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909B1 - 약전계에서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약전계에서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909B1
KR102110909B1 KR1020130092499A KR20130092499A KR102110909B1 KR 102110909 B1 KR102110909 B1 KR 102110909B1 KR 1020130092499 A KR1020130092499 A KR 1020130092499A KR 20130092499 A KR20130092499 A KR 20130092499A KR 102110909 B1 KR102110909 B1 KR 102110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6718A (ko
Inventor
남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2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909B1/ko
Priority to PCT/KR2014/006744 priority patent/WO2015020331A1/en
Priority to US14/902,971 priority patent/US10015838B2/en
Publication of KR20150016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6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traf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약전계에서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단말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기 위하여, 단말에서 발생한 음성 통화를 감지하고, 단말의 약전계 상태 진입을 포함하는 데이터 차단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한 후 데이터 차단 조건이 만족되면 단말의 데이터 통신을 차단한다.

Description

약전계에서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 control in weak electromagnetic field}
본 발명은 약전계에서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수신되는 음성 통신의 무선 신호가 약한 경우에 데이터 통신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HSPA (High Speed Packet Access)와 같은 3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는 음성 통화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와 같은 회선 교환 도메인(CS(Circuit Switched) domain) 서비스와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는 패킷 교환 도메인(PS(Packet Switched) domain) 서비스가 동시에 지원된다. 또한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음성 통화 중 브라우저 및 웹 검색과 같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3G 이동통신 환경에서 CS 도메인 서비스와 PS 도메인 서비스가 동시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RF 신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단말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가 약한 약전계 상황에서는 우선순위가 높은 음성 통화의 품질이 의도하지 않은 백그라운드 데이터 전송의 발생으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의 약전계 상황에서 음성 통화가 실행 중일 때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데이터 통신을 제어함으로써 음성 통화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에서 발생한 음성 통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약전계 상태 진입을 포함하는 데이터 차단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차단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단말의 데이터 통신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기 단말에서 발생한 음성 통화를 감지하면 상기 단말의 약전계 상태 진입을 포함하는 데이터 차단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및 상기 데이터 차단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단말의 데이터 통신을 차단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전계에서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단말에서 음성 통화 실행 중 약전계 상태로의 진입 등 데이터 차단 조건이 만족되면 데이터 통신을 차단함으로써 음성 통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데이터 통신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데이터 통신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CS 도메인 서비스와 PS 도메인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이 구현된 여타의 다른 단말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110)은 단말(120)과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G 네트워크에서는 CS 도메인 서비스를 위한 전송 경로(130)와 PS 도메인 서비스를 위한 전송 경로(140)가 각각 생성되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단말(120)이 CS 경로(130)를 통해 기지국(110)과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도중에도 단말(120)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여 PS 경로(140)로 전송되거나, 단말(120)로 향하는 데이터가 기지국(110)으로부터 PS 경로(140)를 통해 단말(120)로 수신될 수 있다.
단말(120)이 CS 경로(130)를 통한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도중에 약전계 상태로 진입하게 되면, PS 경로(140)를 통한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으로 인해 음성 통화의 품질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발생하는 데이터와 같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에 음성 통화의 품질이 저하되고, 나아가 음성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성 통화를 수행하고 있는 단말이 약전계 상태에 진입하는 경우에 단말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통신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음성 통화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통신부(210), 신호 처리부(220), 입력부(230), 디스플레이부(240), 저장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단말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통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60)로 출력하고, 제어부(2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부(210)는 CS 도메인 서비스를 위한 신호 송수신 및 PS 도메인 서비스를 위한 신호 송수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지털 신호를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부(230)는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60)에 전달한다. 입력부(230)는 숫자 키, 방향 키 등을 포함하는 키 패드(key pad) 또는 마우스(mouse)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단말이 휴대용 기기인 경우에는 소정의 기능 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40)가 터치식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키 입력부(230)가 최소화 내지 생략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단말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240)는 단말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240)는 단말에 저장된 파일들의 썸네일 및 파일의 저장 경로를 표시하고, 입력 받은 명령에 대응하여 썸네일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변경된 저장 경로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가 터치식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40)는 입력부(230)를 대신하여 터치 센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터치 센서부는 디스플레이부(14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서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터치 센서부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다.
즉, 터치 센서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60)에 전달한다. 감지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한 상태에서 이동(드래그)하면, 터치 센서부는 이동 경로의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60)에 전달한다.
