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865B1 - 주름 개선 효과에 관해 화장료를 평가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주름 개선 효과에 관해 화장료를 평가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865B1
KR102107865B1 KR1020147026135A KR20147026135A KR102107865B1 KR 102107865 B1 KR102107865 B1 KR 102107865B1 KR 1020147026135 A KR1020147026135 A KR 1020147026135A KR 20147026135 A KR20147026135 A KR 20147026135A KR 102107865 B1 KR102107865 B1 KR 102107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nkles
stratum corneum
cosmetic
sheet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8746A (ko
Inventor
이치로 이와이
유스케 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40138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82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 G01N33/5088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of vertebr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3Visual insp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4Hybrid rea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2Circuits of general importance; Signal proces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sme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후보 화장료의 각질층의 주름 개선 능력을, 신속하고 또한 대규모로 실시할 수 있는 화장료의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접은 주름이 형성된 각질층 시트를 후보 화장료에 침지시키고, 건조 후의 접은 주름의 소실을 확인하는 것에 의한 후보 화장료의 주름 개선 효과에 관한 평가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목적이 달성된다.

Description

주름 개선 효과에 관해 화장료를 평가하는 방법{METHOD FOR EVALUATING COSMETIC FOR EFFECTIVENESS IN IMPROVING WRINKLES}
본 발명은 화장료의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주름 개선 효과에 관해 화장료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이가 듦에 따라 피부 노화의 한 현상으로서 주름이 증가하는데, 미용 등의 관점에서 특히 여성에게 있어서 주름의 방지 및 개선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주름은, 크게 나누어, 각질층을 포함하는 표피의 기능 저하에 의해 발생하는 잔주름과, 표피보다 깊은 진피의 기능 저하에 의해 발생하는 큰주름(또는 표정 주름)으로 나누어진다. 각질층을 포함하는 표피의 기능 저하에 의해 생기는 주름은, 주로 나이듦, 자외선, 낮은 온도, 낮은 습도 등의 영향으로 표피의 수분 유지 기능이 저하됨으로써 생긴다. 한편, 진피의 기능 저하에 의해 생기는 주름은, 노화나 자외선, 그리고 기계적 스트레스의 영향으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MMP)가 증감함으로써, 콜라겐이나 엘라스틴으로 이루어지는 피부의 탄력 구조 상태가 무너짐으로써 생긴다고 되어 있다(특허문헌 1, 비특허문헌 1, 2 및 3). 피부에 생긴 잔주름의 홈이 깊게 파임으로써 큰주름으로 이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어(비특허문헌 4), 잔주름과 큰주름은 각각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건조가 심한 겨울철에 잔주름이 발생하기 쉬운 것은, 많은 사람에게 있어 공통된 인식이며, 잔주름의 예방·개선을 위해서는, 화장료, 특히 화장수, 유액, 크림, 미용액 등으로 보습을 행하는 것, 그리고 가습기를 이용하여 가습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보습을 목적으로 한 화장료로는 특히, 글리세린이나 히알루론산 등의 보습제를 포함하는 화장료가 사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건조 표피를 이용한 거친 피부 모델을 이용하여, 각질층 투명도를 높이는 후보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특허문헌 2)이나, 각질층 세포간 지질의 구조 변화를 지표로 하여 피부 배리어 기능 개선 또는 향상되는 후보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특허문헌 3)이 알려져 있었다. 이들 방법은, 각질층 투명도나 피부 배리어 기능을 개선하는 후보 물질을 스크리닝하고 있지만, 주름을 개선하는 후보 물질의 스크리닝에 관한 기재는 없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01229호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72200호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75264호 특허문헌 4 :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19428호
비특허문헌 1 : Arch Dermatol Res (2002)294:405-410 비특허문헌 2 : Cell Motil Cytoskeleton 2000 Jan; 45(1):1-9 비특허문헌 3 : Matrix Biol. 2001 Nov; 20(7):397-406 비특허문헌 4 : Skin Research and Technology 2011; 17:135-140
각질층에 형성된 주름을, 수복할 수 있는 화장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고, 후보 화장료의 각질층의 주름 개선 능력을, 신속하고 또한 대규모로 실시할 수 있는 화장료의 평가 방법이 필요시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각질층을 포함하는 표피의 기능 저하에 의해 발생하는 잔주름의 발생 메카니즘에 관해 예의 연구를 행한 바, 정착성 잔주름은, 각질층의 기능 저하와 피부 밑에 존재하는 근육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한 비정착성 각질층성의 주름(본 명세서에 있어서 「잔류 주름」으로 정의함)의 홈이, 입욕이나 화장료에 의한 보습 등에 의해 충분히 회복되지 않은 채로 장시간 경과함으로써 생기는 것을 발견했다(도 1). 구체적으로, 각질층에 생긴 비정착성의 잔류 주름은, 피부 중에서 특히 단단한 각질층에 형성된 접은 자국으로, 단단한 각질층의 홈이 기계적 스트레스가 되어 표피의 홈으로 정착함으로써 잔류 주름보다 깊은 표피성의 잔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발견했다.
