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544B1 -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544B1
KR102108544B1 KR1020180096723A KR20180096723A KR102108544B1 KR 102108544 B1 KR102108544 B1 KR 102108544B1 KR 1020180096723 A KR1020180096723 A KR 1020180096723A KR 20180096723 A KR20180096723 A KR 20180096723A KR 102108544 B1 KR102108544 B1 KR 102108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track
monitoring system
lin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222A (ko
Inventor
장승호
홍지영
정우태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96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5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vehicle trains
    • B61L23/06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vehicle trains for warning men working on the rout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은, 이동체에 의해 선로 상을 이동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이동 모드 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선로 상에 배치되며, 감지 모드 시, 상기 몸체부가 상기 선로 상에서 이탈되어 열차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로(railway line)라 함은 노반, 궤도, 교량, 터널은 물론 역의 시설과 신호설비 및 전기운전을 하는 경우의 전차선로까지 포함하여 열차가 운행되는데 사용되는 통로로서 필요한 일체의 설비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이러한 선로는 열차가 항시 최적의 상태에서 운행되도록 함으로써 열차 운행의 정시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일정 기간마다 정기적으로 혹은 이상 발견시마다 유지보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작업자가 선로변에서 선로의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당해 선로의 유지보수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로부터 전방 혹은 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장소에 감시자를 배치하고, 열차의 진입시 그 감시자가 열차의 진입을 확인하여 깃발, 경광등, 혹은 무전기 등을 이용하여 원격의 선로변 작업자에게 경고함으로써, 선로변 작업자는 수행중이던 작업을 일시 중단하고 미리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감시자에 의해 열차의 진입을 감지 및 경고하게 되면, 선로의 유지보수에 힘써야할 작업자 중 1인 이상을 감시자로 이용해야 하므로, 인력의 낭비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감시자의 감시소홀이나, 열차 진입 감지의 오류, 혹은 열차 진입 감시의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선로변 작업자가 미리 대피하지 못하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주변 소음이 심한 장소나 야간 시 등에 더욱 심각해 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현재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수많은 연구 및 개발이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로 위 또는 주변에서 선로 또는 시설물의 유지보수 등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예상하지 못한 철도 차량 통과로 인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철도차량의 운행을 감시할 수 있는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은, 이동체에 의해 선로 상을 이동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이동 모드 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선로 상에 배치되며, 감지 모드 시, 상기 몸체부가 상기 선로 상에서 이탈되어 열차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 모드 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선로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선로 상에 고정시킨 후, 상기 몸체부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선로 상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열차의 진입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열차의 진입에 상관없이 상기 열차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체는, 두 개의 라인으로 형성되는 상기 선로 중 하나의 라인에만 배치되어 이동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 모드 시, 상기 선로의 하나의 라인의 상면과 양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 모드 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선로의 측면 중 외곽 방향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선로의 상기 외곽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선로의 상기 외곽으로 이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선로의 상기 외곽 방향의 측면에 고정 시 자력을 사용하고, 상기 몸체부는, 회전 시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을 바라보는 일단에 상기 열차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체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선로의 하나의 라인의 상면을 둘러싸도록 횡단면이 눕혀진 'I'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감지 모드 시 상기 몸체부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선로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모드 시,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이동체는, 상기 선로의 상면을 이동하는 제1 이동체와 상기 선로의 내곽 방향의 측면을 이동하는 제2 이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선로의 상기 외곽 방향의 측면을 이동하는 제3 이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 모드 시 내부에 보관되고, 상기 감시 모드 시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선로의 상기 외곽 방향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은, 휴대가 쉽도록 작고 가볍게 제작이 가능하며, 작업자가 작동하는 부분은 간단하게 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활용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은, 자동으로 이동하고 감시하며 경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추가적인 안전 요원이 먼거리를 이동하는 수고와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인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은, 터널 또는 교량 위와 같이 기존의 안전 요원이 대피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적용될 수 있어 안전 요원의 투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 후 작동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 후 작동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 후 작동되는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의 하부 부품에서 고정부가 작동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 후 작동되는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 후 작동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 후 작동되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 후 작동되는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의 하부 부품에서 고정부가 작동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10)은, 몸체부(11), 고정부(12) 및 연결부(13)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10)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몸체부(11)는, 고정부(12)와 연결되어 이동체(111,112)에 의해 선로(R) 상을 이동한다.
