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111B1 -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111B1
KR102111111B1 KR1020190104001A KR20190104001A KR102111111B1 KR 102111111 B1 KR102111111 B1 KR 102111111B1 KR 1020190104001 A KR1020190104001 A KR 1020190104001A KR 20190104001 A KR20190104001 A KR 20190104001A KR 102111111 B1 KR102111111 B1 KR 102111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layer
mesh
water
manufacturing
artificial tur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그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그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그라스
Priority to KR1020190104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0Fillers, e.g. particles, powders, beads, flakes, spheres,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8Meshes, lattices or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격자모양의 제1메쉬(10) 상에 고무칩(21)과 상기 고무칩 100중량부에 대해 10~12중량부의 바인더를 혼합하고 일정 두께로 적층하여 탄성층(2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무칩(21) 간의 일부가 상기 바인더에 의해 결합되도록 가열된 가압수단으로 상기 탄성층(20)을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바인더가 고형화되기 전에 격자모양의 제2메쉬(30)를 상기 탄성층(20) 상에 적층하여 성형구조체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구조체를 24~48시간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되며, 고무칩(21)으로 이루어진 탄성층(20)을 통해 충격 흡수와 투수성이 우수하고, 탄성층(20)의 무게로 인하여 지면과 잘 밀착되어 들뜸 현상을 방지하며, 탄성층(20)의 상부와 하부에 제1메쉬(10) 및 제2메쉬(30)가 부착되어 재료의 변형을 방지하고 신장률 및 인장률을 극대화하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PERMEABLE ELASTIC MAT FOR ARTIFICIAL TURF WITH ANTISTATIC FUNCTION AND EXCELLENT DRAINAGE PROPER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칩으로 이루어진 탄성층을 통해 충격 흡수와 투수성이 우수하고 지면과 잘 밀착되어 들뜸 현상을 방지하며, 탄성층의 상부 및 하부에 인장력이 우수한 제1메쉬 및 제2메쉬가 부착되어 재료 변형을 방지하며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 탄성매트는 인조잔디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축구장, 풋살장 등의 체육시설이나 어린이놀이터, 근린공원, 테마파크 등의 놀이시설에 설치되는데, 인조잔디 탄성매트는 배수가 용이해야 하며, 체육시설 및 놀이시설 이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을 위해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탄성매트는 배수가 되지 않으며 자체 복원력이 저감되어 탄성 및 배수기능을 잃어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배수가 우수한 배수판은 직배수가 되지 않으며 탄성이 전혀 없으므로 배수와 탄성을 동시에 해결할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탄성매트로 인조잔디 시공한 경우에는 인조잔디의 들뜸 현상, 이음매이탈, 평탄성 상실, 복원력 부재 등으로 사용자의 부상 등 인조잔디의 수명이 다하게 된다.
결합부분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량의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면 딱딱해지고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휨, 수축, 팽창 등의 재료 변형이 발생하고 표면 배수기능을 상실하게 되면, 우수가 한쪽으로 몰리며 물이 고이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어 인조잔디 탄성매트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고, 이는 예산낭비의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06490호"인조잔디매트"에는 토양 및 수질 오염을 최소화하고 투수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평활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인조잔디매트에 대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평활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으나, 매트를 말아서 보관할 수 없으므로 시공현장에서 제작하여 시공해야 하므로 시공성이 저하되고 공기가 길어지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탄성매트는 상부에서 롤러로 가압하는 과정이나 지면의 하중으로 인하여 공극이 점차 막히게 되어 투수성이 저하되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06490호 (2013.09.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극이 넓게 형성되어 투수성이 우수하여 배수가 용이하면서 우수한 탄성을 가져 충격흡수가 가능한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 후 재료의 수축, 팽창 등의 변형이 없어 평탄성을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리 제작한 상태에서 시공현장으로 이동하여 설치작업을 할 수 있도록 권취하여 보관하는 것이 가능한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도록 대전 방지 기능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격자모양의 제1메쉬 상에 고무칩과 상기 고무칩 100중량부에 대해 10~12중량부의 바인더를 혼합하고 일정 두께로 적층하여 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무칩 간의 일부가 상기 바인더에 의해 결합 되도록 가열된 가압수단으로 상기 탄성층을 가압하는 단계; 상기 바인더가 고형화되기 전에 격자모양의 제2메쉬를 상기 탄성층 상에 적층하여 성형구조체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구조체를 24~48시간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바인더에는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해 대전 방지제 2~5중량부가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층에는, 물과 반응하면서 점차 용해되는 수용성 알갱이가 고무칩 100중량부에 대해 5~15중량부 범위 내에서 함유된다.