잔주름은, 각질층을 포함하는 표피의 기능 저하에 의해 발생하고, 주로 겨울철의 건조에 의해 생기는 것이 경험상 알려져 있다. 잔주름에 대해서는, 화장수나 유액을 이용하여 충분히 보습을 행함으로써, 잔주름을 수복·개선할 수 있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 일단 각질층보다 내부의 표피(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에까지 잔주름이 정착해 버리면, 보습을 행하더라도, 일시적으로는 잔주름이 소멸되지만 시간이 지나면 잔주름이 출현하게 된다. 이러한 표피에 정착한 잔주름을 방치해 두면, 또한 표피 속 진피에서의 콜라겐이나 엘라스틴 등의 구조 변화를 수반하는 큰주름을 유도하는 원인이 되고, 큰주름에 대해서는 보습을 행하더라도 수복이 어려운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종래는, 표피의 구조 변화를 수반하는 잔주름에 관해, 보습에 의해 수복 가능한 가벼운 정도의 것과, 보습에 의해서도 일시적으로밖에 주름이 소실되지 않는 무거운 정도의 것이 있다고 막연하게 인식되고, 어느 쪽이든 잔주름의 예방에는 보습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으며, 잔주름을 수복할 수 있는 화장료의 평가를 적절히 행하고 있지 못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해, 표피의 구조 변화를 수반하는 주름 중, 보습에 의해 수복 가능한 가벼운 정도의 것은, 각질층에만 구조 변화가 생긴 주름(잔류 주름)이고, 보습에 의해서도 일시적인 회복밖에 기대할 수 없는 무거운 정도의 것은, 각질층 외에,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을 포함한 표피에 구조 변화가 생긴 주름(본 명세서에서 「잔주름」 또는 「정착성 잔주름」으로 정의함)인 것이 발견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잔류 주름은, 각질층 이외의 표피 및 진피에 있어서 구조 변화가 일어난 것은 아니고, 피하 근육의 움직임에 의해, 건조 등에 의해 기능이 저하된 각질층에 대하여, 접은 자국이 형성된 상태이다. 이러한 접은 자국을 방치하고 있으면, 접은 자국이 기계적 스트레스가 되어, 각질층을 포함한 표피에 구조 변화가 생겨, 정착성 잔주름으로 이행해 버린다. 또 긴 기간을 두고 잔주름이 큰주름으로 이행하는 것은 알려져 있고(비특허문헌 4), 따라서, 화장료의 개발에 있어서, 잔류 주름에서의 각질층의 접은 자국을 수복 가능한 화장료를 개발하는 것이, 정착성 잔주름 형성의 예방, 나아가서는 큰주름 형성의 예방에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화장료는, 잔류 주름에 의한 기계적 스트레스를 해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러한 화장료를 어느 정도 긴 기간 연용함으로써, 이미 표피에 정착한 잔주름이나 진피에 정착한 큰주름에 대해서도 개선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이 잔류 주름에 관해 예의 연구를 행한 바, 놀랍게도 각질층 시트를 사용하여 잔류 주름을 모델화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즉, 각질층 시트에 접은 주름을 형성한 상태야말로, 실로 각질층에 대하여, 피하 근육의 움직임에 의해 접은 자국이 형성된 상태인 잔류 주름을 모델화한 것이며, 이 접은 주름을 적절히 수복 가능한 화장료는, 주름, 특히 잔류 주름을 적절히 수복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정착성 잔주름 및 큰주름의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접은 주름이 형성된 각질층 시트를, 후보 화장료에 침윤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주름 개선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후보 화장료의 주름 개선 효과에 관한 평가 방법을 발명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은, 이하의 것에 관한다:
(1) 각질층 시트에 접은 주름을 형성하는 공정;
후보 화장료에 침지하는 공정;
건조시키는 공정; 및
각질층 시트의 접은 주름의 개선도를 측정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후보 화장료의 주름 개선 효과에 관한 평가 방법.
