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035B1 - 어스용 볼트 - Google Patents

어스용 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035B1
KR102106035B1 KR1020190093771A KR20190093771A KR102106035B1 KR 102106035 B1 KR102106035 B1 KR 102106035B1 KR 1020190093771 A KR1020190093771 A KR 1020190093771A KR 20190093771 A KR20190093771 A KR 20190093771A KR 102106035 B1 KR102106035 B1 KR 102106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bolt
piece
boundary line
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지영
Original Assignee
영신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신금속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신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3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07Removing paint or dirt layers covering the threaded part of nut-lik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2Shape of thread; Special thread-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7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characterised by the thread of the screw or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스용 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에 연결된 섕크와, 상기 섕크에 형성되되 외곽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수나사부로 이루어진 어스용 볼트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는 다각형의 꼭짓점에 압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입부는 체결방향과 역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도료박리편과, 상기 도료박리편과 연결되어 체결방향과 역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연결편을 포함하되, 상기 도료박리편은 상기 연결편보다 상기 수나사부의 선단에 가깝게 배치되되, 상기 도료박리편과 상기 연결편은 상기 도료박리편의 일지점을 기준으로 비대칭을 이루며, 상기 구성에 의해 너트와 체결시 초기 토크값이 높게 나타나는 현상이 감소되는 어스용 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스용 볼트{BOLT FOR EARTH}
본 발명은 어스용 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너트와 체결시 간섭량이 증가된 어스용 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너트를 용접으로 결합시키고, 이후에 전착도장을 실시한다. 이로 인해 너트 외부 및 내부의 암나사부에는 도료가 덮이게 된다.
이때 차체에는 접지를 위한 케이블 단자가 접촉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어스용 볼트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너트에 어스용 볼트를 체결시키면 볼트의 수나사부 중 플랭크와 너트의 암나사부가 접촉은 하지만 서로 간섭하지 못하여 암나사부에 덮인 도료와 수나사부의 도금이 벗겨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암나사부의 도료를 벗겨내는 일명 '페인트 클리어' 기능을 하는 어스용 볼트 개발이 필요하다.
페인트 클리어란, 재질이 강한 볼트의 수나사부와, 그보다 재질이 약한 너트의 암나사부가 서로 간섭(일명 겹침)이 되는 경우, 강한 재질의 볼트가 약한 재질의 너트를 간섭량만큼 파고 들어가 도료 및 너트의 재질을 벗겨내는 것을 말한다. 간섭량이 많으면 볼트와 너트간에 통전성이 증가한다.
한편, 전압강하 시험기를 사용하여 상기 단자에 12V의 입력값을 주는 경우, 전압강하로 인하여 차체의 출력값이 몇 V가 나타나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일반 볼트와 너트를 체결시킬 경우에는 전압강하가 매우 커 상기 출력값이 0V에 가까워 통전이 되지 못하여 엔진룸 내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즉, 이러한 현상은 상기 간섭량이 0의 값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간섭량이 적절한 어스용 볼트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축력시험기로 볼트와 너트 체결시의 토크(N
Figure 112019079104162-pat00001
m)와 축력(N)을 평가할 수 있다. 일반 볼트와 너트를 체결시키는 경우, 가체결 작업시 일반 볼트는 일측 플랭크만 너트와 접촉된다. 따라서, 일반 볼트의 가체결시 초기 토크는 '0'의 값을 나타낸다. 즉, 손으로 일반 볼트를 회전시키면 자연스럽게 너트와 체결된다.
그러나, 종래의 어스용 볼트는 양측 플랭크가 모두 너트에 간섭되므로 너트에 덮인 도료를 박리시키기 위한 하중이 필요하며, 이 하중으로 인해 초기 토크가 발생된다. 따라서 어스용 볼트와 너트를 체결시킨 경우, 초기 토크는 임의의 값을 가진다. 즉, 손으로 어스용 볼트오 너트를 체결시킬 수 없고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하여 가체결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이로 인해 어스용 볼트의 가체결시 규격보다 높은 토크값이 세팅되므로 초기 토크가 너무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 현상은 작업자의 피로도 증가 및 불만을 초래하고, 어스용 볼트와 너트가 정렬을 이루지 못하면서 체결되어 볼트나 너트에 손상을 주거나, 가체결 작업 중 어스용 볼트가 이탈하여 부품에 손상을 주거나, 상기 단자가 돌아가는 경우가 발생되어 초기 토크를 감소시키는 어스용 볼트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출원인이 기출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7315호(특허문헌 1)에는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어스용 볼트(45)에 대한 기술이 게재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도시된 특허문헌 1의 어스용 볼트(45)는 나사부의 최외곽의 단면 외형이 육각형인 외곽부(50)와, 나사부의 골지름 부위의 단면 외형이 육각형인 골부(60)를 갖는다.
