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313B1 -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 - Google Patents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313B1
KR102112313B1 KR1020180127402A KR20180127402A KR102112313B1 KR 102112313 B1 KR102112313 B1 KR 102112313B1 KR 1020180127402 A KR1020180127402 A KR 1020180127402A KR 20180127402 A KR20180127402 A KR 20180127402A KR 102112313 B1 KR102112313 B1 KR 102112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ut line
side portion
per unit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6357A (ko
Inventor
손준
Original Assignee
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준 filed Critical 손준
Priority to KR1020180127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3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65D71/46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tubular element
    • B65D71/48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tubular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2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된 하면부, 하면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에서 연장되고, 절취선으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전개도부를 포함하는 2개의 측면부, 및 2개의 측면부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절취선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측면부와 전개도부가 연결되어 있는 접합부 및 측면부와 전개도부가 분리되어 있는 절취부를 포함하고, 측면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절취선은 하면부와 인접한 하부 절취선과 손잡이부와 인접한 상부 절취선으로 구분되고, 하부 절취선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의 개수는 상부 절취선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의 개수보다 더 많은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A cup carrier of lower part of side part more welding part}
본 발명은 컵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측면부를 접는 과정에서 전개도부가 측면부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커피, 주스, 차 등 음료의 판매를 전문으로 하는 매장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매장에서 손님이 머물면서 음료를 마시는 것 이외에 음료를 테이크아웃(takeout)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한 명의 손님이 복수의 음료를 테이크아웃하는 경우, 매장에서는 복수의 컵을 한 손으로 쉽게 운반할 수 있는 컵 캐리어를 제공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종래의 컵 캐리어는 주로 박스 재질의 판지재로 형성되고, 접어서 컵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종래의 컵 캐리어는 접는 구조가 복잡하여 컵을 수납하기 위한 과정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보관을 위해서 상당한 공간을 점유한다는 문제가 있다.
컵 캐리어는 심하게 손상되지 않는 한 반복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매장 외부로 반출된 후 다시 회수되는 것이 어려워 사실상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또한, 손님 입장에서도 사용 후의 컵 캐리어를 처리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는 실정이다. 또한, 컵 캐리어가 한 번 사용 후 폐기되는 것은 자원 낭비를 유발하고 환경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컵 캐리어에서 여백이 있는 부분에 장난감 등의 전개도를 넣어서 공간을 활용하는 것이 추세이나, 사용자가 컵 캐리어를 사용하기 위해 접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전개도가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접는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서 보관 시 공간효율성이 높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재활용이 가능하고,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전개도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 컵 캐리어가 요구되어 왔다.
(특허문헌 1) KR10-1545832 B1
(특허문헌 2) KR10-1546330 B1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용자가 하면부와 측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측면부를 접을 경우, 전개도부가 측면부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는, 컵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된 하면부, 상기 하면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에서 연장되고, 절취선으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전개도부를 포함하는 2개의 측면부 및 상기 2개의 측면부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취선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측면부와 상기 전개도부가 연결되어 있는 접합부 및 상기 측면부와 상기 전개도부가 분리되어 있는 절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절취선은 상기 하면부와 인접한 하부 절취선과 상기 손잡이부와 인접한 상부 절취선으로 구분되고, 상기 하부 절취선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의 개수는 상기 상부 절취선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의 개수보다 더 많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절취선은 상기 손잡이부보다 상기 하면부와 더 인접한 절취선이고, 상기 상부 절취선은 상기 하면부보다 상기 손잡이부와 더 인접한 절취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절취선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의 개수는 상기 상부 절취선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의 개수의 1.01배 내지 1.3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컵 캐리어는 컵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된 하면부, 상기 하면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에서 연장되고, 절취선으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전개도부를 포함하는 2개의 측면부 및 상기 2개의 측면부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취선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측면부와 상기 전개도부가 연결되어 있는 접합부 및 상기 측면부와 상기 전개도부가 분리되어 있는 절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절취선은 상기 하면부와 인접한 하부 절취선과 상기 손잡이부와 인접한 상부 절취선으로 구분되고, 상기 하부 절취선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의 길이는 상기 상부 절취선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절취선은 상기 손잡이부보다 상기 하면부와 더 인접한 절취선이고, 상기 상부 절취선은 상기 하면부보다 상기 손잡이부와 더 인접한 절취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절취선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의 두께는 상기 상부 절취선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의 두께의 1.01배 내지 1.3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는 사용자가 하면부와 측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측면부를 접을 경우에도 전개도부가 측면부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아 측면부의 본래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미관상 정돈된 느낌을 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는 여백이 있는 부분에 전개도부를 추가하여 장난감 등으로 활용이 가능함에 따라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의 제1 측면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의 제2 측면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부에 형성된 절취선 중 상부 절취선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부에 형성된 절취선 중 하부 절취선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물과 제2 조립물 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물과 제2 조립물 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부에 형성된 절취선 중 상부 절취선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부에 형성된 절취선 중 하부 절취선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 하단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컵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컵 캐리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컵 캐리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컵 캐리어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컵 캐리어는 종이 재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컵 캐리어는 판지재의 종이로 형성된다. 컵 캐리어의 판지재는 서로 마주보는 내면과 외면을 포함한다. 내면은 컵 캐리어가 컵이 거치하기 위해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를 바라보는 면에 해당하고, 외면은 외부를 바라보는 면에 해당한다.
