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375B1 -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375B1
KR102106375B1 KR1020197026435A KR20197026435A KR102106375B1 KR 102106375 B1 KR102106375 B1 KR 102106375B1 KR 1020197026435 A KR1020197026435 A KR 1020197026435A KR 20197026435 A KR20197026435 A KR 20197026435A KR 102106375 B1 KR102106375 B1 KR 102106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fluid
filling
fluid container
valv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621A (ko
Inventor
폴 헤드방
스테판 윈드
하르트무트 울프
악셀 바르코프
로만 부퓌어
이브라힘 코우칸
Original Assignee
카우텍스 텍스트론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우텍스 텍스트론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카우텍스 텍스트론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110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19Fuel tanks with electronic systems, e.g. for controlling fuelling 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17Fuel level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302Electromagnet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394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preventing expulsion of fuel during filling of the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61Venting means working at specific times
    • B60K2015/03576Venting during filling the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 유체 용기(10)내로 개방되는 필러 파이프(20)를 통해 충전 장치(80)에 의해 충전될 수 있는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작동 유체 용기(10)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통기 밸브(30)를 구비하며, 개방 위치에서 작동 유체 용기(10)는 통기 밸브(30)에 의해 적어도 간접적으로 대기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폐쇄 위치에서 작동 유체 용기(10)는 통기 밸브(30)에 의해 대기와 유체적으로 분리된다. 상기 방법은 a) 통기 밸브(30)를 그의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b)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c)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레벨이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했거나 그 레벨을 초과했으면, 통기 밸브(30)를 통한 통기 체적 유량을 감소시키는 단계; d) 충전 장치(80)의 충전 정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e) 충전 정지가 결정된 후 미리 결정된 기간(t1) 후에 통기 밸브(30)를 그의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
본 발명은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음의 본문에서, 연료 용기나 연료 탱크로서 설계된 작동 유체 용기 및 연료 용기 시스템으로서 설계된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작동 유체 용기는, 특히 전적으로 그렇지는 않으나, 각 경우에 자동차용(가솔린 또는 디젤 연료용)의 연료 용기, 요소 용기(urea container), 앞유리 세정 용기, 오일 용기, 2차 유체 용기 또는 첨가제 용기이다. 처음에 언급한 유형의 작동 유체 용기는 종종, 특히 압출 중공 성형 용기의 제조에 적합한 HDPE (high-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를 압출 중공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상응하는 작동 유체 용기를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금속으로 제조된 작동 유체 용기도 사용할 수 있다.
연료 용기의 통기(venting)를 위해, 하나 이상의 통기 밸브를 가지며, 결국 과잉의 압력을 대기로 배출하기 위해 통기 라인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종래 기술에서 공지되어 있다. 특히 가솔린용으로 설계된 연료 용기의 경우, 이들 용기의 통기 라인은 종종 연료 증기가 통과하면서 이를 여과시키는 활성탄 필터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활성탄 필터를 통과한 후, 활성탄 필터에 의해 여과된 가스는 대기로 배출된다. 연료 용기를 충전할 때는, 충전 동안 연료 용기로부터 배출된 가스 (연료 증기와 공기의 혼합물)가 대기로 배출(가능하게는, 활성탄 필터를 통해 여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기 밸브는 그의 개방 위치에 있다. 연료 용기에서 상승하는 연료에 의해 통기 밸브가 폐쇄됨으로써 충전 정지가 개시되며, 그 결과 통기 밸브를 통한 연료 용기에 있는 가스/증기의 배출이 방지된다. 연료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개방된 필러 파이프를 통해 추가 연료를 도입함으로써, 연료 용기 내의 압력이 상승하며, 연료 레벨에 의해 필러 파이프에 삽입된 연료 펌프 노즐이 닫힐 때까지, 필러 파이프 내의 연료 레벨도 상승하고, 그 결과 연료 펌프 노즐에 의한 연료의 유출이 종료된다.
갑작스런 충전 정지가 발생한 경우, 다시 말해 연료 펌프 노즐로부터 연료의 유출이 종료된 경우, 필러 파이프에는 연료가 급증하며, 그 결과 필러 파이프의 충전 오리피스로부터 연료가 유출될 수 있다.
연료 펌프 노즐이 처음 차단된 후, 탱크를 충전하는 사람은 종종, 추가 연료를 필러 파이프 내에 연속으로 도입하는 보충을 수행하기도 한다. 다음에, 통기 밸브의 미리 결정된 누출 및 연료 용기 내의 상응하는 압력이 감소한 결과로, 필러 파이프 내에 도입된 연료는 연료 용기 내로 흘어들어 간다. 상응하는 보충 동작의 경우에는, 필러 파이프로부터 연료가 유출될 수 있다. 상응하는 보충의 경우에는, 연료 용기가 과충전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제어식 충전을 가능하게 하고, 작동 유체 용기의 미리 결정된 충전량을 항상 정확하게 달성할 수 있으며, 충전 공정 동안 및 보충 동작 동안에도 필러 파이프로부터 더 적은 작동 유체가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기반으로 한다.
본 발명이 기반으로 하는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개량은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발명이 기반으로 하는 상기 목적은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작동 유체 용기는 충전 장치에 의해 그 용기 내로 개방되는 필러 파이프를 통해 충전될 수 있고,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통기 밸브를 가지며, 개방 위치에서 작동 유체 용기는 통기 밸브에 의해 적어도 간접적으로 대기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폐쇄 위치에서 작동 유체 용기는 통기 밸브에 의해 대기와 유체적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음의 방법 단계, 즉:
a) 통기 밸브를 그의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b)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c)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레벨이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했거나 그 레벨을 초과했으면, 통기 밸브를 통한 통기 체적 유량을 감소시키는 단계;
d) 충전 장치의 충전 정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e) 충전 정지가 결정된 후 미리 결정된 기간 후에 통기 밸브를 그의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갖는다.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많은 장점을 갖는다. 하나의 장점은 보충 동작을 위한 작동 유체의 보충량을 규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보충 동작이 제어된 방식으로 진행되는 점이다. 추가의 장점은, 충전 정지가 있는 경우나 그 직후에, 다시 말해 충전 장치에 의해 작동 유체를 필러 파이프 내로 충전하는 것의 종료시, 필러 파이프에서 작동 유체 기둥이 상승하는 속도가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작동 유체 용기의 필러 파이프에서 작동 유체의 급증이 상당히 감소되며, 이는 충전 정지가 있는 경우 필러 파이프로부터 작동 유체 용기의 주변으로 유출되는 작동 유체가 상당히 적거나 작동 유체가 전혀 없는 점이다. 추가의 장점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작동 유체 기둥이 상승하는 속도가 감소되므로, 필러 노즐로부터 작동 유체의 유출에 대응해야 하는 구조적 방식 또는 구조적 설계 상의 조치가 보다 적기 때문에, 필러 노즐은 구조적으로 더 간단한 설계일 수 있는 점이다.
이는 통기 밸브의 유효 통기 단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통기 밸브를 통한 통기 체적 유량이 감소되며, 그 결과 통기 체적 유량을 설정함으로써 설정이 가능한 양압(positive pressure)이 충전 공정 동안 작동 유체 용기 내에 축적되기 때문이다. 작동 유체 용기에서 양압의 축적은 결국 통기 밸브를 통한 통기 체적 유량이 충전 장치에 의한 충전 체적 유량보다 적은 것을 전제로 한다. 예를 들어, 충전 장치가 40 ℓ/분의 충전 체적 유량을 제공하지만, 통기 밸브를 통한 통기 체적 유량이 40 ℓ/분 (가령, 20 ℓ/분) 미만이면, 작동 유체 용기 내에서 압력이 증가한다. 압력의 축적은 결국 작동 유체가 필러 파이프 내에서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 경우 작동 유체는, 통기 밸브가 그의 폐쇄 위치로 완전히 이동된 경우보다 필러 파이프 내에서 더 느리게 상승한다. 필러 파이프 내에서 작동 유체가 느리게 상승하는 결과로, 충전 정지가 있는 경우 필러 파이프로부터 유출되는 작동 유체가 없거나 상당히 적은 양의 작동 유체가 유출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필러 파이프에서 상승하는 작동 유체에 의한 충전 장치의 확장 포트를 폐쇄함으로써 개시된다.
