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877B1 - 압축공기를 이용한 지하수공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공기를 이용한 지하수공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877B1
KR102110877B1 KR1020190052361A KR20190052361A KR102110877B1 KR 102110877 B1 KR102110877 B1 KR 102110877B1 KR 1020190052361 A KR1020190052361 A KR 1020190052361A KR 20190052361 A KR20190052361 A KR 20190052361A KR 102110877 B1 KR102110877 B1 KR 102110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water
compressed air
washing
water pip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웅
김문진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유앤아이
김선웅
김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유앤아이, 김선웅, 김문진 filed Critical 합자회사 유앤아이
Priority to KR1020190052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2203/0247Hose joints, e.g. quick joints, rotating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공 내 설치되는 지하수공 관에 삽입되어 내부를 세척하는 지하수공 청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하수공 관의 내부에 인입되며,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호스와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되, 타단부가 일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척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는, 타단부 상에 브러쉬와,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이 형성되어, 유체세척과 더불어 브러쉬의 물리적 마찰을 통해 지하수공 관을 세척하도록 마련되는 지하수공 청소장치이다.

Description

압축공기를 이용한 지하수공 청소장치{GROUND-WATER HOLE CLEANER USING COMPRESSED AIR}
본 발명은 압축공기를 이용한 지하수공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수공이나 지하수공에 설치되는 배관 내 오염물질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수는 가정용, 농업용 및 산업용 등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지하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하수가 내재된 지층까지 암반을 뚫어 지하수공을 형성하고, 수중펌프 등과 같은 양수 장치를 통해 지상까지 지하수를 끌어올리도록 하는 마련된다.
아울러 종래에는 상기 지하수공 내로 지반 또는 외부로부터 오염물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하수공 내에 관을 삽입하는 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공법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83972호("오염방지 및 지하수공벽 유지를 위한 지하수공 시공구조", 2017.10.10. 공고) 및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0536호("굴삭 공사에 수반되는 지하 수위 저하용 진공 펌프 배수 장치", 2012.10.25. 공고) 등에서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지하수공 내에 관을 삽입하고 사이 공간에 자갈이나 모래를 채워두는 경우에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 내부에 고여서 발생되는 오염물질 및 관의 노후화 및 파손으로 인해 유입되는 이물질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관정 오염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정 내를 청소하는 기술들 또한 현재 개시되어 있으며, 위와 같은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58268호("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2019.03.08.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35138호("지하수공 세척장치", 2008.05.29. 공고) 등에서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대해서 기술하자면, 종래의 지하수공 세척장치는, 공기압축기(2)와 지하수공 세척기(5)가 호스(4)로 연결되고, 연결부위에 세척기 이송장치(1)가 형성되어 호스의 길이 조절을 통해 상기 지하수공 세척기(5)의 상하 높이를 제어하도록 마련되었다. 그리고 상기 공기압축기(2)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통해 지하수공 내의 오염물질들은 내벽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었다.
이때,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들은 고압 유체의 분사라는 수단을 통해 세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세척 작업의 결과가 보다 청결해지도록 하려면, 분사되는 유체의 압력이나 유량을 높여야 하여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더불어 현 기술들은 분사되는 유체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이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치구가 필요하며, 이는 경제적인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로 이어진다.
