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823B1 - 직조기 및 직조 방법 - Google Patents

직조기 및 직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823B1
KR102110823B1 KR1020180124469A KR20180124469A KR102110823B1 KR 102110823 B1 KR102110823 B1 KR 102110823B1 KR 1020180124469 A KR1020180124469 A KR 1020180124469A KR 20180124469 A KR20180124469 A KR 20180124469A KR 102110823 B1 KR102110823 B1 KR 102110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knot
fabric
ring
l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4251A (ko
Inventor
문양현
류승현
Original Assignee
문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양현 filed Critical 문양현
Priority to KR1020180124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823B1/ko
Publication of KR20200044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40Forming selvedges
    • D03D47/42Forming selvedges by knitting or interlacing loops of weft
    • D03D47/44Forming selvedges by knitting or interlacing loops of weft with additional selvedge threa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Looms (AREA)

Abstract

직조기 및 직조 방법이 개시된다. 두 그룹으로 나뉘어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에 수직으로 크로스하며 양 끝단에서 씨실로 매듭을 짓는 매듭부(40); 씨실에 매듭 시에 매듭 지어진 직물을 일정 거리를 감고 두 그룹으로 나뉜 다수의 열로 배열로 날실을 푸는 와인딩부(50); 및 매듭부(40)와 와인딩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고, 매듭부(40)는 일측 끝단의 씨실을 끌어 와서 타측 끝단의 씨실 고리에 끼워 넣어 고리를 만들어 매듭을 짓는다. 따라서 셔틀을 사용 안 하며 직물을 짜고, 양 끝에 매듭을 지을 수 있고, 셔틀이 없어 직물 짜는 속도를 증가시켜 직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직조기 및 직조 방법{LOOMS AND WEAVING METHODS}
본 발명은 직조기 및 직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물에 매듭을 지으면서 직물을 짜는 직조기 및 직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직물은 씨실과 날실이 겹쳐져서 만들어지고, 옷감으로도 사용되지만 매트로 제작되어 바닥에 깔릴 수 있다. 이러한 직물을 만들기 위해 직조기가 사용된다. 직조기에는 셔틀을 이용한 직조기와 셔틀이 없는 직조기가 있으며, 셔틀은 씨실을 날실 사이로 운반한다. 일반적인 직조기는 셔틀에 씨실을 감고 날실이 교차됨과 함께 셔틀을 직물 양단 사이에서 이동하고 날실과 씨실을 교차시켜 직물을 짠다. 씨실이 직물 양단에서 왕복 운동해서 날실이 풀어지지 않도록 잡아준다. 예를 들어, 직조기는 매듭을 지으면서 직물을 짠다. 직물은 매듭을 짓기 위해 씨실을 다량 감고 있는 셔틀을 좌우로 이동하고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을 교차하면서 직물을 짠다. 직조기는 셔틀에 감겨진 씨실 길이에 의해 짤 수 있는 직물 길이가 정해지고, 셔틀을 이송함에 따라 셔틀 무게에 의해 셔틀 이송 속도가 정해질 수 있다. 셔틀 무게가 많이 나갈 경우 셔틀 이동 속도가 낮아지고, 낮은 셔틀 이송 속도는 직물을 짜는 생산성을 낮추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상이한 셔틀 없는 직조기는 씨실을 날실 사이에 교차할 때 셔틀에 의한 씨실의 왕복 운동이 없으므로 직물 양단에서 날실이 풀리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번호: 10-02604630, 직조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셔틀을 사용 안 하고 직물 양끝단에 매듭을 지으면서 직물을 짜는 직조기 및 직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두 그룹으로 나뉘어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에 수직으로 크로스하며 양 끝단에서 씨실로 매듭을 짓는 매듭부(40); 씨실에 매듭 시에 매듭 지어진 직물을 일정 거리를 감고 두 그룹으로 나뉜 다수의 열로 배열로 날실을 푸는 와인딩부(50); 및 매듭부(40)와 와인딩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고, 매듭부(40)는 일측 끝단의 씨실을 끌어 와서 타측 끝단의 씨실 고리에 끼워 넣어 고리를 만들어 매듭을 짓는다.