또한, 외곽부(50)는 각진 6 개의 지점이 압입되어 형성된 압입부(51)가 있다.
도 4를 기준으로, 압입부(51)는 다각의 수나사끼리 만나는 수직경계선(C1)을 기준으로 좌측 부분, 즉 '
Figure 112019079104162-pat00002
1'의 각도를 가지면서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도료박리부(51a), 도료박리부(51a)와 타측 수나사에 연결된 연결부(51b)를 포함한다.
도 4를 기준으로 도료박리부(51a)의 상하측에 배치된 플랭크는 너트의 암나사의 플랭크와 간섭되어 도료를 박리하는 경사면이다.
특허문헌 1의 볼트(45)는, '
Figure 112019079104162-pat00003
1'와 '
Figure 112019079104162-pat00004
2'가 수직경계선(C1)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크기의 각도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볼트(45)와 너트의 플랭크의 길이 'L3'와 'L4' 또한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즉 도 4와 같이, 압입부(51)는 외측면을 똑바로 볼 때 대략 마름모형에 가까운 육각형이면서 수직경계선(C1)을 기준으로 좌우대칭 및 상기 수직경계선(C1)과 수직을 이루며 다각 수나사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경계선(C2)를 기준으로 상하대칭을 이룬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볼트(45)는 수나사부가 비틀어진 형상에 의해 1차적으로 너트의 암나사부에 덮인 도료를 벗겨낼 수 있었다. 그러나 전압강하 시험을 실시한 결과 통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볼트(45)는 2차적으로 압입부(51)는 도료박리부(51a)가 너트와 간섭함에 따라 종래의 어스용 볼트보다 더 확실하게 도료를 벗겨낼 수 있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어스용 볼트는 종래의 어스용 볼트에 비해 통전성은 향상되나, 도료박리부(51a)의 각도'
Figure 112019079104162-pat00005
1'을 갖는 양측 플랭크가 너트의 암나사부와 간섭되면서 너트에 덮인 도료를 벗겨내기 위한 하중이 필요하며, 이러한 하중에 의해 초기 토크 값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어스용 볼트는 표면처리 종류에 따른 전압강하의 편차가 발생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7315호(2008.02.19)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시 너트와의 간섭량이 증가되며, 표면처리 종류에 따른 전압강하의 편차가 감소되는 어스용 볼트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너트와 가체결시 초기 토크값이 높게 나타나는 현상이 감소되는 어스용 볼트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스용 볼트는, 복수의 산 및 골로 이루어지며 외곽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수나사부를 갖는 어스용 볼트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는 다각형의 꼭짓점에 압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입부는 상기 수나사부의 선단에 가깝게 배치된 도료박리편과, 상기 도료박리편의 후측에 연결된 연결편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경계선과 수직을 이루며 다각 수나사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도료박리편과 상기 연결편이 대칭을 이루며, 상기 도료박리편은 상기 수평경계선을 따라 상기 수직경계선과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고, 상기 연결편은 상기 수평경계선을 따라 상기 수직경계선과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며, 상기 도료박리편은 일측 수나사와 연결된 박리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편은 상기 박리면과 타측 수나사에 연결된 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수평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박리면의 경사가 상기 경사면의 경사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도료박리편은 양측이 상기 나사산과 상기 연결편에 연결되는 상하측의 박리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편은 양측이 박리면과 타측 수나사에 연결되는 상하측의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측 박리면과 상측 경사면의 연결지점과 하측 박리면과 하측 경사면의 연결 지점을 이은 상기 수직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도료박리편과 상기 연결편이 서로 비대칭을 이루며, 상기 도료박리편과 상기 경사면 각각은 상기 골에서 상기 산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넓어지며, 상기 박리면의 길이가 상기 경사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박리면의 표면적이 상기 경사면의 표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어스용 볼트는, 상기 박리면의 길이가 상기 경사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박리면의 표면적이 상기 경사면의 표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어스용 볼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어스용 볼트는 박리면의 경사가 완만하므로 경사가 급한 종래 기술에 비해 박리면의 면적이 증가된다. 