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597B1 - Rear seat frame for SUV vehicle - Google Patents

Rear seat frame for SUV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597B1
KR102111597B1 KR1020180156061A KR20180156061A KR102111597B1 KR 102111597 B1 KR102111597 B1 KR 102111597B1 KR 1020180156061 A KR1020180156061 A KR 1020180156061A KR 20180156061 A KR20180156061 A KR 20180156061A KR 102111597 B1 KR102111597 B1 KR 102111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ame
sub
seat back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0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염기완
Original Assignee
기성에이알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성에이알씨(주) filed Critical 기성에이알씨(주)
Priority to KR1020180156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5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5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seat frame of an SUV. The rear seat frame of an SUV, which comprises a seat cushion and a seat back cushion, includes: a front leg fixed to a floor of a vehicle body of a vehicle; a main seat frame fixed and installed to the front leg; a fixing bracket having a rear leg fixed to a back surface of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nd a main seat back frame connected to the fixing bracket. The rear seat frame further includes: a sub seat frame installed above the main seat frame to be able to horizontally move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sub seat back fram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seat back frame to be able to rotate forward; and a plurality of subframe detaching devices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sub seat back frame and configured to enable or control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ub seat frame. The rear seat frame of an SUV enables a passenger to enjoy travel in a comfortable position with low boredom and fatigue during long-distance travel.

Description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Rear seat frame for SUV vehicle}Rear seat frame for SUV vehicle

본 발명은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열 좌석의 시트쿠션은 전,후로 이동조절이 가능하고, 시트백쿠션은 회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시트쿠션 및 시트백쿠션을 각각 좌,우로 분할 형성하는 동시에 그 분할된 좌,우측 시트쿠션 및 시트백쿠션 각각을 개별적으로 이동조절 및 회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SUV 차량의 후열 죄석에 탑승하는 사람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시트쿠션은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트백쿠션은 기울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한 자세로 탑승할 수 있도록 구성된 SUV 차량의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frame of a rear row seat of a SUV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he seat cushion of a rear row seat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seat back cushion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nd the seat cushion and seat back are also provided. The cushion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nd each of the divided left and right seat cushions and seat back cushions can be individually moved and rotated. Not only can the seat cushion be adjusted for sliding forward and backward, but the seat back cushion is also related to the seat frame of a rear seat of an SUV vehicle configured to be able to ride in a comfortable position by allowing the angle of inclination to be adjusted.

일반적으로 승합차를 비롯하여 RV(Recreation Vehicle) 차량이나 SUV(Sports Utility Vehicle) 차량 등에는 2열 이상의 좌석 시트가 장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general, seat seats of two or more rows are mounted in a van, a recreational vehicle (RV) vehicle, or a sports utility vehicle (SUV) vehicle.

통상 SUV 차량의 경우, 운전석 및 조수석의 앞부분 전열 좌석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운전자 등)은 프런트 도어를 통하여 승하차하게 되며, 뒷부분 후열 좌석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은 리어 도어(승합차의 경우에는 슬라이딩식 도어)를 이용하여 승하차를 하게 된다.In the case of a normal SUV vehicle, a person (driver, etc.) who wants to board the front seat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gets on and off through the front door, and a person who wants to board the rear seat of the rear part (rear sliding door in the case of a van) ) To get on and off.

차량의 좌석 시트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 모두가 편안한 자세로 앉아 있도록 함으로써 장거리 여행시에도 피로를 덜 느끼도록 배려하고 있다.The seat seat of the vehicle is designed so that both the driver and the occupant sit in a comfortable position so as to feel less fatigue even when traveling long distances.

그런데, SUV 차량의 경우, 운전자 등이 앉는 앞부분의 전열 좌석은 시트쿠션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반해, 뒷부분의 후열 좌석의 시트쿠션은 고정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후열 좌석의 시트백쿠션은 폴링(folding) 작동만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n SUV vehicle, the seat cushion of the front seat in which the driver sits is configured to allow the seat cushion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whereas the seat cushion of the rear seat of the rear seat is configured to be fixed, and the rear seat is seated. The seat back cushion of the seat is configured to allow only folding operation.

따라서 SUV 차량을 이용하여 장거리 여행시 전열 좌석의 운전석 및 조수석에 탑승한 운전자 등은 시트쿠션 및 시트백쿠션을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이동조절 및 각도조절을 수행하여 편안한 자세로 여행을 즐길 수 있겠지만, 뒷부분 후열 좌석에 탑승한 사람들은 시트쿠션이나 시트백쿠션을 이동조절 및 각도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장거리 여행시 후열 좌석에 탑승한 사람들은 여행을 시작할 때 앉은 자세를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하여야 하는 관계로 불편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Therefore, for long-distance travel using SUVs, drivers, such as those in the driver's seat and front passenger seat, who are seated in the front row of seats can enjoy travel in a comfortable position by adjusting the seat cushion and seat back cushion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 People in the rear row seats cannot adjust or adjust the seat cushion or seat back cushion, so when traveling long distances, people in the rear row seats must feel uncomfortable because they have to maintain their sitting posture from start to finish. There was not.

또한 승합차와 같이 3열 이상의 좌석이 배열되어 있는 경우, 슬라이딩식 도어를 이용하여 탑승하게 될 때 후열에 배열되어 있는 2,3번 좌석은 시트백쿠션을 폴딩시킨 상태에서 시트쿠션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조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후열 2,3번 좌석의 시트쿠션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절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시트백쿠션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후열 좌석에 앉은 사람들은 장거리 여행시 항시 같은 자세로 앉아 있어야 하므로, 이로 인해 장거리 여행에 많은 불편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three or more rows of seats, such as a van, when seating using a sliding door, seats 2 and 3, which are arranged in the rear row, slide the seat cushion forward while the seat back cushion is folded. Although 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seat cushions of the rear row 2 and 3 seats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it is not possi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at back cushion. Since it is necessary to sit in the same posture, it is pointed out that this causes a lot of inconvenience to long-distance travel.

등록특허 제10-1864253호(2018. 07. 04. 공고)Registered Patent No. 10-1864253 (announced on July 4, 2018) 등록특허 제10-0805414호(2008. 02. 20. 공고)Registered Patent No. 10-0805414 (announced on February 20, 20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SUV 차량의 후열 좌석에 탑승하는 사람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후열 좌석의 시트쿠션은 전,후로 이동조절하는 동시에 시트백쿠션은 기울기의 각도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장거리 여행시 차량의 후열 좌석에 탑승하여 편안한 자세로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여행 중 수시로 앉아있는 자세를 바꿀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거리 여행시 지루함과 피로감을 덜 느낄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various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person seating on the rear seat of the SUV vehicle adjusts the seat cushion of the rear seat forward and backward while simultaneously adjusting the seat cushion of the rear seat according to his preference. As a means of adjusting the angle of tilt, it is possible to ride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when traveling for a long distance, so that you can enjoy a comfortable posture while changing the sitting posture from time to time. It was invented with the purpose of making it possi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pursuing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에 대한 제1 실시예는,The first embodiment of the rear seat seat frame of the SUV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시트쿠션과 시트백쿠션으로 구성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에 있어서,In the rear seat of the SUV vehicle consisting of a seat cushion and a seat back cushion,

상기 후열 좌석은,The rear row seat,

차량의 차체바닥에 고정되는 프런트레그와, 상기 프런트레그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시트프레임 및 차량의 차체뒷면에 고정되는 리어레그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되는 메인시트백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으며,It includes a front leg fixed to the vehicle body floor, a main seat frame fixed to the front leg, a fixed bracket formed with a rear leg fixed to the vehicle body rear surface, and a main seat back frame connected to the fixed bracket. And

상기 메인시트프레임 상방에 전,후 방향을 향해 수평상으로 이동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시트프레임과;A sub-seat frame which is installed on the main seat frame to be able to adjust the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의 상단부에 전방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시트백프레임과;A sub-seat back frame rotatably installed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seat back frame;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서브시트프레임이 수평이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A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ub-seat back frame and configured to enable or control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ub-seat frame;

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은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상단 양측에는 메인시트백프레임의 상단 양측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힌지고정브라켓에 힌지핀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회전브라켓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b-seat back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rotation bracke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fixing bracket which is fixed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main seat back fram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op to enable rotational operation. .

또한, 상기 메인시트프레임의 전,후방 고정바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하부레일프레임과 상기 하부레일프레임 각각의 상면에 복수의 하부레일이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시트프레임의 전,후방 가동바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는 복수의 상부레일프레임과 상기 상부레일프레임 각각의 저면에는 상기 하부레일을 따라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의 상부레일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lower rail frames fixedly installed to connect both ends of each of the front and rear fixing bars of the main seat frame and a plurality of lower rail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lower rail frames, and the sub A plurality of upper rail frame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movable bars of the seat frame and a plurality of upper rails that are assembled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along the lower rail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upper rail frames.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서브시트프레임은 메인시트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하부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을 향해 무단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서브시트프레임과 메인시트프레임을 좌,우측 무단락장치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b-seat frame and the main seat frame by the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 to the horizontal movement in the stepless direction toward the front and rear along a plurality of lower rails formed in the main seat fram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to be connected.

또한,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 각각의 고정몸체에 연결 형성되어 있는 후방연결브라켓은 메인시트프레임의 후방 고정바에 연결되고,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 각각의 가동봉체에 연결 형성되는 전방연결브라켓은 서브시트프레임의 전방 가동바에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ar connection bracket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xed bodies of the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rear fixing bars of the main seat frame, and the front connection brackets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movable rods of the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ront movable bar of the sub-seat frame.

또한,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 각각은 서브시트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수동조절부의 수동레바에 연결된 와이어의 당김작동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어 무단 이동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의 당김작동을 중지하게 되면 무단 이동조절이 정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is configured to enable unauthorized movement control by releasing the locking by pulling action of the wire connected to the manual lever of the manual adjustment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heet frame, and allowing the stepless movement control of the wire. When stopping the pulling oper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less movement control is configured to stop.