(2) 항목 1에 있어서, 접은 주름 개선도의 측정이 눈으로 확인하는 것에 의해 행해지는 것인 평가 방법.
(3) 항목 1에 있어서, 후보 화장료에 대한 침지 공정 전 및 건조 공정 후에, 각질층 시트를 촬영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인 평가 방법.
(4) 항목 3에 있어서, 접은 주름 개선도의 측정이, 촬영된 각질층 시트의 화상 처리에 의해 행해지는 것인 평가 방법.
(5) 항목 1 내지 항목 4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있어서, 주름 개선 효과가 잔류 주름의 개선 효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평가 방법.
종래에는, 주름의 평가에 동물 모델이나, 실제 인간의 피부에 대하여 시험을 행할 필요가 있어, 개체차의 문제나, 윤리상의 문제나, 시험 수에 한계가 있었던 바, 본 발명에서는, 각질층 시트를 이용하여, 후보 화장료를 평가할 수 있는 점에서, 제품 개발시에 대규모로 균질의 스크리닝이 가능해져, 제품 개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인간의 얼굴 피부에서의 잔류 주름의 형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각질층 시트 주름 모델에서의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생체 내(in vivo)에서의 표정 운동 전후의 주름 상태, 및 표정 운동 직후에 모델 화장수 도포 후의 주름 상태를 대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양태로서, 본 발명은, 후보 화장료의 주름 개선 효과에 관한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평가 방법은, 이하의 공정:
각질층 시트에 접은 주름을 형성하는 공정;
후보 화장료에 침지하는 공정;
건조시키는 공정; 및
각질층 시트의 접은 주름의 개선도를 측정하는 공정
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후보 화장료란, 주름의 개선에 효과를 가질 가능성이 있는 화장료를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보 화장료는, 특히 화장수, 유액, 크림, 미용액을 말하지만, 피부의 개선을 직접적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피부에 도포되는 것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예컨대, 자외선 차단제, 방충제, 탈모제, 육모제, 셰이빙 로션이나 애프터 셰이빙 로션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각질층 시트에 대한 침윤, 건조를 통해 주름 개선 효과가 발휘되는 관점에서, 수성의 화장료, 예컨대 화장수나 미용액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주름 개선 효과란, 피부에 형성된 주름이 소실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서는, 각질층에 생긴 접은 자국인 잔류 주름의 소실 또는 감소가 바람직하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질층을 포함한 표피의 구조 변화를 수반하는 잔주름, 및 진피의 구조 변화를 수반하는 큰주름이 소실, 또는 감소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질층 시트는, 생체의 피부로부터 조제한 각질층 시트(조제 각질층 시트)나, 세포 배양에 의해 얻어진 각질층 시트(이하, 배양 각질층 시트라고 함)를 가리키지만, 대규모로 또한 균일하게 스크리닝하는 관점에서는, 배양 각질층 시트가 바람직하다.
조제 각질층 시트의 유래는 한정되지 않지만, 특히 인간의 피부에서의 각질층으로부터 조제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과적 수단 등의 침습적인 방법에 의해 취득된 것이어도 좋다.