컵 캐리어를 형성하는 판지재는 내면과 외면 중 적어도 일면이 코팅된 것일 수 있다. 판지재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으로 인해 판지재는 수분을 흡수하지 않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컵 캐리어를 형성하는 판지재는 내면과 외면 모두에 코팅이 된 것이 바람직하다.
컵 캐리어를 형성하는 판지재의 내면과 외면에는 각종 정보 및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지재의 외면에는 컵 캐리어가 수납하는 음료를 판매하는 매장에 대한 정보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컵 캐리어가 컵을 수납하게 되면 매장에 대한 정보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판지재의 내면에는 후술할 전개도부에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판지재의 내면에 해당하는 전개도부는 전개도부가 조립된 이후에 외면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판지재의 내면에 해당하는 전개도부에 전개도부의 조립체의 외면에 맞는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컵 캐리어는 하면부(100), 측면부(200) 및 손잡이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하부, 측부 등의 방향은 본 발명의 컵 캐리어가 정상적인 상태로 사용될 경우 지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으로 기준을 잡고 정한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도 도면의 아래 방향이 하방인 것을 기준으로 하여 도시하였다.
하면부(100)는 컵 캐리어가 사용되기 위해서 손잡이부(300)가 결합된 경우에 바닥면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하면부(100)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면부(100)에는 컵을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10)이 형성된다. 삽입홀(110)은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삽입홀(110)이 2개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삽입홀(110)은 컵이 거치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홀(11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삽입홀(110)은 컵이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컵의 하부 부분은 삽입홀(110)의 아래 부분에 위치하고, 상부 부분은 삽입홀(110)의 위 부분에 위치하여 삽입홀(110)에 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컵은 하단 부분이 상대적으로 좁고, 상단 부분이 상대적으로 넓은 거꾸로 된 원뿔대 형태로 형성되거나 삽입홀(110)에 거치되기 위한 별도의 거치부를 마련한 형태일 수 있다.
삽입홀(11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컵(예를 들어, 커피 용 일회용 컵)가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삽입홀(110)은 70mm 내지 90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홀(110)이 복수개가 형성되는 경우,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삽입홀(110)에 거치되는 컵은 상단 부분이 점차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인접한 삽입홀(110)이 충분히 이격되지 않는 경우 컵이 거치되었을 때 컵 상단끼리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측면부(200)는 하면부(100)에서 연장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측면부(200)는 하면부(100)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105)에서 연장될 수 있다. 측면부(200)는 하면부(100)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 측면부(201) 및 하면부(100)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2 측면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부(201)와 제2 측면부(202)는 하면부(100)의 각각의 끝단(105)에서 동일하거나 비슷한 길이로 연장된다. 따라서 측면부(200)의 상단 부분에서 각각 연장된 손잡이부(300)가 서로 맞닿게 된다. 손잡이부(300) 및 이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측면부(200)와 하면부(100) 사이에는 접힘 가이드선(105)이 형성될 수 있다. 접힘 가이드선(105)은 판지재를 접기 위해 외력을 가했을 때 미리 정해진 라인을 따라 접히도록 가압 라인 등을 형성한 것이다. 제1 측면부(201) 및 제2 측면부(202)는 하면부(100)에서 서로 마주보게 접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L1은 하면부(100)의 가로 길이이고, 중심선은 제1 중심선(C1) 및 제2 중심선(C2)을 포함한다. 여기서, 중심선은 측면부(200)에 실제로 표시되어 있는 선이 아니라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 절취선(405a)과 하부 절취선(405b)을 구분하기 위한 가상의 선에 해당한다.
