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890B1 -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890B1
KR102108890B1 KR1020180070306A KR20180070306A KR102108890B1 KR 102108890 B1 KR102108890 B1 KR 102108890B1 KR 1020180070306 A KR1020180070306 A KR 1020180070306A KR 20180070306 A KR20180070306 A KR 20180070306A KR 102108890 B1 KR102108890 B1 KR 102108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orean paper
paper
adhesive
korean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2963A (ko
Inventor
김지수
Original Assignee
김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수 filed Critical 김지수
Priority to KR1020180070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890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2Pulp from non-woody plants or crops, e.g. cotton, flax, straw, bagass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22Agents rendering paper porous, absorbent or bulk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19/00Labels, badg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팅처리한 한지의 상면에 코팅층이 형성되고, 한지의 하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피착물에 부착될 수 있는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는, 상하면에 섬유사 간 엉킴에 의해 공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섬유사의 길이가 1 내지 7mm인 한지; 상기 한지의 상면에 형성된 코팅층; 상기 한지의 하면에 형성된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하면에 형성된 이형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가 상기 한지의 하면에 접착 시 상기 공극의 상측으로 침투되어 상기 접착층이 상기 한지의 하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KOREAN PAPER STICK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팅처리한 한지의 상면에 코팅층이 형성되고, 한지의 하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피착물에 부착될 수 있는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전통 생활용품인 종이(한지) 공예품은 대부분 천연 소재로 만들어져 있어서, 플라스틱과같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포함하지 않을 뿐 아니라, 한국 특유의 멋과 분위기를 보여준다. 이에 전통 생활용품 제작 전문가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한국 전통의 멋에 대한 관심과 이를 유지하고 계승하려고 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 전통 생활용품인 종이(한지) 공예품은 아름다움과 섬세함을 포함하고 있고, 그 제작이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좋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제작자가 일정 수준의 기술과 경험을 쌓아야만 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이러한 제품들은 가격이 저렴하지 않아서, 일반 대중이 손쉽게 구입해서 생활용품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장식품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물리적으로 단단한 합지 또는 하드보드 같은 피착물 위에 한지를 붙여서 만드는 종이 공예품들이 전통 생활용품을 대신 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 예를 들어, 전통 다과상은 목수가 여러 개의 나무 부품을 제작하고, 이를 조립하고, 그 위에 칠을 함으로써 완성하였다. 이에 비하여, 종이 다과상은 나무 대신 단단한 합지 또는 하드보드 위에 한지를 접착시키고 한지의 색상이나 문양을 다양하게 제작함으로써, 실제 전통 다과상에서 느낄 수 있는 특유의 멋과 분위기를 그대로 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문양의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합지 또는 하드보드를 다루는 것은 나무를 다루는 것에 비하여 간단한 작업이어서, 일반인들도 제작할 수 있고, 또한 종이 공예품들은 목재나 기타 다른 전통 생활용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편이다.
이러한, 기존의 종이 공예품을 제작하는 과정은 여러가지 부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들어, 종이인 한지를 피착물의 표면에 부착하는 작업은 한지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해 붓과 접착제를 사용하는 등 여러 도구가 필요하므로 번거롭다. 더구나, 본드 같은 접착제는 사용자의 나이 제한이 있을 수 있고, 또한 인체에 유해한 재료가 작업자의 부주의로 피부에 닿을 경우 안전성이 보장되어 있지 않아서, 간접 또는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좋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 제10-0948567호 (한지 라벨용지)는 한지의 상면에 형성된 합성수지층, 한지의 하면에 형성된 합성수지층 및 그 하면에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라벨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제시된 한지 라벨은, 한지의 하면에 형성된 합성수지층이 접착제층의 접착제가 한지에 스며듦을 방지하고 있으므로 접착제층과 한지의 결합력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한지의 상면뿐만 아니라 하면에도 합성수지층이 형성되므로 라벨 제조 공정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이 공예품의 제작 공정을 줄여서 제작 비용을 절감시키고, 접착제와 한지의 결합력을 증가시켜서 종이 공예품의 내구성 및 수명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제품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선행 특허와 같은 스티커형 한지는 한지 고유의 특성뿐 아니라, 한지와 접촉되는 재질, 예를 들어, 코팅제, 접착제, 수지 등등에 따라 스티커 형태의 한지 사용 가능 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의 전체 구조에 따라 한지 그 자체의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48567호(한지 라벨용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를 제작함에 있어 한지와 접착제층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제작 공정을 줄일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는, 상하면에 섬유사 간 엉킴에 의해 공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섬유사의 길이가 1 내지 7mm인 한지; 상기 한지의 상면에 형성된 코팅층; 상기 한지의 하면에 형성된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하면에 형성된 이형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가 상기 한지의 하면에 접착 시 상기 공극의 상측으로 침투되어 상기 접착층이 상기 한지의 하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 제조방법은, 건조된 섬유사의 길이가 1mm 내지 7mm이고, 상기 섬유사 간 엉킴에 의해 상하면에 공극을 형성하도록 한지를 제조하는 (a)단계;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한지의 상면에 코팅제로 코팅하는 (b)단계; 이형지의 상면에 접착층을 형성시켜서 접착 이형지를 형성하는 (c) 단계; 및 상기 이형지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접착층을 상기 한지의 하면에 합지시키는 (d)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지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섬유사의 평균 길이를 1mm 내지 7mm로 제한함으로써 한지는 한지 스티커를 제작하는 최적의 공극을 가진다.