배양 각질층 시트란, 생체 외(in vitro) 배양에 의해 얻어진 각질층의 시트를 말하며, 인간 등의 피부로부터 채취한 피부 조직을 배양하여 유지한 것으로부터 단리된 각질층 시트나, 섬유 아세포, 또는 간세포(幹細胞)(예컨대 상피 간세포, 배성 간세포, 유도 다능성 간세포)로부터 생체 외에서 분화된 섬유 아세포를, 콜라겐, 피브린, 폴리젖산 등의 폴리머나, 키틴, 키토산, 콘드로이틴황산, 히알루론산 등의 다당류에 의해 구성된 배양 지지체 상에서 배양하여 얻어진 3차원 배양 피부로부터 얻어진 각질층 시트가 포함된다. 각질층 시트는, 배양 하에서 유지된 피부 조직으로부터, 칼슘 이온 및 마그네슘 이온 농도를 제어한 생리 식염수 중에서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해 처리하는 등의 수법을 이용하여 단리된다. 3차원 배양 피부로서, LabCyteEPI-MODEL(주식회사 재팬·티슈·엔지니어링)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인간 3차원 배양 표피 모델 제품이 이용된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3차원 배양 표피 모델 제품으로부터 얻어진 배양 각질층 시트는, 로트(lot)간의 차이가 적기 때문에 상이한 로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평가 방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로트간의 차이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배양 각질층 시트를 몇 개의 시트 조각으로 절단하여, 본 발명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질층 시트를 손으로 접은 주름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일정한 접은 주름을 형성하기 위해, 힌지부를 갖는 판을 이용하여, 판을 일정한 각도까지 접음으로써 접은 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예정하는 접은 주름의 깊이에 의해, 임의의 각도를 선택할 수 있고, 예컨대 30°, 45°, 60°, 75°, 90°, 120°, 135°, 150°, 180°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질층 시트는, 화장료를 통상 이용하는 온도역에서 후보 화장료에 침지된다. 침지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후보 화장료를 사용하는 지역의 온도에 맞추어 설정할 수 있고, 통상은, 10℃∼40℃, 바람직하게는 15℃∼3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30℃의 범위이다. 침지 시간은, 임의의 시간이 선택되어도 좋지만, 침지 시간을 짧게 하면, 보다 주름 개선 능력이 높은 후보 화장료를 스크리닝할 수 있다. 침지 시간으로서, 10초, 15초, 30초, 1분, 2분, 3분, 5분, 10분, 20분, 30분, 45분, 1시간, 1.5시간, 2시간, 3시간, 또는 그 이상의 시간, 예컨대 4시간, 8시간, 12시간, 24시간 등이 선택될 수 있다. 후보 화장료의 피부에 대한 도포가 예정되는 경우, 피부에 도포된 후보 화장료는 통상 비교적 짧은 시간에 증발하기 때문에, 10초∼2분 정도의 비교적 짧은 침지 시간이 선택된다. 한편, 후보 화장료가 팩 등을 이용하여 적용되는 경우에는, 10분, 20분, 30분∼하룻밤과 같은 보다 긴 시간이 선택된다. 침지란, 후보 화장료와 접촉되면 되고, 적하나 도포에 의해 후보 화장료와 접촉시키는 공정이어도 좋다.
후보 화장료에 포함될 수 있는 성분에는, 기제로서 물, 에탄올,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알콜류, 보습제로서 글리신, 베타인, 피롤리돈카르복실산 Na 등의 아미노산류, 프룩토오스, 말티톨, 만니톨, 트레할로오스 등의 당류, 계면 활성제로서 올레산글리세릴,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 식물 엑기스, 유분으로서 호호바 오일, 동백 오일, 올리브 오일, 스쿠알란 등, 또한 유효 성분으로서 히알루론산, 콜라겐, 세라미드,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E 등, 그리고 부형제로서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 젖산나트륨, 방부제로서 안식향산염, 소르브산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 화장료에 이용되는 성분의 어느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침지에 의해 후보 화장료에 침윤된 각질층 시트는, 소정의 침지 시간 후에, 건조된다. 건조 공정은, 임의의 온도 및 습도에서 행해져도 좋지만, 통상 후보 화장료가 사용될 것이 예측되는 온도 및 습도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온도 및 습도는, 후보 화장료가 판매되는 지역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각각 독립적으로 10℃∼40℃, 바람직하게는 15℃∼3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30℃, 그리고 습도 30∼90%, 바람직하게는 40∼8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60%의 범위가 선택된다. 스크리닝 시간을 단축하는 관점에서, 통상 후보 화장료가 사용될 것이 예측되는 온도 및 습도보다 높은 온도 및/또는 낮은 습도에서 건조 공정이 행해져도 좋다.
각질층 시트의 접은 주름 개선도의 측정은, 접은 주름의 소실 정도를 눈으로 확인하는 것에 의해 평가함으로써 행해진다. 예컨대 기준 용액, 예컨대 10% 글리세린 수용액을 이용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접은 주름의 부가 공정, 침지 공정, 및 건조 공정을 거친 경우의 접은 주름의 소실 정도를 기준으로 하여, 기준과 동등하거나 또는 기준보다 접은 주름이 소실되어 있는 것을, 우수한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후보 화장료로서 스크리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기준보다 접은 주름이 소실되어 있지 않은 것은, 주름 개선 효과를 갖지 않는 후보 화장료로 판정된다. 여기서 기준 용액으로는 임의의 용액이 선택될 수 있지만, 이미 시판되고 있는 화장료, 미용액 등을 기준 용액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은 주름 개선도의 측정은, 접은 주름의 소실 정도를 화상 처리에 의해 평가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접은 주름 개선도의 측정 공정에서, 각질층 시트를 촬영하는 공정, 2치화 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더욱 포함해도 좋다. 2치화 처리를 행함으로써, 접은 주름의 소실 정도를 수치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많은 후보 약제를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하는 관점에서는, 화상 처리에 의한 평가가 바람직하다.