충전 장치의 충전 정지가 결정된 후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통기 밸브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며, 결과적으로 통기 밸브 의해서 작동 유체 용기가 대기에 유체적으로 계속 연결되어 있으므로, 필러 파이프 내에서 작동 유체 레벨은 미리 결정된 높이까지 떨어진다. 결과적으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한 후 및 충전 정지 후에, 필러 파이프 내에서 재현 가능한 레벨의 높이가 항상 실현되므로, 보충 동작은 항상 필러 파이프 내에서 미리 결정된 레벨의 높이에서 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방법 단계 a)에서, 충전 이벤트 또는 충전 요구가 결정된 경우 통기 밸브는 그의 개방 위치로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충전 이벤트 또는 충전 요구는 자동차의 탱크 마개의 개방이 검출되는 경우, 다시 말해 탱크 마개가 그의 폐쇄 위치로부터 그의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 결정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충전 이벤트 또는 충전 요구는 필러 파이프 내로 충전 장치(연료 펌프 노즐)의 삽입이 검출되는 경우에 결정된다. 게다가, 충전 이벤트는 운전자에 의한 신호 및/또는 연료 펌프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해서 결정될 수도 있다.
방법 단계 b)는 적어도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레벨이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한 시점까지, 규칙적인 시간 간격으로 연속해서 또는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방법 단계 b)에서,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레벨은 충전 레벨 표시기에 의해 결정된다. 충전 레벨 표시기는 플로트를 갖는 레버 표시기, 또는 초음파 충전 레벨 센서나 용량성 충전 레벨 센서로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정도로, 충전 레벨 표시기의 설계에는 제한이 없다.
통기 체적 유량의 감소는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과 작동 유체 용기 주위의 외부 공간 사이에 미리 결정된 압력 차가 있는 경우, 통기 밸브를 통해 작동 유체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통기 체적 유량은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과 작동 유체 용기 주위의 외부 공간 사이의 압력 차에 비례한다. 게다가, 통기 체적 유량은 통기 밸브의 유동 저항 또는 통기 밸브를 통한 유동 저항에 비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기 체적 유량은 통기 밸브의 유동 저항을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통기 체적 유량은 통기 밸브의 유동 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감소된다.
유동 저항은, 바람직하게는 통기 밸브를 교대로 개방 및 폐쇄함으로써 변화된다. 통기 밸브의 폐쇄 위상은 통기 밸브의 개방 위상과 비교하여 느리며, 결과적인 통기 밸브의 유동 저항은 더 크고, 통기 체적 유량은 더 작다. 이 경우, 밸브 몸체는 개방 위치의 방향 및 폐쇄 위치의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앞뒤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 몸체가 통기 밸브의 밸브 시트를 완전히 폐쇄할 필요는 없다. 밸브 시트부터 밸브 몸체까지 거리의 감소는 이미 통기 밸브의 유동 저항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하다.
통기 체적 유량은 주어진 시간에 걸쳐서 평균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통기 체적 유량은 평균 0.05초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초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0.2초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0.3초 초과이다.
통기 밸브는 비례 밸브로서 설계되어, 통기 밸브의 유동 저항이 최소인 개방 위치와 통기 밸브의 유동 저항이 최대인 폐쇄 위치 사이에서 통기 밸브가 계속해서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 위치에서 밸브 몸체와 밸브 시트 간의 거리가 최대인 것이 바람직한 반면, 폐쇄 위치에서 밸브 몸체는 밸브 시트를 폐쇄함으로써, 통기 밸브의 폐쇄 위치에서 이 밸브는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을 대기와 유체적으로 분리한다. 그 결과, 통기 밸브의 유효 통기 단면적이 변화된다. 통기 밸브의 유효 통기 단면적은 (충전 공정 동안) 작동 유체 용기로부터 배출된 가스가 유동해야 하는 통기 밸브의 자유 개구 (개구의 표면적)이다. 또한, 유효 통기 단면적은 통기 밸브의 유효 통기 개구로 지칭할 수도 있다.
통기 밸브의 통기 단면적은 (충전 공정 동안) 작동 유체 용기로부터 배출된 가스가 유동해야 하는 통기 밸브의 자유 개구 (개구의 표면적)이다. 또한, 유효 통기 단면적은 통기 밸브의 유효 통기 개구로 지칭할 수도 있다.
통기 밸브의 유효 통기 단면적이 감소되면, 통기 밸브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로 작동/이동된다.
통기 밸브는 그의 개방 위치에서 유형 의존의 최대 통기 단면적을 갖는다. 통기 밸브의 폐쇄 위치에서, 통기 단면적은 0이 바람직하다.
방법 단계 c)에서, 통기 밸브의 통기 단면적은 최대 통기 단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방법 단계 c)에서, 유효 통기 단면적은 최대 통기 단면적의 6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이다.
유효 통기 단면적의 감소는 통기 밸브의 밸브 몸체에 의해 통기 밸브의 밸브 시트를 부분적으로 및/또는 무단으로(steplessly) 폐쇄함으로써 실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응하게 설계된 통기 밸브의 개방 위치에서, 밸브 몸체는 밸브 개구로 지칭할 수도 있는 밸브 시트로부터 통기 밸브 특정의 최대 거리를 갖는다. 상응하게 설계된 통기 밸브의 폐쇄 위치에서, 밸브 몸체는 밸브 시트를 폐쇄함으로써, 통기 단면적은 0이 된다.
또한, 통기 밸브는 통기 개구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는 통기 개구의 표면에 대한 법선에 대해 수직으로 작동/변위될 수 있는 미끄럼 이동에 의해 변경/변화될 수 있다. 게다가, 통기 밸브는 스로틀 플랩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기 밸브의 설계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충전 장치는 작동 유체 분배 장치로 지칭할 수도 있다. 충전 장치는 일반적으로 연료 펌프 노즐로서 설계된다.
방법 단계 d)에서, 충전 장치의 충전 정지는 음향 센서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 공정이 종료되면, 충전 장치는 특정 노이즈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음향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이 센서는 주파수 필터에 결합되어 차단 공정의 주파수 특성만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 충전 레벨은 차단 충전 체적으로 지칭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레벨이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했거나 그 레벨을 초과한 것으로 결정된 후, 및 미리 결정된 기간이 시작되기 전에, 통기 밸브를 통한 제 1통기 체적 유량이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통기 밸브를 통한 제 2통기 체적 유량과 상이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통기 체적 유량은 제 2통기 체적 유량보다 적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통기 체적 유량은 제 2통기 체적 유량보다 많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통기 밸브가 그의 개방 위치와 그의 폐쇄 위치 사이에서 간헐적으로 작동함으로써 통기 체적 유량이 변화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다음의 방법 단계, 즉:
b1) 작동 유체 용기를 작동 유체로 충전하는 충전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b2) 충전 속도의 함수로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한 후 통기 밸브를 통한 통기 체적 유량이 감소되는 통기 체적 유량의 감소를 결정하는 단계로, 통기 체적 유량의 감소는 충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떨어지는, 단계를 갖도록 설계된다.
상응하게 설계된 방법은 충전 공정의 종료시나 직후에, 충전 속도와 무관하게, 결과적으로는 충전 장치의 충전률과 무관하게, 필러 파이프로부터 작동 유체 용기의 주변으로 유출되는 작동 유체가 적더라도, 충전 속도/충전률이 낮은 경우보다 충전 속도가 높고, 결과적으로 충전률이 더 큰 경우에 통기 체적 유량의 감소가 적으므로, 장점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충전률과 무관하게 또는 충전 속도와 무관하게,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한 후, 작동 유체가 필러 파이프 내에서 상승하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고/하거나 설정 가능한 속도를 항상 달성할 수 있다.
충전 속도는 방법 단계 b)에서 결정된 충전 레벨 및 이 충전 레벨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시간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 및/또는 추가로, 충전 속도는 필러 파이프에 배치된 유량 측정 장치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대안 및/또는 추가로, 충전 속도는 충전 장치로부터 무선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다음의 방법 단계, 즉:
f) 충전 장치의 추가 충전 정지를 결정하는 단계;
g) 추가 충전 정지가 결정되면 통기 밸브(30)를 통한 통기 체적 유량을 설정하는 단계; 및
h) 충전 정지가 결정된 후 미리 결정된 제 2기간 후에 통기 밸브를 그의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갖도록 설계된다.