KR 10-1783972 B1("오염방지 및 지하수공벽 유지를 위한 지하수공 시공구조") 2017.10.10. 공고 KR 20-0460536 Y1("굴삭 공사에 수반되는 지하 수위 저하용 진공 펌프 배수 장치") 2012.10.25. 공고 KR 10-1958268 B1("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2019.03.08. 공고 KR 10-0835138 B1("지하수공 세척장치") 2008.05.29. 공고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하수공 내에 인입되는 세척부에 형성된 압축공기 분사노즐 및 세척솔을 통해 보다 고 효율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하수공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하수공 내 설치되는 지하수공 관에 삽입되어 내부를 세척하는 지하수공 청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하수공 관의 입구에 설치되는 연결부; 상기 지하수공 관의 내부에 인입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호스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되, 타단부가 일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타단부 상에 브러쉬와,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하수공 관의 입구에 고정 설치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 결합되는 연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외경이 상기 지하수공 관의 상단부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지하수공 관에 삽입 고정되는 제1결합단 및, 외경이 상기 지하수공 관의 상단부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되 제1결합단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결합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덕트는, 하단부가 상기 제2결합단의 중공에 삽입되는 덕트본체, 상기 덕트본체의 상측에 연결되되 상기 호스를 고정하는 고정관 및, 외측으로 분기되도록 상기 덕트본체와 연결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고정관 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분사노즐은 복수로 구성되되, 복수의 상기 분사노즐 중, 일부의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세척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세척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 보다 배출구가 상측에 형성되어, 압축공기가 분사되면 상기 세척부가 하측을 향해 이송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배출구로 관통되는 압축공기 유로가 상기 세척부의 직경 방향 대비 일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압축공기가 분사되면, 상기 세척부의 타단부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며, 다른 일부의 상기 분사노즐이 복수로 구성되어, 일부는 상기 브러쉬 솔의 모를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되, 다른 일부는 제2세척수단의 하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고, 상기 세척부의 타단부는, 일부의 상기 분사노즐이 형성된 제1세척수단 및, 다른 일부의 상기 분사노즐과 브러쉬가 형성된 제2세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호스와 상기 세척부의 일단부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척부의 일단부와 제1세척수단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세척수단과 제2세척수단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지하수공 청소장치는,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통해 세척부의 타단부가 회전하고, 상기 타단부 상에 브러쉬가 형성됨에 따라 압축공기의 분사세척과 더불어 브러쉬의 물리적 마찰 세척까지 더불어 발생되어 보다 효율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분사노즐이 세척부의 직경방향에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세척부를 회전시킴과 더불어, 상측을 향해 분사되어 세척부가 하측으로 이송되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힘만으로 세척부가 하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별도의 제어가 없이도 지하수공 관의 전반에 걸쳐 균일한 수준으로 청소가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하수공 관의 입구 측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통해 호스의 위치를 잡을 수 있어, 상하로 이동되는 호스가 보다 큰 효과를 내도록 구성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하수공 세척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공 청소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시공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의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를 부분확대한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세척수단의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세척수단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이송부의 부분확대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를 이용한 지하수공 청소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지하수공 청소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하수공 청소장치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셔(20) 및 상기 에어컴프레셔(20)와 제1호스(11)로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전달받되,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2호스(12)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호스이송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2호스(12)가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약하면서 상하 방향으로만 조절될 수 있도록 지하수공 관(P)의 입구에 설치되는 연결부(100) 및 상기 지하수공 관(P)의 삽입되는 상기 제2호스(12)의 단부 측에 결합되는 세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하수공 관(P)은 지면 기준으로 지하 방향으로 관통된 지하수공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관로로 형성되거나 다중관으로 형성되어 다중관 사이에 모래 등이 채워진 형태 또는 지하수공에 별도의 관을 삽입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등 여러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하수공 관(P)은 지반과 지층을 포함하는 지반층(G)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100)는 상기 지하수공 관(P)의 입구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00)는 제2호스(12)가 지하수공 관(P)의 중심부분에 배치되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호스(12)는 상기 연결부(100) 상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된 상기 제2호스(12)의 하단부에는 세척부(200)가 결합되어 상기 지하수공 관(P)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호스(12)에서 전달되는 압축공기는 상기 세척부(200)에서 분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하수공 관(P)의 내벽이나 잔여된 오염물질들을 지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인 지하수공 청소장치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 3은 연결부의 부분확대도를, 도 4는 연결부의 시공순서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100)는 상기 지하수공 관(P) 상에 고정 결합되는 연결부재(110)와 상기 연결부재(110)에 고정결합되는 연결덕트(120) 및 상기 제2호스(12)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결합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의 시공순서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아래에서 예시하는 것은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시공순서의 일 예시일 뿐 본 발명의 시공순서를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10)는 상기 지하수공 관(P) 상에 삽입되는 제1결합단(111) 및 상기 제1결합단(111)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결합단(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단(111)은 상기 지하수공 관(P)의 상단부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이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이 