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504B1 -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504B1
KR102108504B1 KR1020180121642A KR20180121642A KR102108504B1 KR 102108504 B1 KR102108504 B1 KR 102108504B1 KR 1020180121642 A KR1020180121642 A KR 1020180121642A KR 20180121642 A KR20180121642 A KR 20180121642A KR 102108504 B1 KR102108504 B1 KR 102108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ibution
data
database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4220A (ko
Inventor
신영기
이해원
박선규
살가도 게이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크
Priority to KR1020180121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504B1/ko
Priority to PCT/KR2019/010911 priority patent/WO2020075970A1/ko
Publication of KR20200044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504B1/ko
Priority to US17/227,377 priority patent/US20210233034A1/en
Priority to US17/953,323 priority patent/US2023002791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06F16/211Schema design and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9024Graphs; Linked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6Incentive or reward received by requiring registration or ID from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에 포함된 시계열적 정보를 기초로 수신한 시계열적 순서가 이를수록 높은 기여도를 갖는 시간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 데이터에 포함된 정성적 정보 또는 정량적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 데이터 기여도에 시간 기여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기여한 구축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구축 기여도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FOR CREATING DATABASE}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참여한 사용자의 기여도에 기초한 보상을 분배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공 지능, 머신 러닝, 유전자 분석, 질병 예측, 미래 예측 등의 각종 분야에서 빅데이터(Big Data)가 필수적으로 활용됨에 따라 개개인이 가지는 정보의 가치는 날로 커지고 있다.
이와 함께, 인터넷 플랫폼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아마존,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 등의 플랫폼을 이용하면서 개인 정보가 담겨있는 데이터를 인터넷에 업로드하거나, 검색 이력이나 구매 이력 등의 데이터를 검색 이력의 로그로 남기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일반적으로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자가 정보를 관리하게 된다. 이러한 개개인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자가 활용하여 다른 서비스를 창출하거나 이를 필요로 하는 제3 업체에 판매하는 경우 수익이 발생하지만,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사용된 개개인의 데이터를 이용한 수익이 플랫폼 서비스의 주체에게만 돌아가고 있기 때문에 불합리하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더하여,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자가 개인 정보 활용에 대한 동의 없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거나 판매하는 경우, 개인 정보의 침해라는 문제가 발생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개개인의 정보들이 모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활용에 대해 개인의 동의와 함께, 개개인에게 데이터베이스의 소유권을 인정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1470호: 모바일 환경에서 생체 인증 기반 경량 상호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한 정보 은닉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참여한 사용자의 기여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데이터베이스의 지분을 할당하는 기술을 하는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개개인의 정보가 모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수익을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참여한 개개인에게 합리적으로 돌려주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동시에,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참여하게끔 유도하여, 신속하면서 정성적으로나 정량적으로 좋은 품질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가 수행하는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시계열적 정보를 기초로 수신한 시계열적 순서가 이를수록 높은 기여도를 갖는 시간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성적 정보 또는 정량적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기여도에 상기 시간 기여도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기여한 구축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상기 구축 기여도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간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형태의 n차(n은 1 이상의 자연수) 함수, 계단 함수, 로그 함수 및 지수 함수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시계열적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시간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의 종류마다 기 설정되어 있는 기여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의 종류 수에 따라 상기 합산된 가치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의 종류 중 데이터 분석에 있어 서로 부가 가치를 내는 것으로 미리 지정된 복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정보에 기 설정되어 있는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축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의 내용 중 기 지정된 내용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에 대한 상기 기 지정된 내용의 정보를 보유한 사용자의 수를 기초로 상기 보유한 사용자의 수에 반비례하는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구축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축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중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가 서로 다른 시간에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 각각의 시계열적 정보를 기준으로 계산된 시간 기여도 및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 각각으로부터 계산된 데이터 기여도를 기초로 상기 구축 기여도를 계산하여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축 