몸체부(11)는, 가로로 연장형성되는 상면과 상면에서 지면방향으로 수직하게 세로로 연장형성되는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즉, 몸체부(11)는, 횡단면이 'ㄱ'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은 선로(R)의 상면과 대면하고 측면은 선로(R)의 내곽 측면과 대면할 수 있다.
몸체부(11)는, 상면에 제1 이동체(111)를 형성하여, 제1 이동체(111)가 선로(R)의 상면을 이동하도록 하고, 측면에 제2 이동체(112)를 형성하여 선로(R)의 내곽 측면을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제2 이동체(112)는, 후술할 고정부(12)의 제3 이동체(113)와 함께 선로(R)의 양측을 이동하면서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의 좌우를 고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은 선로(R) 이동 간에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여기서 몸체부(11)는, 제1 이동체(111) 및 제2 이동체(112)를 복수 개 형성할 수 있고 제1 이동체(111) 사이에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동체(111,112)는, 일례로 휠(wheel)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별도의 동력원을 통해서 구동되어 선로(R)를 이동할 수 있다.
보통 선로(R)는 두 개의 라인(열)으로 형성되는데, 제1 이동체(111)는, 선로(R) 중 하나의 라인에만 배치되어 선로(R)를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기술한 제1 및 제2 이동체(111,112)의 형태는, 이동 모드 시의 형태이며 감지 모드 시에는 선로(R)에서 이탈되므로 선로(R)를 대면하지 않는다.
몸체부(11)는, 이동 모드 시 선로(R) 상에 배치되고, 감지 모드 시 선로(R) 상에서 이탈되어 열차(O)의 진입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1)는, 상면의 일단부에 고정부(1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 모드 시에는 선로(R) 상에 배치(선로(R)의 상면과 내곽 측면을 둘러싸도록)되고, 감지 모드 시에는 선로(R) 상에서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 모드 시에 열차(O)의 바퀴(T)가 선로(R) 상에 진입하더라도 별도의 조작없이 파손되지 않고 열차(O)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다.
몸체부(11)는, 측면의 단부에 감지체(1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1)는, 회전 시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을 바라보는 일단에 열차(O)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체(113)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체(113)는, 갭 센서, 적외선 센서 등 물체 감지 센서일 수 있으며, 열차(O)가 통과하는 지를 감지할 수 있고, 열차(O)의 통과여부에 대해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선로(R)를 점검하는 작업자(도시하지 않음)에게 알릴 수 있다.
감지체(113)는, 갭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이 아닌 진동 센서 또는 변위 센서일 수 도 있다.
몸체부(11)는, 감지 모드 시 고정부(12)로부터 선로(R)의 외곽 방향으로 회전하여 선로(R)의 외곽으로 이탈할 수 있다.
고정부(12)는, 몸체부(11)와 연결된다.
고정부(12)는, 몸체부(11)의 상면의 일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후술할 연결부(13)에 의해 몸체부(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고정부(12)는, 선로(R)의 외곽 측면을 대면하도록 형성되며 제3 이동체(121) 및 제1 고정체(122)와 제2 고정체(1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이동체(121)는, 선로(R)의 외곽 측면을 이동할 수 있으며, 일례로 휠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체(122)와 제2 고정체(123)는, 자력을 가진 물질로 형성되어 고정부(12)에서 선로(R)의 외곽 측면에 대면하는 면에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체(122)와 제2 고정체(123)는, 이동 모드 시 고정부(12)에 인입되어 고정부(12) 내부에 보관될 수 있고, 감시 모드 시 고정부(12)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어 즉, 내부에서 선로(R)의 외곽 측면 방향으로 인출되어 자력을 이용해 선로(R)의 외곽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체(122)와 제2 고정체(123)는, 일례로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일 수 있다.
