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270B1 -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270B1
KR100952270B1 KR1020080062667A KR20080062667A KR100952270B1 KR 100952270 B1 KR100952270 B1 KR 100952270B1 KR 1020080062667 A KR1020080062667 A KR 1020080062667A KR 20080062667 A KR20080062667 A KR 20080062667A KR 100952270 B1 KR100952270 B1 KR 100952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oil
flow rate
signal
burner
oil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690A (ko
Inventor
손광준
Original Assignee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2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270B1/ko
Publication of KR20100002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2Liquid fuel
    • F23K5/14Details thereof
    • F23K5/16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9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 G05D7/0635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 G05D7/0641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using a plurality of throttling means
    • G05D7/064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using a plurality of throttling means the plurality of throttling means being arranged in ser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9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 G05D7/0635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 G05D7/0641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using a plurality of throttling means
    • G05D7/0652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using a plurality of throttling means the plurality of throttling means being arranged in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를 구비함으로써, 유량계의 불안정한 연료유 유량 신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보일러 연소 불안정 및 과잉 연료 공급에 의한 노내 폭발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은 연료유가 유량계, 비상차단밸브, 유량제어밸브, 연료유 압력계, 복수의 버너차단밸브를 차례대로 통과해 복수의 버너로 공급되어 기동되는 보일러와 연결되며, 상기 유량계의 연료유 유량 신호를 이용해, 상기 보일러의 연료량을 제어하기 위한 연료량 주 제어 신호를 산출하는 연료량 메인 제어 회로부; 상기 유량계의 연료유 유량 신호를 이용해, 상기 버너로 공급되는 연료유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 신호를 산출하는 연료유 유량 제어 회로부; 및 상기 압력계로부터 측정된 연료유 압력값으로부터 하나의 버너에 공급되는 단위 연료유 유량값으로 변환하여 산출하고, 상기 단위 연료유 유량값과 오픈된 버너차단밸브의 개수를 곱해 구해진 총 연료유 유량값에 대한 총 연료유 유량 신호를 구하는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유 유량 신호는 상기 총 연료유 유량 신호로 절환되어, 상기 유량 제어 밸브 신호를 산출하고 상기 유량 제어 밸브 신호를 산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전소, 보일러, 버너, 유량계, 압력계

Description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A system for controlling boiler oil}
본 발명은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를 구비함으로써, 유량계의 불안정한 연료유 유량 신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보일러 연소 불안정 및 과잉 연료 공급에 의한 노내 폭발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발전의 속도가 가속화되면서 전력의 수요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산업의 품질에 크나큰 영향을 주는 전기품질의 향상과 안정적인 전력의 공급이 더욱더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전세계에 걸쳐 수력 발전소, 화력 발전소, 원자력 발전소, 풍력 발전소, 태양열 발전소 등 많은 발전소가 건설되어 전력을 생산하고 있는 바, 그에 따른 안정적인 발전을 위한 발전소의 운영이 중요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전력생산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대용량 석탄 화력 발전소의 안정적인 운전은 매우 중요하다.
대용량 석탄 화력 발전소는 휘발성과 발열량이 높은 연료 유연탄을 주 연료로 사용하며, 별도의 보조연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초기 기동 및 저부하에서 미분기 교체 운전시 연소 안정용으로만 경유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500MW급 표준 석탄화력 보일러의 연료유 공급계통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유조차 및 연료 공급선박으로부터 연료유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오일 저장탱크(1); 저장된 연료유를 오일 공급탱크로 이송하는 오일이송펌프(2: 2A, 2B); 연료유를 보일러로 공급하기 위해 임시 저장하는 오일공급탱크(3); 발전단지의 각 발전기의 연료유 버너 헤더로 연료유를 가압하기 위한 오일 공급펌프(4: 4A, 4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연료유가 각 발전단지(5)의 각 발전기로 공급된다.
각 발전기에 공급되는 연료유는 보일러 제어 시스템에 의해 일정량으로 보일러에 공급된다. 한편, 연료유가 보일러로 공급되는 연료유 공급 경로(연료유 배관)에는 연료유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가 설치된다. 이러한 유량계에 의해 측정된 연료유 유량에 대한 신호(연료유 유량 신호라 함)는 보일러 제어 시스템에 전송되어 보일러의 연소에 대한 정보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연료유 유량 신호는 보일러 연소와 직접 관련되므로 고 신뢰성이 요구된다.