기여도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참여한 다른 사용자들의 블록이 이어져 있는 블록체인에 상기 사용자의 식별 주소, 상기 시계열적 정보 및 상기 구축 기여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참여한 다른 사용자들에게 부여된 구축 기여도의 합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구축 기여도를 기초로 상기 지분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수익을 상기 지분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에게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모든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 중 일부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에 의해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수익 중 소정의 비율을 상기 일부 사용자의 지분에 따라 상기 일부 사용자에게 더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시계열적 순서가 이를수록 높은 기여도를 갖는 시간 기여도 및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성적 또는 정량적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고, 상기 데이터 기여도에 상기 시간 기여도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기여한 구축 기여도를 계산하는 기여도 계산부 및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상기 구축 기여도를 부여하는 기여도 부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서버에 자신의 데이터를 업로드한 시계열적 정보, 데이터의 정량적 정보 및 데이터의 정성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기여도를 산정함에 따라, 각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대한 기여도를 객관적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초기에 데이터 업로드를 유도하여 신속하면서 정성적으로나 정량적으로 좋은 품질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기여도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지분을 분배하여,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정보가 모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활용에 있어 발생하는 수익을 합당하게 돌려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실시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포괄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중 기여도를 산정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간 기여도를 산정하는 함수의 예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내용의 희귀성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데이터 업로드 순서에 따른 사용자의 구축 기여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구축 기여도에 대한 사용자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 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실시하는 시스템(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실시하는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a, 10b, 10c),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 및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200a, 200b, 200c)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01)의 목적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데이터베이스(101)가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구축될 데이터베이스(101)라면, 사용자의 질병 정보, 조직 이미지 정보, 임상 실험 정보, 유전자 정보, 병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01)가 금융 정보를 기반으로 구축될 데이터베이스(101)라면, 사용자의 자산 정보, 신용도 정보, 연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데이터베이스(101)가 구매 이력을 기반으로 구축될 데이터베이스(101)라면, 사용자의 나이 정보, 거주 지역 정보, 접속 시간 정보, 지불 금액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01)의 목적에 맞게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생체 정보 기반의 데이터베이스(101)를 구축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이하 사용자 단말(10)이 송신하는 데이터를 생체 데이터라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수신한 생체 데이터에 포함된 시계열적 정보, 정량적인 정보 또는 정성적인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01)의 구축에 대한 사용자의 기여도를 산정하고, 이러한 기여도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데이터베이스(101)의 가치에 대한 지분을 부여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01)가 활용되어 수익이 발생할 경우, 발생한 수익을 지분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가 생성한 데이터베이스(101)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데이터베이스(101)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01)라면,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101)를 활용하여 사람들의 유전자에 따라 발병 가능한 질병을 예측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데이터베이스(101)가 사용자의 금융 정보를 기반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01)라면,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200)는 사용자의 자산 수준에 따른 적절한 금융 상품을 예측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데에 데이터베이스(101)를 사용할 수 있다.
더하여, 데이터베이스(101)가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기반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01)라면, 사용자의 구매 이력에 따라 적합한 상품을 자동으로 추천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데에 데이터베이스(101)를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데이터베이스(101)의 활용 또는 구매를 위해 적절한 대금을 지급할 수 있다. 이러한 수익에 대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01)가 활용되어 수익이 발생할 경우, 발생한 수익을 지분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 및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2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실시하는 시스템(1)을 실현시키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구현 단계를 포괄적으로 설명한 다음, 도3 내지 도 6와 함께 각 단계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포괄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각 단계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가 수행하는 각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01) 구축에 참여한 사용자의 기여도를 산정할 수 있다(S100). 