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121B1 - 광조사 장치 - Google Patents

광조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121B1
KR102112121B1 KR1020177029349A KR20177029349A KR102112121B1 KR 102112121 B1 KR102112121 B1 KR 102112121B1 KR 1020177029349 A KR1020177029349 A KR 1020177029349A KR 20177029349 A KR20177029349 A KR 20177029349A KR 102112121 B1 KR102112121 B1 KR 102112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irradiation
light emitting
unit
irradi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9520A (ko
Inventor
타다시 시바시
토모유키 이토
Original Assignee
메트라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8995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8102326A/ja
Application filed by 메트라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메트라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39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61N5/0617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2019/0033Processes for treating the scalp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5Radiation, e.g. UV,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61N2005/0663Coloured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광조사 장치(100)에 있어서, 제1방향(P)으로 흐르는 공기흐름(42)을 송출하기 위한 송풍부(40)와, 피조사부(70)인 두피 또는 두발을 비추기 위한 광속(28)을 출력하는 발광부(10)를 구비하고 있다. 발광부(10)는 송풍부(40)의 제1방향(P)측에 마련된다. 발광부(10)에는 광속(28)이 투과하는 커버 부재(18)가 교환 가능하게 마련된다.

Description

광조사 장치
본 발명은, 두피 또는 두발을 비추기 위한 광을 발광하는 광조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얼굴의 피부에 소정 종류의 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피부 표면의 살균 등을 하는 헤어 드라이어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토출구로부터 온풍을 불어내는 헤어 드라이어이고, 청색광을 불어내는 방향을 향해 조사하는 광원을 구비한 헤어 드라이어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두피의 피하 조직의 혈액 순환 등을 활성화하여 육모나 발모를 촉진하기 위해, 두피 또는 두발(이하, 두피 등이라 한다)에 소정 종류의 광을 조사하는 기술이 검토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14-128524호 공보
하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헤어 드라이어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구비하고, 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본체 케이스 내의 송풍 통로에 수용한 히터에 의해 가열하여 토출구로부터 온풍으로서 불어내면서, 이온 발생 장치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이온을 포함한 공기를 불어내는 한편, 청색광을 불어내는 방향을 향해 조사하는 광원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헤어 드라이어는, 파장 465~470nm의 청색광을 LED로부터 조사하여, 모발중의 피부 상재균을 살균한다. 청색광을 불어내는 방향을 향해 조사하는 광원을 마련하고 있다. 청색광에는 세균의 증식을 삭감, 혹은 후퇴시키는 살균 효과가 있기 때문에, 청색광의 조사를 받은 머리카락에 있어서는 이온을 포함한 공기에 의해 보습되어도 피부 상재균이 번식하는 것을 억제한다.
한편, 두피의 피하 조직의 혈액 순환 등을 활성화하여 육모나 발모를 촉진하기 위해, 두피 또는 두발에 소정 종류의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 장치의 기술이 검토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에서는 피하 조직에 대한 영향에 우수한 적색광을 소정의 광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지견을 얻었다. 즉, 이와 같은 기술에서는 피부 표면의 살균용 광과 비교하여, 큰 광량의 광을 두피 등에 보내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헤어 드라이어에서는, 청색광의 LED 광원이 토출구에 인접한 본체 케이스의 단부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LED 광원으로부터 조사의 대상인 두피 등까지의 거리가, 토출구로부터 두피 등까지의 거리보다 길어진다. LED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길어지면 두피 등에 도착하는 광량이 감소하여, 충분한 효과를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LED 광원으로부터 두피 등까지의 거리가 길면, LED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확산하는 범위가 넓어져, 그 광이 눈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진다. LED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청색의 광이 눈에 들어가면, 이른바 블루라이트의 문제 등으로 인해 눈이 일정의 스트레스를 받는 경구가 있고, 이와 같은 스트레스에 의한 장기적인 영향은 충분히 검증되어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헤어 드라이어에서, 두피 등에 도착하는 광량을 늘리기 위해 LED 광원의 발광 강도를 크게 하면, 눈에 들어가는 광의 광량이 증가하게 된다. 즉, 종래의 광조사 장치에서는 두피 등에 도착하는 광량 늘리는 것과, 눈에 들어가는 광의 영향을 작게 하는 것은 이율배반의 관계에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피 등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 장치에 있어서, 눈에 들어가는 광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두피 등에 도착하는 광량을 늘릴 수 있는 광조사 장치의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장치는, 제1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흐름을 송출하기 위한 송풍부와, 피조사부인 두피 또는 두발을 비추기 위한 광속을 출력하는 발광부를 구비한다. 발광부는 송풍부의 제1 방향측에 마련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두피 등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발광부를 송풍부보다 앞에 마련했기 때문에, 더욱 두피 등에 접근하여 두피에 도착하는 광량의 비율이 늘어나고, 상대적으로 눈에 들어가는 광량의 비율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두피 등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 장치에 있어서, 눈에 들어가는 광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두피 등에 도착하는 광량을 늘릴 수 있는 광조사 장치의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장치의 커버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커버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커버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7은 커버 부재와 발광 소자의 주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장치의 후드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후드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장치의 복수의 발광 소자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복수의 발광 소자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3의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장치의 블록 배선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2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2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장치를 헤어 드라이어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있어서의 장착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있어서의 장착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내는 상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있어서의 장착부의 제2변형예를 나타내는 상세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2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장치의 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방향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횡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2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실장 기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광조사 장치를 미안 롤러에 장착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제4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장치를 미안 롤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바탕으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되는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적절히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의 부재의 치수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적절히 확대, 축소하여 도시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중요하지 않은 부재의 일부는 생략하여 표시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고, 도 2는 광조사 장치(100)의 정면도이고, 도 3은 광조사 장치(100)의 측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하, XYZ 직교 좌표계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방향 X는 수평한 좌우 방향에 대응되고, 방향 Y는 수평한 전후 방향에 대응되고, 방향 Z는 연직된 상하 방향에 대응된다. 방향 Y 및 방향 Z는 각각 방향 X에 직교한다. 방향 X는 좌방향 혹은 우방향으로, 방향 Y는 전방향 혹은 후방향으로, 방향 Z는 상방향 혹은 하방향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장치(10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방향(P)으로 흐르는 공기 흐름(42)을 송출하기 위한 송풍부(40)와, 피조사부(70)인 두피 또는 두발을 비추기 위한 광속(28)을 출력하는 발광부(10)를 구비하고 있고, 발광부(10)는 송풍부(40)의 제1 방향(P)측에 마련되어 있다.
두부에 광조사 장치(100)를 놓은 상태에서, 피조사부(70)에 광속(28)을 조사하고 있으면 피조사부(70)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이 상정된다. 또한, 사용중에 광조사 장치(100) 자체가 발열하는 것에 의해, 피조사부(70)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도 상정된다. 여기서,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송풍부(40)는 피조사부(70)를 향해 공기흐름(42)을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조사부(70)가 공기 흐름(42)을 받는 것에 의해 온도 상승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피조사부(70)가 가온하지 않은 시원한 바람을 받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긴장이 풀려 혈액 순환이 개선되는 것에 의해, 두피에 광속(28)을 받는 것과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커버 부재)
다음으로,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커버 부재(18)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커버 부재(18)의 정면도, 도 5는 그 측면도, 도 6은 그 배면도이다.
복수의 발광 소자(20)가 피조사부(70)인 두피나 두발에 직접 접촉하면, 복수의 발광 소자(20)에 피지 등의 이물이 부착되어 복수의 발광 소자(20)의 표면이 흐려지는 경우가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20)의 표면이 흐려지면 출력되는 광량이 감소하는 것이 상정된다. 이 때문에, 복수의 발광 소자(20)는 피조사부(70)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발광부(10)에는 광속(28)이 투과하는 커버 부재(18)가 교환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커버 부재(18)에 이물이 부착된 경우에는 분리하여 세정할 수 있다. 커버 부재(18)에는 용이하게 장착과 분리 가능한 체결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돌출부)
커버 부재의 앞측의 표면이 평탄한 경우에는, 커버 부재가 두발을 가압하여 밀집시키기 때문에, 광속은 두발에 닿는 비율이 증가하여 두피에 도착하는 비율이 작아지는 것이 상정된다. 여기서,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커버 부재(18)는 제1 방향(P)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19)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돌출부(19)는 두발의 사이에 헤치고 들어가, 돌출부(19)의 선단이 두피에 접근하기 때문에, 광속(28)이 효율적으로 두피에 도착하게 된다. 또한, 돌출부(19)의 선단이 두피에 닿는 것에 의해, 두피에 적절한 자극을 가하여, 혈액 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대형화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발광부는 전후 방향의 치수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18)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요부(19b)가 마련되어 있다. 요부(19b)에, 예를 들면 발광 소자(20)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것에 의해, 발광부(10)의 전후 방향의 치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요부(19b)는 돌출부(19)에 대응하여 마련되어도 좋다.
광속(28)에 포함되는 유해한 자외선광은 가능한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커버 부재(18)는 자외선광을 감쇠시키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커버 부재(18)를 투과한 광속(28)에 포함되는 자외선광이 적기 때문에 사용자는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두부는 거의 원형이기 때문에 피조사부는 만곡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커버 부재의 형상은, 피조사부의 만곡 형상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18)는, 제1방향(P)인 전후 방향에서 송풍부(40)측으로 후퇴해 있는 후퇴 영역(18a)과, 후퇴 영역(18a)보다 제1방향(P)에서 전방으로 전진해 있는 전진 영역(18b)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커버 부재(18)의 후퇴 영역(18a)과 전진 영역(18b)을, 피조사부(70)의 만곡 형상(C)에 대응하여 배치할 수 있다.
(후드 부재)
다음으로, 도 8, 9를 참조하여, 후드 부재(15)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후드 부재(15)의 정면도, 도 9는 그 측면도이다.
광속(28)의 일부가 외측으로 새면, 그 샌 광이 눈에 들어가는 것이 상정된다. 여기서,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발광부(10)에, 제1방향(P)측에서 광속(28)을 둘러싸는 후드 부재(15)가 마련되어 있다. 후드 부재(15)를 마련한 것에 의해 외측으로 새는 광량을 줄일 수 있다. 한편, 후드 부재(15)를 피조사부(70)에 접촉 가능하게 마련하는 것에 의해, 외측으로 새는 광량을 더욱 줄일 수 있다. 후드 부재(15)는 커버 부재(18)의 돌출부(19)보다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도 좋다. 후드 부재(15)에는, 커버 부재(18)의 후퇴 영역(18a)에 대응되는 후퇴 영역(15a)과, 전진 영역(18b)에 대응되는 전진 영역(15b)이 마련된다. 전진 영역(15b)은 후퇴 영역(15a)보다 제1 방향(P)에서 전방으로 전진해 있다.
