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633B1 -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633B1
KR102027633B1 KR1020160183523A KR20160183523A KR102027633B1 KR 102027633 B1 KR102027633 B1 KR 102027633B1 KR 1020160183523 A KR1020160183523 A KR 1020160183523A KR 20160183523 A KR20160183523 A KR 20160183523A KR 102027633 B1 KR102027633 B1 KR 102027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ity monitoring
signal
input
alarm
objec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599A (ko
Inventor
장혜경
Original Assignee
장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혜경 filed Critical 장혜경
Priority to KR1020160183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633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시간 동안 착석한 상태로 일을 하거나 공부를 하는 수험생들에게 주기적으로 의자로부터 몸을 일으켜 움직이거나, 앉은 상태에서 스트레칭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작동부(100); 외부로부터 구동전원이 공급되면 일정 거리 이내에 물체가 있는지를 감지하여 물체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근접센서(200);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300); 작동부(100)의 온신호에 응하여 저장부(300)의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근접센서(200)로부터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그 입력시간을 카운팅하고, 카운팅되고 있는 입력시간과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을 비교하여 입력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400); 컨트롤러(400)의 알람발생 제어신호에 응하여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5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장시간 착석에 따른 척추측만증, 거북이 목 등 건강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Internet based activity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시간 동안 착석한 상태로 일을 하거나 공부를 하는 수험생들에게 주기적으로 의자로부터 몸을 일으켜 움직이거나, 앉은 상태에서 스트레칭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업무를 수행하는 직장인들을 비롯하여 학생들이나 수험생들의 경우 장시간 의자에 착석한 상태로 일을 하거나 공부를 하게 되는 경우 착석 초기에는 비교적 바른 자세를 유지하지만 약간의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자신도 모르게 고개가 숙여지거나 옆으로 기울어지는 등 자세가 흐트러지게 된다.
이렇게 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면 장기적으로 건강을 해치는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080873 호
이와 같은 개발요구에 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장시간 동안 착석한 상태로 일을 하거나 공부를 하는 수험생들에게 주기적으로 의자로부터 몸을 일으켜 움직이거나, 앉은 상태에서 스트레칭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착석정보를 수집하는 수집장치를 책상 또는 모니터 등 사용자의 착석정보를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는 위치에 놓아두고, 착석정보를 휴대폰으로 전송하고, 휴대폰을 통해 사용자의 착석상태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알람정보 및 스트레칭 정보를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착석상태가 장시간 이루어져 알람신호를 발생시킴에도 불구하고 착석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미리 등록되어 있는 지인이 소지한 휴대폰으로 이러한 사실들을 전송하여 후속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작동부(100); 외부로부터 구동전원이 공급되면 일정 거리 이내에 물체가 있는지를 감지하여 물체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근접센서(200);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300); 작동부(100)의 온신호에 응하여 저장부(300)의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근접센서(200)로부터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그 입력시간을 카운팅하고, 카운팅되고 있는 입력시간과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을 비교하여 입력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400); 컨트롤러(400)의 알람발생 제어신호에 응하여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컨트롤러(400)는, 근접센서(200)로부터 입력되던 물체감지신호가 중단되면 카운팅되고 있던 입력시간을 초기화시킨 후 근접센서(200)로부터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하고,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입력시간을 카운팅하기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알람부(500)는 알람발생 제어신호에 응하여 발광되는 발광부(510)와, 알람발생 제어신호에 응하여 문자 또는 이미지로 출력하는 표시부(520)와, 알람신호를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530)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700); 및 사용자 단말기(7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기(700)의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알람 발생 시작시간, 알람 발생 유지시간, 알람 발생 종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컨트롤러(400)는 통신부(600)를 통해 설정된 값을 제공받아 저장부(300)에 저장된 값을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컨트롤러(400)는 작동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700)로 종료 신호를 송출하고, 사용자 단말기(700)의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활동모니터링 정보를 생성시켜 화면상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시간 동안 착석한 상태로 일을 하거나 공부를 하는 수험생들에게 주기적으로 의자로부터 몸을 일으켜 움직이거나, 앉은 상태에서 스트레칭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장시간 착석에 따른 척추측만증, 거북이 목 등 건강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착석정보를 수집하는 수집장치를 책상 또는 모니터 등 사용자의 착석정보를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는 위치에 놓아두고, 착석정보를 휴대폰으로 전송하고, 휴대폰을 통해 사용자의 착석상태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알람정보 및 스트레칭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라도 스트레칭을 하여, 작업 중 긴장된 근육들을 이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잠시동안이라도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착석상태가 장시간 이루어져 알람신호를 발생시킴에도 불구하고 착석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미리 등록되어 있는 지인이 소지한 휴대폰으로 이러한 사실들을 전송하여 후속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지인들이 전화나 깜짝 방문을 통해 사용자가 장시간 착석상태를 유지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3 실시예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제2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제3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활동 모니터링 장치로 이루어진다.