본 발명의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프레임에 대한 제2 실시예는,The second embodiment of the rear seat seat frame of the SUV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시트쿠션과 시트백쿠션으로 구성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에 있어서,In the rear seat of the SUV vehicle consisting of a seat cushion and a seat back cushion,

상기 후열 좌석은,The rear row seat,

차량의 차체바닥에 고정되는 프런트레그와, 상기 프런트레그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시트프레임 및 차량의 차체뒷면에 고정되는 리어레그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되는 메인시트백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으며,It includes a front leg fixed to the vehicle body floor, a main seat frame fixed to the front leg, a fixed bracket formed with a rear leg fixed to the vehicle body rear surface, and a main seat back frame connected to the fixed bracket. And

좌,우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시트프레임의 상단부에 각각 개별적으로 전방을 향해 슬라이드 수평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과;Left and right sub-sheet frames, which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nd are individual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seat frame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adjustment of the slides;

좌,우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의 상단부에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과;Left and right sub-seat back frames, which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and are respectively rotatably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seat back frame;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 각각의 하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을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풀어주거나 또는 수평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결속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A plurality of subframe attaching and detaching devices for releasing each of the left and right subsheet frames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or binding to control the horizontal movement while mounted at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subsheet back frames;

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은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상단 양측에 메인시트백프레임의 상단 양측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힌지고정브라켓에 힌지핀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회전브라켓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ub-seat back frames have hinge hinge brackets that are rotatably connected with hinge pins to the hinge fixing brackets fixed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top of the main seat back frame on both upper sides so that rotational operation is possibl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또한, 상기 메인시트프레임의 전,후방 고정바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하부레일프레임과 상기 하부레일프레임 각각의 상면에 복수의 하부레일이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의 전,후방 가동바 양단을 연결하는 복수의 상부레일프레임과 상기 상부레일프레임 각각의 저면에는 상기 하부레일을 따라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의 상부레일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lower rail frames fixedly installed to connect both ends of each of the front and rear fixing bars of the main seat frame and a plurality of lower rail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s of each of the lower rail frames. , A plurality of upper rail frame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movable bars of the right sub-seat frame and a plurality of upper rails that are assembled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along the lower rail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upper rail frame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또한,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은 메인시트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하부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을 향해 무단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과 메인시트프레임은 좌,우측 무단락장치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ub-sheet frames are left and right sub-sheet frames and the main seat frame is left, so that the horizontal movement can be stepless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long a plurality of lower rails formed in the main seat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by a right stepless device.

또한,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 각각의 고정몸체에 연결 형성되어 있는 후방연결브라켓은 메인시트프레임의 후방 고정바에 연결되고,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 각각의 가동봉체에 연결 형성되는 전방연결브라켓은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의 전방 가동바에 각각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ar connection bracket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xed bodies of the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rear fixing bars of the main seat frame, and the front connection brackets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movable rods of the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ront movable bar of the left and right sub-seat frames, respectively.

또한,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 각각은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의 일측에 따로따로 형성되어 있는 수동조절부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수동레바에 연결된 와이어의 당김작동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어 무단 이동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의 당김작동을 중지하게 되면 무단 이동조절이 정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is unlocked by the pulling operation of a wire connected to a manual lever mounted on each of the manual control portions separately form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sub-seat frames, thereby allowing unauthorized movement. It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top stepless movement control when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wire is stopped.

또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서브시트백프레임 또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의 하단 양측에 각각 고정 부착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로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동패널로 구분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패널에는 고정패널에 돌출되어 고정돌기를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하는 수직장공과, 상기 서브시트프레임의 후방 가동바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를 분리 가능하게 붙잡아주는 결속홈과, 가동패널의 하강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의 회전축에 걸림되도록 하는 하강제어돌편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ub-frame attachment and detachment device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ed panel fixedly attached to the lower sides of the sub-seat back frame or the left and right sub-seat frames, and one side of the fixed panel, and movable to move up and down. It is divided into panels, and the movable panel is separably gripped by a vertical long hole protruding from a fixed panel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a fixed protrusion, and a binding ring protruding from a rear movable bar of the sub-sheet frame. The no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orm a descending control piece to engage the rotation shaft of the main seat back frame to control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binding groove and the movable panel.

또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의 가동패널 하단에는 서브시트프레임 또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의 후방 가동바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가 결속홈으로 진입하는 작동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패널을 탄력적으로 승강작동이 가능하도록 눌러주는 토션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the bottom of the movable panel of the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s,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guide the operation in which the binding rings protruding from the rear movable bars of the sub-sheet frame or the left and right sub-sheet frames protrude into the binding groove.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torsion spring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movable panel to enable the lifting operation.

또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서브시트백프레임 또는 좌측 서브시트백프레임 각각의 일측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수동레치작동부의 작동레바에 일단이 연결되는 메인와이어와, 상기 메인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는 와이어연결박스와, 상기 와이어연결박스에서 인출되는 복수의 서브와이어 인출단은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프레임 착탈장치 및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 각각에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레바의 당김작동시 메인와이어가 와이어연결박스에서 인출되는 복수의 서브와이어를 당겨주는 작동으로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프레임 착탈장치를 차체뒷면의 스트라이커에서 해제작동시키는 동시에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가동패널을 결속고리에서 해제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 is a main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perating lever of the manual latch operation unit fixedly attached to each side of the sub seat back frame or the left sub seat back frame, and the wire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main wire is connected. The connection box and the plurality of sub-wire withdrawal ends drawn out from the wire connection box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main frame detachable device and the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s installed on the main seat back frame, and During pulling operation, the main wire pulls out a plurality of sub-wires pulled out of the wire connection box, and releases the main-frame detachable device installed in the main seat back frame from the striker on the back of the body, and simultaneously removes the plurality of sub-frame detachers The movable panel formed in the unity is bou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operate off the ring.

또한,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 및 서브시트백프레임 또는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은 차체바닥에 대칭을 이루도록 고정 설치된 양측 고정브라켓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폴딩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seat back frame and the sub seat back frame or the left and right sub seat back frames ar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folding operation by using a rotating shaft rotatably connected to the top of both fixed brackets installed to be symmetrical to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의하면 SUV 차량의 후열 좌석에 탑승하는 사람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상기 후열 좌석의 시트쿠션을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조절하는 동시에 시트백쿠션은 기울기 각도도 조절을 할 수 있으므로 편안한 자세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후열 좌석에 탑승하는 사람은 좌,우측 시트쿠션에 탑승하는 사람들끼리 각기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시트쿠션의 수평 이동조절 및 시트백쿠션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SUV 차량을 이용하여 장거리 여행을 하고자 할 때에는 후열 좌석에 탑승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시트쿠션을 전,후로 이동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트백쿠션의 기울기를 각도조절할 수 있으므로 장거리 여행시 지루함이나 피로감을 덜 느끼면서 편안한 자세로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 who boards a rear seat of an SUV vehicle can adjust the seat cushion of the rear sea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ccording to his / her preference, and at the same time, the seat back cushion can als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passengers to board, and those who board the rear row seats can individually adjus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eat cushion and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seat back cushion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As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SUV to travel long distances using SUVs, the people seating in the rear row seats can adjust the seat cushion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as well as adjust the angle of the seat back cushion. Comfortable posture while feeling less boredom or fatigue when traveling long distances The effect of such a help to enjoy the journey.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실시예의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설치상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후열 좌석을 구성하는 메인시트프레임과 서브시트프레임 및 메인시트백프레임과 서브시트백프레임 구성 중 서브시트프레임 일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메인시트백프레임과 서브시트백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고정브라켓과 힌지회전브라켓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메인시트백프레임 및 서브시트백프레임의 기립상태 및 폴딩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며,
도 7의 (A)(B)는 본 발명의 서브시트프레임의 수평 이동작시 서브시트백프레임의 기울기가 조절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이고,
도 8의 (A)(B)는 본 발명의 서브시트프레임의 수평 이동작동시 무단락장치 및 서브시트백프레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설치상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을 구성하는 메인시트프레임과 서브시트프레임 및 메인시트백프레임과 서브시트백프레임 구성 중 서브시트프레임 일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 설치상태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을 형성하는 좌측 시트쿠션 및 좌측 시트백쿠션의 작동상태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을 형성하는 우측 시트쿠션 및 우측 시트백쿠션의 작동상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row seat installation state of the SUV vehicle of the first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main seat frame and the sub-seat frame and the main seat back frame and sub-seat back frame constituting the rear sea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ly,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hinge fixing bracket and the hinge rotating bracket connecting the main seat back frame and the sub seat back fram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ubframe detachable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B)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nding state and folding state of the main seat back frame and the sub seat back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7 (A) (B) shows the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slope of the sub-sheet back frame is adjusted dur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ub-shee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8 (A) (B)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stepless device and the sub-seat back frame during the horizontal movement operation of the sub-sea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eat installation state of the SUV vehicl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seat frame and a sub seat frame constituting a rear row sea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rt of the sub seat frame among the main seat back frame and sub seat back frame configuration,
11 is a plan view of a rear row seat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left seat cushion and the left seat cushion to form a rear row sea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ight seat cushion and the right seat back cushion forming the rear row sea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explaining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pecific embodiments of the rear seat seat frame of the SUV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도 1의 도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후열 좌석 배열 및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제1 실시예의 후열 좌석(1a)은 시트쿠션(11)과 시트백쿠션(12) 및 머리받침(1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and installation of the rear row seat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row seats 1a of the first embodiment are the seat cushion 11, the seat back cushion 12 and the headrest 13 ).

상기 제1 실시예의 후열 좌석(1a)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트쿠션(11)은 차체바닥(15)에 고정 설치되는 프런트레그(16)와 리어레그(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18)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시트프레임(2)과, 상기 메인시트프레임(2) 위에 전,후 방향을 향해 수평이동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시트프레임(2a)으로 구성된다.The rear seat 1a of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the seat cushion 11 is integrally formed with a front leg 16 and a rear leg 17 fixed to the vehicle body 15. It is composed of a main seat frame (2) fixedly installed on the fixed bracket 18, and a sub-seat frame (2a) installed on the main seat frame (2)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adjustment towar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또한 상기 시트쿠션(11)은 메인시트프레임(2) 위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시트프레임(2a)과 함께 이동하는 구조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at cushion 11 is configured to move with the sub-seat frame (2a) is installed to be horizontally movable on the main seat frame (2).

