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824B1 - 채취지점 - Google Patents

채취지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824B1
KR102111824B1 KR1020157021689A KR20157021689A KR102111824B1 KR 102111824 B1 KR102111824 B1 KR 102111824B1 KR 1020157021689 A KR1020157021689 A KR 1020157021689A KR 20157021689 A KR20157021689 A KR 20157021689A KR 102111824 B1 KR102111824 B1 KR 102111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delete delete
air
condui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0968A (ko
Inventor
피터 존 미클
폴 바즐 레슬리
존 비소울카스
매튜 스테픈 코자
타우피크 게하드 알-파라
로날드 녹스
Original Assignee
엑스트랄리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3900547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3900547A0/en
Application filed by 엑스트랄리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엑스트랄리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20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26Sampling from a closed space, e.g. food package, head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1Cleaning pipe ends or pipe fittings, e.g. before sold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n ionisation chamber for detecting smoke or gas
    • G08B17/11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26Sampling from a closed space, e.g. food package, head space
    • G01N2001/2229Headspace sampling, i.e. vapour over liquid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저온공간(12)용 공기채취 시스템(10, 110)이 개시되어 있다. 공기채취 시스템(10, 110)은 채취한 공기를 공기채취장치(2)로 보내기 위한 공기채취 파이프(16); 및 저온공간(12)으로부터 저온공간(12) 외부로 뻗어 있는 채취도관(20,120)을 구비한다. 채취도관(20,120)은 채취 파이프(16)에 연결되고, 채취도관(20,120)은 상기 채취도관(20,120)내에 착빙의 제거를 위해 저온공간(12)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접근될 수 있다. 공기채취 시스템 키트가 또한 개시되어 있다. 공기채취 네트워크를 평가하는 방법, 컴퓨팅 시스템, 공기채취장치 및 공기감시 시스템이 또한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채취지점{Sampling Point}
본 발명은 저온공간에 대한 공기 감시 및/또는 채취에 관한 것이다. 전적으로 그렇지는 않으나, 바람직한 형태로, 본 발명은 냉동창고시설에 대한 흡기식 화재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타입의 공기감시 시스템, 가령 가스감지 시스템, 생물학적 재료의 에어로졸 감지 또는 저온공간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타입의 화재감지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저온공간에 대한 공기채취 시스템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저온환경 및 특히 냉동창고시설은 임의의 화재감지 시스템에 대해 독특하고 간단하지 않은 환경이다. 이들은 방 안팎의 작업자 수송기계장치로부터 잦은 교통흐름과 낮은 온도의 변화로 특징된다. 대부분은 따뜻한 공기 유입을 제한하기 위해 신속히 작동하는 자동문 또는 플라스틱 배리어 커튼의 형태를 가지나, 따뜻한 공기가 실내로 들어오는 것이 불가피하다. 정규적인 온난한 공기의 유입과 더불어 이 끊임없는 교통흐름은 실내에 응결을 생성하고 주변 온도가 0도 이하가 되는 상황에서 착빙(着氷)이 발생한다. 착빙은 일반적으로 출입구 지점에 가까이 있는 임의의 그리고 모든 천장부착형 장비 및 구조물에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냉동창고시설에서 화재감지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흡기식 화재감지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테스트용 채취 공기를 인출하기 위해 많은 채취지점들이 있는 채취 파이프 네트워크를 갖는다. 이들 채취지점들은 일반적으로 냉동공간의 천장 또는 벽에 위치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온난한 공기의 유입으로, 채취지점들과 관련된 파이프들은 얼음으로 막힐 수 있다. 이로 인해 기류문제가 야기되고 연기감지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이 문제를 개정하는데 필요한 보수(즉, 구멍 또는 파이프의 청소)는 아주 비용이 많이들 수 있다. 몇몇 경우, 가장 간단한 공지의 방안은 채취지점에 가장 가까운 파이프 섹션을 제거하고 새 파이프 섹션을 끼우는 것이다. 또한, 냉동창고시설내 장비에 대한 접근도 수리 동안 불편해질 수 있다.
저온 옥외환경과 같이, 다른 저온환경에 대한 공기채취 시스템들에도 유사한 문제들이 있다. 응결관련문제들 중 일부는 약 섭씨 4도(도는 소정 조건들이 있다면 아마도 더 높게)의 온도로 올리기 시작하고, 일반적으로 물의 응고점, 섭씨 0도 이하로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더 악화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온환경, 특히 냉동환경과 관련된 상술한 문제들 중 하나를 극복하거나 적어도 완화시킨 공기채취 시스템 및 공기채취 시스템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임의의 종래기술에 대한 참조는 이 종래기술이 호주 또는 임의의 다른 치외법권에서 통상적으로 일반적인 지식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이 종래기술이 합리적으로 당업자에 의해 확신되고 이해되며 관련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게 예상될 수 있는 인식 또는 임의의 형태의 제안이 아니고 그러한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르면, 채취한 공기를 공기채취장치로 보내기 위한 공기채취 파이프; 및 저온공간으로부터 저온공간 외부로 진입포트로부터 뻗어 나오며, 상기 채취 파이프에 연결된 채취도관을 구비하는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에 있어서, 채취도관은 상기 채취도관 내에 착빙의 제거를 위해 저온공간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접근될 수 있는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이 제공된다.
채취도관은 바람직하게는 경우에 따라 저온공간의 경계를 정의하는 파티션, 벽 또는 천장을 통해 뻗어 있도록 길이가 충분한 도관의 직선 길이이다. 그러므로, 도관은 저온공간내 진입포트 및 저온공간 외부의 출구포트를 갖는다. 진입포트는 저온공간의 경계에 있음으로 인해, 가령 저온공간을 바라보는 파티션에 홀이 있음으로 인해 저온공간 "내(內)에" 있을 수 있다.
