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928B1 -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 - Google Patents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928B1
KR102109928B1 KR1020180046061A KR20180046061A KR102109928B1 KR 102109928 B1 KR102109928 B1 KR 102109928B1 KR 1020180046061 A KR1020180046061 A KR 1020180046061A KR 20180046061 A KR20180046061 A KR 20180046061A KR 102109928 B1 KR102109928 B1 KR 102109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knitting
anchor
heat
knit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2374A (ko
Inventor
이호준
이민수
Original Assignee
(주)오스테오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스테오닉 filed Critical (주)오스테오닉
Priority to KR1020180046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928B1/ko
Priority to PCT/KR2019/004577 priority patent/WO2019203535A1/ko
Publication of KR20190122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1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having a suture-receiving opening, e.g. lateral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6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for soft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61F2002/0817Structure of the anch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봉합사 앵커(all-suture anchor)에 있어서, 특히 인대, 건, 그리고 관절낭과 같은 연조직을 뼈에 재고정시키기 위한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에 관한 것으로, 제1편사부와, 상기 제1편사부와 포개지는 제2편사부로 구성되는 편사 앵커; 상기 제1편사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제(2n-1) 봉합사 홀들; 상기 제2편사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제2n 봉합사 홀들; 그리고 상기 제(2n-1) 봉합사 홀들과 상기 제2n 봉합사 홀들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봉합사로 구성되되, 상기 편사 앵커가 상기 제1편사부와 상기 제2편사부가 포개진 양 끝단이 열칼날로 절단됨에 따라 열접착되는 것이 특징인 발명이다.

Description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heat sealed type all-suture anchor}
본 발명은 전봉합사 앵커(all-suture anch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대, 건, 그리고 관절낭과 같은 연조직을 뼈에 재고정시키기 위한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인대는 강한 섬유성 결합 조직으로 탄력성을 가지며, 주로 관절에 위치하고, 뼈와 뼈를 연결한다. 또한 인대는 관절의 움직임에 단단히 저항함으로써 관절의 운동을 안정하게 하거나 제한하는데, 이 때문에 인대는 손상되기 쉽다.
인대의 손상 형태로는 염좌, 비틀림, 찢김, 끊김 등이 있는데, 인대의 끊김은 주로 인대와 뼈가 결합된 부위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끊긴 인대를 다시 봉합하는 수술은 대부분 인대를 뼈에 고정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인대를 뼈에 고정하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우선 봉합사가 결합된 스크류를 피착 부위인 뼈에 고정하고, 그 봉합사를 끊긴 인대에 결속한다. 그리고 인대에 결속된 봉합사를 봉합사 앵커를 이용하여 뼈에 고정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31044호(발명의 명칭: 2-부분 무매듭 봉합사 앵커)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7068호(발명의 명칭: 봉합사 앵커) 등에서는 전통적인 스크류 형태의 봉합사 앵커를 소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전통전인 봉합사 앵커는 상대적으로 강한 고정력을 가지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뼈에 앵커를 식립하는 과정에서 뼈를 손상시키는 단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그에 따라, 고정력은 다소 약하지만 뼈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전봉합사 앵커(all-suture anchor)가 개발되었다.
전봉합사 앵커는 직조된 봉합사를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굵은 봉합사(직조사 또는 편사 또는 중공사) 부분과 그에 연결된 가는 봉합사 부분으로 구성된다.
전봉합사 앵커의 시술 과정을 살펴보면, 뼈 등의 피착 부위에 최소한의 작은 홀을 뚫고, 봉합사 말단에 위치한 굵은 봉합사를 그 피착 부위의 홀에 삽입한다. 이후에 가는 봉합사를 당기면 굵은 봉합사가 응축하면서 즉, 접히면서 체적이 증가하여 피착 부위에 고정된다.
전봉합사 앵커에 사용되는 고정용 굵은 봉합사의 형태는 직조사(매듭)나 편사나 중공사이다.