활동 모니터링 장치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작동 온 또는 작동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작동부(100)와, 외부로부터 구동전원이 공급되면 일정 거리 이내에 물체가 있는지를 감지하여 물체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근접센서(200)와,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300)와, 작동부(100)의 작동 온신호에 응하여 저장부(300)의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근접센서(200)로부터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그 입력시간을 카운팅하고, 카운팅되고 있는 입력시간과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을 비교하여 입력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400)와, 컨트롤러(400)의 알람발생 제어신호에 응하여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500)와, 사용자 단말기(7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600)로 이루어진다.
컨트롤러(400)는 근접센서(200)로부터 입력되던 물체감지신호가 중단되면 카운팅되고 있던 입력시간을 초기화시킨 후 근접센서(200)로부터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하고,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입력시간을 카운팅하기 시작한다.
알람부(500)는 알람발생 제어신호에 응하여 발광되는 발광부(510)와, 알람발생 제어신호에 응하여 문자 또는 이미지로 출력하는 표시부(520)와, 알람신호를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530)로 이루어진다.
컨트롤러(400)는 통신부(6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재설정 값들을 제공받아 저장부(300)에 저장된 값들을 변경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1의 제1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400)는 작동부(100)로부터 작동 온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S110)하고, 판단 결과 작동 온신호가 입력되면 근접센서(200)로부터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S120)한다.
S120 단계의 판단 결과,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컨트롤러(400)는 입력시간을 카운팅하기 시작(S130)하고, 입력시간을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과 비교하여 초과하였는지를 판단(S140)한다.
S130 단계의 판단 결과, 입력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컨트롤러(400)는 알람부(500)로 알람발생 제어신호를 출력(S150)하고, 알람부(500)는 알람발생 제어신호에 응하여 알람신호를 발생시킨다.
컨트롤러(400)는 작동부(100)를 통해 작동 오프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S(160)하고, 작동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 활동 모니터링이 중단되도록 한다.
S160 단계의 판단 결과, 작동 오프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컨트롤러(400)는 S120 단계부터 재수행한다.
그리고 S140 단계의 판단 결과, 입력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컨트롤러(400)는 근접센서(200)로부터 입력되던 물체감지신호가 중단되었는지를 판단(S170)하고, 판단 결과, 물체감지신호의 입력이 중단되면 컨트롤러(400)는 시간을 초기화시킨 후 S130 단계부터 재수행하여 입력시간을 새롭게 카운티하고, 물체감지신호가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S130 단계부터 재수행하여 입력시간이 지속적으로 누적 카운팅 되도록 한다.
(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활동 모니터링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700)로 이루어진다.
활동 모니터링 장치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작동부(100)와, 외부로부터 구동전원이 공급되면 일정 거리 이내에 물체가 있는지를 감지하여 물체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근접센서(200)와,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300)와, 작동부(100)의 온신호에 응하여 저장부(300)의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근접센서(200)로부터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그 입력시간을 카운팅하고, 카운팅되고 있는 입력시간과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을 비교하여 입력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400)와, 컨트롤러(400)의 알람발생 제어신호에 응하여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500)와, 사용자 단말기(7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600)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단말기(700)는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활동 모니터링 장치의 통신부(600)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컨트롤러(400)는 근접센서(200)로부터 입력되던 물체감지신호가 중단되면 카운팅되고 있던 입력시간을 초기화시킨 후 근접센서(200)로부터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하고,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입력시간을 카운팅하기 시작한다.
알람부(500)는 알람발생 제어신호에 응하여 발광되는 발광부(510)와, 알람발생 제어신호에 응하여 문자 또는 이미지로 출력하는 표시부(520)와, 알람신호를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530)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단말기(700)의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알람 발생 시작시간, 알람 발생 유지시간, 알람 발생 종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컨트롤러(400)는 통신부(600)를 통해 설정된 값을 제공받아 저장부(300)에 저장된 값을 변경시킨다.
컨트롤러(400)는 작동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700)로 종료 신호를 송출하고, 사용자 단말기(700)의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활동모니터링 정보를 생성시켜 화면상에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2의 제2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실시예 2에서 활동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상태는 실시예 1을 통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700)에서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기(700)의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활동 모니터링 장치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활동정보를 수집하여 저장(S210)하고, 사용자의 활동정보로부터 사용자 착석정보를 추출한다(S220).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700)의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추출한 사용자 착석정보를 통해 사용자 착석정보가 연속적으로 추출되는지를 판단(S230)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 착석정보가 연속적으로 추출되면, 사용자 단말기(700)의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700)에 구비된 알람 기능을 통해 알람이 발생되도록 한다(S240).
사용자 단말기(700)의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알람 발생후에도 착석 시간 초과정보가 추출되면 등록된 지인이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알람 메시지를 송출시킨다(S250).
( 실시예 3)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3 실시예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는 달리 활동 모니터링 장치의 컨트롤러(400)가 근접센서(200)로부터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통신부(6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700)로 송출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3의 제3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700)는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활동 모니터링 장치의 컨트롤러(400)로부터 물체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S310)하고, 판단 결과 물체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700)의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착석시간은 카운팅(S320)한다.