제2 측면부(202)의 가로 길이(L2)를 살펴보면, 제1 중심선(C1)은 제2 측면부(202)을 좌우로 양분하며, 이때 제2 측면부(202)의 가로 길이(L2)는 제1 중심선(C1)의 좌측에 위치한 가로 길이(A)와 제1 중심선(C1)의 우측에 위치한 가로 길이(B)의 합이다.
제1 측면부(201)의 가로 길이(L3)를 살펴보면, 제2 중심선(C2)은 제1 측면부(201)을 좌우로 양분하며, 이때 제1 측면부(201)의 가로 길이(L3)는 제2 중심선(C2)의 좌측에 위치한 가로 길이(C)와 제2 중심선(C2)의 우측에 위치한 가로 길이(D)의 합이다.
또한, A, B, C, D의 각각의 길이는 서로 같을 수 있다.
측면부(200)에는 전개도부(400)가 포함된다. 전개도부(4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손잡이부(300)는 제1 측면부(201) 및 제2 측면부(202)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된다. 제1 측면부(201)에서 연장되는 손잡이부(300)를 제1 손잡이부(301)로 지칭하고, 제2 측면부(202)에서 연장되는 손잡이부(300)를 제2 손잡이부(302)로 지칭하도록 한다.
제1 손잡이부(301) 및 제2 손잡이부(302)는 측면부(200)가 하면부(100)에서 접히게 되면 서로 맞닿게 된다. 제1 손잡이부(301) 및 제2 손잡이부(302)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는 구멍형태의 결합공(310)과 결합공(310)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편(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잡이부(301) 및 제2 손잡이부(302)는 서로 맞닿아 대응되는 결합공(310)을 포함하고, 제1 손잡이부(301)에 2개의 결합공(310)을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는 결합편(32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310)은 결합된 이후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어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구멍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에 따른 컵 캐리어의 제1 측면부(201)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에 따른 컵 캐리어의 제2 측면부(202)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측면부(200)는 전개도부(400)를 포함한다. 전개도부(400)는 측면부(200)에 절취선(405)으로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된다.
전개도부(400)는 측면부(200)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개도부(400)는 제1 측면부(201)와 제2 측면부(202)에 각각 나누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전개도부(400)는 모두 6개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6개의 전개도부(400) 중 하나는 제1 측면부(201)에 형성되어 있고, 다른 5개는 제2 측면부(202)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측면부(201)에 형성된 전개도부는 제1 전개도부(401)라고 지칭하고, 제2 측면부(202)에 형성된 전개도부는 제2 전개도부(402)라고 지칭하도록 한다.
전개도부(400)는 측면부(20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전개도부(400)는 측면부(200)의 상하단 및 양측단과는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전개도부(400)는 하면부(100)와 측면부(200) 사이의 접힘 가이드선(431)과 손잡이부(30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하나의 측면부(200)에 복수의 전개도부(400)가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전개도부(400)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개도부(400)가 측면부(200)에서 분리된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컵을 거치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제1 측면부(201)에 형성된 절취선(405)은 상부 절취선(405a)과 하부 절취선(405b)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 절취선(405a)과 하부 절취선(405b)은 제1 측면부(201)에 형성된 제1 중심선(C1)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절취선(405a)은 제1 측면부(201)에서 하면부(100)보다 손잡이부(300)와 더 인접한 절취선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절취선(405a)은 접힘 가이드선(105)과 평행하면서 제1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손잡이부(300)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다.
하부 절취선(405b)은 손잡이부(300)보다 하면부(100)와 더 인접한 절취선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 절취선(405b)은 하면부(100)와 측면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접힘 가이드선(105)과 평행하면서 측면부(200)를 각각 양분하는 제1 중심선(C1)을 기준으로 하면부(100)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6을 참조하면, 제2 측면부(202)에 형성된 절취선(405)은 상부 절취선(405a)과 하부 절취선(405b)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 절취선(405a)과 하부 절취선(405b)은 제2 측면부(201)에 형성된 제2 중심선(C2)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측면부(202)에서 상부 절취선(405a)과 하부 절취선(405b)의 구분 기준은 상술한 제1 측면부(201)에서 상부 절취선(405a)과 하부 절취선(405b)의 구분 기준과 동일하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절취선(405)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제1 측면부(201)에 형성된 절취선(405) 중 상부 절취선(405a)의 일부를 확대(S1영역)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제1 측면부(201)에 형성된 절취선(405) 중 하부 절취선(405b)의 일부를 확대(S2영역)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절취선(405)은 점선 또는 쇄선 형태의 칼선으로 형성된 선이다. 구체적으로, 절취선(405)은 측면부(200)와 전개도부(400)가 연결되어 있는 접합부(P) 및 측면부(200)와 전개도부(400)가 분리되어 있는 절취부(T)를 포함한다. 절취선(405)에서 접합부(P)와 절취선(T)는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절취선(405)에 약간의 외력이 가해지면 접합부(P)가 찢어지면서 전개도부(400)가 절취선(405)을 따라 주변의 측면부(200)에서 분리되게 된다.