상응하게 설계된 방법은 제어식 보충 동작이 가능하며, 작동 유체가 필러 파이프 내에서 상승하는 속도가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제어 방법과 비교하여 감소되므로, 보충 동작 동안 필러 파이프로부터 유출되는 작동 유체가 없거나 적어도 감소된 양의 작동 유체가 유출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방법 단계 g)에서 설정된 통기 체적 유량은 통기 밸브를 통한 최대 통기 체적 유량보다 작거나 적다. 통기 밸브를 통한 통기 체적 유량이 최대인 경우, 통기 밸브의 밸브 시트부터 밸브 몸체까지의 거리는 최대가 된다.
방법 단계 f)는 계속해서 또는 규칙적인 시간 간격으로 수행된다.
제 2기간은 방법 단계 e)에서 충전 정지가 결정된 후 통기 밸브가 그의 개방 위치와 그의 폐쇄 위치 사이에서 그의 중간 위치에 유지되는 미리 결정된 기간보다 짧거나/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 밸브가 비례 밸브로서 설계되고, 그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계속해서 조절될 수 있는 경우, 방법 단계 g)는, 추가 충전 정지가 결정되면 통기 밸브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과 같다.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통기 밸브는 최대 통기 단면적보다 작은 통기 단면적을 갖는다.
방법 단계 h)에서, 통기 밸브는 대안 또는 추가로 미리 결정된 수의 보충 동작 후에 그의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기반으로 하는 목적은 충전 장치에 의해 작동 유체 용기로 개방되는 필러 파이프를 통해 충전될 수 있는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되며, 작동 유체 용기에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전기 작동식 배출 밸브가 배치되고, 개방 위치에서 필러 파이프는 배출 밸브에 의해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폐쇄 위치에서 필러 파이프는 배출 밸브에 의해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과 유체적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음의 방법 단계, 즉:
a) 배출 밸브를 그의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b)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c)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레벨이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했거나 그 레벨을 초과했으면, 필러 파이프를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에 유체적으로 연결하여 배출 밸브의 개구의 개구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단계;
d) 충전 장치의 충전 정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e) 충전 정지가 결정된 후 미리 결정된 기간 후에 배출 밸브를 그의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갖는다.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많은 장점을 갖는다. 하나의 장점은 보충 동작을 위한 작동 유체의 보충량을 규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보충 동작이 제어된 방식으로 진행되는 점이다. 추가의 장점은, 충전 정지가 있는 경우나 그 직후에, 다시 말해 충전 장치에 의해 작동 유체를 필러 파이프에 충전하는 것의 종료시, 필러 파이프에서 작동 유체 기둥이 상승하는 속도가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작동 유체 용기의 필러 파이프에서 작동 유체의 급증이 상당히 감소되며, 이는 충전 정지가 있는 경우 필러 파이프로부터 작동 유체 용기의 주변으로 유출되는 작동 유체가 상당히 적거나 작동 유체가 전혀 없는 점이다. 추가의 장점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작동 유체 기둥이 상승하는 속도가 감소되므로, 필러 노즐로부터 작동 유체의 유출에 대응해야 하는 조치가 보다 적기 때문에, 필러 노즐은 구조적으로 더 간단한 설계일 수 있는 점이다.
이는 배출 밸브의 개구 단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필러 파이프로부터 작동 유체 용기 내로,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작동 유체의 유출 유속이 감소되고, 결국 작동 유체가 필러 파이프 내에서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이 경우 작동 유체는, 배출 밸브가 그의 폐쇄 위치로 완전히 이동된 경우보다 필러 파이프 내에서 더 느리게 상승한다. 필러 파이프 내에서 작동 유체가 더 느리게 상승하는 결과로, 충전 정지가 있는 경우 필러 파이프로부터 유출되는 작동 유체가 없거나 상당히 적은 양의 작동 유체가 유출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필러 파이프에서 상승하는 작동 유체에 의한 충전 장치의 확장 포트를 폐쇄함으로써 개시된다.
충전 장치의 충전 정지가 결정된 후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배출 밸브는 개구 단면적이 감소된 위치에 유지되거나, 폐쇄 위치로 이동된 후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개구 단면적이 감소되는 위치로 이동되며,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은 필러 파이프에 유체적으로 계속 연결되어 있어, 필러 파이프 내에서 작동 유체의 레벨은 미리 결정된 높이까지 떨어진다. 결과적으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한 후 및 충전 정지 후에, 필러 파이프 내에서 재현 가능한 레벨의 높이가 항상 실현되므로, 보충 동작은 항상 필러 파이프 내에서 미리 결정된 레벨의 높이에서 시작되며, 그로 인해 규정된 보충 체적을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법 단계 a)에서, 충전 이벤트 또는 충전 요구가 결정된 경우 배출 밸브는 그의 개방 위치로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충전 이벤트 또는 충전 요구는 자동차의 탱크 마개의 개방이 검출되는 경우, 다시 말해 탱크 마개가 그의 폐쇄 위치로부터 그의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 결정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충전 이벤트 또는 충전 요구는 필러 파이프 내로 충전 장치(연료 펌프 노즐)의 삽입이 검출되는 경우에 결정된다. 게다가, 충전 이벤트는 운전자에 의한 신호 및/또는 연료 펌프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해서 결정될 수도 있다.
방법 단계 b)는 적어도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레벨이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한 시점까지, 규칙적인 시간 간격으로 연속해서 또는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방법 단계 b)에서,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레벨은 충전 레벨 표시기에 의해 결정된다. 충전 레벨 표시기는 플로트를 갖는 레버 표시기, 또는 초음파 충전 레벨 센서나 용량성 충전 레벨 센서로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정도로, 충전 레벨 표시기의 설계에는 제한이 없다.
배출 밸브의 개구 단면적은 (충전 공정 동안)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더욱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작동 유체가 필러 파이프로부터 작동 유체 용기 내로 유동해야 하는 배출 밸브의 자유 개구이다.
배출 밸브의 개구 단면적이 감소되면, 배출 밸브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로 작동/이동된다.
배출 밸브는 그의 개방 위치에서 유형 의존의 최대 개구 단면적을 갖는다. 배출 밸브의 폐쇄 위치에서, 개구 단면적은 0이 바람직하다.
방법 단계 c)에서, 배출 밸브의 개구 단면적은 최대 개구 단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방법 단계 c)에서, 개구 단면적은 최대 개구 단면적의 6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이다.
개구 단면적의 감소는 배출 밸브의 밸브 몸체에 의해 배출 밸브의 밸브 시트를 부분적으로 폐쇄함으로써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응하게 설계된 배출 밸브의 개방 위치에서, 밸브 몸체는 밸브 시트로부터 통기 밸브 특정의 최대 거리를 가지며, 이는 밸브 개구로 지칭할 수도 있다. 상응하게 설계된 개방 밸브의 폐쇄 위치에서, 밸브 몸체는 밸브 시트를 폐쇄하므로, 개방 단면적은 0이 된다.
배출 밸브는 배출 개구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는 배출 개구의 표면에 대한 법선에 대해 수직으로 작동/변위될 수 있는 미끄럼 이동에 의해 변경/변화될 수 있다. 게다가, 배출 밸브는 피봇 가능한 플랩을 가질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배출 개구가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 밸브의 설계에 관한 제한은 없으며, 이는 역류 방지 밸브 및/또는 체크 밸브로 지칭할 수도 있다.
충전 장치는 작동 유체 분배 장치로 지칭할 수도 있다. 충전 장치는 일반적으로 연료 펌프 노즐로서 설계된다.