둘째, 한지의 상하면에 코팅층과 접착층만을 형성하므로 제조 공정 및 비용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한지에 형성된 공극으로 코팅제 및 접착제가 침투하므로, 코팅층 및 접착층이 한지에 결합하는 정도가 강하여 슬립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코팅층의 상면에는 문양 인쇄 또는 필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지 스티커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한지를 현미경으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한지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고해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 및 (b)는 각각 섬유사의 평균 길이가 1mm 보다 작은 경우 한지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각각 섬유사의 평균 길이가 7mm 보다 큰 경우 한지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 및 (b)는 각각 섬유사의 평균 길이가 1mm 내지 7mm인 경우 한지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한지의 상하면에 형성된 공극을 통해 코팅제와 접착제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한국 섬유 소재 연구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실시한 시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지 스티커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지 스티커(10)는 코팅층(200), 한지(100), 접착층(300) 및 이형지(4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먼저 제조된 한지(100)를 중심으로 코팅층(200), 접착층(300) 및 이형지(400)가 형성되므로, 우선 한지(100) 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한지(100)의 주원료인 펄프는 일반적으로 닥나무 인피섬유가 사용된다. 천연 닥나무 인피섬유사는 보통 그 길이가 20 ~ 30mm, 길게는 60 ~ 70mm로서, 다른 목재의 섬유사의 길이인 0.7 ~ 1.6mm 보다 길고, 조직이 강하여 질긴 종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목재 펄프의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한지를 현미경으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제조된 한지(100)의 섬유사(110)들은 서로 엉키게 된다. 엉킨 섬유사(110) 간에는 공극(12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공극(120)은 한지(100)의 상하면에 노출된다. 섬유사(110)와 공극(120)은 한지(100)에 많이 형성되어 있으나 도 2에는 일부분만의 섬유사(110)와 공극(120)이 도면부호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섬유사(110)의 정의는 닥나무, 인피섬유와 같은 섬유 재료를 고해기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원하는 길이로 잘게 자른 경우에 만들어지는 낱개의 섬유 가닥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한지(100)의 상하면에 형성된 공극(120)은 서로 연통될 수 있고, 결국 한지(100)의 상하방향으로 연결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한지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고해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지(100)의 재료인 펄프는 한지(100)를 제조함에 있어 적당한 크기로 절단되는데, 이를 고해과정이라 한다. 고해과정은 고해기(20)를 통해 기계적으로 수행된다. 고해기(20)는 섬유사(110)를 자르는 회전날(24), 회전날(24)을 회전시키는 모터(26) 및 이들을 수용하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22)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사(110)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간의 회전날(24)에 의해 절단된다. 이러한 고해기(20)의 운전시간 및/또는 회전날(24)의 속도는 완제품인 한지(100)에 포함된 섬유사(110)의 평균 길이를 결정하게 된다.