본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 절취선(405a)이 포함하는 접합부는 P1으로 표시하고, 절취부는 T1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 절취선(405b)이 포함하는 접합부는 P2로 표시하고, 절취부는 T2로 표시하도록 한다.
도 7과 도 8을 서로 비교하여 참조하면, 상부 절취선(405a)의 접합부(P1)보다 하부 절취선(405b)의 접합부(P2)가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하부 절취선(405b)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2)의 개수는 상부 절취선(405a)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1)의 개수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부 절취선(405b)의 해당 부분은 상부 절취선(405a)의 해당 부분보다 더욱 큰 외력이 가해져야 절취선(405)이 모두 절취되어 전개도부(400)가 측면부(2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참조하여 설명한 도 7 및 도 8에는 제1 측면부(201)에 형성된 절취선(405)만 도시되어 있으나, 제2 측면부(202)에 형성된 절취선(405)도 이와 동일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하부 절취선(405b)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2)의 개수는 상부 절취선(405a)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1)의 개수보다 더 많게 형성된 것은 하나의 측면부(200)에 형성된 절취선(405)의 전체에 해당하는 특징이다.
도 5 및 도 6에는 측면부(200)의 전체가 도시되어 있어 절취선(405)의 세부적인 구성까지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절취선(405)에 있어서 하부 절취선(405b)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2)의 개수는 상부 절취선(405a)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1)의 개수보다 더 많게 형성된다.
특히, 하부 절취선(405b)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2)의 개수는 상부 절취선(405a)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1)의 개수의 1.01배 내지 1.3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측면부(201)에 형성된 절취선(405)에 있어서, 상부 절취선(405a)의 길이와 하부 절취선(405b)의 길이는 동일하다. 이러한 경우, 상부 절취선(405a)에는 총 30개의 접합부(P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절취선(405a)에는 총 36개의 접합부(P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부 절취선(405b)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2)의 개수는 상부 절취선(405a)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1)의 개수의 1.2배에 해당하게 된다.
도 6을 예를 들어 추가로 설명하면, 제2 측면부(202)에 형성된 절취선(405)에 있어서, 상부 절취선(405a)의 길이는 12이고 하부 절취선(405b)의 길이는 8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부 절취선(405a)에는 총 24개의 접합부(P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절취선(405a)에는 총 20개의 접합부(P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상부 절취선(405a)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1)의 개수가 2개이고, 하부 절취선(405b)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2)의 개수가 2.5개인 것이다. 이러한 경우, 하부 절취선(405b)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2)의 개수는 상부 절취선(405a)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1)의 개수의 1.25배에 해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 절취선(405b)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2)의 개수는 상부 절취선(405a)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1)의 개수보다 더 많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접힘 가이드선(105)을 따라 제1 측면부(201) 및 제2 측면부(202)를 접을 경우, 사용자는 상부 절취선(405a)보다 접힘 가이드선(105)에 인접한 하부 절취선(405b) 부분에 더 큰 외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절취선(405a)보다 절취선(405b) 부분을 외력 더 잘 견디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하부 절취선(405b)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2)의 개수는 상부 절취선(405a)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1)의 개수보다 더 많게 형성하면, 상부 절취선(405a)보다 절취선(405b) 부분을 외력 더 잘 견디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물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컵 캐리어는 복수의 전개도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개도부(401) 및 제2 전개도부(402)는 각각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제1 전개도부(401)가 조립된 것을 제1 조립물(501)이라 지칭하고, 제2 전개도부(402) 중 어느 하나가 조립된 것을 제2 조립물(502)이라 지칭하도록 한다.