전봉합사 앵커에 사용되는 굵은 봉합사의 다양한 형태와 각 굵은 봉합사의 응축 방식에 따라 작용 메커니즘이 달라진다.
직조사 형태는 제작 과정에서 실을 직조하면서 요구되는 형태를 만들어 가기 때문에 제작이 까다롭고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중공사 형태는 제작이 용이하지만 응축 시에 중공사의 양단 외곽측이 효율적으로 응축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편사 형태는 면적이 넓어서 응축 효율이 우수하며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편사 형태는 면적이 넓기는 하나 두께가 얇아서 응축되어 형성되는 앵커부위가 작기 때문에 고정력이 다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봉합사 앵커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용 굵은 봉합사는 여러 장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종래의 단점들을 보완하여 응축 효율은 향상시킬 수 있는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앵커부위가 얼마만큼의 깊이로 식립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응축 효율이 좋은 편사 형태의 전봉합사 앵커에 대해 고정력을 더 높일 수 있고 앵커부위의 식립 깊이도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의 특징은, 제1편사부와, 상기 제1편사부와 포개지는 제2편사부로 구성되는 편사 앵커; 상기 제1편사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제(2n-1) 봉합사 홀들; 상기 제2편사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제2n 봉합사 홀들; 그리고 상기 제(2n-1) 봉합사 홀들과 상기 제2n 봉합사 홀들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봉합사로 구성되되, 상기 n은 자연수이고, 상기 편사 앵커는 상기 제1편사부와 상기 제2편사부가 포개진 양 끝단이 열칼날로 절단됨에 따라 열접착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n-1) 봉합사 홀들과 상기 제2n 봉합사 홀들은 일대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봉합사는 상기 제(2n-1) 봉합사 홀들과 상기 제2n 봉합사 홀들을 관통하면서 홈질로 끼워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편사 앵커는 상기 봉합사가 당겨짐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봉합사는 일방향에서 상기 제1편사부에 구비되는 제1 봉합사 홀과 상기 제2편사부에 구비되는 제2 봉합사 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1번째 끼워지고, 1번째 끼워진 이후에, 타방향에서 상기 제2편사부에 구비되는 제4 봉합사 홀과 상기 제1편사부에 구비되는 제3 봉합사 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2번째 끼워지고, 2번째 끼워진 이후에, 일방향에서 상기 제1편사부에 구비되는 제5 봉합사 홀과 상기 제2편사부에 구비되는 제6 봉합사 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3번째 끼워지고, 3번째 끼워진 이후에, 타방향에서 상기 제2편사부에 구비되는 제8 봉합사 홀과 상기 제1편사부에 구비되는 제7 봉합사 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4번째 끼워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편사 앵커는 일체로 직조된 편사를 폭방향으로 접어서 상기 제1편사부와 상기 제2편사부가 포개져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봉합사는 상기 편사 앵커의 식립 깊이를 측정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띠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봉합사는 서로 다른 색상의 실을 관형으로 직조하여 중공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편사 앵커는 시간 경과에 따라 인체로 흡수되는 흡수사로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면적이 넓어서 응축 효율이 우수한 편사 형태의 전봉합사 앵커를 포개지게 구현하면서 양 끝단을 열접착시켜 그 양 끝단의 면적을 넓힌다. 그에 따라 봉합사가 당겨김에 따라 응축되면서 형성되는 앵커부위의 체적이 더욱더 커지고 열접착에 의해 양 끝단이 넓어지기 때문에 피착 부위에 대한 고정력이 증가한다.
또한, 봉합사가 일정 간격으로 띠를 가지므로 앵커부위를 식립할 시에 식립되는 띠의 개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앵커부위의 식립 깊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의 편사 앵커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의 편사 앵커와 봉합사 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에 봉합사가 끼워진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에 끼워지는 봉합사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의 편사 앵커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의 편사 앵커와 봉합사 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에 봉합사가 끼워진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에 끼워지는 봉합사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는 편사 앵커(10), 그 편사 앵커(1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봉합사 홀들(20~27), 그리고, 복수 개의 봉합사 홀들(20~27)에 끼워지는 봉합사(30)로 구성된다.