이후,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산정된 기여도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101)의 가치에 대한 사용자의 지분을 산정할 수 있다(S200).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01)에 의해 수익이 발생하면, 발생한 수익을 산정된 지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배분할 수 있다(S30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중 기여도를 산정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후, 설명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생체 정보 기반의 데이터베이스(101)를 구축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각 단계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단계의 순서가 방법의 시계열적 순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의 선택에 따라 각 단계의 순서를 바꾸어 수행할 수 있다. 이에, 각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베이스(101) 구축에 사용될 생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10).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생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통신망을 통한 전송을 기초로 직접 수신하거나, 사용자 단말(10)이 인터넷 상에 남긴 로그 기록을 수집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생체 데이터는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데이터는 유전체 정보, 조직 이미지 정보, 임상 정보 또는 병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생체 데이터에 포함된 시계열적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시계열적 순서가 이를수록 높은 기여도를 갖는 시간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S120). 즉, 사용자가 생체 데이터를 업로드한 시간이 다른 사용자에 비해 이를수록 데이터베이스(101) 구축에 높은 기여도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이때 시계열적 정보는 사용자가 생체 데이터를 업로드한 순서나 시간으로 판별되거나, 사용자가 생체 데이터를 인터넷 로그에 남긴 순서 또는 시간을 기초로 판별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도 4의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간 기여도를 산정하는 함수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형태의 n차(n은 1 이상의 자연수) 함수(도 4(a)), 계단 함수(도 4(b)), 로그 함수(도 4(c)) 및 지수 함수(도 4(d)) 중 어느 하나에 수신한 생체 데이터의 시계열적 정보를 입력하여 시간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시간을 달리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업로드 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1번째 업로드한 사용자와 100,000번째 업로드한 사용자의 기여도가 약 10배가 차이나도록 함수를 설계하여 사용자의 시간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생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업로드한 시간이나 순서가 빠를수록 높은 시간 기여도를 부여 받을 수 있게 하여, 사용자들의 데이터 업로드를 유도하여 신속하게 데이터베이스(101)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생체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의 정성적 정보 또는 정량적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S130).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생체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의 종류마다 기 설정되어 있는 기여 점수를 합산하여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2의 생체 데이터에 D1 및 D3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D1 및 D3에 기 설정된 기여 점수를 합산하여, 30 + 0 + 20 + 0 = 50 의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의 종류 중 데이터 분석에 있어 서로 부가 가치를 내는 것으로 미리 지정된 복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정보에 기 설정되어 있는 가중치를 부가하여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상 정보와 병리 정보가 서로 부가 가치를 내는 정보라고 설정하여, 이러한 정보가 함께 포함하는 경우 생체 데이터에 대해 10%의 가중치를 부가하여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한다고 가정한다. 그렇다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1의 생체 데이터에 D1 내지 D4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D1 내지 D4에 기 설정된 기여 점수를 합산하되, D3 및 D4에 해당하는 점수의 합 25에 10%의 가중치를 부가하여, 30 + 10 + (20 + 5) * 1.1 = 67.5 의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 종류의 개수에 따라 합산된 가치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데이터 중 4가지 종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3.8%의 가중치를 부가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렇다면, 도 5a에 도시된 사용자 1의 생체 데이터에 D1 내지 D4에 해당하는 4 가지 종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D1 내지 D4에 기 설정된 가치를 합산하되, 3.8%의 가중치를 부가하여, (30 + 10 + 20 + 5) * 1.038 = 67.5 의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아울러, 생체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의 내용 중 기 지정된 내용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 데이터베이스(101)의 구축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에 대한 기 지정된 내용의 정보를 보유한 사용자의 수를 기초로, 기 지정된 내용의 정보를 보유한 사용자의 수에 반비례하는 가중치를 부가하여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실시예를 도 5b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내용의 희귀성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생체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가 다른 사용자들에게 거의 없는 희귀한 정보일 경우, 희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에게 더 높은 기여도를 부여하도록, 생체 데이터가 포함하는 항목 중'질병 정보'라는 항목에 포함된 정보의 내용이 '위암' 또는 '췌장암'일 경우 더 높은 가중치를 부가하도록 기 지정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부가되는 가중치는
Figure 112018100523341-pat00001
의 계산 방식을 사용하여 정보가 희귀할수록 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 받을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때 발병률에 대한 정보는 공인된 질병 확률 통계 자료를 활용하거나, 실제로 구축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된 정보의 통계를 집계하여 발병률을 계산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1의 경우 질병 정보 중'위암'의 정보를 포함하므로
Figure 112018100523341-pat00002
에 해당하는 희귀도 가중치를 계산할 수 있고, 사용자 2의 경우 질병 정보 중'췌장암'의 정보를 포함하므로
Figure 112018100523341-pat00003
에 해당하는 희귀도 가중치를 계산할 수 있다.
