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400B1 - 출입문 장치의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문 장치 - Google Patents

출입문 장치의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400B1
KR102111400B1 KR1020180126276A KR20180126276A KR102111400B1 KR 102111400 B1 KR102111400 B1 KR 102111400B1 KR 1020180126276 A KR1020180126276 A KR 1020180126276A KR 20180126276 A KR20180126276 A KR 20180126276A KR 102111400 B1 KR102111400 B1 KR 102111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door
switch
volt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5340A (ko
Inventor
조선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80126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4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45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08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for dc appl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2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opening the circuit by detection of current increa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출입문 장치의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문 장치가 개시된다. 출입문 장치는 출입문의 개폐 상태를 설정하는 출입문 개폐기, 출입문 개폐기에 파워를 공급하는 출입문 제어부, 그리고 출입문 개폐기와 출입문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고 출입문 개폐기와 출입문 제어부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링하며 모니터링한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파워의 공급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보호 회로를 포함

Description

출입문 장치의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문 장치{PROTECTION CIRCUIT OF ENTRANCE APPARATUS AND ENTRANCE DOO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출입문 장치의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출입문 장치는 출입문을 개폐하는 장치로서 비밀 번호 또는 패스 카드 등이 입력될 시에 이를 인증한 후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장치이다.
출입문 장치는 출입문 제어부와 출입문 개폐기를 포함한다. 출입문 제어부가 소정의 파워를 출입문 개폐기로 출력할 시에 출입문 개폐기는 출입문을 잠금 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출입문 제어부가 소정의 파워(전류 및 전압)를 출입문 개폐기로 출력하지 않을 시에는 출입문 개폐기는 출입문을 열림 상태로 전환한다. 즉, 소정의 파워가 출입문 개폐기로 인가되는지 여부에 따라 출입문 개폐가 동작한다.
일반적으로 출입문 제어부는 소정의 파워를 그대로 출력시켜 출입문 개폐기로 인가한다. 이와 같이 소정의 파워가 그대로 입력됨으로 인해, 출입문 장치 내부의 합선이나 단락(short) 발생하는 경우 출입문 장치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외부의 요인으로 누전 또는 서지(surge) 전류로 인한 과전압 또는 과전류로 인해 출입문 장치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부적인 요인 또는 외부적인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 출입문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출입문 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문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출입문 장치는, 출입문의 개폐 상태를 설정하는 출입문 개폐기, 상기 개폐 상태를 위해 상기 출입문 개폐기에 파워를 공급하는 출입문 제어부, 그리고 상기 출입문 개폐기와 상기 출입문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출입문 개폐기와 상기 출입문 제어부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파워의 공급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보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회로는, 상기 출입문 개폐기와 상기 출입문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는 스위치, 상기 출입문 개폐기와 상기 스위치 사이에 흐르는 전류인 제1 전류를 센싱하는 제1 전류 센싱부, 상기 출입문 제어부와 상기 스위치 사이에 흐르는 전류인 제2 전류를 센싱하는 제2 전류 센싱부, 그리고 상기 제1 전류와 상기 제2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의 턴온 또는 턴오프를 제어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회로는 상기 출입문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센싱하는 전압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전류, 상기 제2 전류, 그리고 상기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의 턴온 또는 턴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전류가 제1 전류 기준 값 이상이며 상기 제2 전류가 제2 전류 기준 값 이상인 경우 과전류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턴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회로는 상기 과전류 상태를 외부로 통보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출입문 개폐기에서 강제 락 동작이 발생하고 상기 전압이 소정의 정상 범위가 아니고 상기 제1 및 제2 전류가 소정의 정상 범위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턴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출입문 개폐기에서 강제 락 동작이 발생하고 상기 전압이 상기 정상 범위인 경우, 락 점검 통보를 외부로 알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턴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값 이하인 경우, 전원 불안을 외부로 알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문을 개폐시키는 출입문 개폐기, 그리고 상기 출입문 개폐기에 파워를 공급하는 출입문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입문 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회로가 제공된다. 상기 보호 회로는, 상기 출입문 개폐기와 상기 출입문 장치 사이를 스위칭하는 스위치, 상기 출입문 개폐기로 입력되는 전류를 센싱하는 제1 전류 센싱부, 상기 출입문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센상하는 제2 전류 센싱부, 그리고 상기 제1 전류와 상기 제2 전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스위치의 턴오프 여부를 제어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문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센싱하는 전압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전류, 상기 제2 전류, 그리고 상기 전압을 기초로 하여, 상기 스위치의 턴오프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전류가 제1 전류 기준 값 이상이고 소정 기간 지속되며 상기 제2 전류가 제2 전류 기준 값 이상이고 소정 기간 지속되는 경우 과전류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턴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과전류 상태를 통보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출입문 개폐기에서 강제 락 동작이 발생하고 상기 전압이 소정의 정상 범위가 아니고 상기 제1 및 제2 전류가 소정의 정상 범위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턴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출입문 개폐기에서 강제 락 동작이 발생하고 상기 전압이 상기 정상 범위인 경우, 락 점검 통보를 외부로 알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값 이상이고 소정 기간 지속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턴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값 이하인 경우, 전원 불안을 알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문 장치에 보호 회로를 별도로 제공함으로써, 과전류 또는 과전압 등으로부터 출입문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장치(10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장치(1000)는 출입문 제어부(100), 출입문 개폐기(200), 그리고 보호 회로(300)를 포함한다.