다음으로, 도 10, 11을 참조하여, 복수의 발광 소자(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기판(13)에 장착된 상태의 복수의 발광 소자(20)의 정면도, 도 11은 그 측면도이다.
사용자의 편의 관점에서, 광조사 장치는 넓은 범위에 광속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부(10)는, 복수의 발광 소자(20)를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20)로서는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LD(diode laser)를 사용할 수 있다.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발광 소자(20)가 공기흐름(4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복수의 발광 소자(20)는, 공기흐름(42)을 둘러싸도록 원형상, 타원 형상 또는 다각 형상으로 배치되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부는 거의 원형이기 때문에 피조사부는 만곡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각각의 발광 소자의 위치는, 피조사부의 만곡 형상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발광 소자(20)는, 제1 방향(P)인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1방향(P)에서 송풍부측으로 후퇴해 있는 발광 소자(20a)와, 후퇴해 있는 발광 소자(20a)보다 제1 방향에서 전진해 있는 발광 소자(20b)를 포함하고 있다. 즉,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발광 소자(20)의 각각에 대해, 두부의 만곡 형상(C)을 따르도록, 전후 방향의 위치를 변화시켜 배치되어 있다.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일례로서, 방향 Z(상하 방향)를 따라, 그 중앙 근방의 발광 소자(21)는 그 양측(상측 및 하측)의 발광 소자(22)보다, 제1 방향(P)인 전후 방향에서 후측으로 후퇴하여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20)의 각각의 두부 표면으로부터의 거리의 차이가 작아져, 광속(28)을 효과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피조사부 내에서 받는 광량은, 피조사부 내의 각각의 부위에서의 편차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발광 소자(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방향(P)인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로 마련되어 있다. 즉,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발광 소자(20)의 적어도 일부가 전후 방향에 대해 광축이 기울도록 마련되어 있다.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일례로서, 복수의 발광 소자(20)는, 그 광축이 전방에서 교차하도록 내측으로 기울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20)는, 그 광축이 전방에서 벌어지도록 외측으로 기울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경사의 방향은 발광 소자의 지향성에 대응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사는, 예를 들면 3도에서 30도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발광 소자(20)의 광축은 전후 방향에 대해 3도 내측으로 경사로 마련되어 있다.
큰 광량의 광속을 출력하는 경우에, 발광부의 발광 소자나 그 주변의 전자 부품의 온도 상승이 염려된다. 이들의 부품은 사용 온도가 높아지면 발광 소자나 전자 부품의 수명이 짧아지기 때문에, 발광 소자나 그 주변의 전자 부품은 냉각되면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발광 소자(20)의 적어도 일부는 공기흐름(42)이 통과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즉, 송출구(114)에서 전방으로 연장한 범위에 복수의 발광 소자(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발광 소자(20)에는 송출구(114)로부터 송출된 공기흐름(42)에 의해 냉각되어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부(10)는, 복수의 발광 소자(20) 중의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부품(14)의 적어도 일부가 공기흐름(42)이 통과하는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전자 부품(14)의 적어도 일부는, 공기흐름(42)에 의해 방열이 촉진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전자 부품(14)에는 공기흐름(42)이 닿기 때문에, 전자 부품(14)은 냉각되어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발광부(10)가 출력하는 광속(28)이 눈에 들어갈 가능성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부(10)가 피조사부(70)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으로 떨어지면, 발광부(10)에 공급하는 전류를 차단 또는 줄이도록 구성되는 전류 제한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즉,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발광부(10)가 피조사부(70)에 접근해 있는 상태에서, 발광부(10)는 통전되어 광속(28)을 출력하고, 피조사부(70)로부터 멀어지면 실질적으로 통전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류 제한부(32)는, 예를 들면, 발광부(10)로부터의 거리를 검출하여, 그 검출한 거리에 따라 발광부(10)에 대한 통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전류 제한부(32)는, 발광부(10)가 피조사부(70) 또는 그 주변에 접촉한 경우에 발광부(10)에 통전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발광부(10)가 두부로부터 멀어지면 자동적으로 광속(28)의 출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광속(28)이 눈에 들어갈 가능성을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도 1, 2에서는 전류 제한부(32)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시그널 출력부)
광조사 장치는, 예를 들면 두부를 복수의 피조사부로 나누고, 각각의 피조사부마다 소정의 시간씩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사용성의 관점에서, 각각의 피조사부에 대한 사용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초에서 30초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5초에서 20초의 범위로 할 수 있다. 각각의 피조사부에 대한 사용 시간은, 광조사 장치의 광속이 큰 경우에는 짧고, 작은 경우에는 길어진다. 이와 같은 사용 시간에 대해 시그널이 출력되면 사용자에게 편리하다. 여기서,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타이밍으로 사용자가 지각할 수 있는 시그널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시그널 출력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일례로서, 시그널 출력부는,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0초)마다 시그널인 비프음(34e)을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사용자는 시그널의 타이밍으로 사용 위치를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그널로서는 사용자가 지각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제한은 없다. 한편,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도 1, 2에서는 시그널 출력부(34)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각각의 피조사부에 대한 사용 시간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시그널 출력부(34)는, 발광부(10)에 대한 전류의 공급 시작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타이밍으로, 음, 진동 및 광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한 시그널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례로서, 시그널 출력부(34)는, 발광부(10)에 대한 전류의 공급 시작으로부터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5초) 경과한 타이밍으로 시그널인 비프음(34e)을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사용자는 비프음(34e)의 타이밍으로 사용 위치를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피조사부에 대한 사용 시간이 일정해지기 쉬워진다.
광조사 장치는, 여러 개의 블록으로 분리할 수 있으면 수납이 콤팩트해져 휴대폰에 편리하다. 한편, 광조사 장치는 발광부와 송풍부 중의 어느 하나에 급전하는 것만으로, 다른 하나에도 급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발광부(10)는, 송풍부(40)에 대해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송풍부(40)는, 발광부(1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1접점부(36)를 구비하고, 발광부(10)는, 송풍부(4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접점부(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접점부(38)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광조사 장치(100)는 발광부(10)와 송풍부(40)로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다. 또한, 광조사 장치(100)는, 발광부(10)를 송풍부(40)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송풍부(40)측에 급전하는 것만으로 제1접점부(36)와 제2접점부(38)를 통해 발광부(10)에도 급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광조사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송풍부)
송풍부(4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10)와, 그립부(108)와, 흡입구(116)와, 송출구(114)와, 임펠러(43)와, 모터(41)와, 히터(44)와, 제어부(50)와, 스위치부(52)와, 배선 통로부(118)와, 제1접점부(36)와, 전원부(124)와, 제1체결부(82)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그 내부에 송풍부(40)의 주요한 구성 요소를 수용하여 유지하기 위한 하우징이다. 케이스(110)는, 중공의 거의 원통 형상의 부재이고, 수지 재료로 몰드 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그립부(108)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기 위한 부분으로서, 케이스(110)의 후부쪽의 외주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된다. 그립부(108)는, 케이스(110)에 대해, 접어 구부릴 수 있도록 하는 힌지 수단을 통해 접속되어도 좋다.
흡입구(116)는, 송풍하기 위한 공기를 분위기 공간으로부터 케이스(110) 내에 도입하기 위한 개구이고, 예를 들면 케이스(110)의 후방측에 마련된다. 흡입구(116)에는 이물의 침입을 억제하는 메쉬 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도 좋다. 송출구(114)는, 공기흐름(42)을 송출하기 위한 개구이고, 케이스(110)의 전방측에 마련된다. 송출구(114)에는 이물의 침입을 억제하는 메쉬 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도 좋다.
임펠러(43)는, 회전하는 것에 의해 후방의 공기를 전방으로 밀어내기 위한 날개 부재이고, 예를 들면 수지 재료로 몰드 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임펠러(43)는, 케이스(110) 내에 흡입구(116)의 전방측에 마련된다. 모터(41)는, 임펠러(43)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이고, 제어부(50)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회전한다. 모터(41)는 케이스(110) 내의 임펠러(43)의 전방측에 마련되고, 모터(41)의 회전축(미도시)이 임펠러(43)의 중심부에 고정된다.
히터(44)는, 임펠러(43)에 의해 밀려나온 공기흐름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 히터이고, 제어부(50)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발열한다. 히터(44)는, 케이스(110)의 모터(41)의 전방측에 마련된다. 제어부(50)는, 전원부(124)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스위치부(52)의 상태에 따라, 모터(41)와 히터(44)와 발광부(10)의 각각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50)는, 예를 들면 그립부(108) 내에 수용되어 고정되어 있다. 제어부(50)는, 케이스(110) 내에 수용되어도 좋다. 피조사부(70)에 대한 과도한 조사를 제한하는 관점에서, 발광부(10)의 조사 광량을 제한하는 수단을 마련해도 좋다. 일례로서, 제어부(50)는, 발광부(10)에 대한 공급 전류와 공급 시간을 파라미터로 하여 소정의 연산에 의해 취득한 값을 바탕으로 발광부(10)에 대한 급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스위치부(52)는 광조사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부재이다. 스위치부(52)에는, 기계 접점을 갖는 기계식 스위치나, 손가락의 접촉을 검출하여 전자적으로 전환하는 전자식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52)는, 그립부(108)의 전방측의 개구(108a)에 돌출부(52a)가 돌출하도록, 그립부(108)에 장착된다. 스위치부(52)는, 돌출부(52a)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모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전체 오프 상태에서, 첫번째의 가압에 의해 모터(41)에 전류를 공급하여 송풍을 시작하고, 두번째의 가압에 의해 발광부(10)에 전류를 공급하여 발광을 시작하고, 세번째의 가압에 의해 발광부(10)의 전류를 오프로 하고 히터(44)에 전류를 공급하여 가열을 시작하고, 네번째의 가압에 의해 전체 오프 상태로 할 수 있다. 스위치부(52)는, 복수의 전기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52)는, 발광부(10)에 대한 급전을 시작 또는 정지하기 위한 발광 제어 스위치를 포함해도 좋고, 이 발광 제어 스위치는 광조사 장치(100)의 자세에 따라 급전을 시작 또는 정지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발광 제어 스위치는, 일례로서, 광조사 장치(100)가 소정의 자세(예를 들면, 발광부(10)가 두부를 향한 자세)에 있어서, 발광부(10)에 급전을 시작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제1접점부(36)는, 제2접점부(38)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접점을 구비하고 있고, 전기 케이블(126)에 의해 제어부(50)의 출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접점부(36)는, 예를 들면 제1체결부(82)의 외주부에 마련되어 있다. 배선 통로부(118)는, 제어부(50)로부터 발광부(10)에 연결되는 전기 케이블(126)을 히터(44)의 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통로이다. 특히, 배선 통로부(118)는, 제어부(50)로부터 제1접점부(36)를 연결하는 전기 케이블(126)을 수용하기 위해, 케이스(110)의 하방에 마련된다.
