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461B1 -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461B1
KR102366461B1 KR1020200044035A KR20200044035A KR102366461B1 KR 102366461 B1 KR102366461 B1 KR 102366461B1 KR 1020200044035 A KR1020200044035 A KR 1020200044035A KR 20200044035 A KR20200044035 A KR 20200044035A KR 102366461 B1 KR102366461 B1 KR 102366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diffuser
unit
open surfac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6342A (ko
Inventor
김경태
신대기
박선정
구윤희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4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461B1/ko
Priority to EP20930602.6A priority patent/EP4133967A4/en
Priority to PCT/KR2020/012288 priority patent/WO2021206233A1/ko
Priority to US17/077,917 priority patent/US11647822B2/en
Priority to TW109136746A priority patent/TWI793465B/zh
Publication of KR20210126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122Diffusers, e.g. for variable air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61N5/0617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5Radiation, e.g. UV,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1Scal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는 디퓨징케이스를 포함하고, 디퓨징케이스는 후방측이 헤어드라이어의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후방측에 마련된 기체유입홀을 통해 상기 본체부로부터 토출되는 기체가 내부로 유입되며, 전방측에 개방면이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디퓨징케이스는 상기 개방면을 둘러싸는 전방둘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둘레부는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부분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Description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헤어드라이어의 본체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에게 기체를 제공하는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을 젖은 상태에서 원하는 만큼 물기를 제거하거나, 현재 모양으로부터 원하는 모양으로 스타일링하는 경우, 기체토출부를 통해 기체를 토출하는 헤어드라이어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헤어드라이어는 디퓨저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기체의 특성, 예컨대 기체 온도, 기체 속도, 기체의 유동면적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디퓨저는 헤어드라이어의 본체부에 결합되어 기체 특성을 변화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마사지돌기와 같은 케어용 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두피 건강 등을 관리할 수 있다.
관련하여, 한국 실용신안 공개 문헌 20-2011-0002484에는 헤어드라이어에 마련되는 디퓨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서 개시되는 디퓨저는 사용자의 두피 및 모발을 케어할 수 있는 마사지돌기를 개시하고 있다.
위와 같이 디퓨저는 마사지돌기를 포함하는 등 사용자의 두피 및 모발에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마사지 효과를 제공하거나 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인체의 머리는 그 표면이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해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케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두상을 고려한 효율적인 형상을 고려하여 디퓨저를 설계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두상에 대응되는 효율적인 형상을 가지는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두피 및 모발의 케어 효과가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두피 및 모발에 효과적으로 접근하여 케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인체에서 머리의 표면은 평면이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곡면에 대응되고, 따라서 사용자에게 기체를 제공하거나 케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디퓨저의 전단부가 통상의 평면 원형 구조를 가지는 경우, 디퓨저의 일부가 나머지가 사용자의 머리와 이루는 간격이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디퓨저는 일부는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더라도 나머지는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이격된 영역을 통해 기체가 누출되거나 마사지돌기가 사용자의 두피로부터 멀어지거나 케어 효과를 위해 조사되는 빛이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즉, 디퓨저가 사용자의 두상을 고려하지 않은 일반적인 원형 구조를 가지는 경우, 두피 케어를 위한 LED 모듈의 광량이 손실되고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체가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퓨징케이스에 삼각형 형상 구조를 적용하여 LED광량 및 풍량 손실을 최소화하고 사용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고자 한다.
디퓨징케이스는 원추형상을 기준으로 축 중심으로부터 120도 간격으로 3개의 컷팅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컷팅 형상은 대략 구표면 형상에 전체로서 밀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는 후방측이 헤어드라이어의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후방측에 마련된 기체유입홀을 통해 상기 본체부로부터 토출되는 기체가 내부로 유입되며, 전방측에 개방면이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디퓨징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디퓨징케이스는 상기 개방면을 둘러싸는 전방둘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둘레부는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부분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전방둘레부는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이 각각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개방면의 둘레를 따라 서로 교번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은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기체유입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변화되면서 상기 개방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은 측방에서 바라볼 때 곡률을 형성하며 상기 개방면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부분은 오목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전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은 볼록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지며, 중앙을 향할수록 전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퓨징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개방면을 통해 상기 디퓨징케이스의 전방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퓨징케이스의 상기 전방측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면을 차폐하며, 상기 디퓨징케이스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배출홀을 포함하는 배출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커버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출커버 전방의 대상을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마사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커버는 측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전방둘레부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며 상기 전방둘레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커버는 전방을 향하는 전면이 중앙을 향할수록 후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를 토출하는 기체토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기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기체가 내부로 유입되고, 내부로 유입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디퓨저를 포함한다.
상기 디퓨저는 후방측이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후방측에 마련된 기체유입홀을 통해 상기 기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기체가 내부로 유입되며, 전방측에 개방면이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디퓨징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디퓨징케이스는 상기 개방면을 둘러싸는 전방둘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둘레부는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부분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은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기체유입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변화되면서 상기 개방면을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방둘레부는 측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이 곡률을 형성하며 상기 개방면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부분은 오목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전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증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부분은 볼록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가까울수록 전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두상에 대응되는 효율적인 형상을 가지는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두피 및 모발의 케어 효과가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디퓨저를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헤어드라이어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기체토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디퓨저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에 마련된 제1부분을 측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에 마련된 제2부분을 측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00)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헤어드라이어(100)에서 디퓨저(200)가 분리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헤어드라이어(100)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 손잡이부(180) 및 디퓨저(2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부(1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기체가 토출되는 기체토출부(15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기체가 유동하는 기체유로(111)가 형성될 수 있고,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전방에서 바라볼 때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 후, 좌, 우, 상 및 하의 정의는 본체부(110)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2를 참고하면 기체토출부(150)는 본체부(110)의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고, 손잡이부(180)는 본체부(110)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체부(1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는 기체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며, 기체유입부는 본체부(110) 또는 손잡이부(18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3과 같이 기체유입부가 손잡이부(180)에 구비된 경우에는 기체유로(111)가 손잡이부(180)로부터 본체부(110)까지, 구체적으로 기체유로(111)는 기체유입부로부터 기체토출부(15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10) 또는 손잡이부(180)에 마련되는 기체유입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기체가 유입되고,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는 상기 기체유로(111)를 따라 유동되어 본체부(110)에 마련되는 기체토출부(15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손잡이부(180)는 본체부(1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본체부(110)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180)가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부(180)는 본체부(11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180)가 본체부(110)와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되는 경우, 손잡이부(180)는 본체부(110)의 대한 길이방향이 고정되거나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180)는 힌지결합부를 가지며 본체부(110)에 결합되어 손잡이부(180)의 길이방향이 변화 가능하도록, 즉 본체부(110)에 대해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180)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부위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립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손잡이부(180)의 연장방향은 다양할 수 있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부(110)에서 손잡이부(180)가 연장되는 방향을 하방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00)는 기체를 유동시키고 기체토출부(150)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기체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팬유닛(119)을 포함한다. 팬유닛(119)은 기체유로(111)상에 배치되어 기체를 유동시키며, 본체부(110)의 내부 또는 손잡이부(18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기체유입부가 손잡이부(180)에 배치된 경우, 기체유로(111)는 손잡이부(180)의 기체유입부로부터 본체부(110)의 기체토출부(150)까지 연장될 수 있고, 팬유닛(119)은 손잡이부(180)에 위치되는 기체유로(111)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토출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유닛(117)이 구비될 수 있다. 온도조절유닛(117)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된 온도조절유닛(117)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온도조절유닛(117)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온도조절유닛(117)은 코일 형태의 저항체에 전류를 제공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기체를 가열하는 방식일 수 있다.
다만, 온도조절유닛(117)의 저항체가 반드시 코일 형태가 아닐 수 있고, 열전소자를 이용하는 등 기체를 가열하거나 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00)의 작동방식을 기체 유동과 함께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본체부(110) 또는 손잡이부(180)에 배치되는 전원버튼을 조작한다. 전원버튼이 온 상태가 되면, 팬유닛(119)이 작동되면서 기체가 기체유입부를 통해 헤어드라이어(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기체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는 팬유닛(119)에 의해 기체유로(111)를 따라 유동되어 기체토출부(150)를 향하고, 기체토출부(150)에서는 토출기체가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 과정에서, 기체유로(111)상의 기체는 팬유닛(119)에 의해 유동속도가 조절될 수 있고, 온도조절유닛(117)에 의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00)는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5)는 팬유닛(119), 온도조절유닛(117), 전원버튼 및 조작부는 물론, 후술할 디퓨저(200)의 광조사부(260), 근접센서(269) 및 수분측정돌기(312) 등과 연결되어 상기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15)는 디퓨저(200), 본체부(110) 및 손잡이부(180) 중 어느 하나 또는 전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5)는 본체부(110)에 마련되어 디퓨저(200)와 신호적으로 연결되 수도 있고, 제어부(115)가 복수로 마련되어 디퓨저(200) 및 본체부(110)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팬유닛(119) 및 온도조절유닛(117)의 운전상태 조절은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어부(115)에 미리 설정된 운전모드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5)는 디퓨저(200)의 근접센서(269)를 통해 디퓨저(200)의 전방에 위치되는 대상과의 거리가 기준거리 이하로 확인되면 디퓨저(200)의 광조사부(260)가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5)는 디퓨저(200)의 수분측정돌기(312)를 통해 전방에 위치되는 대상의 임피던스를 확인하고, 상기 임피던스를 통해 상기 대상의 수분량을 결정하며, 상기 수분량이 많을수록 기체토출부(150)의 기체 속도가 증가되도록 팬유닛(119)을 제어하거나, 기체 온도가 증가되도록 온도조절유닛(117)을 제어하거나, 광조사부(260)의 광량이 증가되도록 광조사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체부(110)에 구비되는 기체토출부(150)가 도시되어 있다. 본체부(110)는 도 1 또는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원형이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체부(110)의 단면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00)의 기체토출부(150)를 도 3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체부(110)는 내부에 기체유로(111)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일측이 개방된다. 예컨대, 본체부(1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본체부(110)에서 개방된 일측은 상기 기체유로(111)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기체토출부(150)는 본체부(110)에서 상기 개방된 일측을 차폐하도록 상기 본체부(110)상에 구비될 수 있다.