그리고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카운팅되고 있는 착석시간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착석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S330)한다.
S330 단계의 판단 결과, 착석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사용자 단말기(700)의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알람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700)의 화면상에 스트레칭 영상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영상 또는 웃을 수 있는 영상을 제공(S340)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700)의 화면상으로 제공되는 영상은 사용자를 통해 링크 정보를 입력받고, 링크 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들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S330 단계의 판단 결과, 착석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기(700)의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활동 모니터링 장치의 컨트롤러(400)로부터 물체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재판단(S350)하여, 수신이 중단된 경우 착석시간을 초기화(S360)시킨 후 S310 단계부터 재수행한다.
위에서 설명한 활동 모니터링 루틴은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고, 그 실행이 사용자에 의해 종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작동부 200 : 근접센서
300 : 저장부 400 : 컨트롤러
500 : 알람부 510 : 발광부
520 : 표시부 530 : 스피커
600 : 통신부 70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6)

  1.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작동부(100);
    외부로부터 구동전원이 공급되면 일정 거리 이내에 물체가 있는지를 감지하여 물체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근접센서(200);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300);
    상기 작동부(100)의 온신호에 응하여 상기 저장부(300)의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근접센서(200)로부터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그 입력시간을 카운팅하고, 카운팅되고 있는 입력시간과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을 비교하여 입력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400);
    상기 컨트롤러(400)의 알람발생 제어신호에 응하여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500);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7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7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700)의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알람 발생 시작시간, 알람 발생 유지시간, 알람 발생 종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통신부(600)를 통해 상기 설정된 값을 제공받아 저장부(300)에 저장된 값을 변경시키고,
    상기 컨트롤러(400)는 작동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700)로 종료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700)의 활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활동모니터링 정보를 생성시켜 화면상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근접센서(200)로부터 입력되던 물체감지신호가 중단되면 카운팅되고 있던 입력시간을 초기화시킨 후 상기 근접센서(200)로부터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하고, 상기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입력시간을 카운팅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500)는 알람발생 제어신호에 응하여 발광되는 발광부(510)와, 알람발생 제어신호에 응하여 문자 또는 이미지로 출력하는 표시부(520)와, 알람신호를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53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83523A 2016-12-30 2016-12-30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7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523A KR102027633B1 (ko) 2016-12-30 2016-12-30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523A KR102027633B1 (ko) 2016-12-30 2016-12-30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599A KR20180078599A (ko) 2018-07-10
KR102027633B1 true KR102027633B1 (ko) 2019-10-01

Family

ID=62915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523A KR102027633B1 (ko) 2016-12-30 2016-12-30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6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113B1 (ko) * 2020-04-01 2021-07-02 이대권 로봇 연계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1458B2 (ja) * 2006-12-22 2011-07-27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KR101487937B1 (ko) * 2013-04-11 2015-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차량 주변 물체 감지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0015A (ko) * 2005-10-11 2007-04-16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부팅 장치 및 방법
KR20110080873A (ko) 2010-01-07 2011-07-13 조현명 졸음방지용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1458B2 (ja) * 2006-12-22 2011-07-27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KR101487937B1 (ko) * 2013-04-11 2015-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차량 주변 물체 감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599A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23812A1 (zh) 智能马桶和基于智能马桶的安全监控系统
US20190175076A1 (en) Posture improvement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2072561B1 (ko)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6572795A (zh) 眼睛状况确定系统
US20180330815A1 (en) Dynamically-adaptive occupant monitoring and interaction systems for health care facilities
KR102027633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112058A (ko) 사용자 자세 분석 방법
KR102343131B1 (ko) 착석 자세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6186160A1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20170050173A (ko) 플렉서블 압력분포센서를 이용한 능동형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9646A (ko) 기능성 의자
Muheidat et al. Can we make a carpet smart enough to detect falls?
KR20200001748A (ko) 사용자의 착석 자세를 가이드 하는 모니터링 장치
KR101694489B1 (ko) Lcm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KR20150094316A (ko) 3-로드셀을 이용한 의자형 착석자세 및 산만도 교정시스템
US1110094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40004320A (ko) 주기적 모니터링을 통한 자세교정 시스템
JP2003070596A (ja) 着座姿勢検出機能付き椅子
KR20210089984A (ko) 스마트 거울을 이용한 유아용 손씻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1149923A (ja) 見守り装置、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11268A (ja) 判定システム
WO2016199748A1 (ja) 動作検出システム、動作検出装置、動作検出方法、および動作検出プログラム
JP2022104533A (ja) 感染拡大防止システム、感染拡大防止方法および、感染拡大防止プログラム
JPWO2009016727A1 (ja) 安否判断情報生成装置および安否確認システム
JP6945193B2 (ja) 情報通信装置、行動支援システム、情報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