고정부(12)는, 감지 모드 시 선로(R)의 외곽 측면에 고정되어 몸체부(11)를 선로(R) 사에 고정시킨 후, 몸체부(11)가 고정부(12)로부터 회전되어 선로(R)에서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1)와 고정부(12)의 구조를 통해서 본 발명은 열차(O)의 진입에도 별도의 조치없이 그리고 파손없이 진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정부(12)는, 이동 모드 시에나 고정 모드 시에나 선로(R)의 외곽 측면에 대면하도록 형성되며, 이동 모드 시에는 몸체부(11)와 함께 형성하는 횡단면이 선로(R)의 하나의 라인의 상면과 선로(R)의 양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눕혀진 'ㄷ'자 형상일 수 있고, 감시 모드 시에는 몸체부(11)와 함께 형성하는 횡단면이 기울어진 'W'의 형상일 수 있다.
연결부(13)는, 몸체부(11)와 고정부(12)를 연결하며, 몸체부(11)가 고정부(12)에 대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연결부(13)는, 몸체부(11)의 상면의 일단부와 고정부(12)의 상측 단부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3)는, 동력원(13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32) 상에 형성되는 전달체(133)가 고정부(12)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고, 피동체(134)가 몸체부(11)의 상면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동력원(131)은, 연결부(13)가 몸체부(11)를 고정부(12)로부터 회전시키도록 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며 회전축(132)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축(132)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동력원(131)은, 일례로 모터일 수 있다.
전달체(133)는, 회전축(132) 상에 형성되어 회전축(132)의 회전과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피동체(134)를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전달체(133)는, 피동체(132)와 서로 맞물리는 기어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달체(133)의 회전에 의해 피동체(132)가 회전하여 피동체(132)와 연결된 몸체부(11)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연결부(13)는 경첩의 운동방식과 유사하게 몸체부(11)와 고정부(12)를 연결하여 몸체부(11)와 고정부(12)가 서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을 토대로 상기 기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의 감지 모드 시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 후 작동되는 작동도이다.
도 6의 (a)를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은, 선로(R)를 이동하여 열차(O)의 진입을 감시하려 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동 모드)
즉, 작업자는 선로(R) 상에서 작업을 시작할 경우, 작업 시작 전에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을 선로(R) 상에 배치시켜 열차(O)의 진입을 감시하려 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도 6의 (b)를 보면,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이 원하는 열차(O) 진입 감지 위치에 도달한 경우,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은, 감지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은, 고정부(12)에서 제1 및 제2 고정체(122,123)를 인출시켜 선로(R)의 외곽 측면을 자력으로 고정시킨다.
도 6의 (c)를 보면,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은, 연결부(13)에서 동력원(131)의 가동을 통해서, 몸체부(11)를 선로(R)의 외곽 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부(11)가 선로(R)를 이탈할 때까지 회전시키고 몸체부(11)의 감지체(113)가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을 항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은, 감지체(113)를 통해서 열차(O)의 진입 여부를 감지한다.
도 6의 (d)를 보면, 열차(O)가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이 위치한 곳으로 진입하게 되고, 이때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은, 감지체(113)를 통해서 열차(O)의 진입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선로(R) 상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에게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하게 된다.
작업자는 별도의 경보 모듈을 구비하여 항시 지니고 있거나, 또는 별도의 경보 모듈을 근처에 배치시킬 수 있고, 이러한 경보 모듈은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의 감지체(113)에서 감지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아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이 완료되면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철수 신호를 보내어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이 작업자에게 돌아올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의 하측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 후 작동되는 작동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20)은, 몸체부(21), 고정부(22) 및 연결부(23)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20)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하기 기술하는 구성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10)에서 기술한 구성과 대치되는 경우, 하기 기술하는 구성에 우선하며, 그 외의 구성 및 작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10)에서 기술한 구성 및 작동과 동일함을 주지바란다.
즉, 하기 기술하는 구성들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20)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10) 대비 차이점을 기술하는 것이다.
몸체부(21)는, 고정부(22)와 연결되어 이동체(211)에 의해 선로(R) 상을 이동한다.