이렇게 계산된 희귀도 가중치는 데이터 기여도에 별도로 합산되어 반영되거나 곱하는 방식으로 반영할 수 있으며, 또는 후술할 구축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희귀도 가중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희귀도 가중치를 사용자의 기여도에 반영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는 각각의 실시예들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를 사용하는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조합하여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산출된 데이터 기여도에 산출된 시간 기여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데이터베이스(101) 구축에 기여한 정도를 의미하는 구축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S140).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시계열적 정보가 이를수록 높은 기여도를 갖는 시간 기여도가 산출되도록 설계된 함수에 데이터 기여도를 입력하여 구축 기여도를 산출하거나, 미리 계산된 데이터 기여도와 시간 기여도를 곱하여 구축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구축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식이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사용자가 생체 데이터를 복수 회에 걸쳐 나누어 업로드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각 생체 데이터가 포함하는 시계열적 정보에 따라 각 생체 데이터의 구축 기여도를 별도로 산출하여 합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사용자가 복수의 생체 데이터를 상이한 시간에 업로드 한 경우, t1 시간에 수신한 생체 데이터를 제1 데이터라 하고, t2 시간에 수신한 생체 데이터를 제2 데이터라고 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 각각의 시계열적 정보 t1, t2를 기준으로 계산된 제1 시간 기여도 및 제2 시간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 각각으로부터 데이터 기여도를 별도로 계산하여 제1 데이터 기여도 및 제2 데이터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제1 시간 기여도와 제1 데이터 기여도를 기초로 제1 구축 기여도를 계산하고, 제2 시간 기여도와 제2데이터 기여도를 기초로 제2 구축 기여도를 계산하여, 제1 구축 기여도 및 제2 구축 기여도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생체 데이터를 복수 회에 걸쳐 나누어 업로드한 경우에도 각각의 업로드 시간 또는 순서를 반영한 최종 기여도를 산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계산한 구축 기여도를 부여할 수 있다(S150).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계산된 구축 기여도를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 장치 또는 서버를 통해 관리하거나,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여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구축 기여도를 부여하여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기초로 얻은 정보들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101)의 구축에 참여한 다른 사용자들의 블록에 연결하여 블록체인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새로운 사용자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식별 정보(또는 주소)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공개키(public key), 생체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시계열적 정보, 정성적 정보 또는 정량적 정보), 시간 기여도, 데이터 기여도, 구축 기여도, 또는 지분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이전 사용자의 정보가 포함된 블록에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블록에 기록될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생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으나,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블록체인 상에 기록될 정보와 서버에 저장할 정보가 별도로 나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도 6은 공공 데이터 포털의 "암 발생율 주요 통계"에 따른 암 발병 확률 통계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이다. 이때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데이터 업로드 순서에 따른 사용자의 구축 기여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구축 기여도에 대한 사용자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시뮬레이션에서, 생체 데이터가 가지는 정보의 종류는, D1-질병 종류 정보(내용: "암 발생율 주요 통계"에 따른 암에 관한 정보), D2-병리 정보(내용: 있음/없음) 및 D3-임상 정보(내용: 있음/없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샘플로 사용될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이때 10만명의 사용자들이 생체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경우 질병 정보(D1)를 모두 업로드하되, 병리 정보(D2) 및 임상 정보(D3)는 일부의 사용자들만 업로드하는 경우를 가정하기 위해, 생체데이터가 질병 정보(D1)를 포함하는 확률을 100%, D2를 포함하는 확률을 30%, D3를 포함하는 확률을 10%로 설정하였다.