방법 단계 d)에서, 충전 장치의 충전 정지는 음향 센서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 공정이 종료되면, 충전 장치는 특정 노이즈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음향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이 센서는 주파수 필터에 결합되어 차단 공정의 주파수 특성만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 충전 레벨은 차단 충전 체적으로 지칭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다음의 방법 단계, 즉:
b1) 작동 유체 용기를 작동 유체로 충전하는 충전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b2) 충전 속도의 함수로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한 후 배출 밸브의 개구 단면적이 감소되는 개구 단면적의 감소를 결정하는 단계로, 개구 단면적의 감소는 충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떨어지는, 단계를 갖도록 설계된다
상응하게 설계된 방법은 충전 공정의 종료시나 직후에, 충전 속도와 무관하게, 결과적으로는 충전 장치의 충전률과 무관하게, 필러 파이프로부터 작동 유체 용기의 주변으로 유출되는 작동 유체가 적더라도, 충전 속도/충전률이 낮은 경우보다 충전 속도가 높고, 결과적으로 충전률이 더 큰 경우에 개구 단면적의 감소가 적으므로, 장점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충전률과 무관하게 또는 충전 속도와 무관하게,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한 후, 작동 유체가 필러 파이프 내에서 상승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를 항상 달성할 수 있다.
충전 속도는 방법 단계 b)에서 결정된 충전 레벨 및 이 충전 레벨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시간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 및/또는 추가로, 충전 속도는 필러 파이프에 배치된 유량 측정 장치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대안 및/또는 추가로, 충전 속도는 충전 장치로부터 무선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다음의 방법 단계, 즉:
f) 충전 장치의 추가 충전 정지를 결정하는 단계;
g) 추가 충전 정지가 결정되면 배출 밸브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h) 충전 정지가 결정된 후 미리 결정된 제 2기간(t2) 후에 배출 밸브를 그의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갖도록 설계된다.
상응하게 설계된 방법은 제어식 보충 동작이 가능하며, 작동 유체가 필러 파이프 내에서 상승하는 속도가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제어 방법과 비교하여 감소되므로, 보충 동작 동안 필러 파이프로부터 유출되는 작동 유체가 없거나 적어도 감소된 양의 작동 유체가 유출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배출 밸브는 그의 최대 개방 단면적보다 작은 개방 단면적을 갖는다.
방법 단계 f)는 계속해서 또는 규칙적인 시간 간격으로 수행된다.
제 2기간은 방법 단계 e)에서 충전 정지가 결정된 후 배출 밸브가 그의 개방 위치와 그의 폐쇄 위치 사이에서 그의 중간 위치에 유지되는 미리 결정된 기간보다 짧거나/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미리 결정된 기간이 목표 충전 레벨과 결정된 충전 레벨 간의 차이의 함수가 되도록 설계된다.
제 1미리 결정된 기간으로 지칭할 수도 있는 미리 결정된 기간(t1)은 결과적으로, 목표 충전 레벨(VZ)과 실제 충전 레벨로 지칭할 수도 있는 결정된 충전 레벨(VI) 간의 차이의 함수로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1 = f(VZ-VI).
함수 f(VZ-VI)는 단조롭게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함수 f(VZ-VI)는 선형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함수 f(VZ-VI)는 포물선 형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함수가 목표 충전 레벨과 결정된 충전 레벨 간의 차이에 따라 단조롭게 상승하는 함수가 되도록 설계되며, 여기서 목표 충전 레벨과 결정된 충전 레벨 간에 0의 차이가 있는 경우, 함수는 마찬가지로 0이 된다.
결과적으로, VZ-VI=0인 경우, t1 = f(VZ-VI); t1 = 0이 된다. 따라서, 충전 레벨 (실제 충전 레벨)이 목표 충전 레벨 이상이면, 미리 결정된 기간은 0초가 된다.
상응하게 설계된 방법은, 결정된 충전 레벨, 다시 말해 실제 충전 레벨과 목표 충전 레벨 간의 차이가 클수록, 충전 정지가 결정된 후에 필러 파이프에서 작동 유체의 레벨이 더 떨어지므로, 가능한 보충 동작의 경우에, 충전 장치에 의해 추가의 충전 정지가 실행되기 전에 더 많은 양의 작동 유체가 보충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온다. 결과적으로, 가능한 보충량이 모두 적어질수록, 목표 충전 레벨과 실제 충전 레벨 간의 차이는 작아진다.
결정된 충전 레벨과 목표 충전 레벨의 차이는 리터나 밀리미터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충전 레벨을 미터로 표시할 경우, 작동 유체 용기 내의 작동 유체의 레벨이 측정/결정된다. 충전 레벨을 리터로 표시할 경우,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량이 표시/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미리 결정된 제 2기간이 목표 충전 레벨과 결정된 충전 레벨 간의 차이의 함수가 되도록 설계된다.
미리 결정된 제 2기간(t2)은 결과적으로, 목표 충전 레벨(VZ)과 실제 충전 레벨로 지칭할 수도 있는 결정된 충전 레벨(VI) 간의 차이의 함수로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2 = f(VZ-VI) ).
함수 f(VZ-VI)는 단조롭게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함수 f(VZ-VI)는 선형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함수 f(VZ-VI)는 포물선 형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방법 단계 e)에서 제 2기간은, 충전 정지가 결정된 후에 통기 밸브 또는 배출 밸브가 그의 개방 위치와 그의 폐쇄 위치 사이에서 그의 중간 위치에 유지되는 미리 결정된 제 1기간보다 짧도록 설계된다.
상응하게 설계된 방법은 결과적으로, 보충(topping-up) 동작에서 계속해서 더 적은 보충 량이 되도록 허용한다. 이는, 계속해서 더 적은 보충량의 경우, 탱크를 충전하는 사람에게,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레벨이 점근적으로 최대 충전 레벨에 근접한다는 인상을 주기 때문에, 탱크를 충전하는 사람에게는 종종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다음의 방법 단계, 즉:
b1) 작동 유체 용기를 작동 유체로 충전하는 충전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b3) 충전 속도의 함수로서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로,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은 충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떨어지는, 단계를 갖도록 설계된다.
상응하게 설계된 방법은 충전 공정의 종료시나 직후에, 필러 파이프로부터 작동 유체 용기의 주변으로 유출되는 작동 유체가 적더라도, 충전 속도/충전률이 낮은 경우보다 충전 속도가 높고, 결과적으로 충전률이 높은 경우에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이 낮으므로, 장점을 제공한다.
충전 속도는 방법 단계 b)에서 결정된 충전 레벨 및 이 충전 레벨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 및/또는 추가로, 충전 속도는 필러 파이프에 배치된 유량 측정 장치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대안 및/또는 추가로, 충전 속도는 충전 장치로부터 무선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식 충전 공정 및 제어식 보충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목적을 기반으로 하기도 한다. 본 발명이 기반으로 하는 상기 목적은 청구항 12의 특징을 갖는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의 유리한 개량은 청구항 12의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발명이 기반으로 하는 상기 목적은 자동차용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되며,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은
- 하나 이상의 작동 유체 용기로,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에는 작동 유체로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을 충전하는 필러 파이프가 개방되어 있는, 작동 유체 용기;
- 작동 유체 용기를 환기 및/또는 통기시키는 하나 이상의 통기 밸브로, 통기 밸브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개방 위치에서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은 통기 밸브에 의해 적어도 간접적으로 대기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폐쇄 위치에서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은 통기 밸브에 의해 대기와 유체적으로 분리되는 통기 밸브;
- 작동 유체 용기내 작동 유체의 충전 레벨을 결정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레벨 센서; 및
-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데이터 라인을 통해 충전 레벨 센서에 결합되고, 제어 신호를 방출하는 제 2데이터 라인을 통해 통기 밸브에 결합되는 전자 제어 장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은 제어 장치가 제 1항에 종속되는 한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5항 또는 제 9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은 보충 동작을 위한 보충량이 규정될 수 있고, 충전 동안 및 가능한 보충 동안 필러 파이프로부터 더 적은 작동 유체가 유출되는 작동 유체 용기의 제어식 충전을 허용한다.