채취도관에 대한 접근은 바람직하게는 가시선의 시각적 감시 및 일반적으로 저온공간 내부의 채취도관의 진입포트에 발생하는 착빙을 제거하기 위해 막대 또는 유사한 기구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채취도관의 길이방향 축과 일치한다. 이런 이유로, 채취도관의 진입포트는 바람직하게는 (횡단면적 면에서) 접근 개구와 적어도 치수가 동일하다. 대표적으로, 건설 및 청소 접근의 용이성을 위해, 채취도관은 연속 횡단면적을 갖게 된다. 또 다른 특징은 채취도관의 진입포트에 벨형 또는 돔형 노즐이다. 대표적으로 채취도관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이며 일반적으로 직경이 약 25mm인 원통형 파이프 형태이다. 진입포트는 착빙을 막기 위해 실리콘으로 코팅될 수 있다. 채취도관의 절연이 또한 가능하다. 채취도관은 하나의 피스 구성일 수 있으나 이는 그 경우일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기로, 공기채취 시스템은 저온공간 외부에 있는 작은 진입포트 또는 제한피팅과 같은 흐름제한장치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기로, 흐름제한장치는 채취도관의 단부 가까이 또는 그 하류에 위치된다. 몇몇 경우, 흐름제한장치는 채취 파이프에 또는 가까이에 위치될 수 있다.
채취도관은 접근 개구의 사용을 통해 저온공간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접근가능할 수 있다. 이는 슬라이딩 또는 힌지형 클로저와 같은 접근 해치의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임의의 이런 접근 해치는 자폐(self-closing)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태양으로, 채취도관은 접근 개구가 형성된 채취 파이프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채취 파이프는 연결 어셈블리가 채취도관의 출구 포트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채취도관의 하류 단부에 있는 연결 어셈블리에 의해 채취도관의 외부에 있는 출구포트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채취 파이프는 많은 각각의 이격된 채취지점들에서 저온공간으로부터 공기를 인출하기 위해 채취 파이프를 따라 이격된 간격들에 배열된 많은 연결 어셈블리들과 채취도관을 가질 수 있음이 이해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채취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저온공간내 채취지점의 격자 패턴을 구축하며 이격된 행들에 배열된 채취 파이프 네트워크가 있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한 연결 어셈블리는 가요성 커넥터 파이프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채취 파이프에 끼워지고 또한 채취도관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어댑터, 유니언 또는 T 피스와 같은 피팅을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포함한다. 연결 어셈블리는 채치도관의 출구포트와 연결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이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짝을 이루는 부분 또는 단부에 제한피팅을 갖는다. 제한피팅은 연결 어셈블리의 별개의 또는 분리가능한 단부 피스에 의해 정의될 수 있거나 연결 어셈블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어셈블리의 제한피팅은 저온공간으로부터, 채취도관을 통해, 채취 파이프로 공기를 채취하고 유량을 정의하기 위해, 가령, 작은 진입포트에 있는 흐름제한장치를 포함한다. 흐름제한장치는 채취도관과 짝을 이루는 제한피팅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흐름제한장치는 제한피팅의 단부에 작은 진입포트를 형성하는 구멍 또는 구멍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단부는 구멍(들)에 대해 폐쇄된다. 대안으로, 흐름제한장치는 채취도관과 짝을 이루는 연결 어셈블리의 단부로부터 하류에 있을 수 있다. 어느 한 경우, 흐름제한장치는 채취도관으로부터 연결 어셈블리와 선택적으로 탈착될 수 있어, 채취도관의 상류 단부, 즉, 저온공간을 바라보는 단부를 통해 잔여물 및/또는 얼음을 밀어냄으로써 도관의 청소를 가능하게 하도록 채취도관의 전체 횡단면에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채취도관은 바람직하게는 채취도관의 덕트의 횡단면적이 하류단부에서 상류단부까지 실질적으로 일정하도록 (또는 감소라기보다는 증가하도록) 형성되므로, 청소 동안 채취도관을 통해 밀려질 경우 상류에 얼음 또는 잔여물이 막히지 않게 된다.
흐름제한장치는 연결 어셈블리의 일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흐름제한장치는 쉽게 감시되고 필요하다면 청소 또는 교체될 수 있음이 인식된다. 이는 흐름제한장치가 채취도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저온공간 내에서만 (예컨대, 저온공간에 있는 채취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함으로써) 단지 접근될 수 있는 배열과 대조된다.
흐름제한장치는 작은 진입포트를 형성한 하나는 개구라기보다 개구들의 집합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된다. 흐름제한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흐름제한장치의 일측의 흐름에 비해 난류 흐름을 증가시킴으로써 제한을 야기할 수 있다.
제한피팅은 연결 어셈블리가 채취도관에 정확히 어셈블리될 경우 폐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이들 개구들은 작은 진입포트에 비해 크다. 연결 어셈블리와 채취도관이 적절히 재조립될 경우 폐쇄되는 비교적 큰 개구들은 채취도관과 연결 어셈블리의 잘못된 조립의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연결 어셈블리와 채취도관이 적절히 재조립되지 못하면, 개구들은 공기채취장치, 가령 화재감지장치에서 긴급한 흐름 결함을 틀림없이 촉발하는 파손된 파이프 도관을 시뮬레이션한다. 이는 채취도관으로부터 연결 어셈블리의 우발적 제거, 부적절한 재조립, 또는 단순히 연결 어셈블리와 채취도관을 다시 조립하는 것을 잊어버린 행위를 막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하나 이상의 큰 개구들은 제한피팅의 측벽에 형성되며, 채취도관의 측벽 내부와 접촉해 닫힌다. 바람직하기로, 2개의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개구들이 있다. 개구들은 원형일 수 있으나 다른 형태들도 가능하다.