상기 시트백쿠션(12)은 차체뒷면(19)에서 돌출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스트라이커(19)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시트백프레임(3)과,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3)의 전방을 향해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시트백프레임(3a)으로 구성된다.The seat back cushion 12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triker 19 fixedly installed in a state protruding from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body 19, and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seat back frame 3 It consists of a sub-seat back frame (3a) that is installed to enable rotation.

또한 상기 시트백쿠션(12)은 서브시트백푸레임(3a)과 함께 회전작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기울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at back cushion 12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with the sub seat back frame 3a so as to adjust the tilt angle.

상기 머리받침(13)은 서브시트백프레임(3a)의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끼움부(30)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The headrest 13 is installed to enable height adjustment on a plurality of fitting portions 30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top of the sub-seat back frame 3a.

본 발명의 특징은, 제1 실시예의 후열 좌석(1a)의 시트쿠션(11)은 전,후 방향을 향해 수평 이동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며, 시트백쿠션(12)은 회전작동으로 기울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있다.Th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cushion 11 of the rear row seat 1a of the first embodiment is configured in a structure capable of horizontal movement adjustment towar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seat back cushion 12 is rotated to increase the tilt angle. It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후열 좌석(1a)은 메인시트프레임(2) 위에 수평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시트프레임(2a) 및 메인시트백프레임(3)에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시트백프레임(3a)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시트쿠션(11)과 시트백쿠션(12)이 전체적으로 수평이동 및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있다.In addition, the rear seat 1a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enable rotational operation on the main seat frame 2, the sub seat frame 2a and the main seat back frame 3, which are installed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adjustment. The sub-seat back frame 3a is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eat cushion 11 and the seat back cushion 12 can be horizontally moved and rotated as a whole.

이를 위해, 상기 메인시트프레임(2)의 전,후방 고정바(21)(22) 각각의 양단에 연결 고정되는 하부레일프레임(23)(24)과, 이의 상면에는 하부레일(25)(26)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시트프레임(2a)의 전,후방 가동바(21a)(22a) 각각의 양단에 연결 고정되는 상부레일프레임(23a)(24a)과, 이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레일(25a)(26a)은 상기의 하부레일(25)(26) 위에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있다.To this end, the front and rear fixing bars 21 and 22 of the main seat frame 2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ower rail frame 23 and 24, and the lower rail 25 and 26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 Is fixedly installed, the upper and lower rail frames 23a and 24a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movable bars 21a and 22a of the sub-sheet frame 2a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The upper rails 25a and 26a are assembled to allow horizontal movement on the lower rails 25 and 26.

또한 상기 메인시트프레임(2)과 서브시트프레임(2a)은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의 가동봉체(42)의 전단(도면상 전단부분 참조)에 연결된 전방연결브라켓(43)은 전방 가동바(21a)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의 고정몸체(41)의 후단(도면상 후단부분 참조)에 연결되는 후방연결브라켓(44)은 후방 가동바(22a)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ain seat frame 2 and the sub seat frame 2a are composed of structures connected by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4a and 4b, and the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4a and 4b ) The front connecting bracket 43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movable rod 42 (see the front end portion in the drawing)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ront movable bar 21a, and the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4a and 4b The rear connection bracket 44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ixed body 41 (refer to the rear end portion in the drawing)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rear movable bar 22a.

또한 상기 서브시트프레임(2a)의 후방 가동바(22a)에는 상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결속고리(27)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bundling rings 27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are formed on the rear movable bar 22a of the sub-seat frame 2a at regular intervals.

상기 메인스트프레임(3)은 ∩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그 양단 각각에는 연결브라켓(31)이 연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브라켓(31)에는 회전축(32)의 양단이 관통하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The main frame 3 is formed in a bent shape, and connection brackets 31 are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the connection brackets 31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32 through the connection. It is.

또한 상기 양측 연결브라켓(31)을 관통하는 회전축(32)의 양단은 고정브라켓(18)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32 penetrating the connection brackets 31 are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bracket 18.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3)의 상부 양측에는 복수의 힌지고정브라켓(33)이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힌지고정브라켓(33)에는 힌지회전브라켓(34)이 힌지핀(35)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On the upper both sides of the main seat back frame 3, a plurality of hinge fixing brackets 33 are fixedly attached to protrude downward, and the plurality of hinge fixing brackets 33 have hinge rotation brackets 34 and hinge pins 35 ).

그리고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3a)의 ∩자형으로 절곡된 양측 절곡부(35) 각각의 상단부 양측에는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 각각은 차체뒷면(15)에 돌출되어 고정 형성되어 있는 스트라이커(19)에 착탈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main frame attaching and detaching devices 5a and 5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two bending parts 35 bent in the shape of the sub-sheet back frame 3a, and the main frame attaching and detaching devices 5a on both sides are formed. (5b) Each has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e from the striker 19, which is fix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5 and is formed.

상기한 양측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는 기존의 SUV 차량의 시트백쿠션을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이는 이미 기존의 SUV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공지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기기술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above-described mainframe attaching / detaching devices 5a and 5b are configured to allow the seatback cushion of an existing SUV vehicle to be fixedly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ich is a known technology already applied to an existing SUV vehicle.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s of air technologies that are consider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다만, 상기의 공지기술인 양측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에는 차체뒷면(15)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스트라이커(19)에 결착되거나 해제되게 하는 록킹레치(미도시)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록킹레치(미도시)는 후술하는 수동레치작동부(7)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레바(71)의 당김작동에 의하여 록킹상태에서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록킹레치(미도시)는 시트백쿠션(12)을 폴딩상태에서 기립상태로 회전시킬 때 스트라이커(19)에 자동으로 록킹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known mainframe detachable devices 5a and 5b are equipped with locking latches (not shown) to be attached to or released from the striker 19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15, wherein One locking latch (not shown) is configured to be released from the locking state by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71 installed on the manual latch operating unit 7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locking latch (not shown)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perform a locking operation on the striker 19 when the seat back cushion 12 is rotated from a folded state to a standing state.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3b)의 하부 양측에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 각각은 서브시트프레임(2a)의 후방 가동바(22a)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결속고리(27) 각각에 결속되거나 또는 해제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s 6 are form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sub-sheet back frame 3b,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s 6 is a rear movable bar 22a of the sub-sheet frame 2a.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that can be coupled to or releas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binding rings 27 protrudingly formed on both sides.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패널(61)과 가동패널(62)로 분할 구성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s 6 are divided into a fixed panel 61 and a movable panel 62 as shown in FIGS. 4 and 5.

상기 고정패널(61)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63)는 서브시트백프레임(3a)의 하단부 양측에 용접 등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의 돌출부(3)에 형성된 돌기(64)에는 토션스프링(65)이 설치된다.The protrusions 63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anel 61 are fixedly attached by welding or the like to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ub-sheet back frame 3a, and the torsion springs 65 are provided on the protrusions 64 formed on the protrusions 3 ) Is installed.

상기 가동패널(62)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돌기(66)는 고정패널((61)의 상부에 형성된 안내홈(611)을 따라 상,하로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패널(62)에는 고정패널(61)의 중심부분에서 돌출되어 있는 고정돌기(612)를 따라 상,하로 승강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수직장공(67)이 형성되어 있다.The connecting projection 66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panel 62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611 formed on the top of the fixed panel 61, and the movable panel 62 ) Is formed with a vertical long hole (67) to enable vertical movement along the fixed projection (612) protru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xed panel (61).

또한 상기 가동패널(62)의 하단에는 서브시트프레임(2a)의 후방 가동바(22a)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27)에 결속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형으로 형성된 결속홈(68)과 상기 결속고리(27)가 결속홈(68) 속으로 진입되도록 안내하는 경사면(6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패널(62)의 상단 일측에는 회전축(32)에 걸림되는 작동으로 가동패널(62)의 하강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하강제어돌편(621)이 수평방향을 향해 일정길이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panel 62, a binding groove 68 formed in a ∩ shape to be coupled to or released from the binding ring 27 protruding from the rear movable bar 22a of the sub-sheet frame 2a. And the engaging ring (27)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69) guiding to enter into the binding groove (68), the movable panel (62) on the upper side of the movable panel (62) to the operation by engaging the rotating shaft (32) The descending control protrusion 621 for controlling the descending operation of 62) is formed to protrude a certain length toward the horizontal direction.

한편, 상기 고정패널(61)의 돌출부(63)에 형성된 돌기(64)에 설치된 토션스프링(65)의 일단은 서브시트백프레임(3a)에 고정되는 나사못(613)에 걸림되어 있으며, 상기 토션스프링(65)의 타단(65b)은 가동패널(62)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돌기(66)에 걸림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패널(62)에는 토션스프링(65)의 타단(65b)에 의해 항시 탄력적인 하강압력이 작용하고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65 installed in the protrusion 64 formed in the protrusion 63 of the fixing panel 61 is caught in the screw 613 fixed to the sub seat back frame 3a, and the torsion spring The other end (65b) of (65) is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connecting projection (66)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panel (62). Therefore, the flexible drop pressure is always applied to the movable panel 62 by the other end 65b of the torsion spring 65.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3a)의 하부 양측에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는 분리되어 있던 서브시트프레임(2a)이 기립 작동된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를 향해 이동하면서 결속고리(27)가 가동패널(62)의 경사면(69)에 닿으면서 결속홈(68)으로 진입하려고 할 때에는 상기 가동패널(62)이 토션스프링(65)의 타단(65b)을 탄력적으로 상향 이동시키게 되므로 결속고리(27)가 결속홈(68) 속으로 진입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는 결속고리(27)를 결속하게 된다.A plurality of subframe attaching / detaching devices 6 are formed one by one on both lower sides of the subsheet back frame 3a, and the subsheet frame 2a in which the plurality of subframe attaching / detaching devices 6 are separated is operated. While moving toward the subframe attaching / detaching device 6, when the binding ring 27 tries to enter the binding groove 68 while touching the inclined surface 69 of the movable panel 62, the movable panel 62 is torsion spring ( Since the other end 65b of the 65) is elastically moved upward, the binding ring 27 enters the binding groove 68, and accordingly, the subframe detachable device 6 makes the binding ring 27 bind. do.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3)의 상단에서 각각 직상상으로 절곡된 양측 절곡부의 상단부에는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프레인 착탈장치(5a)(5b) 각각에는 스트라이커(19)에 자동으로 결착되거나 해제작동에 의해 스트라이커(19)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록킹레치(미도시)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3a)의 일측에는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를 스트라이커(19)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작동레바(71)가 형성되어 있는 수동레치작동부(7)가 구성되어 있다.Main frame attaching and detaching devices 5a and 5b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upper ends of the bent parts of the main seat back frame 3, which are bent in a straight line, respectively, and each of the main plane detaching devices 5a and 5b is A locking latch (not shown), which is automatically attached to the striker 19 or detachable from the striker 19 by a release operation, is mounted, and the main frame detachable device 5a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ub-seat back frame 3a. A manual latch operation unit 7 is formed in which an operation lever 71 for separating (5b) from the striker 19 is formed.