또한, 매듭부(40)는 일측 끝단의 씨실을 중간쯤 끌어 옴과 동시에 타측 그립이 중간쯤에서 이동하면서 만나 타측으로 씨실을 끌어 와서 타측 끝단의 씨실 고리에 끼워 넣어 고리를 만들어 매듭을 짓는다.
또한, 제어부(60)는 직조 시작을 입력받는 입력부(11); 입력된 직조 시작에 의해 시퀀스 G 코드를 부가 병렬 처리하는 코드 처리부(12); 시퀀스 G 코드를 파싱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생성부(13); 및 제어 명령을 컨트롤러(30)로 전송하는 전송부(14)를 포함한다.
또한, 양 끝단에 각각 씨실이 준비되어 있는 단계; 일측 끝단의 씨실을 끌어 와서 타측 끝단의 씨실 고리에 끼워 넣어 고리를 만들어 매듭을 짓는 단계; 두 그룹으로 나뉘어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을 교차시키는 단계; 교차되면 배틀을 내리 눌러 직물 한 행을 완성하는 단계; 직물 한 행이 완성되면 매듭 지어진 직물을 일정 거리 감고 두 그룹으로 나뉜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을 푸는 단계; 타측 끝단의 씨실을 끝어 와서 일측 끝단의 씨실 고리에 끼워 넣어 고리를 만들어 매듭을 짓는 단계; 두 그룹으로 나뉘어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을 교차시키는 단계; 교차되면 배틀을 내리 눌러 직물 한 행을 완성하는 단계; 직물 한 행이 완성되면 매듭 지어진 직물을 일정 거리 감고 두 그룹으로 나뉜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을 푸는 단계; 및 위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매듭을 짓는 단계는 일측 끝단의 씨실을 중간쯤 끌어 옴과 동시에 타측 그립이 중간쯤에서 이동하면서 만나 타측으로 씨실을 끌어 와서 타측 끝단의 씨실 고리에 끼워 넣어 다단 고리를 만들어 매듭을 짓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직조기 및 직조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셔틀을 사용 안 하며 직물을 짜고, 양 끝에 매듭을 지을 수 있다.
또한, 셔틀이 없어 직물 짜는 속도를 증가시켜 직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직조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직조기가 매듭짓는 예시도이다.
도 3는 실시예로 직조기가 실을 이송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직조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직조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세 설명에 앞서, 직조기는 씨실을 크로스하면서 양 끝단에서 매듭을 짓는다. 매듭은 씨실을 잡아 당겨 생기는 씨실 고리에 다른 씨실이 잡아 당겨져서 고리 모양으로 엮여 매듭이 지워지는 것이다.
또한, 직조기는 씨실을 크로스하는 것과 날실이 교차함과 씨실 매듭을 반복하면서 직물을 짠다. 직조기는 셔틀을 사용 안 하는 방식으로 무거운 셔틀 이동이 없이 씨실이 크로스되는 속도를 증가시켜 직물 짜는 속도를 증가시키고,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이 교차함과 내리 누름이 단시간에 달성된다.
또한, 직조기는 각각의 직조 동작을 제어하는 수동 조작이 가능하다. 직조기는 씨실을 크로스하는 것, 날실이 교차함 및 씨실 매듭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직조기는 날실이 배열된 양을 조절해서 직물 폭을 세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직물 폭을 설정하면 직조기는 설정된 폭으로 직물을 짤 수 있다.