일실시예에서, 제한피팅은 또한 연결 어셈블리의 폐쇄 단부 맞은편에 플랜지형 단부를 포함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채취도관에 연결 어셈블리의 삽입을 위한 멈춤장치로서 동작하여 연결 어셈블리와 채취도관이 정확히 재조립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일형태로, 제한피팅은 한 파이프를 또 다른 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임의의 유니언 또는 결합부 또는 어셈블리에 의해 형성된 피팅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기로, 피팅부는 채취도관으로 밀봉된 제 1 구성요소, 채취 파이프와 유체 소통하는 커넥터 파이프와 같은 채취 파이프 또는 구성요소로 밀봉되는 제 2 구성요소를 갖는다. 제한피팅은 제 1 및 제 2 구성요소와 함께 밀봉되는 체결요소를 또한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체결은 제 1 및 제 2 구성요소 중 하나에 스레드 연결에 의한 것이다. 바람직하기로, 제 1 및 제 2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링, 개스킷 등에 의해 제 1 및 제 2 구성요소 간에 밀봉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기로, 흐름제한장치는 피팅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피팅부에 의해 보유된다. 바람직하기로, 흐름제한장치는 피팅부가 어셈블리될 경우 제 1 구성요소와 제 2 구성요소 간에 보유된다. 일실시예에서, 흐름제한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흐름제한장치로부터 상류 및 하류에서 채취도관 및 연결 어셈블리의 내직경보다 작은 내직경을 갖는 흐름제한와셔 또는 오리피스-플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르면, 채취한 공기를 공기채취장치로 보내기 위해 공기채취 파이프; 저온공간으로부터 저온공간 외부로 뻗어 있고, 상기 저온공간 외부에서 채취도관의 출구 포트와 탈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 어셈블리를 통해 채취 파이프에 연결될 수 있는 채취도관을 포함하며, 탈착식 연결 어셈블리는 (i) 채취 공기의 흐름을 제한하기 위한 제 1 특징의 흐름 임피던스를 갖는 흐름제한장치, 및 (ii) 흐름제한장치와 채취 파이프 간에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는 제 1 특징의 흐름 임피던스보다 적은 제 2 특징의 흐름 임피던스를 갖는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기로, 탈착식 연결 어셈블리에서 흐름제한장치의 위치는 작은 진입포트의 감시 및 임의의 필요한 청소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과 연계해 기술된 다른 특징들 중 어느 하나가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탈착식 연결 어셈블리는 실질적으로 폐쇄단부 맞은 편에 하나 이상의 비교적 큰 개구들 및/또는 플랜지형 단부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어셈블리는 공기채취 파이프 및 채취도관 사이에 뻗어 있는 커넥터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어셈블리는 중간 커넥터 파이프 없이 채취도관을 채취 파이프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
본 발명에 제 3 태양으로, 채취한 공기를 공기채취장치로 보내기 위한 공기채취 파이프; 및 저온공간으로부터 저온공간 외부로 뻗어 있고, 저온공간의 외부의 채취도관의 출구 포트와 탈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 어셈블리를 통해 채취 파이프에 연결될 수 있는 채취도관을 구비하고, 탈착식 연결 어셈블리는 (i) 채취 공기의 흐름을 제한하기 위해 제 1 횡단면적을 갖는 개구를 포함하는 흐름제한장치, 및 (ii) 흐름제한장치와 채취 파이프 간에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는 제 1 횡단면적보다 큰 최소 횡단면적을 갖는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따르면, 채취한 공기를 공기채취장치로 보내기 위해 저온공간 외부로 이어진 공기채취 파이프; 저온공간으로부터 공기 샘플을 수집하기 위해, 저온공간으로부터 채취 파이프로 뻗어 나오는 채취도관; 및 채취도관을 통해 채취된 공기의 유량을 결정하기 위해 특징적인 흐름 임피던스를 갖는 흐름제한장치를 구비하고, 채취된 공기가 채취 파이프에 있을 때, 채취된 공기는 물의 어는점 위에 있는 온도 및 또한 저온공간의 온도보다 위에 있으며, 흐름제한장치는 수증기가 상기 흐름제한장치에서 온도관련 봉쇄를 야기하는 것을 막기 위해 충분히 따뜻한 위치에서 저온공간과 채취 파이프 사이에 위치되는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실시예로, 흐름제한장치는 채취도관의 일부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채취 시스템은 채취도관을 채취 파이프에 연결하는 연결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흐름제한장치는 연결 어셈블리의 일부이다. 흐름제한장치는 채취도관 또는 연결 어셈블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흐름제한장치 상에 수증기의 응결 및 특히 응고에 의해 야기된 온도관련 봉쇄가 막아질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이런 및 다른 모든 태양들에 대해, 저온공간은 섭씨 4도 이하의 온도를 갖는 공간이다. 이와 같은 저온공간은 이점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벽, 마루 및 천장을 둘러쌈으로써 에둘러진 냉동공간일 수 있다.
냉동공간이 되는 저온공간의 경우, 저온공간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섭씨 -40도 내지 섭씨 4도이나, 일반적으로 섭씨 -25도 또는 약 -25도이다. 저온공간이 섭씨 0도 아래이므로, 저온공간으로부터 채취된 수증기가 흐름제한장치에 어는 것을 막기 위해, 흐름제한장치는 저온공간에서 충분히 떨어진 곳의 더 따뜻한 환경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에서, 흐름제한장치는 냉동공간의 내부로부터 적어도 30cm에 위치해 있다. 바람직하기로, 흐름제한장치는 저온공간을 절연시키는 벽 패널 또는 파티션의 외부면으로부터 적어도 15cm에 위치해 있고 바람직하게는 15cm 내지 25cm 사이에 있다. 흐름제한장치의 특징적인 임피던스에 의해 결정되는 유량 이외에, 유량은 또한 펌프 또는 팬에 의해 제어되는 압력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흐름제한장치의 특징적인 흐름 임피던스로 인해 흐름제한장치는 유량제한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에 따르면, 저온공간에서 저온공간 외부로 뻗어 있고, 진입포트와 출구포트를 갖는 채취도관; 및 출구포트와 탈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어셈블리와 채취도관은 연결 어셈블리가 채취도관에 정확히 연결될 때 하나 이상의 개구들이 연결 어셈블리와 채취도관의 다른 측벽(들)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 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들과 연계해 상술한 특징들 중 어느 하나는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태양에 따르면, 저온공간에서 저온공간 외부로 뻗어 있고, 진입포트와 출구포트를 갖는 채취도관; 및 채취도관을 채취 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해 출구포트와 탈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어셈블리는 (i) 채취 공기의 흐름을 제한하기 위한 제 1 특징의 흐름 임피던스를 갖는 흐름제한장치, 및 (ii) 흐름제한장치와 채취 파이프 간에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는 제 1 특징의 흐름 임피던스보다 적은 제 2 특징의 흐름 임피던스를 갖는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 키트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기로, 흐름제한장치는 제 1 특징 임피던스를 결정하기 위한 제 1 횡단면적을 갖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제 1 횡단면적보다 더 큰 최소 횡단면적을 가지므로, 제 2 특징 임피던스는 제 1 특징 임피던스보다 적다.
일실시예에서, 흐름제한장치는 실질적으로 채취공기용의 작은 진입포트를 갖는 연결 어셈블리의 폐쇄단부이다.