전원부(124)는, 전원 케이블(미도시)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제어부(50)로 보내기 위한 전기 회로이고, 그립부(108)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전원부(124)는, 정류 회로나 평활 회로가 포함되어도 좋다.
도 12는 제1체결부(82)와 후술하는 제2체결부(84)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1체결부(82)는, 송풍부(40)에 발광부(10)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탈착 기구이다. 제1체결부(82)는, 케이스(110)의 전방에 마련되는 감합 외주면(82a)과, 감합 외주면(82a)에 마련된 클로부(82b)를 구비한다. 감합 외주면(82a)은, 예를 들면 그 후방측의 영역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된다. 클로부(82b)는 감합 외주면(82a)에 1개 또는 복수개(예를 들면 2개) 마련되어도 좋다. 감합 외주면(82a)은 제2체결부(84)의 감합 내주면(84a)에 감합되도록 구성된다. 클로부(82b)는 제2체결부(84)의 단차부(84b)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발광부)
발광부(1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30)과, 통기구(86)와, 커버 부재(18)와, 후드 부재(15)와, 기판(13)과, 전자 부품(14)과, 복수의 발광 소자(20)와, 제2접점부(38)와, 제2체결부(84)를 포함한다.
하우징(30)은, 그 내부에 발광부(10)의 주요한 구성 요소를 수용하여 유지하기 위한 중공의 거의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하우징(30)은, 예를 들면 수지 재료로 몰드 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통기구(86)는, 하우징(3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개구이고, 하우징(30)의 외주부에 1개 또는 복수개(예를 들면 4개) 형성된다. 통기구(86)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30)의 내부 공기의 환기를 촉진시키고, 피조사부(7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커버 부재(18)는, 도 5~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방향 X)에 대해 수직으로 마련되는 거의 원반 형상의 부재이고, 내주부(18j)와 외주부(18k)를 구비한다. 커버 부재(18)는, 예를 들면 광의 투과성이 양호한 수지 재료로 몰드 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커버 부재(18)의 전방측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하는 복수(예를 들면 24개)의 돌출부(19)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19)는 원통의 선단에 반구를 결합한 바와 같은 포탄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18)의 후방측에는 전방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복수(예를 들면 24개)의 요부(19b)가 마련되어 있다. 요부(19b)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20)의 선단부가 수용된다. 요부(19b)는 돌출부(19)에 대응되고 있다.
후드 부재(15)는, 도 8,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방향 X)으로 연장되어 있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부재이고, 내주부(15j)와 외주부(15k)를 구비한다. 후드 부재(15)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로 몰드 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후드 부재(15)는,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로 형성되어도 좋다. 후드 부재(15)의 내면에는 반사면이 형성되어도 좋다. 후드 부재(15)는 커버 부재(18)와 일체화한 상태로 발광부(10)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도 좋다.
기판(13)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마련되는 거의 원판 형상의 인쇄 회로 기판이고, 내주부(13j)와 외주부(13k)를 구비한다. 기판(13)은, 외주부(13k)가 하우징(30)의 단차부에 나사 체결이나 접착에 의해 고정된다. 전자 부품(14)은, 복수의 발광 소자(20)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저항이나 전압을 평활하는 콘덴서 등을 포함해도 좋다. 전자 부품(14)은, 예를 들면 기판(13)의 전면부나 후면부에 솔더링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20)는, 도 10,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13)의 전면측에, 둘레 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예를 들면 24개)의 LED(20m)를 포함하고 있다. LED(20m)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실시예의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파장이 620~670nm(적색)인 LED를 선택하고 있다. 예를 들면 638nm의 적색광을 1㎠당 1J에서 1.5J의 광량으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 피하 조직의 활성화에 효과가 있다는 지견을 얻었다.
제2접점부(38)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접점부(3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접점을 구비하고 있고, 전기 케이블(128)에 의해 복수의 발광 소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접점부(38)는, 예를 들면 제2체결부(84)의 내주부에 마련되어 있다. 송풍부(40)에 발광부(10)를 장착한 상태에서, 제2접점부(38)의 2개의 접점이 제1접점부(36)의 2개의 접점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체결부(84)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풍부(40)에 발광부(10)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탈착 기구이다. 제2체결부(84)는, 하우징(30)의 후방에 마련되는 감합 내주면(84a)과, 감합 내주면(84a)에 형성된 단차부(84b)를 구비한다. 단차부(84b)는 감합 내주면(84a)에 1개 또는 복수개(예를 들면 2개) 마련되어도 좋다. 감합 내주면(84a)은, 제1체결부(82)의 감합 외주면(82a)에 감합되도록 구성된다. 단차부(84b)는 제1체결부(82)의 클로부(82b)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전류 제한부)
전류 제한부(32)는, 발광부(10)가 피조사부(70)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으로 떨어지면, 발광부(10)에 공급하는 전류를 차단 또는 줄이도록 구성된다. 전류 제한부(32)는, 센서부(32a)를 포함하고, 센서부(32a)의 상태에 따라 발광부(10)에 공급하는 전류를 차단 또는 줄이도록 구성된다. 센서부(32a)에는, 기계적인 접촉에 대응하여 출력 상태가 변화하는 리밋 스위치나, 광이나 음파를 이용한 거리 센서를 채용할 수 있다. 실시예의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부(32a)가 하우징(30)의 외주부에 장착되어 있다. 센서부(32a)는, 전방측에 앞으로 돌출되어 있는 선단부(32e)를 구비하고 있고, 선단부(32e)가 피조사부(70)에 접하여 가압되면 온이 되는 리밋 스위치(32b)를 내장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밋 스위치(32b)는 발광부(10)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비사용시는 오프이고, 선단부(32e)가 피조사부(70)에 접하면 온이 되어 발광부(10)에 통전한다. 선단부(32e)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통전과 비통전의 전환 거리를 원하는 거리로 설정할 수 있다.
(시그널 출력부)
시그널 출력부(34)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음, 진동 및 광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한 시그널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시그널 출력부(34)는, 발광부(10) 또는 송풍부(40)에 마련된다.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그널 출력부(34)는 하우징(30)의 외주부에 마련되어 있다. 실시예의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시그널 출력부(34)는, 발광부(10)에 대한 전류의 공급 시작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타이밍으로 시그널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시그널 출력부(34)는, 도 13의 블록 배선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부(10)에 대한 통전 시작후에 설정한 설정 시간을 경과하면 출력 상태가 오프에서 온으로 변화하는 타이머 수단(34a)과, 타이머 수단(34a)의 출력 상태가 온일 때 비프음(34e)을 발생시키는 부저 수단(34b)을 포함하고 있다. 타이머 수단(34a)은 발광부(10)가 통전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활성화되고, 시간의 카운트를 시작한다. 타이머 수단(34a)은 소정의 시간 카운트가 경과하면 부저 수단(34b)에 통전하여 비프음(34e)을 발생시킨다. 발광부(10)가 비통전 상태가 되면 타이머 수단(34a)은 리셋되고, 부저 수단(34b)은 중지한다. 또한, 발광부(10)가 통전 상태가 되면, 타이머 수단(34a)은 활성화되고, 시그널 출력부(34)는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광조사 장치(100)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1) 제1의 사용 형태
제1의 사용 형태는, 송풍부(40)는 비가동 상태로 하여, 발광부(10)의 발광 기능만을 사용한다. 이 모드를 제1모드로 표기한다. 우선, 스위치부(52)를 조작하여, 광조사 장치(100)를 제1모드로 전환한다. 이 상태에서는, 전류 제한부(32)가 작동하고 있어, 발광부(10)는 비발광 상태에 있다. 발광부(10)를 두부에 접근시켜 선단부(32e)가 피조사부(70)에 접하면, 발광부(10)는 통전되어 발광을 시작하여 피조사부(70)에 광속(28)을 조사한다. 이와 동시에 타이머 수단(34a)이 기동하여, 예를 들면 설정한 10초가 경과하면 부저 수단(34b)으로부터 비프음(34e)을 발생시킨다. 사용자는, 비프음(34e)에 따라, 발광부(10)를 일단 두부로부터 떼어 놓는다. 이 상태에서 발광 및 비프음(34e)은 정지한다. 사용자가, 발광부(10)를 두부의 다른 위치의 피조사부(70)에 접근시켜 놓는 것에 의해 선단부(32e)가 피조사부(70)에 접하면, 상기와 동일한 동작을 반복한다. 이들의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두부의 원하는 범위에 광속(28)을 받을 수 있다.
(2) 제2의 사용 형태
제2의 사용 형태는, 송풍부(40)를 비가열의 시원한 바람을 송풍하는 상태로 하여, 발광부(10)의 발광 기능과 함께 사용한다. 이 모드를 제2모드로 표기한다. 우선, 스위치부(52)를 조작하여, 광조사 장치(100)를 제2모드로 전환한다. 이 상태에서는, 송풍부(40)가 송출한 비가열의 공기흐름(42)이 발광부(10)의 중공부(16)를 통과하여 출구부(16b)로부터 토출되고 있다. 발광부(10)를 두부에 접근시키면, 두부에는 공기흐름(42)이 닿는다. 또한, 발광부(10)를 두부에 접근시켜 선단부(32e)가 피조사부(70)에 접하면, 발광부(10)는 통전되어 발광을 시작하여 피조사부(70)에 광속(28)을 조사한다. 즉, 이 상태에서는 피조사부(70)에는 비가열의 공기흐름(42)과 광속(28)이 동시에 닿는다. 제1의 사용 모드와 동일하게, 시그널 출력부(34)가 가동되는 것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으로 비프음(34e)이 발생한다. 사용자는, 비프음(34e)에 따라, 사용자가, 발광부(10)를 두부의 다른 위치의 피조사부(70)에 놓는 것에 의해 상기와 동일한 동작을 반복한다. 이들의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두부의 원하는 범위에 비가열의 공기흐름(42)과 광속(28)을 동시에 받을 수 있다.