이하, 구체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 잔류 주름의 형성
1명의 피험자에 있어서, 비누로 세안 후, 인공 기후실(온도 22∼24℃, 습도 10∼45% RH) 안에서 10∼30분간 순화를 행하고, 순화 후에, 눈가의 주름을 촬영했다(도 1 좌측). 계속해서, 강하게 눈을 감고 뜨는 동작을 5초마다 10회 행하고, 이것을 표정 운동으로 했다. 표정 운동 직후의 눈가의 주름을 촬영했다(도 1 우측). 도 1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정 운동 직후에서, 원래 존재하는 큰주름을 연장하도록 잔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 2 : 접은 주름의 개선에 대한 후보 약제의 스크리닝
주식회사 재팬·티슈·엔지니어링으로부터 인간 표피 재구성 모델을 구입했다. 이것을 트립신 처리하고 각질층 시트를 32℃, 습도 60%에서 건조시켜 투명한 각질층 시트를 얻었다. 이것을 각도 90도로 접어 구부리고, 원래대로 되돌림으로써 각질층 시트에 접은 주름을 형성시켰다. 접은 주름 부분은, 각질층 투명도가 저하되어 있어, 손상 부위가 가시화되었다(도 2 사진 좌측). 접은 주름이 형성된 각질층 시트를, 표정 변화에 의해 피부가 신축했을 때에 피부 표면에서 생기는 잔류 주름의 모델로 하여, 미용법 또는 화장료의 평가에 사용했다. 접은 주름이 형성된 각질층 시트를, 실온(23℃)에서 모델 화장수(10% 글리세린, 3% 에틸알콜, 0.3% HCO60(폴리에틸렌글리콜(60) 수소 첨가 경화 피마자유 에테르(닛코 케미컬즈 주식회사)), 0.09% 시트르산나트륨, 0.01% 시트르산), 또는 에탄올에 30분간 침지하고, 이것을 32℃, 습도 60%에서 18시간 건조시키고, 사진을 촬영했다(도 2). 그 결과, 모델 화장수 쪽이, 각질층 접은 주름의 수복에 대하여 유효한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 3 : 생체 내에서의 표정 운동에 의한 주름의 형성, 및 모델 화장수 도포에 의한 주름의 개선
1명의 피험자에 있어서, 비누로 세안 후, 인공 기후실(온도 22∼24℃, 습도 10∼45% RH) 안에서 10∼30분간 순화를 행하고, 순화 직후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피부 레플리카(replica)를 채취했다. 다음으로 패널(panel)에게 표정 운동(강하게 눈을 감는 동작을 복수회)을 행하게 한 후의 레플리카를 채취했다. 그 후, 모델 화장수를 도포하고, 그 10분 후에 앞서 행한 방법에 의해 레플리카를 채취했다. 채취한 레플리카에 관해서는, 특허문헌 4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작성한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3차원 화상 해석을 행하여, 주름의 면적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도 3에 도시한다. 이 실험에 의해, 표정 운동에 의해 형성된 잔류 주름은, 모델 화장수의 도포 등에 의해 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 생체 내의 실험에 있어서도 밝혀지고, 접은 주름이 형성된 각질층 시트가, 적절히 잔류 주름을 모델화하고 있고, 본원 발명의 접은 주름이 형성된 각질층 시트에 의한 화장료 또는 미용법의 스크리닝 방법에 의해 선별된 화장료가 실제로 생체 내의 실험에 있어서도 주름을 개선 가능한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이, 통상이라면, 화장료의 주름에 대한 개선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수 명∼수십 명의 모니터에 대하여 수주간에 걸친 후보 화장료를 사용하는 모니터 시험이 필요했던 바, 접은 주름이 형성된 각질층 시트를 잔류 주름의 모델로 함으로써, 주름에 대한 개선 효과를 갖는 후보 화장료를 간이하고 또한 간편하게 1차 스크리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5)

  1. 배양 각질층 시트에 접은 주름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배양 각질층 시트를 후보 화장료에 침지하는 공정;
    상기 배양 각질층 시트를 건조시키는 공정; 및
    상기 배양 각질층 시트의 접은 주름의 개선도를 측정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후보 화장료의 주름 개선 효과에 관한 평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접은 주름 개선도의 측정이 눈으로 확인하는 것에 의해 행해지는, 평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후보 화장료에 침지 공정 전 및 건조 공정 후에, 배양 시트를 촬영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평가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접은 주름 개선도의 측정이, 촬영된 배양 시트의 화상 처리에 의해 행해지는, 평가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름 개선 효과가 잔류 주름의 개선 효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 방법.