형성되어 지하수공 관(P) 내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되고 호스가 중공 상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단(111)에는 체결부재(B)가 형성되어 상기 지하수공 관(P)의 상단부 내경과 체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결합단(112)은 외경이 상기 지하수공 관(P)의 상단부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되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덕트(120)의 덕트본체(121)의 하단부는 상기 제2결합단(112)의 중공 상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단(112)에도 체결부재(B)가 형성되어 상기 덕트본체(120)와 체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덕트(120)의 덕트본체(121)에는 배출관(122) 및 고정관(123)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122)은 상기 지하수공 관(P)의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외부로 토출하는 관으로 별도의 호스가 상기 배출관(12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관(123)은 후술하는 제2호스(12)가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고정관(123)은 상기 덕트본체(121)의 상측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관(122)은 상기 고정관(123)과 더불어 상측에 형성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관(123) 보다 상대적을 하측에 배치되어 외측으로 분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4-(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호스(12)의 결합부재(130)가 상기 고정관(123)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호스(12)가 상기 지하수공 관(P)의 중심부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인 지하수공 청소장치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 5는 세척부의 부분확대도를, 도 6은 세척부를 분해한 부분확대도를, 도 7은 제1세척수단의 정단면도를, 도 8은 제2세척수단의 저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척부(200)는, 상기 제2호스(12)와 결합되는 회전결합몸체(210)와, 상기 회전결합몸체(210)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1세척수단(220) 및 제2세척수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2호스(12)의 단부에는 호스결합단(1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결합몸체(210)의 상단에는 상기 호스결합단(12a)과 고정 결합되도록 제1연결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결합몸체(210)의 하단에는 제2연결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211)가 형성된 상기 세척부(200)의 일단부 몸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호스(12)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연결부(212)가 형성된 상기 세척부(200)의 타단부 몸체는 상기 일단부 몸체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단부 몸체 및 타단부 몸체 사이는 베어링 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부 몸체 상에는 상기 제2연결부(212)를 통해 제1세척수단(220) 및 제2세척수단(230)도 결합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회전결합몸체(210)는 회전식 니플(Nipple)이나 스위벨(Swivel) 등 일단부가 고정되면서 타단부가 회전되는 다양한 연결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세척수단(2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2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사노즐(221)에는 상기 호스(12) 및 회전결합몸체(210)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제2세척수단(230)에는 브러쉬가 형성되어 지하수공 관의 내면을 물리적인 마찰을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회전결합몸체(210)의 하단에 상기 제1세척수단(220)이 결합되되 상기 제2세척수단(230)이 상기 제1세척수단(220)의 하단에 결합되거나, 상기 회전결합몸체(210)의 하단에 상기 제2세척수단(230)이 결합되되 상기 제1세척수단(220)이 상기 제2세척수단(230)의 하단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1세척수단(220) 및 제2세척수단(230)이 일체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세척수단(220)의 분사노즐(221)은 상기 회전결합몸체(210)로부터 유입되는 제1압축공기(Ain)가 상기 제1세척수단(220)의 중공에서 외부로 분사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세척수단(220)에는 복수의 분사노즐(221)이 구비되어 각각에서 제2압축공기(Aout)가 분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221)은 상기 제1세척수단(220)의 내면 상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제1세척수단(220)의 외면 상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유입구 보다 배출구가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어 분출되는 압축공기가 지하수공 관의 내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세척수단(220)이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1압축공기(Ain)에서 유입된 유량의 일부는 상기 분사노즐(221)에서 제2압축공기(Aout)로 토출되되, 다른 일부인 제3압축공기(AG)가 하측으로 분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어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세척수단(230)에도 분사노즐(232)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앞서 분배된 제3압축공기(AG)가 제2세척수단(230)의 분사노즐(232)에서 토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세척수단(230)의 분사노즐(232) 또한 상기 제2세척수단(230)의 내면에 형성된 유입구와 외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배출구로 관통되는 제3압축공기(AG)의 유로가 상기 세척부(200)의 직경방향 대비 일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세척수단(230)이 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세척수단(230)에 형성되는 브러쉬(231) 또한 함께 회전하여 물리적 마찰에 의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어, 본 발명은 보다 고 효율의 지하수공 청소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세척수단(220)의 분사노즐(221)이 직경 방향 대비 기울어진 상태로 구성되어 본체에 대한 하측으로의 구동 및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2세척수단(230) 상의 분사노즐(232)은 브러쉬가 형성된 솔의 모 쪽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거나 이보다 하측에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일부의 유체가 하측으로 분사되도록 분사노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인 지하수공 청소장치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 9는 호스이송부의 부분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호스조절부(30)는 권취기(31) 및 조절모터(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권취기(31)는 상기 제2호스(1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모터(32)는 상기 권취기(31)가 작동되도록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힘으로 하측으로 이송된 상태의 상기 세척부(200)에 대해서, 상기 권취기(31)는 상기 조절모터(32)를 통해 제2호스(12)의 길이를 줄여 세척부(200)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선 구성들을 통해 여러 형태로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지하수공 청소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세척수단(220)의 분사노즐(221) 및 상기 제2세척수단(230)의 분사노즐(232)은 기 설정되는 기준압력 보다 높아지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세척수단(220)의 분사노즐(221) 및 상기 제2세척수단(230)의 분사노즐(232)은 서로 다른 기준압력이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유입구 및 배출구의 기체 유로가 직경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세척 분사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세척 분사노즐은 다른 분사노즐(221,232) 대비 낮은 압력에서 개방되거나 항상 개구된 형태일 수 있다.
