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054B1 - 자세 교정용 의자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용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7054B1 KR102107054B1 KR1020170056689A KR20170056689A KR102107054B1 KR 102107054 B1 KR102107054 B1 KR 102107054B1 KR 1020170056689 A KR1020170056689 A KR 1020170056689A KR 20170056689 A KR20170056689 A KR 20170056689A KR 102107054 B1 KR102107054 B1 KR 1021070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optical sensor
- light
- alarm
- sensor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6—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directly under the sea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세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의 둔부를 지지하는 착석부; 상기 착석부 일측에 결합되고 인체의 허리를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등받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빛이 조사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자세 교정을 경고하는 경보부;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세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센서부를 통해 빛의 조사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자세 교정을 경고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학생들은 입시경쟁으로 의자에 앉아 공부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직장과 가정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사용으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하루 중 의자에 앉아있는 시간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로 인해 척추의 형태가 변하는 척추측만증, 허리디스크, 거북목환자 등의 증가가 사회적으로 이슈화 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문제들은 발병 후 치료시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므로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다. 특히 성장기에 있는 10대의 척추질환 비율이 매우 높다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를 볼 때 바른자세로 앉는 것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하겠다.
전문가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의자에 앉을 때는 바른 자세를 취하고, 20~30분 단위로 휴식을 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나, 이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고 설사 알고 있다 하더라도 실천하기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중에는 많은 종류의 자세 교정 의자가 나와있으나, 대부분 시판중인 의자들은 의자의 구조나 형태에 특이성이 있어 사용자의 체형을 잡아주는 것들이다. 하지만, 이는 정확한 사용법을 모를 경우 오히려 신체에 무리가 갈 수 있고, 또한 체형 및 신체 구조가 다른 개개인에 모두 맞출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의자에 바른 자세로 앉아있지 않은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앉은 자세에 따라 의자에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자세 교정을 경고하기 위한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앉은 자세가 틀어짐에 따라 중간단계 없이 직관적으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량의 빛이 조사된 경우에도 이를 집광하고 새어나가지 않게 하여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는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의 둔부를 지지하는 착석부; 상기 착석부 일측에 결합되고 인체의 허리를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등받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빛이 조사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자세 교정을 경고하는 경보부;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한다.
상기 경보부는,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등받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빛의 조사량을 감지하는 광센서부; 및 상기 광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광센서부의 저항값 변화에 의해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부는, 중공되어 형성된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 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빛 조사량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광센서부재; 상기 케이스부 내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부 외부의 빛을 모아주는 제1 집광부재; 및 상기 케이스부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부 내에 입사된 빛이 상기 광센서부재에 도달하도록 보조하는 제2 집광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는 소리, 진동, 발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상기 경보부는, 상기 등받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1 광센서부 및 상기 제1 광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알람부를 포함하는 제1 경보모듈; 및 상기 착석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2 광센서부 및 상기 제2 광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알람부를 포함하는 제2 경보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광센서부 및 상기 제2 광센서부는 상기 빛의 조사량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1 알람부 및 상기 제2 알람부는 상기 제1 광센서부 및 상기 제2 광센서부의 저항값 변화에 의해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센서부 및 상기 제2 광센서부는, 중공되어 형성된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 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빛 조사량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광센서부재; 상기 케이스부 내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부 외부의 빛을 모아주는 제1 집광부재; 및 상기 케이스부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부 내에 입사된 빛이 상기 광센서부재에 도달하도록 보조하는 제2 집광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센서부에 포함되는 상기 광센서부재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상기 제2 광센서부에 포함되는 발광부재가 발광하고, 상기 제2 알람부에 포함되고 상기 발광부재의 발광을 감지하는 발광센서부의 저항값이 변화하면, 상기 제2 알람부에 포함되고 상기 발광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알람부재가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상기 제1 알람부 및 상기 제2 알람부는 소리, 진동, 발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가 의자에 바른 자세로 앉아있지 않은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앉은 자세에 따라 의자에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자세 교정을 경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앉은 자세가 틀어짐에 따라 중간단계 없이 직관적으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량의 빛이 조사된 경우에도 이를 집광하고 새어나가지 않게 하여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는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의 광센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의 제1 광센서부 또는 제2 광센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의 광센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의 제1 광센서부 또는 제2 광센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체의 둔부를 지지하는 착석부(100), 착석부(100) 일측에 결합되고 인체의 허리를 지지하는 등받이부(200) 및 착석부(100) 및 등받이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빛이 조사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자세 교정을 경고하는 경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한 빛은 형광등, 백열등 등 평소 실내에서 생활하며 사용하는 다양한 빛일 수 있고, 상기한 착석부(100) 및 등받이부(200)는 나무, 플라스틱, 천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1)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경보부(300)는 착석부(100) 및 등받이부(200)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빛의 조사량을 감지하는 광센서부(310) 및 광센서부(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광센서부(310)의 저항값 변화에 의해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알람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센서부(310)는 하나 또는 다수가 사용자의 둔부와 접촉하는 착석부(100) 일측 및 사용자의 허리가 접촉되는 등받이부(200)의 일측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착석부(100) 및 등받이부(200)의 타측에서는 광센서부(310) 및 알람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를 제공하고 광센서부(310) 및 알람부(320)를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스위치(미도시됨)를 포함하는 전원부(301) 및 알람부(32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광센서부(310) 다수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한 다수의 광센서부(310)는 각각이 알람부(320) 및 전원부(3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다수의 광센서부(310) 중 하나만 빛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알람부(320)가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자세 교정을 경고할 수 있다.