이는 통기 밸브의 유효 통기 단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통기 밸브를 통한 통기 체적 유량이 감소되며, 그 결과 양압이 충전 공정 동안 작동 유체 용기 내에 축적되기 때문이다. 압력의 축적은 결국 필러 파이프 내에서 작동 유체가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 경우 통기 밸브가 완전히 그의 폐쇄 위치로 이동된 경우보다 필러 파이프 내에서 작동 유체는 더 느리게 상승한다. 필러 파이프 내에서 작동 유체가 느리게 상승하는 결과로, 충전 정지가 있는 경우 필러 파이프로부터 유출되는 작동 유체가 없거나 상당히 적은 양의 작동 유체가 유출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필러 파이프에서 상승하는 작동 유체에 의한 충전 장치의 확장 포트를 폐쇄함으로써 개시된다.
충전 장치의 충전 정지가 결정된 후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통기 밸브는, 유효 통기 단면적이 감소되고 작동 유체 용기가 통기 밸브에 의해 대기와 유체적으로 계속 연결되는 위치에 유지되며, 필러 파이프 내에서 작동 유체의 레벨은 미리 결정된 높이까지 떨어진다. 결과적으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한 후 및 충전 정지 후에, 필러 파이프 내에서 재현 가능한 레벨의 높이가 항상 실현되므로, 보충 동작은 항상 필러 파이프 내에서 미리 결정된 레벨의 높이에서 시작된다.
작동 유체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통기 밸브가 바람직하게 배치되는 통기 라인을 갖는다. 그러나, 통기 밸브는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과 통기 라인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게다가, 통기 밸브는 작동 유체 용기에서 떨어진 통기 라인의 단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통기 밸브는 작동 유체 용기에 일체로 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작동 유체 용기는 예를 들어, 가솔린 또는 디젤 연료를 수용하는 연료 용기로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작동 유체 용기는 요소 수용액을 수용하는 요소 용기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통기 밸브의 전기적인 작동은 통기 밸브의 전자 기계 및/또는 전자기 작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에 의해, 더욱 정확하게는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다음의 방법 단계, 즉:
-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공정이 시작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로; 이는 예를 들어, 필러 파이프 또는 필러 파이프의 필러 노즐에서 센서에 의해 일어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필러 파이프의 필러 노즐에서 연료 펌프 노즐을 검출하는, 단계;
- 충전 공정이 시작된 것으로 결정된 후 통기 밸브를 그의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개방 제어 신호를 통기 밸브에 방출하는 단계;
- 충전 레벨 센서로부터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레벨을 나타내는 충전 레벨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충전 레벨을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과 비교하는 단계;
-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레벨이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했거나 그 레벨을 초과했으면, 통기 밸브에 감소 제어 신호를 방출하는 단계;
- 충전 장치의 충전 정지를 결정하는 단계로, 충전 장치는 충전 공정이 종료되면 특성 노이즈를 발생시키고, 충전 정지는, 바람직하게는 음향 센서에 의해 결정되며, 차단 공정의 주파수 특성만 통과를 허용하여 검출될 수 있게 하는 주파수 필터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 단계;
- 충전 정지가 결정된 후 미리 결정된 기간 후에 통기 밸브를 그의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폐쇄 제어 신호를 통기 밸브에 방출하는 단계가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은 통기 밸브가 그의 개방 위치와 그의 폐쇄 위치 사이에서 개별로 전기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통기 밸브 수단의 개별 조절기능은 특히, 통기 밸브가 그의 개방 위치 또는 그의 폐쇄 위치로만 이동/구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응하게 설계된 통기 밸브를 통해, 통기 밸브를 그의 개방 위치와 그의 폐쇄 위치 사이에서 간헐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통기 체적 유량의 감소가 실현된다. 통기 밸브의 상응하는 간헐적인 작동은 통기 밸브의 클로킹(clocking) 및/또는 펄싱(pulsing)으로 지칭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은 통기 밸브가 비례 밸브로서 설계되고, 개방 위치와 그의 폐쇄 위치 사이에서 연속해서 전기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도록 설계된다:
-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전기 작동식 배출 밸브도 구비하고, 개방 위치에서 필러 파이프는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폐쇄 위치에서 필러 파이프는 배출 밸브에 의해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과 유체적으로 분리되며;
- 제어 장치는 제 6항에 종속되는 한에 있어서, 제 6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도록 설계된다.
역류 방지 밸브 및/또는 체크 밸브로 지칭할 수도 있는 배출 밸브는 필러 파이프의 입구 영역에서 작동 유체 용기에 배치됨으로써, 필러 파이프의 입구가 배출 밸브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배출 밸브는 필러 파이프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은 필러 파이프에 삽입된 충전 장치의 충전 정지를 검출할 수 있는 음향 센서를 가지며, 음향 센서는 충전 정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제어 장치에 연결된다. 음향 센서는 진동 센서로 설계 및/또는 지칭할 수도 있다. 진동 센서에 의해,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 다시 말해 작동 유체 용기 및/또는 필러 파이프 및/또는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의 기타 구성요소들의 진동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장점, 세부사항 및 특징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드러난다.
도 1은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작동 유체 용기를 충전하는 동안 필러 파이프 내의 충전 레벨,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레벨 및 통기 밸브를 통한 통기 체적 유량을 나타내는 3개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명칭은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동일한 특징을 나타내므로, 하나의 도면에 관한 구성요소의 설명을 다른 도면에도 적용하며, 그로 인해 반복되는 설명을 피할 수 있다. 게다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개별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별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도 3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작동 유체 용기(10)는 도 3에 나타낸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의 일부이다. 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작동 유체 용기(10)를 포함하며, 이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연료 용기(10)로서 설계된다.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을 작동 유체로 충전하기 위한 필러 파이프(20)는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 내로 개방되어 있다. 연료 펌프 노즐(80)로서 설계된 충전 장치(80)에 의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연료인 작동 유체는 필러 파이프(20)를 통해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에 충전될 수 있다.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은 작동 유체 용기(10)를 환기 및/또는 통기시키는 하나 이상의 통기 밸브(30)를 갖는다. 이 경우, 통기 밸브(30)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이동 또는 작동될 수 있다. 통기 밸브(30)의 작동을 위해 액추에이터가 제공되며, 이는 도 3에서 통기 밸브(30)의 우측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통기 밸브(30)의 개방 위치에서,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은 통기 밸브(30)에 의해 대기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도시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에,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은 통기 라인(31)에 의해 간접적으로 대기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며, 통기 라인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활성탄 필터(70)로서 설계된 흡착 필터(70) 내로 개방되어 있다. 통기 밸브(30)의 폐쇄 위치에서,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은 통기 밸브(30)에 의해 대기와 유체적으로 분리된다.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은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으로 개방되는 필러 파이프(20)의 단부에 배치되며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배출 밸브(40)도 갖는다. 배출 밸브(40)는 역류 방지 밸브(40) 및/또는 체크 밸브(40)로 지칭할 수도 있다. 게다가, 배출 밸브(40)는 필러 파이프(20)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 밸브(40)는 필러 파이프(20)가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개방 위치와 배출 밸브(40)에 의해 필러 파이프(20)가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과 유체적으로 분리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작동 또는 조절될 수 있다. 배출 밸브(40)는, 바람직하게는 기계적인 비복귀 기능/비복귀 요소를 구비함으로써, 배출 밸브(40)는 추가적인 강제 폐쇄기능을 지닌 비복귀 요소를 갖는다.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에는 작동 유체 용기(10)내 작동 유체의 충전 레벨을 결정하는 충전 레벨 센서(50)가 배치된다. 도시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전 레벨 센서(50)는 레버 표시기로서 설계되며, 이는 레버를 통해 충전 레벨 센서(50)에 연결되는 플로트(51)를 갖는다.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은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으로 지칭할 수도 있는 전자 제어 장치(60)를 갖는다.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2개의 음향 센서(90) 또는 마이크로폰(90)을 갖는 구조형 음향 센서 장치(90)도 구비한다. 하나의 음향 센서(90)는 필러 파이프(20) 상에 고정되고, 추가의 음향 센서(90)는 작동 유체 용기(10) 상에 고정된다. 구조형 음향 센서 장치(90)는 하나의 음향 센서(90) 또는 2 개 이상의 음향 센서(90)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음향 센서(90)에 의해, 충전 장치(80)의 충전 정지가 있는 경우의 특성인 노이즈가 검출될 수 있다.