한편, D1:D2:D3 의 상대적 기여 점수는 5:45:5로 설정하였고, 이때 만약 D1, D2, D3가 모두 포함된 경우에는 가중치를 두어 기여 점수가 '100'이 되도록 설정하였다. 따라서, 생체 데이터가 포함하는 정보의 종류 또는 수에 따라 계산되는 데이터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 D1 포함: 5
- D1, D2 포함: 50
- D1, D3 포함: 10
- D1, D2, D3 포함: 100
이후, 생체 데이터를 업로드한 순서에 따라 기여도가 지수 함수 형태로 감소하면서, 1번째 업로더와 100,000번째 업로더의 기여도가 약 10배가 되도록 시간 기여도 계산 방식을 설정하였다.
또한, "암 발생율 주요 통계"를 참조할 때, 실제 췌장암 발병 확률이 약 10/100,000 이므로, 시뮬레이션에서는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될 100,000 명 중 10명이 "췌장암"을 가지도록 샘플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이에 따라, 생체 데이터 중 질병 정보의 내용이 "췌장암"을 가지는 경우
Figure 112018100523341-pat00004
만큼의 희귀도 가중치를, 시간 기여도 및 데이터 기여도를 통해 미리 계산된 구축 기여도에 곱하여 최종 구축 기여도를 산출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산출된 구축 기여도의 평균이 '1'이 되도록 조절하였고, 도 6a 및 도 6b에 게시된 구축 기여도는 평균이 1이 되도록 조절한 최종 기여도를 1부터 70의 범위로 확장하여 표현하였다.
이에 따라, 도 6a를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데이터 업로드 순서에 따라, 구축 기여도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데이터 기여도에 따라 유사한 순서 내에서도 구축 기여도는 차이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대부분의 경우는 0과 1 사이의 기여도를 가지면서, 높은 기여도를 가지는 사용자의 수는 음의 지수 함수 형태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6a 및 도 6b를 통해, 먼저 업로드를 한 사용자 및 양질의 데이터를 업로드한 사용자에게 높은 구축 기여도를 부여하면서, 어느 한 사용자가 기여도를 몰아서 갖지 않도록 하여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려는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산정된 기여도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101)의 가치에 대한 사용자의 지분을 산정함에 있어(S200), 데이터베이스(101)의 구축에 참여한 다른 사용자들에게 부여된 구축 기여도의 합에 대한 사용자의 구축 기여도를 기초로 각 사용자의 지분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사용자의 수 n명이고, 사용자 x의 기여도를 Cx 라 할 때,
Figure 112018100523341-pat00005
로 정의 할 수 있다.
여기서, a는 데이터베이스(101)의 전체 지분에 대한 전체 사용자들의 지분 비율, 데이터베이스(101) 전체에 대한 사용자들의 소유 지분을 50%로 설정한다면, a는 0.5가 될 수 있다. 따라서, a는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a=1 일 때, 사용자 1의 기여도가 30 이라면, 사용자 1이 갖는 최초의 지분은
Figure 112018100523341-pat00006
이고, 새로운 사용자 2의 기여도 20이 발생한다면, 사용자 1의 지분은
Figure 112018100523341-pat00007
이 되고, 사용자 2의 지분은
Figure 112018100523341-pat00008
이 될 수 있다.
이후, 새로운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101) 구축에 참여함에 따라, 사용자들의 비율은 위의 과정에 따라 새롭게 갱신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01)에 의해 수익이 발생하면, 발생한 수익을 산정된 지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분배함에 있어(S300),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01)로 인하여 발생한 수익을 '지분'에 비례하여 사용자들에게 분배할 수 있다.
또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01) 중 일부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로 인하여 수익이 발생하였다면, 발생한 수익 중 소정의 비율을 일부 사용자의 지분에 따라 일부 사용자에게 더 분배하여, 수익의 발생에 기인한 사용자들에게 더 큰 비율로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매 기관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01)에 포함된 전체 10만명의 데이터 중 1000명의 데이터를 구매하였다면, 전체 수익 중 40% 는 100,000명의 지분에 따라 분배하고, 전체 수익 중 60%는 생체 데이터의 각 주인인 1000명에게 1000명 내의 상대적 지분 비율에 따라 분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수신부(110), 기여도 계산부(120), 기여도 부여부(130), 지분 계산부(140) 및 수익 분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베이스(101) 구축에 사용되는 생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기여도 계산부(120)는 생체 데이터에 포함된 시계열적 정보를 기초로 시계열적 정보가 이를수록 높은 기여도를 갖는 시간 기여도 및 생체 데이터에 포함된 정성적 또는 정량적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여도 계산부(120)는 계산된 데이터 기여도에 계산된 시간 기여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101) 구축에 기여한 구축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기여도 부여부(130)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구축 기여도를 부여할 수 있다.
