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746B1 - 펌핑 구조가 구비된 열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펌핑 구조가 구비된 열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746B1
KR102107746B1 KR1020180055375A KR20180055375A KR102107746B1 KR 102107746 B1 KR102107746 B1 KR 102107746B1 KR 1020180055375 A KR1020180055375 A KR 1020180055375A KR 20180055375 A KR20180055375 A KR 20180055375A KR 102107746 B1 KR102107746 B1 KR 102107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fluid
cooling
liquid state
heat trans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800A (ko
Inventor
이성재
류성욱
박현식
최기용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55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746B1/ko
Priority to EP18919079.6A priority patent/EP3794614B1/en
Priority to PCT/KR2018/014905 priority patent/WO2019221351A1/en
Priority to US17/054,910 priority patent/US20210225535A1/en
Publication of KR20190130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24Promoting flow of the coo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5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having non-capillary condensate retur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66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separate evaporating and condensing chambers connected by at least one conduit; Loop-type heat pipes; with multiple or common evaporating or condensing chamb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18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2015/0216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having particular orientation, e.g. slanted, or being orientation-independ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54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nuclea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핑 구조가 구비된 열 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원 없어도 냉각부의 작동 유체가 상향 이동 가능하고, 작동 유체 회수 시 중력을 이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열원을 가열부에 적용할 수 있는 펌핑 구조가 적용된 열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가열해서 기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로부터 공급된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냉각해서 액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냉각부와,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가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가압하도록 상기 가열부와 상기 냉각부 사이를 연통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냉각부에서 공급되는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상기 가열부로 이동시키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열 전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펌핑 구조가 구비된 열 전달 장치{Heat transferring device with pumping structure}
본 발명은 펌핑 구조가 구비된 열 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원 없어도 냉각부의 작동 유체가 상향 이동 가능하고, 작동 유체 회수 시 중력을 이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열원을 가열부에 적용할 수 있는 펌핑 구조가 적용된 열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온부의 열을 저온부로 전달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열 전달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열 전달 장치 중 하나인 히트파이프는 전도성 재질의 관 내부에 작동 유체가 수용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열이 관의 일측으로 공급되면 이로 인해 작동 유체가 기체 상태로 증발하게 되며, 증발된 작동 유체는 관의 타측으로 이동한 후 공급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면서 냉각되어 액체 상태로 응축되고, 중력을 따라 하향 이동하게 된다.
히트 파이프 내의 작동 유체는 이와 같이 증발과 응축을 반복하면서 고온부의 열을 저온부로 전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히트파이프는 기본적으로 중력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는 항상 히트파이프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는 항상 히트파이프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결국 종래의 히트파이프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고온부와 저온부의 배치에 맞게 장치를 구성할 수 밖에 없으므로 히트파이프를 적용하는 장치 구성에 한계가 있게 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04319호(2002.01.16.)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열부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가 냉각부의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펌핑 구조가 구비된 열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냉각부의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가 가열부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펌핑 구조가 구비된 열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냉각부의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가 하향 이동하면서 가열부로 회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 펌핑 구조가 구비된 열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냉각부에는 작동 유체가 냉각 유로로 이동하기 전에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액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상변화 유로가 구비되는 펌핑 구조가 구비된 열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열원을 가열부에 적용할 수 있는 펌핑 구조가 구비된 열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복수의 방열 구조가 적용된 펌프 구조가 구비된 열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펌핑 구조가 구비된 열 전달 장치는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가열해서 기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로부터 공급된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냉각해서 액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냉각부와,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가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가압하도록 상기 가열부와 상기 냉각부 사이를 연통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냉각부에서 공급되는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상기 가열부로 이동시키는 회수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펌핑 구조가 구비된 열 전달 장치는 별도의 동력원 없이 가열부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가 냉각부의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고, 열 전달 장치를 제조하는 원가가 절감되며, 추후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냉각부의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가 상향 이동하게 되므로 상부를 히트 싱크로 사용할 수 있고,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가 중력을 따라 하향 이동하면서 회수되므로 작동 유체의 순환이 원활해지게 된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열원을 가열부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열 전달 장치의 활용도가 향상된다.
