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1013B1 -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 - Google Patents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1013B1
KR100331013B1 KR1020000036285A KR20000036285A KR100331013B1 KR 100331013 B1 KR100331013 B1 KR 100331013B1 KR 1020000036285 A KR1020000036285 A KR 1020000036285A KR 20000036285 A KR20000036285 A KR 20000036285A KR 100331013 B1 KR100331013 B1 KR 100331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oil
rail
rails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6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3992A (ko
Inventor
한성무
Original Assignee
한성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무 filed Critical 한성무
Priority to KR1020000036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1013B1/ko
Publication of KR20020003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3/00Wetting or lubricating rails or wheel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by rubbing contact, e.g. by brushes, by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14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lubricant being conveyed from the reservoir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에 관한 것으로, 레일의 측면 및 두부 전체에 오일의 도포가 가능하여 소음의 차단효과가 크고 레일의 구조적 강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오일의 도포가 가능하도록 한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궤도차량이 이동되는 레일상에 오일을 도포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포기에 있어서, 상기 레일 사이의 공간부에 일정한 궤도를 갖도록 설치되는 도포기이동레일(110)과, 상기 도포기이동레일상에 설치되어 이동되면서 철도 레일상에 오일을 도포하는 도포장치(120)와, 상기 도포장치에 의해 레일에 도포되는 오일이 수용되도록 상기 도포기이동레일 외측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오일보관케이스(1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OIL SUPPLYING APPARATUS FOR A RAILROAD}
본 발명은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지하철과 같이 레일 상을 주행하는 궤도차량의 운행중에 레일과 궤도차량 차륜과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는 한편 차륜의 마모가 방지되도록 상기 레일 상에 오일을 도포하는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과 같이 그 차륜이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궤도차량에서는 차륜과 레일의 마찰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동시에 레일과 차륜이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대부분을 한정된 지하공간으로 운행하는 지하철의 경우 차륜과 레일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으로 인해 탑승한 승객의 독서, 음악감상 또는 대화에 큰 저해요소로 작용하고 있고, 소음이 심할 경우 신체 및 정신장애를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저감시키기 위해 궤도차량의 레일에 오일을 도포하게 되는데 이 도포작업을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수행하는 것은 너무나 많은 작업공수가 요구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초래된다.
따라서, 철로상의 레일에 오일의 도포를 위해 사용되는 도포기는 레일 측면 도포용 도포기와 레일 두부 도포용 도포기가 적용되고 있는데, 레일 측면 도포용도포기는 매인캐비넷이 철로옆 기둥 또는 벽면에 부착되고 구리스건이 철로상의 침목에 부착되어 상기 매인캐비넷과 구리스건은 케이블과 호스로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기차가 진입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이 감지되면 구리스건으로부터 오일이 배출되도록 된 도포기가 있고, 또한 기차가 주행할 때 마다 차륜이 도포기를 가압하여 오일이 배출되도록 하는 도포기가 있다.
그리고, 레일 두부 도포용 도포기는 레일의 두부(머리부) 쪽에 구멍을 천공하여 레일의 이 구멍을 통해 오일을 분사 도포되게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레일 측면 도포용 도포기는 오일의 도포시에 레일의 측면에만 제한적으로 도포되므로 소음의 차단효과가 낮고 장비가 매우 고가이며 잦은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레일 두부 도포용 도포기 또한 오일의 도포시에 레일의 두부에만 오일이 도포되므로 소음의 차단효과가 낮을 뿐만 아니라 이 레일 두부 도포용 도포기는 레일에 구멍을 천공하여야 하므로 레일의 구조적 강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레일의 측면 및 두부 전체에 오일의 도포가 가능하여 소음의 차단효과가 크고 레일의 구조적 강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오일의 도포가 가능하도록 한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궤도차량이 이동되는 레일상에오일을 도포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포기에 있어서, 상기 레일 사이의 공간부에 일정한 궤도를 갖도록 설치되는 도포기이동레일과, 상기 도포기이동레일상에 설치되어 이동되면서 철도 레일상에 오일을 도포하는 도포장치와, 상기 도포장치에 의해 레일에 도포되는 오일이 수용되도록 상기 도포기이동레일 외측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오일보관케이스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포장치는 도포기이동레일상에 이동되는 복수 개의 구동휠이 구비된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가 구동되도록 동력을 발생 인가시키는 구동장치가 구비된 도포장치몸체부와, 상기 도포장치몸체부에 결합되어 이동되면서 레일에 오일을 도포하도록 도포붓이 구비된 아암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는 외주면상에 전동기어가 형성된 구동축의 좌우측 단부에 구동휠이 결합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정역 구동되는 모터와 이 모터의 축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전동기어에 치합되는 구동기어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아암은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단에 레일면에 