도 1은 직조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실시예로, 직조기는 두 그룹으로 나뉘어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에 수직으로 크로스하며 양 끝단에서 씨실로 매듭을 짓는 매듭부(40); 씨실에 매듭 시 매듭 지어진 직물을 일정 거리를 감고 두 그룹으로 나뉜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을 푸는 와인딩부(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매듭부(40)는 일측 끝단의 씨실을 끌어 와서 타측 끝단의 씨실 고리에 끼워 넣어 고리를 만들어 매듭을 짓는다. 매듭은 하나의 고리와 다른 고리가 계속 엮어져서 형성된다. 직물 끝단에 매듭이 지워지지 않으면 올이 풀릴 수 있다. 올이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매듭부(40)는 직물 끝단에 매듭을 만든다. 매듭부(40)가 매듭을 지을 때 씨실이 오고 감에 따라 생성되는 하나의 고리와 다른 고리를 계속 엮으면서 매듭을 짓는다. 매듭부(40)는 감긴 씨실을 붙잡아 끌어 당기면서 직물 끝단으로 가져온다. 끝단에 도달한 씨실은 U자형을 가지게 된다. U자형 씨실은 고리를 형성하고, 하나의 고리가 다른 고리에 끼워짐으로써 매듭이 지워지게 된다. 매듭부(40)는 이러한 동작을 계속 반복하면서 매듭을 짓는다.
그리고 와인딩부(50)는 씨실 매듭 시에 매듭 지어진 직물을 일정 거리를 감고 두 그룹으로 나뉜 다수의 열로 배열로 날실을 푼다. 직물이 감아지고 날실이 풀어지는 동작이 반복되면서 직조 동작이 계속된다. 와인딩부(50)는 매듭 지워진 직물을 감아 매듭부(4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와인딩부(50)와 매듭부(40)는 직물 와인딩과 씨실 매듭을 서로 번갈아 수행하면서 직물이 만들어지게 된다. 와인딩부(50)는 매듭부(40)에 의해 매듭 지어진 직물의 길이만큼 감는다. 와인딩부(50)는 감는 동작을 통해 매듭부(40)가 다음 매듭을 지을 수 있도록 조치한다.
도 2는 직조기가 매듭짓는 예시도이다.
매듭짓는 동작으로, 직조기는 양 끝단에 각각 씨실이 준비되어 있고, 두 그룹으로 나뉘어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에 수직으로 크로스한다. 직조기는 하나의 액추에이터가 씨실을 한 번은 일측으로 한 번은 타측으로 끌어 와서 씨실 고리에 끼워 넣는 동작을 반복한다. 액추에이터는 서보 모터를 이용한 볼 스크류, 리니어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서버 모터 또는 리니어 모터의 빠른 이송 속도로 씨실 크로스 동작이 단시간 내에 이루어진다.
직조기는 일측 끝단의 씨실을 끌어 와서 타측 끝단의 씨실 고리에 끼워 넣어 고리를 만들어 매듭을 짓는다. 매듭은 하나의 고리와 다른 고리가 계속 엮어져서 체인 형태로 형성된다. 체인 형태는 하나의 고리와 다른 고리가 계속 엮어져서 생성되는 매듭이다. 이러한 체인 형태는 하나의 고리와 다른 고리가 엮어진 모양을 가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셔틀 없는 직조기는 씨실을 가로지르고, 끝단에서 씨실을 접합하여 씨실과 날실이 풀어짐을 방지한다. 본 발명 직조기는 접합이 어려운 씨실과 날실일 때 씨실로 끝단에 매듭을 지워 씨실과 날실이 풀어짐을 방지한다. 실시예로, 씨실과 날실은 야자수 재질로 만들어진 굵기가 굵은 실일 수 있다.
이후, 직조기는 두 그룹으로 나뉘어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을 교차시킨다.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이 교차되면서 크로스된 씨실을 가두게 된다. 직조기는 씨실이 가로지르면 날실을 교차해서 씨실을 고정한다. 이러한 직조 방법은 일반적이다. 본 발명 직조기도 씨실을 가로지르고 날실을 교차함을 반복한다.