출입문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인증 신호(비밀번호 또는 패스 카드 접촉 등)가 입력되는 경우, 인증 여부를 판단하여 출입문 개폐기(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출입문 제어부(100)는 소정의 파워(전압 V, 전류 I)를 출입문 개폐기(200)로 출력하며, 출입문 개폐기(200)는 출입문을 잠금 상태로 설정한다. 그리고, 출입문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인증에서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한 경우 출입문 개폐기(200)로 파워를 출력(공급)을 차단하며, 출입문 개폐기(200)는 출입문을 열림 상태로 설정한다. 즉, 출입문 제어부(100)에서 공급되는 파워로 인해, 출입문 개폐기(200)는 출입문을 잠금 상태 또는 열림 상태로 설정한다.
출입문 개폐기(200)는 출입문 제어부(100)로부터 파워를 입력(공급) 받으며, 입력된 파워에 따라 출입문 상태를 설정한다. 출입문 개폐기(200)는 출입문 제어부(100)로부터 소정의 파워를 입력 받는 경우, 출입문을 잠금 상태로 설정한다. 그리고 출입문 개폐기(200)는 출입문 제어부(100)로부터 소정의 파워를 입력 받지 않는 경우에는 출입문을 열림 상태로 설정한다. 출입문 개폐기(200)는 코일과 같은 자력 성분을 가지는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회로(300)는 출입문 제어부(100)와 출입문 개폐기(200) 사이에 위치하며, 출입문 장치(1000)의 보호 동작을 수행한다. 보호 회로(300)는 출입문 제어부(100)와 출입문 개폐기(200) 사이에 흐르는 전류 및 전압을 모니터링하며, 모니터링한 전류 및 전압을 통해 보호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보호 회로(300)는 모니터링한 전류 및 전압을 통해 출입문 장치(1000)의 상태를 판단하며, 판단한 상태를 외부로 통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회로(3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회로(300)는 제1 전류 센싱부(310), 제2 전류 센싱부(320), 판단부(330), 드라이버(340), 스위치(S1), 송신부(350), 그리고 전압 센싱부(360)를 포함한다.