접촉되어 오일을 도포하는 도포붓이 구비되고, 타측단에 도포붓측과의 균형을 유지하지 위한 균형추가 설치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장치는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 1감지부와, 상기 도포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 2감지부와, 상기 제 1,2감지부에 의해 감지되어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시간, 구동속도 등이 제어되도록 소정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포붓은 대략 "T" 자 형상을 갖는 붓몸체 하단에 다수의 접촉털이 결합되고, 상기 접촉털이 레일과 밀착된 상태에서 레일의 측면에 오일이 도포될 수 있도록 레일의 내측방향으로 접촉털의 일정 부분이 위치되게 구성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암은 도포붓이 결합되는 아암이 "ㄷ" 형강으로 형성되어 그 단부측에 횡방향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붓몸체상에 종방향 장공이 형성되어 도포붓의 상하 좌우방향으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오일케이스는 내부에 오일이 채워지도록 상부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상의 통으로 구성되고 그 후부측에 상향 경사지게 오일량조정판이 형성되며, 상기 오일량조정판에 의해 이탈되는 오일이 수용되도록 연장부가 형성된 것이다.
한편, 이에 따른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에 의하면, 오일의 도포시에 오일이 레일의 상면 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안정되게 도포되므로 소음의 차단효과가 향상되고, 오일의 도포를 위해 레일에 구멍을 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레일의 구조적 강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의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레일, 100: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
110:도포기이동레일, 120:도포장치,
122:이동부, 124:도포장치몸체부,
125:구동장치, 126:아암,
127:도포붓, 130:오일케이스,
140:제 1감지부, 142:제어부,
144:입력부, 146:제 2감지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의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따른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갖고 종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레일(1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레일(10) 사이에 일정한 궤도를 갖도록 설치되는 도포기이동레일(110)과, 상기 도포기이동레일(110)상에 설치되어 이동되면서 철도 레일(10)상에 오일을 도포하는 도포장치(120)와, 상기 도포장치에 의해 레일에 도포되는 오일이 공급되도록 상기 도포기이동레일(110) 외측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소정 형상의 오일보관케이스(130)로 구성된다.
상기 도포장치(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포기이동레일(110)상에 이동되는 복수 개의 구동휠(122a)이 구비된 이동부(122)와, 상기 이동부(122)가 구동되도록 동력을 발생 인가시키는 구동장치(125)가 구비된 도포장치몸체부(124)와, 상기 도포장치몸체부(124)에 결합되어 이동되면서 레일(10)에 오일을 도포하도록 도포붓(127)이 구비된 아암(126)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122)는 구동축(122b)의 좌우측 단부에 구동휠(122a)이 결합되고 이 구동축(122b)의 외주면 상에는 전동기어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도포장치몸체부에 구비되는 구동장치(125)는 정역 구동되는 모터(125a)와 이 모터(125a)의 축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전동기어(125c)에 치합되는 구동기어(125b)로 구성된 것이나, 상기 구동기어(125b)와 전동기어(125c)의 사이에는 감속 또는 가속되도록 가,감속기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장치(125)는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차량(기차, 지하철 등)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 1감지부(140,예컨대 근접센서, 진동감지센서 등)가 구성되어 궤도차량의 진입시에 이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142)에 인가시켜 도포장치가 안전한 공간(레일과 레일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도록 제어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142)는 모터(125a)의 구동시간과 구동속도 등을 입력하는 입력부(144)의 입력신호에 의해 모터(125a)의 구동을 제어하므로서 도포장치(12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포기이동레일(110)의 직선부상에는 상기 도포장치(12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 2감지부(146)가 설치된 것으로, 상기 제 2감지부(146)는 예컨대 근접센서로 구성되어 궤도차량의 진입이 제 1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된 상태에서 제 2감지부(146)에 의해 도포장치(120)가 도포기이동레일(110)의 직선부에 위치되어 있음을 감지하고 이 감지신호를 제어부(142)에 인가하여 도포장치(120)가 안전지역으로 이동되도록 소정 시간 동안 구동장치(125)를 구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도포장치몸체부(124)는 첨부된 도 2에서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125)는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도포장치몸체부(124)내에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포기이동레일(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타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레일(10) 사이에 설치되는 침목 또는 바닥면에 견고하게 설치되며, 그 단면 형상은 구동휠(122a)이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대략 그 양측단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아암(12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단에 레일(10)면에 접촉되어 오일을 도포하는 도포붓(127)이 구비되고, 타측단에 도포붓(127)측과의 균형을 유지하지 위한 균형추(128)가 설치된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예컨대 "ㄱ" 자 형상으로 아암을 구성하고 그 가로방향의 돌출 단부에 도포붓(127)을 결합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포붓(127)은 대략 "T" 자 형상을 갖는 붓몸체(127a) 하단에 다수의 접촉털(127b)이 결합된 것으로 레일과 밀착된 상태에서 그 내측 부분이 레일(10)의 측면에 오일을 도포할 수 있도록 레일로부터 이격되게 결합된 것이다.