그런데, 현재 사용되는 유량계는 연료유 배관 내부의 흐름을 측정하는 용적식 유량계로, 연료유 배관의 진동 및 전기신호의 외란 등으로 오 신호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하나의 유량계에 의한 하나의 연료유 유량 신호만이 보일러 연소와 관련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유량계가 고장날 경우 보일러 연소에 영향을 주게 된 다. 따라서, 발전소 기동 및 저부하 운전(연료유 연소 중) 시에 연소가 불안정 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 유량계의 다중화 설치가 요구되지만, 설치비용이 많이 들어 경제성이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를 구비함으로써, 유량계의 불안정한 연료유 유량 신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보일러 연소 불안정 및 과잉 연료 공급에 의한 노내 폭발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은 연료유가 유량계, 비상차단밸브, 유량제어밸브, 연료유 압력계, 복수의 버너차단밸브를 차례대로 통과해 복수의 버너로 공급되어 기동되는 보일러와 연결되며, 상기 유량계의 연료유 유량 신호를 이용해, 상기 보일러의 연료량을 제어하기 위한 연료량 주 제어 신호를 산출하는 연료량 메인 제어 회로부; 상기 유량계의 연료유 유량 신호를 이용해, 상기 버너로 공급되는 연료유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 신호를 산출하는 연료유 유량 제어 회로부; 및 상기 압력계로부터 측정된 연료유 압력값으로부터 하나의 버너에 공급되는 단위 연료유 유량값으로 변환하여 산출하고, 상기 단위 연료유 유량값과 오픈된 버너차단밸브의 개수를 곱해 구해진 총 연료유 유량값에 대한 총 연료유 유량 신호를구하는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유 유량 신호는 상기 총 연료유 유량 신호로 절환되어, 상기 유량 제어 밸브 신호를 산출하고 상기 유량 제어 밸브 신호를 산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량계가 고장날 경우, 상기 연료량 메인 제어 회로부는 상기 총 연료유 유량 신호를 이용해 상기 주 제어 신호를 산출하며, 상기 연료유 유량 제어 회로부는 상기 총 연료유 유량 신호를 이용해 상기 유량 제어 밸브 신호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는 상기 유량계가 고장이 나거나, 상기 총 연료유 유량 신호의 총 연료유 유량값과 상기 연료유 유량 신호의 연료유 유량값이 편차기에 의해 15% 이상 편차가 발생한 것을 판단하면, 절환기에 의해 상기 연료유 유량 신호에서 상기 총 연료유 유량 신호로 절환할 수 있다.
상기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는 상기 연료유 유량 신호의 이상시 절환기에 의해 상기 연료유 유량 신호에서 상기 총 연료유 유량 신호로 절환할 수 있다.
상기 연료유 유량 제어 회로부는 상기 연료유 유량값과 연료유 유량 설정치 사이의 연료유 유량 편차값과, 상기 압력계로부터 측정된 연료유 압력값과 연료유 압력 설정치 사이의 연료유 압력 편차값 중 큰 값을 상기 연료유 유량 제어 밸브 신호로 산출하여 상기 유량제어밸브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연료유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료량 메인 제어 회로부는 상기 연료유 유량값과 미분탄 유량값을 합하여 연료의 열량을 구하고, 상기 연료의 열량을 열량 보정값과 곱하여 상기 연료의 총 연료량을 구하고, 상기 총 연료량에 대한 신호와 미리 정해진 보일러 주 제 어 신호를 비교하여 구해진 편차값을 상기 연료량 주 제어 신호로 산출함으로써, 상기 연료량 주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보일러의 연료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은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를 구비함으로써, 압력계와 오픈된 버너차단밸브의 수를 이용해 유량계로부터 측정된 연료유 유량값과 거의 동일한 총 연료유 유량값을 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은 유량계가 고장이 나더라도 총 연료유 유량값을 이용해 보일러의 연료량 및 버너의 연료유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은 연료유 유량값에 대한 연료유 유량 신호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연료계의 불안정한 연료유 유량 신호로 인해 보일러 연소 불안정 및 과잉 연료 공급에 의한 노내 폭발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은 유량계의 추가 설치 비용 없이 연료유 유량 신호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전기적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은 총 연료유 유량값보다 연료 유량값이 적은 경우 버너 끝(Tip) 막힘 등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 석탄 화력 발전소 보일러 연료유 버너 계통 구성을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준 석탄 화력 발전소의 각 발전기로 공급되는 연료유는 유량계(11), 비상차단밸브(12), 유량제어밸브(13), 연료유 압력계(14), 버너차단밸브(20)를 통과하여 버너(30)에 공급된다.