이의 일 실시예로 세척 분사노즐의 제1기준압력(P1)이 상기 세척부(200) 타단부에 대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제2세척수단(230) 분사노즐(232)의 제2기준압력(P2) 보다 낮게 형성되되, 상기 세척부(200)에 대한 하방으로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세척수단(220) 분사노즐(221)의 제3기준압력(P3)은 상기 제2세척수단(230) 분사노즐(232)의 제2기준압력(P2)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컴프레셔(20)에는 압력조절밸브가 형성되어 토출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압축공기의 압력 조절을 통해 지하수공 내에 인입된 세척부(200)의 행동을 결정토록 제공할 수 있다.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상기 제1기준압력(P1)과 제2기준압력(P2) 사이인 경우, 상기 호스이송부(30)의 조절모터(32)가 세척부(2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하면서 유압을 통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상기 제2기준압력(P2)과 제3기준압력(P3) 사이인 경우, 유체의 힘으로 세척부(200)가 하강하기 때문에 상기 조절모터(32)가 전술한 동력 대비 보다 작은 동력으로 가동될 수 있다. 아울러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제3기준압력(P3) 보다 높아지면 상기 세척부(200)의 타단부가 회전하여 브러쉬 작업도 수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B : 체결부재 G : 지반층
P : 지하수공 관
10 : 호스
11 : 제1호스 12 : 제2호스
12a : 호스결합단
20 : 에어컴프레셔
30 : 호스이송부
31 : 권취기 32 : 조절모터
100 : 연결부
110 : 연결부재
111 : 제1결합단 122 : 제2결합단
120 : 연결덕트
121 : 덕트몸체 122 : 배출관
123 : 고정관
130 : 결합부재
200 : 세척부
210 : 회전결합부재
211 : 제1연결부 212 : 제2연결부
220 : 제1세척수단 221 : 분사노즐
230 : 제2세척수단
231 : 브러쉬 232 : 분사노즐

Claims (7)

  1. 지하수공 내 설치되는 지하수공 관에 삽입되어 내부를 세척하는 지하수공 청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하수공 관의 입구에 설치되는 연결부;
    상기 지하수공 관의 내부에 인입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호스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되, 타단부가 일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타단부 상에 브러쉬와,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하수공 관의 입구에 고정 설치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 결합되는 연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외경이 상기 지하수공 관의 상단부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지하수공 관에 삽입 고정되는 제1결합단 및, 외경이 상기 지하수공 관의 상단부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되 제1결합단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결합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덕트는, 하단부가 상기 제2결합단의 중공에 삽입되는 덕트본체, 상기 덕트본체의 상측에 연결되되 상기 호스를 고정하는 고정관 및, 외측으로 분기되도록 상기 덕트본체와 연결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고정관 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분사노즐은 복수로 구성되되, 복수의 상기 분사노즐 중,
    일부의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세척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세척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 보다 배출구가 상측에 형성되어, 압축공기가 분사되면 상기 세척부가 하측을 향해 이송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배출구로 관통되는 압축공기 유로가 상기 세척부의 직경 방향 대비 일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압축공기가 분사되면, 상기 세척부의 타단부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며,
    다른 일부의 상기 분사노즐이 복수로 구성되어, 일부는 상기 브러쉬가 형성된 솔의 모를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되, 다른 일부는 제2세척수단의 하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고,
    상기 세척부의 타단부는,