KR1020147026135A 2012-03-27 2013-03-06 주름 개선 효과에 관해 화장료를 평가하는 방법 KR102107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71065A JP5945142B2 (ja) 2012-03-27 2012-03-27 しわ改善効果について化粧料を評価する方法
JPJP-P-2012-071065 2012-03-27
PCT/JP2013/056174 WO2013146151A1 (ja) 2012-03-27 2013-03-06 しわ改善効果について化粧料を評価す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746A KR20140138746A (ko) 2014-12-04
KR102107865B1 true KR102107865B1 (ko) 2020-05-07

Family

ID=49259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135A KR102107865B1 (ko) 2012-03-27 2013-03-06 주름 개선 효과에 관해 화장료를 평가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488590B2 (ko)
EP (1) EP2833124B1 (ko)
JP (1) JP5945142B2 (ko)
KR (1) KR102107865B1 (ko)
CN (1) CN104185785B (ko)
ES (1) ES2581292T3 (ko)
HK (1) HK1204064A1 (ko)
IN (1) IN2014MN01833A (ko)
RU (1) RU2610215C2 (ko)
TW (1) TWI558867B (ko)
WO (1) WO20131461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2739B2 (en) 2016-03-04 2021-10-12 The University Of Toledo Loading platform for three-dimensional tissue engineered scaffolds
KR102429838B1 (ko) * 2016-03-11 2022-08-05 (주)아모레퍼시픽 피부결 블랍을 기초로한 피부결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RU2690908C2 (ru) * 2017-11-22 2019-06-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Ижев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медицинская академия"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оценки косметологических процедур на коже лица
CN109271963A (zh) * 2018-10-10 2019-01-25 杭州德肤修生物科技有限公司 基于时间序列图像比对的化妆品功效量化评价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3405A (ja) 2002-06-10 2004-06-10 L'oreal Sa 化粧品の光拡散能力及び(又は)光吸収能力の測定方法
US20070243520A1 (en) 2006-04-18 2007-10-18 Kao Corporation Method for screening an agent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wrinkles
EP2209005A1 (fr) 2009-01-13 2010-07-21 L'oreal Utilisation de formes complexes de la protéine de type calmodulin-like skin protein CLSP
JP2011232290A (ja) 2010-04-30 2011-11-17 Pola Chem Ind Inc テラヘルツ波を用いた皮膚角層成分の計測方法
JP2012032287A (ja) 2010-07-30 2012-02-16 Shiseido Co Ltd 真皮黄色化の評価モデ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6136A (ko) * 1997-03-11 2000-12-26 스즈키 츠네시 피부 상태 개선제의 평가 방법 및 피부 외용제의 제조 방법
JP3589558B2 (ja) * 1997-12-15 2004-11-17 株式会社資生堂 人工角層
US6495126B1 (en) * 1999-07-20 2002-12-17 Mary Kay Inc. Treatment and composition for achieving skin anti-aging benefits by corneum protease activation
JP2003201229A (ja) 2001-10-23 2003-07-18 Shiseido Co Ltd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抗老化用化粧料
EP1428523A1 (en) * 2002-11-29 2004-06-16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Skin cosmetics
TWI256893B (en) * 2003-03-25 2006-06-21 Fancl Corp Composition for promoting production of type I collagen and/or elastin
JP2009139335A (ja) * 2007-12-10 2009-06-25 Shiseido Co Ltd 培養皮膚シワモデル、その製造方法及び抗シワ薬剤評価方法
JP2010119428A (ja) 2008-11-17 2010-06-03 Shiseido Co Ltd 肌状態解析方法、肌状態解析装置、肌状態解析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2010172200A (ja) 2009-01-27 2010-08-12 Shiseido Co Ltd 乾燥させた表皮を用いた肌荒れモデル、及びこれを用いた角層透明度を高める薬剤の評価方法
JP5399726B2 (ja) 2009-01-27 2014-01-29 株式会社 資生堂 生体組織の脂質構造の計測方法及び表皮の脂質構造の評価装置