(3) 제3의 사용 형태
제3의 사용 형태는, 송풍부(40)를 가온한 온풍을 송풍하는 상태로 하여, 발광부(10)의 발광 기능과 함께 사용한다. 이 모드를 제3모드로 표기한다. 우선, 스위치부(52)를 조작하여, 광조사 장치(100)를 제3모드로 전환한다. 이 상태에서는, 송풍부(40)가 송출한 가온한 공기흐름(42)이 발광부(10)의 중공부(16)를 통과하여 출구부(16b)로부터 토출되고 있다. 이하의 동작은 제2의 사용 형태와 동일하고, 이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두부의 원하는 범위에 가온한 공기흐름(42)과 광속(28)을 동시에 받을 수 있다.
(4) 제4의 사용 형태
제4의 사용 형태는, 발광부(10)는 비가동 상태로 하여, 송풍부(40)의 송풍 기능만을 사용한다. 이 경우, 발광부(10)는 송풍부(40)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사용해도 좋고, 장착한 상태로 사용해도 좋다. 이하는, 장착한 상태로 사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이 모드를 제4모드로 표기한다. 우선, 스위치부(52)를 조작하여, 광조사 장치(100)를 제4모드로 전환한다. 이 상태에서는, 송풍부(40)가 송출한 비가열 또는 가온한 공기흐름(42)이 발광부(10)의 중공부(16)를 통과하여 출구부(16b)로부터 토출된다. 제4의 사용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는, 두부의 원하는 범위에 비가열 또는 가온한 공기흐름(42)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제4의 사용 형태에서는 시그널 출력부(34)는 사용해도 좋고,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광조사 장치(100)는, 발광부(10)의 제1방향(P)측인 전방측의 적어도 일부를 두부에 접촉한 상태로 사용해도 좋다. 특히, 상기 제1~제3의 사용 형태에 있어서, 광조사 장치(100)의 일부를 두부에 접촉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하는 것에 의해, 외측으로 새는 광량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광조사 장치(100)의 특징을 설명한다.
광조사 장치(100)는, 제1방향(P)으로 흐르는 공기흐름(42)을 송출하기 위한 송풍부(40)와, 피조사부(70)인 두피 또는 두발을 비추기 위한 광속(28)을 출력하는 발광부(10)를 구비하고 있고, 발광부(10)는 송풍부(40)의 제1방향(P)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피조사부(70)는 광조사 장치(100)로부터 광속(28)을 받을 수 있다.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송풍부(40)는 피조사부(70)를 향해 공기흐름(42)을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조사부(70)는 광속(28)과 함께 공기흐름(42)을 받을 수 있다.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발광부(10)에는 광속(28)이 투과하는 커버 부재(18)가 교환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발광 소자(20)가 피조사부(70)에 직접 접촉할 가능성을 작게 할 수 있다.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커버 부재(18)는 제1방향(P)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19)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돌출부(19)는 두발의 사이에 헤치고 들어가, 두발의 밀집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커버 부재(18)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요부(19b)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 소자(20)의 선단부를 요부(19b)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커버 부재(18)는 자외선광을 감쇠시키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 부재(18)는 광속(28)의 자외선광을 감쇠시킬 수 있다.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커버 부재(18)는, 제1방향(P)인 전후 방향에서 송풍부(40)측으로 후퇴해 있는 후퇴 영역(18a)과, 후퇴 영역(18a)보다 제1방향(P)에서 전방으로 전진해 있는 전진 영역(18b)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 부재(18)는 피조사부(70)의 만곡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발광부(10)에, 제1방향(P)측에서 광속(28)을 둘러싸는 후드 부재(15)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후드 부재(15)는 광속(28)을 가릴 수 있다.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발광부(10)는, 복수의 발광 소자(20)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발광부(10)는 복수의 발광 소자(20)에 의해 발광할 수 있다.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발광 소자(20)는, 제1방향(P)인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1방향(P)에서 송풍부측으로 후퇴해 있는 발광 소자(20a)와, 후퇴해 있는 발광 소자(20a)보다 제1방향에서 전진해 있는 발광 소자(20b)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발광 소자(20)는 피조사부(70)의 만곡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발광 소자(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방향(P)인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발광 소자(20)는 제1방향(P)에서 경사지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발광 소자(20)의 적어도 일부는 공기흐름(42)이 통과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발광 소자(20)는 공기흐름(24)이 통과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발광부(10)는, 복수의 발광 소자(20) 중의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부품(14)의 적어도 일부가 공기흐름(42)이 통과하는 범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부(10)는 공기흐름(42)이 통과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발광부(10)가 피조사부(70)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으로 떨어지면, 발광부(10)에 공급하는 전류를 차단 또는 줄이도록 구성되는 전류 제한부(3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피조사부(70)로부터 떨어진 경우에 발광부(10)의 전류를 변화시킬 수 있다.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사용자가 지각할 수 있는 시그널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시그널 출력부(3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시그널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의 도래를 지각할 수 있다.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시그널 출력부(34)는, 발광부(10)에 대한 전류의 공급 시작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타이밍으로, 음, 진동 및 광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한 시그널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음, 진동 및 광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타이밍의 도래를 지각할 수 있다.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발광부(10)는, 송풍부(40)에 대해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송풍부(40)는, 발광부(1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1접점부(36)를 구비하고, 발광부(10)는, 송풍부(4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접점부(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접점부(38)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광조사 장치(100)는 발광부(10)를 분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바탕으로 설명했다. 이들의 실시예는 예시이며,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가능하고, 또한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도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기술 및 도면은 한정적이 아니고 예증적으로 취급되어야 할 것이다.
(변형예 1)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적색광을 출력하는 LED를 사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녹색이나 청색의 광을 출력하는 LED를 사용해도 좋고, 다른 색의 광을 출력하는 LED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변형예 2)
광조사 장치(100)에서는, 발광 소자로서 LED 또는 LD를 사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기 EL 소자 등 다른 종류의 발광 소자를 사용해도 좋다.
(변형예 3)
본 발명의 광조사 장치에는, 마이너스 이온을 포함하는 공기를 송출하는 수단이나, 물이나 미용액 등의 액체를 미립화한 미스트를 송출하는 수단 등을 구비해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제4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장치(210, 220, 230)에 대해 설명한다. 최근, 발광 다이오드(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세포 활성이 향상되고, 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한 세포 활성에 부작용은 없고, 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섬유아세포가 증식하고, 성장 인자가 합성되고, 콜라겐이 산출되고, 혈관 신생이 증가하는 것 등이 밝혀졌다. 또한, LED 조사가 피부 조직이나 모발의 치유에 효과가 있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제2~제4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장치(210, 220, 230)는, 이와 같은 지견을 바탕으로 제안되었다. 광조사 장치(210, 220, 23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A: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LED"라고 표시한다)를 구비하면서, 미용 기구(180, 280)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LED는, 예를 들면, 620~670nm(적색), 450~480nm(청색), 560~600nm(황색), 500~530nm(녹색) 중의 어느 하나 혹은 모든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미용 기구라는 문언은, 헤어스타일을 정돈하기 위한 헤어 드라이어와, 얼굴의 피부를 활성화하여 이른바 "예쁜 피부"로 하기 위한 미안용 기구(예를 들면, 미안용 롤러 및 기타의 각종 미안용 기기)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제4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LED(1A)는 곡선으로 구성되는 닫힌 형상(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LED(1A)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상기 형상의 내측 영역을 향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 장치(220)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분무 장치(215)를 구비하고 있고, 해당 분무 장치(215)는, 액체 저장부(15A)와, 해당 액체 저장부(15A)에 저장된 액체(예를 들면, 이른바 "미발"용의 액체)를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는 분무부(15B)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용 기구(180)는 헤어 드라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용 기구(280)는 미안용 기구(예를 들면, 미안용 롤러 및 기타의 각종 미안용 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헤어 드라이어라면, 온풍이나 냉풍에 더하여, 광조사 장치(210, 220, 230)에 마련된 복수의 LED(1A)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이용자의 두피에 조사되기 때문에, 해당 이용자의 두피에 있어서의 세포 활성이 향상되고, 섬유아세포의 증식, 성장 인자의 합성, 콜라겐의 산출, 혈관 신생의 증가 등에 의해, 피부 조직이나 모발에 좋은 영향을 미치고, 두피의 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광조사 장치(210, 220, 230)는 미용 기구(180, 280)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헤어 드라이어 등에 대해, 장착 가능한 광조사 장치(210, 220, 23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기존의 헤어 드라이어 등을 대폭으로 개조하지 않고,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조사 장치(210, 220, 230)에 마련된 복수의 LED(1A)는 원형(타원형을 포함)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LED(1A)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상기 원형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구성하면, LED(1A)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본 발명의 미용 기구(180, 280)의 사용자의 안구에 도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LED 조사광에 의해, 사용자의 안구에 손상이 주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광조사 장치(220)에 분무 장치(215)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하고, 해당 분무 장치(215)가 액체(예를 들면, 이른바 "미발"용의 액체)를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는 분무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면, 온풍이나 냉풍에 의한 헤어스타일의 세팅, LED 조사에 의한 두피의 활성에 더하여, 미발용의 액체를 분무하는 것에 의해 모발의 상태를 양호하게 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어뿐만 아니라, 미안용 기구(예를 들면, 미안용 롤러 및 기타의 각종 미안용 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4~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장치(210)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제2실시예에서는, 미용 기구로서 헤어 드라이어가 예시되고 있다. 도 14, 도 15에 있어서, 광조사 장치(210)는, 전기 절연성의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된 거의 통형상의 케이스부(2)와, 복수의 LED(1A)를 원형 형상으로 배치하여 케이스부(2)의 앞단(도 1의 좌측)에 마련된 LED부(1)를 구비하고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2)의 앞단(도 14의 좌단부)에는, 투명한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된 고리 모양의 커버(3)가 장착되어, 커버(3)에 의해 복수의 LED(1A)는 피복되어 있다.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하지만, LED부(1)는, 복수의 LED(1A)와 LED(1A)를 케이스부(2)의 앞단에 장착하기 위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LED부(1)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도 16에 있어서, 복수의 LED(1A)는, 각각 통전 단자(1B)를 통해 실장 기판(1C)에 설치되고, LED(1A)와 실장 기판(1C)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는 단열판이 개재되어 있다. 실장 기판(1C), 도시하지 않는 상기 단열판, 후술하는 지지 부재(1D)는 고리 모양의 판재이고, 실장 기판(1C) 상에 거의 등간격으로 복수의 LED(1A)가 설치되어 있다.