본체부(110)의 개방된 일측은 기체유로(111)의 단부에 해당될 수 있고, 기체유로(111)의 상기 단부가 기체토출부(150)에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기체토출부(150)는 본체부(11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노출되는 기체유로(111) 및 본체부(110)의 외벽 전단부(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체토출부(150)는 기체가 토출되는 센터부(154) 및 사이드부(15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체유로(111)를 통해 이동되는 기체는 상기 센터부(154) 및 상기 사이드부(156)에 동시에 전달되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센터부(154) 및 사이드부(156)는 기체토출부(150)에서 기체가 토출되는 토출구에 해당될 수 있다. 센터부(154)는 기체토출부(150)의 단면상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단면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다만, 센터부(154)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사각형 등의 다각 형상일 수 있으며, 직경의 크기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사이드부(156)는 센터부(154)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센터부(154)는 기체토출부(150)의 중앙에 대략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이드부(156)는 센터부(154)가 중앙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개구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링 형상이란 연장된 형태가 폐곡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는 원형 링의 형상을 가지는 사이드부(156)가 개시되어 있다.
링 형상은 반드시 원형이 아닐 수 있고, 예컨대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 다각형의 링 형상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이드부(156)는 원형 링 또는 다각형 링 형상일 수 있으며, 도 4에는 대략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지는 사이드부(156)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센터부(154) 및 사이드부(156)는 동일한 기체유로(111)에 함께 연통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손잡이부(180)로부터 연장되는 하나의 기체유로(111)가 존재하며, 기체토출부(150)의 센터부(154) 및 사이드부(156)는 상기 기체유로(111)에 함께 연통되어 동시에 기체를 토출할 수 있다.
사이드부(156)에서 토출되는 토출기체는 기체토출부(150)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기체 전체에 대한 부피감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토출기체 전체의 단면적은 사이드부(156)가 이루는 폐단면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다만, 사이드부(156)의 토출기체는 유동이 진행되면서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고, 사이드부(156)에 의해 기체가 토출되지 않는 단면상 중앙측을 향해 기체 유동 일부가 분산되면서 단면적이 초기보다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이드부(156)의 중앙측에 센터부(154)가 배치되고, 센터부(154)의 토출기체의 영향으로 사이드부(156)의 토출기체가 단면상 중앙측으로 분산되는 현상을 억제한다.
즉, 센터부(154)의 토출기체는 기체토출부(150)의 전체 토출기체에 대한 단면상 중앙측에서 유동되며, 사이드부(156)의 토출기체가 유동과정에서 중앙측으로 분산되는 것을 억제하여 전체 토출기체가 초기의 단면적을 유지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넓은 단면적의 토출기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부피감 있는 기체를 이용하여 드라잉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센터부(154) 및 사이드부(156)를 통해 부피감이 형성된 전체 토출기체는 사용자에게 있어 더 넓은 면적의 드라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센터부(154)와 사이드부(156)가 하나의 기체유로(111)에 연통되므로, 각각의 기체유로(111)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설계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며, 사용자에게 입체적인 토출기체를 제공하는 데에 효율적일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체토출부(150)는 상기 본체부(110)의 개방된 일측에 마련되는 토출베이스(15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베이스(152)는 중앙측에 상기 센터부(154)가 형성되며, 외주면과 상기 본체부(110)의 외벽 사이에 상기 사이드부(15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체부(110)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는 토출베이스(152)가 도시되어 있다. 토출베이스(152)는 본체부(110)에서 상기 일측의 개방된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이나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토출베이스(152)는 본체부(110)의 개방된 전면 형상과 일부 상이하게 마련되어 상기 사이드부(156)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고, 본체부(110)의 외벽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토출베이스(152)는 본체부(110)의 일면,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부(110)의 전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성하며, 중앙에 센터부(154)가 형성되고 외주면과 본체부(110)의 외벽 사이에 사이드부(156)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베이스(152)는 본체부(110)의 개구에 대해 복수의 결합리브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본체부(110)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토출베이스(152)는 상기 토출베이스(152)는 상기 사이드부(156)로부터 상기 센터부(154)를 향할수록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를 향해 만입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토출베이스(152)는 전면의 중앙이 본체부(110) 내부를 향해 만입되어 전면이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토출부(150)로 배출된 토출기체의 유동경로상 센터부(154)의 토출기체가 사이드부(156)의 토출기체보다 상류측에서 토출될 수 있다.
전체 토출기체의 유동경로상 센터부(154)의 토출기체는 사이드부(156)보다 먼저 확산이 시작되면 센터부(154)의 토출기체 단면적이 확산을 통해 증가될 수 있고, 단면적이 증가된 센터부(154)의 토출기체가 사이드부(156)의 토출기체가 중앙측으로 유동 또는 확산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센터부(154)의 토출기체가 확대되는 공간의 일부를 구성하는 토출베이스(152)의 전면이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불필요한 난류의 형성을 방지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베이스부의 전면이 이루는 곡면의 곡률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센터부(154)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센터부(154)를 통해 토출되는 기체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콘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터부(154)는 내측면과 상기 가이드콘 사이로 기체가 토출될 수 있다.
도 4에는 센터부(154)의 중앙에 배치되는 가이드콘이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콘이 배치됨에 따라, 센터부(154)의 토출기체는 센터부(154)의 내측면과 가이드콘의 외측면 사이 공간으로 토출된다.
가이드콘이 센터부(154)의 중앙에 배치되는 경우, 센터부(154)는 링 형상의 토출구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센터부(154)의 토출기체는 링 형상을 단면을 가지며 상기 센터부(154)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터부(154)의 토출기체는 사이드부(156)의 토출기체가 유동과정에서 중앙측으로 만입되어 단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억제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센터부(154)의 중앙에 가이드콘을 배치하여 센터부(154)의 토출기체가 단면상 외측으로 확산되는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가이드콘에 배치되어 센터부(154)의 토출기체가 가지는 단면적이 증가되면, 사이드부(156)의 토출기체가 단면상 내측으로 유동되는 현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콘은 상기 기체유로(111)를 향해 돌출된 후단부 및 상기 센터부(154)의 기체 토출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전단부가 각각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원뿔 형상이란, 단면이 원형을 가지며 길이가 증가할수록 원의 직경이 점차 감소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다만, 상기 원뿔 형상에서 상기 원형은 타원 등과 같이 정형적인 원의 형태 외의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직경의 감소는 반드시 일정하지 않을 수 있고, 예컨대 직경 감소율이 점차 증가하거나 점차 감소할 수도 있다.
가이드콘의 전단부가 원뿔 형태로 돌출됨에 따라, 센터부(154)의 토출기체가 센터부(154)의 테두리측으로 집중되는 효과가 증대되고, 따라서 사이드부(156)의 토출기체가 센터부(154)의 토출기체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가이드콘의 외주면은 센터부(154)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가이드콘의 외주면과 센터부(154)의 내주면간 이격거리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콘은 토출베이스(152)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외면이 가지는 곡률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체토출부(150)는 토출가이드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가이드링은 상기 센터부(154)의 상기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센터부(154)의 기체 토출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콘과 함께 기체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4에는 센터부(154)에 가이드콘 및 토출가이드링이 구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토출가이드링은 센터부(154)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토출베이스(152)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토출베이스(152)와 별도로 성형되어 센터부(154)의 내주면상에 결합될 수도 있다.
토출가이드링은 기체의 토출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센터부(154) 또는 토출베이스(152)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센터부(154)에서 돌출된 가이드콘 및 토출가이드링에 의해 센터부(154)의 토출기체의 유동은 가이드콘 및 토출가이드링 사이로 집중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링의 돌출된 단부는 기체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토출가이드링의 직경은 부위별로 상이할 수 있으며, 형상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200)가 도시되어 있다. 디퓨저(200)는 본체부(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기체토출부(150)로부터 토출되는 기체가 내부로 유입되고, 내부로 유입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저(200)를 포함할 수 있고, 디퓨저(200)는 헤어드라이어(100)의 본체부(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디퓨저(200)는 본체부(110)의 기체토출부(150)로부터 토출되는 기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퓨저(200)는 후방측이 기체토출부(150)를 덮도록 본체부(110)에 결합될 수 있고, 기체토출부(150)로부터 토출되는 기체가 후방측의 기체유입홀(215)을 통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두피 또는 모발의 관리를 위해 디퓨저(20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두피 케어를 위해 후술할 마사지돌기(310) 및 광조사부(260)를 포함하는 디퓨저(200)를 사용하거나 모발의 건조단계에서 필요에 따라 기체의 유동 단면적이 증가되는 디퓨저(200)를 이용할수도 있다.