상기 유량계(11)는 발전기의 연료유 버너 헤더로 공급되는 연료유의 유량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상차단밸브(12)는 비상시 연료유를 급히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량제어밸브(13)는 보일러의 출력에 맞게 연료유의 연료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료유 압력계(14)는 연료유의 압력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너차단밸브(20)는 버너(30)에 연료유를 공급 및 차단하는 연료유차단밸브(21a, 21b, 21c, 21d)와, 버너(30)에 분무용 공기를 공급 및 차단하는 1차 공기차단밸브(22a, 22b, 22c, 22d) 및 2차 공기차단밸브(23a, 23b, 23c, 23d)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버너(30)는 4개의 미분탄 버너(31,32,33,34)와, 미분탄 버너 사이에 3층으로 설치된 12개의 연료유 버너(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연료유를 미립화하기 위하여, 분무용 공기가 분무용압력제어밸브(15) 및 공기 압력계(16)를 통과하여 연료유와 함께 혼합되어 버너(20)에서 연소된다.
또한, 연료유가 과도한 압력 또는 과도한 유량으로 버너(30)로 공급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불필요한 연료유 압력계(14)와 연결된 배출밸브(17)를 통과해 연료유 공급 탱크로 이송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연료유 버너 계통을 제어하는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이고, 도 4는 도 3의 연료량 메인 제어 회로부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3의 연료유 유량 제어 회로부의 구성도이고, 도 6은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400)은 연료량 메인 제어 회로부(100), 연료유 유량 제어 회로부(200), 및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30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료량 메인 제어 회로부(100)는 버너(30)에 필요한 연료유와 미분탄의 유량을 이용하여 연료량 주 제어 신호(Sm)를 산출함으로써, 연료량 주 제어 신호(Sm)에 따라 보일러에 필요한 보일러 연료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료량 메인 제어 회로부(100)는 도 2의 유량계(11)로부터 측정되어 신호화된 연료유 유량 신호의 연료유 유량값(Vo)과 미분탄 유량값(Vc)을 덧셈기(111)에 의해 합하여 연료의 열량을 구하고, 연료의 열량을 곱셈기(112)에 의해 열량보정값(Vr)과 곱하여 연료의 총 연료량을 구하고, 연료의 총 연료량에 대 한 신호와 미리 정해진 보일러 주 제어 신호(Sb)를 비교기(113)에 의해 비교하여 구해진 편차값을 연료량 주 제어 신호(Sm)로 산출한다. 이와 같이, 유량계(11)로부터 측정되어 신호화된 연료유 유량 신호는 연료량 주 제어 신호(Sm) 산출에 이용된다. 따라서, 연료유 유량 신호가 유량계(11)의 문제로 불안정하게 되면, 보일러 연소가 불안정하게 되고 및 노내 압력이 급변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료유 유량 제어 회로부(200)는 연료유 유량값(Vo) 및 연료유 압력값(Po)를 이용하여 연료유 유량 제어 밸브 신호(Scv)를 산출하고, 이러한 유량 제어 밸브 신호(Scv)에 따라 연료유 유량 제어 밸브(13)를 동작시켜 연료유의 유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료유 유량 제어 회로부(200)는, 연료유 유량신호의 연료유 유량값(Vo)과 연료유 유량 설정치(Vop)를 비교기(211)에 의해 비교하여 구해진 연료유 유량 편차값과, 도 2의 연료유 압력계(14)로부터 측정되어 신호화된 연료유 압력 신호의 연료유 압력값(Po)과 연료유 압력 설정치(Pop)를 비교기(212)를 이용해 구해진 연료유 압력 편차값을 큰값 설정부(213)를 이용해 비교하여 큰값을 연료유 유량 제어 밸브 신호(Scv)로 산출한다. 여기서, 저부하에서는 연료유 유량의 안정성과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연료유 유량 설정치로 연료유 유량 제어를 하고, 고부하에서는 연료유 압력 설정치를 이용하여 연료유 유량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유량계(11)로부터 측정되어 신호화된 연료유 유량 신호는 연료유 유량 제어 밸브 신호(Scv) 산출에도 이용되기 때문에, 불안정하게 되면 보일러 연소 불안정 및 소화로 이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료유 유량 신호는 보일러 연소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연료유 유량 신호를 발생시키는 도 2의 유량계(11)가 고장이 나게 되면 보일러 연소에 직접적으로 문제가 발생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400)은 도 2의 유량계(11)가 고장이 나더라도 보일러의 연소에 영향이 없도록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300)를 더 