본 발명의 제 7 태양에 따르면, 저온공간에서 저온공간 외부로 뻗어 있고, 진입포트와 출구포트를 갖는 채취도관; 및 채취도관을 채취 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해 출구포트와 탈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어셈블리는 (i) 채취 공기의 흐름을 제한하기 위해 제 1 횡단면적을 갖는 개구를 포함하는 흐름제한장치, 및 (ii) 흐름제한장치와 채취 파이프 간에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는 제 1 횡단면적보다 큰 최소 횡단면적을 갖는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 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태양 중 어느 하나는 또한 측벽, 바닥 또는 천장을 통해 채취도관을 실장하기 위한 마운팅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태양에 따르면, (a) 공기채취장치에 의해 감시되거나 감시되고 있는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채취하기 위한 채취지점, 및 (b) 공간 외부의 채취 파이프 사이 네트워크 부분에서 공기채취 네트워크의 어셈블리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흐름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흐름 파라미터를 기초로, 네트워크 부분의 흐름제한장치 구성요소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흐름제한장치의 유무를 기초로 어셈블리 상태를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채취 네트워크의 어셈블리를 평가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기로, 채취장치는 입자 감지기이다.
바람직하기로, 측정된 흐름 파라미터는 기설정된 임계치보다 클 때, 상기 바업은 결함상태를 판단한다. 일실시예에서, 기설정된 임계치는 정확히 조립된 네트워크 부분에 대해 정상인 제 1 유량 및 흐름제한장치 요소없이 조립된 네트워크에 대해 예상되는 제 2 유량의 사이 값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임계치는 정확히 조립된 네트워크 부분에 대해 정상인 제 1 유량 및 채취지점이 채취도관으로부터 단절될 경우 예상된 제 2 유량의 사이 값이다.
일실시예예서, 상기 방법은 (a) 연결 어셈블리로부터의 공기를 입자 감지기를 향해 보내기 위해 구성된 채취 파이프, 및 (b) 감시 공간에서 연결 어셈블리로 공기를 보내기 위해 구성된 채취도관의 출구포트 간에 어셈블리를 평가하고, 채취 네트워크의 정확한 어셈블리시, 흐름제한장치 요소는 연결 어셈블리의 일부를 이룬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방법은 측정된 유량 파라미터를 흐름제한장치가 연결될 때 예상된 유량보다 더 크게 선택된 임계 유량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임계 유량값은 추가로 공기채취 파이프 및 채취도관이 연결되나 연결에 흐름제한장치가 없을 때, 예상 유량 미만이도록 선택된다. 이점적으로, 이는 상기 방법에 연결이 이루어졌으나 흐름제한장치가 없는 것을 감지하는 감도를 제공한다. 임계치는 실험적으로 도출될 수 있거나 각각의 채취도관, 흐름제한장치 및 채취 파이프의 공지의 특징적인 흐름 임피던스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연결은 본 발명의 다른 태양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연결 어셈블리에 제공된다.
당업자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흐름제한장치의 특징적인 흐름 임피던스는 바람직하게는 채취도관의 특징 임피던스 및 흐름제한장치에서와는 다른 연결 어셈블리의 모든 부분들보다 더 크게 선택된다. 이런 식으로, 채취도관 및 연결 어셈블리의 전체 임피던스에 대한 흐름제한장치의 효과와 연이은 채취유량을 측정하기가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 9 태양으로, 프로세싱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 세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명령어를 읽고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을 구비하고, 명령어 실행시, 컴퓨팅 시스템이 제 8 태양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기로, 흐름센서는 초음파 흐름센서이나, 다른 타입의 흐름센서, 가령, 열흐름센서, 풍속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태양으로, 제 9 태양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갖는 공기채취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기로, 공기채취장치는 입자 감지기, 더 바람직하게는 연기 감지기이다(또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1 태양으로, 본 발명의 제 1, 2, 3 또는 4 태양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공기채취장치 및 공기채취 시스템을 갖는 공기감시 시스템으로서, 공기채취 시스템이 상기 채취장치에 제공되는 공기감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기로, 입자 감지기는 본 발명의 제 10 태양에 따른 입자 감지기이다. 바람직하기로 공기감시 시스템은 입자 감지기, 더 바람직하게는 연기 감지기이다.
이 명세서에 개시되고 정의된 본 발명은 텍스트 또는 도면으로부터 언급되거나 명백한 2 이상의 개개의 특징들의 모든 다른 조합들로 확장되는 것을 알게 된다. 이들 다른 조합들 모두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다양한 태양들을 구성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상황이 다르게 필요로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용어 "구비하다" 및 이 용어의 변형들로 "포함하는", "구비하는" 및 "구비된"은 다른 추가, 구성요소, 완전체 또는 단계를 배제하도록 의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본 발명을 더 완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로 단지 예로써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채취 시스템을 갖는 입자감지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채취 시스템의 일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채취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면에 해당하는 도 1의 공기채취 시스템의 또 다른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해당하는 단부 피스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채취 시스템의 일부분의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공기채취 시스템을 관통하는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공기채취 시스템에 도시된 제한적 피팅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채취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하기에 냉동공간에 사용과 관련해 기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대안으로 저온 옥외완경과 같은 기타 저온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입자 감지기인 공기채취장치에 의해 채취된 공기의 감시가 수행되는 입자감지 시스템과 관련된 예시적인 실시예들도 또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공기채취 시스템 또는 채취장치는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공기의 다른 특징 또는 성분들을 분석 및/또는 감지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공기감시 시스템 또는 채취장치는 하나 이상의 타겟 가스들의 유무 및/또는 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가스 감지기 또는 다른 장치일 수 있다. 이런 공기채취장치의 일예는 Xtralis Technologies 사에 의해 제품명(Vesda Eco)으로 판매된다.
도 1은 냉동공간(12)에 대한 입자감지 시스템(1) 형태의 공기감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냉동공간(12)은 일반적으로 마루, 벽 및 천장패널(14)을 포함한 천장으로 둘러싸여 있다. 천장과 벽은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절연 파티션 또는 절연된 샌드위치식 구성일 수 있다. 그러나, 대표적으로, 샌드위치 구성은 내부 및 외부 금속패널(4 및 5)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금속패널(4,5) 사이에 발포단열재(6)가 있다.
입자감지 시스템(1)은 화재감지기 형태의 입자 감지기(2), 및 냉동공간(12)에서 공기를 인출하기 위한 공기채취 시스템(10)을 포함한다. 따라서, 채취 파이프(16)의 네트워크는 냉동공간(12) 외부에 있고, 그 중 2개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채취 파이프는 천장패널(14) 위에 있는 채취장치, 이 경우, 흡기식 화재감지기(2) 에 연결된다. 채취 파이프(16)는 채취장치(2)에 직접 또는 가까운 매니폴드(미도시)를 통해 채취장치(2)에 연결하기 위해 냉동공간(12) 외부를 따라 이어진다. 팬(8)이 채취 시스템(10)을 통해 냉동공간(12)으로부터 화재감지기(2)로 공기를 인출하기 위해 화재감지장치 내에 또는 채취 파이프 네트워크 내 다른 곳에 제공될 수 있다. 추가로, 감지장치가 어떤 이유로 전원이 다운될 경우 냉동공간(12)에 따뜻하고 습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폐쇄루프 시스템(미도시)를 형성하도록 화재감지장치의 유출구가 냉동공간(12)에 다시 제공될 수 있다.