디퓨저(200)는 후방측이 본체부(110)의 전단부(112)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부(110)의 전단부(112)에는 제1결합부(120)가 마련될 수 있고, 디퓨저(200)의 후방측에는 상기 제1결합부(120)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디퓨저(200)와 본체부(110)간의 결합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디퓨저(200)는 나사 결합, 끼워맞춤 결합, 자력 결합, 슬라이딩 결합 등의 방식으로 본체부(110)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110)로부터 기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퓨저(200)가 본체부(11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본체부(110)의 기체토출부(150)로부터 토출되는 기체를 그대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디퓨저(200)를 탈거하여 헤어드라이어(100)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확산된 유동 단면적을 원하는 경우 디퓨저(20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디퓨저(200)는 디퓨징케이스(210) 및 배출커버(300)를 포함할 수 있고, 디퓨징케이스(210) 및 배출커버(300)는 디퓨저(2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디퓨저(200)는 후방측에서 전방측을 향할수록 내경이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디퓨저(200)의 디퓨징케이스(210)는 후방측(212)에서 전방측(211)을 향할수록 전방에서 바라본 내부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토출부(150)로부터 전달된 기체는 디퓨저(200)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할수록 기체 속도가 감소되면서 유동 단면적이 증가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발의 자연스러운 건조, 스타일링 등을 위해 디퓨저(200)를 이용할 수 있다.
디퓨징케이스(210)는 전방측(211)이 개방되어 전면에 개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저(200), 즉 디퓨징케이스(210)의 전면은 전체로서 개방면에 해당되거나 일부가 개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디퓨저(200)의 내부에 존재하는 기체는 상기 디퓨징케이스(210)의 개방면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디퓨저(200) 내부의 기체는 디퓨징케이스(210)의 전방측(211)을 통해 전방으로 배출되면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디퓨저(200)는 디퓨징케이스(210)의 전방측(211)에 마련되는 개방면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고, 배출커버(300)가 상기 개방면에 결합된 상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퓨징케이스(210)의 전방측(211)에 개방면이 존재하고, 상기 개방면에 배출커버(300)가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디퓨징케이스(210)의 전방측(211)에 형성되는 개방면에 결합되는 배출커버(300)는 기체가 배출될 수 있는 기체배출홀(305)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커버(300)는 디퓨징케이스(210)의 개방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방면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디퓨징케이스(210)에 결합될 수 있다.
기체배출홀(305)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배출커버(300)의 전면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분포될 수 있다. 도 5에는 전면상에서 균일하게 분포되어 배열된 복수의 기체배출홀(305)이 형성된 배출커버(300)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디퓨저(200)는 배출커버(300)의 전면에서 전체적으로 기체가 배출될 수 있고, 사용자는 배출커버(300)의 전방으로 배출되며 균일하게 분산된 기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배출커버(300)는 디퓨저(200)의 반경방향을 따라 최외곽측에 위치되는 테두리부(302)가 디퓨징케이스(210)에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디퓨징케이스(210)는 전방측(211)의 개방면을 둘러싸는 전방둘레부(236)를 가지며, 배출커버(300)는 테두리부(302)가 상기 전방둘레부(236)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방둘레부(236)에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200)는 디퓨징케이스(210)의 전방둘레부(236)에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이 마련될 수 있고,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은 디퓨징케이스(210)의 후방측(212), 예컨대 디퓨징케이스(210)의 기체유입홀(215)과의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배출커버(300)는 테두리부(302)가 상기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성형되어 디퓨징케이스(210)의 전방둘레부(236)에 전체적으로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퓨징케이스(210)의 전방둘레부(236) 및 배출커버(300)의 데투리부가 곡률을 가지며 디퓨저(200)의 외주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상이하게 성형되면서 임의의 곡면을 가지는 사용자의 두상에 맞추어 설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두피 또는 모발과의 밀착율이 효과적으로 증가되어 사용자의 머리와 디퓨저(200) 사이에 이격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커버(300) 전방으로 배출되는 기체 또는 광조사부(260)에 의해 제공되는 빛이 사용자의 두피 또는 모발에 전달되는 양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측방에서 바라볼 때 곡선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디퓨징케이스(210)의 전방둘레부(236) 및 배출커버(300)의 테두리부(302)를 통해 인체공학적 설계가 이루어지며, 이 경우 통계적으로 결정되는 표준 신체 두상을 기반으로 상기 전방둘레부(236) 및 테두리부(302)의 곡률 등이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표준 신체 두상이 가지는 형상으로부터 R127 곡률 설계를 정의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전방둘레부(236) 및 테두리부(302)의 형상을 설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퓨저(200)의 사용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디퓨징케이스(210)의 내부에 근접센서(269)가 마련될 수 있고, 디퓨저(200)의 전방에 위치되는 대상, 예컨대 사용자의 모발이나 두피에 대한 근접센서(269)의 거리 측정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배출커버(300)에 개방영역(30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근접센서(269)는 전방의 대상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압력, 초음파, 적외선 등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고, 위와 같은 근접센서(269)의 측정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배출커버(300)는 상기 근접센서(269)의 전방에 대응되는 영역이 개방되어 개방영역(30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복수의 마사지돌기(310)가 마련된 배출커버(30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마사지돌기(310)는 디퓨저(20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된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사용자의 두피를 가압하여 마사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마사지돌기(310)의 단면 형상, 돌출 길이, 배열 형태 등은 설계적으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출커버(300) 전면을 통해 확산된 기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 마사지돌기(310)를 통해 사용자의 두피가 마사지되도록 하여 향상된 사용편의성과 두피 및 모발 케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200)를 분해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디퓨저(200) 내부 단면을 나타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200)는 디퓨징케이스(210), 가이드프레임(240), 광조사부(260), 광확산프레임(280) 및 배출커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퓨징케이스(210)는 후방측(212)이 본체부(110)와 결합될 수 있고, 전방측(211)에 개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디퓨징케이스(210)는 후방측(212)에서 전방측(211)을 향할수록 내경이 증가되어 내부의 기체가 확산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본체부(110)의 기체토출부(150)를 통해 배출되는 기체는 디퓨징케이스(210) 내부를 유동하면서 유동단면적이 증가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6 및 7에는 후방측(212)에서 전방측(211)을 향할수록 내경이 증가되고, 그에 따라 외경도 동일하게 증가되는 디퓨징케이스(210)가 도시되어 있다.
디퓨징케이스(210)의 후방측(212)에는 기체유입홀(215)이 마련될 수 있다. 디퓨징케이스(210)가 본체부(110)에 결합되면 기체유입홀(215)은 기체토출부(150)를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기체토출부(150)로부터 토출되는 기체가 기체유입홀(215)을 통해 디퓨징케이스(2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기체유입홀(215)은 후방에서 바라볼 때 디퓨징케이스(210)의 후방측(212)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고, 단면 형상은 기체토출부(150)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기체유입홀(215)은 기체토출부(150)의 사이드부(156)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기체토출부(150)로부터 토출되는 기체가 온전히 기체유입홀(215)을 거쳐 디퓨징케이스(2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디퓨징케이스(210)의 후방측(212)에는 본체부(110)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디퓨징케이스(210)는 후방측(212)에서 상기 기체유입홀(215)을 둘러싸는 후방둘레부(217)를 포함할 수 있고, 제2결합부(220)는 후방둘레부(217)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결합부(220)는 결합슬리브(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슬리브(224)는 후방둘레부(217)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슬리브(224)는 본체부(110)의 전단부(112)를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결합부(220)는 후방둘레부(217)의 내부에 매립되거나 상기 후방둘레부(217)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2자성체결부(227)를 가질 수 있고, 결합슬리브(224)의 내측면 등에 마련되는 전력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전단부(112)에는 제1결합부(120)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전단부(112)의 외벽 내부에 매립되거나 상기 외벽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자성체결부(127)를 가질 수 있고, 전단부(112)의 외벽 외측면 등에 마련되는 전력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120)는 제2결합부(220)와 결합되며, 제1자성체결부(127)와 제2자성체결부(227)는 적어도 하나가 자력발생부를 포함하여 상호 자력 결합될 수 있다. 자력 결합이란, 자석, 전자석과 같은 자력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력을 통해 상호 결합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전력송신부는 전력수신부와 접촉 또는 연결되어 상기 전력수신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수신부는 디퓨저(200) 내부의 구성, 예컨대 광조사부(260) 등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디퓨징케이스(210)의 전방측(211)에는 전방둘레부(236)에 의해 둘러싸이는 개방면이 형성될 수 있고, 디퓨징케이스(210) 내부의 기체는 상기 전방측(211)의 상기 개방면을 통해 디퓨저(200)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프레임(240)은 디퓨징케이스(2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프레임(240)은 기체유입홀(215)을 통해 유입되는 기체의 유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프레임(240)은 디퓨징케이스(210)의 기체유입홀(215)을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프레임(240)은 중앙에 확산부(241)가 마련될 수 있고, 확산부(24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제1가이드부(246)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가이드부(246)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제2가이드부(251)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프레임(240)은 디퓨저(200)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연결부는 확산부(241), 제1가이드부(246) 및 제2가이드부(251)를 연결시킬 수 있다.
