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960B1 -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960B1
KR102107960B1 KR1020180043715A KR20180043715A KR102107960B1 KR 102107960 B1 KR102107960 B1 KR 102107960B1 KR 1020180043715 A KR1020180043715 A KR 1020180043715A KR 20180043715 A KR20180043715 A KR 20180043715A KR 102107960 B1 KR102107960 B1 KR 102107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material
thermoelectric
thermal expansion
thermoelectric pow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0484A (ko
Inventor
문승필
김태완
김성웅
이규형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43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960B1/ko
Priority to PCT/KR2018/007172 priority patent/WO2019203392A1/ko
Publication of KR20190120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01L35/14
    • H01L35/04
    • H01L35/3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1Structural details of the jun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 제조방법은 스커터루다이트계(skutterudite) 열전소재와 열팽창계수(CTE) 차이가 1.5 X 10-6/℃ 이하이며, 주기율표 제6족인 전이금속과 구리를 포함하는 전극소재이고, 상기 전극소재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된다:
[식 1]
xMo(1-x)Cu (0.5 ≤ x ≤ 0.6)
[식 2]
yW(1-y)Cu (0.48 ≤ y ≤ 0.58).

Description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 및 그 제조방법 {AN ELECTRODE MEMBER FOR THERMOELECTRIC GENERATOR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전발전모듈은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장치이다. 한편, 열전현상은 두 물질 사이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재료 접합부 양단에 발열 및 냉각이 이루어지거나(펠티에 효과, Peltier effect), 역으로 두 물질 간의 온도차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제백효과, Seebeck effect)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제백효과를 이용하면, 컴퓨터나 자동차 엔진 등에서 발생한 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고, 펠티에 효과를 이용하면, 냉매가 필요 없는 각종 냉각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열전발전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열전발전모듈(100)은 P형 열전소재(50) 및 N형 열전소재(52)를 포함하고, 상기 P형 및 N형 열전소재(50, 52)는 각각 상부 및 하부에 확산방지층(40), 접합층(30) 및 전극소재(2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전극소재(20)은 절연기판(10)과 접촉한다.
열전발전모듈(100)의 전극소재(20)은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열전소재(50, 52)로 스커터루다이트(skutterudite)계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열전소재(50, 52)와 전극소재(20) 사이의 열팽창계수 차이가 커서, 300℃ 이상의 온도차 조건에서 장시간 구동하는 경우, 상기 열팽창계수 차이로 발생하는 열응력 때문에 열전소재(50, 52)와 전극소재(20)의 접합계면이 파괴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4453호(2014.10.24 공고, 발명의 명칭: 열전성능 향상을 위한 고온부 밀봉구조를 갖는 열전발전모듈)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열전발전모듈의 전극소재와 열전소재와의 열팽창계수차를 최소화하여, 전극소재와 열전소재와의 접합성, 안정성 및 신뢰성이 우수한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전 발전 효율성이 우수한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를 포함하는 열전발전모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열전발전모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열전발전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극소재는 스커터루다이트계(skutterudite) 열전소재와 열팽창계수(CTE) 차이가 1.5 X 10-6/℃ 이하이며, 주기율표 제6족인 전이금속과 구리를 포함하는 전극소재이고, 상기 전극소재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된다:
[식 1]
xMo(1-x)Cu (0.5 ≤ x ≤ 0.6)
[식 2]
yW(1-y)Cu (0.48 ≤ y ≤ 0.58).