전자 제어 장치(60)는 제 1데이터 라인(61)을 통해 충전 레벨 센서(50)에 연결되며,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레벨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제 1데이터 라인(61)을 통해 충전 레벨 센서(50)로부터 전자 제어 장치(60)에 전송될 수 있다. 전자 제어 장치(60)는 제 2데이터 라인(62)을 통해 통기 밸브(30)에 추가로 연결된다. 제 2데이터 라인(62)을 통해, 제어 신호가 전자 제어 장치(60)로부터 통기 밸브(30)에 전송될 수 있다. 게다가, 전자 제어 장치(60)는 제 3데이터 라인(63)을 통해 배출 밸브(40)에 연결된다. 제 3데이터 라인(63)을 통해, 제어 신호가 전자 제어 장치(60)로부터 배출 밸브(40)에 전송될 수 있다. 전자 제어 장치(60)는 제 4데이터 라인(64)을 통해 음향 센서(90)에 연결되기도 한다. 제 4데이터 라인(64)을 통해 충전 정지를 신호발생하는 신호/데이터가 음향 센서(90)로부터 전자 제어 장치(60)에 전송될 수 있다.
다음의 텍스트에서는,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필러 파이프(20) 내에서 또는 작동 유체 용기(10)로부터 떨어진 필러 파이프(20)의 단부에 배치된 필러 노즐 내에서 센서를 통해 검출 가능한 충전 이벤트가 검출되면, 방법 단계 A에서 전자 제어 장치(60)에 의해서 개방 제어 신호가 통기 밸브(30)에 방출되고, 그 결과 통기 밸브(30)는 그의 개방 위치로 이동되며, 이 위치에서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은 통기 라인(31) 및 활성탄 필터(70)를 통해 간접적으로 대기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게다가, 방법 단계 A에서, 전자 제어 장치(60)에 의해 개방 제어 신호가 배출 밸브(40)에 방출되고, 그 결과 배출 밸브(40)는 그의 개방 위치로 이동되며, 이 위치에서 필러 파이프(20)는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이어서, 방법 단계 B에서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레벨이 결정된다. 충전 레벨은 도시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레버 표시기로서 설계된 충전 레벨 센서(50)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충전 레벨 센서(50)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임의의 다른 원하는 방식으로 설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충전 레벨 센서(50)는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레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전자 제어 장치(60)에 전송한다.
이어서, 방법 단계 B1에서, 실제 충전 레벨로 지칭할 수도 있는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레벨이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했는지 또는 그 레벨을 초과했는지가 전자 제어 장치(60)에 의해 체크된다.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레벨이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충전 레벨보다 낮으면, 방법은 방법 단계 B로 돌아가는 반면,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레벨이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했거나 그 레벨을 초과하면, 방법은 방법 단계 C로 넘어간다.
도 2에서,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은 작동 유체 용기(10)의 목표 충전 레벨의 95%이다.
방법 단계 C에서, 전자 제어 장치(60)에 의해 감소 제어 신호가 제 2데이터 라인(62)을 통해 통기 밸브(30)에 전달되고, 그 결과 통기 밸브(30)를 통한 통기 체적 유량이 감소되며, 이는 작동 유체 용기(10)가 여전히 통기 밸브(30)에 의해 대기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보장한다.
대안 또는 추가로, 방법 단계 C에서, 전자 제어 장치(60)에 의해 감소 제어 신호가 제 3데이터 라인(63)을 통해 배출 밸브(40)에 (추가로) 전송되고, 그 결과 배출 밸브(40)의 개구 단면적이 감소되며, 이는 작동 유체 용기(10)가 여전히 필러 파이프(20)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보장한다.
도 2의 하부 다이어그램에서, 감소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통기 밸브(30)를 통한 통기 체적 유량은 최대 통기 체적 유량의 50%로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통기 체적 유량이 감소되므로, 작동 유체 용기(10) 내에 양압이 축적된다. 이는 필러 파이프(20) 내로 도입된 작동 유체가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 내로 더욱 천천히 유동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는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한 후 더욱 작은 충전 곡선의 기울기를 통해, 도 2의 중간 다이어그램에서 볼 수 있다. 작동 유체 용기(10) 내의 압력 축적으로 인해, 작동 유체 레벨은 도 2의 상부 다이어그램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필러 파이프(20) 내에서 상승한다. 이 경우 충전 장치(80)에 의해 충전 정지가 실행될 때까지 작동 유체는 필러 파이프(20)에서 상승한다.
방법 단계 D에서, 충전 장치(80)의 충전 정지가 실행되었는지가 결정된다. 충전 정지는 음향 센서(90)에 의해 결정된다. 음향 센서(90)는 충전 정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 4데이터 라인(64)을 통해 전자 제어 장치(60)에 전송한다. 충전 정지가 실행되지 않으면, 방법은 방법 단계 D에서 유지되는 반면, 충전 정지가 결정되면, 방법은 방법 단계 E로 넘어간다.
작동 유체는 필러 파이프(20)에서 제 1최대 값에 도달하므로, 충전 정지는 도 2의 상부 다이어그램에서 볼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제 1기간(t1)이 경과한 후, 방법 단계(E)에서 폐쇄 제어 신호가 제 2데이터 라인(62)을 통해 전자 제어 장치(60)로부터 통기 밸브(30)에 전송되고, 그 결과 통기 밸브(30)는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을 대기와 유체적으로 분리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레벨이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했거나 이 레벨을 초과한 것으로 결정된 후, 및 미리 결정된 기간(t1)의 시작 전에 통기 밸브(30)를 통한 제 1통기 체적 유량은 미리 결정된 기간(t1) 동안 통기 밸브(30)를 통한 제 2통기 체적 유량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통기 체적 유량은 제 2통기 체적 유량보다 적을 수 있다. 제 1통기 체적 유량은 제 2통기 체적 유량보다 많을 수도 있다.
대안 또는 추가로, 미리 결정된 제 1기간(t1)이 경과한 후, 방법 단계(E)에서 폐쇄 제어 신호가 제 3데이터 라인(63)을 통해 전자 제어 장치(60)로부터 배출 밸브(40)에 전송되고, 그 결과 배출 밸브(40)는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을 필러 파이프(20)와 유체적으로 분리한다.
필러 파이프(20) 내에서 작동 유체 레벨이 제 1기간(t1) 동안 필러 파이프(20) 내에서 미리 결정된 레벨까지 떨어지는 것을 도 2의 상부 다이어그램에서 볼 수 있다. 이 기간 동안, 필러 파이프(20)에 있는 작동 유체는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 내로 계속 유동하며, 이는 기간(t1) 동안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레벨이 상승하는 것으로부터 알 수 있다. 미리 결정된 기간(t1)이 경과한 후, 통기 밸브(30) 및/또는 배출 밸브(40)가 그의/그들의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도 2의 하부 다이어그램에서 볼 수 있다.
충전 공정이 종료된 후, 탱크를 충전하는 사람이 충전 장치(80)에 의해 필러 파이프(20) 내에 작동 유체를 추가로 충전하면, 통기 밸브(30) 및/또는 배출 밸브(40)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필러 파이프(20) 내에서 작동 유체 레벨이 상승한다. 필러 파이프(20) 내에서 작동 유체 레벨의 상승은 도 2의 상부 다이어그램에서 볼 수 있다.
방법 단계 F에서, 충전 장치(80)의 추가 충전 정지가 실행되었는지가 결정된다. 충전 정지는 음향 센서(90)들 중 하나에 의해 결정된다. 음향 센서(90)는 충전 정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 4데이터 라인(64)을 통해 전자 제어 장치(60)에 전송한다. 충전 정지가 실행되지 않았으면, 방법 단계 F가 유지되는 반면, 추가 충전 정지가 결정되었으면, 방법은 방법 단계 G로 넘어간다.
방법 단계 G에서, 개방 제어 신호 또는 일련의 간헐적 개방 제어 신호 및 폐쇄 제어 신호가 제 2데이터 라인(62)을 통해 전자 제어 장치(60)로부터 통기 밸브(30)에 전송되어, 통기 밸브(30)를 통해 주어진 통기 체적 유량이 달성된다. 도시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기 체적 유량은 최대 통기 체적 유량의 50%임을 도 2의 하부 다이어그램에서 볼 수 있다.