가이드프레임(240)의 확산부(241)는 기체유입홀(215)을 마주보도록 마련되어 기체유입홀(215)을 통해 유입되는 기체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산시키도록 마련된다. 즉, 기체유입홀(215)을 통해 유입되는 기체는 확산부(241)에 의해 유동 단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터부(154) 및 사이드부(156)를 가지는 기체토출부(150)는 상기 센터부(154)로부터 토출되는 기체가 확산부(241)에 의해 유동 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 즉, 확산부(241)는 센터부(154)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센터부(154)로부터 제공되는 기체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산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246)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중앙에 확산부(241)가 위치될 수 있다. 확산부(241)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제1가이드부(246)의 확산부(241)와 동심을 이루며 상기 확산부(241)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246)와 확산부(241) 사이에는 제1유로(258)가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부(246)는 확산부(241)와 이격되어 상기 확산부(241)와의 사이에 제1유로(258)를 형성할 수 있다. 확산부(241)를 통해 확산된 기체는 제1유로(258)를 통해 유동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251)는 제1가이드부(246)와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중앙에 확산부(241) 및 제1가이드부(246)가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가이드부(251)는 확산부(241) 및 제1가이드부(246)와 동심을 이루며 상기 제2가이드부(251)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부(246)의 내경은 확산부(241)의 직경보다 크고, 제2가이드부(251)의 내경은 제1가이드부(246)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확산부(241)와 제1가이드부(246) 사이에 제1유로(258)가 형성될 수 있고, 제1가이드부(246)와 제2가이드부(251) 사이에 제2유로(259)가 형성될 수 있다.
확산부(241)에 의해 확산되는 기체는 상기 제1유로(258) 및 제2유로(259)를 통해 유동될 수 있다. 제2유로(259)의 외경은 기체유입홀(215)의 직경보다 클 수 있고, 따라서 기체유입홀(215)을 통해 유입되는 기체는 확산부(241)에 의해 확산되어 더 큰 유동 단면적을 가지며 유동될 수 있다.
광조사부(260)는 가이드프레임(24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광조사부(260)는 가이드프레임(240)의 전면상에 설치될 수 있다. 광조사부(260)는 회로기판(265)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발광유닛(262)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회로기판(265)은 서로 분리된 복수개로 마련되어 가이드프레임(240)의 확산부(241), 제1가이드부(246) 및 제2가이드부(251)상에 마련될 수 있다.
광조사부(260)는 복수의 회로기판(265)은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회로기판(265)은 중앙기판(266), 제1기판(267) 및 제2기판(268)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기판(266)은 확산부(241)와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확산부(241)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중앙기판(266)은 확산부(241)와 동일하게 원형 단면을 가지며 확산부(241)의 전면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발광유닛(2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267)은 제1가이드부(246)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가이드부(246)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기판(267)은 제1가이드부(246)와 동일하게 링 형상을 가지며 제1가이드부(246)의 전면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발광유닛(2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기판(268)은 제2가이드부(25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가이드부(251)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기판(268)은 제2가이드부(251)와 동일하게 링 형상을 가지며 제2가이드부(251)의 전면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발광유닛(262)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기판(266), 제1기판(267) 및 제2기판(268)은 가이드프레임(240)과 마찬가지로 동심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1기판(267)은 중앙기판(266)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고, 제2기판(268)은 제1기판(267)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기판(267)의 내경은 중앙기판(266)의 직경보다 클 수 있고, 제2기판(268)의 내경은 제1기판(267)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프레임(240)과 마찬가지로, 중앙기판(266)과 제1기판(267) 사이에는 상기 제1유로(258)가 위치될 수 있고, 제1기판(267)과 제2기판(268) 사이에는 상기 제2유로(259)가 위치될 수 있다.
광조사부(260)는 복수의 발광유닛(262)으로 통해 디퓨징케이스(210)의 전방측(211)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광조사부(260)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디퓨징케이스(210)의 전방측(211)을 통해 디퓨저(200)의 전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광조사부(260)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디퓨징케이스(210)의 개방면을 그대로 통과하거나, 배출커버(300)의 기체배출홀(305)을 통과하거나, 배출커버(300)를 투과하거나, 배출커버(300)의 마사지돌기(310)를 투과하며 디퓨저(200)의 전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200)는 전방으로 빛이 조사됨으로써, 사용자의 모발 또는 두피를 케어할 수 있다. 광조사부(260)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사용자의 두피 또는 모발을 건조시키거나 열을 제공하면서 두피 및 모발 건강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광조사부(260)의 회로기판(265)상에는 근접센서(269)가 마련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조사부(260)의 중앙기판(266)상에 근접센서(269)가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근접센서(269)는 중앙기판(266)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근접센서(269)는 전방에 위치되는 대상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15)는 근접센서(269)에 의해 측정되는 근접센서(269)와 전방의 대상과의 이격거리에 따라 광조사부(260)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근접센서(269)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대상과의 이격거리가 기준거리 이하인 경우, 제어부(115)는 광조사부(260)를 제어하여 광조사부(260)가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준거리는 설계적으로 또는 제어적으로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다만, 근접센서(269)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이격거리가 기준거리 이하이면 작동되는 물리적인 스위치를 통해 광조사부(260)가 작동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근접센서(269)를 이용함으로써 디퓨저(200) 전방의 대상, 예컨대 사용자의 두피 또는 모발과의 이격거리가 기준거리 이하인 경우에 광조사부(260)가 작동됨에 따라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동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근접센서(269)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두피 또는 모발로부터 가압력이 작용하는지 감지하는 압력센서일 수 있고, 상기 두피 또는 모발과의 이격거리가 감소됨에 따라 감지되는 빛의 양이 감소되는 수준을 측정하는 감광센서일 수도 있다.
또한, 근접센서(269)는 전방의 대상, 즉 사용자의 두피 또는 모발로부터 전달되는 적외선을 측정하여 상기 두피 또는 모발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IR센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근접센서(269)는 전방으로 적외선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광확산프레임(280)은 광조사부(26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광확산프레임(280)은 광조사부(260)의 전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광확산프레임(280)은 상기 광조사부(260)의 전방측에서 상기 광조사부(260)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광확산프레임(280)은 중앙광확산부(282), 제1광확산부(284) 및 제2광확산부(286)를 포함할 수 있다. 광확산프레임(280)은 중앙광확산부(282), 제1광확산부(284) 및 제2광확산부(286)를 연결하는 광확산연결부(2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광확산부(282)는 중앙기판(266)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중앙기판(266)은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중앙광확산부(282)는 중앙기판(266)과 동일하게 원형 단면을 가지며 확산부(241)의 전면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광확산부(284)는 제1기판(267)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기판(267)은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광확산부(284)는 제1기판(267)과 동일하게 링 형상을 가지며 제1기판(267)의 전면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광확산부(286)는 제2기판(268)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기판(268)은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광확산부(286)는 제2기판(268)과 동일하게 링 형상을 가지며 제2기판(268)의 전면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중앙광확산부(282), 제1광확산부(284) 및 제2광확산부(286)는 가이드프레임(240) 및 광조사부(260)와 마찬가지로 동심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1광확산부(284)는 중앙광확산부(282)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고, 제2광확산부(286)는 제1광확산부(284)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광확산부(284)의 내경은 중앙광확산부(282)의 직경보다 클 수 있고, 제2광확산부(286)의 내경은 제1광확산부(284)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프레임(240)과 마찬가지로, 중앙광확산부(282)와 제1광확산부(284) 사이에는 상기 제1유로(258)가 위치될 수 있고, 제1광확산부(284)와 제2광확산부(286) 사이에는 상기 제2유로(259)가 위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200)는 제1유로(258) 및 제2유로(259)가 가이드프레임(240), 광조사부(260) 및 광확산프레임(280)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광확산연결부(288)는 가이드연결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연결부 및 광확산연결부(288)는 디퓨저(200)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광확산연결부(288)는 가이드연결부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광확산프레임(280)은 광확산연결부(288)가 가이드연결부에 체결됨으로써 디퓨징케이스(210)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이드프레임(240)이 복수의 구성으로 마련된 상태에서 가이드연결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구성을 단일 구성과 같이 취급할 수 있어 설계적으로 유리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다.
또한, 광확산프레임(280)이 복수의 구성으로 마련된 상태에서 광확산연결부(288)를 통해 상기 복수의 구성을 단일 구성과 같이 취급할 수 있어 설계적으로 유리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다.
나아가, 광확산프레임(280)의 광확산연결부(288)가 가이드프레임(240)의 가이드연결부에 결합됨으로써 중앙광확산부(282), 제1광확산부(284) 및 제2광확산부(286)가 모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 결합관계상 유리하다.