제1 전류 센싱부(310)는 출입문 개폐기(200)의 전단에 위치하며 출입문 개폐기(200)로 입력되는 전류인 제1 전류(I1)를 센싱한다. 제1 전류 센싱부(310)는 센싱한 전류(I1)를 판단부(330)로 전송한다. 제1 전류 센싱부(310)와 판단부(330)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통신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류 센싱부(310)는 센싱한 전류(I1)가 제1 기준 전류 값 이상인 경우는 제한신호(Limit signal)(L1)를 드라이버(34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1 기준 전류 값은 4A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전류 센싱부(310)는 제1 저항(R1)의 양단을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 전압과 제1 저항(R1)의 저항 값을 이용하여 제1 전류(I1)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제2 전류 센싱부(320)는 출입문 제어부(100)의 후단에 위치하며 출입문 제어부(100)에서 출력(공급)되는 전류인 제2 전류(I1)를 센싱한다. 제2 전류 센싱부(320)는 센싱한 전류(I2)를 판단부(330)로 전송한다. 제2 전류 센싱부(320)와 판단부(330)도 서로 URAT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류 센싱부(320)는 센싱한 전류(I2)가 제2 기준 전류 값 이상인 경우는 제한신호(Limit signal)(L2)를 드라이버(34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2 기준 전류 값은 5A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전류 센싱부(320)는 제2 저항(R2)의 양단을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 전압과 제2 저항(R2)의 저항 값을 이용하여 제2 전류(I2) 값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류 센싱부(310)와 제2 전류 센싱부(320)를 별도로 구성되는데, 이는 두 지점의 전류가 다를 수 있고 더욱 정밀하게 보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전압 센싱부(360)는 출입문 제어부(100)에서 출력(공급)되는 전압(V)을 센싱한다. 전압 센싱부(360)는 센싱한 전압(V)을 판단부(330)로 전송한다. 전압 센싱부(360)와 판단부(330)도 서로 URAT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압 센싱부(360)가 출입문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전압(V)를 센싱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판단부(330)는 제1 전류 센싱부(310)로부터 제1 전류(I1)를 수신하고 제2 전류 센싱부(320)로부터 제2 전류(I2)를 수신하며 전압 센싱부(360)로부터 전압(V)를 수신한다. 판단부(330)는 수신한 제1 전류(I1), 제2 전류(I2), 그리고 전압(V)를 이용하여 보호 동작을 수행한다. 판단부(330)는 보호 동작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드라이버(340)로 보호 동작 신호를 전송하고, 드라이버(340)는 스위치(S1)를 턴오프한다. 그리고 판단부(330)는 제1 전류(I1), 제2 전류(I2), 그리고 전압(V)를 이용하여 출입문 장치(1000)의 상태를 판단한다. 판단부(330)는 판단한 출입문 장치(1000)의 상태를 외부로 통보하기 위해, 송신부(350)를 통해 통보(전송)한다. 한편, 판단부(330)는 제1 전류(I1), 제2 전류(I2), 그리고 전압(V)을 이용하여 과전류 보호 동작 모드, 오동작 모드, 그리고 과전압 보호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2 내지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판단부(330)는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드라이버(340)는 스위치(S1)의 턴온/턴오프를 구동한다. 드라이버(340)는 제1 전류 센싱부(310)로부터 제한신호(L1)를 수신하는 경우, 스위치(S1)를 턴오프한다. 드라이버(340)는 제2 전류 센싱부(320)로부터 제한신호(L2)를 수신하는 경우, 스위치(S1)를 턴오프한다. 그리고 드라이버(340)는 판단부(330)에 의해 제어되며, 판단부(330)로부터 보호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스위치(S1)를 턴오프한다. 드라이버(340)는 판단부(330)로부터 정상(normal)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스위치(S1)를 턴온한다. 즉, 드라이버(340)는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만 스위치(S1)를 턴오프한다.
스위치(S1)는 출입문 개폐기(200)와 출입문 제어부(100)의 사이에 연결되며, 드라이버(340)에 의해 턴온/턴오프 된다. 출입문 장치(1000)가 정상(normal) 상태인 경우 스위치(S1)는 턴온을 유지하며, 출입문 장치(1000)가 보호 동작 상태인 경우에는 스위치(S1)는 턴오프된다. 스위치(S1)이 턴오프되는 경우에는 출입문 제어부(100)로부터 출입문 개폐기(200)로 파워가 공급되지 않아 출입문 장치(1000)를 보호할 수 있다. 스위치(S1)는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송신부(350)는 판단부(330)로부터 출입문 장치(1000)의 상태를 수신하며, 이를 외부로 전송한다. 송신부(250)는 외부의 기기(예를 들면, 관제 시스템)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즉, 송신부(350)를 통해 출입문 장치(100)의 상태가 외부의 기기로 통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330)가 제1 전류(I1) 및 제2 전류(I2)를 이용하여 과전류 보호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판단부(330)는 제1 전류(I1)와 제2 전류(I2)를 모니터링한다(S210). 판단부(330)는 제1 전류 센싱부(310)로부터 수신한 제1 전류(I1)와 제2 전류 센싱부(320)로부터 수신한 제2 전류(I2)를 모니터링한다.