제1 조립물(501)과 제2 조립물(502)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조립물(501)은 결합홈(510)을 포함하고, 제2 조립물(502)을 결합돌기(5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510)은 내부로 연통되는 구멍 형태로 형성되고, 결합돌기(520)는 결합홈(51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돌기(520)는 마름모꼴로 형성되어 결합홈(510)에 한번 삽입된 이후에는 다시 쉽게 빠지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든 전개도부(400)의 조립물(500)은 결합되어 하나의 조형물로 형성될 수 있다. 조형물은 예를 들어, 사람 또는 동물 등의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전개도부(400)는 판지재의 내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고, 조립된 이후에 상기 이미지는 조립물의 외면을 이루게 된다. 조립물들이 하나의 조형물로 조립되면, 전체적으로 미리 정해진 이미지가 나오도록 이미지가 전개도부(400)에 미리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컵 캐리어에는 전개도부(400)의 조립 방법 및 결합 방법에 대한 설명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설명은 컵 캐리어 중 전개도부(400)가 아닌 다른 부분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컵 캐리어가 포함한 전개도부(400)를 이용하여 조형물을 제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컵 캐리어의 사용자는 사용한 후의 컵 캐리어를 새로운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전개도부(400)를 조립하여 조형물을 제작하는 것에 따른 유희를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형물을 친근감 있는 캐릭터 등으로 제작하여 마케팅 등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컵케리어를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11은 제1 측면부(201)에 형성된 절취선(405) 중 상부 절취선(405a)의 일부를 확대(S1영역)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제1 측면부(201)에 형성된 절취선(405) 중 하부 절취선(405b)의 일부를 확대(S2영역)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절취선(405)은 점선 또는 쇄선 형태의 칼선으로 형성된 선이다. 구체적으로, 절취선(405)은 측면부(200)와 전개도부(400)가 연결되어 있는 접합부(P) 및 측면부(200)와 전개도부(400)가 분리되어 있는 절취부(T)를 포함한다. 절취선(405)에서 접합부(P)와 절취선(T)는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절취선(405)에 약간의 외력이 가해지면 접합부(P)가 찢어지면서 전개도부(400)가 절취선(405)을 따라 주변의 측면부(200)에서 분리되게 된다.
본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 절취선(405a)이 포함하는 접합부는 P1으로 표시하고, 절취부는 T1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 절취선(405b)이 포함하는 접합부는 P2로 표시하고, 절취부는 T2로 표시하도록 한다.
도 11과 도 12를 서로 비교하여 참조하면, 상부 절취선(405a)의 접합부(P1)보다 하부 절취선(405b)의 접합부(P2)가 더 길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하부 절취선(405b)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2)의 길이(L2)는 상부 절취선(405a)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1)의 길이(L1)보다 더 길다.
이로 인해, 하부 절취선(405b)의 해당 부분은 상부 절취선(405a)의 해당 부분보다 더욱 큰 외력이 가해져야 절취선(405)이 모두 절취되어 전개도부(400)가 측면부(2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참조하여 설명한 도 11 및 도 12에는 제1 측면부(201)에 형성된 절취선(405)만 도시되어 있으나, 제2 측면부(202)에 형성된 절취선(405)도 이와 동일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하부 절취선(405b)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2)의 개수는 상부 절취선(405a)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1)의 개수보다 더 많게 형성된 것은 하나의 측면부(200)에 형성된 절취선(405)의 전체에 해당하는 특징이다.
이하,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에는 측면부(200)의 전체가 도시되어 있어 절취선(405)의 세부적인 구성까지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절취선(405)에 있어서 하부 절취선(405b)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2)의 길이는 상부 절취선(405a)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1)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특히, 하부 절취선(405b)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2)의 길이는 상부 절취선(405a)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1)의 길이의 1.01배 내지 1.3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측면부(201)에 형성된 절취선(405)에 있어서, 상부 절취선(405a)의 길이와 하부 절취선(405b)의 길이는 동일하다. 이러한 경우, 상부 절취선(405a)에는 4 길이단위의 접합부(P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절취선(405a)에는 총 5 길이단위의 접합부(P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부 절취선(405b)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2)의 길이는 상부 절취선(405a)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1)의 길이의 1.25배에 해당하게 된다.