광확산프레임(280)은 빛이 투과되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광확산프레임(28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광조사부(260)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광확산프레임(280)을 투과하며 산란 및 확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200)는 광조사부(260)의 전방에 광확산프레임(280)으로 마련됨으로써, 광조사부(26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산란 및 확산되어 더 넓은 면적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광확산프레임(280)은 전면 또는 후면에 빛의 확산 또는 산란을 위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광확산프레임(280)의 표면에는 에칭이 이루어지거나 레이저 가공 등을 통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중앙광확산부(282)는 중앙기판(266)의 전면을 차폐하도록 마련되고, 중앙기판(266)에 마련되는 근접센서(269)에 의한 디퓨저(200) 전방의 대상간 이격거리 측정이 용이하도록, 상기 근접센서(269) 전방에 대응되는 위치가 개방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중앙기판(266)의 중앙에 근접센서(269)가 마련되고, 중앙광확산부(282)는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근접센서(269)를 전방으로 노출시키도록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배출커버(300)는 가이드프레임(240), 광조사부(260) 및 광확산프레임(280)이 내장된 디퓨징케이스(210)의 전방측(211)에 형성되는 개방면을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커버(300)에는 복수의 기체배출홀(305)이 형성되어 기체가 배출될 수 있고 전방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다.
배출커버(300)는 디퓨징케이스(210)의 전방둘레부(236)와 대응되도록 테두리부(302)가 측방에서 바라볼 때 곡률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전방에서 바라볼 때 중앙을 향할수록 후방으로 만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배출커버(300)는 전면이 중앙을 향할수록 후방으로 마련되는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두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에게 기체와 빛을 공급하며 마사지돌기(310)를 통해 마사지 효과를 제공하는 데에 최적화될 수 있다.
배출커버(300)의 전면상에서 전방으로 돌출 또는 연장되는 마사지돌기(31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의 두피 및 모발과의 접촉감이 향상되고 상기 두피 및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표면상에 접촉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는 실리콘 등의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마사지돌기(310) 중 일부는 수분측정돌기(312)에 해당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200)에서 복수의 마사지돌기(310)는 수분측정돌기(3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분측정돌기(312)는 사용자의 두피 또는 모발의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분측정돌기(312)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통해 임피던스, 즉 생체전기저항을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분측정돌기(312)는 제어부(115)와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115)는 수분측정돌기(312)를 통해 파악되는 전압, 전류, 저항 등을 이용하여 상기 임피던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임피던스에 따라 사용자의 두피 또는 모발의 수분량을 결정하며, 결정된 수분량에 따라 팬유닛(119), 온도조절유닛(117) 또는 광조사부(2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5)는 사용자의 두피 또는 모발의 수분량이 많을수록 기체 속도가 증가되도록 팬유닛(119)을 제어하거나, 기체 온도가 증가되도록 온도조절유닛(117)을 제어하거나, 광량이 증가되도록 광조사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수분측정돌기(312)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분측정돌기(312)는 전기적으로 제1극을 가지는 제1수분측정돌기(315)와, 상기 제1극과 반대되는 제2극을 가지는 제2수분측정돌기(3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5)는 제1수분측정돌기(315) 및 제2수분측정돌기(316)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통해 임피던스 및 수분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제1수분측정돌기(315) 및 제2수분측정돌기(316)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수분측정돌기(312)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어느 한 쌍의 수분측정돌기(312)는 다른 한 쌍의 수분 측정돌기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그 사이에 다른 마사지돌기(310)들이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배출커버(300)의 중앙에는 개방영역(303)이 형성될 수 있다. 근접센서(269)는 광확산프레임(280)에서 개방된 홀 및 배출커버(300)의 개방영역(303)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고, 디퓨저(200) 전방의 대상간의 이격거리를 온전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근접센서(269)의 전방에는 상기 근접센서(269)를 보호하며 적외선 등이 직진하여 투과될 수 있는 보호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7에는 디퓨저(200)의 내부 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디퓨저(200)가 본체부(110)에 결합되어 기체토출부(150)로부터 기체를 공급받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10)의 제1결합부(120)는 제1자성체결부(127)를 포함할 수 있고, 디퓨저(200)의 제2결합부(220)는 제2자성체결부(2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자성체결부(127)와 제2자성체결부(227)간의 자력 결합을 통해 디퓨저(200)가 본체부(110)의 전단부(112)에 결합될 수 있고, 제1결합부(120)가 후크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제2결합부(220)가 상기 후크체결부에 체결되는 후크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디퓨저(200)와 본체부(110)간의 결합 안정성이 강화될 수도 있다.
이하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토출부(150)로부터 토출되는 기체의 유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체토출부(150)는 센터부(154) 및 사이드부(156)에서 기체가 토출된다. 디퓨징케이스(210)의 기체유입홀(215)은 사이드부(156) 이상의 직경으로 마련되어 상기 기체토출부(150)를 마주보도록 마련되어 센터부(154) 및 사이드부(156)로부터 토출되는 기체가 기체유입홀(215)로 유입될 수 있다.
가이드프레임(240)은 디퓨징케이스(210)의 내부에서 기체토출부(150)를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프레임(240)의 확산부(241)는 기체토출부(150)의 센터부(154)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센터부(154)로부터 토출되는 기체는 확산부(241)를 향해 유동된다. 확산부(241)는 센터부(154)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됨에 따라, 센터부(154)로부터 토출되는 기체는 디퓨저(200)의 반경방향을 따라 확산될 수 있다.
확산부(241)는 상기 센터부(154)를 향하는 후면상에 확산돌기(242)가 마련될 수 있고, 확산돌기(242)에 의해 센터부(154)로부터 토출된 기체의 확산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확산돌기(242)는 후방에서 바라볼 때 단면상 중앙을 향할수록 후방으로 돌출된 높이가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센터부(154)로부터 토출된 기체는 적어도 일부가 확산부(241) 및 확산돌기(242)에 의해 가이드프레임(240)에서 확산부(241) 및 제1가이드부(246)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로(258)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사이드부(156)로부터 토출되는 기체는 센터부(154)로부터 토출되는 기체를 외측에서 감싸는 유동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확산부(241)에 의해 센터부(154)의 기체가 확산됨에 따라 상기 사이드부(156)로부터 토출되는 기체 또한 디퓨저(200)의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부(156)로부터 토출되는 기체의 적어도 일부가 센터부(154)로부터 토출된 기체의 적어도 일부는 가이드프레임(240)에서 제1가이드부(246)와 제2가이드부(251)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259)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퓨저(200)는 가이드프레임(240)을 통해 후방측에서 전방측을 향할수록 내경이 증가되는 설계적 특징에도 불구하고 센터부(154) 및 사이드부(156)로부터 토출되는 기체가 유동 형태를 유지하며 디퓨저(200) 전방으로 배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퓨저(200)는 가이드프레임(240)을 통해 센터부(154) 및 사이드부(156)로부터 토출되는 기체의 유동이 특정 형태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더 넓은 유동 단면적을 가지며 효과적으로 분산 및 확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디퓨징케이스(210)의 내부에서 가이드프레임(240)의 전방에는 광조사부(260) 및 광확산프레임(280)이 마련될 수 있고, 광조사부(260) 및 광확산프레임(280)은 가이드프레임(240)과 결합되어 단일 구성과 같이 취급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성이 우수하고 설계적으로 유리한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광조사부(260) 및 광확산프레임(280)은 가이드프레임(240)과 함께 제1유로(258) 및 제2유로(259)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이드프레임(240)과 함께 광조사부(260) 및 광확산프레임(280)이 상기 제1유로(258) 및 제2유로(259)를 형성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가이드프레임(240)에 의해 형성되는 기체의 유동이 효과적으로 유지되며 광조사부(260) 및 광확산프레임(280)을 통과하여 디퓨저(200)의 전방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광조사부(260)는 제1기판(267)이 중앙기판(266)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제2기판(268)이 제1기판(267)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조사부(260)에 마련되는 복수의 발광유닛(262)은 대략 후방으로 만입되는 구면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발광유닛(262)은 전방에 위치될수록 광조사부(260)의 중앙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이격된 거리가 증가되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유닛(262)의 배열은 후방으로 만입되는 배출커버(300)의 전면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조사부(260)에 마련되는 복수의 발광유닛(262)이 곡률을 가지는 사용자의 두상에 대응되도록 곡면을 이루도록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두피 및 모발에 균일한 광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광조사부(260)와 마찬가지로, 가이드프레임(240)은 제1가이드부(246)가 확산부(241)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제2가이드부(251)가 제1가이드부(246)보다 전방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가이드부(246)의 전면상에 마련되는 제1기판(267)이 확산부(241)의 전면상에 마련되는 중앙기판(266)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제2가이드부(251)의 전면상에 마련되는 제2기판(268)이 상기 제1기판(267)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광확산프레임(280) 또한 광조사부(260)와 마찬가지로, 제1광확산부(284)가 중앙광확산부(282)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제2광확산부(286)가 제1광확산부(284)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확산프레임(280)과 광조사부(260)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광의 균일한 분산 및 산란이 유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프레임(240)은 제2가이드부(251)가 제1가이드부(246)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제1가이드부(246)가 확산부(241)보다 전방에 위치됨에 따라, 기체유입홀(215)로부터 유입되는 기체가 반경방향으로 확산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고, 기체가 제1유로(258) 및 제2유로(259)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중앙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전방에 위치되는 가이드프레임(240), 광조사부(260) 및 광확산프레임(280)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7에는 근접센서(269)를 둘러싸는 광차단부(271)가 도시되어 있다. 광차단부(271)는 디퓨저(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근접센서(269)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근접센서(269) 주변의 발광유닛(262)이 근접센서(269)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차단부(271)는 전방으로 개방되어 근접센서(269)가 디퓨저(200) 전방의 대상간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데에 구조적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근접센서(269)가 상기 대상으로부터 전달되는 적외선을 측정하는 경우, 광차단부(271)가 전방으로 개방되어 상기 대상으로부터 전달되는 적외선이 온전하게 근접센서(269)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광차단부(271)는 중공형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광차단부(271)의 내부에 상기 근접센서(269)가 위치될 수 있다. 광차단부(271)는 중앙기판(266)으로부터 배출커버(300)까지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광차단부(271)는 배출커버(30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배출커버(300)에 일체로 마련되거나 중앙기판(266)에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광차단부(271)는 배출커버(300) 및 중앙기판(266)과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배출커버(300) 및/또는 중앙기판(266)과 결합 또는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00)는 본체부(110), 손잡이부(180) 및 디퓨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를 토출하는 기체토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80)는 상기 본체부(1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디퓨저(200)는 상기 본체부(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기체토출부(150)로부터 토출되는 기체가 내부로 유입되고, 내부로 유입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200)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디퓨저(200)는 디퓨징케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퓨징케이스(210)는 후방측(212)이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되고, 상기 후방측(212)에 마련된 기체유입홀(215)을 통해 상기 기체토출부(150)로부터 토출되는 기체가 내부로 유입되며, 전방측(211)에 개방면이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디퓨징케이스(210)는 상기 개방면을 둘러싸는 전방둘레부(236)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둘레부(236)는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237)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부분(238)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9 및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200)를 측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200)의 제1부분(237)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200)의 제2부분(238)이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퓨징케이스(210)는 전방면, 즉 개방면을 둘러싸는 전방둘레부(236)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둘레부(236)는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은 기체유입홀(215)을 기준으로 전방으로의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부분(237)은 제2부분(238)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8에는 제2부분(238)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제1부분(237) 및 상기 제1부분(237)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제2부분(238)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전방둘레부(236)의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은 상대적인 관계에서 구분 및 정의될 수 있다.