섬유사(110)의 평균 길이는 공극(120)의 크기, 한지 표면의 요철 및 한지(100)의 밀도를 결정한다. 섬유사(110)의 평균 길이가 짧으면 공극(120)의 크기가 작아져 한지(100)의 밀도가 증가하고, 반대로 섬유사(100)의 평균 길이가 길면 공극(120)의 크기가 커져 한지(100)의 밀도가 작아지게 된다. 또한, 섬유사(110)의 평균 길이가 증가하면 한지 표면의 요철의 최저점과 최고점의 격차가 증가한다, 아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사(110)의 평균 길이는 1mm 내지 7mm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공극(120)의 크기와 단위면적당 공극의 숫자가 결정된다.
도 4의 (a) 및 (b)는 각각 섬유사의 평균 길이가 1mm 보다 작은 경우 한지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평면 위에 액체를 한지 위에 소량 떨어트리고,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 한지 윗면을 찍은 사진으로, 한지의 액체 흡수력에 관련된 정보를 보여준다. 섬유사(110)의 평균 길이가 1mm 보다 작은 한지(100)는 그 밀도가 커지게 된다. 또한, 공극의 크기나 단위면적당 숫자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한지(100)의 윗면에 있는 액체가 액체의 표면장력으로 인해 한지(100) 내로 원활하게 흡수되지 않는다. 같은 원리로, 섬유사(110)의 평균 길이가 1mm 보다 작으면 접착제(310)가 한지(100)의 공극(120)을 침투하기 어렵게 되고, 접착제가 한지의 밑면에 있는 섬유사의 일부에만 접착이 되므로, 결국 한지(100)와 접착층(300)과의 접착력은 접착제가 한지의 공극에 침투된 경우에 비해 떨어진다.
도 4의 (b)는 한지의 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 한지 윗면을 찍은 사진이다. 섬유사(110)의 평균 길이가 1mm 보다 작으면 접착제(310)를 한지(100)의 표면에 도포 시, 한지의 밑면에 돌출된 일부 섬유사(110)만 접착제(310)와 달라붙게 되고, 접착제가 한지 사이의 공극으로 침투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한지(100)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므로, 접착제가 한지 전면에 균일하게 접착되지 못하므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지에 주름이 (뒤틀림 또는 우는 현상) (P)이 나타난다.
도 5의 (a) 및 (b)는 각각 섬유사의 평균 길이가 7mm 보다 큰 경우 한지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섬유사(110)의 평균 길이가 7mm 보다 큰 한지(100)는 그 밀도가 작아지게 되고, 한지의 공극의 크기와 단위 면적당 공극의 숫자가 증가한다. 도 5 의 (a)는 한지 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 한지의 윗면을 찍은 사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극의 크기와 단위 면적당 공극의 숫자가 과도하게 크면, 접착제의 일부가 한지의 윗면까지 침투하게 되고, 이러한 침투가 한지에 균일하게 되지 않을 경우, 한지의 색깔이 부분적으로 바뀌어지는 현상, 즉, 얼룩(S)이 발생하게 된다.
도 5 의 (b)는 한지 윗면에 투명한 코팅층을 도포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뒤에 한지의 윗면을 찍은 사진이고, 도 5의 (b)에 있는 하얀색 점들은 기포(P)를 나타낸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사(110)의 평균 길이가 7mm 보다 크면 한지(100)의 표면에 섬유사(110)의 요철이 증가하여 한지(100)의 표면과 이에 접촉되는 코팅층(200) 또는 접착층(300) 사이에 기포(P)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섬유사(110)의 요철이 증가할수록 한지(100) 밖으로 튀어나온 섬유사만 코팅층(200) 또는 접착층(300)에 접촉하고, 한지(100) 내로 들어간 섬유사(110)는 코팅층(200) 또는 접착층(300)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접촉하지 않은 섬유사(110)로 인해 한지(100)의 표면과 코팅층(200) 또는 접착층(300) 사이에 빈 공간(기포)이 생기기 때문이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각각 섬유사의 평균 길이가 3.5 mm 인 경우 한지의 표면에 나타나는 현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한지 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 한지의 윗면을 찍은 사진이다. 도 4의 (b)와 비교해 볼 때, 도 6의 (a)에는 한지(100)의 표면에 주름 (우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도 5의 (a)와 비교해 볼 때, 접착제에 의한 얼룩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도 6의 (a)는, 섬유사의 길이가 3.5mm 인 경우, 접착제가 한지 밑면에 균일하게 접착됨을 보여준다. 도 6의 (b)는 한지 윗면에 액체를 소량 떨어트리고,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 한지의 윗면을 찍은 사진이다. 