WO2012116081A2 (en) * 2011-02-22 2012-08-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identifying cosmetic agents for skin care compositions
JP2014163405A (ja) * 2013-02-21 2014-09-08 Osaka Gas Co Ltd 手動操作式バルブ用の開閉操作治具とその治具を使用して手動操作式バルブを閉じるバルブ閉止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3405A (ja) 2002-06-10 2004-06-10 L'oreal Sa 化粧品の光拡散能力及び(又は)光吸収能力の測定方法
US20070243520A1 (en) 2006-04-18 2007-10-18 Kao Corporation Method for screening an agent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wrinkles
EP2209005A1 (fr) 2009-01-13 2010-07-21 L'oreal Utilisation de formes complexes de la protéine de type calmodulin-like skin protein CLSP
JP2011232290A (ja) 2010-04-30 2011-11-17 Pola Chem Ind Inc テラヘルツ波を用いた皮膚角層成分の計測方法
JP2012032287A (ja) 2010-07-30 2012-02-16 Shiseido Co Ltd 真皮黄色化の評価モデ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04064A1 (en) 2015-11-06
JP2013205053A (ja) 2013-10-07
EP2833124B1 (en) 2016-06-29
US9488590B2 (en) 2016-11-08
CN104185785B (zh) 2016-08-24
US20150168308A1 (en) 2015-06-18
ES2581292T3 (es) 2016-09-05
EP2833124A1 (en) 2015-02-04
JP5945142B2 (ja) 2016-07-05
IN2014MN01833A (ko) 2015-07-03
CN104185785A (zh) 2014-12-03
TWI558867B (zh) 2016-11-21
EP2833124A4 (en) 2015-11-11
RU2014143023A (ru) 2016-05-20
TW201339382A (zh) 2013-10-01
KR20140138746A (ko) 2014-12-04
WO2013146151A1 (ja) 2013-10-03
RU2610215C2 (ru)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7914B2 (ja) 皮膚をひきしめる効果のある化粧組成物
ES2549534T3 (es) Utilización de un agente natural en composiciones cosméticas
Mehling et al. Comparative studies on the ocular and dermal irritation potential of surfactants
ES2701598T3 (es) Utilización de sustancias activas naturales en composiciones cosméticas o terapéuticas
RU2605300C2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косметических средств
Korponyai et al. Effects of Locally Applied Glycerol and Xylitol on the Hydration, Barrier Function and Morphological Parameters of the Skin.
KR102107865B1 (ko) 주름 개선 효과에 관해 화장료를 평가하는 방법
Campiche et al. Skin filling and firming activity of a hyaluronic acid inducing synthetic tripeptide
JP2007008912A (ja) 生活リズム恒常性維持のための美容施術方法
Doi et al. Defensive effects of a unique polysaccharide, sacran, to protect keratinocytes against extracellular stimuli and its possible mechanism of action
Roberts et al. Skin hydration-a key determinant in topical absorption
JP2009234986A (ja) 相乗効果水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2246863B1 (ko) 변성 스타치를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각질 제거용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2021518419A (ja) 美容用局所適用のための乾燥フィルムの使用
US20240173240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eramides and sphingolipid
CN111195213A (zh) 一种氯化锶、多肽复合制剂的制备方法及应用
JP2017072397A (ja) 毛髪ケラチンフィルムを用いた化粧料の機能性評価方法
Simion et al. Hand and body lotions
CN111202687A (zh) 用于回复皮肤屏障功能或预防皮肤炎症的组合物及其方法
CN109620745A (zh) 一种抗氧化且抗初衰的面部精华组合物
Bronaugh Cosmetics and Skin Barrier Integrity
BR102017010608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método para o cuidado da pele, uso cosmético e produto cosmético para o cuidado da pele
Sedlačíková Vliv tenzidových prostředků na hydrataci kůže
ER Occlusion and
Neudecker et al. Hyaluronan (hyaluronic ac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