도 16에 있어서, 복수의 LED(1A)를 설치한 실장 기판(1C)은, 스페이서(1E)를 통해 지지 부재(1D)에 고정된다. 거의 통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부(2)의 전단(도 16에서는 좌단 근방)에 마련한 LED 장착부(2A)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 부재(1D)는, 원주 방향의 복수 군데(예를 들면 4군데)에 있어서, 나사 등(미도시)의 주지 수단에 의해 LED 장착부(2A)에 고정된다. 투명한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된 고리 모양의 커버(3)가, 고리 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LED(1A)를 피복하여 배치되어 있지만, 커버(3)는 내주측 에지부와 외주측 에지부에 있어서, 복수 군데에서 지지 부재(1D)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커버(3)의 외주측 단부를 케이스부(2)의 앞단부(도 16의 좌단부)에 고정하고, 내주측 단부를 지지 부재(1D)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 도 16에 있어서, 케이스부(2)의 후단(도 14, 도 16의 우측)은 미용 기구(180)에 대한 장착측이고, 케이스부(2)의 후단 근방에는 헤어 드라이어에 대한 장착부(2B)가 형성되어 있다. 헤어 드라이어에 대한 장착부(2B)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18~도 2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LED부(1)와 케이스부(2)로 구성된 광조사 장치(210)를 미용 기구(180)(도 14~도 16에서는 미도시)의 공기 분출구 근방에 장착한 경우, 미용 기구(180)로부터 불어내는 온풍 혹은 냉풍은, 도 16의 화살표 F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조사 장치(210) 내부에 유입하고, 화살표 F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조사 장치(210)의 LED부(1)측으로부터 사용자의 모발에 송풍된다.
여기서, 복수의 LED(1A)로서, 파장이 620~670nm(적색), 450~480nm(청색), 560~600nm(황색), 500~530nm(녹색)인 것 중에서, 각각의 피부 소생 효과를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LED(1A)의 종류를 선택할 때는, 어느 1종류의 파장의 LED를 선택해도 좋고, 복수 종류의 파장의 LED를 선택하여 광조사 장치(210)에 장착해도 좋다. 혹은 모든 종류의 파장의 LED를 선택하여 광조사 장치(210)에 장착해도 좋다.
광조사 장치(210)를 미용 기구(180)에 장착한 상태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 있어서, 미용 기구(180)는, 온풍/냉풍의 분출구(101B)의 근방에서, 도 14~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광조사 장치(210)를 장착하고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미용 기구(180)는, 광조사 장치(210)의 장착 구조 및 광조사 장치(210)에 대한 전력 공급 기구를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7에 있어서, 송풍기(103)의 회전에 의해 흡입구(101A)로부터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히터(105)측으로 송풍된다. 도 17에서는, 히터(105)측으로 송풍된 공기(F3)를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미용 기구(180)의 이용자가 온풍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송풍된 공기(F3)는 히터(105)에 의해 가열되고, 냉풍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기(F3)는 가열되지 않는다. 그리고, 가열된 혹은 가열되지 않는 공기(온풍 혹은 냉풍: 화살표 F4)는, 분출구(101B)로부터 광조사 장치(210)측으로 분출되어, 광조사 장치(210)의 내부(공기 통로)를 통과하여, LED부(1)측(도 17에서는 좌측)로부터 이용자의 모발을 향해 송풍된다(화살표 F5).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조사 장치(210)를 장착한 미용 기구(180)에서는, 온풍 혹은 냉풍이 이용자의 모발(미용의 대상)을 향해 송풍됨과 동시에, LED(1A)로부터 특정 파장의 광이, 미용 기구(180)의 이용자의 두피에 조사된다. 즉, 이용자는 미용 기구(180)에 의한 헤어 정돈 효과와, 광조사 장치(210)의 LED 조사에 의한 두피 개선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어, 효율적으로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미용 기구(180)에 의한 송풍과 광조사 장치(210)의 LED로부터의 광조사를, 각각 단독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미용 기구(180)의 조작 스위치부(107)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광조사 장치(210)의 전원의 온/오프, 점등하는 LED의 특정(사용하는 파장의 선택), 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강약을 선택/조정할 수 있다. 도 17에 있어서, 장착 부분 B로 나타내는 부분은, 광조사 장치(210)를 미용 기구(180)에 장착하는 부분이며, 이하, 도 18~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1)에 있어서, 광조사 장치(210)의 후단부 근방(도 14, 도 16, 도 17에서는 우측 단부 근방)에 장착부(2B)가 마련되어 있다. 장착부(2B)는, 케이스부(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부(2)의 본체측 부분(2B1), 본체측 부분(2B1)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직부(2B2), 수직부(2B2)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도 18(1)에서는 하단)로부터 광조사 장치(210)측(도 18(1)에서는 우측)으로 축방향으로(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평부(2B3)를 구비하고 있다. 수평부(2B3)의 후단(도 18(1)에서는 우측단) 근방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2B4)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B4)의 반경 방향 내측(도 18(1)에서는 하방)에는 전극(2B5)이 심어져 있고, 전극(2B5)을 통해 광조사 장치(210)의 LED부(1)에 동작 전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착부(2B)는, 원주 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복수 군데(예를 들면 4군데) 마련된다. 다만, 전극(2B5)은, 최소한 1군데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장착부(2B)를 원주 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복수 군데(예를 들면 4군데)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수평부(2B3)도 원주 방향의 일부에 있어서 축방향(도 18, 도 19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원주 방향 전역에 걸쳐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도 18(1)에 있어서, 미용 기구(180)의 앞단부(도 18(1)에서는 좌단부) 근방에는, 미용 기구(180)측의 장착부(102B)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01)의 전단 근방의 외주측에는 체결 부재(310)가 마련되고, 체결 부재(310)는 체결 부재(112)에 의해 미용 기구(180)의 축방향으로 거의 평행으로 연장되어 있다. 체결 부재(310)의 앞단부(광조사 장치(210)측)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111)가 형성된다. 체결 부재(310)와 본체 케이스(101)의 사이에는 스페이서(113)가 개재하고, 광조사 장치(210)를 장착할 때, 체결 부재(310)가 반경 방향으로 탄성변형 했을 때, 그 변위량을 흡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체결 부재(310)의 앞단(도 18(1)에서는 좌단) 근방에 있어서, 돌기부(111)의 앞측(도 18(1)의 우측)에는 전극(308)이 심어져 있다. 전극(308)에는, 도시하지 않는 회로를 통해, 미용 기구(180)측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체결 부재(310) 등에 의해 구성되는 미용 기구(180)측의 장착부는, 전체가 장착부(102B)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미용 기구(180)측의 장착부(102B)는, 광조사 장치(210)측의 장착부(2B)에 대응하여, 원주 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복수 군데(예를 들면 4군데) 형성되어 있다.
광조사 장치(210)를 미용 기구(180)에 장착할 때는, 광조사 장치(210)측의 장착부(2B)의 위치를 미용 기구(180)측의 장착부(102B)의 위치에 정합시켜, 광조사 장치(210)의 장착부(2B)를 미용 기구(180)의 장착부(102B)의 방향(화살표 AR1 방향: 도 18(1)에서는 우측)으로 삽입한다. 광조사 장치(210)측의 장착부(2B)를 미용 기구(180)측의 장착부(102B)에 삽입하면, 광조사 장치(210)측의 수평부(2B3)의 돌기부(2B4)가, 수평부(2B3) 및 체결 부재(310)의 탄성 반발력에 저항하여, 미용 기구(180)측의 체결 부재(310)의 돌기부(111)를 타넘는다. 그리고, 도 18(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2B4)와 돌기부(111)가 체결된다. 그 때에 미용 기구(180)측의 체결 부재(112)의 상측 단부가 수평부(2B3)(돌기부(2B4))에 당접하여, 수평부(2B3)(돌기부(2B4))가 미용 기구(180)측(도 18의 우측)으로 과도하게 침입해버리는 것을 방지한다(스토퍼로서 작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의 복수 군데(예를 들면 4군데)에 있어서 축방향(도 18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장착부(2B)와 장착부(102B)가 체결되는 부분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광조사 장치(210)는 미용 기구(180)에 장착된다. 도 18(2)의 상태에서 광조사 장치(210)가 미용 기구(180)에 장착되면, 광조사 장치(210)의 전극(2B5)과 미용 기구(180)측의 전극(308)이 당접한다. 즉, 광조사 장치(210)의 전극(2B5)과 미용 기구(180)측의 전극(308)은, 장착부(2B)와 장착부(102B)가 체결과 당접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2B5), 전극(308) 사이는 통전 상태가 된다. 그 결과, 미용 기구(180)측의 전원(기존의 전원)으로부터, 미용 기구(180)측의 전극(308), 광조사 장치(210)의 전극(2B5)을 통해, 광조사 장치(210)의 LED부(1)가 발광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이 공급된다.
광조사 장치(210)를 미용 기구(18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이용자의 손가락으로 광조사 장치(210)측의 장착부(2B)에 있어서의 수평부(2B3)를 원주 방향 양 사이드에서 유지하여, 수평부(2B3)의 돌기부(2B4)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면 된다. 돌기부(2B4)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용이하고, 이에 의해 장착부(2B)와 장착부(102B)의 체결이 해제되고, 전극(2B5), 전극(308) 사이는 비통전 상태가 되고, 광조사 장치(210)는 미용 기구(180)로부터 분리된다.
도 19를 참조하여, 광조사 장치(210)를 미용 기구(180)에 장착하는 구조의 제1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9(1)에 있어서, 광조사 장치(210)의 후단부(도 19(1)에서는 우측 단부) 근방에 있어서, 케이스부(2)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장착부(2BA)는, 케이스부(2)의 본체측 부분(2BA1), 본체측 부분(2BA1)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직부(2BA2), 수직부(2BA2)의 반경 방향 내측단(도 19(1)에서는 하단)으로부터 광조사 장치(210)의 축방향(도 19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평부(2BA3)를 구비하고 있다.
