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165B1 -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165B1
KR102109165B1 KR1020130115164A KR20130115164A KR102109165B1 KR 102109165 B1 KR102109165 B1 KR 102109165B1 KR 1020130115164 A KR1020130115164 A KR 1020130115164A KR 20130115164 A KR20130115164 A KR 20130115164A KR 102109165 B1 KR102109165 B1 KR 102109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oil
boiler
mixing pipe
supply line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5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5049A (ko
Inventor
남병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5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165B1/ko
Publication of KR20150035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2Liquid fuel
    • F23K5/04Feeding or distributing systems us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05Regulating fuel supply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연료유 탱크; 연료유 펌프; 상기 연료유 탱크와 연료유 펌프 사이에 마련되는 제1 연료유 공급라인; 상기 연료유 혼합관과 연료유 펌프 사이에 마련되는 제2 연료유 공급라인; 상기 각 보일러와 연료유 혼합관 사이에 마련되는 연료유 회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연료유 혼합관 및 제2 연료유 공급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연료유 공급라인의 관로 저항을 상기 제1 연료유 공급라인의 관로 저항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관로 저항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각 연료유 공급라인을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보일러에 연료유를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연료유 펌프에 공기가 유입되어 연료유 펌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 { FUEL SUPPLYING APPARATUS FOR VESSEL BOILER }
본 발명은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다수의 연료유 탱크로부터 연료유 펌프까지의 관로 저항과 연료유 혼합관에서 연료유 펌프까지의 관로 저항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연료유, 윤활유 및 각종 장비 운전에 필요한 열원을 얻기 위해 증기를 사용하며, 본 발명이 관계하는 선박 보일러는 상기 증기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선박 보일러는 다수 개가 사용되며, 연료유 펌프를 포함하는 하나의 연료유 공급장치를 통해 각 선박 보일러에 연료유를 공급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에서 연료유 펌프는 대개 보일러의 연료유 소모량의 약 3배의 유량 및 압력을 가지는 사양의 것이 사용된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선박용 엔진 또는 보일러의 연료공급 및 배출가스 저감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고,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200)는 다수의 연료유 탱크(211)(212), 각 연료유 탱크(211)(212)의 연료를 보일러(301)에 공급하는 연료유 펌프(220), 보일러(301)에서 소모되고 남은 연료유를 혼합하는 연료유 혼합관(230)을 포함한다.
상기 종래의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200)에서 연료유 펌프(220)를 통해 보일러(301)에 공급된 연료유 중에서 사용되지 않은 연료유는 연료유 회수라인(B3)을 통해 연료유 혼합관(230)으로 회수되며, 연료유 혼합관(230)으로 회수된 연료유는 보일러(301)에서 소모된 연료유만큼 각 연료유 탱크(211(212)에서 보충된 연료유와 함께 연료유 펌프(220)로 유입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0015호(2012년 4월 18일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2270호(2010년 4월 12일 공고)
상기 종래의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200)는 다수개의 연료유 탱크(211)(212)를 사용하는 경우 각 연료유 탱크(211)(212)에서 연료유 펌프(220)로 연결된 제1 연료유 공급라인(B1)의 관로 저항과 연료유 혼합관(230)에서 연료유 펌프(220)로 연결된 제2 연료유 공급라인(B2)의 관로 저항이 서로 달라 어느 한쪽의 연료유 공급라인의 연료유만이 연료유 펌프(220)로 흡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200)는 연료유 혼합관(230)에서 연료유 펌프(220)로 연결된 제2 연료유 공급라인(B2)의 관로 저항이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 연료유 혼합관(230)의 벤트 파이프(23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연료유 펌프(220)로 유입되어 연료유 