몸체부(21)는, 'ㄷ' 자로 형성되어 일측면은 이동체(211)를 회전시키는 동력원(P)을 수용하는 동력체(212)가 형성되고, 타측면은 고정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체(211)는, 선로(R)의 하나의 라인의 상면을 둘러싸도록 횡단면이 눕혀진 'I'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선로(R)의 하나의 라인의 횡단면은 세워진 'I'자 형태를 가진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과 달리 이동체(211)를 몸체부(21)의 상면에만 구비하더라도 선로(R) 상의 이동 시 좌우의 흔들림없이 안정감이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동력체(212)는, 이동체(211)를 회전시키는 동력원(P)을 내부에 수용하며, 열차(O)의진입을 감지하는 감지체(21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2)는, 몸체부(21)와 연결부(23)를 통해 연결되며, 감지 모드 시 몸체부(21)로부터 회전되어 선로(R)의 외곽방향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22)는 선로(R)의 외곽방향 측면에 고정 시, 자력 등의 방식으로 선로(R)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을 토대로 상기 기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의 감지 모드로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 후 작동되는 작동도이다.
먼저 도 10을 살피기 전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은, 선로(R)를 이동하여 열차(O)의 진입을 감시하려 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동 모드)
즉, 작업자는 선로(R) 상에서 작업을 시작할 경우, 작업 시작 전에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을 선로(R) 상에 배치시켜 열차(O)의 진입을 감시하려 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이 원하는 열차(O) 진입 감지 위치에 도달한 경우,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은, 감지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도 10의 (a)를 보면,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은, 감지 모드 수행 시 고정부(22)를 몸체부(21)로부터 분리시켜, 고정부(22)가 선로(R)의 외곽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도 10의 (b)를 보면,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은 고정부(22)가 선로(R)의 외곽방향에 맞닿을 때까지 회전시키며, 고정부(22)를 선로(R)의 외곽방향 측면에 자력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시킨다.
도 10의 (c)를 보면,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은, 고정부(22)가 선로(R)의 외곽방향 측면에 고정된 후 몸체부(21)가 선로(R)를 이탈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0의 (d)를 보면,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은, 몸체부(21)가 몸체부(21)의 감지체(213)가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을 항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은, 감지체(213)를 통해서 열차(O)의 진입 여부를 감지한다.
열차(O)가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이 위치한 곳으로 진입 시,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은, 감지체(213)를 통해서 열차(O)의 진입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선로(R) 상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에게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하게 된다.
작업자는 별도의 경보 모듈을 구비하여 항시 지니고 있거나, 또는 별도의 경보 모듈을 근처에 배치시킬 수 있고, 이러한 경보 모듈은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의 감지체(213)에서 감지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아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이 완료되면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철수 신호를 보내어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이 작업자에게 돌아올 수 있도록 한다.
종합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10,20)은, 휴대가 쉽도록 작고 가볍게 제작이 가능하며, 작업자가 작동하는 부분은 간단하게 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활용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10,20)은, 자동으로 이동하고 감시하며 경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추가적인 안전 요원이 먼거리를 이동하는 수고와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인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10,20)은, 터널 또는 교량 위와 같이 기존의 안전 요원이 대피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적용될 수 있어 안전 요원의 투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11: 몸체부
111: 제1 이동체 112: 제2 이동체
113: 감지체 12: 고정부
121: 제3 이동체 122: 제1 고정체
123: 제2 고정체 13: 연결부
131: 동력원 132: 회전축
133: 전달체 134: 피동체
20: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21: 몸체부
211: 이동체 212: 동력체
213: 감지체 22: 고정부
23: 연결부 H: 홀
R: 선로 T: 열차 바퀴
O: 열차 P: 동력원

Claims (9)

  1. 이동체에 의해 선로 상을 이동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이동 모드 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선로 상에 배치되며,