수평부(2BA3)의 앞단측(도 19(1)에서는 우측)의 반경 방향 내측(도 19(1)에서는 하방)의 면(내주면)에는 암나사(2BA4)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2BA4)에는, 축방향 중앙 근방에 절삭부(부호 없음)가 형성되고, 해당 절삭부에는 전극(2BA5)이 심어져 있다. 그리고 전극(2BA5)을 통해, 광조사 장치(210)의 LED부(1)가 발광하는데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암나사(2BA4)는 장착부(2BA)의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지만, 전극(2BA5)은 원주 방면 전체에 형성할 필요는 없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미용 기구(180)측의 전극(314)과 확실하게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도 19(1)에 있어서, 미용 기구(180)의 앞단부(도 19(1)에서는 좌단) 근방에는, 미용 기구(180)측의 장착부(102BA)가 마련되어 있다. 미용 기구(180)의 본체 케이스(101)의 앞단(도 19(1)에서는 좌단) 근방의 외주측(도 19(1)에서는 상측)에는 돌출부(109)가 마련되고, 돌출부(109)의 외주에는 수나사(109A)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09)의 외주면(도 19(1)에서는 상면)은 축방향(도 19의 좌우 방향)과 거의 평행이다. 도 19(1)에 있어서, 돌출부(109B)는 돌출부(109)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돌출부이고, 광조사 장치(210)를 장착할 때 암나사(2BA4)의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수나사(109A)에는 축방향 중앙 근방에 절삭부(부호 없음)가 형성되고, 해당 절삭부에는 전극(314)이 심어져 있고, 전극(314)은 도시하지 않는 회로를 통해 미용 기구(180)측의 전원에 연통되어 있다. 미용 기구(180)측의 장착부(102BA)는, 광조사 장치(210)측의 장착부(2BA)에 대응하여 원주 전체에 걸쳐 마련되어 있지만, 전극(314)은 광조사 장치(210)측의 전극(2BA5)의 위치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즉, 전극(314)은 미용 기구(180)에 광조사 장치(210)를 장착했을 때, 전극(2BA5)과 확실하게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19(1)에 있어서, 광조사 장치(210)를 미용 기구(180)에 장착할 때는, 광조사 장치(210)측의 장착부(2BA)를 미용 기구(180)측의 장착부(102BA)에 정합하고, 광조사 장치(210)의 장착부(2BA)를 회전하여, 암나사(2BA4)와 수나사(109A)를 나사 체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조사 장치(210)측의 암나사(2BA4)와 미용 기구(180)측의 수나사(109A)가 나사 체결되는 것에 의해, 광조사 장치(210)는 미용 기구(180)에 장착되어, 도 19(2)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도 19(2)의 상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조사 장치(210)가 미용 기구(180)에 장착되면, 광조사 장치(210)의 전극(2BA5)과 미용 기구(180)측의 전극(314)이 접촉하여, 전극(2BA5), 전극(314) 사이가 통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미용 기구(180)측의 전원에 의해, 미용 기구(180)측의 전극(314), 광조사 장치(210)의 전극(2BA5)을 통해, 광조사 장치(210)의 LED부(1)가 발광하는데 필요한 전력이 공급된다. 광조사 장치(210)를 미용 기구(180)로부터 분리할 때는, 도 19(2)의 상태로부터, 광조사 장치(210)의 장착부(2BA)를 회전하여, 암나사(2BA4)와 수나사(109A)를 나사 체결을 제하면 된다.
도 20을 참조하여, 광조사 장치(210)를 미용 기구(180)에 장착하는 구조의 제2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20(1)에서, 광조사 장치(210)의 후단부(도 20(1)의 좌단측) 근방에 있어서, 케이스부(2)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장착부(2BB)는, 케이스부(2)의 본체측 부분(2BB1), 본체측 부분(2BB1)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직부(2BB2), 수직부(2BB2)의 반경 방향 내측단(도 20(1)의 하단)으로부터 광조사 장치(210)의 축방향(도 20의 좌우 방향)에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는 수평부(2BB3)를 구비한다. 수평부(2BB3)의 단부(도 20(1)에서는 우측단) 근방에는, 지지축(2BB4A)과 각진 링모양의 체결부(2BB4B)로 구성되는 체결 부재(2BB4)가 마련되어 있고, 체결 부재(2BB4)는 지지축(2BB4A)에 일단을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수평부(2BB3)의 전단 근방의 반경 방향 내측면(도 20(1)에서는 하면)에는 전극(2BB5)이 심어져 있고, 전극(2BB5)을 통해 광조사 장치(210)의 LED부(1)가 발광하는데 필요한 전력이 공급된다. 장착부(2BB)는, 원주 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복수 군데(예를 들면 4군데) 마련되어 있다. 다만, 전극(2B5)은 적어도 1군데 있으면 된다.
도 20(1)에 있어서, 미용 기구(180)측에는 장착부(102BB)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01)의 앞단(도 20(1)에서는 좌단) 근방의 외주측(도 20(1)에서는 상측)에 돌출부(315)가 마련되고, 돌출부(315)의 외주측(도 20(1)에서는 상측)에는 광조사 장치(210)측의 체결 부재(2BB4)에 대응하는 피체결부(316)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315)의 광조사 장치(210)측(도 20에서는 좌측)의 외주측(도 20(1)에서는 상측)에는 전극(317)이 심어져 있고, 전극(317)에는 도시하지 않는 회로를 통해 미용 기구(180)측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광조사 장치(210)측의 수평부(2BB3)의 내주면(도 20(1)에서는 하면)과 미용 기구(180)측의 본체 케이스(101)의 외주면(도 20(1)에서는 상면)은, 장착했을 때, 동일 평면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01)에 마련된 돌출부(315)의 반경 방향의 치수(두께 치수)는, 광조사 장치(210)측의 장착부(2B)의 수평부(2BB3)의 반경 방향의 치수(두께 치수)와 거의 동일하다. 광조사 장치(210)를 미용 기구(180)에 장착할 때, 돌출부(315)는, 광조사 장치(210)측의 수평부(2BB3)의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미용 기구(180)측의 장착부(102BB)는, 광조사 장치(210)측의 장착부(2BB)에 대응하는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복수 군데(예를 들면 4군데) 마련되어 있다.
광조사 장치(210)를 미용 기구(180)에 장착할 때는, 광조사 장치(210)측의 장착부(2BB)의 위치를 미용 기구(180)측의 장착부(102BB)와 정합한다. 그리고 장착부(2BB)를 장착부(102BB)측(화살표 AR3측)에, 수평부(2BB3)의 선단(도 20(1)에서는 우측단)이 돌출부(315)에 당접할 때까지 삽입한다. 그리고, 수평부(2BB3)의 체결 부재(2BB4)의 각진 링모양의 체결부(2BB4B)를 도 20(1)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체결부(2BB4B)를 피체결부(316)에 체결하면, 광조사 장치(210)는 미용 기구(180)에 장착된다(도 20(2)의 상태). 한편, 광조사 장치(210)를 미용 기구(180)로부터 분리할 때는, 도 20(2)에 있어서, 체결부(2BB4B)를 도 20(2)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체결부(2BB4B)를 피체결부(316)로부터 체결 해제하면 된다.
복수 군데(예를 들면 4군데)의 광조사 장치(210)측의 장착부(2BB)와 미용 기구(180)측의 장착부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광조사 장치(210)는 미용 기구(180)에 확실하게 장착되어, 도 20(2)의 상태가 된다. 도 20(2)의 상태로 광조사 장치(210)가 미용 기구(180)에 장착되면, 광조사 장치(210)의 전극(2BB5)과 미용 기구(180)측의 전극(317)이 접촉하여, 전극(2BB5), 전극(317) 사이가 통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미용 기구(180)측의 전극(317), 광조사 장치(210)의 전극(2BB5)을 통해, 미용 기구(180)측의 전원으로부터, 광조사 장치(210)의 LED부(1)가 발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 도 22, 도 23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장치(210)의 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방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LED부(1)의 복수 LED(1A)는, 도시하지 않는 실장 기판(1C) 상에서 거의 등간격으로 원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LED(1A)는, 각각이 배치되는 위치에 있어서, 광조사 장치(210)의 축방향(도 16, 도 22에서는 좌우 방향)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LED(1A)로부터 조사된 광은, 축방향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진행한다. 도 21, 도 22에 있어서, 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진행 방향은, 화살표 L로 표시되어 있다.
도 21, 도 22에는 명확히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각의 LED(1A)를 실장 기판(1C)(도 16 참조)에 설치할 때, 설치 방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LED(1A)로부터 조사된 광이, 축방향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LED(1A)를 설치하는 실장 기판을 도 23의 실장 기판(1CA)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하면 된다. 도 23에 나타내는 실장 기판(1CA)은 고리 모양의 평판이 아니고, LED(1A)의 장착면(1CAS)이 반경 방향 내측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고리 모양의 LED 장착면(1CAS)이 경사져 있다. 도 23에 있어서, 관통 구멍(1CAH)은 관통 구멍이다. LED(1A)를 경사시켜 설치하는 형태에 대해서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채용 가능하다.
도 14~도 23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미용 기구(180)의 온풍이나 냉풍에 더하여, 광조사 장치(210)에 마련된 복수의 LED(1A)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이용자의 두피에 조사되기 때문에, LED(1A)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파장에 의해, 해당 이용자의 두피에 있어서의 세포 활성이 향상되고, 섬유아세포의 증식, 성장 인자의 합성, 콜라겐의 산출, 혈관 신생의 증가 등에 의해, 피부 조직이나 모발에 좋은 영향을 미쳐, 두피의 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광조사 장치(210)는 미용 기구(180)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미용 기구(180)에 대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기존의 미용 기구(180)를 대폭으로 개조하지 않고, 제2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제2실시예에 의하면, 광조사 장치(210)에 마련된 복수의 LED(1A)는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면서, 각각의 LED(1A)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상기 원형의 반경 방향 내측 영역을 향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LED(1A)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LED(1A)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본 발명의 미용 기구(180)의 사용자의 안구에 도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LED(1A)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사용자의 안구에 손상이 주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도시한 제2실시예에 의하면, 광조사 장치(210)를 미용 기구(180)에 장착했을 때, 광조사 장치(210)측의 전극과 미용 기구(180)측의 전극이 당접하여, 미용 기구(180)측에서 광조사 장치(210)측에 전력 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광조사 장치(210)측의 전원을 새로 마련하지 않아도, 미용 기구(180)측의 전원에 의해 LED(1A)가 광을 조사하는데 필요한 전력이 공급된다.
다음으로,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4에 있어서, 미용 기구(180)의 분출구(101B)측(도 24의 좌측)에, 제3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장치(220)가 장착되어 있다. 광조사 장치(220)는, 케이스부(222)의 상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분무 장치(215)를 구비하는 점에서,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광조사 장치(210)와는 상이하다. 그리고, 광조사 장치(220)의 케이스부(222) 내의 상방 공간은, 분무 장치(215)의 분무부(15B)의 설치와, 분무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하방의 공간이나 측방의 공간에 비해 크게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4의 좌측에서 본 광조사 장치(220)의 형상은, 정원이 아니고, 상하로 긴(세로로 긴)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도 24의 광조사 장치(220)에 있어서의 기타의 구조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광조사 장치(210)와 동일하다.