판단부(330)는 S210 단계에서 모니터링한 제1 전류(I1)와 제2 전류(I2)를 이용하여, 과전류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판단부(330)는 제1 전류(I1)가 제3 기준 전류 값 이상이고 제2 전류(I2)가 제4 기준 전류 값 이상이며 모니터링한 두 전류(I1, I2)가 각각 기준 전류 값보다 이상인 기간이 일정 기간 이상인 경우, 과전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기준 전류 값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 기준 전류 값(예를 들면, 4A)과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더욱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기준 전류 값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2 기준 전류 값(예를 들면, 5A)와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더욱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판단부(330)는 모니터링한 두 전류(I1, I2)가 각각 기준 전류 값보다 이상인 기간이 상기 일정 기간 미만인 경우에는 과전류 상태로 판단하지 않고 노이즈 판단할 수 있다. 즉, 판단부(330)는 두 전류(I1, I2)의 변화가 급격한 경우에는 노이즈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330)는 제1 전류(I1)만이 제3 기준 전류 값 이상인 경우에도 노이즈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330)는 S220 단계에서 과전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보호 동작을 수행한다. 판단부(330)는 과전류 상태로 판단한 경우, 드라이버(34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스위치(S1)을 턴오프하도록 제어한다. 즉, 판단부(330)는 제1 전류(I1)와 제2 전류(I2)를 모니터링하여 과전류 상태로 판단한 경우, 스위치(S1)를 턴오프하도록 제어하여, 출입문 장치(1000)를 과전류 상태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판단부(330)는 S220 단계에서 과전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과전류 상태를 통보한다(S240). 즉, 판단부(330)는 과전류 상태를 송신부(350)를 통해 외부로 통보할 수 있다. 한편, 판단부(330)는 S220 단계에서 과전류 상태로 판단하지 않은 경우(예를 들면, 제1 전류(I1)만이 제3 기준 전류 값보다 높은 경우 또는 제2 전류(I2)만이 제4 기준 전류 값보다 높은 경우)에도 송신부(350)를 통해 그 상태를 통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호 동작이 수행되기 전에 출입문 장치(1000)의 점검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출입문 개폐기(200)에서 의도치 않은 락 동작(닫힘 상태 설정)이 발생한 경우, 판단부(330)가 제1 전류(I1), 제2 전류(I2), 그리고 전압(V)을 이용하여 오동작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판단부(330)는 출입문 개폐기(200)가 강제 락 동작이 발생되었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 출입문 개폐기(200)는 출입문 제어부(100)에 의해 열림 상태로 설정되었으나 강제적으로 닫힘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판단부(330)는 이러한 강제 락 동작 여부를 체크한다. 판단부(330)는 출입문 제어부(100)로부터 출입문 개폐기(200)의 상태 설정 정보(닫힘 또는 열림 동작 정보)를 수신하며 출입문 개폐기(200)의 실제 상태(닫힘 또는 열림)를 센싱한다. 판단부(330)는 수신한 출입문 개폐기(200)의 상태 설정 정보 및 센싱한 출입문 개폐기(200)의 상태를 이용하여, 강제 락 동작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출입문 개폐기(200)의 상태를 센싱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판단부(330)는 S310 단계에서 강제 락 동작이 발생한 경우, 전압 센싱부(360)로부터 수신한 전압(V)이 정상 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여기서, 정상 범위의 전압(V)은 출입문 제어부(100)가 출입문 개폐기(200)를 열림 상태로 설정하기 위해 출력하는 전압의 범위를 의미한다.
판단부(330)는 S320 단계에서 전압(V)이 정상범위인 경우, 락 점검을 통보한다(S330). 즉, 판단부(330)는 락 점검 통보를 송신부(350)를 통해 전송한다. 전압(V)이 정상 범위인데 강제 락 동작이 발생한 경우이므로, 락 점검 통보를 통해 출입문 장치(1000)가 점검될 수 있다.
판단부(330)는 S320 단계에서 전압(V)이 정상범위가 아닌 경우, 전류(I1, I2)가 정상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40). 여기서, 정상 범위의 전류(I1, I2)는 출입문 제어부(100)가 출입문 개폐기(200)를 열림 상태로 설정하기 위해 출력하는 전류의 범위를 의미한다.