아울러, 상기 제1메쉬 및 제2메쉬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롤러 또는 가열판이며, 상기 롤러 또는 가열판은 70~80℃로 가열되며, 40~50kg/m2로 10초 내지 15초 간격으로 누름과 띄움을 1 내지 2회 반복하여 상기 탄성층을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성형구조체 제작단계에서는, 상기 제2메쉬(30)의 상부를 일정 너비 간격으로 추가 가압하여 폭 방향으로 홈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는 앞서 설명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고무칩으로 이루어진 탄성층을 통해 공극이 넓어 배수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면서 탄성과 우수한 복원력을 가지므로 상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고무칩의 무게로 인하여 지면과 잘 밀착되어 들뜸 현상이 없고, 탄성층의 상부 및 하부에 수축 또는 팽창 등 재료의 변형이 없는 격자모양의 제1메쉬 및 제2메쉬가 부착되어 평탄성을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물 고임을 방지하고 다량의 우수도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로 가압하는 제작과정이나 지면의 하중으로 인하여 탄성층의 공극이 줄어들어도 탄성층에 포함된 수용성 분말이 물에 용해되면서 점차적으로 새 공극이 추가 형성되므로 투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메쉬 및 제2메쉬와 탄성층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제2메쉬의 상부를 추가 가압함으로써 폭방향의 홈이 형성되면서 탄성층과의 접착성이 향상되어, 탄성매트를 말아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미리 제작하고 시공현장으로 운반하여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대전 방지제가 첨가된 탄성층을 통해,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여 이물질이 흡착되어 탄성층의 공극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투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의 권취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메쉬의 추가 가압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층에 포함된 수용성 알갱이의 용해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의 권취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메쉬의 추가 가압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층에 포함된 수용성 알갱이의 용해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는 토목공사가 완료된 표층 위에 설치되며 넓은 공극을 통하여 배수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면서 탄성과 우수한 복원력을 가지므로 상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소재의 변형이 없어 평탄성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되는 탄성매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100)는 기본적으로 제1메쉬(10), 탄성층(20), 제2메쉬(30)를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제작단계 중 격자모양의 제1메쉬(10) 상에 고무칩(21)과 상기 고무칩 100중량부에 대해 10~12중량부의 바인더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일정 두께로 적층하여 탄성층(20)을 형성하는 단계(S10)를 시작으로 제작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바인더에는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해 대전 방지제 2~5중량부가 첨가된다.
상기 제1메쉬(10)는 수평의 작업대에 안착된 성형틀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메쉬(10)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틀은 1220mm X 1440mm이고, 상기 제1메쉬(10)의 공극은 5mm X 5mm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메쉬(10)에 적층된 상기 고무칩(21)의 크기는 5~7mm이고 상기 고무칩(21)의 무게는 11~14k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탄성층(20)은 고무칩(21)의 무게에 의해 지면과 잘 밀착되도록 하여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탄성층 형성단계(S10)에서 상기 고무칩(21)과 혼합되는 바인더는 우레탄 바인더이고, 상기 고무칩(21)과 바인더는 4~8분 범위 내에서 교반하여 혼합하여 상기 제1메쉬(10) 상에 골고루 펴고 평탄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인더의 함유량이 상기 고무칩 100중량부에 대해 10~12중량부의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탄성층의 과경화가 이루어져 너무 딱딱해지고, 상기 범위 미달 시에는 고무칩(21) 간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대전 방지제는 탄성층(20)의 전기저항을 작게 하여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이를 통해 시공 후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여 이물질이 흡착을 막을 수 있으므로, 탄성층(20)의 공극이 이물질에 의해 막혀 투수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탄성층(20)에는 물과 반응하면서 점차 용해되는 수용성 알갱이(22)가 고무칩 100중량부에 대해 5~15중량부 범위 내에서 함유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성 알갱이(22)는 고무칩 100중량부에 대해 10중량부 첨가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탄성매트의 제조과정에서 사용되는 가압수단이나 설치 후 지면의 하중으로 인하여 상기 탄성층(20)의 공극이 점차 줄어들게 되어 투수성이 저하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층(20)에 상기 수용성 알갱이(22)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수용성 알갱이(22)는 물에 점차 용해됨으로써, 상기 수용성 알갱이(22)가 용해된 공간으로 인하여 상기 탄성층(20)에 공극이 추가 형성되므로 투수성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고 배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용성 알갱이(22)는 장기간에 거쳐 용해되도록 구성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작업을 기준으로 1년 이후에 용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알갱이(22)는 고무칩 100중량부에 대해 5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공극 추가 형성이 미미하여 투수성 향상 효과가 없으며,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공극이 과도하게 형성되어 고무칩 간의 결합력이 약해지게 된다.