상기 수동레치작동부(7)의 작동레바(71)에는 메인와이어(72)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메인와이어(72)의 타단은 와이어연결박스(73)의 일측으로 삽입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연결박스(73)의 타측으로는 총 4가닥으로 분리 형성된 서브와이어(74a)(74b)(74c)(74d)가 인출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One end of the main wire 72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71 of the manual latch operation unit 7,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wire 72 is connected to b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wire connection box 73. , On the other side of the wire connection box 73 is composed of a structure in which the subwires 74a, 74b, 74c, and 74d, which are formed in four strands, are drawn out.

상기 와이어연결박스(73)의 내부에는 한가닥으로 형성된 메인와이어(72)와 4가닥으로 분리 형성된 서브와이어(74a∼74d)가 연결되는 와이어연결구조물(미도시)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와이어연결구조물(미도시)은 수동레치작동부(7)의 작동레바(71)를 당김작동하는 수단으로 한가닥의 메인와이어(72)를 당겨주게 되면, 상기한 와이어연결구조물(미도시)을 통해 4가닥의 서브와이어(74a∼74d)를 동시에 당겨주도록 구성되어 있다.Inside the wire connection box 73, a wire connection structure (not shown) to which the main wire 72 formed in one strand and the sub wires 74a to 74d formed in four strands are connected is mounted.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wire connection structure (not shown), when pulling the main wire 72 of the strand as a means for pulling the operation lever 71 of the manual latch operation unit 7, the above-described wire connection structure (not shown) )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pull the four strands of subwires 74a to 74d.

상기 와이어연결박스(73)의 타측으로 인출되는 4가닥의 서브와이어들 중 2가닥의 서브와이어(74a)(74b)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에 연결되어 있으며, 나머지 2가닥의 서브와이어(74c)(74d)는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Of the four wires of the subwires drawn out to the other side of the wire connection box 73, the two wires of the subwires 74a and 74b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s 6, and the remaining two wires of the subwires The wires 74c and 74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mainframe attaching and detaching devices 5a and 5b.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에 연결되는 2가닥의 서브와이어(74a)(74b)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 각각의 가동패널(62)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돌기(66)에 연결되어 있으며, 나머지 2가닥의 서브와이어(74c)(74d)는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레치(부호 생략)에 연결되어 있다.The two strands of sub-wires 74a and 74b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s 6 are formed with connection protrusions 66 formed on the top of each movable panel 62 of the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s 6 ), And the remaining two strands of the subwires 74c and 74d are connected to locking latches (not shown) formed in each of the mainframe detachable devices 5a and 5b.

따라서 상기 수동레치작동부(7)의 작동레바(71)를 당김조작하게 되면 메인와이어(72)가 와이어연결박스(73)에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연결구조물(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는 4가닥의 서브와이어(74a∼74d)를 동시에 잡아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레치(부호 생략)가 스트라이커(19)에서 해제작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가 서브시트프레임(2a)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결속고리(27)에서 해제작동을 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operation lever 71 of the manual latch operation unit 7 is pulled, the four wires connected to the wire connection structure (not shown) in which the main wire 72 is mounted on the wire connection box 73 are shown. The subwires 74a to 74d are pulled at the same time, and accordingly, the locking latch (not shown) formed on the mainframe detachable devices 5a and 5b is released from the striker 19, and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The subframe attaching / detaching device 6 is released from the plurality of engagement rings 27 protruding from the subsheet frame 2a.

상기 시트쿠션(11)에 장착되어 있는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는 후방 연결브라켓(44)에 연결되는 고정몸체(41)와 전방 연결브라켓(43)에 연결되는 가동봉체(4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몸체(41)에는 가동봉체(42)의 이동작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이동작동을 허용하기 위한 스프링 제어장치(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The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4a) (4b) mounted on the seat cushion (11) are fixed bodies (41) connected to the rear connection brackets (44) and movable rods connected to the front connection brackets (43) ( 42), the fixed body 41 is equipped with a spring control device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peration of the movable rod 42 or to allow the movement operation.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는 시중에 사용되고 있는 기성품을 적용한 것이므로, 스프링 제어장치(미도시)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4a and 4b ar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ring control device (not shown) will be omitted.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는 서브시트프레임(2b)의 일측에 형성된 수동조절부(8)에 설치되어 있는 수동레바(81)의 당김작동에 의해 가동봉체(42)의 이동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위해 상기 수동레바(81)에는 2가닥의 연결와이어(82)(83)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연결와이어(82)(83)는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의 고정몸체(41)에 각각에 연결되어 가동봉체(42)의 이동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The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4a) (4b) of the movable rod (42) by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manual lever (81) installed on the manual adjustment unit (8)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heet frame (2b) Since 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movement operation, for this purpose, two strands of connecting wires 82 and 83 are connected to the manual lever 81, and the connecting wires 82 and 83 are left and right. It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ixed bodies 41 of the stepless devices 4a and 4b,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controlling the movement operation of the movable rod 42.

도 9의 도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 배열 및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1b) 역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시트쿠션(11a,11b)과 시트백쿠션(12a,12b) 및 머리받침(1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9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and installation of the rear row seat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row seats 1b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also seat cushions 11a, 11b and seat back cushions as in the first embodiment. (12a, 12b) and the headrest (13).

상기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1b)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트쿠션(11a,11b)은 차체바닥(14)에 고정 설치되는 프런트레그(16)와 리어레그(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18)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시트프레임(2)과, 상기 메인시트프레임(2) 위에 전,후 방향을 향해 수평이동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1,2a-2 : 대표적으로 설명할 때에는 부호 '2a'를 표기하여 설명함)으로 구성된다.The rear seat 1b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 front cushion 16 and a rear leg 17 integrally mounted to the body bottom 14 of the seat cushions 11a and 11b as shown in FIG. 10. The main seat frame (2) which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ormed fixing bracket (18), and the left and right sub seat frames (2a) on the main seat frame (2) that are installed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adjust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1,2a-2: When representatively explained, it is composed of the symbol '2a'.)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1b)의 시트쿠션(11a,11b)을 구성하는 서브시트프레임은 도 10의 도시와 같이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1)(2a-2)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시트쿠션(11a,11b)은 도 9의 도시와 같이 좌,우측으로 분할 형성되는 구조로서, 좌,우측 시트쿠션(11a,11b)을 따로따로 수평 이동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ub-seat frames constituting the seat cushions 11a and 11b of the rear row seat 1b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ub-seat frames 2a-1 and 2a-2 as shown in FIG. 10. Since it is formed, the seat cushions 11a and 11b are structured to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s shown in FIG. 9, and are configured to separately adjust horizontal movement of the left and right seat cushions 11a and 11b.

상기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1b)의 시트백쿠션(12a,12b)은 차체뒷면(19)에서 돌출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스트라이커(19)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시트백프레임(3)과,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3)의 전방을 향해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1,3a-2 : 대표적으로 설명할 때에는 부호 '3a'를 표기하여 설명함)으로 구성된다.The seat back cushions 12a and 12b of the rear row seat 1b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connected to the main seat back frame 3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triker 19 fixedly installed in a state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19 of the vehicle body. , The left and right sub-seat back frame (3a-1, 3a-2: representatively described by denoting the symbol '3a') to enable rotational operation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seat back frame (3) It is composed.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1b)의 시트백쿠션(12a,12b)을 구성하는 서브시트백프레임은 도 10의 도시와 같이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1)(3a-2)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시트백쿠션(12a,12b)은 도 9의 도시와 같이 좌,우측으로 분할 형성되는 구조로서, 좌,우측 시트백쿠션(12a,12b)이 따로따로 회전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ub-seat back frames constituting the seat back cushions 12a and 12b of the rear row seat 1b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ub-seat back frames 3a-1 and 3a-2 as shown in FIG. Since it is formed, the seat back cushions 12a and 12b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s shown in FIG. 9, and the left and right seat back cushions 12a and 12b are configured to rotate separately.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1b)의 특징은, 좌,우측으로 분할 형성된 시트쿠션(11a,11b)이 개별적으로 수평 이동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며, 좌,우측으로 분할 형성된 시트백쿠션(12a,12b) 역시 개별적인 회전작동으로 기울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있다.A feature of the rear row seat 1b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eat cushions 11a and 11b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re configured to individually adjust horizontal movement, and the seat back cushion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re formed. (12a, 12b) is also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angle of inclination by individual rotation.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1b)은 메인시트프레임(2) 위에 수평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1)(2a-2) 및 메인시트백프레임(3)에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1)(3a-2)이 각각 개별적으로 수평이동 및 회전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있다.In addition, the rear row seat 1b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eft and right sub-seat frame 2a-1 (2a-2) and a main seat back frame installed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adjustment on the main seat frame 2 ( The left and right sub-seat back frames 3a-1 and 3a-2, which are rotatably installed in 3), are respectively configured to be horizontally moved and rotated individually.