이 때, 설치되는 광센서부(310)의 개수 및 직경 크기는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큰 직경의 광센서부(310)가 적은 개수로 설치되면 비록 빛이 광센서부(310)가 설치된 일부 범위에 조사되는 경우에만 이를 감지할 수 있으나, 조사된 빛이 약한 경우라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고, 반면, 작은 직경의 광센서부(310) 다수가 착석부(100) 또는 등받이부(200)에 넓게 설치되면 사용자의 자세가 조금만 틀어져 착석부(100) 또는 등받이부(200) 극히 일부 범위에 빛이 조사되는 경우에도 이를 감지하여 알람부(320)가 반응할 수 있다. 그 외에 큰 직경의 광센서부(310)가 다수 설치되거나 작은 직경의 광센서부(310)가 소수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광센서부(310)의 크기 및 직경 크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나아가, 사용자의 신체 등에 의해 그늘이 생겨 착석부(100)에 조사되는 빛(L)의 양이 등받이부(200)에 비해 적을 수 있는 바, 경보부(300)는 등받이부(200) 하측에 위치되며 전원부(3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착석부(100)에 삽입된 광센서부(310)를 향해 발광하는 광센서 보조부(30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광센서 보조부(300a)는 전원부(301)가 작동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발광함으로써, 사용자가 올바르게 착석하여 착석부(100)의 광센서부(310)가 위 광센서 보조부(300a)의 빛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알람부(320)는 작동하지 않으나, 둔부가 미끄러지는 등 사용자의 자세가 틀어져 상기 착석부(100)의 광센서부(310)가 광센서 보조부(300a)의 빛에 노출되는 경우 알람부(320)가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자세 교정을 경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1)의 광센서부(3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센서부(310)는 중공되어 형성된 케이스부(313), 케이스부(313) 내 일측에 설치되고 빛(L) 조사량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광센서부재(311), 케이스부(313) 내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부(313) 외부의 빛(L)을 모아주는 제1 집광부재(314) 및 케이스부(313) 내주면에 설치되고 케이스부(313) 내에 입사된 빛(L)이 상기 광센서부재(311)에 도달하도록 보조하는 제2 집광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광센서부재(311)는 케이스부(313) 내 일측에 설치되고 후술할 전극리드(도 6에 도시됨)를 통해 알람부(320) 및 전원부(3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빛(L) 조사량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광센서부재(311)에 빛(L)이 조사되는 경우 조사량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고 위 광센서부재(311)에 작용하는 전압이 일정한 경우 상기한 저항값 변화에 따라 광센서부재(311)에 흐르는 전류값이 달라질 수 있다(광센서부재(311)의 구체적인 작동원리는 도 6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제2 집광부재(312)는 케이스부(313) 내벽에 설치되어 광센서부재(311)로 유입된 빛(L)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막아주며, 알루미늄 증착 필름 등 빛(L)을 반사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케이스부(313) 내로 유입된 빛(L)이 반복된 반사를 통해 광센서부재(311)에 흡수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빛(L)이 유입되는 측인 케이스부(313) 타측에 설치되는 제1 집광부재(314)는 입사되는 빛(L)을 굴절시켜 일정 거리에 빛(L)을 모아주는 볼록렌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사되는 빛(L)의 세기가 미약한 경우라도 입사되는 빛(L)을 집광하여 광센서부재(311)에 상대적으로 강한 빛(L)을 제공하고 저항값 변화를 크게 하여 더 큰 전류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스부(313)는 플라스틱, 유리 등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제작되어 상기한 광센서부재(311), 제2 집광부재(312) 및 제1 집광부재(314) 등 세부구성이 망가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외면에 빛(L)을 차단할 수 있는 암막부재(미도시 됨)를 더 포함함으로써, 착석부(100) 또는 등받이부(200)에 있어서 사용자와의 접촉면 외의 부분에 조사되는 빛(L)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알람부(320)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알람부(320)는 소리, 진동, 발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다른 방법 역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1)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1)의 제1 광센서부(340) 또는 제2 광센서부(37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경보부(300)는 등받이부(200)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1 광센서부(340) 및 제1 광센서부(3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알람부(350)를 포함하는 제1 경보모듈(330) 및 착석부(100)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2 광센서부(370) 및 제2 광센서부(3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알람부(380)를 포함하는 제2 경보모듈(36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광센서부(340) 및 제2 광센서부(370)는 빛(L)의 조사량을 감지하고, 제1 알람부(350) 및 제2 알람부(380)는 제1 광센서부(340) 및 제2 광센서부(370)의 저항값 변화에 의해 소리, 진동, 발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사용자에게 자세 교정을 경고할 수 있다. 앞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광센서부(340) 및 제2 광센서부(370)의 개수 및 직경 크기는 제한되지 않으며, 자세한 내용은 동일한 바 생략한다.