상기 오일케이스(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오일이 채워지도록 상부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상의 통으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통내에 도포붓(127)이 삽입되어 부착된 오일의 양이 조정되도록 그 후부측에 상향 경사지게 오일량조정판(132)이 형성되고, 이 오일량조정판(132)에 도포붓(127)의 접촉털(127b)이 밀착되어 과부착된 오일이 이탈되면 그 이탈되는 오일이 수용되도록 상기 오일량조정판(132)의 후부에 연장부(134)가 연장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아암(12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붓(127)의 상하 좌우방향으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예컨대 상기 도포붓(127)이 결합되는 아암(126)은 "ㄷ" 형강으로 형성되어 그 단부측에 횡방향 장공(126a)이 형성되고, 상기 붓몸체(127a)상에 종방향 장공(127c)이 형성되어 상하 좌우 위치를조정한 상태에서 조정볼트(129)로 조여 고정시키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입력부(144)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모터(125a)가 작동되면 구동기어(125b)와 전동기어(125c)를 매개로 동력이 전달되어 구동휠(122a)이 회전되면 도포장치(120)가 도포기이동레일(110)을 타고 이동되게 된다.
상기 도포장치(12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포기이동레일(110)의 일측 직선부(오일케이스의 반대편 레일)에 이르게 되면 아암(126)의 단부에 결합된 도포붓(127)의 접촉털(127b)이 레일(10) 상면 및 측면에 접촉되면서 오일(그리스유)을 도포하게 되고, 곡선부를 돌아 도포기이동레일(110)의 타측 직선부에 이르게 되면 상기 도포붓(127)의 접촉털(127b)이 오일케이스(130)내로 삽입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오일에 잠겨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접촉털에 과부착된 오일은 오일량조정판(132)에 접촉 가압되면서 흘러내리게 되고 하방으로 이탈되는 오일은 상기 오일케이스(130)의 연장부(134)측에 수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오일이 보충된 도포붓(127)이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 수행하면서 레일(10)에 오일을 도포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에서 궤도차량(기차,지하철 등)의 진입이 제 1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되고 제 2감지부(146)에 의해 도포장치(120)가 레일의 직선부에 위치되어 있슴이 감지되면 이 감지신호가 제어부(142)에 인가되고 제어부(142)는 모터(125a)를 구동시켜 도포장치의 아암(126)이 궤도차량의 이동 경로인 레일(10)로부터 벗어난 위치(오일케이스측 레일과 레일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일 도포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차량이 이동되는 레일의 일정한 거리마다 서로 설치방향이 엇갈리도록 설치하면 좌우 레일의 오일 도포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에 의하면, 오일의 도포시에 오일이 레일의 상면 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안정되게 도포되므로 소음의 차단효과가 향상되고, 오일의 도포를 위해 레일에 구멍을 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레일의 구조적 강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방지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8)

  1. 궤도차량이 이동되는 레일상에 오일을 도포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포기에 있어서,
    상기 레일 사이의 공간부에 일정한 궤도를 갖도록 설치되는 도포기이동레일과;
    상기 도포기이동레일상에 설치되어 이동되면서 철도 레일상에 오일을 도포하는 도포장치와;
    상기 도포장치에 의해 레일에 도포되는 오일이 수용되도록 상기 도포기이동레일 외측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오일보관케이스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장치는 도포기이동레일상에 이동되는 복수 개의 구동휠이 구비된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가 구동되도록 동력을 발생 인가시키는 구동장치가 구비된 도포장치몸체부와;
    상기 도포장치몸체부에 결합되어 이동되면서 레일에 오일을 도포하도록 도포붓이 구비된 아암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외주면상에 전동기어가 형성된 구동축의 좌우측 단부에 구동휠이 결합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정역 구동되는 모터와 이 모터의 축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전동기어에 치합되는 구동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단에 레일면에 접촉되어 오일을 도포하는 도포붓이 구비되고, 타측단에 도포붓측과의 균형을 유지하지 위한 균형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 1감지부와, 상기 도포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 2감지부와, 상기 제 1,2감지부에 의해 감지되어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시간, 구동속도 등이 제어되도록 소정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