편사 앵커(10)는 제1편사부(11)와 제2편사부(12)로 구성되는데, 제1편사부(11)와 제2편사부(12)는 포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편사 앵커(10)는 각각 직조된 제1편사부(11)와 제2편사부(12)를 포개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편사부(11)와 제2편사부(12)가 포개진 양 끝단을 열칼날로 절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편사 앵커(10)는 제1편사부(11)와 제2편사부(12)의 양 끝단이 열접착된 열접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편사 앵커(10)는 일체로 직조된 편사를 폭방향으로 접어서 포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편사부(11)와 제2편사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편사 앵커(10)는 일체로 직조된 편사를 폭방향으로 접은 후에 양 끝단을 열칼날로 절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폭방향으로 접힌 편사의 양 끝단이 열접착된 열접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봉합사 홀들(20~27)은 제1편사부(11)와 제2편사부(12)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제1편사부(11)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제(2n-1) 봉합사 홀들(20,22,24,26)과 제2편사부(12)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제2n 봉합사 홀들(21,23,25,27)로 구분한다. 여기서, n은 자연수이다.
도 2는 봉합사 홀들(20~27) 중 제1봉합사 홀(20)과 제3봉합사 홀(22)과 제5봉합사 홀(24)과 제7봉합사 홀(26)이 제1편사부(11)에 형성되고, 제2봉합사 홀(21)과 제4봉합사 홀(23)과 제6봉합사 홀(25)과 제8봉합사 홀(27)이 제2편사부(12)에 형성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봉합사 홀의 개수는 편사 앵커의 길이에 따라 적절히 증감될 수 있으므로, 도 2에 도시된 예로만 한정하지 않는다.
제(2n-1) 봉합사 홀들(20,22,24,26)과 제2n 봉합사 홀들(21,23,25,27)은 일대일 대응되게 형성되며, 제1편사부(11)와 제2편사부(1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봉합사(30)가 끼워지는 경로 상에 구비된다.
봉합사(30)는 제1편사부(11)에 형성된 제(2n-1) 봉합사 홀들(20,22,24,26)과 제2편사부(12)에 형성된 제2n 봉합사 홀들(21,23,25,27)을 교대로 관통하여 끼워진다.
보다 상세하게, 봉합사(30)는 제(2n-1) 봉합사 홀들(20,22,24,26)과 제2n 봉합사 홀들(21,23,25,27)을 교대로 관통하면서 홈질로 끼워질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30)는 일방향에서 제1편사부(11)에 구비되는 제1 봉합사 홀(20)과 제2편사부(12)에 구비되는 제2 봉합사 홀(21)을 동시에 관통하여 1번째 끼워진다. 일방향에서 제1 봉합사 홀(20)과 제2 봉합사 홀(21)을 관통하게 끼워진 후에는 타방향(반대방향)에서 제2편사부(12)에 구비되는 제4 봉합사 홀(23)과 제1편사부(11)에 구비되는 제3 봉합사 홀(22)을 동시에 관통하여 2번째 끼워진다. 타방향(반대방향)에서 제4 봉합사 홀(23)과 제3 봉합사 홀(22)을 관통하여 끼워진 후에는 다시 일방향에서 제1편사부(11)에 구비되는 제5 봉합사 홀(24)과 제2편사부(12)에 구비되는 제6 봉합사 홀(25)을 동시에 관통하여 3번째 끼워진다. 일방향에서 제5 봉합사 홀(24)과 제6 봉합사 홀(25)을 관통하여 끼워진 후에는 타방향(반대방향)에서 제2편사부(12)에 구비되는 제8 봉합사 홀(27)과 제1편사부(11)에 구비되는 제7 봉합사 홀(26)을 동시에 관통하여 4번째 끼워진다.