각 채취 파이프(16)는 냉동공간(12)내 이격된 위치들에 많은 채취지점들(18)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채취지점들은 커넥터 어셈블리(22)에 의해 채취 파이프(16)에 연결된 대응하는 채취도관(20)의 진입부에 있다. 연결 어셈블리(22)는 채취도관(20)에 끼워지는 제한피팅(40)의 중간에 가요성 커넥터 파이프(23)와, 채취 파이프(16)에 끼워지는 T접합 피팅(24)을 포함한다. 따라서, 연결 어셈블리는 채취 파이프에서 나온 분기를 이루며, 상기 분기는 채취도관을 포함한다.
채취 파이프(16)의 단일 길이를 따라 이런 T접합(24)들이 많이 있을 수 있어, 채취 파이프(16)의 단일 길이를 따라 많은 채취지점들(18)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많은 길이의 채취 파이프들(16)은 채취지점들(18)의 그리드(또는 다른 기하학적 형태)에 나란히 배열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채취도관(20)은, 상기 경우일 수 있는 바와 같이, 천장패널(14) 또는 벽면의 폭을 가로질러 뻗어 있는 충분한 길이로 된다. 채취도관(20)은 주로 명확하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공간의 내부에서 냉동공간 외부로 뻗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도관(20)의 내부단부(진입부)에는 벨형 채취노즐(26)이 제공될 수 있다.
채취도관(20)의 타단에, 연결 어셈블리(22)는 채취도관(20)의 출구포트(30)에 수용된다. 도 3 및 도 4에서, 가요성 연결 어셈블리(22)는 일체형 단부 구성을 가지므로, 가요성 커넥터 파이프(23)의 단부(29)는 제한피팅(40)처럼 행동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한피팅(29)은 채취흐름을 제한하기 위해 작은 진입포트(32)와 2개의 비교적 더 큰 사이드 개구(34)를 포함한다. 작은 진입포트(32)는 제한피팅(29)의 실질적 폐쇄단부(36)에서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2개의 큰 개구(34)는 제한피팅(29)의 측벽에 배치된다. 도 3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한피팅(29)의 단부가 채취도관(20)의 배출포트(30)에 정확히 삽입되면, 큰 개구(34)는 채취도관(20)의 벽의 내부면에 대해 밀봉함으로써 폐쇄될 것이다. 그러나, 도 4에서 알게 되는 바와 같이, 연결 어셈블리(22)의 제한피팅(29)이 채취도관(20)에 다시 바르게 삽입되지 못하면, 큰 개구(34)는 감지기 유닛(2)내 결함을 촉발하기에 충분한 대량의 공기를 인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큰 개구(34)를 통환 누출은 파손된 파이프의 누출과 근사하다. 따라서, 개구(34)는 파이프(16)와 유사한 단면적으로 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연결 어셈블리(22)가 바람직하게는 서로 이격될 수 있는 다수의 구성부품들로 구성된다. 구성부품들 중 하나는 커넥터 파이프(23)이다. 이 실시예에서, 커넥터 파이프는 이점적으로 유연할 수 있으나, 단단한 커넥터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어댑터 형태의 제한피팅(40)이 커넥터 파이프(23)의 일단에 부착된다. 제한피팅(40)은 연결 어셈블리(22)의 제 2 구성부품을 구성하고, 채취도관(20)에 가요성 파이프(23)를 끼운다. 따라서, 제한피팅(40)은 연결 어셈블리(22)의 단부 피스로서 작동한다. 제한피팅(40)은 2개의 대각선으로 마주한 비교적 더 큰 개구(34)와 함께 실질적으로 폐쇄단부(26)에 작은 진입포트(32)를 포함하며, 이 모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사한 목적에 도움된다. 추가로, 제한피팅(40)은 채취도관(20)내 적절히 설치된 위치에 제한피팅(40)을 위치시키는데 이용되는 외주 플랜지(42)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42), 외주 측벽 및 실질적인 폐쇄단부(36)를 포함한 제한피팅(40)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피스인 일체형 구성으로 된다. 제한피팅(40)은 일체형으로 몰딩된 피스일 수 있다. 별개의 제한피팅(40)을 제공하는 것이 작은 진입포트(32)와 개구(34)를 가요성 파이프(22)의 단부에 일치시키거나 형성하기보다 구성이 더 간단함을 알게 된다.
다른 공기채취 시스템(110)의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공기채취 시스템(110)은 공기채취 시스템(110)에서 연결 어셈블리(22)와 유사하고 상기 시스템과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연결 어셈블리(122)를 사용한다. 이 실시예에서, 커넥터 파이프(123)는 상류 및 하류의 단단한 파이프 피스들(125a 및 125b) 각각으로 끝마쳐지는 가요성 파이프 세그먼트(123a)를 포함한다. 그러나, 파이프(123)는 전체 길이를 가로지르거나 필요에 따라 임의의 부분에 대해서 유연하거나 단단한 파이프로 상호교환될 수 있다. 연결 어셈블리(122)는 연결 어셈블리(122)를 채취도관(120)에 끼우기 위한 다른 제한피팅(140)을 포함한다.
도 7은 연결 어셈블리(122)와 채취도관(120)을 관통하는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연결 어셈블리(122)는 대안으로 도 1 내지 3의 채취도관(20)에 부착될 수 있다.
채취도관(120)과 커넥터 파이프(123)에 연결된 제한피팅(140)의 확대도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제한피팅(140)은 이 경우 채취도관(120)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제 1 구성요소(150) 및 이 경우 커넥터 파이프(123)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제 2 구성요소(152)를 갖는 결합피팅 형태의 피팅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제한피팅의 방향이 역전될 수 있어 제 1 구성요소(150) 및 제 2 구성요소(152)가 커넥터 파이프(123) 및 채취도관(120)과 각각 짝을 이룬다.