대안 또는 추가로, 방법 단계 G에서, (추가) 개방 제어 신호가 제 3데이터 라인(63)을 통해 전자 제어 장치(60)로부터 배출 밸브(40)에 전송되고, 그 결과 배출 밸브(40)는 그의 개방 위치와 그의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로 이동된다.
통기 밸브(30)를 통한 통기 체적 유량이 감소되므로, 보충 동안 작동 유체 용기(10) 내에는 양압이 축적된다. 이는 필러 파이프(20) 내로 도입된 작동 유체가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 내로 더욱 천천히 유동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온다. 작동 유체 용기(10) 내의 압력 축적으로 인해, 도 2의 상부 다이어그램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필러 파이프(20) 내에서 작동 유체 레벨이 상승한다. 이 경우 충전 장치(80)에 의해 충전 정지가 실행될 때까지, 작동 유체는 필러 파이프(20)에서 상승한다.
미리 결정된 제 2기간(t2)이 경과한 후, 방법 단계(H)에서 폐쇄 제어 신호가 제 2데이터 라인(62)을 통해 전자 제어 장치(60)로부터 통기 밸브(30)에 전송되고, 그 결과 통기 밸브(30)는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을 대기와 유체적으로 분리한다.
대안 또는 추가로, 미리 결정된 제 2기간(t2)이 경과한 후, 방법 단계(H)에서 폐쇄 제어 신호가 제 3데이터 라인(63)을 통해 전자 제어 장치(60)로부터 배출 밸브(40)에 전송되고, 그 결과 배출 밸브(40)는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을 필러 파이프(20)와 유체적으로 분리한다.
필러 파이프(20) 내에서 작동 유체 레벨이 제 2기간(t2) 동안 필러 파이프(20) 내에서 미리 결정된 레벨까지 떨어지는 것을 도 2의 상부 다이어그램에서 볼 수 있다. 이 기간 동안, 필러 파이프(20)에 있는 작동 유체는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으로 계속 유동하며, 이는 기간(t2) 동안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레벨이 상승하는 것으로부터 알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제 2기간(t2)이 경과한 후, 통기 밸브(30) 및/또는 배출 밸브(40)가 그의/그들의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도 2의 하부 다이어그램에서 볼 수 있다.
10: 작동 유체 용기/탱크
11: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
20: 필러 파이프
30: 통기 밸브
31: 통기 라인
40: 배출 밸브/역류 방지 밸브/체크 밸브
50: 충전 레벨 센서
51: (충전 레벨 센서의) 플로트
60: 전자 제어 장치
61: 제 1데이터 라인 (전자 제어 장치와 충전 레벨 센서 사이)
62: 제 2데이터 라인 (전자 제어 장치와 통기 밸브 사이)
63: 제 3데이터 라인 (전자 제어 장치와 배출 밸브 사이)
64: 제 4데이터 라인 (전자 제어 장치와 구조형 음향 센서 사이)
70: 필터/흡착 필터/활성탄 필터
80: 충전 장치/연료 펌프 노즐
90: 음향 센서/구조형 음향 센서/진동 센서/마이크로폰
t1: (제 1) 미리 결정된 기간
t2: 제 2미리 결정된 기간

Claims (21)

  1. 충전 장치(80)에 의해 작동 유체 용기(10) 내로 개방되는 필러 파이프(20)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는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작동 유체 용기(10)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통기 밸브(30)를 가지며, 개방 위치에서 작동 유체 용기(10)는 통기 밸브(30)에 의해 적어도 간접적으로 대기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폐쇄 위치에서 작동 유체 용기(10)는 통기 밸브(30)에 의해 대기와 유체적으로 분리되는 방법에 있어서,
    a) 통기 밸브(30)를 그의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b)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c)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레벨이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했거나 그 레벨을 초과했으면, 통기 밸브(30)를 통한 통기 체적 유량을 감소시키는 단계;
    d) 충전 장치(80)의 충전 정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e) 충전 정지가 결정된 후 미리 결정된 기간(t1) 후에 통기 밸브(30)를 그의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레벨이 미리 결정된 차단 레벨에 도달했거나 그 레벨을 초과한 것으로 것으로 결정된 후 및 미리 결정된 기간(t1)이 시작되기 전에, 통기 밸브(30)를 통한 제 1통기 체적 유량이 미리 결정된 기간(t1) 동안 통기 밸브(30)를 통한 제 2통기 체적 유량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통기 밸브(30)가 그의 개방 위치와 그의 폐쇄 위치 사이에서 간헐적으로 작동함으로써 통기 체적 유량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b1) 작동 유체 용기(10)를 작동 유체로 충전하는 충전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b2) 충전 속도의 함수로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한 후 통기 밸브(30)를 통한 통기 체적 유량이 감소되는 통기 체적 유량의 감소를 결정하는 단계로, 통기 체적 유량의 감소는 충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f) 충전 장치(80)의 추가 충전 정지를 결정하는 단계;
    g) 추가 충전 정지가 결정되면 통기 밸브(30)를 통한 통기 체적 유량을 설정하는 단계;
    h) 충전 정지가 결정된 후 미리 결정된 제 2기간(t2) 후에 통기 밸브(30)를 그의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제 2기간(t2)은 목표 충전 레벨과 결정된 충전 레벨 간의 차이의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간(t2)은, 방법 단계 e)에서 통기 밸브(30) 또는 배출 밸브(40)가 충전 정지 결정 후에 그의 개방 위치와 그의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유지되는 미리 결정된 기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b1) 작동 유체 용기(10)를 작동 유체로 충전하는 충전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b3) 충전 속도의 함수로서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로,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은 충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충전 장치(80)에 의해 작동 유체 용기(10) 내로 개방되는 필러 파이프(20)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는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작동 유체 용기(10)에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전기 작동식 배출 밸브(40)가 배치되고, 개방 위치에서 필러 파이프는 배출 밸브(40)에 의해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폐쇄 위치에서 필러 파이프(20)는 배출 밸브(40)에 의해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과 유체적으로 분리되는 방법에 있어서,
    a) 배출 밸브(40)를 그의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b)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c)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레벨이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했거나 그 레벨을 초과했으면, 필러 파이프(20)를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에 유체적으로 연결하여 배출 밸브(40)의 개구의 개구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단계;
    d) 충전 장치(80)의 충전 정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e) 충전 정지가 결정된 후 미리 결정된 기간(t1) 후에 배출 밸브(40)를 그의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b1) 작동 유체 용기(10)를 작동 유체로 충전하는 충전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b2) 충전 속도의 함수로서, 차단 충전 레벨에 도달한 후 배출 밸브(40)의 개구 단면적이 감소되는 개구 단면적의 감소를 결정하는 단계로, 개구 단면적의 감소는 충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f) 충전 장치(80)의 추가 충전 정지를 결정하는 단계;
    g) 추가 충전 정지가 결정되면 배출 밸브(40)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h) 충전 정지가 결정된 후 미리 결정된 제 2기간(t2) 후에 배출 밸브(40)를 그의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기간(t1)은 목표 충전 레벨과 결정된 충전 레벨 간의 차이의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는 목표 충전 레벨과 결정된 충전 레벨 간의 차이에 따라 단조롭게 상승하는 함수이고, 목표 충전 레벨과 결정된 충전 간에 0의 차이가 있는 경우, 함수는 마찬가지로 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제 2기간(t2)은 목표 충전 레벨과 결정된 충전 레벨 간의 차이의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간(t2)은, 방법 단계 e)에서 통기 밸브(30) 또는 배출 밸브(40)는 충전 정지가 결정된 후 그의 개방 위치와 그의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유지되는 미리 결정된 기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b1) 작동 유체 용기(10)를 작동 유체로 충전하는 충전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b3) 충전 속도의 함수로서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로, 미리 결정된 차단 충전 레벨은 충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자동차용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으로서,
    - 하나 이상의 작동 유체 용기(10)로,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에는 작동 유체로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을 충전하는 필러 파이프(20)가 개방되어 있는 작동 유체 용기(10);
    - 작동 유체 용기(10)를 환기 또는 통기시키는 하나 이상의 통기 밸브(30)로, 통기 밸브(30)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작동되며, 개방 위치에서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은 통기 밸브(30)에 의해 적어도 간접적으로 대기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폐쇄 위치에서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은 통기 밸브(30)에 의해 대기와 유체적으로 분리되는 통기 밸브(30);
    - 작동 유체 용기(10)내 작동 유체의 충전 레벨을 결정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레벨 센서(50); 및
    -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데이터 라인(61)을 통해 충전 레벨 센서(50)에 결합되고, 제어 신호를 방출하는 제 2데이터 라인(62)을 통해 통기 밸브(30)에 결합되는 전자 제어 장치(60)를 포함하는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에 있어서,
    - 제어 장치(60)는, 제 1항에 따른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통기 밸브(30)는 그의 개방 위치와 그의 폐쇄 위치 사이에서 개별로 전기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
  19. 제 17항에 있어서, 통기 밸브(30)는 비례 밸브(30)로서 설계되고, 개방 위치와 그의 폐쇄 위치 사이에서 연속해서 전기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