펌프(220)가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200)는 연료유 탱크(211)(212)를 바꾸어 운전할 때에 작업자가 연료유 혼합관(230)의 밸브를 통해 관로 저항을 조절하였기 때문에 조절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고, 관로 저항의 조절이 잘못될 경우 공기 유입으로 인한 연료유 펌프 손상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유 탱크와 연료유 펌프 사이의 관로 저항 및 연료유 혼합관과 연료유 펌프 사이의 관로 저항을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각 연료유 공급라인의 연료유가 원활하게 각 보일러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연료유 펌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는 각 보일러에 공급할 연료가 저장되는 다수의 연료유 탱크; 상기 각 연료유 탱크의 연료를 각 보일러에 공급하는 연료유 펌프; 상기 연료유 탱크와 연료유 펌프 사이에 마련되어 연료유 탱크의 연료유를 연료유 펌프로 공급하는 제1 연료유 공급라인; 상기 연료유 혼합관과 연료유 펌프 사이에 마련되어 연료유 혼합관의 연료유를 연료유 펌프로 공급하는 제2 연료유 공급라인; 상기 각 보일러와 연료유 혼합관 사이에 마련되어 각 보일러에서 사용하지 않은 연료유를 회수하는 연료유 회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연료유 혼합관 및 제2 연료유 공급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연료유 공급라인의 관로 저항을 상기 제1 연료유 공급라인의 관로 저항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관로 저항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는 상기 연료유 펌프가 듀티 연료유 펌프와 스탠바이 연료유 펌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는 상기 관로 저항 조절수단이 상기 연료유 혼합관에 설치되어 연료유 혼합관의 유면을 감지하는 혼합관 유면감지기; 제2 연료유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제2 연료유 공급라인을를 통한 연료유 공급량을 조절하는 유량제어밸브; 상기 혼합관 유면감지기의 입력 신호를 통해 유량제어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는 상기 제어유니트가 혼합관 유면감지기의 감지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유량제어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는 상기 제어유니트가 혼합관 유면감지기의 감지신호에 따라 설정 주기적으로 유량제어밸브(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에 의하면, 연료유 혼합관과 제2 연료유 공급라인에 마련되는 관로 저항 조절수단을 통해 연료유 탱크로부터 연료유 펌프까지의 관로 저항과 연료유 혼합관에서 연료유 펌프까지의 관로 저항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에 의하면, 각 연료유 공급라인을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보일러에 연료유를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연료유 펌프에 공기가 유입되어 연료유 펌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에 의하면, 연료유 탱크(111)(112)를 바꾸어 운전할 때에 작업자가 연료유 혼합관(130)의 밸브를 수동 조절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력 및 시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100)는 다수의 연료유 탱크(111)(112), 연료유 펌프(121)(122), 연료유 혼합관(130), 제1 연료유 공급라인(A1), 제2 연료유 공급라인(A2), 연료유 회수라인(A3)를 포함하고, 관로 저항 조절수단(S)을 더 포함한다.
다수의 연료유 탱크(111)(112)는 각 보일러(301)(302)에 공급할 연료가 저장되는 것으로, 제1 연료유 공급라인(A1)을 통해 연료유 펌프(121)(122)와 접속된다.
연료유 펌프(121)(122)는 상기 각 연료유 탱크(111)(112)의 연료를 각 보일러(301)(302)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듀티 연료유 펌프(121)와 스탠바이 연료유 펌프(122)로 구성된다.
연료유 혼합관(130)은 각 보일러(301)(302)에서 소모되고 남은 연료유를 혼합하여 연료유 펌프(121)(122)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아울러 각 보일러(301)(302)에서 회수된 연료유를 연료유 펌프(121)(122)에 공급하기 전에 연료유에 포함된 가스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료유 혼합관(130)은 연료유 회수라인(A3)을 통해 각 보일러(301)(302)와 접속되고, 제2 연료유 공급라인(A2)을 통해 연료유 펌프(121)(122)와 접속된다.
제1 연료유 공급라인(A1)은 상기 연료유 탱크(111)(112)와 연료유 펌프(121)(122) 사이에 마련되어 연료유 탱크(111)(112)의 연료유를 연료유 펌프(121)(122)로 공급한다.
제2 연료유 공급라인(A2)은 상기 연료유 혼합관(130)과 연료유 펌프(121)(122) 사이에 마련되어 연료유 혼합관(130)의 연료유를 연료유 펌프(121)(122)로 공급한다.
연료유 회수라인(A3)은 상기 각 보일러(301)(302)와 연료유 혼합관(130) 사이에 마련되어 각 보일러(301)(302)에서 사용하지 않은 연료유를 회수한다.
관로 저항 조절수단(S)은 제2 연료유 공급라인(A2)의 관로 저항을 제1 연료유 공급라인(A1)의 관로 저항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료유 혼합관(130) 및 제2 연료유 공급라인(A2)에 마련된다.