  6.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붓은 대략 "T" 자 형상을 갖는 붓몸체 하단에 다수의 접촉털이 결합되고, 상기 접촉털이 레일과 밀착된 상태에서 레일의 측면에 오일이 도포될 수 있도록 레일의 내측방향으로 접촉털의 일정 부분이위치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
  7.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도포붓이 결합되는 아암이 "ㄷ" 형강으로 형성되어 그 단부측에 횡방향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붓몸체상에 종방향 장공이 형성되어 도포붓의 상하 좌우방향으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케이스는 내부에 오일이 채워지도록 상부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상의 통으로 구성되고 그 후부측에 상향 경사지게 오일량조정판이 형성되며, 상기 오일량조정판에 의해 이탈되는 오일이 수용되도록 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
KR1020000036285A 2000-06-29 2000-06-29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 KR100331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285A KR100331013B1 (ko) 2000-06-29 2000-06-29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285A KR100331013B1 (ko) 2000-06-29 2000-06-29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992A KR20020003992A (ko) 2002-01-16
KR100331013B1 true KR100331013B1 (ko) 2002-04-03

Family

ID=19674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285A KR100331013B1 (ko) 2000-06-29 2000-06-29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1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222A (ko) * 2018-08-20 2020-02-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222A (ko) * 2018-08-20 2020-02-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KR102108544B1 (ko) 2018-08-20 2020-05-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992A (ko) 200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502007005205D1 (ko)
CA2180394A1 (en) A rail loading wagon
CA2114399C (en) Tamping machine with auxiliary lifting device and frame
KR100331013B1 (ko) 철도 레일용 오일 도포기
HK1090621A1 (en) Low overhead machine roomless elevator configuration
RU93041057A (ru) Шпалоподбивочная машина для подбивки стрелок и пересечений пути
CA2103609A1 (en) Track tamping machine for tamping switches and crossings of a track
JPH11287067A (ja)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
DE602005005146D1 (de) Schmiersystem für Eisenbahngleise
CA2434874C (en) A tamping machine having a machine frame and a subframe
ATE293719T1 (de) Vorrichtung zum abladen von schienen
KR101100689B1 (ko) 열차의 차륜 도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륜 도유 시스템
FI954834A0 (fi) Kone sähköisen ilmajohdon ajonlangan keskeyksetöntä asettamista varten
US4572079A (en) Mobile track leveling, lining and tamping machine
ATA13492001A (de) Maschine zur bearbeitung eines gleises
GB2298885A (en) Track maintenance vehicle with enclosed work space
US20190010664A1 (en) Point switch, and railway network comprising at least one point switch of said type
EP1285996A3 (de) Maschine zur Bearbeitung einer Gleisbettung
DE3261092D1 (en) Track renewal machine
FI941603A0 (fi) Kone sepelialustan tai vastaavasti maapohjan muokkausta varten
CN217600149U (zh) 一种电梯轿厢固定机构
KR200180293Y1 (ko)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PT1194359E (pt) Sistema de ascensor operado por cabo
KR20050018360A (ko) 자기부상열차용 비상 주행장치
KR101376512B1 (ko) 철도차량의 차륜용 도유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