상기한 제1 경보모듈(330) 및 제2 경보모듈(360)은 각각 별도의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허리가 접촉되는 등받이부(200)의 일측에 제1 광센서부(340)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고, 등받이부(200)의 타측에는 제1 광센서부(340) 및 제1 알람부(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제공하는 제1 전원부(331) 및 제1 알람부(3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경보모듈(360)의 경우 제2 광센서부(370)를 구동할 수 있는 제2 전원부(361) 및 제2 알람부(380)를 구동할 수 있는 제3 전원부(383)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전원부(301)와 같이 제1 내지 제3 전원부(331, 361, 383) 역시 각 구성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스위치(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에 따라 등받이부(200)에 빛(L)이 조사되는 경우 제1 경보모듈(330)의 제1 알람부(350)만 동작할 수 있고, 착석부(100)에 빛(L)이 조사되는 경우에는 제2 경보모듈(360)의 제2 알람부(380)만 작동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광센서부(340) 및 제2 광센서부(370)는 중공되어 형성된 케이스부(343, 373), 케이스부(343, 373) 내 일측에 설치되고 빛(L) 조사량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광센서부재(341, 371), 케이스부(343, 373) 내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부(343, 373) 외부의 빛(L)을 모아주는 제1 집광부재(344, 374) 및 케이스부(343, 373) 내주면에 설치되고 케이스부(343, 373) 내에 입사된 빛(L)이 상기 광센서부재(341, 371)에 도달하도록 보조하는 제2 집광부재(342, 37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광센서부(370)에 포함되는 광센서부재(371)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제2 광센서부(370)에 포함되는 발광부재(375)가 발광하고, 제2 알람부(380)에 포함되고 발광부재(375)의 발광을 감지하는 발광센서부(381)의 저항값이 변화하면, 제2 알람부(380)에 포함되고 발광센서부(38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알람부재(382)가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상기한 케이스부(343, 373), 광센서부재(341, 371), 제2 집광부재(342, 372) 및 제1 집광부재(344, 374)의 세부구성 및 내용은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케이스부(313), 광센서부재(311), 제2 집광부재(312) 및 제1 집광부재(314)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구체적으로, 제2 광센서부(370)에 포함되는 발광부재(375)는 LED 등 전기적 신호에 의해 발광할 수 있는 부재이고, 상기한 알람부(320), 제1 알람부(350) 및 제2 알람부(380)의 알람부재(382)가 작동함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보다 약한 신호가 흐를 경우에도 작동할 수 있어 상기한 제2 광센서부(370)의 광센서부재(371)에 소량의 빛(L)이 조사되는 경우에도 발광부재(375)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2 경보모듈(360)은 제2 광센서부(370) 및 제2 알람부(380) 각각이 상호 독립적인 전기적 연결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둔부가 접촉되는 착석부(100) 일측에는 제2 광센서부(370)가 삽입 설치될 수 있고, 착석부(100)의 타측에는 상기한 제2 광센서부(370) 및 발광부재(37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전원부(361), 제2 알람부(380) 및 알람부재(382)와 발광센서부(38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제공하는 제3 전원부(383)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광센서부(370)의 광센서부재(371)에 빛(L)이 조사되는 경우 광센서부재(371)의 저항값이 변하게 되고 위 저항값 변화에 따라 광센서부재(371)에 흐르는 전류값이 달라지며 상기한 바와 같이 알람부재(382) 작동에 필요한 전류보다 작은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도 발광부재(375)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발광부재(375)는 발광센서부(381)에 밀착되어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센서부(381)는 앞서 서술한 제2 광센서부(37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발광부재(375)는 발광센서부(381)의 일측에 삽입되어 발광센서부(381)가 발광부재(375)의 발광에 직접적으로 반응할 수 있게 