터치 센서부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표면 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적외선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40)의 터치 센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250)는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단말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음성 대화 기능,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단말의 사용에 따라 생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 받은 파일이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오디오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단말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부(260)는 상태 판단부(262)와 통신 제어부(264)를 구비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262)는 단말의 상태가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통신 제어부(264)는 상태 판단부(262)의 판단 결과에 따라 단말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단말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단말의 각 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데이터 통신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데이터 통신 제어 과정은 단말에 구현된 단일 제어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모듈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은 310 단계에서 음성 통화의 실행을 감지한다. 단말의 통화 관련 상태는 단말로 호 요청이 수신되어 전화벨이 울리고 있는 상태(RINGING), 호 연결에 의해 통화 중인 상태(OFFHOOK) 및 일반적인 대기 상태(IDLE)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단말이 RINGING 상태 및 OFFHOOK 상태에 있을 때에는 단말에서 음성 통화가 실행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320 단계에서 현재 단말의 상태가 데이터 차단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 차단 조건의 실시예로서, 단말이 약전계 상태로 진입하는지 여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데이터가 발생하는지 여부 등 데이터 통신을 차단할 필요성이 있는 모든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차단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로는 약전계 상태로의 진입 여부는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안테나 바의 개수로부터 판단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데이터의 발생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인지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이 꺼져 있는 상태여서 발생하는 데이터인지 여부 등을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단말의 상태가 데이터 차단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은 330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을 차단한다. 데이터 통신을 차단하는 방법으로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해제하여 음성 통화를 위한 연결만 유지하는 방법도 가능하며, 네트워크와의 연결은 유지한 상태로 단말 내부에서 프로세서 간 데이터의 전달을 차단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하, 도 3의 각 단계의 수행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데이터 통신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410 단계에서 현재 음성 통화가 실행 중인 것을 감지한다. 음성 통화의 실행 감지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화벨이 울리고 있는 상태(RINGING) 및 호 연결에 의해 통화 중인 상태(OFFHOOK)를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은 420 단계에서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안테나 바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차단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기초로 단말이 약전계 상태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약전계 상태의 진입 여부는 안테나 바의 개수 변화에 반영되지 않더라도 단말의 신호세기 측정 알고리즘에 따라 판단 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즉, 단말의 약전계 상태로의 진입 여부는 본 발명에서 개시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의 신호세기 측정 결과가 안테나 바의 개수에 즉시 반영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 한다.
단말에는 신호 세기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안테나 바의 개수로 환산되는 보정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은 3G 네트워크의 RSCP (Received Signal Code Power), EcIO (Energy per chip over the Interference Noise) 및 Ec/No 값 등을 각각 안테나 바의 개수로 환산하고, 환산된 안테나 바 개수의 최소값 또는 최대값을 사용하여 최종 안테나 바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결정된 안테나 바의 개수가 미리 결정된 차단 임계값 이하이면 단말이 약전계 상태로 진입하였음을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안테나 바의 개수가 미리 결정된 복귀 임계값 이상이면 단말이 약전계 상태에서 벗어나 데이터 통신을 재개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차단 임계값과 복귀 임계값은 어느 정도의 간격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단 임계값은 1로, 복귀 임계값은 3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될 경우, 안테나 바의 개수가 2에서 1로 감소하면 데이터 통신의 차단 조건을 만족하게 되고, 안테나 바의 개수가 다시 1에서 2로 증가하더라도 여전히 데이터 통신의 차단 조건을 만족하나 3으로 증가하면 데이터 통신을 재개할 수 있다. 반대로, 안테나 바의 개수가 3에서 2로 감소하더라도 여전히 데이터 통신의 차단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며, 1로 감소하면 차단 조건을 만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단 임계값과 복귀 임계값 사이의 간격이 존재하면, 안테나 바의 개수가 작은 범위에서 증감하는 경우에 데이터 통신의 차단 및 재개가 빈번하게 반복되는 핑퐁(ping po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420 단계에서 단말이 약전계 상태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은 430 단계에서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즉 스크린이 off 상태인지 여부를 기초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미들웨어(middleware) 및 드라이버/모뎀(driver/modem) 계층에서는 발생하는 데이터가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데이터인지 백그라운드 데이터인지 판단하기 어려우며,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데이터 사용 차단을 강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의 상태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가 off 상태이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내용을 확인하면서 데이터 통신을 트리거(trigger)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포어그라운드 데이터가 생성될 수 없다.