따라서 어스용 볼트는 체결시 도료박리편과 너트의 간섭량이 종래보다 많아지므로 어스용 볼트의 표면처리 종류에 따른 전압강하의 편차가 종래의 어스용 볼트보다 충분히 줄어들 수 있고, 통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스용 볼트는, 경사가 완만하고 길이가 긴 박리면이 너트와 부드럽게 간섭되어 도료를 박리시키므로, 가체결시 초기 토크가 급격하게 높아지는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어스용 볼트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특허문헌 1의 어스용 볼트와 볼트가 체결되는 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어스용 볼트의 사시도
도 4은 '특허문헌 1'의 압입부의 외측면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스용 볼트의 사시도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압입부의 외측면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스용 볼트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스용 볼트와 너트의 체결시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스용 볼트(100)의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압입부(110)의 외측면(111)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스용 볼트(100)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스용 볼트(100)와 너트(N)의 체결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에서 볼트(100)를 너트(N)보다 더 굵은선으로 도시하였고, 볼트(100)의 수나사와 너트(N)의 플랭크가 겹치는 부분이 보이도록 도시하였다.
도 6의 점선 'C3'는 다각 수나사끼리 만나는 수직경계선(C3)이고, 점선 'C4'는 상기 수직경계선과 수직을 이루며 다각 수나사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경계선(C4)이다.
이하에서 본 실시 예의 어스용 볼트(100)는 오른나사를 기준으로 도시 및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스용 볼트(100)는, 헤드(101), 헤드(101)에 연결된 섕크(Shank), 섕크에 형성되어 복수의 산(105) 및 복수의 골(10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외곽이 다각형인 수나사부(103)를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수나사부(103)는 다각형의 꼭짓점에 압입부(110)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의 수나사부(103)는 육각형으로 형성되며, 6 개의 꼭짓점에 압입부(110)가 형성된다.
압입부(110)는, 서로 치수가 상이하여 비대칭을 이루는 도료박리편(120)과 연결편(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의 어스용 볼트(100)는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너트(N)와 체결된다. 이때 하나의 압입부(110)를 기준으로, 도료박리편(120)은 연결편(130)보다 수나사부(103)의 선단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즉 도료박리편(120)과 수나사부(103)의 선단간에 거리가 연결편(130)과 수나사부(103)의 선단간에 거리보다 짧다.
연결편(130)은 도료박리편(120)의 후측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어스용 볼트(100)와 너트(N)의 체결시, 도료박리편(120)은 너트(N)의 암나사부에 덮인 도료 피막과 간섭되나, 연결편(130)은 너트(N)의 암나사부와 간섭되지 않는다.
어스용 볼트(100)가 너트(N)와 점차 체결됨에 따라, 각 압입부(110)의 도료박리편(120)들이 연속적으로 너트(N)에 덮인 도료 피막을 여러번 박리시킨다.
도료박리편(120)은 상기 간섭 부위에 해당한다.
도료박리편(120)은, 양측이 볼트(100)의 선단에 가까운 일측의 나사산과 연결편(130)에 연결되는 상하측의 박리면(121,123)과, 상하측 박리면(123)에 연결된 제1연결면(125)과,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일측 수나사의 산(105)과 연결되는 제1외측면(1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연결편(130)은, 양측이 박리면(121,123)과 타측 수나사에 연결되는 상하측의 경사면(131,133)과, 상하측 경사면(131,133)에 연결된 제2연결면(135)과,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타측 나사산의 산(105)과 연결되는 제2외측면(1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료박리편(120)의 제1연결면(125)과 연결편(130)의 제2연결면(135)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진다.
제1연결면(125)은 상기 일측 수나사와 연결되고, 제2연결면(135)은 상기 타측 수나사와 연결된다.
한편, 제1외측면(127) 및 제2외측면(137)으로 이루어진 압입부(110)의 외측면(111)은 육각형이다. 즉 도 6를 기준으로 제1연결면(125), 상측 박리면(121), 상측 경사면(131), 제2연결면(135), 하측 경사면(133), 하측 박리면(123)이 시계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배치됨으로써, 압입부(110)의 외측면(111)은 육각형이 된다.