되고, 상기한 발광에 반응한 발광센서부(381)의 큰 저항값 변화로 알람부재(382)를 작동시킬 수 있을 만큼의 전류가 흘러 사용자에게 자세 교정을 경고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세 교정용 의자(1)에 착석한 상태에서 자세가 불안정한 경우, 등받이부(200) 부분의 제1 광센서부(340)에는 빛(L)이 직접 조사될 수 있어, 제1 알람부(350)가 동작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양의 빛(L)이 조사될 수 있지만, 착석부(100)에 설치된 제2 광센서부(370)에는 사용자의 신체 등에 의해 그늘이 생겨 조사되는 빛(L)의 양이 등받이부(200)에 비해 적을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부재(375) 및 발광센서부(381)를 이용함으로써 제2 경보모듈(360)이 원활히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에 더해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경보모듈(330) 또는 제2 경보모듈(360)은 등받이부(200) 하측에 위치되며, 도면상 제2 전원부(361)과 연결되어 있으나 제1 내지 제3 전원부(331, 361, 383)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광센서 보조부(30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광센서 보조부(300a)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부재(311, 341, 37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광센서부재(311, 341, 371)는 빛(L)의 조사량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광도전체(311a),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빛(L)을 잘 투과시킬 수 있는 케이스(311b) 및 상기한 저항값 변화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전극리드선(311c)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광도전체(311a)는 CdS(황화카드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조사되는 빛(L)이 강할수록 저항값이 감소하고 전극리드선(311c)에 흐르는 전류값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지그제그 형태로 벤딩되어 설치됨으로써 접촉면적을 넓게 하고, 조사되는 빛(L)을 원활히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자세 교정용 의자
100 : 착석부
200 : 등받이부
300 : 경보부
300a, 300b : 광센서 보조부
301 : 전원부
310 : 광센서부
311, 341, 371 : 광센서부재
311a : 광도전체
311b : 케이스
311c : 전극리드선
312, 342, 372 : 제2 집광부재
313, 343, 373 : 케이스부
314, 344, 374 : 제1 집광부재
320 : 알람부
330 : 제1 경보모듈
331 : 제1 전원부
340 : 제1 광센서부
350 : 제1 알람부
360 : 제2 경보모듈
361 : 제2 전원부
370 : 제2 광센서부
375 : 발광부재
380 : 제2 알람부
381 : 발광센서부
382 : 알람부재
383 : 제3 전원부
L : 빛
100 : 착석부
200 : 등받이부
300 : 경보부
300a, 300b : 광센서 보조부
301 : 전원부
310 : 광센서부
311, 341, 371 : 광센서부재
311a : 광도전체
311b : 케이스
311c : 전극리드선
312, 342, 372 : 제2 집광부재
313, 343, 373 : 케이스부
314, 344, 374 : 제1 집광부재
320 : 알람부
330 : 제1 경보모듈
331 : 제1 전원부
340 : 제1 광센서부
350 : 제1 알람부
360 : 제2 경보모듈
361 : 제2 전원부
370 : 제2 광센서부
375 : 발광부재
380 : 제2 알람부
381 : 발광센서부
382 : 알람부재
383 : 제3 전원부
L : 빛
Claims (8)
- 인체의 둔부를 지지하는 착석부;
상기 착석부 일측에 결합되고 인체의 허리를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등받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빛이 조사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자세 교정을 경고하는 경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부는,
상기 등받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1 광센서부 및 상기 제1 광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알람부를 포함하는 제1 경보모듈; 및
상기 착석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2 광센서부 및 상기 제2 광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알람부를 포함하는 제2 경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센서부 및 상기 제2 광센서부는 상기 빛의 조사량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알람부 및 상기 제2 알람부 각각은 상기 제1 광센서부 및 상기 제2 광센서부 각각의 저항값 변화에 의해 사용자에게 경고하고,
상기 제1 경보모듈 및 상기 제2 경보모듈은 상호 별도의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등받이부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착석부에 삽입된 상기 제2 광센서부를 향해 발광하는 광센서 보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센서부 및 상기 제2 광센서부 각각은,
중공되어 형성된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 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빛 조사량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광센서부재;