도 4의 (a)와 비교해 볼때,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지(100)의 내의 공극을 통해 한지 내로 액체가 잘 흡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b)는, 섬유사의 길이가 3.5mm 인 경우, 접착제가 한지 공극 내부로 균일하게 침투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도 4(a) -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지와 접착제의 균일한 접착은 섬유사의 길이에 좌우되고, 섬유사의 평균 길이가 1mm 내지 7mm인 경우 (좀더 좁게는 2mm 내지 4mm인 경우), 접착제가 공극으로 침투하여, 한지가 접착제에 균일하게 접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접착제가 공극으로 침투하되, 섬유사의 평균 길이가 1mm 내지 7mm인 경우, 공극의 크기와 단위면적당 공극의 숫자가 적절하게 형성되어서 얼룩을 방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티커형의 한지의 경우, 한지와 접착층 간의 접착성, 한지 표면이 요철형상이 아닌, 평활도가 높은 특성을 가질 때, 불량없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코팅층(200)은 코팅제(21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제(210)의 종류로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서 아크릴 수지, PU, PP, PE, PVC, PET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코팅제(210) 또는 코팅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코팅제(210)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코팅제(210)에 의해 코팅층(200)이 형성되면 한지(100)의 상면은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므로 한지(100) 특유의 미감을 수요자가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코팅층(200) 상에 그림, 모양 등 문양 인쇄 또는 필기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코팅층 위에 잉크로 인쇄 또는 필기를 할 때, 잉크가 한지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기존 한지의 보풀로 인해 한지에 직접 인쇄가 원활히 되지않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한지 표면을 코칭함으로써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좀더 정교한 인쇄 또는 필기가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지의 상면에는 코팅층(200)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접착층(30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지의 상하면에 형성된 공극(120)을 통해 코팅제(210)와 접착제(310)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제(210)는 한지(100)의 상면에서 공극(120)으로 침투되어 하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공극(120)으로 침투된 코팅제(210)에 의해 코팅층(200)이 형성되면 한지(100)의 상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제작된 한지는 한지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 공극 (232) 이 형성될 수 있고, 일부는 한지의 상면부에만 (234) 혹은 한지의 하면부에만 (236) 비관통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코팅제(210)는 한지 상면부의 일부가 비관통 공극(234)일 경우, 비관통 공극 전체 깊이까지 침투되어 형성될 수 있고, 한지 상면부의 일부가 관통 공극(232)일 경우, 관통 공극 전체 깊이까지 침투되어 형성될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공극 일부 깊이까지만 침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이후, 한지 하면에 접착되는 접착제(310)가 한지의 하면에서 상면으로 침투되어 접착력을 높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한지 하면에 접착되는 접착제와 한지간의 접착력이 충분히 확보될 경우, 코팅제(200)는 한지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 공극을 통하여 한지의 하면 방향으로 침투되어 한지 하면의 공극 끝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300)는 접착제(31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310)는 아크릴 수지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티커 제작에 사용되는 다양한 접착제(310)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310)는 고형의 접착시트(필름)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제(310)는 액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7를 참조하면, 접착제(310)는 한지(100)의 하면에서 공극(120)으로 침투되어 상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다만, 상측방향으로 이동한 접착제(310)는 한지(100)의 상면에 형성된 코팅층(200)에 막혀 이동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한지(100)의 상면에 얼룩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공극(120)으로 침투된 접착제(310)에 접착층(300)이 형성되면 접착층(300)이 한지(100)의 하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극(120)이 한지(100)의 상하면을 연통하는 연결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한지(100)의 상면에 형성된 공극(120)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한 코팅제(210)와 한지(100)의 하면에 형성된 공극(120)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한 접착제(310)는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접착층(300)은 한지(100)의 상하방향으로의 접착력이 증가하므로, 접착층(300)이 한지(100)의 하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더욱 방지된다.