아울러 복수의 방열 구조를 적용해서 열 전달량을 증가시키되, 저온 저압 상태의 작동 유체를 이용해서 추가로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냉각부와 회수부 사이에 추가 열전달부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열 전달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달 장치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달 장치에 원자로의 압력 용기가 직접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달 장치를 사용해서 원자로의 압력 용기를 냉각시키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달 장치에 증기 발생기가 직접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 전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달 장치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달 장치에 원자로의 압력 용기가 직접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달 장치를 사용해서 원자로의 압력 용기를 냉각시키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달 장치에 증기 발생기가 직접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 전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달 장치는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를 가열해서 기체 상태(g)로 변화시키는 가열부(100), 이러한 가열부(100)로부터 공급된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를 냉각해서 액체 상태(l)로 변화시키는 냉각부(200)가 구비된다.
즉, 가열부(100)에 위치하는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해 기체 상태(g)로 상(phase)이 변화하게 되고, 이와 같이 상이 변화된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는 냉각부(200)로 이동한 후 외부에 열을 방출하는 과정을 통해 냉각되어 액체 상태(l)로 상이 변화하게 되며, 이를 통해 가열부(100)의 열을 냉각부(200)로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열부(100)와 냉각부(200)를 연통시키는 가압부(300)가 구비되며, 가압부(300)는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가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를 직접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별도의 동력원 없이 가열부(100)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가 냉각부(200)의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고, 열 전달 장치를 제조하는 원가가 절감되며, 추후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냉각부(200)에서 공급되는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를 가열부(100)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회수부(400)가 구비된다. 이러한 가압부(300)와 회수부(40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전술한 가압부(300)에는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가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를 가압하도록 가압 유로(310)가 구비되며, 이러한 가압 유로(3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100)에서 냉각부(200)로 유체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하향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가열부(100)에서 기체 상태(g)로 상이 변화한 작동 유체는 먼저 가열부(100) 상부를 가득 채우게 된다. 이후에도 가열부(100)가 연속적으로 동작하면서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가 계속해서 공급되면 가열부(100)와 냉각부(200)를 연통시키는 가압부(300)의 가압 유로(310) 내부로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가 회수부(400)로 역류하지 않도록 가열부(100) 하부에는 액체 상태(g)의 작동 유체가 일정량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부(200)에는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가 이동하는 냉각 유로(210)가 구비되며, 이러한 냉각 유로(210)는 상향 연장되므로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가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를 통해 가압되면서 상향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열부(100)가 연속적으로 동작하게 되면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가 가열부(100)를 가득 채운 뒤 가압 유로(310)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는 하향 연장되는 가압 유로(310)를 따라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후 냉각부(200)에서 액체 상태(l)로 상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액체 상태(l)로 변화된 작동 유체는 가압 유로(310)를 통해 계속해서 공급되는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향 연장된 냉각 유로(210)를 통해서 상향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가 가지고 있는 압력을 이용해서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를 상부로 밀어 올릴 수 있으므로 별도의 동력원 없어도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를 펌핑(pumping)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열 전달 장치의 상부를 히트 싱크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회수부(400)에는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가 가열부(100)로 이동하도록 회수 유로(410)가 구비되되, 이러한 회수 유로(410)는 하향 연장 형성되므로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가 회수 유로(410)를 통해 하향 이동하면서 중력의 영향을 받게 되고, 이러한 중력의 영향을 통해 작동 유체의 순환이 원활해지게 되는 것이다.
즉, 가열부(100)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가 갖고 있는 압력을 이용해서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를 상향 이동시키는 펌핑이 가능하고, 상향 이동한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는 중력의 영향을 받으면서 하향 이동하여 다시 가열부(100)로 회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는 작동 유체의 압력과 중력을 추진력(driving force)으로 이용하므로 펌프와 같은 별도의 동력원이 없어도 작동 유체의 원활한 순환(natural circulation)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가 갖고 있는 압력이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에 효과적으로 인가되기 위해서는 기체 상태(g)로 공급되는 작동 유체의 모든 압력이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에 인가될 필요가 있다. 만일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가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를 가압하지 않고, 냉각 유로(210)를 통해 상향 이동하게 되면 이러한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가 갖고 있는 압력이 효과적으로 인가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냉각부(200)에는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가 액체 상태(g)로 완전하게 변화한 후에 냉각 유로(210)를 통해 상향 이동하도록 상변화 유로(2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변화 유로(220)는 가압 유로(310)에서 하향 연장되며, 상변화 유로(220)의 끝단에는 상향 연장되는 냉각 유로(210)가 구비된다. 즉, 작동 유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설명하면, 하향 연장되는 가압 유로(310)의 끝단에는 하향 연장되는 상변화 유로(220)가 구비되고, 이러한 상변화 유로(220) 끝단에는 상향 연장되는 냉각 유로(21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가 상변화 유로(220)에서 액체 상태(l)로 상이 변화한 후 중력에 의해 하향 연장되는 상변화 유로(220)를 채우게 되므로 공급되는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가 상이 변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냉각 유로(210)를 통해 상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가 갖고 있는 압력이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에 효과적으로 인가되는 것이다.