상기 관로 저항 조절수단(S)은 혼합관 유면감지기(140), 유량제어밸브(150), 제어유니트(160)를 포함한다.
혼합관 유면감지기(140)는 상기 연료유 혼합관(130)에 설치되어 연료유 혼합관(130)의 유면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제어유니트(160)로 전송한다.
유량제어밸브(150)는 제2 연료유 공급라인(A2)에 설치되어 제2 연료유 공급라인(A2)를 통한 연료유 공급량을 조절한다.
제어유니트(160)는 상기 혼합관 유면감지기(140)의 입력 신호를 통해 유량제어밸브(1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유니트(160)는 혼합관 유면감지기(1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유량제어밸브(150)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설정 주기적으로 유량제어밸브(150)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131은 벤트 파이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100)에 있어서 각 연료유 탱크(111)(112)의 연료유는 제1 연료유 공급라인(A1) 및 연료유 펌프(121)(122)를 통해 각 보일러(301)(302)에 공급된다.
또한, 각 보일러(301)(302)에서 연소되지 않은 연료유는 연료유 회수라인(A3)을 통해 연료유 혼합관(130)으로 유입되고, 연료유 혼합관(130)에서 가스가 제거된 후 제2 연료유 공급라인(A2) 및 연료유 펌프(121)(122)를 통해 각 보일러(301)(302)에 공급된다.
한편, 관로 저항 조절수단(S)의 혼합관 유면감지기(140)는 연료유 혼합관(130)의 유면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유니트(160)로 전송하게 되고, 제어유니트(160)는 혼합관 유면감지기(1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2 연료유 공급라인(A2)에 마련된 유량제어밸브(150)를 제어하여 제2 연료유 공급라인(A2)의 관로 저항과 제1 연료유 공급라인(A1)의 관로 저항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100)에 있어서는 제1 연료유 공급라인(A1)의 연료유와 제2 연료유 공급라인(A2)의 연료유가 안정적으로 각 보일러(301)(302)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100)는 선박 내부에 설치된 각 연료유 탱크(111)(112)의 위치나 각 연료유 탱크(111)(112)의 연료유 잔량에 관계없이 연료유 혼합관(130)의 유면이 항상 일정 수준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연료유 펌프(121)(122)에 공기가 흡입되는 일이 없게 되어 연료유 펌프(121)(122)가 손상될 우려가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100)는 연료유 탱크(111)(112)를 바꾸어 운전할 때에 작업자가 연료유 혼합관(130)의 밸브를 수동 조절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력 및 시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
111, 112 : 연료유 탱크
121, 122 : 연료유 펌프
130 : 연료유 혼합관
140 : 혼합관 유면감지기
150 : 유량제어밸브
160 : 제어유니트
301, 302 : 보일러
A1 : 제1 연료유 공급라인
A2 : 제2 연료유 공급라인
A3 : 연료유 회수라인
S : 관로 저항 조절수단

Claims (5)

  1. 각 보일러(301)(302)에 공급할 연료가 저장되는 다수의 연료유 탱크(111)(112);
    상기 각 연료유 탱크(111)(112)의 연료를 각 보일러(301)(302)에 공급하는 연료유 펌프(121)(122);
    상기 각 보일러(301)(302)에서 소모되고 남은 연료유를 혼합하여 상기 연료유 펌프(121)(122)로 공급하는 연료유 혼합관(130);
    상기 연료유 탱크(111)(112)와 연료유 펌프(121)(122) 사이에 마련되어 연료유 탱크(111)(112)의 연료유를 연료유 펌프(121)(122)로 공급하는 제1 연료유 공급라인(A1);
    상기 연료유 혼합관(130)과 연료유 펌프(121)(122) 사이에 마련되어 연료유 혼합관(130)의 연료유를 연료유 펌프(121)(122)로 공급하는 제2 연료유 공급라인(A2);
    상기 각 보일러(301)(302)와 연료유 혼합관(130) 사이에 마련되어 각 보일러(301)(302)에서 사용하지 않은 연료유를 회수하는 연료유 회수라인(A3);을 포함하고,
    상기 연료유 혼합관(130) 및 제2 연료유 공급라인(A2)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연료유 공급라인(A2)의 관로 저항을 상기 제1 연료유 공급라인(A1)의 관로 저항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관로 저항 조절수단(S);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관로 저항 조절수단(S)은
    상기 연료유 혼합관(130)에 설치되어 연료유 혼합관(130)의 유면을 감지하는 혼합관 유면감지기(140);
    제2 연료유 공급라인(A2)에 설치되어 제2 연료유 공급라인(A2)을 통한 연료유 공급량을 조절하는 유량제어밸브(150);
    상기 혼합관 유면감지기(140)의 입력 신호를 통해 유량제어밸브(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160);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유 혼합관(130)은