    일부의 상기 분사노즐이 형성된 제1세척수단 및, 다른 일부의 상기 분사노즐과 브러쉬가 형성된 제2세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호스와 상기 세척부의 일단부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척부의 일단부와 제1세척수단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세척수단과 제2세척수단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공 청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52361A 2019-05-03 2019-05-03 압축공기를 이용한 지하수공 청소장치 KR102110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361A KR102110877B1 (ko) 2019-05-03 2019-05-03 압축공기를 이용한 지하수공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361A KR102110877B1 (ko) 2019-05-03 2019-05-03 압축공기를 이용한 지하수공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877B1 true KR102110877B1 (ko) 2020-05-27

Family

ID=7091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361A KR102110877B1 (ko) 2019-05-03 2019-05-03 압축공기를 이용한 지하수공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87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091Y1 (ko) * 2002-10-28 2003-02-14 조희남 지하수 심정 청소를 위한 덮개장치
KR100835138B1 (ko) 2008-02-18 2008-06-04 홍만표 지하수공 세척장치
KR100918526B1 (ko) * 2009-01-12 2009-09-21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상하구동 기능을 부가한 브러쉬를 이용한 지하수 심정 청소장치 및 청소방법
KR200460536Y1 (ko) 2009-10-23 2012-05-25 박동연 굴삭 공사에 수반되는 지하 수위 저하용 진공 펌프 배수 장치
KR101222608B1 (ko) * 2012-07-10 2013-01-16 방병훈 지하수 관정 청소장치
KR101394162B1 (ko) * 2012-12-27 2014-05-14 방병훈 지하수 관정 청소 및 청소오염물 회수시스템
JP2015112504A (ja) * 2013-12-09 2015-06-22 株式会社 山全 噴射洗浄装置
KR101783972B1 (ko) 2015-03-17 2017-10-10 (주)제이케이씨엠 오염방지 및 지하수공벽 유지를 위한 지하수공 시공구조
KR101958268B1 (ko) 2018-11-01 2019-03-15 최용삼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091Y1 (ko) * 2002-10-28 2003-02-14 조희남 지하수 심정 청소를 위한 덮개장치
KR100835138B1 (ko) 2008-02-18 2008-06-04 홍만표 지하수공 세척장치
KR100918526B1 (ko) * 2009-01-12 2009-09-21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상하구동 기능을 부가한 브러쉬를 이용한 지하수 심정 청소장치 및 청소방법
KR200460536Y1 (ko) 2009-10-23 2012-05-25 박동연 굴삭 공사에 수반되는 지하 수위 저하용 진공 펌프 배수 장치
KR101222608B1 (ko) * 2012-07-10 2013-01-16 방병훈 지하수 관정 청소장치
KR101394162B1 (ko) * 2012-12-27 2014-05-14 방병훈 지하수 관정 청소 및 청소오염물 회수시스템
JP2015112504A (ja) * 2013-12-09 2015-06-22 株式会社 山全 噴射洗浄装置
KR101783972B1 (ko) 2015-03-17 2017-10-10 (주)제이케이씨엠 오염방지 및 지하수공벽 유지를 위한 지하수공 시공구조
KR101958268B1 (ko) 2018-11-01 2019-03-15 최용삼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509B1 (ko) 지하수 심정 공벽에 압착력을 가하는 동조회전 방지기를이용한 지하수 심정 청소장치 및 청소방법
RU2100531C1 (ru) Способ прокладки подземных коллекторов для жидкостей и газов и рабочее сред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345722B1 (ko) 브러쉬를 이용한 지하수 심정 청소 장치
US6453996B1 (en) Apparatus incorporating jet pump for well head cleaning
WO2019007127A1 (zh) 一种盾构刀盘泥饼切割装置及其切割方法
CN107413782A (zh) 一种新型管壁清洗装置
CN114086901A (zh) 一种具有降尘功能的钻机钻进装置
KR101557473B1 (ko) 지하수 지열 굴착공 토사 슬러리 배출 장치 및 방법
KR20120017624A (ko) 고압회전 관정 세척장치
KR100920079B1 (ko) 정호 내부 세척장치
KR102110877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지하수공 청소장치
CN117145408A (zh) 灌注桩钻芯孔摄像检测孔壁清洗及孔内浊水置换施工方法
KR100790516B1 (ko) 지하수 관정의 청소장치 및 그 방법
KR100835138B1 (ko) 지하수공 세척장치
CN216517881U (zh) 具有降尘功能的钻机钻进装置
CN113843232B (zh) 一种桥墩浇筑钢护筒内壁清刮装置
CN201728208U (zh) 一种管索冲洗套
CN212337201U (zh) 一种钻孔除尘装置
JP3873007B2 (ja) 鋼管矢板の継手構造の施工方法
CN118087689A (zh) 一种用于雨污管网的疏导设备及疏导方法
CN220521298U (zh) 一种三重管高压旋喷装置
KR200175138Y1 (ko) 토목구조물 내벽 세척장치
CN220101188U (zh) 一种具有钻头清理功能的旋挖钻机
JPH07279157A (ja) 地盤改良体造成装置及び工法
CN215105957U (zh) 一种排污管道用淤泥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