교차되면 배틀을 내리 눌러 직물 한 행을 완성한다. 배틀이 내리 눌러 직물 한 행이 단단히 고정된다. 직조기는 직물 한행을 완성하면 배틀을 내리 눌러 단단히 고정한다. 이러한 직조 방법은 일반적이다. 본 발명 직조기도 직물 한행을 완성함과 함께 배틀을 내리 눌러 단단히 고정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직물 한 행이 완성되면 매듭 지어진 직물을 일정 거리 감고 두 그룹으로 나뉜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을 푼다. 직물이 감아지고 날실이 풀어지는 동작이 반복되면서 직조 동작이 계속된다. 직조기는 직물 한 행이 완성되면 직물을 일정 거리 감는다. 일정 거리는 직물 한 행의 거리일 수 있다.
직조기는 타측 끝단의 씨실을 끝어 와서 일측 끝단의 씨실 고리에 끼워 넣어 고리를 만들어 매듭을 짓는다. 매듭은 하나의 고리와 다른 고리가 계속 엮어져서 체인 형태로 형성된다.
이후, 두 그룹으로 나뉘어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을 교차시킨다.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이 교차되면서 크로스된 씨실을 가두게 된다.
교차되면 배틀을 내리 눌러 직물 한 행을 완성한다. 배틀이 내리 눌러 직물 한 행이 단단히 고정된다.
직물 한 행이 완성되면 매듭 지어진 직물을 일정 거리 감고 두 그룹으로 나뉜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을 푼다. 직물이 감아지고 날실이 풀어지는 동작이 반복되면서 직조 동작이 계속된다.
위 과정이 반복해서 수행되어 일정 거리 이상의 직물이 완성된다.
도 3는 실시예로 직조기가 실을 이송하는 예시도이다.
실 이송 동작으로, 매듭부(40)는 일측 끝단의 씨실을 중간쯤 끌어 옴과 동시에 타측 그립이 중간쯤에서 이동하면서 만나 타측으로 씨실을 끌어 와서 타측 끝단의 씨실 고리에 끼워 넣어 다단 고리를 만들어 매듭을 짓는다. 직물 폭이 길면 씨실을 끌어 와서 끝단에 도달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씨실이 가로지르는 시간이 길어지면 직물을 짜는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속도가 느려지면 직물 생산 속도가 낮아진다. 직물 생산 속도를 높이기 위해 매듭부(40)는 일측 끝단의 씨실을 중간쯤 끌어 옴과 동시에 타측 그립이 중간쯤에서 이동하면서 만나 타측으로 씨실을 끌어 온다. 이러한 동작은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씨실이 이동하는 시간에 비해 중간에서 만나 씨실이 이동하는 시간이 반으로 준다. 매듭부(40)는 씨실 이동 시간을 반으로 단축해서 직물 짜는 속도를 증가시킨다.
일측 끝단의 씨실이 중간쯤 끌어 옴과 동시에 타측 그립이 중간쯤에서 이동하면서 타측으로 씨실을 끌어 오는 동작은 실 이송 시간을 단축시키고, 전체 직조기의 폭 크기를 크게 만들 수 있다. 씨실 이송 시간이 길면 직물 폭을 크게 만드는데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매듭부(40)는 씨실을 끌어 옴과 동시에 타측 그립이 중간쯤으로 이동해서 중간쯤에 도착한 씨실을 타측으로 끌어온다.
도 4는 직조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직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직조기는 구성요소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살펴보면, 프로그램 메모리는 직조기는 양 끝단에 각각 씨실이 준비되어 있는 단계(S41); 일측 끝단의 씨실을 끌어 와서 타측 끝단의 씨실 고리에 끼워 넣어 다단 고리를 만들어 매듭을 짓는 단계(S42); 두 그룹으로 나뉘어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을 교차시키는 단계(S43); 교차되면 배틀을 내리 눌러 직물 한 행을 완성하는 단계(S44); 직물 한 행이 완성되면 매듭 지어진 직물을 일정 거리 감고 두 그룹으로 나뉜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을 푸는 단계(S45); 타측 끝단의 씨실을 끝어 와서 일측 끝단의 씨실 고리에 끼워 넣어 다단 고리를 만들어 매듭을 짓는 단계(S46); 두 그룹으로 나뉘어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을 교차시키는 단계(S47); 교차되면 배틀을 내리 눌러 직물 한 행을 완성하는 단계(S48); 직물 한 행이 완성되면 매듭 지어진 직물을 일정 거리 감고 두 그룹으로 나뉜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을 푸는 단계(S49); 및 위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직조기는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이러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조기에서 실행되는 절차를 시계열 순으로 설명한다.