    상기 각 보일러(301)(302)에서 회수된 연료유를 연료유 펌프(121)(122)에 공급하기 전에 상기 연료유에 포함된 가스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연료유 펌프(121)(122)는 듀티 연료유 펌프(121)와 스탠바이 연료유 펌프(1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160)는 혼합관 유면감지기(1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유량제어밸브(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160)는 혼합관 유면감지기(1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설정 주기적으로 유량제어밸브(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
KR1020130115164A 2013-09-27 2013-09-27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 KR102109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164A KR102109165B1 (ko) 2013-09-27 2013-09-27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164A KR102109165B1 (ko) 2013-09-27 2013-09-27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049A KR20150035049A (ko) 2015-04-06
KR102109165B1 true KR102109165B1 (ko) 2020-05-12

Family

ID=53030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164A KR102109165B1 (ko) 2013-09-27 2013-09-27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1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2339A (zh) * 2015-08-28 2017-03-08 付志权 电加热导热油炉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6934A1 (ja) 2002-08-13 2004-02-26 Isuzu Motors Limited 内燃機関の燃料戻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270B1 (ko) 2008-06-30 2010-04-12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
KR101585417B1 (ko) * 2010-08-23 2016-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차량용 프리필터의 빙결방지 구조
KR101818520B1 (ko) * 2011-07-08 2018-01-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
KR101110015B1 (ko) 2011-09-02 2012-04-18 이엔에프씨 주식회사 선박용 엔진 또는 보일러의 연료공급 및 배출가스 저감 시스템
KR101300712B1 (ko) * 2011-12-05 2013-08-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료유 공급장치 및 그 스위칭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6934A1 (ja) 2002-08-13 2004-02-26 Isuzu Motors Limited 内燃機関の燃料戻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049A (ko) 201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78853A (en) Beverage forming apparatus with centrifugal pump
JP6541543B2 (ja) 中和処理装置
BRPI1007715B8 (pt) equipamento e processo de abastecimento de uma aeronave com combustível
KR101609639B1 (ko) 하이브리드 급수 시스템의 제어방법
MX2018004975A (es) Unidad de bomba, motor y de generador para utilizar con una lavadora a presion.
US9512700B2 (en) Subsea fluid processing system and an associated method thereof
ATE552507T1 (de) System und verfahren zum pipettieren von fluiden, verfahren zum kalibrieren des systems
KR102109165B1 (ko)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
GB201206831D0 (en) Aircraft fuel supply systems
CN205573341U (zh) 循环式稳压流体供应装置
KR102418132B1 (ko) 밸러스트 탱크의 결빙방지 장치
JP2010038018A (ja) 燃焼システム及び燃焼方法
JP2017015642A (ja) ガス検知システム
KR101938012B1 (ko) 선박 엔진용 윤활공급시스템
KR20120100638A (ko) 시추선의 버너 붐 방재용 해수공급장치
WO2008020367A3 (en) A break pressure tank
FR3061362B1 (fr) Systeme electrochimique a pile a combustibl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egulation de pression a deverseur
KR101925402B1 (ko) 폄프라인의 프라이밍 장치
GB201204260D0 (en) An oil fuel supply management system
US11105268B2 (en) Fuel polishing system for test cells
KR102194213B1 (ko) 선박 슬러지 펌프의 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5200466A (ja) 水素ガス利用装置
KR20110019108A (ko) 선박 냉각 시스템용 해수 공급 장치
JP2009287901A (ja) ブースタポンプを持ったボイラ
KR102361521B1 (ko)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