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456B1 -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456B1
KR102110456B1 KR1020180137538A KR20180137538A KR102110456B1 KR 102110456 B1 KR102110456 B1 KR 102110456B1 KR 1020180137538 A KR1020180137538 A KR 1020180137538A KR 20180137538 A KR20180137538 A KR 20180137538A KR 102110456 B1 KR102110456 B1 KR 102110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heating wire
head
degre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제
Original Assignee
노영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제 filed Critical 노영제
Priority to KR102018013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25B15/001Screwdriv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of the tool bit
    • B25B15/002Screwdriv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of the tool bit characterised by material used or surface fin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25B15/06Screwdrivers operated by axial movement of the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열가소성 플라스틱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며,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성형을 위한 열선이 내장되는 헤드부, 헤드부와 연결되어 헤드부를 지지하는 원통형 바디부 및 사용자의 손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며, 열선의 온도 조절을 위한 스위치 및 열선으로의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SCREWDRIVER POSSIBLE FOR CHANGING SHAPE OF SCREWHEAD}
본 발명은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선을 이용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성형을 통해 나사머리의 모양, 크기, 종류 등에 관계없이 어떠한 나사에도 사용 가능한 스크류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스크류 드라이버는 나사를 조이거나 푸는 도구의 하나로서 수동과 자동식으로 나뉜다. 자동식 스크류 드라이버는 모터를 이용하여 샤프트를 화전시키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가격 및 매뉴얼 습득의 어려움 등을 고려할 때 일상생활에서는 수동식 스크류 드라이버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수동식 스크류 드라이버는 나사머리에 고정되는 샤프트와 회전을 위한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머리의 모양, 크기, 종류 등이 달라지면 그에 알맞은 샤프트로 제작된 수동식 스크류 드라이버를 별도로 구비해야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샤프트를 손잡이로부터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교체하는 방식 등이 개발되었으나, 모든 종류의 나사에 알맞은 샤프트를 사용자가 구비해서 교체하거나 사용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3218호 (2001.08.06.)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선을 이용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성형을 통해 나사머리의 모양, 크기, 종류 등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한 나사 맞춤형 스크류 드라이버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며,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성형을 위한 열선이 내장되는 헤드부, 헤드부와 연결되어 헤드부를 지지하는 원통형 바디부 및 사용자의 손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하우징은 열선의 온도 조절을 위한 스위치 및 열선으로의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으로 구성된 폴리모프(Polymorph)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부는, 원통형 바디부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 1 돌출부,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고정을 위해 헤드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원추형 제 2 돌출부 및 복수개의 제 1 돌출부와 원추형 제 2 돌출부 사이의 일영역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는, 열선에 의해 성형된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보관을 위한 몰드유닛을 더 포함하며, 몰드유닛은 복수개의 제 1 돌출부와 결합 가능한 복수개의 제 1 삽입부, 원추형 제 2 돌출부와 결합 가능한 홀(hole) 형상의 제 2 삽입부 및 복수개의 관통부와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로드(rod)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는,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열선의 온도를 40도 이상 50도 이하의 범위값 또는 60도 이상 90도 이하의 범위값을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스크류 드라이버에 따르면, 샤프트의 교체없이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성형을 통해 어떠한 나사에도 사용 가능하므로 종래의 스크류 드라이버 대비 사용자의 편의성 및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스크류 드라이버에 따르면, 나사머리의 모양, 크기 등에 맞게 성형된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드라이버의 사용 과정에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의 우측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의 사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 몰드유닛의 정면도, (b) 몰드유닛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몰드유닛이 드라이버의 헤드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100)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100)의 우측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100)는,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며,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의 성형을 위한 열선(40)이 내장되는 헤드부(10), 헤드부(10)와 연결되어 헤드부(10)를 지지하는 원통형 바디부(20) 및 사용자의 손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홈(32)이 형성되는 하우징(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은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으로 구성된 폴리모프(Polymorph)일 수 있다. 