상기 이형지(400)와 한지(100)의 하면은 접착층(3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접착된다. 이형지는 접착층으로부터 비교적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며, 사용자가 접착층으로부터 이형지(400)를 제거하면 접착층(300)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노출된 접착층(300)의 하면은 한지 공예품, 문구류, 벽지, 포장지 등 다양한 피착물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실시예에 의하면, 한지(100)를 피착물에 부착하기 위해 붓을 사용하여 한지(100)의 하면에 접착제(310)를 도포하는 종래의 방식보다 간편하게 피착물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접착제를 피착물에 직접 바르는 종래의 과정이 없으므로, 사용이 간단하고 안전성이 증가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한지의 윗면에만 코팅층이 형성되어있다. 반면, 앞서 설명한 한국 등록특허 제10-0948567호 (한지 라벨용지)는 한지의 상면에 형성된 합성수지층, 한지의 하면에 형성된 합성수지층 및 그 하면에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라벨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48567호 제시된 한지 라벨은, 한지의 하면에 형성된 합성수지층이 접착제층의 접착제가 한지에 스며듦을 방지하고 있으므로 접착제층과 한지의 결합력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한지의 상면뿐만 아니라 하면에도 합성수지층이 형성되므로 라벨 제조 공정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한지의 밑면에만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국 등록특허 제10-0948567호 제시된 한지 라벨에 비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한지와 접착제층과의 결합력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 제조방법은 건조된 섬유사의 길이가 1mm 내지 7mm이고, 상기 섬유사 간 엉킴에 의해 상하면에 공극을 형성하도록 한지를 제조하는 (a)단계;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한지의 상면에 코팅제로 코팅하는 (b)단계; 이형지의 상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c) 단계; 및 상기 이형지의 상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상기 한지의 하면에 합지시키는 (d)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한지(100)를 제조하는 (a)단계가 수행된다(S10). 한지(100)는 일반적으로 원료채취, 삶기, 헹굼, 고해, 해리, 탈수, 건조, 도침, 염색 등의 과정을 거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의 제조방법은 (a)단계의 고해과정을 거쳐 건조된 완제품인 한지의 섬유사(110)의 길이가 1mm 내지 7mm가 되도록 고해기의 운전시간 및/또는 회전날의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단계에서 제조된 한지(100)의 상면에 코팅제(210)로 코팅하는 (b)단계가 수행된다(S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200)은 코팅제(210)로 구성된 코팅시트로 제작된다. 이러한 코팅시트는 한지(100)의 상면에 열압착 방식으로 접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코팅층(200)은 액상의 코팅제(210)를 한지 표면에 분사해서 코팅층(200)을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이형지(400)의 상면에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c)단계, 즉 접착 이형지 형성 단계가 진행된다(S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300)은 접착제(310)로 구성된 접착시트를 이형지에 접착시키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접착층(300)은 액상의 접착제(310)를 이형지에 분사시키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형지(400)의 상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한지(100)의 하면에 합지시키는 (d) 단계가 수행된다(S40). 이 과정에서 접착층(300)이 한지(100)와 평행한 방향으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착제(310)가 한지의 하면에 형성된 공극(120)으로 침투시키기 위해 접착시간 또는 압착기의 가열온도 등이 조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roller 를 이용하여 한지와 이형지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한지에 접착층을 부착시킬 수 있고, 접착제의 물질에 따라 60 ~ 80 oC 의 온도에서 일정시간 가열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극(120)을 통해 한지(100)의 하측방향으로 침투된 코팅제(200)와 한지(100)의 상측방향으로 침투된 접착제(300)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도 9는 한국 섬유 소재 연구원에서, 도 1에 도시된 층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실시한 시험 결과이다. 도 9에서 실시예로 사용된 코팅제는 실리콘을 액상으로, 대략 20~30㎛의 두께로 도포되었고, 사용된 한지는 섬유장의 평균 길이가 3.5mm이고, 사용된 접착제는 수성 아크릴로써 대략 15 ~20㎛를 갖는다. 실험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등급은 최저 1 등급에서 최고 5 등급으로 매겨지며, 도 9에는 세가지 물리적 특성에 관한 결과를 나타낸다. 일광견뢰도는 햇볕에 의한 변색에 대한 내구성을 보여주는데, 본 발명의 경우, 4 등급의 양호한 내구성을 보여준다. 마찰견뢰도는 마찰에 대한 내구성을 보여주는데, 본 발명의 경우, 건조한 상태에서는 4-5 등급을, 그리고, 습한 상태에서는 3-4 등급의 비교적 양호한 내구성을 보여준다. 발수도는 수분이 한지 위의 코팅층을 투과해서 한지 내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내구성을 보여주는데, 본 발명의 경우 4 등급의 양호한 발수도를 보여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 : 한지 스티커 20 : 고해기
22 : 하우징 24 : 회전날
100 : 한지 110 : 섬유사
120 : 공극 200 : 코팅층
210 : 코팅제 300 : 접착층
310 : 접착제 400 : 이형지