한 구체예에서 상기 스커터루다이트계(skutterudite) 열전소재는 CoSb3계, FeSb3계 및 (Fe-Co-Ni)Sb3계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전극소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극소재 제조방법은 구리(Cu) 40~50 중량% 및 몰리브덴(Mo) 50~60 중량%를 포함하는 제1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분말을 방전 플라즈마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전극소재 제조방법은 텅스텐(W) 48~58 중량% 및 구리(Cu) 42~52 중량%를 포함하는 제2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혼합분말을 방전 플라즈마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전 플라즈마 소결은 10~60MPa으로 가압하면서, 800~950℃까지 승온하여 소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승온은 10~300℃/min의 승온속도로 실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혼합분말의 평균입경은 10㎛ 이하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2 혼합분말의 평균입경은 1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전극소재를 포함하는 열전발전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전발전모듈은 상기 전극소재; 및 상기 전극소재에 접합된, 열팽창계수가 10.3 X 10-6/℃ 내지 10.5 X 10-6/℃인 스커터루다이트계 열전소재;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스커터루다이트계(skutterudite) 열전소재는 CoSb3계, FeSb3계 및 (Fe-Co-Ni)Sb3계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접합은 은(Ag)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조성물로 접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스커터루다이트계 열전소재 및 전극소재의 열팽창계수 차이는, 1.5 X 10-6/℃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를 적용시, 열전발전모듈의 발전 효율성이 우수하며, 스커터루다이트계 열전소재와의 열팽창계수 차이를 최소화하여, 전극소재와 열전소재와의 접합성, 안정성 및 신뢰성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열전발전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제조된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의 미세조직을 나타낸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의해 제조된 열전발전모듈에서, 전극소재와 열전소재와의 접합계면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3(b)는 상기 접합계면의 전기저항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를 고온 조건에서 방치한 후 외관을 비교한 사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극소재는 스커터루다이트계(skutterudite) 열전소재와 열팽창계수(CTE) 차이가 1.5 X 10-6/℃ 이하이며, 주기율표 제6족인 전이금속과 구리를 포함하는 전극소재이고, 상기 전극소재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된다:
[식 1]
xMo(1-x)Cu (0.5 ≤ x ≤ 0.6)
[식 2]
yW(1-y)Cu (0.48 ≤ y ≤ 0.58).
상기 열팽창계수 차이에서, 전극소재와 열전소재와의 접합성 및 신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열팽창계수(CTE) 차이가 1.5 X 10-6/℃를 초과하는 경우, 열전소재와 전극소재 간 계면이 분리되며, 열전발전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0~1.2 X 10-6/℃ 일 수 있다.
상기 식 1 및 식 2에 따른 성분 범위에서, 스커터루다이트계 열전소재와 전극소재 열팽창계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고온에서도 열전소재와 전극소재 간 계면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열전 발전 효율이 동시에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극소재의 열팽창계수(CTE)는 9.0 X 10-6/℃ 내지 11.1 X 10-6/℃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고온에서도 열전소재와 전극소재 간 계면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열전 발전 효율이 동시에 우수할 수 있다.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 제조방법은 구리(Cu) 40~50 중량% 및 몰리브덴(Mo) 50~60 중량%를 포함하는 제1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분말을 방전 플라즈마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리(Cu) 및 몰리브덴(Mo)을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 전극소재를 제조시, 열전발전 효율성이 저하되거나, 전극소재와 스커터루다이트계 열전소재와의 열팽창계수 차가 증가하여, 접합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어 열전발전 운전시 전극소재 및 열전소재가 열화되거나 파괴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 제조방법은 텅스텐(W) 48~58 중량% 및 구리(Cu) 42~52 중량%를 포함하는 제2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혼합분말을 방전 플라즈마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텅스텐(W) 및 구리(Cu)를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 전극소재를 제조시, 열전발전 효율성이 저하되거나, 전극소재와 스커터루다이트계 열전소재와의 열팽창계수 차가 증가하여, 접합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어 열전발전 운전시 전극소재 및 열전소재가 열화되거나 파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커터루다이트계 열전소재와 접합되는,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는 열팽창계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고온에서도 열전소재와 전극소재 간 계면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스커터루다이트계(skutterudite) 열전소재는 CoSb3계, FeSb3계 및 (Fe-Co-Ni)Sb3계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n형 스커터루다이트계 열전소재인 Co4Sb12계 합금의 열팽창계수는 약 10.5 X 10-6/℃이고 p형 스커터루다이트계 열전소재인 Fe3 . 4Co0 . 6Sb12계 합금의 열팽창계수는 약 10.3 X 10-6/℃이다.