직조기는 양 끝단에 각각 씨실이 준비되어 있고, 두 그룹으로 나뉘어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에 수직으로 크로스한다. 직조기는 하나의 액추에이터가 씨실을 한 번은 일측으로 한 번은 타측으로 끌어 와서 씨실 고리에 끼워 넣는 동작을 반복한다.
직조기는 일측 끝단의 씨실을 끌어 와서 타측 끝단의 씨실 고리에 끼워 넣어 다단 고리를 만들어 매듭을 짓는다. 매듭은 하나의 씨실 고리와 다른 씨실 고리가 계속 엮어져서 체인 형태로 형성된다.
이후, 두 그룹으로 나뉘어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을 교차시킨다.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이 교차되면서 크로스된 씨실을 가두게 된다.
교차되면 배틀을 내리 눌러 직물 한 행을 완성한다. 배틀이 내리 눌러 직물 한 행이 단단히 고정된다.
직물 한 행이 완성되면 매듭 지어진 직물을 일정 거리 감고 두 그룹으로 나뉜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을 푼다. 직물이 감아지고 날실이 풀어지는 동작이 반복되면서 직조 동작이 계속된다.
직조기는 타측 끝단의 씨실을 끝어 와서 일측 끝단의 씨실 고리에 끼워 넣어 다단 고리를 만들어 매듭을 짓는다. 매듭은 하나의 씨실 고리와 다른 씨실 고리가 계속 엮어져서 체인 형태로 형성된다.
이후, 두 그룹으로 나뉘어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을 교차시킨다.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이 교차되면서 크로스된 씨실을 가두게 된다.
교차되면 배틀을 내리 눌러 직물 한 행을 완성한다. 배틀이 내리 눌러 직물 한 행이 단단히 고정된다.
직물 한 행이 완성되면 매듭 지어진 직물을 일정 거리 감고 두 그룹으로 나뉜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을 푼다. 직물이 감아지고 날실이 풀어지는 동작이 반복되면서 직조 동작이 계속된다.
위 과정이 반복해서 수행되어 일정 거리 이상의 직물이 완성된다.
도 5는 직조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제어 구성으로, 직조기는 직조 시작을 입력받는 입력부(11); 입력된 직조 시작에 의해 시퀀스 G 코드를 부가 병렬 처리하는 코드 처리부(12); 시퀀스 G 코드를 파싱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생성부(13); 제어 명령을 컨트롤러(30)로 전송하는 전송부(14)를 포함한다.
입력부(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6)를 통해 직조 시작을 입력받는다.
코드 처리부(12)는 입력된 직조 시작에 의해 시퀀스 G 코드를 부가 병렬 처리한다.
시퀀스 G 코드는 센서(21) 감지와 공압 실린더 제어를 처리하는 코드로, 일련의 처리 루틴을 G 코드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G1 X10 T10은 공압 실린더를 10초 동안 구동하라는 시퀀스 G 코드이다.
생성부(13)는 시퀀스 G 코드를 파싱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시퀀스 G 코드가 G1 X10 T10이면 공압 실린더를 10초 동안 구동하라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전송부(14)는 제어 명령을 컨트롤러(30)로 전송한다. 제어 명령은 컨트롤러(30)가 각종 센서와 공압 실린더를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어 명령이 X 10이면 공압 실린더를 10초 동안 구동하라는 것이다.