또한, 탄성층(20)의 두께는 한정되지 않으며, 용도에 따라 두께를 다양하게 설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탄성층(20)은 12mm, 15mm, 20mm, 55mm 등의 두께로 제작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15mm의 두께로 제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하키장 용도로는 12mm가 적합하고, 아이들 전용시설에는 20mm, 그리고 어린이 놀이터에는 55mm의 두께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상기 고무칩(21) 간의 일부가 상기 바인더에 의해 결합 되도록 가열된 가압수단으로 상기 탄성층(20)을 가압하는 단계(S20)를 진행한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가압수단은 롤러 또는 가열판인 것이고, 상기 롤러 또는 가열판은 70~80℃로 가열되며, 40~50kg/m2의 압력으로 10초 내지 15초 간격으로 누름과 띄움을 1~2회 반복하여 상기 탄성층(20)을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단계(S20)에서 상기 탄성층(20)은 다수개의 고무칩(21) 간의 일부가 바인더로 결합 되도록 하여, 상기 탄성층(20)의 공극이 넓게 형성되므로 투수성이 향상되고 배수가 용이하게 되고 상기 고무칩(21)의 탄성을 유지하여 우수한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층을 통하여, 인조잔디가 탄성매트(100)의 상부에 설치되었을 경우에 인조잔디의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켜 완충역할을 하게 되며, 상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다음으로는 상기 바인더가 고형화되기 전에 격자모양의 제2메쉬(30)를 상기 탄성층(20) 상에 적층하여 상기 탄성층(20)에 제2메쉬(30)가 부착되어 성형구조체를 제작하는 단계(S30)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제2메쉬(30)는 상기 제1메쉬(10)와 마찬가지로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메쉬(10) 및 상기 제2메쉬(30)는 탄성매트(100)의 수축 또는 팽창을 방지하여 휨 변형을 방지하고 강도를 증대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제1메쉬(10) 및 상기 제2메쉬(30)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중에서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를 선택하여 적용할 경우, 상기 탄성층(20)과 상기 제1메쉬(10) 또는 상기 제2메쉬(30)의 접착성이 가장 우수하게 되어, 탄성매트(100)를 말아서 보관할 경우에도 상기 탄성층(20)과 상기 제2메쉬(30)가 분리되지 않고 유지되어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게 된다.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은 외부 충격에 강하고 인장강도, 압축강도, 내약품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열변형성이 없기 때문에 팽창 및 수축이 발생하지 않아 열적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어 탄성매트(100)를 말아서 보관하여도 제1메쉬, 탄성층, 제2메쉬의 분리됨이 없고 재료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각 구성이 일체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성형구조체 제작단계에서, 상기 제2메쉬는 상기 바인더가 고형화되기 전에 상기 탄성층에 적층됨으로써 상기 탄성층과 결합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메쉬를 상측에서 일정 너비 간격으로 추가 가압하여 상기 제2메쉬(30)에 폭 방향의 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2메쉬(30)와 상기 탄성층(20)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메쉬(30)를 가압하는 수단은 롤러가 바람직하며, 가해지는 압력은 30~50kg/m2 압력이고, 압력이 가해지는 간격은 20~6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제2메쉬(30)가 일정 너비 간격으로 홈을 형성하며 상기 탄성층(30)에 강하게 접착되어 탄성매트(100)를 권취하여도 각 구성이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성형구조체를 양생틀에 넣고 24~48시간 양생하는 단계(S40)를 거치고 성형틀을 해체하면서 탄성매트(100)의 제작이 마무리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탄성매트(100)는,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메쉬(10)를 안착시키고,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메쉬(10) 위에 바인더와 혼합된 고무칩(21)으로 이루어진 탄성층(20)을 부착하고, 도 2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층(20) 위에 제2메쉬(30)가 부착되어 하나의 성형구조체로 일체화되어 제작된다.