도 6을 예를 들어 추가로 설명하면, 제2 측면부(202)에 형성된 절취선(405)에 있어서, 상부 절취선(405a)의 길이는 12이고 하부 절취선(405b)의 길이는 8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부 절취선(405a)에는 총 3 길이단위의 접합부(P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절취선(405a)에는 총 2.4 길이단위의 접합부(P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상부 절취선(405a)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1)의 길이가 0.25이고, 하부 절취선(405b)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2)의 길이가 0.3인 것이다. 이러한 경우, 하부 절취선(405b)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2)의 개수는 상부 절취선(405a)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P1)의 개수의 1.2배에 해당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하면부 105: 접힘 가이드선
110: 삽입홀
200: 측면부 201: 제1 측면부
202: 제2측면부
300: 손잡이부 301: 제1 손잡이부
302: 제2 손잡이부 310: 결합공
320: 결합편
400: 전개도부 401: 제1 전개도부
402: 제2 전개도부 405: 절취선
430: 전개도의 면들 431: 접힘 가이드선
440: 날개부 441: 접힘 가이드선
500: 조립물 완성품 501: 제1 조립물
502: 제2 조립물 510: 결합홈
520: 결합돌기
C1: 제1 중심선 C2: 제1 중심선
P: 접합부 T: 절취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컵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된 하면부;
    상기 하면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에서 연장되고, 절취선으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전개도부를 포함하는 2개의 측면부; 및
    상기 2개의 측면부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취선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측면부와 상기 전개도부가 연결되어 있는 접합부 및 상기 측면부와 상기 전개도부가 분리되어 있는 절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절취선은 상기 하면부와 인접한 하부 절취선과 상기 손잡이부와 인접한 상부 절취선으로 구분되고,
    상기 손잡이부보다 상기 하면부와 더 인접한 상기 하부 절취선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의 길이는 상기 하면부보다 상기 손잡이부와 더 인접한 상기 상부 절취선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컵 캐리어.
  5. 삭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절취선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의 길이는 상기 상부 절취선의 단위 길이당 접합부의 길이의 1.01배 내지 1.3배인 컵 캐리어.
KR1020180127402A 2018-10-24 2018-10-24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 KR102112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402A KR102112313B1 (ko) 2018-10-24 2018-10-24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402A KR102112313B1 (ko) 2018-10-24 2018-10-24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357A KR20200046357A (ko) 2020-05-07
KR102112313B1 true KR102112313B1 (ko) 2020-06-04

Family

ID=70733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402A KR102112313B1 (ko) 2018-10-24 2018-10-24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3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254B2 (ja) * 1995-09-29 2001-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
JP2016124598A (ja) * 2015-01-06 2016-07-11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紙製品入りカートン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254U (ja) * 2011-12-28 2012-03-08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包装容器
KR20180001133U (ko) * 2016-10-14 2018-04-24 손준 재활용 가능한 컵 캐리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254B2 (ja) * 1995-09-29 2001-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
JP2016124598A (ja) * 2015-01-06 2016-07-11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紙製品入りカート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357A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6804C2 (ru) Защитная муфта
EP0097022B1 (en) Selectable size folding sheet
CA2822386C (en) Foldable container sleeve
US20090114661A1 (en) Holder
US20170369202A1 (en) Stackable packaging unit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12313B1 (ko)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
KR101713017B1 (ko) 포장용 종이박스
KR102069687B1 (ko) 음료용기 캐리어
KR102112324B1 (ko) 컵 삽입부에 고정용 날개부가 형성된 컵 캐리어
KR102192339B1 (ko) 손잡이 형성 구조를 갖는 포장용 종이 박스
KR20180110563A (ko) 음료용기의 고정이 가능하며 재활용 가능한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
KR20190017106A (ko) 음료용기 캐리어
US7097039B2 (en) Single taco trap and holder
US10029839B2 (en) Article including a bottle of cosmetic product and a pack
KR20150103441A (ko) 컵 커버
CN210338615U (zh) 一种双开式包装盒
KR200491122Y1 (ko) 사용후 재활용 가능한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
US20020170950A1 (en) Self-locking gift boxes with decorative closure
KR20200046359A (ko) 음료용기의 고정이 가능하며 재활용 가능한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
JP2004050613A (ja) カード及び筒状体形成シート部材
KR20160000032U (ko) 종이판재로 제작되어 박스형태가 유지되는 치킨 포장용 쇼핑백
JP3094085U (ja) 衛生用紙入りカートン
JP7413679B2 (ja) ダミー体
KR200287233Y1 (ko) 분리 가능한 빨대 구조
KR20150042381A (ko) 컵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