구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300)는 도 2의 연료유 압력계(14)에 의해 측정된 연료유 압력값(Po)으로부터 버너(30) 중 1개의 버너에 공급되는 단위 연료유 유량값(Vuo)을 산출하고, 버너(30) 중 점화되어 있는 버너에 연결된 버너차단밸브의 개수(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400)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음)와 단위 연료유 유량값(Vuo)을 곱하여 구해진 총 연료유 유량값(Vto)(실질적으로 유량계(11)로부터 측정되는 연료유 유량값(Vo)과 대략 동일함)을 신호화하여 총 연료유 유량 신호(Sto)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300)는, 절환기(311)를 이용해 버너(30) 중 12개의 연료유 버너(미도시) 가운데 #1 연료유 버너의 버너차단밸브가 닫혀 있으면(클로즈 되면) "0"의 신호를 출력하며, 열려있으면(오픈되면) 단위 연료유 유량값(Vuo)을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300)는, 버너(30) 중 12개의 연료유 버너(미도시) 가운데 #2~12 연료유 버너의 버너차단밸브 각각에 대해서도 #1 연료유 버너의 버너차단밸브의 설정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300)는, 예를 들어 버너(30) 중 12개의 연료유 버너(미도시) 가운데 어느 하나, 즉 #1 연료유 버너의 버너차단밸브 가 열려 있으면 연료유 압력계(14)의 연료유 압력값(Po)을 단위 연료유 유량값(Vuo)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나머지 #2~12 연료유 버너의 버너차단밸브에서 열려진 연료유 버너의 버너차단밸브의 개수와 상기 단위 연료유 유량값(Vuo)값을 곱셈기(312)에 의해 곱하여 구해진 총 연료유 유량값(Vto)을 신호화하여 총 연료유 유량 신호(Sto)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300)는 도 2의 연료유 압력계(14)의 연료유 압력값(Po)과 열려진 버너차단밸브의 수를 이용하여 총 연료유 유량값(Vto)을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도 2의 유량계(11)가 고장이 나서 연료유 유량 신호가 산출되지 않더라도, 상기 연료량 메인 제어 회로부(100)가 연료유 유량 신호(So) 대신 총 연료유 유량 신호(Sto)를 이용해 보일러의 연료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연료유 유량 제어 회로부(200)가 총 연료유 유량 신호(Sto)를 이용해 연료유 유량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300)는 도 2의 연료유 압력계(14)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유량계(11)가 고장이 발생하거나, 편차기(313)에 의해 총 연료유 유량 신호(Sto)의 총 연료유 유량값(Vuo)과 연료유 유량 신호(So)의 연료유 유량값이 15% 이상 편차가 발생함을 확인하면, 절환기(314)에 의해 자동으로 연료유 유량 신호(So)에서 총 연료유 유량 신호(Sto)로 절환하여 보일러의 연료량 및 연료유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300)는 운전 상황을 판단하여 연료유 유량 신호(So)의 이상시 운전원이 수동으로 총 연료유 유량 신호(Sto) 로 절환하여 보일러의 연료량 및 연료유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400)은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300)를 구비함으로써, 연료유 압력계(14)와 오픈된 버너차단밸브의 수를 이용해 유량계(11)로부터 측정된 연료 유량값(Vo)과 거의 동일한 총 연료유 유량값(Vto)을 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400)은 유량계(11)가 고장이 나더라도 총 연료유 유량값(Vto)을 이용해 보일러의 연료량 및 버너의 연료유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400)은 연료유 유량 신호(So)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연료계(11)의 불안정한 연료유 유량 신호로 인해 보일러 연소 불안정 및 과잉 연료 공급에 의한 노내 폭발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400)은 유량계(11)의 추가 설치 비용 없이 연료유 유량 신호(So)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전기적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400)은 총 연료유 유량값(Vto)보다 연료 유량값(Vo)이 적은 경우 버너 끝(Tip) 막힘 등을 간접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400)은 표준 석탄 화력 발전소의 보일러 뿐만 아니라 연료유를 연소하는 모든 보일러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표준화력 발전소의 보일러 연료유 공급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 석탄 화력 발전소 보일러 연료유 버너 계통 구성을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이다.