앞서 설명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탄성매트(100)는 넓은 공극을 통하여 투수성이 향상되어 다량의 우수로 인한 과배수도 가능하며, 탄성을 통해 충격흡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탄성매트(100)는 권취가 용이하여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므로 미리 제작한 후 시공현장에서 바로 설치작업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재료의 변형을 방지하여 평탄도가 반영구적으로 유지되어 물 고임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매트(100)의 사용 및 작동에 대해 도면과 더불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매트(100)는 감아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제1메쉬(10) 및 제2메쉬(30)의 인장률 및 신장률이 우수하면서 탄성층과의 접착력이 우수하므로 탄성매트(100)를 권취하여 보관할 경우에도 제1메쉬(10), 탄성층(20) 및 제2메쉬(30)의 각 구성이 분리되지 않고 일체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기존의 인조잔디용 탄성매트(100)는 권취상태로 보관이 어렵기 때문에 시공현장에서 작업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공기가 길고 시공성이 좋지 않은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탄성매트(100)는 권취하여 보관하여도 일체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탄성매트(100)를 미리 제작한 상태에서 시공현장에 이송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공기가 단축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상기 제2메쉬(30)의 상측을 추가로 가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메쉬(30)의 상측은 일정 너비 간격으로 다른 표면에 비해 더 큰 압력이 가해지게 되며, 이를 통해 폭 방향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2메쉬(30) 상측에 추가 가압된 부분은 상기 제2메쉬(30)와 상기 탄성층(20)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탄성매트(100)를 권취하여 보관할 경우에도 각 구성이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탄성층(20)에 첨가된 수용성 알갱이(22)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a)는 시공 후 수용성 알갱이(22)가 용해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 (b)는 수용성 알갱이(22)가 점차적으로 용해되어 공극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완료 후 초기에는 상기 수용성 알갱이(22)가 탄성층에 골고루 분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시간이 경과 하면서 지면의 하중 등의 영향으로 공극이 줄어들게 되어 투수성이 저하되게 된다.
이때,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층(20)에 포함된 수용성 알갱이(22)가 물에 반응하여 장기간에 거쳐 점차적으로 용해됨으로써 수용성 알갱이(22)가 용해된 자리에 추가 공극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수용성 알갱이(22)의 용해됨에 따라 탄성층(22)의 공극이 추가 형성되므로 탄성층(20)의 투수성이 향상되어 배수가 용이 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제1메쉬 20 : 탄성층
21 : 고무칩 22 : 수용성 알갱이
30 : 제2메쉬 100 : 탄성매트

Claims (6)

  1. 격자모양의 제1메쉬(10) 상에 고무칩(21)과 상기 고무칩 100중량부에 대해 10~12중량부의 바인더를 혼합하고 일정 두께로 적층하여 탄성층(20)을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고무칩(21) 간의 일부가 상기 바인더에 의해 결합 되도록 가열된 가압수단으로 상기 탄성층(20)을 가압하는 단계(S20);
    상기 바인더가 고형화되기 전에 격자모양의 제2메쉬(30)를 상기 탄성층(20) 상에 적층하여 성형구조체를 제작하는 단계(S30); 및
    상기 성형구조체를 24~48시간 양생하는 단계(S40);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에는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해 대전 방지제 2~5중량부가 첨가되고,
    상기 탄성층(20)에는, 물과 반응하면서 점차 용해되는 수용성 알갱이(22)가 고무칩 100중량부에 대해 5~15중량부 범위 내에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쉬(10) 및 제2메쉬(30)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롤러 또는 가열판이며,
    상기 롤러 또는 가열판은 70~80℃로 가열되며, 40~50kg/m2로 10초 내지 15초 간격으로 누름과 띄움을 1 내지 2회 반복하여 상기 탄성층(20)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구조체 제작단계(S30)에서는,
    상기 제2메쉬(30)의 상부를 일정 너비 간격으로 추가 가압하여 폭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의 제조방법.