폴리카프로락톤은 녹는점이 약 60도이므로, 60도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도 손쉽게 플라스틱을 액체화시켜 성형할 수 있으며, 다시 고체화되었을때 견고한 강도를 유지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폴리카프로락톤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이므로, 인체에 유해하지 않다는 장점을 가진다. 즉, 폴리카프로락톤으로 구성된 폴리모프를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으로 이용하면, 나사머리의 모양, 크기 등에 알맞게 플라스틱을 효율적으로 성형시킬 수 있으며, 성형된 플라스틱을 통해 안정적으로 나사를 고정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부(10)는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을 수용 가능하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반구 형태일 수 있다. 다만, 헤드부(10)의 모양이 반구 형태인 것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원통, 정육면체, 정팔면체 등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헤드부(10)의 내부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의 액체화를 위한 열선(40)이 내장되어 있으며, 내장된 열선(40)은 원통형 바디부(20)를 따라 하우징(30)까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열선(40)의 온도는 안전을 위해 최대 90도까지 조절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부(10)는, 원통형 바디부(2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 1 돌출부(11),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의 고정을 위해 헤드부(1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원추형 제 2 돌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제 1 돌출부(11)는 헤드부(10)의 상부 및 하부에 서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돌출부(11)의 내부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의 성형을 위한 열선(40)이 내장될 수 있다. 제 1 돌출부(11)는 후술할 몰드유닛(50)과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의 열선(40) 접촉 면적을 넓혀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의 성형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 2 돌출부(12)는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이 헤드부(10)의 내부 빈 공간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상단이 뾰족한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돌출부(12)의 내부에도 마찬가지로 열선(40)이 내장될 수 있으므로, 제 2 돌출부(12)는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을 헤드부(10)의 내부 빈 공간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의 열선(40) 접촉 면적을 넓혀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의 성형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통형 바디부(20)는 하우징(30)과 헤드부(10)를 연결하는 열선(40)의 통로로서 헤드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원통형 바디부(20)의 내부에는 헤드부(10)에 내장된 열선(40)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원통형 바디부(20)의 내부를 통해 하우징(30)까지 연결된 열선(40)은 하우징(30)에 포함된 제어부에 의해 온도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30)은 열선(40)의 온도 조절을 위한 스위치(31) 및 열선(40)으로의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31)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스위치(31)의 동작에 따라 제어부에 의한 열선(40)의 온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위치(31)가 턴 온되어 제어부로부터 온도 조절 신호가 생성되면, 배터리에서는 열선(40)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열선(40)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스위치(31)의 턴 온에 의한 온도 조절은 2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스위치(31)가 1단계로 턴 온되면, 열선(40)의 온도가 60도 이상 90도 이하의 범위값을 가지도록 제어부에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의 녹는점은 약 60도이므로, 1단계에서 열선(40)의 온도가 60도 이상 90도 이하의 범위값을 가지도록 하여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을 액체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31)의 1단계 턴 온을 통해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을 액체화시켜 나사모양의 크기, 모양 등에 맞도록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을 성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위치(31)가 2단계 턴 온되면, 열선(40)의 온도가 40도 이상 50도 이하의 범위값을 가지도록 제어부에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나사를 고정시키거나 제거시킨 이후에는 성형된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을 헤드부(10)로부터 제거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열가소성 플라스틱(200)과 헤드부(10)의 접촉면이 서로 떨어지도록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열선(40)의 온도가 40도 이상 50도 이하의 범위값을 가지면,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의 헤드부(10)와의 접촉면만 녹을 수 있으므로, 성형된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의 모양을 유지한채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을 헤드부(10)로부터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즉, 스위치(31)의 2단계 턴 온을 통해 성형된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을 헤드부(1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100)의 사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열선(40)을 통해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을 성형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고정된 십(十)자형 나사(300)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헤드부(10) 내부의 빈 공간에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을 수용시킨 이후 나사(300)가 고정된 영역에 헤드부(10)를 접촉시킬 수 있다. 