한편, 상기 구리(Cu)의 열팽창계수는 약 17 X 10-6/℃이며, 상기 구리(Cu) 만을 적용하여 전극소재를 제조하는 경우, 열전소재와 전극소재 사이의 열팽창계수 차이가 40% 이상으로 증가하여, 고온에서 안정적인 계면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열팽창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몰리브덴(Mo)(열팽창계수 약 4.8 X 10-6/℃) 및 텅스텐(W)(열팽창계수 약 4.5 X 10-6/℃)을 적용하여 전극소재를 제조하여, 스커터루다이트 열전소재와의 열팽창계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전소재 및 전극소재 사이의 열팽창계수 차이가 작아야 계면에서 분리되는 문제를 최소화하여 신뢰성이 우수한 열전발전모듈을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혼합분말에 포함되는 몰리브덴 및 구리는, 구형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2 혼합분말에 포함되는 텅스텐 및 구리는, 구형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전극소재 제조시 내구성 및 열전 발전효율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혼합분말에 포함되는 몰리브덴 및 구리의 평균입경은 1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전극소재의 열전 발전 효율과,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이 동시에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평균입경은 5㎛ 이하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2 혼합분말에 텅스텐 및 구리의 평균입경은 1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전극소재의 열전 발전 효율과,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이 동시에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평균입경은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방전 플라즈마 소결(Spark Plasma Sintering; SPS)법을 적용시, 단시간에 목적하는 재료를 제조할 수 있으며, 방전 플라즈마 소결법에 의해 제조된 소결체 형태의 부재의 미세조직은, 혼합분말 상태에서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혼합분말, 또는 제2 혼합분말을 그라파이트 몰드에 장입한 다음, 챔버 내부를 펀치로 1축으로 가압하면서 가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류펄스전류를 인가하여 소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전 플라즈마 소결시 상기 챔버 내부는 1.0 X 10-2 torr 이하의 진공도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진공도 조건에서 소결시 전극소재가 산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전 플라즈마 소결은 상기 제1 혼합분말 또는 제2 혼합분말을 10~60MPa 압력으로 가압하면서, 800~950℃까지 승온하여 소결할 수 있다.
상기 가압 압력이 10MPa 미만인 경우에는 혼합분말 입자 사이에 공극이 많게 되므로 원하는 밀도를 얻을 수 없고, 가압 압력이 60 MP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이상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고 고압에 따른 몰드, 유압장치 등의 설계가 추가됨으로써 설비 제작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온도가 800~950℃까지 승온되면, 일정시간(예를 들면, 5분~10분)을 유지하여 소결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승온되는 온도가 9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입자의 성장으로 인해 전극소재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승온 온도가 800℃ 미만에서 완료되는 경우에는 불완전한 소결로 인해 전극소재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승온은 10~300℃/min의 승온속도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승온속도가 300℃/min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결 온도의 제어가 어려울 수 있고, 승온속도가 310℃/min 미만인 경우에는 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열전발전모듈 제조방법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열전발전모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열전발전모듈 제조방법은 상기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와, 열팽창계수가 10.3 X 10-6/℃ 내지 10.5 X 10-6/℃인 스커터루다이트계(skutterudite) 열전소재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접합은 은(Ag)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페이스트 조성물은 은 및 유기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페이스트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환원제 및 분산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환원제는 하이드라진(hydrazine), 소듐 보론 하이드라이드(sodium boron hydride) 및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분산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C6H9NO)n, PVP),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SDS), 나프탈렌 술폰산 폴리콘덴세이트(Naphathalene sulfonic acid polycondensate) 및 소듐염(sodium sal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스커터루다이트계 열전소재는 Co-Sb계 합금 및 Fe-Co-Sb계 합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열전발전모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열전발전모듈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열전발전모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열전발전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전극소재를 포함하는 열전발전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전발전모듈은 상기 전극소재; 및 상기 전극소재에 접합된, 열팽창계수가 10.3 X 10-6/℃ 내지 10.5 X 10-6/℃인 스커터루다이트계 열전소재;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스커터루다이트계(skutterudite) 열전소재는 CoSb3계, FeSb3계 및 (Fe-Co-Ni)Sb3계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커터루다이트계 열전소재는 n형 열전소재로 열팽창계수가 10.5 X 10-6/℃인 Co4Sb12계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p형 