냉각부(200)에는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 부재(230)가 더 포함되고, 이러한 냉각 부재(230)는 상변화 유로(220)에 배치되어 가압 유로(310)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 상태(g)의 작동 유체가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로 상이 변화되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100)에는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를 기체 상태(g)로 변화시키는 가열 부재(11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열원을 가열부(100)에 적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열부(100)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의 압력 용기(10) 내부에 배치된 원자로 노심(11)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원자로 노심(11)에서 발생하는 고열을 이용해서 가열부(100)에 수용된 액체 상태(l)의 작동 유체를 기체 상태(g)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로의 압력 용기(10)에는 원자로의 노심(11)에서 발생하는 고열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해 냉각재(c)가 수용되며, 이러한 냉각재(c)가 압력 용기(10)와 외부를 경유하며 순환하도록 순환 펌프(3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가열부(100)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용기(10) 내부의 냉각재(c)가 순환하는 열교환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100)로서 원자로에 구비된 증기 발생기(2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원자로의 압력 용기(10) 내부에 구비된 냉각재(c)가 증기 발생기(20)를 경유하도록 순환 펌프(30)가 구비되어 고온의 냉각재(c)를 가열부(100)의 열원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다양한 형태의 열원을 가열부(100)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열 전달 장치의 활용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전달량 증가를 위해 추가 열전달부(50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가열부(100)에서는 제1 가열 부재(111)를 통해 작동 유체의 상태를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변화시키고, 냉각부(200)에서는 이러한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제1 냉각 부재(231)를 통해 액체 상태로 변화시키면서 기본적으로 열을 전달하게 되며, 이 밖에 추가 열전달부(500)를 구비해서 추가적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방열 구조를 적용하게 되면 열 전달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추가 열전달부(500)는 냉각부(200)와 회수부(40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냉각부(200)와 회수부(400) 사이를 이동하는 저온 저압의 작동 유체를 이용하기 위함이며, 냉각부(200)를 따라서 상향 이동하는 작동 유체는 점차 압력이 감소하면서 저압 상태가 되고 이러한 저온 저압 상태의 냉매는 쉽게 상 변화되므로 상 변화를 통한 잠열을 이용해서 열을 전달하게 되면 열 전달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추가 열전달부(500) 내부에서는 저온 저압의 작동 유체를 기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추가 가열 부재(112)와, 이러한 추가 가열 부재(112)를 통해 기체 상태로 변화된 작동 유체를 다시 액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추가 냉각 부재(232)가 구비된다. 추가 열전달부(500) 내부에서는 추가 가열 부재(112)를 통해 작동 유체를 스팀과 같은 기체 상태로 만들면서 열을 전달(Steam Jet)하고, 추가 냉각 부재(232)를 통해 스팀과 같은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액체 상태로 만들면서 열을 전달(Water Spray)하므로 열 전달량이 효과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열 부재(111)와 추가 가열 부재(112)를 열원(Qin)과 연결하는 제1 가열 유로(101)와 제2 가열 유로(102)가 구비되며, 제1 냉각 부재(231)와 추가 냉각 부재(232)를 방열부(Qout)와 연결하는 제1 방열 유로(201)와 제2 방열 유로(20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압력 용기 11 : 원자로 노심
20 : 증기 발생기 30 : 순환 펌프
100 : 가열부 101 : 제1 가열 유로
102 : 제2 가열 유로 110 : 가열 부재
111 : 제1 가열 부재 112 : 추가 가열 부재
200 : 냉각부 201 : 제1 방열 유로
202 : 제2 방열 유로 210 : 냉각 유로
220 : 상변화 유로 230 : 냉각 부재
231 : 제1 냉각 부재 232 : 추가 냉각 부재
300 : 가압부 310 : 가압 유로
400 : 회수부 410 : 회수 유로
500 : 추가 열전달부 c : 냉각재
g : 기체 상태 l : 액체 상태

Claims (12)

  1.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가열해서 기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로부터 공급된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냉각해서 액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냉각부;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가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가압하도록 상기 가열부와 상기 냉각부 사이를 연통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냉각부에서 공급되는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상기 가열부로 이동시키는 회수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에는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가 하향 이동하면서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가압하도록 가압 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냉각부에는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가 상향 이동하도록 냉각 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냉각부에는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가 액체 상태로 변화한 후에 상기 냉각 유로를 통해 상향 이동하도록 상기 가압 유로에서 하향 연장되는 상변화 유로가 더 포함되되,