디퓨저(200)는 사용자의 두피 및 모발에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기체를 토출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두상은 평면이 아니며, 일반적인 신체에서 두상은 곡률을 가지는 구의 형상로 이해될 수 있다.
디퓨징케이스(210)는 개방면에 해당되는 전방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기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개방면이 평면을 이루는 경우, 즉 상기 개방면을 측방에서 도 9 및 10과 같이 측방에서 바라볼 때 직선 형상을 가지는 경우는, 구 표면에 해당되는 사용자의 두상에 전체로서 밀착되기 어려울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개방면의 중앙측을 사용자의 두상에 밀착 또는 인접시키게 되면, 개방면의 테두리측은 사용자의 두피 및 모발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개방면의 중앙측이 사용자의 두피와 이루는 거리보다 개방면의 테두리측이 사용자의 두피와 이루는 거리가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방면을 통해 배출되는 기체는 상기 개방면의 테두리와 사용자의 두피 및 모발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손실될 수 있고, 디퓨저(200)를 이용한 케어 효과 등이 저하될 수 있다.
결국, 기체가 배출되는 개방면이 평면을 이루는 경우 사용자의 두피 및 모발과 상기 개방면의 각 위치별로 이격거리에 대한 편차가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개방면이 사용자의 두상과 대응되는 곡면에 해당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개방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설계하는 경우, 디퓨징케이스(210)에서 개방면의 테두리에 대응되는 전방둘레부(236)가 일 평면상에 위치되면 상기 개발면이 곡면을 형성하는 데에 불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퓨징케이스(210) 전방측(211)에 마련되는 개방면이 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방둘레부(236)가 전체로서 일평면상에 위치되지 않고,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으로 구분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거리가 상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1부분(237)과 제2부분(238)의 위치 비교는 측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부분(237)의 전단이 이루는 선과 제2부분(238)의 전단이 이루는 선의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예컨대, 도 9 및 10과 같이 디퓨저(200)를 측방에서 바라볼 때, 제1부분(237)은 전단이 이루는 선이 제2부분(238)의 전단이 이루는 선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제2부분(238)은 전단이 이루는 선이 제1부분(237)의 전단이 이루는 선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개방면이 곡면, 예컨대 구 표면 형상을 이루기 용이하도록,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위치가 상이한 제1부분(237)과 제2부분(238)으로 전방둘레부(236)를 구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제1부분(237)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제2부분(238)은 전방에서 바라볼 때 통상의 원 둘레보다 중앙측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제1부분(237)은 제2부분(238)과 비교할 때 중앙측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퓨징케이스(210)의 전방둘레부(236)가 전방에서 바라볼 때 일반적인 원 형상을 벗어나고, 측방에서 바라볼 때 일반적인 직선 형상을 벗어나도록 마련됨에 따라, 상기 개방면이 효과적으로 곡면을 형상하고 전방둘레부(236)가 전체로서 사용자의 두피로부터 균일한 거리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둘레부(236)는 상기 제1부분(237) 및 상기 제2부분(238)이 각각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개방면의 둘레를 따라 서로 교번하며 배치될 수 있다.
도 9 및 10에 도시된 것처럼 측방에서 바라볼 때 제1부분(237)은 볼록한 부분일 수 있고 제2부분(238)은 오목한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어느 방향으로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거하고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이 교번하며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교번 형태를 통해 일반적인 구 표면에 대응되어 전방둘레부(236)가 전체로서 상기 구표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분(237) 및 상기 제2부분(238)은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기체유입홀(215)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변화되면서 상기 개방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은 측방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일부가 전단이 곡선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이 기체유입홀(215) 또는 디퓨저(200)의 후방측 또는 본체부(110) 등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면서 구 표면에 밀착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분(237) 및 상기 제2부분(238)은 측방에서 바라볼 때 곡률을 형성하며 상기 개방면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체의 머리는 그 표면이 구 표면에 대응될 수 있고, 위와 같은 구 표면에 대응될 수 있도록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은 곡률을 형성하며 개방면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은 측방에서 바라볼 때 전단이 이루는 선이 곡률을 가지는 곡선을 이루며 개방면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이 이루는 곡률은 항상 일정한 것은 아닐 수 있고, 구 표면에 대응될 수 있도록 설계적인 측면에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9 및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곡률을 가지며 개방면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부분(238)은 오목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전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부분(238)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고할 때, 제2부분(238)은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오목하게 굴곡지는 형상은 측방에서 바라본 전단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는 것이며, 전방에서 바라볼 때 오목하게 굴곡진 제2부분(238)이 디퓨징케이스(210)의 내측으로 만입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즉, 디퓨징케이스(210)는 전방에서 바라보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을 유지할 수 있고, 제2부분(238)은 전방에서 바라볼 때 디퓨징케이스(210)의 중앙측으로 만입되는 것이 아니며, 단지 전방으로의 연장 길이, 즉 전단이 이루는 형상이 곡선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전단이 이루는 선이 곡선을 이루도록 오목하게 굴곡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부분(237) 또는 제2부분(238)의 형상적 특징이 3차원적을 기준으로 도출되는 것이기 때문이며, 도 8에서는 제2부분(238)이 제1부분(237)보다 디퓨징케이스(210)의 단면상 중앙으로 만입된 것으로 이해될 여지가 있으나, 이는 특히 전방에서 바라본 형상이기 때문에 그러한 것이고, 실제로 제2부분(238)은 전단의 연장된 길이의 변화를 통해 상기 전단이 곡선을 이루는 것일 뿐, 반드시 전방에서 바라본 특정 평면상에서 제2부분(238)이 제1부분(237)보다 디퓨징케이스(210)의 중앙측으로 침범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제2부분(238) 관련하여, 사용자의 머리가 구 표면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할 때, 3차원적 특성상 제1부분(237)이 사용자의 머리가 밀착되더라도 제2부분(238)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머리 부위는 상기 제1부분(237)에 대응되는 부위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부분(238)이 제1부분(237)보다 오목하게 굴곡지도록 마련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구 표면으로 간주되는 사용자의 머리에 제1부분(237)은 물론 제2부분(238)까지 밀착될 수 있어 기체를 제공하거나 광을 조사하거나 마사지를 수행하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분(237)은 볼록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지며, 중앙을 향할수록 전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방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제1부분(237)이 도시되어 있다. 제1부분(237)은 한 쌍의 제2부분(238)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제2부분(238) 또한 한 쌍의 제1부분(23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부분(237) 또한 제2부분(238)과 마찬가지로 볼록하게 굴곡지는 형상은 측방에서 바라본 전단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는 것이며, 전방에서 바라볼 때 볼록하게 굴곡진 제1부분(237)이 디퓨징케이스(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이러한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의 특징은 도 9 및 10에서 디퓨징케이스(210)의 형상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제1부분(237) 관련하여, 사용자의 머리가 구 표면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할 때, 3차원적 특성상 제2부분(238)이 사용자의 머리가 밀착된 상태에서 제1부분(237)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머리 부위는 제2부분(238)보다 더 만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부분(237)이 제2부분(238)보다 오목하게 굴곡지도록 마련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구 표면으로 간주되는 사용자의 머리에 제1부분(237)이 입체적으로 밀착될 수 있어 기체를 제공하거나 광을 조사하거나 마사지를 수행하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다.