판단부(330)는 S340 단계에서 전류(I1, I2)가 정상범위인 경우, 락 점검을 할 것을 통보한다(S350). 전압(V)은 정상 범위가 아니나 전류(I1, I2)가 정상범위 이므로, 락 점검 통보를 통해 출입문 장치(1000)가 점검될 수 있다.
판단부(330)는 S340 단계에서 전류(I1, I2)가 정상범위가 아닌 경우, 보호 동작을 수행한다(S360). 여기서, 전류(I1, I2)가 정상범위가 아닌 경우로서는 상기 S220 단계에서 설명한 과전류 상태에서의 전류 상태일 수 있다. 즉, 전압(V)이 정상 범위가 아니며 전류(I1, I2)도 정상 범위가 아닌 경우, 판단부(330)는 스위치(S1)를 턴오프하도록 제어하여 보호 동작을 수행한다. 스위치(S1)이 턴오프되므로, 출입문 개폐기(200)는 강제 락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강제 락 동작 시에 전압 및 전류의 상태를 판단하여 스위치(S1)를 턴오프함으로써, 강제 락을 해제하고 출입문 장치(100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330)가 전압(V)를 이용하여 과전압 보호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판단부(330)는 출입문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전압(V)를 모니터링한다(S410). 즉, 판단부(330)는 전압 센싱부(360)로부터 수신한 전압(V)를 모니터링한다.
판단부(330)는 S410 단계에서 모니터링한 전압(V)이 제1 기준 전압 값 이상이고 소정의 기간 유지되는 경우, 보호 동작을 수행한다(S420). 여기서, 제1 기준 값은 하나의 예로서 14V가 될 수 있다. 판단부(330)는 전압(V)이 제1 기준 전압 값 이상이 되는 기간이 소정의 기간 유지되는 경우 과전압 상태로 판단하여, 보호 동작을 수행한다(S420). 판단부(330)는 과전압 상태로 판단한 경우, 스위치(S1)를 턴오프하도록 제어하여 보호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판단부(330)는 S410 단계에서 모니터링한 전압(V1)이 제2 기준 전압 값 이하인 경우에는 전원 불안을 통보한다(S430). 여기서, 제2 기준 전압 값은 제1 기준 전압 값보다 낮으며 하나의 예로서 8V가 될 수 있다. 출입문 개폐기(200)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출입문 제어부(100)는 소정의 전압(예를 들면, 10V)을 출력하는데, 이 출입문 제어부(100)의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보다 낮은 경우에는 전원이 불안한 상태이다. 따라서, 판단부(300)는 이러한 전압을 상태를 체크하여 송신부(350)를 통해 외부로 전원 불안을 통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7)

  1. 출입문의 개폐 상태를 설정하는 출입문 개폐기,
    상기 개폐 상태를 위해 상기 출입문 개폐기에 파워를 공급하는 출입문 제어부, 그리고
    상기 출입문 개폐기와 상기 출입문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출입문 개폐기와 상기 출입문 제어부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파워의 공급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보호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회로는,
    상기 출입문 개폐기와 상기 출입문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는 스위치,
    상기 출입문 개폐기와 상기 스위치 사이에 흐르는 전류인 제1 전류를 센싱하는 제1 전류 센싱부,
    상기 출입문 제어부와 상기 스위치 사이에 흐르는 전류인 제2 전류를 센싱하는 제2 전류 센싱부, 그리고
    상기 제1 전류와 상기 제2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의 턴온 또는 턴오프를 제어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출입문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회로는 상기 출입문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센싱하는 전압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전류, 상기 제2 전류, 그리고 상기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의 턴온 또는 턴오프를 제어하는 출입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전류가 제1 전류 기준 값 이상이며 상기 제2 전류가 제2 전류 기준 값 이상인 경우 과전류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스위치를 턴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출입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회로는 상기 과전류 상태를 외부로 통보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출입문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출입문 개폐기에서 강제 락 동작이 발생하고 상기 전압이 소정의 정상 범위가 아니고 상기 제1 및 제2 전류가 소정의 정상 범위가 아닌 경우, 상기 스위치를 턴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출입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출입문 개폐기에서 강제 락 동작이 발생하고 상기 전압이 상기 정상 범위인 경우, 락 점검 통보를 외부로 알리도록 제어하는 출입문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값 이상인 경우, 제1 스위치를 턴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출입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값 이하인 경우, 전원 불안을 외부로 알리도록 제어하는 출입문 장치.