  6. 제1항, 제3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
KR1020190104001A 2019-08-23 2019-08-23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1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001A KR102111111B1 (ko) 2019-08-23 2019-08-23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001A KR102111111B1 (ko) 2019-08-23 2019-08-23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111B1 true KR102111111B1 (ko) 2020-05-15

Family

ID=7067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001A KR102111111B1 (ko) 2019-08-23 2019-08-23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1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342B1 (ko) 2021-04-22 2021-11-04 주식회사 채운 영구대전방지제를 함유한 인조잔디 파일을 포함하는 인조잔디 시공구조
KR102347646B1 (ko) 2021-04-22 2022-01-06 주식회사 채운 인조잔디 충진재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시공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4647A (ja) * 2008-07-16 2010-02-04 Mitsuboshi Belting Ltd 衝撃吸収材とその製造方法
KR20130106490A (ko) 2012-03-20 2013-09-30 그린필드그래스 주식회사 인조잔디매트
KR101470789B1 (ko) * 2014-03-26 2014-12-08 신영봉 인조잔디형 고무블럭과 그 제조방법
KR101674905B1 (ko) * 2015-11-23 2016-11-10 에코텍 주식회사 차열 및 대전 방지용 자가치유형 인조잔디 충진재 및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4647A (ja) * 2008-07-16 2010-02-04 Mitsuboshi Belting Ltd 衝撃吸収材とその製造方法
KR20130106490A (ko) 2012-03-20 2013-09-30 그린필드그래스 주식회사 인조잔디매트
KR101470789B1 (ko) * 2014-03-26 2014-12-08 신영봉 인조잔디형 고무블럭과 그 제조방법
KR101674905B1 (ko) * 2015-11-23 2016-11-10 에코텍 주식회사 차열 및 대전 방지용 자가치유형 인조잔디 충진재 및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342B1 (ko) 2021-04-22 2021-11-04 주식회사 채운 영구대전방지제를 함유한 인조잔디 파일을 포함하는 인조잔디 시공구조
KR102347646B1 (ko) 2021-04-22 2022-01-06 주식회사 채운 인조잔디 충진재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114B1 (ko)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투수형 탄성매트를 이용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4925813B2 (ja) 人工芝床材及び敷設方法
KR102111111B1 (ko) 대전 방지 기능 및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 인조잔디용 투수형 탄성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20219747A1 (en) Panel with decorative slate
KR101227035B1 (ko)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059423B1 (ko) 지속적인 충격흡수 기능을 가지며 향후 재활용이 가능한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KR102060861B1 (ko) 아스팔트 시공용 보강재
WO2008101269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chwellenbesohlung auf einem schwellenkörper sowie schwelle
KR101206728B1 (ko) 빗물 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470789B1 (ko) 인조잔디형 고무블럭과 그 제조방법
KR102273558B1 (ko)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폴리머 포장을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과 이의 제조 방법
KR101024977B1 (ko) 탄성포장 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이에 따라 형성된 탄성포장 구조체
KR101483744B1 (ko) 친환경 지반침하 억제형 투수구조체의 시공방법
JP2020520877A (ja) 環境に配慮した断熱構造ブロックおよび構造
KR20110080467A (ko) 친환경 인조잔디 구장의 시공방법
KR100980143B1 (ko) 건물 바닥용 완충층의 방수구조
CN210216434U (zh) 用于制造空腔建筑结构的一次性模板
JP2001107302A (ja) 弾性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27024B1 (ko) 지하구조물용 방수층 보호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58869B1 (ko) 고정기능을 구비한 조립형 탄성매트
KR100958868B1 (ko) 어린이 놀이터용 매트
KR102008876B1 (ko) 합성수지시트층 일체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
WO2009030951A1 (en) Artificial playing surface
KR102630260B1 (ko) 코르크를 이용한 친환경 탄성포장 공법
CN101440596B (zh) 组合式人工运动草垫及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