제1부분(237)은 측방에서 바라볼 때, 전방둘레부(236)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가까울수록 전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더 증가되도록 마련되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부분(238)은 측방에서 바라볼 때, 전방둘레부(236)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가까울수록 전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감소되도록 마련되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며 전방둘레부(236)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변화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곡률이 둘레를 따라 변화하면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9 및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측방에서 바라볼 때, 꼭지점 부분이 라운딩 처리되는 대략 삼각형 형태의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는 중앙측이 가장 전방에 위치되는 제1부분(237)이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중앙측이 가장 후방에 위치되는 제2부분(238)의 오목한 형태가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이 가지는 형상은 사용자의 두상에 밀착되는 데에 최적화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디퓨징케이스(210)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개방면을 통해 상기 디퓨징케이스(210)의 전방측(211)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조사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퓨징케이스(210)의 개방면이 평면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광조사부(260)가 사용자의 머리를 향해 빛을 조사하게 되면, 전방둘레부(236)의 일부분은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 또는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으나 나머지부분은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공간을 통해 광조사부(260)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일부가 외부로 누출되어 손실될 수 있어 사용자의 두피 및 모발 케어 효과가 저감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전방으로 볼록하게 마련되는 제1부분(237)과 후방으로 오목하게 마련되는 제2부분(238)이 형성되는 전방둘레부(236)는 전체로서 사용자의 머리에 균일하게 밀찰 또는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따라서 광조사부(26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외부로 누출 및 손실되는 상황을 최소화하여 케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퓨저(200)는 배출커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배출커버(300)는 상기 디퓨징케이스(210)의 상기 전방측(211)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면을 차폐하며, 상기 디퓨징케이스(210)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배출홀(30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기체 또는 광조사부(260)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배출커버(300)를 통해 사용자의 두피 및 모발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커버(300)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출커버(300) 전방의 대상을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마사지돌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퓨저(200)는 마사지돌기(310)를 통해 사용자의 두피를 마사지할 수 있고, 디퓨징케이스(210)의 전방둘레부(236)가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을 가지도록 마련됨에 따라, 배출커버(300)와 사용자의 머리간 밀착 수준이 향상될 수 있고 마사지 효과 또한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커버(300)는 측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전방둘레부(236)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며 상기 전방둘레부(236)의 내측에 위치되는 테두리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출커버(300)는 디퓨징케이스(210)의 내측면상에 위치되는 테두리부(302)가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을 가지는 전방둘레부(236)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됨에 따라, 상기 전방둘레부(236)와 함께 사용자의 머리에 전체로서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커버(300)는 전방을 향하는 전면이 중앙을 향할수록 후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퓨저(200)에 배출커버(300)가 마련된 경우, 배출커버(300)는 전술한 개방면의 형상을 정의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즉, 배출커버(300)는 중앙을 향할수록 후방으로 만입되는 구 표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나아가 배출커버(300)의 테두리부(302) 및 디퓨징케이스(210)의 전방둘레부(236)가 제1부분(237) 및 제2부분(238)의 형성으로 구 표면에 전체로서 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됨에 따라, 상기 배출커버(300)가 전면은 물론 그 테두리부(302)까지 구 표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될 수 있고, 마사지, 기체 배출 및 광조사의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헤어드라이어 110 : 본체부
115 : 제어부 117 : 온도조절유닛
119 : 팬유닛 120 : 제1결합부
127 : 제1자성체결부 150 : 기체토출부
154 : 센터부 156 : 사이드부
180 : 손잡이부 200 : 디퓨저
210 : 디퓨징케이스 215 : 기체유입홀
217 : 후방둘레부 220 : 제2결합부
224 : 결합슬리브 227 : 제2자성체결부
236 : 전방둘레부 240 : 가이드프레임
241 : 확산부 242 : 확산돌기
246 : 제1가이드부 251 : 제2가이드부
253 : 가이드연결부 258 : 제1유로
259 : 제2유로 260 : 광조사부
262 : 발광유닛 265 : 회로기판
266 : 중앙기판 267 : 제1기판
268 : 제2기판 269 : 근접센서
271 : 광차단부 280 : 광확산프레임
282 : 중앙광확산부 284 : 제1광확산부
286 : 제2광확산부 288 : 광확산연결부
300 : 배출커버 302 : 테두리부
305 : 기체배출홀 310 : 마사지돌기
312 : 수분측정돌기 315 : 제1수분측정돌기
316 : 제2수분측정돌기

Claims (15)

  1. 후방측이 헤어드라이어의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후방측에 마련된 기체유입홀을 통해 상기 본체부로부터 토출되는 기체가 내부로 유입되며, 전방측에 개방면이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디퓨징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징케이스는 상기 개방면을 둘러싸는 전방둘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둘레부는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부분보다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은 측방에서 바라볼 때 곡률을 형성하며 상기 개방면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부분은 전방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부분은 후방으로 오목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디퓨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둘레부는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이 각각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개방면의 둘레를 따라 서로 교번하며 배치되는 디퓨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은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기체유입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변화되면서 상기 개방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디퓨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징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개방면을 통해 상기 디퓨징케이스의 전방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디퓨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징케이스의 상기 전방측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면을 차폐하며, 상기 디퓨징케이스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배출홀을 포함하는 배출커버;를 더 포함하는 디퓨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커버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출커버 전방의 대상을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마사지돌기를 포함하는 디퓨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커버는,
    측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전방둘레부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며 상기 전방둘레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디퓨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커버는 전방을 향하는 전면이 중앙을 향할수록 후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가지는 디퓨저.
  12.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를 토출하는 기체토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기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기체가 내부로 유입되고, 내부로 유입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디퓨저;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저는,
    후방측이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후방측에 마련된 기체유입홀을 통해 상기 기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기체가 내부로 유입되며, 전방측에 개방면이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디퓨징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징케이스는 상기 개방면을 둘러싸는 전방둘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둘레부는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부분보다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은 측방에서 바라볼 때 곡률을 형성하며 상기 개방면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부분은 전방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부분은 후방으로 오목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헤어드라이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은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기체유입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변화되면서 상기 개방면을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헤어드라이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둘레부는 측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이 곡률을 형성하며 상기 개방면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헤어드라이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오목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전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증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부분은 볼록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가까울수록 전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증가되도록 마련되는 헤어드라이어.
KR1020200044035A 2020-04-10 2020-04-10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366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035A KR102366461B1 (ko) 2020-04-10 2020-04-10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EP20930602.6A EP4133967A4 (en) 2020-04-10 2020-09-11 DIFFUSER AND HAIRDRYER INCLUDING IT
PCT/KR2020/012288 WO2021206233A1 (ko) 2020-04-10 2020-09-11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US17/077,917 US11647822B2 (en) 2020-04-10 2020-10-22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a diffuser
TW109136746A TWI793465B (zh) 2020-04-10 2020-10-22 擴散器及具有擴散器的吹風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035A KR102366461B1 (ko) 2020-04-10 2020-04-10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342A KR20210126342A (ko) 2021-10-20
KR102366461B1 true KR102366461B1 (ko) 2022-02-23

Family

ID=7800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035A KR102366461B1 (ko) 2020-04-10 2020-04-10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47822B2 (ko)
EP (1) EP4133967A4 (ko)
KR (1) KR102366461B1 (ko)
TW (1) TWI793465B (ko)
WO (1) WO20212062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652A1 (en) * 2020-02-18 2021-08-26 Spectrum Brands, Inc. Hair dryer assembly having hair receiving channel
CN115461585B (zh) * 2021-12-31 2024-01-05 深圳汝原科技有限公司 附件、干燥设备及干燥组件
USD1021238S1 (en) 2022-06-02 2024-04-02 Sharkninja Operating Llc Hair care appli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6700B1 (ja) * 2017-09-14 2018-06-20 テスコム電機株式会社 気流吐出ユニット及び流体機器

Family Cites Families (9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106A (en) 1908-12-14 1909-11-02 William A Soles Hair-drying apparatus.