상기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1b)을 형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명칭,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describing each component forming the rear row seat 1b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상기 메인시트프레임(2)의 전,후방 고정바(21)(22) 각각의 양단에 연결 고정되는 복수의 하부레일프레임(23)(24)과, 이들의 상면에는 복수의 하부레일(25)(26)이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1)(2a-2)에 형성되어 있는 전,후방 가동바(21a-1,21a-2)(22b-1,22b-2) 각각의 양단에 연결 고정되는 복수의 상부레일프레임(23a)(24a)과, 이들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상부레일(25a)(26a)은 상기 복수의 하부레일(25)(26) 위에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조립된다.A plurality of lower rail frames 23 and 24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fixing bars 21 and 22 of the main seat frame 2, and a plurality of lower rails 25 on their upper surfaces 26 are fixedly installed, and the front and rear movable bars 21a-1, 21a-2) 22b-1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ub-sheet frames 2a-1 and 2a-2 are respectively installed. 22b-2) a plurality of upper rail frames 23a and 24a fixed to each end and a plurality of upper rails 25a and 26a fixed to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lower rails 25 (26) It is assembled to be able to move horizontally.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1)(2a-2) 각각에는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가 각기 하나씩 장착되며, 상기 좌측 무단락장치(4a)는 좌측 서브시트프레임(2a-1)의 전방 가동바(21a-1)에 연결되는 전방연결브라켓(43) 및 후방 가동바(22a-1)에 연결되는 후방연결브라켓(44)에 연결되며, 상기 우측 무단락장치(4b)는 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2)의 전,후방 가동바(21a-2)(22a-2) 각각에 연결되는 전,후방 연결브라켓(43)(44)에 연결된다.Each of the left and right sub-seat frames 2a-1 and 2a-2 is equipped with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4a and 4b, respectively, and the left stepless device 4a is a left subsheet frame. It is connected to the front connection bracket 43 connected to the front movable bar 21a-1 of (2a-1) and the rear connection bracket 44 connected to the rear movable bar 22a-1, and the right short circuit device (4b) is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connection brackets (43, 44) connected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movable bars (21a-2) (22a-2) of the right sub-sheet frame (2a-2).

또한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1)(2a-2) 각각의 후방 가동바(22a-1)(22a-2) 양단에는 상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결속고리(27)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binding rings 27 protruding upward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rear movable bars 22a-1 and 22a-2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sub-sheet frames 2a-1 and 2a-2.

또한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1)(2a-2) 각각의 일측에는 수동조절부(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1)(2a-2) 각각의 일측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수동조절부(8)에 장착되어 있는 수동레바(81) 각각에는 연결와이어(82)(83)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1)(2a-2) 각각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동조절부(8)의 수동레바(81)를 당김작동시킴에 따라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를 개별적으로 록킹상태에서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manual adjustment unit 8 is formed at one side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sub-sheet frames 2a-1 and 2a-2, and the left and right non-shorting devices 4a and 4b are left and right sides. The connecting wires 82 and 83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manual levers 81 attached to the manual adjusting units 8 which are installed one on each side of the sub seat frames 2a-1 and 2a-2. . Therefore, by pulling the manual lever 81 of the manual adjusting unit 8 install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sub-sheet frames 2a-1 and 2a-2, the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 4a) (4b) can be released individually in the locked state.

상기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1b)은 시트백쿠션(12a)(12b)이 좌,우로 분할 형성되며, 이에 따라 서브시트백프레임이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3a-1)(3a-2)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In the rear row seat 1b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seat back cushions 12a and 12b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sub seat back frame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ub seat frames 3a-1 and 3a-2. It is divided.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1)3a-2) 각각의 하단 양측에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가 하나씩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left and right sub-seat back frames 3a-1 and 3a-2) ar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s 6, one at each of the lower ends of the sub-frames. Since i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2 실시예의 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2)에는 와이어연결박스(7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연결박스(73)의 일측으로는 메인시트백프레임(3)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수동레치작동부(7)의 작동레바(71)에 연결되는 메인와이어(72)가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연결박스(73)의 타측으로는 복수의 서브와이어(74a∼74f)가 인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는데, 상기한 복수의 서브와이어(74a∼74f) 중 2가닥의 서브와이어(74a)(74b)는 좌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1)의 하단 양측에 장착되어 있는 2개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에 연결되며, 2가닥의 서브와이어(74c)(74d)는 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2)의 하단 양측에 장착되어 있는 2개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에 연결되고, 나머지 2가닥의 서브와이어(74e)(74f)는 메인시트백프레임(3)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에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된다.A wire connection box 73 is formed on the right sub-seat back frame 3a-2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on one side of the wire connection box 73 is manu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seat back frame 3. The main wire 72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71 of the latch operation unit 7 is formed in a structure to be inserted, and the other side of the wire connection box 73 has a plurality of sub-wires 74a to 74f. It is formed in a structure to be withdrawn, two sub-wires 74a and 74b of the plurality of sub-wires 74a to 74f described above are two subs mount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left sub-sheet back frame 3a-1. It is connected to the frame attaching / detaching device 6, and the two strands of the subwires 74c and 74d are connected to the two subframe attaching / detaching devices 6 mount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right subsheet back frame 3a-2. , The remaining two strands of the subwires 74e and 74f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seat back frame 3.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ainframe removable device (5a) connected to the structure (5b) that.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1)(3a-2) 각각의 하단 양측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 각각은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1)(2a-2) 각각의 후방 가동바(22a-1)(22a-2) 양단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결속고리(27)를 결속하거나 또는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left and right sub-seat back frames 3a-1 and 3a-2 each of a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s 6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ub-seat back frames 3a-1 and 2a- 2) Each rear movable bar (22a-1) (22a-2) is configured to bind or release a plurality of bundling rings (27) projecting at both ends.

한편, 상기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1b)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메인시트백프레임(3)이 회전축(32)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폴딩작동 및 기립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ar row seat 1b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main seat back frame 3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folding and standing operation with the rotating shaft 32 as a starting point as in the first embodimen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1a)(1b)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rear row seats 1a and 1b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SUV 차량을 이용하여 단거리 및 중,장거리 여행을 하고자 할 때 후열 좌석(1a)(1b)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시트쿠션(11),(11a,11b)과 시트백쿠션(12),(12a,12b)을 조절함으로써 편안한 자세로 탑승하여 여행을 즐길 수 있게 된다.Those who want to board the rear row seats 1a and 1b when traveling on short, medium and long distances using SUVs, seat cushions 11, 11a, 11b and seat back cushions 12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 ), (12a, 12b), you can enjoy your trip by riding in a comfortable position.

먼저, 제1 실시예의 후열 좌석(1a)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rear row seat 1a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상기 제1 실시에의 후열 좌석(1a)의 시트백쿠션(12)을 도 6의 (A) 도시와 같이 기립상태에서 도 6의 (B) 도시와 같이 폴딩상태로 접고자 할 때에는 시트백쿠션(12)의 일측으로서, 메인시트백프레임(3)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수동레치작동부(7)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레바(71)의 당김작동으로 메인와이어(72)를 당겨주게 되면, 이에 의해 와이어연결박스(73)에서 인출되어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 및 복수의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에 연결된 4가닥의 서브와이어(74a∼74d)가 해제작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는 차체뒷면(15)에 돌출 고정되어 있는 스트라이커(19)에서 록킹이 해제되면서 분리되는 상태가 되며, 이와 동시에 서브시트백프레임(3)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가 서브시트프레임(2a)의 후방 가동바(22a)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결속고리(27)에서 해제되는 상태가 된다.When the seat back cushion 12 of the rear row seat 1a of the first embodiment is folded from the standing state as shown in FIG. 6 (A) to the folding state as shown in FIG. 6 (B), the seat back cushion 12 As one side of the), when the main wire 72 is pulled by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71 formed in the manual latch operation unit 7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seat back frame 3, the wire is thereby Four sub-wires 74a to 74d, which are drawn out from the connection box 73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s 6 and the plurality of mainframe detachable devices 5a and 5b, are released. The plurality of main frame attaching / detaching devices 5a and 5b are separated from the striker 19 which is protrudingly fixed to the rear surface 15 of the vehicle body, 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sides of the sub seat back frame 3 A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 6 formed in the sub-sheet It is in a state of being released from a plurality of bundling rings 27 protruding from the rear movable bar 22a of the frame 2a.

즉,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는 서브와이어(74a)(74b)의 당김작동에 의해 가동패널(62)이 상승작동하여 결속홈(68)이 결속고리(27)에서 완전히 이완되는 상태로 해제작동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는 서브와이어(74c)(74d)의 당김작동에 의해 스트라이커(19)에서 해제 및 분리된다.That is, the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 6 is a movable operation of the movable panel 62 by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sub-wire (74a) (74b), the binding groove 68 is completely loosened in the binding ring (27) At the same time as the unlocking operation, the plurality of mainframe detachable devices 5a and 5b are released and separated from the striker 19 by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subwires 74c and 74d.

한편, 상기와 같이 서브와이어(74a)(74b)의 당김작동에 의해 가동패널(62)이 상승작동된 상태에서도 토션스프링(65)의 타단(65b)이 탄력적으로 눌러주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를 결속고리(27)에서 해제시킨 상태에서 수동레치작동부(7)의 작동레바(71)에 가하던 당김력을 제거하게 되면 가동패널(62)이 토션스프링(65)의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향해 필요이상으로 이동하려는 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나, 이때에는 상기 가동패널(62)에 형성되어 있는 하강제어돌편(621)이 회전축(32)에 걸림되는 상태가 되어 가동패널(62)이 필요이상으로 이동하는 작용이 제어된다.(도 6 참조)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movable panel 62 is raised by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subwires 74a and 74b, the other end 65b of the torsion spring 65 is elastically depressing, so the subframe When the detachable device 6 is removed from the engagement ring 27 and the pulling force applied to the operation lever 71 of the manual latch operation unit 7 is removed, the movable panel 62 of the torsion spring 65 The action to move more than necessary may appea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cts, but in this case, the descending control protrusion 621 formed on the movable panel 62 is locked to the rotating shaft 32, and thus the movable panel The action of moving 62 more than necessary is controlled. (See Fig. 6)

상기와 같이 수동레치작동부(7)의 작동레바(71)를 당김작동한 상태일 때에는 복수의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 및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가 동시에 해제작동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시트백쿠션(12)을 시트쿠션(11) 쪽으로 폴딩시키게 되면 시트백쿠션(12)을 형성하고 있는 메인시트백프레임(3)과 서브시트백프레임(3a)은 회전축(32)을 축으로 하여 도 6의 (B) 도시와 같이 폴딩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operating lever 71 of the manual latch operation unit 7 is pulled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mainframe detachable devices 5a, 5b and the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s 6 are simultaneously released. When the seat back cushion 12 is folded toward the seat cushion 11, the main seat back frame 3 and the sub seat back frame 3a forming the seat back cushion 12 are rotated about the axis of rotation 32. Thus,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folding as shown in FIG. 6 (B).