이와 같이, 봉합사 홀들(20~27)에 봉합사(30)가 끼워진 후 봉합사(30)가 당겨지면서 식립 기구로부터 전달되는 외력(P)이 도시된 방향으로 가해지면, 편사 앵커(10)는 식립을 위해 마련된 홀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접히게 된다. 봉합사(30)가 당겨짐에 따라 편사 앵커(10)가 접히면서 즉, 응축하면서 체적이 증가하여 피착 부위에 고정된다. 편사 앵커(10)가 접힐 때는 양 끝단에 구비되는 열접착부에 의해 응축된 부위의 체적은 더 증가하게 되며, 그로 인해 피착 부위에 대한 고정력이 증가한다.
봉합사(30)는 둘 이상의 실을 관형으로 직조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봉합사(30)는 편사 앵커(10)의 식립 깊이를 측정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띠를 가질 수 있다. 봉합사(30)에 형성된 띠는 서로 다른 색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같은 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봉합사(30)에 형성된 띠가 서로 다른 색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색에 따라 서로 다른 깊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술자는 편사 앵커(10)를 홀 내부로 식립하는 과정에서 홀의 외부에 노출된 봉합사(30)의 띠 색을 확인함으로써 어느 정도 깊이로 편사 앵커(10)가 식립되고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봉합사(30)에 형성된 띠가 같은 색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봉합사(30)의 띠가 형성되는 간격의 길이가 일정하게 정해진다. 그에 따라, 시술자는 편사 앵커(10)를 홀 내부로 식립하는 과정에서 홀의 내부로 봉합사(30)의 띠가 몇 개 삽입되고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어느 정도 깊이로 편사 앵커(10)가 식립되고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편사 앵커(10)는 그에 꿰어지는 봉합사(30)와 동일한 재질의 실로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편사 앵커(10)는 그에 꿰어지는 봉합사(30)와 상이한 재질의 실로 직조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편사 앵커(10)는 시간 경과에 따라 인체로 흡수되는 흡수사로 직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합사(30)도 흡수사나 비흡수사 모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재질의 선택은 설계에 따라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편사 앵커
20~27: 봉합사 홀
30: 봉합사

Claims (9)

  1. 제1편사부와, 상기 제1편사부와 포개지는 제2편사부로 구성되는 편사 앵커;
    상기 제1편사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제(2n-1) 봉합사 홀들;
    상기 제2편사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제2n 봉합사 홀들; 그리고
    상기 제(2n-1) 봉합사 홀들과 상기 제2n 봉합사 홀들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봉합사로 구성되되,
    상기 n은 자연수이고,
    상기 편사 앵커는 상기 제1편사부와 상기 제2편사부가 포개진 양 끝단이 열칼날로 절단됨에 따라 열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n-1) 봉합사 홀들과 상기 제2n 봉합사 홀들은 일대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는,
    상기 제(2n-1) 봉합사 홀들과 상기 제2n 봉합사 홀들을 관통하면서 홈질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편사 앵커는,
    상기 봉합사가 당겨짐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는,
    일방향에서 상기 제1편사부에 구비되는 제1 봉합사 홀과 상기 제2편사부에 구비되는 제2 봉합사 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1번째 끼워지고,
    1번째 끼워진 이후에, 타방향에서 상기 제2편사부에 구비되는 제4 봉합사 홀과 상기 제1편사부에 구비되는 제3 봉합사 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2번째 끼워지고,
    2번째 끼워진 이후에, 일방향에서 상기 제1편사부에 구비되는 제5 봉합사 홀과 상기 제2편사부에 구비되는 제6 봉합사 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3번째 끼워지고,
    3번째 끼워진 이후에, 타방향에서 상기 제2편사부에 구비되는 제8 봉합사 홀과 상기 제1편사부에 구비되는 제7 봉합사 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4번째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사 앵커는,
    일체로 직조된 편사를 폭방향으로 접어서 상기 제1편사부와 상기 제2편사부가 포개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는,
    상기 편사 앵커의 식립 깊이를 측정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띠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는,
    서로 다른 색상의 실을 관형으로 직조하여 중공을 가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사 앵커는,
    시간 경과에 따라 인체로 흡수되는 흡수사로 직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
