다면, 런플렛(10) 우측에서 런플렛(10) 중심까지 폭방향으로 천공된 완충공간(30)은, 런플렛(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와 같은 사선형태로 천공되어 있도록 하여, 완충공간(30) 상호간이 'X'자로 교차되도록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음이다.
이는 완충공간(30)이 런플렛(10)(또는 타이어(T))의 회전방향(시계 또는 반시계)에 상관없이 어느 회전방향으로도 원환할 완충효과 및 충격저감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런플렛 11: 결합턱
12: 삽입홈 13: 고정패드
20: 완충부재 21: 홈
22: 윤활제 30: 완충공간
40: 스냅링
T: 타이어 W: 휠

Claims (4)

  1. 양단에 상호간 엇갈리게 결합턱(11)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삽입홈(12)이 형성되고, 3개로 형성되면서 상호간 원을 이루며 결합되는 3개의 런플렛(10);
    상기 삽입홈(12)에 각각 장착되어, 군수차량 휠(W)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고정패드(13);
    상기 런플렛(10)과 상이한 이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런플렛(10)의 외주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런플렛(10) 외주면의 타이어(T)가 펑크 시, 군수차량에 전달되는 충격완화와 더불어, 타이어(T) 손상시에도 런플렛(10)이 타이어(T) 기능을 하면서 군수차량의 주행이 가능토록 하며,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향해 다수의 홈(21)이 이격형성되어, 상기 홈(21)에 채워지는 윤활제(22)에 의해 마찰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완충부재(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부재(20)는
    상기 런플렛(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폭방향을 향해 내부를 관통하는 완충공간(30) 다수개를 이격형성하여, 상기 완충공간(30)에 의해 타이어(T) 손상으로 런플렛(10)만으로 군수차량이 주행시, 충격완화 및 주행이 용이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구조를 가지는 군수차량의 하이브리드형 런플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공간(30)은
    사선형태로 천공형성되되,
    상기 결합턱(11)을 기준으로 런플렛(10)의 일측의 완충공간(30)은 상기 런플렛(10)의 시계회전방향을 향해 형성되고, 타측의 완충공간(30) 형성방향은 상기 런플렛(10)의 반시계회전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상호간 'X'자로 교차되도록 상이하게 형성됨으로써, 런플렛(10)의 시계 및 반시계 회전방향에 대해서 충격완화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구조를 가지는 군수차량의 하이브리드형 런플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런플렛(10)은
    상호간의 결합턱(11)이 맞물리면서 결합되되,
    상기 결합턱(11) 상호간은 볼트와 너트를 통한 볼팅결합 또는 파이프와 양끝단을 스냅링(40)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구조를 가지는 군수차량의 하이브리드형 런플렛.
  4. 삭제
KR1020190141703A 2019-11-07 2019-11-07 완충구조를 가지는 군수차량의 하이브리드형 런플렛 KR102113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703A KR102113058B1 (ko) 2019-11-07 2019-11-07 완충구조를 가지는 군수차량의 하이브리드형 런플렛
US17/075,391 US11485178B2 (en) 2019-11-07 2020-10-20 Hybrid run-flat for military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703A KR102113058B1 (ko) 2019-11-07 2019-11-07 완충구조를 가지는 군수차량의 하이브리드형 런플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058B1 true KR102113058B1 (ko) 2020-05-20

Family

ID=7091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703A KR102113058B1 (ko) 2019-11-07 2019-11-07 완충구조를 가지는 군수차량의 하이브리드형 런플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85178B2 (ko)
KR (1) KR1021130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6712A (ja) * 2000-11-29 2002-06-11 Kawasaki Heavy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用タイヤフランジ
KR20090047711A (ko) 2007-11-08 2009-05-1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의 런플랫 장치
KR101457545B1 (ko) * 2013-10-29 2014-11-03 이애경 차량 주행 안전장치용 런플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39704A4 (en) * 2007-03-22 2010-09-29 Khaled Khatib TIRE SYSTEM WITH LIMITED SWITCH AND DEVICE
JP5395526B2 (ja) * 2009-06-12 2014-01-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ランフラットタイヤ組立体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サポートリング
DE102014225107A1 (de) * 2014-12-08 2016-06-09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Notlaufstützvorrichtung aufweisend einen Notlauf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6712A (ja) * 2000-11-29 2002-06-11 Kawasaki Heavy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用タイヤフランジ
KR20090047711A (ko) 2007-11-08 2009-05-1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의 런플랫 장치
KR101457545B1 (ko) * 2013-10-29 2014-11-03 이애경 차량 주행 안전장치용 런플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38847A1 (en) 2021-05-13
US11485178B2 (en)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4318B2 (en) Non-pneumatic tire
EP2428369B1 (en) Non-pneumatic tire
KR101293843B1 (ko) 비공기압 타이어
US20100126746A1 (en) Breaking machine shock absorbing system
KR20180025728A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2113058B1 (ko) 완충구조를 가지는 군수차량의 하이브리드형 런플렛
US10203014B2 (en) Cover member and shock absorber
CN103459885B (zh) 装配有固定在曲柄轴上的螺钉的保持部件的发动机飞轮
RU2425775C1 (ru) Изолирующе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колеса
KR101818660B1 (ko) 비공기입 타이어
CN207032101U (zh) 一种可旋耗能单元及具有该可旋耗能单元的防护栏
KR102119595B1 (ko) 방호벽
US5386899A (en) Clutch plate mechanical stabilizer
KR20140055242A (ko)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기어 박스
CN1317141C (zh) 除震车轮
KR20150102887A (ko) 이륜차 완충식 바퀴 구조체
KR20110004253U (ko) 비공기식 타이어
KR102547341B1 (ko) 방열판 및 방열판이 장착된 타이어
KR101972567B1 (ko) 공기입 타이어
CN202781900U (zh) 一种用于冲压机的减震装置
JP6472996B2 (ja) ソリッドタイヤ
WO2013081305A1 (ko) 차량용 바퀴의 안전 휠
KR20120056968A (ko) 충돌성능 개선을 위한 리어 롤로드
CN105857409B (zh) 底盘及具有该底盘的车辆
KR101846470B1 (ko) 비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