제 1 구성요소(150)(이 경우 상류 구성요소)는 채취도관(120)에 꼭 끼워지는 칼라(154)를 포함한다. 칼라의 상단(하류 단부)은 채취도관(120)의 가장자리(158)에 안착시키기 위한 이너 플랜지(156)를 갖는다. 칼라(150)의 상단은 또한 체결부재(162)의 하단 이너 플랜지(161)와 간섭적으로 인접하기 위한 아우터 플랜지(160)를 포함한다. 이는 제 1 구성요소(150)가 채취도관(120)에 부착될 때 체결부재(162)가 채취도관(12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막는다. 이너 스레드(166)를 갖는 체결링(163)은 체결부재의 이너 플랜지(161)로부터 위로 뻗어 있으며, 이는 제 2 구성요소(152)의 하단 외부면에 있는 스레드(168)에 나사고정되어 제 2 구성요소(152)를 제 1 구성요소(150)에 단단히 죄고 그 사이에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구성요소는 커넥터 파이프(123)의 하단 가장자리(174) 아래에 인접해 안착하도록 커넥터 파이프(123) 및 이너 플랜지(172)와 꼭 끼워지는 이너 플랜지 칼라(170)를 갖는다.
오리피스 플레이트 형태의 흐름제한장치(132)가 제 1 및 제 2 구성요소(150, 152) 사이에 있다. 그러나, 흐름제한장치(132)는 또한 자체정위(self-locating) 식으로 채취도관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흐름제한장치의 외부(135)에서 침하된 흐름제한장치(132)의 중앙부(134)에 의해 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흐름제한장치는 금속이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 고무 등과 같은 비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흐름제한장치(132)의 각각의 측면에 고무 오링씰(136)과 링형태의 자체접착 폼씰(137)에 의한 밀봉이 제 1 및 제 2 구성요소(150,152) 사이에 형성된다. 이는 제 1 구성요소(150) 및 흐름제한장치(152) 간에, 그리고 흐름제한장치(132)와 제 2 구성요소(152) 간에 밀봉을 형성한다.
흐름제한장치는 채취 파이프(16)까지 하류 흐름경로의 내직경보다 적은 내직경(즉, 오링 구멍(133)의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구멍(133)의 직경은 제 2 구성요소(152)의 내직경보다 작고 또한 커넥터 파이프(123)의 내직경보다 작다. 구멍(133)의 직경은 마찬가지로 (채취도관의 단부에서 채취지점을 포함해) 전체 채취도관의 내직경보다 작다. 구멍(133)의 정확한 직경은 채취 시스템(10)과 감지기(2)의 치수 및 구성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흐름제한과 팬(8)의 특징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직경은 Xtralis Technologies 사의 VESDA ASPIRE2 파이프 네트워크 설계 소프트웨어와 같이 이 용도로 특화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 임의의 공지의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구멍은 2mm 내지 10mm의 직경을 갖는다. 당업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흐름제한장치(132)는 하나의 구멍(132)보다는 복수의 구멍들을 가짐으로써 공기의 제한적 흐름을 허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흐름제한장치의 구멍들의 조합된 횡단면은 단일 구멍(132)의 횡단면과 같다. 비교에 의해, 채취도관 및 커넥터 파이프의 각각의 최소(및 이 경우 일정한) 내직경은 모두 25mm이다.
이 설계에서, 흐름제한장치(132)의 특징적 흐름 임피던스는 냉동공간으로부터 채취 파이프(16)로 채취된 공기유량에 대해 전체적인 임피던스를 지배한다. 따라서, 흐름제한장치(132)가 없으면(가령, 채취 시스템(110)이 정확하게 어셈블리되지 않으면), 채취 네트워크(110)를 통해 유량의 증가가 있게 된다. 입자 감지기(2) 또는 채취 시스템(110)내 다른 곳에 트랜스듀서를 갖는 유량계에 의해 유량이 측정된다. 한가지 배열로, 채취도관(120) 또는 연결 어셈블리(122)에,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연결 어셈블리의 하류 단부에서 흐름이 측정된다. 대안으로, 채취도관(120)으로부터 상류 및 하류의 채취 파이프(16)에서 흐름측정 트랜스듀서를 포함함으로써 정확한 측정이 획득될 수 있다. 2개의 트랜스듀서 측정들 간의 흐름 차이는 채취도관(120) 및 연결 어셈블리(122)를 관통하는 흐름에 기인한다. 이 실시예에서, 초음파 트랜스듀서에 의해 흐름이 측정되나,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타입의 흐름센서, 가령 열흐름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제한피팅의 일부는 채취도관(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영구히 연결될 수 있음이 인식된다. 그러나, 흐름제한장치 구성요소(133)는 바람직하게는, 청소를 위해 채취도관에 양호한 접근을 제공하도록, 심지어 이 경우도, 여전히 채취도관(120)으로부터 제거되어야 (또는 적어도 탈착가능해야)한다. 이런 변형들로 인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채취도관"이라는 용어는 냉동공간으로부터 흐름제한장치까지 그러나 이를 포함하지 않는 채취 네트워크의 일부를 의미하도록 되어 있다. 흐름제한장치 그자체는 "제한피팅"의 일부이고, 채취도관(120)이 제거, 이동, 배치 또는 체결을 가능하게 하도록 흐름제한장치와 상호작용하는 부위, 부분 또는 부분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채취도관과는 별개의 완전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또는 상술한 실시예의 추가적 특징으로, 흐름제한장치는 물의 어는점 위, 즉, 섭씨 0도 위의 온도에 있도록 채취지점으로부터 상당히 하류 위치에 채취 네트워크에 위치된다. 이런 배열에서, 흐름제한장치는 반드시 연결 어셈블리의 일부가 될 필요가 없다. 이런 배열의 실시예는 채취도관(220)의 제 1 개구(250)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흐름제한장치 피팅(240)을 도시한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채취도관은 채취 파이프에 채취도관의 출력을 형성하는 제 2 개구(252)를 갖고, 연결 어셈블리(222)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제한피팅은 도관(222)의 채취지점(254)과 제 2 개구(252)에서 출력부 간에 채취 흐름을 제한한다.
제한피팅(250)은 대안으로 채취도관의 채취지점(254)과 출력부(252) 간의 다른 위치들에 위치될 수 있음이 인식된다. 제한피팅(250)이 채취도관(22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몇몇 실시예에서, 흐름제한장치는 채취도관(220)에 영구히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흐름제한장치의 위치는 채취된 공기(및 채취도관의 온도)가 물의 어는점 보다 위에 있도록 실온에 의해 충분히 데워진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점적이다. 따라서, 흐름제한장치는 얼음으로 막히지 않게 된다. 이는 채취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위한 필요성 또는 정규검사를 줄일 수 있다.