지분 계산부(140)는 산정된 구축 기여도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101)의 가치에 대한 사용자의 지분을 산정할 수 있다.
수익 분배부(150)는 산정된 지분을 기초로 데이터베이스(101)로부터 발생한 수익을 사용자에게 배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가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이 해당 동작을 실시하기 위한 과정은 도 2 내지 도 6과 함께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가 포함하는 수신부(110), 기여도 계산부(120), 기여도 부여부(130), 지분 계산부(140) 및 수익 분배부(150)는 이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이들 명령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서버에 자신의 데이터를 업로드한 시계열적 정보, 데이터의 정량적 정보 및 데이터의 정성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101)의 구축에 기여한 정도를 산정함에 따라, 각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101) 구축에 대한 기여도를 객관적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초기에 데이터 업로드를 유도하여 신속하면서 정성적으로나 정량적으로 좋은 품질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101)를 구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기여도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01)의 지분을 분배하여,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정보가 모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01)의 활용에 있어 발생하는 수익을 합당하게 돌려받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 등이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또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사용자 단말
100: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101: 데이터베이스
110: 수신부
120: 기여도 계산부
130: 기여도 부여부
140: 지분 계산부
150: 수익 분배부
200: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

Claims (14)

  1.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가 수행하는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순서에 대한 시계열적 정보를, 상기 수신한 시계열적 정보의 순서가 이를수록 높은 기여도를 갖게 하는 형태의 함수에 입력하여 시간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성적 정보 또는 정량적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기여도에 상기 시간 기여도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기여한 구축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상기 구축 기여도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형태의 n차(n은 1 이상의 자연수) 함수, 계단 함수, 로그 함수 및 지수 함수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시계열적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시간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의 종류마다 기 설정되어 있는 기여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의 종류 수에 따라 상기 합산된 가치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의 종류 중 상기 장치에 미리 지정된 복수의 종류에 대응되는 복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정보에 기 설정되어 있는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의 내용 중 기 지정된 내용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에 대한 상기 기 지정된 내용의 정보를 보유한 사용자의 수를 기초로 상기 보유한 사용자의 수에 반비례하는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구축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중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가 서로 다른 시간에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 각각의 시계열적 정보를 기준으로 계산된 시간 기여도 및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 각각으로부터 계산된 데이터 기여도를 기초로 상기 구축 기여도를 계산하여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 기여도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참여한 다른 사용자들의 블록이 이어져 있는 블록체인에 상기 사용자의 식별 주소, 상기 시계열적 정보 및 상기 구축 기여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참여한 다른 사용자들에게 부여된 구축 기여도의 합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구축 기여도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지분으로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수익을 상기 지분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모든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 중 일부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에 의해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수익 중 소정의 비율을 상기 일부 사용자의 지분에 따라 상기 일부 사용자에게 더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12.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순서에 대한 시계열적 정보를 상기 수신한 시계열적 정보의 순서가 이를수록 높은 기여도를 갖게 하는 형태의 함수에 입력하여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시계열적 순서가 이를수록 높은 기여도를 갖게 되는 시간 기여도를 계산하고,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성적 또는 정량적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고, 상기 데이터 기여도에 상기 시간 기여도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기여한 구축 기여도를 계산하는 기여도 계산부; 및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상기 구축 기여도를 부여하는 기여도 부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121642A 2018-10-12 2018-10-12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108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642A KR102108504B1 (ko) 2018-10-12 2018-10-12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PCT/KR2019/010911 WO2020075970A1 (ko) 2018-10-12 2019-08-27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US17/227,377 US20210233034A1 (en) 2018-10-12 2021-04-12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for database construction