US2560808A (en) 1948-11-26 1951-07-17 James C Maccallum Germicidal hair drier or the like
US3265075A (en) 1963-09-19 1966-08-09 Gen Electric Hair curling and drying apparatus with magnetic coupling
JPS5579904U (ko) * 1978-11-30 1980-06-02
JPS5869811A (ja) 1981-10-20 1983-04-26 Lion Corp 外皮用組成物
KR850002139Y1 (ko) * 1983-09-06 1985-10-07 김유목 송풍온도 조절이 용이한 두발건조기
JPS60175823A (ja) 1984-02-22 1985-09-10 Seiko Seiki Co Ltd 磁気軸受
JPS6455803A (en) 1987-08-26 1989-03-02 Norichika Takebe Polymer thermistor disposing structure
US5568691A (en) 1992-09-22 1996-10-29 Secajo, Ltd. Hair dryer apparatus adapted for multi-functional usage
US5275339A (en) * 1992-12-10 1994-01-04 Andis Company Diffuser for hair dryer
JP3222699B2 (ja) 1994-10-18 2001-10-29 株式会社東芝 パターン認識装置
DE4445237C1 (de) * 1994-12-17 1996-05-02 Braun Ag Haarformungswerkzeug
BR9606637A (pt) 1995-09-13 1997-09-16 Philips Electronics Nv Utensílio para tratamento dos cabelos(com medição da umidade do cabelo medindo a resistência do cabelo) e circuito para converter o valor de resistência de um resistor em um sinal de medição
KR19980026628U (ko) 1996-11-12 1998-08-05 김광호 헤어드라이어의 전열장치
FR2766338B1 (fr) 1997-07-22 1999-09-10 Seb Sa Accessoire de seche-cheveux destine a la neutralisation des charges electrostatiques des cheveux
KR20010086200A (ko) 1998-07-30 2001-09-10 요트.게.아. 롤페즈 헤어 드라이어
US5954064A (en) 1999-01-15 1999-09-21 M Head, Llc Hair styling pieces with reattachable handle
US6601316B2 (en) 2001-09-04 2003-08-05 Shaw, Ii James Malcomb Selectively joined hair dr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hair
ITMI20010566U1 (it) 2001-10-25 2003-04-25 Troletti Adriano Apparecchio asciugacapelli, ad elevata praticita' di impiego
USD477112S1 (en) * 2002-08-26 2003-07-08 Sun Luen Electrical Manufacturing Co. Ltd. Accessory for hair dryer
US7040037B2 (en) * 2004-05-21 2006-05-09 Kenford Industrial Company Limited Hairdryer diffuser
US7380347B2 (en) 2005-11-30 2008-06-03 Coats Carrie R Cordless electric hair dryer with case
US8434238B2 (en) 2007-06-29 2013-05-07 Andis Company Hair dryer with light source
US7946056B2 (en) 2008-01-23 2011-05-24 Kroll Family Trust Ambulatory hairdryer
KR101155135B1 (ko) * 2008-12-09 2012-06-11 (주)비앤피테크 엘이디 탈부착형 헤어드라이기
JP5495253B2 (ja) * 2009-07-14 2014-05-2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ヘアードライヤー
KR20110002484U (ko) 2009-09-04 2011-03-10 주식회사 씨엠인터내셔널아이엔씨 헤어드라이어 열축적 디퓨저 구조
US20110209721A1 (en) * 2009-11-25 2011-09-01 Goody Products, Inc. Ultrasonic Hair Dryer
US8387271B2 (en) * 2010-02-12 2013-03-05 Farouk Systems, Inc. Hair dryer
JP2012019865A (ja) 2010-07-13 2012-02-02 Sanyo Electric Co Ltd ヘアードライヤー
KR101056026B1 (ko) 2011-04-14 2011-08-10 (주)상아프론테크 통기장치
JP2012239535A (ja) 2011-05-17 2012-12-10 Sharp Corp ヘアドライヤ
JP5958893B2 (ja) 2012-02-09 2016-08-02 学校法人東京電機大学 ヘアードライヤ用のマルチノズル
GB201205683D0 (en) 2012-03-30 2012-05-16 Dyson Technology Ltd A hand held appliance
WO2014006365A1 (en) 2012-07-04 2014-01-09 Dyson Technology Limited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CN104918593A (zh) 2012-11-13 2015-09-16 J·大卫 光疗皮肤装置
KR200468263Y1 (ko) 2013-06-13 2013-08-01 김이종 원적외선 엘이디 통 모발건조기
GB2515809B (en) 2013-07-05 2015-08-19 Dyson Technology Ltd A handheld appliance
US8720078B1 (en) 2013-08-07 2014-05-13 Fawzi Q.M.A.O.A. Behbehani Automatic hair dryer with fluid dispenser
GB2518656B (en) 2013-09-27 2016-04-13 Dyson Technology Ltd Hand held appliance
WO2015055448A1 (en) 2013-10-17 2015-04-23 Basf Se Herb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acc inhibitors
US10165843B2 (en) 2013-12-10 2019-01-01 Dyson Technology Limited Hand held appliance
JP6508624B2 (ja) 2014-04-11 2019-05-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送風装置
CN203884936U (zh) 2014-05-04 2014-10-22 上海奔腾电工有限公司 一种吹风机的扩散器
KR20160002206U (ko) 2014-12-17 2016-06-28 김휘욱 저열 안전 드라이어
KR20160095646A (ko) 2015-02-03 2016-08-11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EP3289912A4 (en) 2015-04-27 2018-12-12 Metras, Inc. Light irradiation device
GB2539432B (en) * 2015-06-16 2019-01-09 Dyson Technology Ltd Diffuser
GB2539441B (en) * 2015-06-16 2019-01-09 Dyson Technology Ltd Diffuser
EP3106058A1 (en) 2015-06-16 2016-12-21 Dyson Technology Limited Diffuser
GB2539431B (en) * 2015-06-16 2018-01-03 Dyson Technology Ltd Diffuser
GB2539437B (en) * 2015-06-16 2018-07-04 Dyson Technology Ltd Diffuser
GB2542207B (en) 2015-09-14 2021-06-16 Jemella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hair
US9894979B2 (en) 2015-09-16 2018-02-20 Casio Computer Co., Ltd. Drawing apparatus and drawing method for drawing apparatus
WO2017070216A1 (en) 2015-10-19 2017-04-27 Palmer Kimberly Nicole Hair addition drying system and method
KR101758360B1 (ko) 2016-01-29 2017-07-17 (주)연우 콤팩트 용기
KR101829984B1 (ko) 2016-06-08 2018-02-19 한국광기술원 패치형 피부 치료장치
US9839274B1 (en) 2016-06-12 2017-12-12 Colleen Ann Brickner Consumer good multimedia system
JP6581140B2 (ja) 2016-07-13 2019-09-25 株式会社大木工藝 炭素成形体、ドライヤおよびノズル
KR101872227B1 (ko) 2016-08-26 2018-06-28 황인오 피부 수화도 측정 장치 및 방법
GB2551852B (en) 2016-09-16 2018-09-05 Macpherson John A Tool for a Hair Dryer
GB2560356B (en) 2017-03-09 2021-05-05 Dyson Technology Ltd A haircare appliance
JP6890292B2 (ja) 2017-04-20 2021-06-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アドライヤー
KR20180003263U (ko) 2017-05-12 2018-11-21 김학규 헤어와 바디 겸용 드라이기
KR101928531B1 (ko) 2017-05-30 2018-12-12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복수 레이어와 복수 섹션의 조명 제어를 이용한 3차원 표면 촬영장치
US10610001B2 (en) 2017-06-13 2020-04-07 Jong-Chen KIM Mask device for facial skin care
US10660418B2 (en) 2017-07-14 2020-05-26 Spectrum Brands, Inc. Air-moving appliance including an attachment
JP6703791B2 (ja) 2017-09-14 2020-06-03 シャープ株式会社 ヘアドライヤ
US10470545B2 (en) 2017-09-29 2019-11-12 L'oreal System including a brush, hair dryer, and client device to assist users to achieve the best drying and styling performance
US20190104820A1 (en) 2017-10-06 2019-04-11 Peggy A. Williams Mc professional hairdryer with secure attachments
KR20190072169A (ko) * 2017-12-15 2019-06-25 이창희 무선 헤어 드라이기
KR20190084801A (ko) * 2018-01-09 2019-07-17 이창희 헤어 드라이기용 노즐
JP7008511B2 (ja) * 2018-01-11 2022-01-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ヘアドライヤの取付具およびヘアケア装置
TW201936080A (zh) 2018-02-21 2019-09-16 聖約翰科技大學 一種具固定結構的超音波震盪裝置
JP7109235B2 (ja) * 2018-04-02 2022-07-29 シャープ株式会社 吹き出しノズルおよび送風装置
BR102018010209A2 (pt) * 2018-05-18 2019-12-10 Denivaldo Goncalves Da Silva difusor de ar para secador de cabelos
KR102584429B1 (ko) 2018-09-19 2023-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라이어
KR101988303B1 (ko) 2018-12-28 2019-06-12 (주)셀리턴 헤어 관리 장치
WO2020165554A1 (en) * 2019-02-14 2020-08-20 Dyson Technology Limited Diffuser
CN209732900U (zh) 2019-03-15 2019-12-06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风嘴及吹风机
JP1694132S (ko) * 2019-05-17 2021-09-06
IT201900020314A1 (it) 2019-11-04 2021-05-04 Ga Ma S R L Asciugacapelli
US11425979B2 (en) 2020-04-01 2022-08-3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ir dryer
US11457713B2 (en) 2020-04-01 2022-10-0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ir dryer
KR102366462B1 (ko) 2020-04-10 2022-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364689B1 (ko)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364691B1 (ko)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364692B1 (ko)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드라이어
KR102364681B1 (ko)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364682B1 (ko)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US11464313B2 (en) 2020-05-09 2022-10-11 Sz Zuvi Technology Co., Lt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rying an objec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6700B1 (ja) * 2017-09-14 2018-06-20 テスコム電機株式会社 気流吐出ユニット及び流体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15352A1 (en) 2021-10-14
TW202137913A (zh) 2021-10-16
KR20210126342A (ko) 2021-10-20
EP4133967A4 (en) 2024-04-03
EP4133967A1 (en) 2023-02-15
US11647822B2 (en) 2023-05-16
WO2021206233A1 (ko) 2021-10-14
TWI793465B (zh)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4692B1 (ko) 헤어드라이어
KR102364682B1 (ko)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364689B1 (ko)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366462B1 (ko)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366461B1 (ko)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364681B1 (ko)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364691B1 (ko)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364690B1 (ko) 헤어드라이어
US12004624B2 (en) Hair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