도 24에 있어서, 분무 장치(215)는, 헤어스타일링제 등의 이른바 "미발"용의 액체를 케이스부(222) 내에서 미스트 형태로 분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분무 장치(215)는, 케이스부(222)의 상면측에 설치되는 액체 저장부(15A)와, 케이스부(222) 내에 설치되는 분무부(15B)와, 액체 저장부(15A)와 분무부(15B)를 연통하는 연통관(15C)을 구비하고 있고, 연통관(15C)은 광조사 장치(220)의 케이스부(222)의 상면에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분무 장치(215)는, 체결 부재(15D)에 의해 케이스부(222)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다만, 분무 장치(215)를 케이스부(222)의 상면에 고정하는 형태는, 체결 부재(15D) 이외의 부재를 사용해도 좋다. 분무 장치(215)에는, 미용 기구(180)측의 전원으로부터 광조사 장치(220)에 공급되는 전력의 일부가, 도시하지 않는 회로를 통해 공급되고 있다.
광조사 장치(220)를 미용 기구(180)에 장착하고, 미용 기구(180)의 조작 스위치부(318)를 조작하여 헤어 드라이어를 작동시키면, 온풍 혹은 냉풍이, 화살표 F6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용 기구(180) 내의 송풍 통로, 광조사 장치(220) 내의 공기 통로를 통과하여, 광조사 장치(220)의 출구로부터 이용자의 모발(미용 대상)을 향해 송풍된다. 도 24에 있어서, 조작 스위치부(318)를 조작하여 분무 장치(215)를 작동시키면, 분무 장치(215)의 분무부(15B)로부터 미발용의 액체가 광조사 장치(220)의 공기 통로에 미스트 형태로 분무된다(화살표 F7).
분무 장치(215)로부터 분무된 미스트 형태의 미발용 액체는, 미용 기구(180)로부터 송풍되는 온풍 혹은 냉풍에 연행되어, 미용 대상인 사용자의 모발까지 효율적으로 도달한다. 혹은 미용 기구(180)로부터의 송풍이 없는 경우에도, 분무 장치(215)의 분무력에 의해, 분무 장치(215)에 저장되어 있는 미발용의 액체를, 사용자의 모발에 도달시킬 수 있다. 분무 장치(215)로부터 미발용 액체를 분무하는 것에 더하여, 광조사 장치(220)의 LED(1A)를 점등시키면, LED(1A)로부터 특정 파장의 광이 사용자의 두피에 조사되어, 사용자의 두피의 상태를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도 24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광조사 장치(220)에 분무 장치(215)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하고, 해당 분무 장치(215)가 미발용의 액체를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는 분무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온풍이나 냉풍에 의한 헤어스타일의 세팅, LED 조사에 의한 두피의 활성화에 더하여, 미발용의 액체를 분무하는 것에 의해 모발의 상태를 양호하게 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특히 미용 기구(180)로부터 송풍되는 온풍이나 냉풍과 함께 미발용의 액체를 분무하는 것에 의해, 분무된 미발용 액체는 미용 기구(180)로부터 송풍되는 온풍 혹은 냉풍에 연행되어, 미용 대상인 사용자의 모발에 효율적으로 공급된다. 도 24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타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도 14~도 23에서 설명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25,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4~도 24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는 미용 기구(180)는 헤어 드라이어이지만, 도 25, 도 26의 제4실시예에서는, 미용 기구(280)는 미안 롤러(미안기)이다. 미안 롤러인 미용 기구(280)는, 헤드부(201)에 상하 한쌍의 롤러(202)를 구비하고, 도시하지 않는 전원에 의해 롤러(202)를 회전시켜 얼굴의 피부를 마사지하는 것에 의해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얼굴의 피부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25, 도 26에 있어서, 조작 스위치부(204)는 조작 스위치부이다.
미용 기구(280)
도 25에 있어서, 광조사 장치(330)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광조사 장치(210)와 동일하지만, 미용 기구(180)가 아니고 미용 기구(280)에 장착하기 때문에,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광조사 장치(210)와는, 내외 지름, 측면 방향의 길이 등의 각종 치수, LED(1A)의 수 등이 상이하다. 광조사 장치(330)를 미용 기구(280)에 장착했을 때, 미용 기구(280)의 롤러(202)가 광조사 장치(330)의 선단의 LED부(31)보다 돌출시킬(도 26 참조) 필요가 있기 때문에, 광조사 장치(330)의 축선 방향(도 25, 도 26의 좌우 방향)의 길이(L12)는, 도 14~도 24의 실시예에 비해 작게 설정되어 있다. 광조사 장치(330)를 미용 기구(280)측에 장착하기 위한 설치 기구(32B), 미용 기구(280)측으로부터의 전력 공급 기구도, 도 14~도 24의 각 실시예와 동일하다.
광조사 장치(330)를 미용 기구(280)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6에 있어서, 롤러(202)가 광조사 장치(330)보다 광조사 방향(도 26의 좌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미용 기구(280)의 미안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롤러(202)가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할 필요가 있지만, 롤러(202)가 광조사 장치(330)보다 광조사 방향(도 26의 좌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면, 광조사 장치(330)가 사용자의 안면에 당접해버려, 롤러(202)는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할 수 없기 때문이다.
미용 기구(280)를 사용할 때, 조작 스위치부(204)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광조사 장치(330)를 작동하여, LED로부터 원하는 파장, 강도의 광을 조사하여, 사용자의 피부의 활성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조사 장치(330)를 미용 기구(280)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미용 기구(280)를 작동시켜 미용 대상인 얼굴의 트리트먼트를 한 후, 계속하여, 광조사 장치(330)로부터 광을 조사하여 두피의 활성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25, 도 26의 제4실시예에 의하면, 미용 기구(280)에 의해 이용자의 안면의 피부의 트리트먼트를 할 수 있는데 더하여, 광조사 장치(330)로부터 조사되는 LED광을 이용자의 두피에 조사하는 것에 의해, 해당 이용자의 두피에 있어서의 세포 활성이 향상되고, 섬유아세포의 증식, 성장 인자의 합성, 콜라겐의 산출, 혈관 신생의 증가 등에 의해, 피부 조직이나 모발에 좋은 영향을 미쳐, 두피의 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미용 효과를 상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5, 도 26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타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도 14~도 23에서 설명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문언에 의해서도 파악할 수 있다.
(청구항 1)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면서, 미용 기구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장치.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LED는 곡선으로 구성되는 닫힌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상기 형상의 내측 영역을 향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조사 장치.
(청구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장착 및 분리 가능한 분무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해당 분무 장치는, 액체 저장부와, 해당 액체 저장부에 저장된 액체를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는 분무부를 구비하고 있는 광조사 장치.
설명에 사용한 도면에서는, 부재의 관계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일부의 부재 단면에 해칭을 하고 있지만, 해당 해칭은 이들 부재의 소재나 재질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피 등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 장치에 있어서, 눈에 들어가는 광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두피 등에 도착하는 광량을 늘릴 수 있는 광조사 장치의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10: 발광부
13: 기판
14: 전자 부품
15: 후드 부재
16: 중공부
16b: 출구부
18: 커버 부재
18a: 후퇴 영역
18b: 전진 영역
19: 돌출부
19b: 요부
20: 발광 소자
21: 발광 소자
22: 발광 소자
28: 광속
30: 하우징
32: 전류 제한부
32b: 리밋 스위치
34: 시그널 출력부
36: 제1접점부
38: 제2접점부
40: 송풍부
41: 모터
42: 공기흐름
43: 임펠러
44: 히터
50: 제어부
52: 스위치부
70: 피조사부
82: 제1체결부
84: 제2체결부
86: 통기구
100: 광조사 장치
108: 그립부
110: 케이스
114: 송출구
116: 흡입구
118: 배선 통로부
124: 전원부
126: 전기 케이블
128: 전기 케이블

Claims (16)

  1. 제1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흐름을 송출하기 위한 송풍부와,
    피조사부인 두피 또는 두발을 비추기 위한 광속을 출력하는 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송풍부의 제1 방향측에 마련되고,
    상기 발광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피조사부를 향해 상기 공기 흐름을 송출하도록 구성되며,
    커버 부재의 뒤쪽에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복수의 요부가 마련되고,
    커버 부재의 앞쪽에는 상기 복수의 요부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방향쪽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는 파장이 620~670nm의 적색광을 1㎠당 1J 내지 1.5J범위의 광량으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제1 방향에서 상기 송풍부측으로 후퇴해 있는 후퇴 영역과, 상기 후퇴 영역보다 제1 방향에서 전진해 있는 전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에는, 제1 방향측에서 광속을 둘러싸는 후드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의 돌출부보다 전방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부재는 상기 피조사부에 접촉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부재는 내면에 반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는, 제1 방향에 있어서, 제1 방향에서 상기 송풍부측으로 후퇴해 있는 발광 소자와, 상기 후퇴해 있는 발광 소자보다 제1 방향에서 전진해 있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방향에 대해 경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공기흐름이 통과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의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기흐름이 통과하는 범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가 상기 피조사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으로 떨어지면, 상기 발광부에 공급하는 전류를 차단 또는 줄이도록 구성되는 전류 제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타이밍으로, 사용자가 지각할 수 있는 시그널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시그널 출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 출력부는, 상기 발광부에 대한 전류의 공급 시작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타이밍에 음, 진동 및 광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한 시그널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송풍부에 대해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발광부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접점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송풍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접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에서 상기 피조사부에 광이 조사될 때 선단이 두피에 접촉하여 두피에 자극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장치.