따라서 단말은 디스플레이부가 off 상태인 동안을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데이터의 사용 구간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부가 다시 켜지면(on) 데이터 통신이 사용되는 구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430 단계에서 스크린이 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어 데이터 통신의 차단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은 44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와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사이의 패킷 라우팅을 위한 라우팅 테이블의 디폴트 게이트웨이(default gateway)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단말의 데이터 통신을 차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발생하여 네트워크로 전송될 데이터 및 단말로 수신되어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전달될 데이터가 모두 차단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을 차단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acket Data Protocol)을 비활성화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네트워크와의 PDP 세션도 해지하여야 하므로 네트워크와 불필요한 신호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PDP 활성화 이후 AP와 CP 사이의 패킷 라우팅을 위해 구비되는 라우팅 테이블을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의 차단 및 재개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의 데이터 통신을 차단하는 경우에는 라우팅 테이블에서 AP-CP 통신 소켓에 대한 디폴트 게이트웨이 정보를 삭제하고, 어플리케이션 계층에 데이터 통신의 차단을 통보한다. 반대로 데이터 통신을 재개하는 경우에는 라우팅 테이블에서 AP-CP 통신 소켓에 대한 디폴트 게이트웨이 정보를 재설정하고, 어플리케이션 계층에 데이터 통신의 재개를 통보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패킷 데이터가 없는 경우 또는 AP와 CP 사이에서 전달되는 패킷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 네트워크로 시그널링 연결 해제 지시(Signaling Connection Release Indication, SCRI)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대응하여 네트워크로부터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여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해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유지하면서 단말 내에서 패킷 데이터를 차단하고자 하므로, 네트워크에 SCRI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단말 내에서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모니터링하는 인터페이스부에 신호 정보 지시(Signal Information Indication)를 전송하여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단말의 데이터 통신 제어 과정은 하기의 표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if (PhoneState != IDLE && SCREEN_STATE == OFF) {
if ((DataState != SUSPENDED && SignalBar == 1)){
remove Default GateWay on rmnet
}
else if (DataState == SUSPENDED && SignalBar < 3) {
remain routing table as current state.
}
else
add Default GateWay on rmnet
}
else
add Default GateWay on rmnet
이와 같이 단말에서 음성 통화 실행 중 약전계 상태로의 진입 등 데이터 차단 조건이 만족되면 데이터 통신을 차단함으로써 음성 통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네트워크와의 연결은 유지되므로 사용자가 음성 통화 중 데이터 통신을 트리거하면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4)

  1. 단말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음성 통화가 실행된 것에 응답하여, 데이터 통신 신호의 강도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감지한 데이터 통신 신호의 강도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데이터 차단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 차단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단말의 데이터 통신을 차단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하는 동작은, 상기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통신 프로세서 사이의 패킷 라우팅을 위한 라우팅 테이블의 디폴트 게이트웨이(default gateway) 정보를 삭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동작에서, 상기 단말에 대한 호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및 상기 단말에서 송수신되는 호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음성 통화가 실행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 차단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단말의 데이터 통신 신호의 강도를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안테나 바의 개수로 환산하는 동작; 및
    상기 안테나 바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차단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단말이 약전계 상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 차단 조건은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의도되지 않은 데이터의 발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가 꺼져 있는(off) 상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는 상기 의도되지 않은 데이터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로의 시그널링 연결 해제 지시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8. 단말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음성 통화가 실행된 것에 응답하여, 데이터 통신 신호의 강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데이터 통신 신호의 강도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데이터 차단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 차단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단말 장치의 데이터 통신을 차단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통신 프로세서 사이의 패킷 라우팅을 위한 라우팅 테이블의 디폴트 게이트웨이(default gateway) 정보를 삭제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호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및 상기 단말 장치에서 송수신되는 호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음성 통화가 실행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데이터 통신 신호의 강도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안테나 바의 개수로 환산하고, 상기 안테나 바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차단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단말 장치가 약전계 상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 차단 조건은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의도되지 않은 데이터의 발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꺼져 있는(off) 상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는 상기 의도되지 않은 데이터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3. 삭제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데이터 통신을 차단한 후 네트워크로의 시그널링 연결 해제 지시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130092499A 2013-08-05 2013-08-05 약전계에서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10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499A KR102110909B1 (ko) 2013-08-05 2013-08-05 약전계에서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PCT/KR2014/006744 WO2015020331A1 (en) 2013-08-05 2014-07-2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US14/902,971 US10015838B2 (en) 2013-08-05 2014-07-2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499A KR102110909B1 (ko) 2013-08-05 2013-08-05 약전계에서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718A KR20150016718A (ko) 2015-02-13