컨트롤러(30)는 제어 명령에 따라 직조기의 각종 센서와 공압 실린더를 제어한다.
직조기는 설정 파일을 읽고, 시퀀스 G 코드의 변수를 조절하는 조절부(15)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시퀀스 G 코드가 G1 X10 T10일 때, 설정 파일에서 T10의 변수 값을 조절하는 것이다.
조절부(15)는 설정 파일을 읽고, 시퀀스 G 코드의 변수를 조절한다.
직조기는 시퀀스 G 코드에 따라 컨트롤러(30)로 파라미터를 전송한다. 파라미터는 제어 명령이다. 컨트롤러(30)가 파라미터로 센서와 공압 실린더를 제어한다.
직조기는 시퀀스 G 코드를 통해 직조 동작의 세밀한 제어를 위한 파라미터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시퀀스 G 코드를 사용 안 하고, 컨트롤러(30)에 파라미터를 직접 세팅할 수 있다. 이때, 소스 코드를 직접 수정해야 하는 수고가 따른다. 시퀀스 G 코드의 경우 프로그램을 재 컴파일하지 않고 시퀀스 G 코드를 수정하는 것으로 직조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AS가 발생할 경우 다양한 직조기 하드웨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이상, 정리하면 직조기는 실을 크로스하면서 양 끝단에서 매듭을 짓는다. 매듭은 씨실을 잡아 당겨 생기는 고리에 다른 씨실이 잡아 당겨져서 고리 모양으로 엮여 매듭이 지워지는 것이다.
또한, 직조기는 씨실을 크로스하는 것과 날실이 교차함과 씨실 매듭을 반복하면서 직물을 짠다. 직조기는 셔틀을 사용 안 하는 방식으로 무거운 셔틀 이동이 없이 씨실이 크로스되는 속도를 증가시켜 직물 짜는 속도를 증가시키고,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이 교차함과 내리 누름이 단시간에 달성된다.
또한, 직조기는 수동 조작이 가능하며, 씨실을 크로스하는 것, 날실이 교차함 및 씨실 매듭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직조기는 직물 폭을 세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직물 폭을 설정하면 직조기는 설정된 폭으로 직물을 짤 수 있다.
직조기는 시퀀스 G 코드를 통해 다양한 직조기 하드웨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 입력부 12: 코드 처리부
13: 생성부 14: 전송부
30: 컨트롤러 40: 매듭부
50: 와인딩부 60: 제어부

Claims (5)

  1. 두 그룹으로 나뉘어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에 수직으로 크로스하며 양 끝단에서 씨실로 매듭을 짓는 매듭부(40);
    씨실로 매듭을 지을 시에 매듭 지어진 직물을 일정 거리를 감고 두 그룹으로 나뉜 다수의 열로 배열된 날실을 푸는 와인딩부(50); 및
    상기 매듭부(40)와 상기 와인딩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60);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동작되며,
    상기 매듭부(40)는 일측 끝단의 씨실을 끌어 와서 타측 끝단의 씨실 고리에 끼워 넣어 고리를 만들어 매듭을 지으며, 매듭은 하나의 고리와 다른 고리가 계속 엮어져서 체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매듭부(40)는 일측 끝단의 씨실을 중간쯤 끌어 옴과 동시에 타측 그립이 중간쯤에서 이동하면서 만나 타측으로 씨실을 끌어 와서 타측 끝단의 씨실 고리에 끼워 넣어 고리를 만들어 매듭을 짓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조 시작을 입력받는 입력부(11);
    입력된 직조 시작에 의해 시퀀스 G 코드를 부가 병렬 처리하는 코드 처리부(12);
    상기 시퀀스 G 코드를 파싱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생성부(13);
    상기 제어 명령을 컨트롤러(30)로 전송하는 전송부(14); 및
    설정 파일을 읽고, 시퀀스 G 코드의 변수를 조절하는 조절부(15);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30)가 제어 명령으로 센서와 공압 실린더를 제어하며,
    상기 시퀀스 G 코드를 통해 직조 동작의 세밀한 제어를 위한 파라미터 변경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씨실과 날실은 야자수 재질로 만들어진 실이며,
    상기 매듭부(40)가 매듭을 지을 때 씨실이 오고 감에 따라 생성되는 하나의 고리와 다른 고리를 계속 엮으면서 매듭을 지으며, 매듭부(40)는 감긴 씨실을 붙잡아 끌어 당기면서 직물 끝단으로 가져오며 끝단에 도달한 씨실은 U자형을 가지게 되며, U자형 씨실은 고리를 형성하고, 하나의 고리가 다른 고리에 끼워짐으로써 매듭이 지워지게 되고, 매듭부(40)는 하나의 고리가 다른 고리에 끼워져 매듭이 지워지는 동작을 계속 반복하면서 매듭을 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24469A 2018-10-18 2018-10-18 직조기 및 직조 방법 KR102110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469A KR102110823B1 (ko) 2018-10-18 2018-10-18 직조기 및 직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469A KR102110823B1 (ko) 2018-10-18 2018-10-18 직조기 및 직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251A KR20200044251A (ko) 2020-04-29