이때, 헤드부(10)에 포함된 제 2 돌출부(12)를 통해 알약 형태인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을 고정시켜 열가소성 플라스틱(200)들이 헤드부(10)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b)는 열선(40)을 통해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을 성형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전술한 도 3의 (a)에서와 같이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의 성형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스위치(31)를 ON 상태로 조작하여 열선(40)의 온도를 60도 이상 90도 이하의 범위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 열선(40)의 온도가 60도 이상 90도 이하의 범위값까지 상승하면,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은 헤드부(10) 내부의 빈 공간에서 녹기 시작하여 나사머리의 모양에 맞게 십자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액체화된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의 성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스위치(31)를 OFF 상태로 조작하여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을 성형된 상태로 굳힐 수 있다. 이와 같이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의 성형 및 고체화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손으로 파지한 하우징(30)을 회전시켜 고정된 나사(300)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 몰드유닛(50)의 정면도, (b) 몰드유닛(50)의 우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몰드유닛(50)이 드라이버(100)의 헤드부(10)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100)는, 열선(40)에 의해 성형된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의 보관을 위한 몰드유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몰드유닛(50)은 헤드부(10)에 결합 가능한 구성으로서 헤드부(10)의 내부 빈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몰드유닛(50)은 헤드부(10)의 모양(ex. 반구, 원통, 정육면체 등)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며, 몰드유닛(50)의 내부 빈 공간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이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몰드유닛(50)은 복수개의 제 1 돌출부(11)와 결합 가능한 복수개의 제 1 삽입부(51), 원추형 제 2 돌출부(12)와 결합 가능한 홀(hole) 형상의 제 2 삽입부(52) 및 복수개의 관통부(13)와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로드(rod)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고정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관통부(13)는 도 5와 같이 헤드부(10)의 복수개의 제 1 돌출부(11)와 원추형 제 2 돌출부(12) 사이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전술한 복수개의 고정부(53)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을 말한다.
복수개의 제 1 삽입부(51)는 복수개의 제 1 돌출부(1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복수개의 제 1 돌출부(11)의 위치에 대응되는 몰드유닛(50)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10)의 상부 및 하부에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 1 돌출부(11)에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제 1 삽입부(51)는 도 4의 (a)와 같이 몰드유닛(50)의 상부 및 하부에 서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삽입부(52)는 원추형 제 2 돌출부(12)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몰드유닛(5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돌출부(12)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추형이므로, 제 2 삽입부(52)에 완전히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제 2 삽입부(52)는 도 4의 (b)와 같이 직경이 몰드유닛(50)의 내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부(53)는 몰드유닛(50)과 헤드부(10) 간의 실질적인 결합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탄성부재는 몰드유닛(50)의 내부 빈 공간으로 돌출된 고정부(53)의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로드는 탄성부재와 연결되어 몰드유닛(5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탄성부재에 따른 로드의 움직임을 통해 헤드부(10)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부(13)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힘에 의해 몰드유닛(50)의 외부로 돌출된 로드가 눌러지면, 몰드유닛(50)은 헤드부(10)의 내부 빈 공간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헤드부(10)의 내벽으로부터 작용하는 힘에 의해 로드는 계속 눌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삽입되는 과정에서 복수개의 고정부(53)가 복수개의 관통부(13)에 위치하게 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눌러진 로드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관통부(13)를 따라 이동한 로드는 헤드부(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력에 의해 복원된 로드와 관통부(13) 간의 결합으로 몰드유닛(50)과 헤드부(10)은 완전히 결합될 수 있다.