상기 케이스부 내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부 외부의 빛을 모아주는 제1 집광부재; 및
상기 케이스부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부 내에 입사된 빛이 상기 광센서부재에 도달하도록 보조하는 제2 집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광센서부는 상기 광센서부재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알람부는 상기 발광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발광부재의 발광을 감지하는 발광센서 및 상기 발광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센서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알람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람부 및 상기 제2 알람부는 소리, 진동, 발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6689A KR102107054B1 (ko) | 2017-05-03 | 2017-05-03 | 자세 교정용 의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6689A KR102107054B1 (ko) | 2017-05-03 | 2017-05-03 | 자세 교정용 의자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3442A Division KR20190034513A (ko) | 2019-03-25 | 2019-03-25 | 자세 교정용 의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2530A KR20180122530A (ko) | 2018-11-13 |
KR102107054B1 true KR102107054B1 (ko) | 2020-05-06 |
Family
ID=6439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6689A KR102107054B1 (ko) | 2017-05-03 | 2017-05-03 | 자세 교정용 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705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63401A (zh) * | 2018-11-16 | 2019-02-22 | 苏州小点智能家居有限公司 | 一种具有坐姿提醒功能的智能防摔椅子 |
KR102518156B1 (ko) * | 2022-07-28 | 2023-04-06 | 주식회사 프리아이디어 | 인체 접촉 알림 기능을 가지는 자세 교정용 의자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88120A (ja) * | 2004-04-05 | 2005-10-20 | Yukiharu Kono | 光感知による立ち上がり報知器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55614A (ja) * | 1997-03-07 | 1998-09-25 | Omron Corp | 光電センサ、光学ホルダ及び光学ホルダモジュール |
KR20110049941A (ko) * | 2009-11-06 | 2011-05-13 | 이동인 | 자세교정의자 및 방석 |
KR101214848B1 (ko) | 2012-09-05 | 2012-12-24 | 박용서 | 자세교정의자 |
-
2017
- 2017-05-03 KR KR1020170056689A patent/KR1021070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88120A (ja) * | 2004-04-05 | 2005-10-20 | Yukiharu Kono | 光感知による立ち上がり報知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2530A (ko) | 2018-1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451647B (zh) | 红外线体温计 | |
EP1497803B1 (en) | Apparatus for lighting a patient monitor front panel | |
KR102107054B1 (ko) | 자세 교정용 의자 | |
JP4393571B2 (ja) | 生体情報計測装置 | |
JP2006102159A (ja) | 生体情報計測装置 | |
JP6778157B2 (ja) | 肌状態センサおよび美容器具 | |
US20130018626A1 (en) | Non-contact type temperature sensing device with constant distance measurement and temperature measuring method thereof | |
JP6586630B2 (ja) | 生体情報計測用便座 | |
JP6731460B2 (ja) | プロジェクタを制御する方法及び関連する電子デバイス | |
KR20190034513A (ko) | 자세 교정용 의자 | |
JP2019017956A (ja) | 血糖値測定に使用する光学半導体デバイス及びそれを用いた装置 | |
KR102609927B1 (ko) | 살균 모듈을 포함하는 비데 | |
JP2006141583A (ja) | 水洗便器 | |
KR200205725Y1 (ko) | 의자 | |
JP6982389B2 (ja) | 美容器具 | |
JP6869752B2 (ja) | 美容器具 | |
JP6836424B2 (ja) | 美容器具 | |
KR100403113B1 (ko) | 자외선 투과율 측정장치 | |
KR102027633B1 (ko) |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 |
US20180296854A1 (en) | Phototherapy system and method | |
JP7447852B2 (ja) | 判別装置 | |
TWI652433B (zh) | LED lighting floor with guiding function | |
EP4029525A1 (en) | Use of at least one color radiation source in a system comprising a radiation body | |
KR20200016495A (ko) | 자세 교정 의자 및 그 제어 방법 | |
JP6806537B2 (ja) | 美容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99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325 Effective date: 20200417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