KR1020180046061A 2018-04-20 2018-04-20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 KR102109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61A KR102109928B1 (ko) 2018-04-20 2018-04-20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
PCT/KR2019/004577 WO2019203535A1 (ko) 2018-04-20 2019-04-16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61A KR102109928B1 (ko) 2018-04-20 2018-04-20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374A KR20190122374A (ko) 2019-10-30
KR102109928B1 true KR102109928B1 (ko) 2020-05-12

Family

ID=68238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061A KR102109928B1 (ko) 2018-04-20 2018-04-20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9928B1 (ko)
WO (1) WO201920353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8655A1 (en) 2007-07-13 2009-01-15 John Brunelle Composite Implant for Surgical Repair
US20140163614A1 (en) 2006-02-03 2014-06-12 Biomet Sports Medicine, Llc Flexible Anchors For Tissue Fixation
WO2015134800A1 (en) 2014-03-05 2015-09-11 Cayenne Medical, Inc. All-suture suture anchor systems and methods
JP2017060823A (ja) 2011-01-28 2017-03-30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Smith & Nephew,Inc. 組織修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1470A (ko) * 2014-09-09 2017-05-11 미닌베이시브 리미티드 패드부착형 뼈관통 봉합사
KR200482023Y1 (ko) * 2016-08-16 2016-12-08 주식회사 에이알씨코리아 시술용 슬리브 앵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63614A1 (en) 2006-02-03 2014-06-12 Biomet Sports Medicine, Llc Flexible Anchors For Tissue Fixation
US20090018655A1 (en) 2007-07-13 2009-01-15 John Brunelle Composite Implant for Surgical Repair
JP2017060823A (ja) 2011-01-28 2017-03-30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Smith & Nephew,Inc. 組織修復
WO2015134800A1 (en) 2014-03-05 2015-09-11 Cayenne Medical, Inc. All-suture suture anchor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374A (ko) 2019-10-30
WO2019203535A1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5683A1 (en) Reinforced biological construct and method of reinforcing biological construct
JP6761461B2 (ja) 返しを有する可撓性ストランドを備えた軟質アンカー組立体及び使用のための技術
US9402620B2 (en) Knotless filamentary fixation devices, assembli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assembly and use
KR100283430B1 (ko) 인조인대
US2011002208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pairing and anchoring damaged tissue
JP2011517289A (ja) 移植可能な人工コード
US20150127103A1 (en) Connective tissue repair
ES2879982T3 (es) Ancla de sutura que comprende un filamento de sutura y una cinta de sutura
JP7467464B2 (ja) 固定部材、アセンブリ、並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0105171A1 (en) Reinforcing band for restoring a soft tissue, and corresponding method
US20210038220A1 (en) Braided Filament Having Flat Morphology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KR102109928B1 (ko)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
US20140222038A1 (en) Connective tissue repair
KR102018630B1 (ko) 폴더타입 전봉합사 앵커
CA3097947C (en) Coined suture passing drill
AU2015202757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pairing meniscal tissue
KR102380900B1 (ko) 적어도 2개의 바디 사이에 서스펜션을 연결 및 생성하기 위한 봉합사 시스템 및 관련 방법
KR101914778B1 (ko) 복합 직조 구조의 전봉합사 앵커
US10383616B2 (en) Methods for attaching soft tissue to bone
CN110353747A (zh) 缝合线及全线锚钉
US20230133232A1 (en) Method of soft anchor knotless rep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