헤드부(10)에 결합된 몰드유닛(50)은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힘에 의해 헤드부(10)의 외부로 돌출된 로드가 눌러짐으로써 헤드부(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헤드부(10)와의 결합 또는 분리를 통해 몰드유닛(50)은 헤드부(10)로부터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의 제거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성형된 열가소성 플라스틱(200)의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헤드부 11: 제 1 돌출부
12: 제 2 돌출부 13: 관통부
20: 바디부 30: 하우징
31: 스위치 32: 하우징의 홈
40: 열선 50: 몰드유닛
51: 제 1 삽입부 52: 제 2 삽입부
53: 고정부 100: 드라이버
200: 열가소성 플라스틱 300: 나사

Claims (5)

  1.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에 있어서,
    열가소성 플라스틱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며,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성형을 위한 열선이 내장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는 원통형 바디부;
    상기 열선에 의해 성형된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보관을 위한 몰드유닛; 및
    사용자의 손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열선의 온도 조절을 위한 스위치 및 상기 열선으로의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원통형 바디부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 1 돌출부,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고정을 위해 상기 헤드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원추형 제 2 돌출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 1 돌출부와 원추형 제 2 돌출부 사이의 일영역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제 1 돌출부와 결합 가능한 복수개의 제 1 삽입부, 상기 원추형 제 2 돌출부와 결합 가능한 홀(hole) 형상의 제 2 삽입부 및 상기 복수개의 관통부와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로드(rod)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으로 구성된 폴리모프(Polymorp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상기 열선의 온도를 40도 이상 50도 이하의 범위값 또는 60도 이상 90도 이하의 범위값을 가지도록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
KR1020180137538A 2018-11-09 2018-11-09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 KR102110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538A KR102110456B1 (ko) 2018-11-09 2018-11-09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538A KR102110456B1 (ko) 2018-11-09 2018-11-09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456B1 true KR102110456B1 (ko) 2020-05-13

Family

ID=70730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538A KR102110456B1 (ko) 2018-11-09 2018-11-09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4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218Y1 (ko) 2001-05-08 2001-10-15 하성민 휴대용 통합 스크류 드라이버
CN205414642U (zh) * 2015-11-20 2016-08-03 郭帅 温控防滑丝螺丝刀
CN107433542A (zh) * 2017-08-07 2017-12-05 国网山东省电力公司邹城市供电公司 螺钉拧出装置及扳手
JP2018158433A (ja) * 2017-03-22 2018-10-11 貴洋 町田 万能ドライバ型工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218Y1 (ko) 2001-05-08 2001-10-15 하성민 휴대용 통합 스크류 드라이버
CN205414642U (zh) * 2015-11-20 2016-08-03 郭帅 温控防滑丝螺丝刀
JP2018158433A (ja) * 2017-03-22 2018-10-11 貴洋 町田 万能ドライバ型工具
CN107433542A (zh) * 2017-08-07 2017-12-05 国网山东省电力公司邹城市供电公司 螺钉拧出装置及扳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42748A (en) Method of fastening two part plastic fastener by fusion from frictional heat of rotation
US5207750A (en) Insert moldable ratchet rivet assembly
KR102110456B1 (ko) 나사머리의 변형이 가능한 드라이버
US6196403B1 (en) Bottle having a hanging tool
US5340186A (en) Attachment device for sunvisor vanity mirrors
KR101748790B1 (ko) 사각 립스틱 용기
CZ398798A3 (cs) Způsob vytváření sestavy, obsahující nejméně dva díly z plastů, a hlava nádoby nebo kontejneru, opatřená víčkem
US5000637A (en) Fastening device with circumferential rib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4130138A (en) Molded stand-off
JPS6030846B2 (ja) 係留ねじ装置
US2832299A (en) Apparatus for molding ice cream
JP2005123082A (ja) 自動車用前照灯
US4892018A (en) Deflashing method and apparatus
US4823435A (en) Multipart handle for a sanitary tap
JPH0569444A (ja) インサート成形金型
US4576506A (en) Joining device
CN220944651U (zh) 一种注塑模具打磨机
JPH02111507A (ja) インサート成形金型
JPH01500567A (ja) アイライナ・ペンシルの改良
US1262368A (en) Operating-button for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process for making such button.
JP4134263B1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雌ねじ付インサート
JP2510468B2 (ja) 袋ナ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1992001546A1 (en) Injection-moulded thermoplastic container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JPH1177689A (ja) インサートナット
KR200346415Y1 (ko) 성형물 고정용 인서트 너트 및 그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