KR102110909B1 true KR102110909B1 (ko) 2020-05-14

Family

ID=5246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499A KR102110909B1 (ko) 2013-08-05 2013-08-05 약전계에서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15838B2 (ko)
KR (1) KR102110909B1 (ko)
WO (1) WO20150203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589A (ko) * 2014-06-17 201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호 연결 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588170B2 (en) * 2017-06-02 2020-03-10 Apple Inc. Suspended baseband state
KR102456835B1 (ko) * 2017-12-22 2022-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3692A1 (en) * 2006-11-13 2008-05-15 Palm,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or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in a Mobile Computing Device
US20080268816A1 (en) * 2007-04-26 2008-10-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Predicting user availability from aggregated signal strength data
US20120009930A1 (en) * 2010-07-07 2012-01-12 Arthur Brisebois Method for managing multiple radio access bearers in a single handse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036A (ko) 2005-04-21 200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약전계 상황을 고려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화상 통화서비스 제공 방법
KR20070013707A (ko) 2005-07-27 2007-01-31 (주)스마트코드 약전계 상황에서 휴대폰 통화 상태 유지 기능
KR101257057B1 (ko) 2006-12-18 2013-04-2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네트워크 트래픽 데이터의 프로파일링을 통한 잠재적 위험포트 제한 장치 및 방법
KR20080100597A (ko) 2007-05-14 2008-11-19 (주) 엘지텔레콤 특정 데이터의 차단을 통한 모바일 웹 데이터 제공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2637B1 (ko) 2008-03-26 2011-11-10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통신망에서의 데이터서비스 불가 알림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20120025798A (ko) * 2010-09-08 2012-03-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무선망을 통한 데이터 제공 방법, 단말기 및 서버
US9467941B2 (en) * 2012-06-07 2016-10-11 Qualcomm Incorporated Power based fast dormancy
JP2015534355A (ja) * 2012-09-14 2015-11-26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システムでWi−Fiオフローディングを行うためのモビリティ制御方法
US8972820B2 (en) * 2012-11-21 2015-03-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reless access point mapp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3692A1 (en) * 2006-11-13 2008-05-15 Palm,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or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in a Mobile Computing Device
US20080268816A1 (en) * 2007-04-26 2008-10-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Predicting user availability from aggregated signal strength data
US20120009930A1 (en) * 2010-07-07 2012-01-12 Arthur Brisebois Method for managing multiple radio access bearers in a single hand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15838B2 (en) 2018-07-03
US20160143087A1 (en) 2016-05-19
WO2015020331A1 (en) 2015-02-12
KR20150016718A (ko) 2015-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519005A (ja) 下りチャネルの受信方法、送信方法、端末及び基地局
WO2017202348A1 (zh) 一种视频播放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784898B (zh) 网络切换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9224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real-time image in instant messaging
CN110062372B (zh) 一种sim卡控制方法及终端设备
JP7171763B2 (ja) マルチキャリアシステムにおけるビーム障害回復方法及び装置
KR20210147051A (ko) 측정 방법, 측정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CN109819489B (zh) 一种终端主叫方法及终端
US11076354B2 (en) Cell handover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7374131B2 (ja) セル管理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側装置
CN110505664B (zh) 一种参数调整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JP7208265B2 (ja) リソース要求方法及びユーザ装置
KR102615710B1 (ko)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전송 처리 방법 및 관련 장치
WO2015014250A1 (en) Incoming call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KR20220030290A (ko) 스케줄링 요청 송신 방법, 스케줄링 요청 수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비
CN114630366B (zh) 控制方法、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0933704A (zh) 网络通信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110909B1 (ko) 약전계에서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22542693A (ja) 通信処理方法、通信処理装置、端末設備および記憶媒体
CN108579081B (zh) 基于游戏的事件处理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11812281B2 (en) Measur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CN111970738B (zh) 一种网络切换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1027921A1 (zh) 切换配置方法、网络设备、终端设备及存储介质
WO2017147743A1 (zh) 视频优化方法、用户设备和网络设备
CN111836300B (zh) 网络切换方法及通信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