    상기 상변화 유로에 채워진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는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냉각 유로를 따라 상향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에는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가 하향 이동하면서 상기 가열부로 이동하도록 회수 유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작동 유체에는 중력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에는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 부재가 더 포함되되,
    상기 냉각 부재는 상기 상변화 유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는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기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가열 부재가 더 포함되되,
    상기 가열 부재는 원자로의 압력 용기 내부에 배치된 원자로 노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는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기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가열 부재가 더 포함되되,
    상기 가열 부재는 원자로의 압력 용기 내부에 구비된 냉각재가 순환하는 열교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는 원자로의 압력 용기와, 상기 압력 용기로부터 고온의 냉각재를 전달받아서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기가 구비되며,
    작동 유체는 상기 증기 발생기로부터 발생하는 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와 상기 회부수 사이에는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기체 상태로 변화시킨 후 다시 액체 상태로 변화시키면서 열을 전달하는 추가 열전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열전달부에는 상기 냉각부를 통해 공급되는 액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기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추가 가열 부재와,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다시 액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추가 냉각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
KR1020180055375A 2018-05-15 2018-05-15 펌핑 구조가 구비된 열 전달 장치 KR102107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375A KR102107746B1 (ko) 2018-05-15 2018-05-15 펌핑 구조가 구비된 열 전달 장치
EP18919079.6A EP3794614B1 (en) 2018-05-15 2018-11-29 Heat transferring device with pumping structure
PCT/KR2018/014905 WO2019221351A1 (en) 2018-05-15 2018-11-29 Heat transferring device with pumping structure
US17/054,910 US20210225535A1 (en) 2018-05-15 2018-11-29 Heat transferring device with pump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375A KR102107746B1 (ko) 2018-05-15 2018-05-15 펌핑 구조가 구비된 열 전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00A KR20190130800A (ko) 2019-11-25
KR102107746B1 true KR102107746B1 (ko) 2020-05-07

Family

ID=6854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375A KR102107746B1 (ko) 2018-05-15 2018-05-15 펌핑 구조가 구비된 열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225535A1 (ko)
EP (1) EP3794614B1 (ko)
KR (1) KR102107746B1 (ko)
WO (1) WO201922135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1492A (ja) 2002-09-13 2004-04-02 Mitsubishi Heavy Ind Ltd 自然循環型原子炉及びその起動方法
KR101374751B1 (ko) * 2012-07-17 2014-03-1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유기유체를 이용한 잔열제거시스템과 잔열제거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1617161B1 (ko) 2014-10-15 2016-05-03 한국원자력연구원 증기압을 이용하는 안전계통을 가지는 원자로 및 그 동작 방법
US20160329114A1 (en) 2012-03-16 2016-11-10 Catherine Lin-Hendel Emergency and Back-Up Cooling of Nuclear Fuel and Reactors and Fire-Extinguishing, Explosion Prevention Using Liquid Nitroge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3715A (en) * 1955-08-01 1961-03-07 Jet Heet Inc Electrical generating systems
FR1395738A (fr) * 1964-03-04 1965-04-16 Snecma Turbo-machine thermique à cycle fermé
GB1155645A (en) * 1966-11-09 1969-06-18 Atomic Energy Authority Uk Nuclear Reactors Systems of the Direct Cycle Boiling Water Type
US4051892A (en) * 1974-12-16 1977-10-04 Arnold Otto Winfried Reinsch Heat dissipation system