도 4는 도 3의 연료량 메인 제어 회로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의 연료유 유량 제어 회로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연료량 메인 제어 회로부 200: 연료유 유량 제어 회로부
300: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
400: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

Claims (4)

  1. 연료유가 유량계, 비상차단밸브, 유량제어밸브, 연료유 압력계, 복수의 버너차단밸브를 차례대로 통과해 복수의 버너로 공급되어 기동되는 보일러와 연결된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량계의 연료유 유량 신호를 이용해, 상기 보일러의 연료량을 제어하기 위한 연료량 주 제어 신호를 산출하는 연료량 메인 제어 회로부;
    상기 유량계의 연료유 유량 신호를 이용해, 상기 버너로 공급되는 연료유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 신호를 산출하는 연료유 유량 제어 회로부; 및
    상기 압력계로부터 측정된 연료유 압력값으로부터 하나의 버너에 공급되는 단위 연료유 유량값으로 변환하여 산출하고, 상기 단위 연료유 유량값과 오픈된 버너차단밸브의 개수를 곱해 구해진 총 연료유 유량값에 대한 총 연료유 유량 신호를구하는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유 유량 신호는 상기 총 연료유 유량 신호로 절환되어, 상기 유량 제어 밸브 신호를 산출하고 상기 유량 제어 밸브 신호를 산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계가 고장날 경우, 상기 연료량 메인 제어 회로부는 상기 총 연료 유 유량 신호를 이용해 상기 주 제어 신호를 산출하며, 상기 연료유 유량 제어 회로부는 상기 총 연료유 유량 신호를 이용해 상기 유량 제어 밸브 신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는
    상기 유량계가 고장이 나거나, 상기 총 연료유 유량 신호의 총 연료유 유량값과 상기 연료유 유량 신호의 연료유 유량값이 편차기에 의해 15% 이상 편차가 발생한 것을 판단하면, 절환기에 의해 상기 연료유 유량 신호에서 상기 총 연료유 유량 신호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유 버너 유량 신호 안정화 회로부는
    상기 연료유 유량 신호의 이상시 절환기에 의해 상기 연료유 유량 신호에서 상기 총 연료유 유량 신호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
KR1020080062667A 2008-06-30 2008-06-30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 KR100952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667A KR100952270B1 (ko) 2008-06-30 2008-06-30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667A KR100952270B1 (ko) 2008-06-30 2008-06-30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690A KR20100002690A (ko) 2010-01-07
KR100952270B1 true KR100952270B1 (ko) 2010-04-12

Family

ID=41812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667A KR100952270B1 (ko) 2008-06-30 2008-06-30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2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5049A (ko) 2013-09-27 2015-04-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7031A (ja) * 1995-05-31 1996-12-10 Hitachi Ltd 液状燃料の燃焼システムおよびアトマイザー
JP2002206733A (ja) 2001-01-10 2002-07-26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液体燃料の供給方法および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7031A (ja) * 1995-05-31 1996-12-10 Hitachi Ltd 液状燃料の燃焼システムおよびアトマイザー
JP2002206733A (ja) 2001-01-10 2002-07-26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液体燃料の供給方法および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5049A (ko) 2013-09-27 2015-04-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보일러 연료유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690A (ko)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8027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 изолированного режима работы и для перехода в этот режим
JP3684208B2 (ja) ガスタービン制御装置
JP4564376B2 (ja) Lng利用発電プラントおよびその運転方法
US8532834B2 (en) Method for integrating controls for captive power generation facilities with controls for metallurgical facilities
CN103791485B (zh) 一种火电机组给水系统优化控制方法
Sternfeld et al. A demonstration plant for the hydrogen/oxygen spinning reserve
JP2014126305A (ja) ボイラ制御装置
JP2010276021A (ja) インライン燃料改質を伴うガスタービン燃焼システム並びにその使用方法
JP2007211705A (ja) ガス化複合発電システムにおける空気圧力制御装置
JP2012052785A (ja) 蒸気供給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蒸気供給方法
KR100952270B1 (ko) 보일러 연료유 제어 시스템
JP2008251247A (ja) 燃料電池ガスタービン複合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111981459A (zh) 多种燃料混烧燃煤机组rb工况下的优化控制方法
CN201141615Y (zh) 高比例掺烧高炉煤气燃煤锅炉用高炉煤气供应结构
JP2006210047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7465641B2 (ja) 貫流ボイラの制御装置、発電プラント、及び、貫流ボイラの制御方法
EP211535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fuel gas to a gas-turbine burner
CN110296386B (zh) 一种混烧煤气的燃煤机组fcb工况下的燃料控制方法
KR100834055B1 (ko) 500메가와트급 보일러 연소제어계통 노 내압 안정화 방법
JP6520317B2 (ja) 高炉ガス焚き発電設備における高炉吹き抜け時の制御方法
CN212803349U (zh) 一种适用于孤网二次调频的燃煤机组及自控系统设备
EP2749753A2 (en) Electricity generating gas turbine
Komori et al. Development of Leading Technology for a Low-BTU Gas-firing Gas-turbine Combined-cycle Plant at a Steelworks
Sternfeld Capacity control of power stations by O2H2 rocket combustor technology
KR100784427B1 (ko) 플랜트 안정운전을 위한 연소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