흐름제한장치가 채취 파이프 네트워크의 초기 어셈블리 동안 또는 서비스 후 리어셈블리 동안 실수로 빠트려질 수 있는 실시예들에 대해, 어셈블리를 평가하기 위해 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흐름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의 평가된 부분에 흐름제한장치(40,140,240)의 유무의 판단인 어셈블리 조건을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a) 채취지점들(18,118,254) 및 (b) 공간 외부의 채취 파이프(16) 간에 공기채취 네트워크의 일부에서 어셈블리를 평간한다.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 흐름제한장치는 채취도관(20,120) 및 채취 파이프(16) 간에 연결 어셈블리의 일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채취도관(10,120) 및 채취파이프(16) 간에 연결의 어셈블리를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채취도관 및 천장(14)에 채취도관의 마운트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의 세부내용을 설명한다. 도 7 및 도 9는 천장패널(14)에 실장된 채취도관(120)을 도시하고 있다. 채취도관(120)은 탑 플랜지 어셈블리(184)에 의해 천장(14)의 상단측에 있는 금속패널(4)에 보유된다. 플랜지 어셈블리(184)는 설치 중 및 설치 후 위치에 채취도관(120)을 보유하는 곧게 튀어오르는 핑거(185)를 갖는다. 채취도관(120)의 하단(186)은 채취지점 구멍(118)을 정의한다. 채취도관의 하단부는 채취지점(118)으로부터 외부로 플랜지되고 그런 후 채취지점(118)에 대해 돔형 커버(187)를 형성하도록 아래로 플랜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채취도관의 이 하단부는 채취도관의 메인 파이프(188)로부터 별개의 부분으로 형성된다. 이 하단부 또는 하부 플랜지(187)는 나사(190)에 의해 천장(14)의 하단금속패널(4)에 고정된 마운트(189)에 고정된다. 어셈블리 동안, 밀봉 씰을 제공하고, 각 채취지점에서 누출을 막으며, 따라서 천장(14)을 통해 냉동공간(12)으로부터 공기 누출을 막도록 상단 및 하단 플랜지와 이들의 해당 천장패널 사이에 실란트가 배치된다. 유사하게, 도 1의 실시예에서, 채취도관(20)은 바람직하게는 누출을 제거하기 위해 천장패널(14)내 적절한 실란트에 의해 둘러싸인다. 씰링 글로밋(44)이 천장패널(14)을 나가는 채취도관(20)을 또한 둘러쌀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술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에 대한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52)

  1. 채취한 공기를 공기채취장치로 보내기 위한 공기채취 파이프; 및 저온공간 내의 채취지점의 진입 포트로부터 상기 저온공간 외부의 출구 포트까지 뻗어 있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 채취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채취 파이프는 채취도관으로부터 채취 파이프까지 채취한 공기의 기류를 제한하기 위한 흐름제한장치를 갖는 연결 어셈블리를 통해 채취도관의 출구 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 어셈블리 및 흐름제한장치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접근할 수 있는 채취도관의 출구 포트로부터 채취도관이 적소에 유지되는 동안 저온공간 외부로부터 채취도관의 전체 횡단면까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함으로써, 출구 포트에서 입구 포트까지 시선의 시각적 검사를 제공하고 출구 포트 및 채취도관에 로드를 삽입하여 입구 포트를 통해 채취도관 내의 착빙(ice build-up)을 제거할 수 있는, 온도가 +4℃ 이하인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채취도관은 횡단면이 일정하거나, 하류단부에서 상류단부까지 크기가 증가하는, 온도가 +4℃ 이하인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채취도관은 접근 개구의 사용을 통해 저온공간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접근할 수 있고, 접근 개구는 접근 해치이며, 상기 접근 해치는 자폐(self-closing) 특징을 갖는, 온도가 +4℃ 이하인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흐름제한장치는 연결 어셈블리의 짝을 이루는 부분 또는 단부에 위치된 제한피팅의 일부이고, 상기 짝을 이루는 부분 또는 단부는 채취도관의 출구 포트와 연결될 수 있고 출구 포트로부터 선택적으로 탈착될 수 있는, 온도가 +4℃ 이하인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흐름제한장치는 채취도관와 짝을 이루는 제한피팅의 단부에 작은 진입 포트를 형성하는 구멍 또는 구멍들로 구성되며, 이로써 구멍 또는 구멍들에 대해 단부가 폐쇄되는, 온도가 +4℃ 이하인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제한피팅은 채취도관과 연결 어셈블리의 잘못된 조립을 감지할 수 있도록 연결 어셈블리가 채취도관에 바르게 조립된 경우에 폐쇄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온도가 +4℃ 이하인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제한피팅은:
    채취도관으로 밀봉되는 제 1 구성요소;
    채취 파이프와 유체 소통하는 커넥터 파이프와 같은 채취 파이프 또는 구성요소로 밀봉되는 제 2 구성요소; 및
    상기 제 1 및 제 2 구성요소와 함께 밀봉되는 체결요소를 갖는 피팅부를 포함하는, 온도가 +4℃ 이하인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흐름제한장치는 피팅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피팅부에 의해 보유되는, 온도가 +4℃ 이하인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흐름제한장치는 채취도관을 통과하는 흐름을 기설정된 유량으로 제한하도록 동작하는, 온도가 +4℃ 이하인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흐름제한장치는 저온공간에서 채취된 수증기가 흐름제한장치에서 어는 것을 막기 위해 저온공간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있고 저온공간보다 더 따뜻한 위치에 있는, 온도가 +4℃ 이하인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저온공간은 냉동공간인, 온도가 +4℃ 이하인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진입 포트는 착빙을 막기 위해 실리콘으로 코팅된, 온도가 +4℃ 이하인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채취 시스템은 채취도관의 진입 포트에 벨형 또는 돔형 노즐을 더 포함하는, 온도가 +4℃ 이하인 저온공간용 공기채취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KR1020157021689A 2013-02-19 2013-09-30 채취지점 KR102111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3900547A AU2013900547A0 (en) 2013-02-19 Sampling point
AU2013900547 2013-02-19
PCT/AU2013/001121 WO2014127397A1 (en) 2013-02-19 2013-09-30 Sampling poi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968A KR20150120968A (ko) 2015-10-28
KR102111824B1 true KR102111824B1 (ko) 2020-06-09

Family

ID=5139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689A KR102111824B1 (ko) 2013-02-19 2013-09-30 채취지점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247644B2 (ko)
EP (1) EP2959465B1 (ko)
JP (1) JP6373877B2 (ko)
KR (1) KR102111824B1 (ko)
CN (1) CN105074788B (ko)
AU (1) AU2013378682B2 (ko)
CA (1) CA2896640A1 (ko)
HK (1) HK1215098A1 (ko)
MY (1) MY177363A (ko)
TW (1) TWI603065B (ko)
WO (1) WO20141273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4878B2 (en) * 2017-11-14 2020-01-28 Forum Us, Inc. Flow control assembly for subsea applica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2181A1 (en) * 2003-03-21 2004-09-23 Nuclear Filter Technology Probe with integral vent, sampling port and filter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1899A (en) * 1964-01-27 1965-05-04 Corning Glass Works Assembly for connecting pipe to an apertured tank
JPS466472Y1 (ko) * 1966-12-05 1971-03-06
US4441356A (en) 1982-03-29 1984-04-10 The Babcock & Wilcox Company Temperature actuated air flow control and gas sampler
US4571079A (en) 1983-12-29 1986-02-18 Particle Measuring Systems, Inc. Aerosol sampling device and method with improved sample flow characteristics
JPH02237687A (ja) 1989-03-10 1990-09-20 Sanyo Kokusaku Pulp Co Ltd タンクの排出管の清掃方法および清掃装置
CA1335073C (en) 1989-08-08 1995-04-04 Marek E. Krzymien Method for testing the freshness of fish
FR2664608A1 (fr) * 1990-07-13 1992-01-17 Darcissac Gerard Protection des pots d'echappement par application de silicone.