    감지 모드 시, 상기 몸체부가 상기 선로 상에서 이탈되어 열차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드 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선로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선로 상에 고정시킨 후, 상기 몸체부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선로 상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열차의 진입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열차의 진입에 상관없이 상기 열차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두 개의 라인으로 형성되는 상기 선로 중 하나의 라인에만 배치되어 이동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 모드 시, 상기 선로의 하나의 라인의 상면과 양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드 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선로의 측면 중 외곽 방향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선로의 상기 외곽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선로의 상기 외곽으로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선로의 상기 외곽 방향의 측면에 고정 시 자력을 사용하고,
    상기 몸체부는, 회전 시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을 바라보는 일단에 상기 열차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선로의 하나의 라인의 상면을 둘러싸도록 횡단면이 눕혀진 'I'자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감지 모드 시 상기 몸체부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선로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드 시,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이동체는, 상기 선로의 상면을 이동하는 제1 이동체와 상기 선로의 내곽 방향의 측면을 이동하는 제2 이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선로의 상기 외곽 방향의 측면을 이동하는 제3 이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 모드 시 내부에 보관되고, 상기 감지 모드 시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선로의 상기 외곽 방향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KR1020180096723A 2018-08-20 2018-08-20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KR102108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723A KR102108544B1 (ko) 2018-08-20 2018-08-20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723A KR102108544B1 (ko) 2018-08-20 2018-08-20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222A KR20200021222A (ko) 2020-02-28
KR102108544B1 true KR102108544B1 (ko) 2020-05-28

Family

ID=69638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723A KR102108544B1 (ko) 2018-08-20 2018-08-20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5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344B1 (ko) 2021-08-26 2023-02-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시설물 점검 중인 멀티콥터를 열차 진입으로부터 보호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213A (ja) 2000-02-23 2001-08-28 Hitachi Kasado Eng Co Ltd 車両接近警報装置
KR100331013B1 (ko) 2000-06-29 2002-04-03 한성무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
JP2010234875A (ja) 2009-03-30 2010-10-21 East Japan Railway Co 軌道回路電流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0844B2 (ja) * 1995-12-14 2002-08-05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列車接近検出装置
KR100363867B1 (ko) * 1999-12-21 2002-12-11 손인규 철도선로용 이동식 경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213A (ja) 2000-02-23 2001-08-28 Hitachi Kasado Eng Co Ltd 車両接近警報装置
KR100331013B1 (ko) 2000-06-29 2002-04-03 한성무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
JP2010234875A (ja) 2009-03-30 2010-10-21 East Japan Railway Co 軌道回路電流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222A (ko) 202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0222B2 (en) Methods and systems of determining end of train location and clearance of trackside points of interest
CN101242985B (zh) 探测铁路轨道的变化或障碍的系统和方法
US90902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acterizing dragging equipment
JP4931377B2 (ja) 列車管理システム
US20100131129A1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communication-based train control system capabilities
ES2782084T3 (es) Sistema de medición de desplazamiento de vía férrea y procedimiento para mantenimiento proactivo
CN106103236A (zh) 用于轨道车辆再定位的方法和配置系统
CN110758438B (zh) 轨道行走装置
KR100961489B1 (ko)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
KR102108544B1 (ko)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JP2017217980A (ja) インフラ管理方法及び装置
CN202186403U (zh) 机车防撞装置
JP5937869B2 (ja) 列車制御システム
JP2016078528A (ja) 特殊信号発光機検査装置及び該特殊信号発光機検査装置を有する軌陸車
KR101663789B1 (ko) 진동분석에 의한 위험예측용 차량 운행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US20230356762A1 (en) Signal box controlled crew warning system
KR101374815B1 (ko) 정차역 자동정지장치
KR102230644B1 (ko) 선로이동장치
JP2011045207A (ja) 車上情報集約型の高度安全列車制御システム
KR102498585B1 (ko) 철도차량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철도신호 시스템
JP6842929B2 (ja) 光ケーブルを利用した鉄道制御システム
JPH07101336A (ja) 坑道用動力車の自動走行制御装置
KR101249946B1 (ko) 전기식 선로 순회차 및 이를 이용한 선로 점검 시스템
CN214031454U (zh) 一种单轨吊无人驾驶监控系统
KR102169531B1 (ko) 선로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