US17/953,323 US20230027919A1 (en) 2018-10-12 2022-09-27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for database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642A KR102108504B1 (ko) 2018-10-12 2018-10-12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787A Division KR20200053448A (ko) 2020-04-29 2020-04-29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220A KR20200044220A (ko) 2020-04-29
KR102108504B1 true KR102108504B1 (ko) 2020-05-12

Family

ID=7016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642A KR102108504B1 (ko) 2018-10-12 2018-10-12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210233034A1 (ko)
KR (1) KR102108504B1 (ko)
WO (1) WO20200759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738B1 (ko) * 2022-02-08 2022-11-16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2131A (ja) * 2015-02-27 2016-09-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診療支援装置、診療支援装置の作動方法及び作動プログラム
KR101891125B1 (ko) * 2016-12-07 2018-08-24 데이터얼라이언스 주식회사 분산된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기여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
JP2018147351A (ja) * 2017-03-08 2018-09-20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知識モデル構築システム及び知識モデル構築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58804A1 (en) * 2011-06-30 2014-02-27 Tiger T G Zhou Method and system for selling products and services via crowdsourcing
KR20140073409A (ko) * 2013-11-04 2014-06-16 조남희 특허 기여도 산출을 위한 기업의 발명 신고 및 관리 시스템
KR102079626B1 (ko) 2017-01-06 2020-04-07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환경에서 생체 인증 기반 경량 상호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한 정보 은닉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2131A (ja) * 2015-02-27 2016-09-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診療支援装置、診療支援装置の作動方法及び作動プログラム
KR101891125B1 (ko) * 2016-12-07 2018-08-24 데이터얼라이언스 주식회사 분산된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기여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
JP2018147351A (ja) * 2017-03-08 2018-09-20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知識モデル構築システム及び知識モデル構築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tat.snu.ac.kr/time/download/%EC%8B%9C%EA%B3%84%EC%97%B4%EB%B6%84%EC%84%9D1%EC%9E%A5%EA%B0%95%EC%9D%98.pdf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5970A1 (ko) 2020-04-16
KR20200044220A (ko) 2020-04-29
US20230027919A1 (en) 2023-01-26
US20210233034A1 (en)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57919B (zh) 基於區塊鏈的個人數據處理方法及電腦裝置
US11023859B2 (en) Using virtual currency to compensate workers in a crowdsourced task
US10853744B2 (en) Distributing a task to multiple workers over a network for completion while providing quality control
US113670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science as a service
US20140244419A1 (en) Implementing Auctions on Social Network Platforms
JP7429102B2 (ja) クイズ方式の質問および回答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200012543A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 및 유통 참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40214607A1 (en) Global currency of credibility for crowdsourcing
Wang et al. A two-level multiple discrete-continuous model of time allocation to virtual and physical activities
Nguyen et al. A marketplace for trading ai models based on blockchain and incentives for iot data
US20200265514A1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communication progra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N111566686A (zh) 数字资产价值管理及运营方法、装置、介质和计算设备
Shang et al. Need for speed, but how much does it cost? Unpacking the fee‐speed relationship in Bitcoin transactions
Calderon et al. The impact of digital infrastructure on African development
KR102108504B1 (ko)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JP2022504324A (ja) イベント入場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Zhan et al. Analysis of collective action propagation with multiple recurrences
JP2003006171A (ja) インターネットを介する並列処理計算委託システム
CN117151859A (zh) 模型训练及评估方法、相关装置、设备、介质及产品
KR20200053448A (ko)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US20200272996A1 (en) Reward based talent management system
US201301170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arket simulation service
US20200265452A1 (en) Computer-implemented referral network and system and method for rewarding users providing referrals
Pham et al. Bid compensation effectiveness analysis based on owner and contractor perspective using game theory approach
Münnich et al. A real-time network-based approach for analysing best–worst data 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