KR102110823B1 true KR102110823B1 (ko) 2020-05-15

Family

ID=70466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469A KR102110823B1 (ko) 2018-10-18 2018-10-18 직조기 및 직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8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572B1 (ko) * 2000-04-11 2007-04-13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스트립 형상 직물 제조용 좁은 직물 니들 직조기 및 그 스트립 형상 직물
KR100822409B1 (ko) * 2007-01-10 2008-04-17 박경희 복합재료시트 직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0175B2 (ja) 1995-05-10 1999-05-10 日清紡績株式会社 織成方法
BRPI0616904B1 (pt) * 2005-10-06 2017-01-24 Textilma Ag processo e tear de agulhas para fitas, para tecer uma fit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572B1 (ko) * 2000-04-11 2007-04-13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스트립 형상 직물 제조용 좁은 직물 니들 직조기 및 그 스트립 형상 직물
KR100822409B1 (ko) * 2007-01-10 2008-04-17 박경희 복합재료시트 직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251A (ko)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5231B2 (ja) 織物を織るための方法、このような方法によるニアネットシェイプ織物及びこ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織機
JP2017025467A5 (ko)
JP5819097B2 (ja) 3次元製織のための織機およびその製織方法
JP2002540306A (ja) バイアス織物、かかる織物を連続的に製造するための製造方法と織機
JP3492376B2 (ja) 一体に織られたレースコードを有するスリーブ
KR102110823B1 (ko) 직조기 및 직조 방법
US3016068A (en) Loom for weaving non-cylindrical fabrics
KR102408838B1 (ko) 보행매트 직조기
JP2003253547A (ja) 織物製造方法および装置
US4077437A (en) Apparatus for forming a double catch thread narrow weave
JPS6375138A (ja) いわゆるゴ−ズ型の繊維のインタ−レ−スを達成する簡素化された方法
US3217752A (en) Loom apparatus for weaving contoured thread connected dual wall inflatable fabric
US3216460A (en) Method for weaving contoured thread connected dual wall inflatable fabric
US2141409A (en) Lace fabric
TW201943907A (zh) 距離織物、形成該距離織物之方法及執行該方法之織機
JP6113912B2 (ja) 追加の緯糸エフェクトを有する織機で緯糸端部を挿入する方法
US390448A (en) Pile-warp guide and tension device for looms for weaving double pile fabrics
JP2005015954A (ja) 柄糸経緯織込織機と織物
US775970A (en) Loom for weaving pile fabric.
CA106031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double catch thread narrow weave
US1091197A (en) Woven interlining fabric and process of making same.
US305496A (en) Loom foe weaving chenille or axminsteb carpets and bugs
US8596303B1 (en) Supplementary beater for a handloom
US2073494A (en) Method of and means for producing textile fabrics
US2696843A (en) Double comb beat up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