KR1020177029349A 2015-04-27 2016-04-20 광조사 장치 KR102112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89953A JP2018102326A (ja) 2015-04-27 2015-04-27 光照射装置
JPJP-P-2015-089953 2015-04-27
JP2015252512 2015-12-24
JPJP-P-2015-252512 2015-12-24
PCT/JP2016/062531 WO2016175102A1 (ja) 2015-04-27 2016-04-20 光照射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524A Division KR20200055158A (ko) 2015-04-27 2016-04-20 광조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520A KR20170139520A (ko) 2017-12-19
KR102112121B1 true KR102112121B1 (ko) 2020-06-04

Family

ID=571991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524A KR20200055158A (ko) 2015-04-27 2016-04-20 광조사 장치
KR1020177029349A KR102112121B1 (ko) 2015-04-27 2016-04-20 광조사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524A KR20200055158A (ko) 2015-04-27 2016-04-20 광조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036553A1 (ko)
EP (1) EP3289912A4 (ko)
KR (2) KR20200055158A (ko)
CN (1) CN107529865A (ko)
CA (1) CA2983573C (ko)
WO (1) WO20161751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968A (ko) * 2020-12-08 2022-06-1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양방향 헤어 드라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622B1 (ko) * 2015-02-24 2016-09-22 유닉스전자주식회사 바람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JP6703791B2 (ja) * 2017-09-14 2020-06-03 シャープ株式会社 ヘアドライヤ
JP6742285B2 (ja) * 2017-09-14 2020-08-19 シャープ株式会社 ヘアドライヤ
US10299560B1 (en) * 2017-11-10 2019-05-28 Follicle, LLC Battery operated hair dryer
CN108261127B (zh) * 2018-01-31 2021-12-14 深圳市米谷智能有限公司 美肤仪的控制方法及系统
US11268758B2 (en) * 2018-04-23 2022-03-08 Lillian Sanfilippo Dryer
JP6488056B1 (ja) * 2018-07-31 2019-03-20 メトラス株式会社 光照射装置及び光照射装置の製造方法
US11458328B2 (en) 2018-10-22 2022-10-04 Joovv, Inc. Photobiomodulation therapy device accessories
US10478635B1 (en) 2018-10-22 2019-11-19 Joovv, Inc. Photobiomodulation therapy systems and methods
US10525277B1 (en) 2019-01-08 2020-01-07 Laluer Llc Skin treatment device
KR102235266B1 (ko) * 2019-02-08 2021-04-0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치료용 헤어 드라이어
TWM586551U (zh) * 2019-05-03 2019-11-21 迪伸電子股份有限公司 具有雷射功能的梳子
TWI718591B (zh) * 2019-07-18 2021-02-11 徐士凌 吹風機噴霧結構
JP7291893B2 (ja) * 2020-02-21 2023-06-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美容成分噴霧装置
JP7411896B2 (ja) * 2020-02-21 2024-01-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美容成分噴霧装置
JP2021132691A (ja) * 2020-02-21 2021-09-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美容成分噴霧装置
USD913509S1 (en) * 2020-03-06 2021-03-16 Cryoconcepts Lp Applicator device for dispensing carbon dioxide enhanced topical substances
KR102364682B1 (ko)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364691B1 (ko)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364689B1 (ko)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364690B1 (ko) *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드라이어
KR102366461B1 (ko) 2020-04-10 2022-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364681B1 (ko)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366462B1 (ko) 2020-04-10 2022-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364692B1 (ko)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드라이어
WO2021211238A1 (en) * 2020-04-13 2021-10-21 Johann Verheem Light treatment device
WO2021226749A1 (en) * 2020-05-09 2021-11-18 Sz Zuvi Technology Co., Lt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rying an object
US11464313B2 (en) 2020-05-09 2022-10-11 Sz Zuvi Technology Co., Lt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rying an object
CN113573608B (zh) 2020-05-09 2022-06-14 深圳汝原科技有限公司 干燥设备
JP7128973B2 (ja) 2020-05-09 2022-08-31 深▲せん▼汝原科技有限公司 物体を乾燥させる装置及び方法
KR102226215B1 (ko) * 2020-06-15 2021-03-12 김문정 에코헤어드라이어
US11369180B1 (en) * 2020-06-19 2022-06-28 Tran Thien Khanh Manicure ventilating and sanitizing lamp
CN111700788B (zh) * 2020-06-28 2022-11-15 深圳市美高途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护肤美容按摩仪器
USD963873S1 (en) 2020-09-21 2022-09-13 Joovv, Inc. Floor stand for a photobiomodulation therapy device
USD1004789S1 (en) 2020-09-21 2023-11-14 Joovv, Inc. Photobiomodulation therapy device
US20220183437A1 (en) * 2020-12-14 2022-06-16 Conair Corporation Glass hair styling iron with heat and light emitting source
KR20220098530A (ko) * 2021-01-04 202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 드라이어
KR20220098531A (ko) * 2021-01-04 202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 드라이어
WO2022199675A1 (zh) * 2021-03-24 2022-09-29 深圳汝原科技有限公司 一种辐射组件、干燥设备和反光座
KR102336327B1 (ko) * 2021-11-01 2021-12-08 이순 적외선 led를 이용한 헤어드라이어
GB2612788A (en) * 2021-11-10 2023-05-17 Dyson Technology Ltd A haircare applian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9910A1 (en) * 2005-08-08 2007-03-01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Eye-safe photocosmetic device
JP2008139708A (ja) 2006-12-04 2008-06-19 Ccs Inc リング型照明装置
JP2008229176A (ja) * 2007-03-22 2008-10-02 Chiyoda Boshoku Kk ヘアードライヤ
US20110197466A1 (en) * 2010-02-12 2011-08-18 Farouk Systems, Inc. Hair dryer
WO2012012050A2 (en) 2010-06-30 2012-01-26 Elc Management Llc Red light emitting device for use with hair product and blow dryer
JP2013085948A (ja) 2011-10-13 2013-05-13 Forward Electronics Co Ltd 光治療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6429A1 (de) * 1993-03-02 1994-09-29 Wella Ag Verfahren zum Behandeln eines Objekts mit einem Warmluftstrom und Handgerät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A2159226A1 (en) * 1994-01-21 1995-07-27 Eric Larsen Device for stimulating body cell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JP3662068B2 (ja) * 1996-03-21 2005-06-22 飯村 惠次 光触媒装置および光触媒を用いたクリーニング装置
US6063108A (en) * 1997-01-06 2000-05-16 Salansky; Norma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lized low energy photon therapy (LEPT)
US6077073A (en) * 1998-09-15 2000-06-20 Jacob; Gregory S. Light emitting diode-array light apparatus
JP2001238968A (ja) * 2000-03-01 2001-09-04 Ya Man Ltd レーザ光照射プローブ
US6629989B2 (en) * 2001-10-18 2003-10-07 Shimadzu Corporation Phototherapy device for pressure pain point therapy and trigger point therapy
WO2004066899A2 (en) * 2003-01-24 2004-08-12 Engii (2001) Ltd. System and method for face and body treatment
US7413567B2 (en) * 2003-02-25 2008-08-19 Spectragenics, Inc. Optical sensor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presence of skin
KR100643516B1 (ko) * 2003-05-06 2006-11-10 가부시키가이샤 모리타 세이사쿠쇼 의료용 광조사장치
US7722600B2 (en) * 2003-08-25 2010-05-25 Cutera, Inc.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skin using light to provide tissue treatment
JP4315072B2 (ja) * 2004-07-14 2009-08-19 ウシオ電機株式会社 赤外線治療器
AU2005304736A1 (en) * 2004-11-09 2006-05-18 Steven Gardner Device and method of phototherapy for jaundiced infants
US20120010603A1 (en) * 2005-08-12 2012-01-12 Dermalucent, LLC Tissue optical clearing devices for subsurface light-induced phase-change and method of use
JP2010518618A (ja) * 2007-02-06 2010-05-27 キム、テ ギュ レーザーダイオード組立体及びこれを含む治療用シート
KR101396588B1 (ko) * 2007-03-19 2014-05-20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다양한 색온도를 갖는 발광 장치
JP2010125134A (ja) * 2008-11-28 2010-06-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送風装置
JP2010131260A (ja) * 2008-12-05 2010-06-1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頭皮ケア装置
KR101155135B1 (ko) * 2008-12-09 2012-06-11 (주)비앤피테크 엘이디 탈부착형 헤어드라이기
US20120316623A1 (en) * 2010-02-12 2012-12-13 Panasonic Corporation Phototherapy device
US20130225971A1 (en) * 2010-11-05 2013-08-29 Panasonic Corporation Phototherapy apparatus
EP2648651B1 (en) * 2010-12-08 2016-11-23 Biolux Research Limited Apparatuses useful for regulating bone remodeling or tooth movement using light therapy and a functional appliance
JP2014128524A (ja) 2012-12-30 2014-07-10 Tsuyamote Beauty Co Ltd ヘアドライヤー
KR101525123B1 (ko) * 2014-08-29 2015-06-03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치아 미백 장치
CN110064132B (zh) * 2015-02-26 2021-01-15 夏普株式会社 光照射用基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9910A1 (en) * 2005-08-08 2007-03-01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Eye-safe photocosmetic device
JP2008139708A (ja) 2006-12-04 2008-06-19 Ccs Inc リング型照明装置
JP2008229176A (ja) * 2007-03-22 2008-10-02 Chiyoda Boshoku Kk ヘアードライヤ
US20110197466A1 (en) * 2010-02-12 2011-08-18 Farouk Systems, Inc. Hair dryer
WO2012012050A2 (en) 2010-06-30 2012-01-26 Elc Management Llc Red light emitting device for use with hair product and blow dryer
JP2013085948A (ja) 2011-10-13 2013-05-13 Forward Electronics Co Ltd 光治療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968A (ko) * 2020-12-08 2022-06-1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양방향 헤어 드라이어
KR102477154B1 (ko) * 2020-12-08 2022-12-1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양방향 헤어 드라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9912A4 (en) 2018-12-12
KR20200055158A (ko) 2020-05-20
WO2016175102A1 (ja) 2016-11-03
KR20170139520A (ko) 2017-12-19
EP3289912A1 (en) 2018-03-07
CA2983573A1 (en) 2016-11-03
US20180036553A1 (en) 2018-02-08
CN107529865A (zh) 2018-01-02
CA2983573C (en)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121B1 (ko) 광조사 장치
JP3207005U (ja) ヘアケア装置
JP6703791B2 (ja) ヘアドライヤ
CN111246913B (zh) 光照射装置及光照射装置的制造方法
JP2007330690A (ja) 美容装置
CN101610730B (zh) 皮肤病学治疗装置
KR20140031858A (ko) 피부 치료 장치
JP2019051017A5 (ko)
KR20190125015A (ko) 근적외선 조사 및 약물 분사가 가능한 탈모치료기기
JP3126750U (ja) 皺とり器
CN212067374U (zh) 一种多功能生发梳
KR102325386B1 (ko) 피부 미용 기기
JP2009034234A (ja) 発毛調節光照射装置
KR20230015003A (ko) 탈모 예방 및 발모촉진을 위한 플렉시블 led 장치
JP2018102326A (ja) 光照射装置
KR200430522Y1 (ko) 두피세척용 발광분사헤드
US20230157752A1 (en) Stimulation Device
CN208049207U (zh) 能治疗皮肤与美容的灯具
KR101741103B1 (ko) 적외선 방사형 배터리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KR20080017668A (ko) 발광분사헤드
US20190126059A1 (en) Hair care device
KR20160135399A (ko) 적외선 방사형 배터리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KR20020048317A (ko) 바이오 이온 헤어부러시
KR20200093339A (ko) 피부 클리닉 장치
TWM286049U (en) Phototherapeutical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