US5293771A (en) * 1992-09-01 1994-03-15 Ridenour Ralph Gaylord Gas leak sensor system
JPH08313392A (ja) 1995-05-18 1996-11-29 Hitachi Ltd 高圧管分離接続装置及び衝撃風洞装置
US5537879A (en) * 1995-08-02 1996-07-23 Praxair Technology, Inc. Particle sampling system for gas supply system
DE19605842C1 (de) 1996-02-16 1997-04-24 Wagner Alarm Sicherun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eisen einer Ansaugöffnung
JPH11190686A (ja) * 1997-12-26 1999-07-13 Shimadzu Corp ガスサンプリングプローブ
JP3258280B2 (ja) 1998-07-03 2002-02-18 日鉱金属株式会社 排ガスの成分測定用サンプリング装置
JP2002088317A (ja) * 2000-09-12 2002-03-27 Ge Toshiba Silicones Co Ltd 固定方法
US6427543B1 (en) * 2001-03-23 2002-08-06 Eric Torrison Venturi-based gas sampling manifold
CN2556628Y (zh) * 2002-06-24 2003-06-18 中国科学院安徽光学精密机械研究所 烟道污染气体探头
JP2005172682A (ja) * 2003-12-12 2005-06-30 Fukae Chemical Research:Kk 試料収納用チューブ
US20050229982A1 (en) * 2004-04-20 2005-10-20 Gonzales Peter D Pipe inlet/outlet flow enhancement device
US7360461B2 (en) * 2004-09-23 2008-04-22 Aircuity, Inc. Air monitoring system having tubing with an electrically conductive inner surface for transporting air samples
US7216556B2 (en) 2004-09-23 2007-05-15 Aircuity, Inc. Tubing for transporting air samples in an air monitoring system
KR100631477B1 (ko) 2004-11-03 2006-10-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오염 분석을 위한 수분 전처리 수단이 구비된 시료포집장치
US7421911B2 (en) * 2005-12-20 2008-09-09 Desrochers Eric M Duct probe assembly system for multipoint air sampling
US7703344B2 (en) * 2006-07-31 2010-04-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upler for attachment of sampling tubes to duct detector
JP5572033B2 (ja) * 2010-08-16 2014-08-13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直管式超音波流量計
TWI586842B (zh) * 2010-09-15 2017-06-11 首威公司 氟之製造工廠及使用彼之方法
US8501499B2 (en) * 2011-03-28 2013-08-06 Tokyo Electron Limited Adaptive recipe sel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2181A1 (en) * 2003-03-21 2004-09-23 Nuclear Filter Technology Probe with integral vent, sampling port and filter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59465B1 (en) 2020-04-29
KR20150120968A (ko) 2015-10-28
US10247644B2 (en) 2019-04-02
TWI603065B (zh) 2017-10-21
CN105074788B (zh) 2019-08-16
AU2013378682B2 (en) 2018-04-19
CA2896640A1 (en) 2014-08-28
CN105074788A (zh) 2015-11-18
WO2014127397A1 (en) 2014-08-28
JP6373877B2 (ja) 2018-08-15
EP2959465A1 (en) 2015-12-30
MY177363A (en) 2020-09-14
HK1215098A1 (zh) 2016-08-12
JP2016510145A (ja) 2016-04-04
US20160003714A1 (en) 2016-01-07
TW201433784A (zh) 2014-09-01
EP2959465A4 (en) 2016-12-07
AU2013378682A1 (en) 2015-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2522B2 (en) Aspirated sampling systems
AU2014203402B2 (en) Duct detector
KR100906206B1 (ko) 화재 탐지와 국소화 방법 및 장치
CN111771112A (zh) 建筑供水的被动泄漏检测
WO2016116024A1 (zh) 带或不带采气管的点型主动感烟探测器及空气采样系统
AU2017202317B2 (en) Sampling point for a particle detector
KR102111824B1 (ko) 채취지점
US10508827B2 (en) Ventilating device
CN110653203A (zh) 一种机房精密空调外机自动清洗系统
US20220128436A1 (en) Air Flow Measurement and Testing for Air Conditioning Systems
CN216923296U (zh) 分户采暖防漏阀
WO2022121850A1 (zh) 带嵌入式漏水传感器的制冷电器水过滤器
US20120120399A1 (en) Duct detector
JP7324169B2 (ja) 異物検出システム
JP5925439B2 (ja) 基準圧計測補助具および基準圧計測方法
ITTA20110008U1 (it) Disposito automatico di cronoregolazione per liquidi, vapori e gas, con gas, con funzione di controllo continuo e prevenzione delle prevenzioni delle perdite di detti fluidi nelle condut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