  20. 제 17항에 있어서,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전기 작동식 배출 밸브(40)도 구비하고, 개방 위치에서 필러 파이프(20)는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폐쇄 위치에서 필러 파이프(20)는 배출 밸브(40)에 의해 작동 유체 용기의 내부 공간(11)과 유체적으로 분리되며;
    제어 장치(60)는 제 6항 내지 제 11항 또는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작동 유체 용기(10)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
  21. 제 17항에 있어서,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은 필러 파이프(20)에 삽입된 충전 장치(80)의 충전 정지를 검출하는 음향 센서(90)를 구비하고;
    음향 센서(90)는 데이터 라인(64)에 의해서, 충전 정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어 장치(60)에 전송하는 제어 장치(6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
KR1020197026435A 2017-02-10 2018-01-18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 KR102106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02151.9 2017-02-10
DE102017202151.9A DE102017202151A1 (de) 2017-02-10 2017-02-10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befüllvorganges eines betriebsflüssigkeitsbehälters und betriebsflüssigkeitsbehältersystems
PCT/EP2018/051184 WO2018145873A1 (de) 2017-02-10 2018-01-18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befüllvorganges eines betriebsflüssigkeitsbehälters und betriebsflüssigkeitsbehälter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621A KR20190110621A (ko) 2019-09-30
KR102106375B1 true KR102106375B1 (ko) 2020-05-06

Family

ID=61132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435A KR102106375B1 (ko) 2017-02-10 2018-01-18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48523B2 (ko)
EP (1) EP3580081B1 (ko)
JP (1) JP6692999B2 (ko)
KR (1) KR102106375B1 (ko)
CN (1) CN110312630B (ko)
DE (1) DE102017202151A1 (ko)
WO (1) WO20181458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7393A1 (en) * 2019-08-23 2021-03-04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vaporative emissions fuel tank venting system control
DE102020200088A1 (de) 2020-01-07 2021-07-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Steuerung des Tankvorgangs an einem Kraftfahrzeug und Kraftstoffbehälter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1375A1 (en) 2014-05-30 2015-12-03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ociété Anonyme) Method for controlling a filling operation of a vehicular liquid storage system.
WO2016116348A1 (en) 2015-01-23 2016-07-28 Plastic Omnium Advanced Innovation And Research Vapour recovery system and vapour control method
EP2993069B1 (en) 2014-09-03 2017-06-28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ociété Anonyme)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filling operation of a vehicular liquid storag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46434A (en) * 1990-07-11 1992-01-29 Shell Int Research Ullage volume sensor
GB2272894A (en) * 1992-11-26 1994-06-01 Ford Motor Co An anti-trickle filling arrangement for a fuel tank
US5590697A (en) * 1994-08-24 1997-01-07 G. T. Products, Inc. Onboard vapor recovery system with two-stage shutoff valve
US5568828A (en) * 1994-11-30 1996-10-29 Stant Manufacturing Inc. Fuel-delivery control system
DE19738198A1 (de) * 1997-09-02 1999-03-04 Alfmeier Walter Gmbh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und Steuerung eines Behältersystems
DE19901080C2 (de) 1999-01-14 2002-09-19 Kautex Textron Gmbh & Co Kg Verfahren zur Tankentlüftung
DE10020000B4 (de) 2000-04-22 2012-03-22 Audi Ag Vorrichtung an einem Kraftstoffbehälter für Kraftfahrzeuge
US6877488B2 (en) * 2002-05-29 2005-04-12 Nartron Corporation Vehicle fuel management system
US7347191B2 (en) 2004-06-22 2008-03-25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Vehicle fuel system
US7168415B2 (en) * 2004-10-27 2007-01-30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Electronically controlled selective valve system for fuel level balancing and isolation of dual tank systems for motor vehicles
EP1807279B1 (en) * 2004-10-28 2009-08-19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ociété A.) Refuelling system and method
EP1829726A1 (en) * 2006-03-03 2007-09-05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A) Method for recovering vapor during an onboard refueling operation
US20090107580A1 (en) * 2007-10-25 2009-04-30 Trevor Enge Electronic Refueling and Vent Control System with Integrated Control
DE102010021353A1 (de) * 2010-05-22 2011-11-24 Audi Ag Tankentlüftungssystem für einen Kraftstofftank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m Entlüften eines Kraftstofftanks
US8019525B2 (en) * 2010-05-28 2011-09-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fuel vapor control
DE102011106663A1 (de) * 2011-07-05 2013-01-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luidbehälter mit Einfüllrohr
KR101788483B1 (ko) * 2013-07-02 2017-10-19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량 제어 밸브 및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 증발 연료 처리 장치
DE102015012656A1 (de) * 2014-10-22 2016-04-28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Kraftstoff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entsprechende Kraftstoffanlage
DE102015217608A1 (de) 2015-09-15 2017-03-16 Kautex Textron Gmbh & Co. Kg Verfahren zum Betanken eines Kraftfahrzeugs und Tanksystem zum Ausführen des Verfahrens zum Betanken eines Kraftfahrzeug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1375A1 (en) 2014-05-30 2015-12-03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ociété Anonyme) Method for controlling a filling operation of a vehicular liquid storage system.
EP2993069B1 (en) 2014-09-03 2017-06-28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ociété Anonyme)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filling operation of a vehicular liquid storage system
WO2016116348A1 (en) 2015-01-23 2016-07-28 Plastic Omnium Advanced Innovation And Research Vapour recovery system and vapour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92999B2 (ja) 2020-05-13
DE102017202151A1 (de) 2018-08-16
US20200001704A1 (en) 2020-01-02
US11148523B2 (en) 2021-10-19
JP2020510777A (ja) 2020-04-09
KR20190110621A (ko) 2019-09-30
EP3580081B1 (de) 2021-03-17
WO2018145873A1 (de) 2018-08-16
CN110312630B (zh) 2020-07-21
EP3580081A1 (de) 2019-12-18
CN110312630A (zh)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1383B2 (en) Fuel additive dos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EP1981731B1 (en) Method for recovering vapor during an onboard refueling operation
KR102106375B1 (ko) 작동 유체 용기의 충전 공정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작동 유체 용기 시스템
US7568494B2 (en) Electronic fuel tank fill limit control
US6488015B2 (en) Refueling system
CN107829848B (zh) 蒸发燃料处理设备
US7886759B2 (en) Fuel cutoff valve
EP0214206B1 (en) Procedure and means for use in pumping and volumetry of foodstuff liquids
EP2632757B1 (en) Fuel tank for motor vehicles
KR20170012403A (ko) 차량의 액체 저장 시스템의 충전 작업을 제어하는 방법
US9061581B2 (en) Liquid container for a motor vehicle, in particular a fuel container
EP3069914B1 (en) Vapour recovery system and vapour control method
CN109070734B (zh) 具有体积变化元件的机动车贮箱系统
CN109070863A (zh) 液压块以及用于具有至少一个止回阀的液压块的制造方法
WO2017079805A1 (en) Liquid fuel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KR102315235B1 (ko) 충전 디바이스의 스위치-오프 검출
KR100570040B1 (ko) 연료 주입성 개선을 위한 연료탱크의 공기흡입장치
KR20170007029A (ko) 차량용 연료탱크
JPH0565197A (ja) 給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