상기 제1 실시예의 후열 좌석(1a)의 시트쿠션(11)과 시트백쿠션(12)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시트쿠션(11)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조절하는 수단으로 시트백쿠션(12)의 경사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seat cushion 11 and the seat back cushion 12 of the rear row seat 1a of the first embodiment are to be adjusted, the inclination slope of the seat back cushion 12 as a means for moving and adjusting the seat cushion 1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adjusted.

즉, 서브시트프레임(2a)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수동조절부(8)의 수동레바(81)를 당김조작하여 연결와이어(82)(83)을 당겨주게 되면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의 고정몸체(41)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 제어장치(미도시)가 가동봉체(42)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는 상태가 되므로, 이에 따라 시트쿠션(11)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manual lever 81 of the manual adjustment unit 8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heet frame 2a is pulled to pull the connecting wires 82 and 83, the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4a ) The spring control device (not shown) mounted on the fixed body 41 of 4b is in a state of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movable rod 42, so that the seat cushion 11 can be moved forward.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이 시트쿠션(11)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후방 가동바(22a)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결속고리(27)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서브시트프레임(2a)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의 가동패널(62)에 형성된 결속홈(68)에 결속된 상태이므로,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는 상기 시트쿠션(11)과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결속고리(27)와 같이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가 장착되어 있는 서브시트백프레임(3a)은 힌지회전브라켓(34)과 메인시트백프레임(3)에 고정된 힌지고정브라켓(33)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35)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When the seat cushion 11 is moved forward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engagement rings 27 protruding from the rear movable bar 22a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ub-sheet frame 2a as shown in FIG. 4. Since it is bound to the binding groove 68 formed in the movable panel 62 of the subframe detachable device 6, the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s 6 are moved together with the seat cushion 11 accordingly. The sub-seat back frame (3a) in which the plurality of sub-frame attachment and detachment devices (6) are mounted at the same time as being moved as the binding ring (27) becomes a hinge fixed to the hinge rotation bracket (34) and the main seat back frame (3). The hinge bracket 35 which rotatably connects the fixing bracket 33 is rotated as an axis.

상기와 같이 서브시트백프레임(3a)에 고정된 힌지회전브라켓(34)과 메인시트백프레임(3)에 고정된 힌지고정브라켓(33)이 힌지핀(35)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도 5의 도시와 같이 될 때에는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도 회전하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상기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의 가동패널(62)은 토션스프링(65)의 타단(65b)이 탄력적으로 누르고 있는 상태(도면의 화살표 표시 참조)이므로 상기 가동패널(62)의 결속홈(68)은 결속고리(27)에 탄력적으로 결속된 상태로 회전이동하게 된다.As shown above, the hinge rotation bracket 34 fixed to the sub seat back frame 3a and the hinge fixing bracket 33 fixed to the main seat back frame 3 have the hinge pin 35 as a rotation starting point, and When the same, the subframe detachable device 6 is also in a rotating state, wherein the movable panel 62 of the subframe detachable device 6 is in a state where the other end 65b of the torsion spring 65 is elastically pressed ( Therefore, the binding groove 68 of the movable panel 62 is rotated while being resiliently bound to the binding ring 27.

상기 시트백쿠션(12) 및 이를 구성하고 있는 메인시트백프레임(3)과 서브시트백프레임(3a)이 도 7 및 도 8 각각의 (A) 도시와 같이 기립상태일 때에는 상기 시트쿠션(11)을 구성하고 있는 서브시트프레임(2a)의 후방 가동바(22a)에 돌출 형성된 결속고리(27)는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의 가동패널(62)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홈(68)에 결속된 상태(도 7의 'A' 확대도 참조)를 유지하고 있게 되며, 또한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는 서브시트프레임(2a)이 메인시트프레임(2) 위에 정지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seat back cushion 12 and the main seat back frame 3 and sub seat back frame 3a constituting the same are in an upright state as shown in Figs. 7 and 8 (A), the seat cushion 11 is configured. The engaging ring 27 protruding from the rear movable bar 22a of the sub-seat frame 2a is engaged with the binding groove 68 formed in the movable panel 62 of the sub-frame detachable device 6 (See the enlarged view of 'A' in FIG. 7), and also, the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4a and 4b are in a state where the sub-sheet frame 2a is stopped on the main seat frame 2 Will maintain.

상기 시트백쿠션(12) 및 이를 구성하고 있는 메인시트백프레임(3)과 서브시트백프레임(3a)이 도 7 및 도 8 각각의 (B) 도시와 같이 전방으로 수평이동한 상태가 될 때에는 상기 서브시트프레임(2a)의 상부레일(25a)(26a)은 하부레일(25)(26)을 따라 전방을 향해 수평이동(도 7의 'B' 도시 참조)한 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의 가동봉체(42)는 도 8의 (B) 도시와 같이 전방연결부라켓(43)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상태가 된다.When the seat back cushion 12 and the main seat back frame 3 and sub seat back frame 3a constituting the same are moved horizontally as shown in (B) of FIGS. 7 and 8, the sub seat The upper rail (25a) (26a) of the frame (2a) is moved horizontally toward the front along the lower rail (25, 26) (see 'B' shown in FIG. 7), while the left and right endless The movable rod 42 of the locking device (4a) (4b) is in a state to move forward along the front connecting portion racket 43, as shown in Figure 8 (B).

또한 상기와 같이 서브시트프레임(2a)이 전방으로 수평이동하게 될 때에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도 전방을 향해 이동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서브시트백프레임(3a)은 힌지공정브라켓(33)과 힌지회전브라켓(34)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35)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3a)의 기울기는 일정 각도로 조절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sub-seat frame 2a moves horizontally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s 6 also move toward the front, so that the sub-seat back frame 3a is hinged bracket 33 And the hinge pin 35 which rotatably connects the hinge rotation bracket 34 as a rotation starting point,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ub-sheet back frame 3a is adjusted to a certain angle.

상기와 같이 제1 실시예의 후열 좌석(1a)은 탑승자 본인의 취향에 맞추어 시트쿠션(11)은 수평 이동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백쿠션(12)의 기울기 각도를 회전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후열 좌석(1a)에 탑승하는 사람은 편안한 자세로 탑승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ar row seat 1a of the first embodiment can adjus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eat cushion 11 in accordance with the passenger's own preference, as well as rotate the tilt angle of the seat back cushion 12 so that the rear row seat 1a can be rotated. ) Will be able to board in a comfortable position.

다음,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1b)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operation of the rear row seat 1b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상기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1b)은 시트쿠션(11a)(11b)과 이를 구성하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1)(2a-2) 및 시트백쿠션(12a)(12b) 및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1)(3a-2)이 각각 분할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는 구성만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후열 좌석(1a)의 구성과 다를 뿐 그외의 구성요소들은 대동소이하므로, 좌,우측 시트쿠션(11a)(11b) 및 좌,우측 시트백쿠션(12a)(12b) 각각을 수평이동조절 및 회전조절하는데 따른 각 구성의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다만,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1b)의 좌측 시트쿠션(11a)과 좌측 시트백쿠션(12a) 및 우측 시트쿠션(11b)과 우측 시트백쿠션(12b) 각각을 개별적으로 수평이동조절 및 회전조절하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rear row seats 1b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the seat cushion 11a, 11b and the left and right sub-seat frames 2a-1, 2a-2 and seat back cushions 12a, 12b and left, respectively. , Only the configuration that the right sub-seat back frame (3a-1) (3a-2) has a structure in which each is formed separately is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row seat (1a)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other components are roughly the sam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adjustment and rotation adjustment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seat cushions 11a and 11b and the left and right seat back cushions 12a and 12b will be omitted. Description of the action of individually adjusting the horizontal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left seat cushion 11a and the left seat back cushion 12a and the right seat cushion 11b and the right seat back cushion 12b of the rear row seat 1b of the embodiment I will do it.

상기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1b)은 좌,우측 시트쿠션(11a)(11b)과 좌,우측 시트백쿠션(12a)(12b) 각각은 처음 설치시에는 도 11의 도시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며, 탑승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좌,우측 시트쿠션(11a)(11b) 및 좌,우측 시트백쿠션(12a)(12b) 각각을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rear row seats 1b each of the left and right seat cushions 11a and 11b and the left and right seat back cushions 12a and 12b maintain the same state as shown in FIG. 11 when first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ir preference, the occupant can select and adjust each of the left and right seat cushions 11a and 11b and the left and right seat back cushions 12a and 12b.

먼저, 상기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1b)의 좌측 시트쿠션(11a)과 좌측 시트백쿠션(12a)을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좌측 서브시트프레임(2a-1)에 형성되어 있는 수동조절부(8)의 수동레바(81)를 당김조작하여 좌측 무단락장치(4a)의 가동봉체(42)를 해제작동시킨 상태에서 좌측 시트쿠션(11a)을 전방으로 수평이동시키게 되면, 이에 따라 좌측 서브시트프레임(2a-1)은 전방으로 수평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좌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1)이 힌지고정브라켓(33)과 힌지회전브라켓(34)을 연결하는 힌지핀(35)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좌측 시트쿠션(11a)과 좌측 시트백쿠션(12a)은 도 12의 도시와 같이 조절할 수 있게 된다.First, when adjusting the left seat cushion 11a and the left seat back cushion 12a of the rear row seat 1b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manual adjustment unit 8 formed in the left sub-seat frame 2a-1 When the left seat cushion 11a is horizontally moved in the state in which the movable rod 42 of the left stepless device 4a is released and operated by pulling the manual lever 81 of, the left subsheet frame ( 2a-1) is horizontally moved forward, and at the same time, the left sub-seat back frame (3a-1) is a hinge pin (35) connecting the hinge fixing bracket (33) and the hinge rotating bracket (34) as a rotating starting point. A certain angle is rotated, and accordingly, the left seat cushion 11a and the left seat back cushion 12a can be adjusted as shown in FIG. 12.