US5102617A (en) * 1990-09-11 1992-04-07 General Electric Company Passive cooling means for water cooled nuclear reactor plants
KR20020004319A (ko) 2000-07-04 2002-01-16 임성섭 보일러용 히트파이프
CA2412863C (en) * 2000-08-16 2009-12-22 Eskom Nuclear reactor plant
US20090314472A1 (en) * 2008-06-18 2009-12-24 Chul Ju Kim Evaporator For Loop Heat Pipe System
US20100071880A1 (en) * 2008-09-22 2010-03-25 Chul-Ju Kim Evaporator for looped heat pipe system
JP2010169283A (ja) * 2009-01-20 2010-08-05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システム
US8712005B2 (en) * 2009-08-28 2014-04-29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Nuclear fission reactor, a vented nuclear fission fuel module, methods therefor and a vented nuclear fission fuel module system
WO2013081148A1 (ja) * 2011-12-02 2013-06-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流体冷却装置、静的除熱装置、流体冷却装置を備えた原子力プラント及び静的除熱装置を備えた原子力プラント
CN104321609A (zh) * 2012-05-11 2015-01-28 丹麦丹腾制冷股份公司 可变导热虹吸管
TW201442608A (zh) * 2013-04-19 2014-11-01 Microthermal Technology Corp 相變化散熱裝置及其相變化散熱系統
JP6614991B2 (ja) * 2016-02-09 2019-12-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ダンパおよび蓄圧注水装置ならびに原子力設備
JP2017067355A (ja) * 2015-09-30 2017-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却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電子機器、および電気自動車
WO2017170153A1 (ja) * 2016-03-31 2017-10-05 日本電気株式会社 相変化冷却器、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1492A (ja) 2002-09-13 2004-04-02 Mitsubishi Heavy Ind Ltd 自然循環型原子炉及びその起動方法
US20160329114A1 (en) 2012-03-16 2016-11-10 Catherine Lin-Hendel Emergency and Back-Up Cooling of Nuclear Fuel and Reactors and Fire-Extinguishing, Explosion Prevention Using Liquid Nitrogen
KR101374751B1 (ko) * 2012-07-17 2014-03-1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유기유체를 이용한 잔열제거시스템과 잔열제거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1617161B1 (ko) 2014-10-15 2016-05-03 한국원자력연구원 증기압을 이용하는 안전계통을 가지는 원자로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25535A1 (en) 2021-07-22
KR20190130800A (ko) 2019-11-25
EP3794614A1 (en) 2021-03-24
EP3794614A4 (en) 2022-01-19
EP3794614B1 (en) 2024-05-22
WO2019221351A1 (en)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working fluid selection in a micro pulsating heat pipe
JP6351632B2 (ja) 二相流体による熱輸送装置
US7434308B2 (en) Cooling of substrate using interposer channels
US3661202A (en) Heat transfer apparatus with improved heat transfer surface
US20190154353A1 (en) Heat pipe having a wick with a hybrid profile
US20160047605A1 (en) Advanced control two phase heat transfer loop
US3741289A (en) Heat transfer apparatus with immiscible fluids
CN102486355A (zh) 冷却设备和电子设备
US3677336A (en) Heat link, a heat transfer device with isolated fluid flow paths
Kelly et al. Novel radial pulsating heat-pipe for high heat-flux thermal spreading
KR102427104B1 (ko) 냉각장치, 반도체 제조장치 및 반도체 제조방법
US20060196651A1 (en) Opteolectronic devices
He et al. Effect of non-condensable gas on startup of a loop thermosyphon
US4342197A (en) Geothermal pump down-hole energy regeneration system
KR102107746B1 (ko) 펌핑 구조가 구비된 열 전달 장치
CN104132569B (zh) 一种具有功能通道结构的硅基微型脉动热管
JP2015172474A (ja) 自励振動ヒートパイプ
US9182177B2 (en) Heat transfer system with integrated evaporator and condenser
NO146560B (no) Anordning for fordampningskjoeling av induktivt elektrisk apparat
CN204286182U (zh) 一种硅基微型环路热管冷却器
Kumar et al. Design, fabric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 novel orientation independent and wickless heat spreader
US20210372711A1 (en) Pressure capillary pump
RU2675977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тепла и тепло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Patel et al. A capillary tube pulsating heat pipe with asymmetric adiabatic channels for thermal management
US7872867B2 (en) Cooling system for an electronic component system 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