  10. 출입문을 개폐시키는 출입문 개폐기, 그리고 상기 출입문 개폐기에 파워를 공급하는 출입문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입문 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회로로서,
    상기 출입문 개폐기와 상기 출입문 장치 사이를 스위칭하는 스위치,
    상기 출입문 개폐기로 입력되는 전류를 센싱하는 제1 전류 센싱부,
    상기 출입문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센상하는 제2 전류 센싱부, 그리고
    상기 제1 전류와 상기 제2 전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스위치의 턴오프 여부를 제어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보호 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센싱하는 전압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전류, 상기 제2 전류, 그리고 상기 전압을 기초로 하여, 상기 스위치의 턴오프 여부를 제어하는 보호 회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전류가 제1 전류 기준 값 이상이고 소정 기간 지속되며 상기 제2 전류가 제2 전류 기준 값 이상이고 소정 기간 지속되는 경우 과전류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스위치를 턴오프하도록 제어하는 보호 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상태를 통보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보호 회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출입문 개폐기에서 강제 락 동작이 발생하고 상기 전압이 소정의 정상 범위가 아니고 상기 제1 및 제2 전류가 소정의 정상 범위가 아닌 경우, 상기 스위치를 턴오프하도록 제어하는 보호 회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출입문 개폐기에서 강제 락 동작이 발생하고 상기 전압이 상기 정상 범위인 경우, 락 점검 통보를 외부로 알리도록 제어하는 보호 회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값 이상이고 소정 기간 지속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를 턴오프하도록 제어하는 보호 회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값 이하인 경우, 전원 불안을 알리도록 제어하는 보호 회로.
KR1020180126276A 2018-10-22 2018-10-22 출입문 장치의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문 장치 KR102111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276A KR102111400B1 (ko) 2018-10-22 2018-10-22 출입문 장치의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276A KR102111400B1 (ko) 2018-10-22 2018-10-22 출입문 장치의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340A KR20200045340A (ko) 2020-05-04
KR102111400B1 true KR102111400B1 (ko) 2020-06-04

Family

ID=7073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276A KR102111400B1 (ko) 2018-10-22 2018-10-22 출입문 장치의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4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14699A1 (de) * 2021-06-08 2022-12-08 Assa Abloy Sicherheitstechnik Gmbh Steuerungsvorrichtung mit Überspannungsschutz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7107A (ja) * 2001-09-25 2003-04-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7107A (ja) * 2001-09-25 2003-04-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340A (ko) 202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3830B2 (en) Methods for detecting an imminent power failure in time to protect local design state
JP4532444B2 (ja) ファンの電源監視装置
KR20160061896A (ko) 데이터 라인 검출을 통한 전력 및 분류 방식
JP6348556B2 (ja) PoDLワイヤ障害からの保護のための回路構成
CN106655093B (zh) 用于电源线扰动和故障的热切换电路管理技术
US70502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monitor circuit from fault condition
US10312851B2 (en) Motor drive having function for preventing secondary damage
KR102111400B1 (ko) 출입문 장치의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문 장치
KR101145218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03594B1 (ko) 소프트―스타트 및 보호를 구비한 전력 공급 장치
US5973416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switch and circuit arrangement for performing the control
US10923945B2 (en) Mark and hold system and method
CN114641925A (zh) 用于交通工具中逆变器的安全有源放电电路
JP7064441B2 (ja) 電圧クローバ
JP2004505599A (ja) 電力半導体における迅速な短絡防止装置
KR20170085469A (ko) 데이터 라인 검출을 통한 전력 및 분류 방식
JPH09180069A (ja) 盗難防止装置を備えたカーラジオ
KR100525375B1 (ko) Ipm 보호회로
KR20190106181A (ko) 과전류 발생시 모터 구동 전원을 차단하는 eps 제어 장치 및 방법
KR19980026204A (ko) 과전류 차단장치
CN110011525B (zh) 一种降压调节芯片的保护电路及电子设备
KR20190123586A (ko) 배터리 모듈
EP3176978B1 (en) Circuit architectures for protecting against podl wire faults
JPH0723525A (ja) 過電流検出回路
US20220140825A1 (en) Transistor diagnostic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