Claims (10)

  1. 상하면에 섬유사들 간 엉킴에 의해 공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섬유사들의 평균길이가 3.5mm인 한지;
    상기 한지의 상면에 형성되고, 투명한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코팅층;
    상기 한지의 하면에 형성되고, 고형의 접착시트로 이루어진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하면에 부착된 이형지를 포함하고,
    상기 공극은 관통 공극 및 비관통 공극을 갖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한지의 상면에 형성된 비관통 공극 전체 깊이 걸쳐 형성되고, 상기 한지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극 전체 깊이 중 일부에 형성되는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상기 한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공극으로 침투되어서 상기 코팅층을 구성하는 코팅제와의 접촉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 상에 인쇄 또는 필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상기 한지의 하면에 접착 시 상기 공극의 상측으로 침투되어 상기 접착층이 상기 한지의 하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70306A 2018-06-19 2018-06-19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8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306A KR102108890B1 (ko) 2018-06-19 2018-06-19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306A KR102108890B1 (ko) 2018-06-19 2018-06-19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963A KR20190142963A (ko) 2019-12-30
KR102108890B1 true KR102108890B1 (ko) 2020-05-11

Family

ID=69103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306A KR102108890B1 (ko) 2018-06-19 2018-06-19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8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925B1 (ko) 2005-12-31 2007-05-30 안치용 복사기 또는 인쇄기 출력용 한지의 제조방법
KR100948567B1 (ko) * 2007-12-31 2010-03-18 한국폼텍 주식회사 한지(韓紙)제(製) 라벨용지(用紙)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666A (ko) * 2002-01-10 2003-07-16 최승팔 장식용 창호지
KR20110043909A (ko) * 2009-10-22 2011-04-28 설진영 한지 스티커 제조방법
KR101202080B1 (ko) * 2009-10-29 2012-11-15 정형근 입체무늬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75618B1 (ko) * 2012-06-15 2014-03-20 한국세라믹기술원 이중 기공 구조를 갖는 비소성 경량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925B1 (ko) 2005-12-31 2007-05-30 안치용 복사기 또는 인쇄기 출력용 한지의 제조방법
KR100948567B1 (ko) * 2007-12-31 2010-03-18 한국폼텍 주식회사 한지(韓紙)제(製) 라벨용지(用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963A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4674B1 (en) Substrate for wallboard joint tape and process for making same
JP5840624B2 (ja) 明色表面層
JP6910799B2 (ja) ベニヤ要素の製造方法
US4158713A (en) Composition board with improved polymeric skin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CN106457781A (zh) 生产单板部件的方法以及此类单板部件
EP3254848B1 (fr) Revetement de sol comprenant un decor imprime par jet d'encre
CA2564505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e papier decoratif et stratifie decoratif comportant un tel papier decoratif
US2605205A (en) Protective overlay sheets and process of preparing same
KR102108890B1 (ko) 한지를 포함하는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56824B1 (ko) 나노섬유로 형성된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바닥재 및 그제조방법
KR101969649B1 (ko) 한지-멜라민 보드의 제조방법
KR101749428B1 (ko) 맥간공예용의 맥간시트의 제조방법
KR100616783B1 (ko) 수지 함침지 배접 무늬목 판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0544406B1 (ko) 기능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배접지로 사용한 천연 무늬목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05386359A (zh) 夹心纸的制作方法
KR200347400Y1 (ko) 천 또는 직물이 부착된 기능성 화장판
KR20100081780A (ko)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JP2009202376A (ja) 繊維板および化粧材の製造方法
US7541301B2 (en) Composite paper for embroidering, printing, foil coating and embossing on a same surface
CN203957048U (zh) 一种饰面胶合板
CN209099064U (zh) 一种面料植绒水转印纸
KR100997322B1 (ko) 배접층 상에 접착된 목분 형성 층을 갖는 마감장식보오드의 구조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
KR101019890B1 (ko) 상감 배치 무늬를 갖는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 및제조방법
JP3905792B2 (ja) 化粧板の製造方法
CN105034093A (zh) 一种实木门制作过程中的压贴木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