다음, 상기 제2 실시예의 후열 좌석(1b)의 우측 시트쿠션(11b)과 우측 시트백쿠션(12b)을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2)에 형성되어 있는 수동조절부(8)의 수동레바(81)를 당김조작하여 우측 무단락장치(4b)의 가동봉체(42)를 해제작동시키고, 우측 시트쿠션(11b)을 전방으로 수평이동시키게 되면 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2)이 전방으로 수평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2)이 힌지고정브라켓(33)과 힌지회전브라켓(34)을 연결하는 힌지핀(35)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우측 시트쿠션(11b)과 우측 시트백쿠션(12b)은 도 13의 도시와 같이 조절할 수 있게 된다.Next, when adjusting the right seat cushion 11b and the right seat back cushion 12b of the rear row seat 1b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manual adjustment unit 8 formed in the right sub seat frame 2a-2 When the manual lever 81 is pulled and operated to release the movable rod 42 of the right stepless device 4b, and when the right seat cushion 11b is horizontally moved forward, the right sub seat frame 2a-2 This is moved horizontally forward, and at the same time, the right sub-seat back frame (3a-2) rotates at a constant angle by using the hinge pin (35) connecting the hinge fixing bracket (33) and the hinge rotating bracket (34) as a starting point. Accordingly, the right seat cushion 11b and the right seat back cushion 12b can be adjusted as shown in FIG. 13.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에와 같이 후열 좌석(1a)(1b)의 시트쿠션(11),(11a)(11b)의 이동조절 및 시트백쿠션(12),(12a)(12b)의 회전조절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서명하였지만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As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movement adjustment of the seat cushions 11, 11a, 11b of the rear row seats 1a, 1b and the seat back cushions 12, 12a ( Although it was signed as an example of manually adjusting the rotation control of 12b), it is revealed that it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using an actuator.

또한 본 발명은 SUV 차량의 후열 좌석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시트쿠션과 시트백쿠션 각각을 수평이동조절 및 회전조절할 수 있으므로 SUV 차량을 이용하여 장,단거리 여행시 후열 좌석의 시트쿠션 및 시트백쿠션을 수평이동조절 및 회전조절하는 방법으로 여행하는 도중에 후열 좌석에 앉는 자세를 수시로 바꿀 수 있으므로 여행 중 앉는 자세로 인해 지루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피로감을 덜 느끼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 who wants to board a rear seat of an SUV vehicle can adjust the horizontal movement and rotation of each of the seat cushion and the seat back cushion according to his or her preference, so that the seat cushion of the rear seat during long and short travel using the SUV vehicle And by adjusting the seat back cushion horizontal movement and rotation, you can change the sitting posture on the rear row seats during the trip, so you can not feel bored by the sitting posture while traveling, and also have less effect on fatigue. It is.

1a,1b : 후열 좌석 11,11a,11b : 시트쿠션 및 좌,우측 시트쿠션
12,12a,12b : 시트백쿠션 및 좌,우측 시트백쿠션
13 : 머리받침 14 : 차체바닥
15 : 차체뒷면 16 : 프런트레그
17 : 리어레그 18 : 고정브라켓
19 : 스트라이커 2 : 메인시트프레임
2a : 서브시트프레임 2a-1,2a-2 :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21 : 전방 고정바 21a,21a-1,21a-2 : 전방 가동바
22 : 후방 고정바 22a,22a-1,22a-2 : 후방 가동바
23,24 : 하부레일프레임 23a,24a : 상부레일프레임
25,26 : 하부레일 25a,26a : 상부레일
27 : 결속고리 3 : 메인시트백프레임
3a : 서브시트백프레임 3a-1,3a-2 :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
31 : 연결브라켓 32 : 회전축
33 : 힌지고정브라켓 34 : 힌지회전브라켓
35 : 힌지핀 36 : 절곡부
4a,4b : 좌,우측 무단락장치 41 : 고정몸체
42 : 가동봉체 43 : 전방 연결브라켓
44 : 후방 연결브라켓 5a,5b : 메인프레임 착탈장치
6 : 서브프레임 착탈장치 61 : 고정패널
62 : 가동패널 63 : 돌출부
64 : 돌기 65 : 토션스프링
66 : 연결돌기 67 : 수직장공
68 : 수직장공 69 : 경사면
611 : 안내홈 612 : 고정돌기
621 : 하강제어돌기 7 : 수동레치작동부
71 : 작동레바 72 : 메인와이어
73 : 와이어연결박스 74a∼74f : 서브와이어
8 : 수동조절부 81 : 수동레바
82,83 : 연결와이어
1a, 1b: Rear seats 11,11a, 11b: Seat cushion and left and right seat cushion
12,12a, 12b: Seat back cushion and left and right seat back cushion
13: headrest 14: body bottom
15: rear body 16: front leg
17: rear leg 18: fixed bracket
19: Striker 2: Main seat frame
2a: Sub seat frame 2a-1, 2a-2: Left and right sub seat frame
21: front fixed bar 21a, 21a-1, 21a-2: front movable bar
22: rear fixed bar 22a, 22a-1, 22a-2: rear movable bar
23,24: Lower rail frame 23a, 24a: Upper rail frame
25,26: Lower rail 25a, 26a: Upper rail
27: Coupling ring 3: Main seat back frame
3a: Sub seat back frame 3a-1, 3a-2: Left and right sub seat back frame
31: connecting bracket 32: rotating shaft
33: hinge fixing bracket 34: hinge rotating bracket
35: hinge pin 36: bend
4a, 4b: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41: fixed body
42: movable rod 43: front connection bracket
44: rear connection bracket 5a, 5b: mainframe detachable device
6: Subframe detachable device 61: Fixed panel
62: movable panel 63: protrusion
64: projection 65: torsion spring
66: connecting projection 67: vertical long hole
68: vertical hole 69: slope
611: Guide groove 612: Fixed projection
621: descending control projection 7: manual latch operation
71: operating lever 72: main wire
73: Wire connection box 74a to 74f: Sub wire
8: Manual adjustment unit 81: Manual lever
82,83: Connection wire

Claims (16)