열전소재로 열팽창계수가 10.3 X 10-6/℃인 Fe3.4Co0.6Sb12계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접합은 은(Ag)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조성물로 접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스커터루다이트계 열전소재 및 전극소재의 열팽창계수 차이는, 1.5 X 10-6/℃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열팽창계수 차이에서, 전극소재와 열전소재와의 접합성 및 신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1.2 X 10-6/℃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를 적용시, 열전발전모듈의 발전 효율성이 우수하며, 스커터루다이트계 열전소재와의 열팽창계수 차이를 최소화하여, 전극소재와 열전소재와의 접합성 및 신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1: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제조
평균 입경이 각각 1㎛인, 구형의 몰리브덴(Mo) 55 중량% 및 구리(Cu) 45 중량%를 포함하는 제1 혼합분말을 준비하였다. 상기 제1 혼합분말을 방전 플라즈마 소결 장치를 이용하여 소결하여 전극소재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혼합분말을 그라파이트 몰드에 투입하였다. 그 다음에 1.0 X 10-2 torr 이하의 진공도를 적용한 챔버에 상기 몰드를 장입하고, 펀치를 이용하여 몰드를 1축으로 10~60MPa의 압력으로 가압하면서, 10~300℃/min의 승온속도로 800~950℃까지 승온하였다. 상기 승온완료된 온도를, 5~10분 동안 유지하면서, 상기 몰드의 가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류펄스전류를 인가하여 소결하여, 전극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제조
평균 입경이 각각 1㎛인, 구형의 몰리브덴(Mo) 50 중량% 및 구리(Cu) 50 중량%를 포함하는 제1 혼합분말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극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제조
평균 입경이 각각 1㎛인, 구형의 몰리브덴(Mo) 60 중량% 및 구리(Cu) 40 중량%를 포함하는 제1 혼합분말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극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제조
평균 입경이 각각 1㎛인, 구형의 텅스텐(W) 53 중량% 및 구리(Cu) 47 중량%를 포함하는 제2 혼합분말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극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제조
평균 입경이 각각 1㎛인, 구형의 텅스텐(W) 48 중량% 및 구리(Cu) 52 중량%를 포함하는 제2 혼합분말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극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제조
평균 입경이 각각 1㎛인, 구형의 텅스텐(W) 58 중량% 및 구리(Cu) 42 중량%를 포함하는 제2 혼합분말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극소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6의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에 대하여, 열팽창계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37345140-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는, 열팽창계수가 9.2 X 10-6/℃ 내지 11.1 X 10-6/℃의 범위로 형성되어, 스커터루다이트계 열전소재의 열팽창계수 차이를 최소화하여, 고온에서도 열전소재와 전극소재 간 계면의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의 미세조직을 나타낸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10㎛ 이하의 입자를 포함하는 복합체 구조를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 열전발전모듈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와, 열전소재(n형: Co4Sb12계)를, 은(Ag)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열전발전모듈을 제조하였다.
도 3(a)는, 상기 실시예 7에 의해 제조된 열전발전모듈에서, 전극소재와 열전소재와의 접합계면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3(b)는 상기 접합계면의 전기저항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극소재를 열전소재와 접합시, 접합계면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여 열전발전 효율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
구리(Cu) 전극소재와 열전소재(n형: Co4Sb12계)를 은(Ag)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접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전발전모듈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7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500℃의 온도에서 100 시간 동안 유지한 다음, 전극소재 또는 열전소재의 외관을 관찰하였다. 도 4는 상기 실시예 7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고온 조건에서 방치한 후 외관을 비교한 사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경우, 고온 조건에서도 전극소재 및 열전소재의 내구성이 유지되었으나, 구리 전극소재를 적용한 비교예 1의 경우, 전극소재 및 열전소재가 열팽창계수 차이로 인해 파괴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2)

  1. 스커터루다이트계(skutterudite) 열전소재와 열팽창계수(CTE) 차이가 1.5 X 10-6/℃ 이하이며, 주기율표 제6족인 전이금속과 구리를 포함하는 전극소재이고,
    상기 전극소재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며, 열팽창계수(CTE)가 9.0 X 10-6/℃ 내지 11.1 X 10-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소재:
    [식 1]
    xMo(1-x)Cu (0.5 ≤ x ≤ 0.6)
    [식 2]
    yW(1-y)Cu (0.48 ≤ y ≤ 0.58).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터루다이트계(skutterudite) 열전소재는 CoSb3계, FeSb3계 및 (Fe-Co-Ni)Sb3계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소재.
  3. 구리(Cu) 40~50 중량% 및 몰리브덴(Mo) 50~60 중량%를 포함하는 제1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분말을 방전 플라즈마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소재 제조방법이며,
    상기 제조된 전극소재는 열팽창계수(CTE)가 9.0 X 10-6/℃ 내지 11.1 X 10-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소재 제조방법.