시트쿠션과 시트백쿠션으로 구성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에 있어서,
상기 후열 좌석은,
차량의 차체바닥에 고정되는 프런트레그와, 상기 프런트레그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시트프레임 및 차량의 차체뒷면에 고정되는 리어레그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되는 메인시트백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메인시트프레임 상방에 전,후 방향을 향해 수평상으로 이동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시트프레임과;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의 상단부에 전방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시트백프레임과;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서브시트프레임이 수평이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서브시트백프레임 또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의 하단 양측에 각각 고정 부착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로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동패널로 구분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패널에는 고정패널에 돌출되어 고정돌기를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하는 수직장공과, 상기 서브시트프레임의 후방 가동바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를 분리 가능하게 붙잡아주는 결속홈과, 가동패널의 하강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의 회전축에 걸림되도록 하는 하강제어돌편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In the rear seat of the SUV vehicle consisting of a seat cushion and a seat back cushion,
The rear row seat,
It includes a front leg fixed to the vehicle body floor, a main seat frame fixed to the front leg, a fixed bracket formed with a rear leg fixed to the vehicle body rear surface, and a main seat back frame connected to the fixed bracket. And
A sub-seat frame which is installed on the main seat frame to be able to adjust the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 sub-seat back frame rotatably installed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seat back frame;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ub-seat back frame and configured to enable or control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ub-seat frame;
The plurality of sub-frame attachment and detachment devices are fixed panels that are fixedly attached to the lower sides of the sub-seat back frame or the left and right sub-seat frames, respectively, and movable panels that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ed panel to be moved upward and downward. Separately formed, the movable panel has a vertical long hole that protrudes from the fixed panel and moves up and down along a fixed protrusion, and a binding that detachably grips a binding ring protruding from the rear movable bar of the sub-seat frame. A seat seat frame of a rear row of an SUV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descending control fragment is formed to be engaged with a rotation axis of the main seat back frame so as to control a downward movement of the groove and the movable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은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상단 양측에는 메인시트백프레임의 상단 양측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힌지고정브라켓에 힌지핀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회전브라켓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According to claim 1,
The sub-seat back frame is a SUV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hinge rotation bracket is rotatably connected to a hinge fixing bracket which is fixed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top of the main seat back frame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so as to be rotatable. Seat frame in the rear row of sea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시트프레임의 전,후방 고정바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하부레일프레임과 상기 하부레일프레임 각각의 상면에 복수의 하부레일이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시트프레임의 전,후방 가동바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는 복수의 상부레일프레임과 상기 상부레일프레임 각각의 저면에는 상기 하부레일을 따라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의 상부레일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lower rail frames fixedly installed to connect both ends of each of the front and rear fixing bars of the main seat frame and a plurality of lower rail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lower rail frames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sub seat frame A plurality of upper rail frames connecting both ends of each of the front and rear movable bars and a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upper rail frames are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upper rails are assembled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along the lower rail. Rear seat seat frame of SUV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시트프레임은 메인시트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하부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을 향해 무단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서브시트프레임과 메인시트프레임을 좌,우측 무단락장치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According to claim 1,
The sub-seat frame is connected to the sub-seat frame and the main seat frame by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so that horizontal movement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re possible along a plurality of lower rails formed on the main seat frame. SUV vehicle seat fram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 각각의 고정몸체에 연결 형성되어 있는 후방연결브라켓은 메인시트프레임의 후방 고정바에 연결되고,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 각각의 가동봉체에 연결 형성되는 전방연결브라켓은 서브시트프레임의 전방 가동바에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According to claim 1,
The left and right rear connection bracket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fixed bodies are connected to the rear fixed bars of the main seat frame, and the front and rear connection brackets connected to the movable rods of the left and right unbreakable devices are sub Seat frame of the rear row of an SUV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ront movable bar of the seat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 각각은 서브시트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수동조절부의 수동레바에 연결된 와이어의 당김작동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어 무단 이동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의 당김작동을 중지하게 되면 무단 이동조절이 정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is configured to be unlocked by the pulling action of the wire connected to the manual lever of the manual adjustment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heet frame, so that the stepless movement control is possible. When the stop is made, the rear seat seat frame of the SUV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stop stepless movement control.
시트쿠션과 시트백쿠션으로 구성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에 있어서,
상기 후열 좌석은,
차량의 차체바닥에 고정되는 프런트레그와, 상기 프런트레그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시트프레임 및 차량의 차체뒷면에 고정되는 리어레그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되는 메인시트백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으며,
좌,우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시트프레임의 상단부에 각각 개별적으로 전방을 향해 슬라이드 수평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과;
좌,우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의 상단부에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 각각의 하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을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풀어주거나 또는 수평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결속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서브시트백프레임 또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의 하단 양측에 각각 고정 부착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로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동패널로 구분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패널에는 고정패널에 돌출되어 고정돌기를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하는 수직장공과, 상기 서브시트프레임의 후방 가동바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를 분리 가능하게 붙잡아주는 결속홈과, 가동패널의 하강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의 회전축에 걸림되도록 하는 하강제어돌편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In the rear seat of the SUV vehicle consisting of a seat cushion and a seat back cushion,
The rear row seat,
It includes a front leg fixed to the vehicle body floor, a main seat frame fixed to the front leg, a fixed bracket formed with a rear leg fixed to the vehicle body rear surface, and a main seat back frame connected to the fixed bracket. And
Left and right sub-sheet frames, which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nd are individual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seat frame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adjustment of the slides;
Left and right sub-seat back frames, which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and are respectively rotatably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seat back frame;
A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s for releasing each of the left and right sub-seat frames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or binding to control horizontal movement while mounted on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sub-seat back frames; Including,
The plurality of sub-frame attachment and detachment devices are fixed panels that are fixedly attached to the lower sides of the sub-seat back frame or the left and right sub-seat frames, respectively, and movable panels that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ed panel to be moved upward and downward. Separately formed, the movable panel has a vertical long hole that protrudes from the fixed panel and moves up and down along a fixed protrusion, and a binding that detachably grips a binding ring protruding from the rear movable bar of the sub-seat frame. A rear seat seat frame of an SUV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descending control fragment is formed to be engaged with a rotation axis of the main seat back frame so as to control a downward movement of the groove and the movable pane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은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상단 양측에 메인시트백프레임의 상단 양측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힌지고정브라켓에 힌지핀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회전브라켓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7,
The left and right sub-seat back frames are configured such that hinge rotation brackets rotatably connected to hinge hinge fixing brackets fixedly attached to both upper sides of the main seat back fram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each upper side so that rotational operation is possible. SUV vehicle rear seat seat fram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시트프레임의 전,후방 고정바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하부레일프레임과 상기 하부레일프레임 각각의 상면에 복수의 하부레일이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의 전,후방 가동바 양단을 연결하는 복수의 상부레일프레임과 상기 상부레일프레임 각각의 저면에는 상기 하부레일을 따라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의 상부레일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7,
A plurality of lower rail frames fixedly installed to connect both ends of each of the front and rear fixing bars of the main seat frame and a plurality of lower rails are formed on a top surface of each of the lower rail frames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formed. A plurality of upper rail frame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movable bars of each of the sub-seat frames and a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upper rail frames are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upper rails are assembled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along the lower rail. SUV vehicle rear seat seat fram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은 메인시트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하부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을 향해 무단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과 메인시트프레임은 좌,우측 무단락장치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7,
The left and right sub-seat frames are left and right endless, so that the left and right sub-seat frames and the main seat frame can be moved horizontally in a front and rear direction along a plurality of lower rails formed on the main seat frame. A rear seat seat frame of an SUV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by a locking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 각각의 고정몸체에 연결 형성되어 있는 후방연결브라켓은 메인시트프레임의 후방 고정바에 연결되고,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 각각의 가동봉체에 연결 형성되는 전방연결브라켓은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의 전방 가동바에 각각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7,
The left and right rear connection bracket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fixed bodies of the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rear fixing bars of the main seat frame, and the front connection brackets connected to the movable rods of the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are left. , Rear seat seat frame of the SUV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ront movable bar of the right sub-seat fram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 각각은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의 일측에 따로따로 형성되어 있는 수동조절부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수동레바에 연결된 와이어의 당김작동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어 무단 이동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의 당김작동을 중지하게 되면 무단 이동조절이 정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7,
Each of the left and right stepless devices is unlocked by the pulling operation of a wire connected to a manual lever mounted on each of the manual control parts which are separately form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sub-seat frames, so that stepless movement control is possible. It is configured to be possible, and when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wire is stopped, the rear seat seat frame of the SUV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less movement control is stopped.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의 가동패널 하단에는 서브시트프레임 또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의 후방 가동바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가 결속홈으로 진입하는 작동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패널을 탄력적으로 승강작동이 가능하도록 눌러주는 토션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1 or 7,
The bottom of the movable panel of the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s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operation in which the binding rings protruding from the rear movable bars of the sub-sheet frame or the left and right sub-sheet frames enter the binding groove. Rear seat seat frame of the SUV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quipped with a torsion spring that presses the movable panel so that it can be moved up and down elastically.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서브시트백프레임 또는 좌측 서브시트백프레임 각각의 일측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수동레치작동부의 작동레바에 일단이 연결되는 메인와이어와, 상기 메인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는 와이어연결박스와, 상기 와이어연결박스에서 인출되는 복수의 서브와이어 인출단은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프레임 착탈장치 및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 각각에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레바의 당김작동시 메인와이어가 와이어연결박스에서 인출되는 복수의 서브와이어를 당겨주는 작동으로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프레임 착탈장치를 차체뒷면의 스트라이커에서 해제작동시키는 동시에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가동패널을 결속고리에서 해제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1 or 7,
The plurality of subframe attachment and detachment devices include a main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operating lever of a manual latch operation unit fixedly attached to one side of each of the sub seat back frame or the left sub seat back frame, and a wire connection box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main wire is connected. And, a plurality of sub-wire withdrawal ends that are drawn out from the wire connection box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mainframe detachable device and the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s installed on the main seat back frame, and pull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When the main wire is pulled out from the wire connection box, the main frame detachable device installed on the main seat back frame is released from the striker on the back of the body and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frame detachable devices. The movable panel that is attached to the hook Post heating up the seat frame of the SUV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operate off.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 및 서브시트백프레임 또는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은 차체바닥에 대칭을 이루도록 고정 설치된 양측 고정브라켓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폴딩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1 or 7,
The main seat back frame and the sub seat back frame or the left and right sub seat back frames ar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folding operation by using a rotating shaft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top of both fixed brackets installed to be symmetrical to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Rear seat seat frame of SUV vehicle.
KR1020180156061A 2018-12-06 2018-12-06 Rear seat frame for SUV vehicle KR1021115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061A KR102111597B1 (en) 2018-12-06 2018-12-06 Rear seat frame for SUV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061A KR102111597B1 (en) 2018-12-06 2018-12-06 Rear seat frame for SUV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597B1 true KR102111597B1 (en) 2020-05-18

Family

ID=70912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061A KR102111597B1 (en) 2018-12-06 2018-12-06 Rear seat frame for SUV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59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900B1 (en) * 2021-04-14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ar side seat frame for kids safety ca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0483A (en) * 2005-10-12 2007-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wo step kocking apparatus to tilting a rear seat back
KR100805414B1 (en) 2006-12-14 2008-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he folding apparatus which is the work of the seat for a car
KR20120063371A (en) * 2010-12-07 2012-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Back reclining device interconnected with cushion of seat for vehicle
KR101526887B1 (en) * 2014-04-30 2015-06-09 (주)티에프에스 Sliding locking device for car seat
KR20180066646A (en)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Rear-seat sliding apparatus of latch rotating type
KR101864253B1 (en) 2016-10-26 2018-07-04 주식회사 다스 Walk-in and folding apparatus of vehicle sea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0483A (en) * 2005-10-12 2007-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wo step kocking apparatus to tilting a rear seat back
KR100805414B1 (en) 2006-12-14 2008-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he folding apparatus which is the work of the seat for a car
KR20120063371A (en) * 2010-12-07 2012-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Back reclining device interconnected with cushion of seat for vehicle
KR101526887B1 (en) * 2014-04-30 2015-06-09 (주)티에프에스 Sliding locking device for car seat
KR101864253B1 (en) 2016-10-26 2018-07-04 주식회사 다스 Walk-in and folding apparatus of vehicle seat
KR20180066646A (en)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Rear-seat sliding apparatus of latch rotating ty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900B1 (en) * 2021-04-14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ar side seat frame for kids safety c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3693B2 (en) Adjustable headrest for juvenile vehicle
US11167666B2 (en) Vehicle seat foldable into a console position and into forward folded position
US20190152352A1 (en) Easy-entry vehicle seat
US9315130B2 (en) Articulating head restraint
KR102193349B1 (en) Rear seat frame for SUV vehicle
EP3372444A1 (en) Mechanism for a supine motor vehicle seating assembly
CN207942949U (en) Seat-assembly
JP7014096B2 (en) vehicle
KR102111597B1 (en) Rear seat frame for SUV vehicle
CN110356289A (en) A kind of one-touch seat adjuster
EP3269586B1 (en) A one-piece tilting adjustable seat for sports cars
KR102201315B1 (en) Rear seat frame for SUV vehicle
KR101620231B1 (en) Apparatus for reclining rear seat for vehicle
CN105667352A (en) Separable reclining car seat
US10434905B2 (en) Collapsible lift mechanism for H-point lift
KR20200050626A (en) Seat seat frame for SUV vehicle
JP3573376B2 (en) Multifunctional seats for vehicles
CN218558653U (en) Chair framework capable of realizing multiple scenes
KR102411246B1 (en) Seat-back having Shoulder Adjuster
KR20200021041A (en) Apparatus for extending of seat-cushion and vehicle seat comprising the same
US11453315B2 (en) Seat device and vehicle
JP5629110B2 (en) Wheelbarrow with seat
CN215552678U (en) Vehicle seat assembly
CN114889505B (en) Vehicle rear seat and vehicle
KR20230042807A (en) Device for adjusting position of seat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