  4. 텅스텐(W) 48~58 중량% 및 구리(Cu) 42~52 중량%를 포함하는 제2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혼합분말을 방전 플라즈마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소재 제조방법이며,
    상기 제조된 전극소재는 열팽창계수(CTE)가 9.0 X 10-6/℃ 내지 11.1 X 10-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소재 제조방법.
  5. 제3항 및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플라즈마 소결은 10~60MPa으로 가압하면서, 800~950℃까지 승온하여 소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소재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온은 10~300℃/min의 승온속도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소재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분말의 평균입경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소재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혼합분말의 평균입경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소재 제조방법.
  9. 제1항의 전극소재; 및
    상기 전극소재에 접합된, 열팽창계수가 10.3 X 10-6/℃ 내지 10.5 X 10-6/℃인 스커터루다이트계 열전소재;를 포함하는 열전발전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터루다이트계(skutterudite) 열전소재는 CoSb3계, FeSb3계 및 (Fe-Co-Ni)Sb3계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발전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은 은(Ag)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조성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발전모듈.
  12. 삭제
KR1020180043715A 2018-04-16 2018-04-16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07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15A KR102107960B1 (ko) 2018-04-16 2018-04-16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8/007172 WO2019203392A1 (ko) 2018-04-16 2018-06-25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15A KR102107960B1 (ko) 2018-04-16 2018-04-16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484A KR20190120484A (ko) 2019-10-24
KR102107960B1 true KR102107960B1 (ko) 2020-05-07

Family

ID=68239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715A KR102107960B1 (ko) 2018-04-16 2018-04-16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7960B1 (ko)
WO (1) WO20192033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97335A (zh) * 2022-01-20 2022-05-13 济南大学 一种方钴矿热电材料电极以及方钴矿热电材料与电极的连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7170A1 (en) * 2004-07-23 2006-01-26 Lidong Chen CoSb3-based thermoelectric device fabrication method
KR101801367B1 (ko) * 2017-09-01 2017-11-2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전소자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47953A1 (en) * 2012-03-23 2013-09-26 Trustees Of Boston College Electrode materials and configurations for thermoelectric devices
JP6193709B2 (ja) * 2013-09-30 2017-09-06 日本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熱電変換モジュール
WO2017057259A1 (ja) * 2015-09-28 2017-04-0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熱電変換モジュール及び熱電変換装置
KR102067712B1 (ko) * 2015-12-24 2020-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전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7170A1 (en) * 2004-07-23 2006-01-26 Lidong Chen CoSb3-based thermoelectric device fabrication method
KR101801367B1 (ko) * 2017-09-01 2017-11-2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전소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03392A1 (ko) 2019-10-24
KR20190120484A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011B1 (ko) 열전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2094995B1 (ko) 열전모듈, 이를 구비한 열전장치, 및 열전모듈의 제조방법
JP6182889B2 (ja) 熱電変換モジュールおよび熱電変換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1122319C (zh) 热电转换元件
KR102429486B1 (ko) 열전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0477B1 (ko) 열전소자용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열전소자의 제조방법, 및 열전소자
EP3432371B1 (en) Magnesium-based thermoelectric conversion material, magnesium-based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gnesium-based thermoelectric conversion material
WO2014159572A1 (en) Thermoelectric device fabrication using direct bonding
JP5463204B2 (ja) 熱電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熱電モジュール
KR102101474B1 (ko) 금속 페이스트 및 열전 모듈
KR102107960B1 (ko) 열전발전모듈용 전극소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6339284A (ja) 熱電モジュール
JP4584034B2 (ja) 熱電モジュール
US20150228880A1 (en) Thermoelectric element, thermoelectric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moelectric element
JP5689719B2 (ja) BiTe系多結晶熱電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電モジュール
KR101468991B1 (ko) 열전 소자 재료,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열전 소자 장치
KR20170071354A (ko) 금속 페이스트 및 열전 모듈
KR101375620B1 (ko) 계면 정합이 우수한 열전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09560185B (zh) 热电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485319B1 (ko) Mg-Si계 열전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4643371B2 (ja) 熱電モジュール
KR102045716B1 (ko) 열전모듈용 전극소재, 이를 포함하는 열전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3432B1 (ko) Mg-Si계 열전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8400B1 (ko) 계면 정합 특성이 개선된 열전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35358A (ko) 열전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