상측 박리면(121)의 길이(L1)와 하측 박리면(123)의 길이(L1)가 서로 같다.
상측 경사면(131)의 길이(L2)와 하측 경사면(133)의 길이(L2)가 서로 같다.
상측 박리면(121)과 상측 경사면(131)의 연결지점과 하측 박리면(123)과 하측 경사면(133)의 연결 지점을 이은 가상의 직선, 즉 다각 수나사끼리 만나는 수직경계선(C3)을 기준으로 도료박리편(120)과 연결편(130)이 서로 비대칭을 이룬다.
도 6에는 도 4에 도시된 압입부(110)의 외측면(111), 즉 제1외측면(127) 및 제2외측면(137)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수직경계선(C3)은 상측의 박리면(121) 및 상측의 경사면(131)이 만나는 점과 하측의 박리면(123) 및 하측의 경사면(133)이 만나는 점, 즉 상기 두 점을 이은 가상의 직선이다.
도 6에 도시된 수평경계선(C4)은 제1연결면(125)의 중앙과 제2연결면(135)의 중앙을 이은 가상의 직선이다.
압입부(110)는 상기 수직경계선(C3)과 수직을 이루며 다각 수나사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경계선(C4)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이 대칭을 이룬다.
압입부(110)는 다각 수나사끼리 만나는 수직경계선(C3)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 즉 도료박리편(120)과 연결편(130)이 서로 비대칭을 이룬다.
도 6를 기준으로 박리면(121,123)은 수직경계선(C3)과 '
Figure 112019079104162-pat00006
3'의 각도 값을 가지며, 경사면(131,133)은 수직경계선(C3)과 '
Figure 112019079104162-pat00007
4'의 각도 값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
Figure 112019079104162-pat00008
3'의 각도 값이 '
Figure 112019079104162-pat00009
4'의 각도 값보다 크다.
이로 인해 수평경계선(C4)을 기준으로 박리면(121,123)의 경사가 경사면(131,133)의 경사보다 작고, 박리면(121,123)의 길이(L1)는 경사면(131,133)의 길이(L2)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박리면(121,123)의 표면적은 경사면(131,133)의 표면적보다 크다. 또한 제1외측면(127)의 표면적은 제2외측면(137)의 표면적보다 크다.
도 6을 기준으로, 상기 도료박리편(110)은 상기 수평경계선(C4)을 따라 상기 수직경계선(C3)과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고, 상기 연결편(120)은 상기 수평경계선(C4)을 따라 상기 수직경계선(C3)과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진다.
달리 설명하면, 도료박리편(120)은 연결편(130)과 가까운 위치일수록 상하방향 두께가 증가된다. 즉 상측 박리면(121)과 하측 박리면(123)간에 거리가 증가된다. 또한, 박리면(121,123)의 표면적은 종래보다 크다. 따라서 도료박리편(120)은 어스용 볼트(100)와 너트(N)의 체결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너트(N)와의 간섭량이 종래보다 증가된다.
도 5를 참고하면, 도료박리편(120)과 경사면(131,133)은 골(107)에서 산(105)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넓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경사면(131,133)은 도료박리편(120)과 멀어질수록 두께가 감소된다. 즉 도 6를 기준으로 경사면(131,133)은 도료박리편(120)과 멀어질수록 상하길이가 감소된다. 따라서 연결편(130)은 어스용 볼트(100)와 너트(N)의 체결시 너트(N)와 간섭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어스용 볼트(100)는 도료박리편(120)과 너트(N)의 간섭량이 종래보다 증가된다.
한편, 수나사부(103)는 상기 꼭짓점에 형성된 압입부(110)들의 각 외측면(111) 중앙을 잇는 가상의 연장곡선(미도시)을 그려보면, 각각의 상기 가상의 연장곡선은 일정방향으로 일정 각도씩 비틀림 형성되며, 상기 가상의 연장곡선들의 집합은 상기 축(P)을 둘러싸는 곡선이 된다.
이로 인해 어스용 볼트(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똑바로 보면, 각각의 산(105) 및 골(107)은 상기 축(P)과의 거리가 형성된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볼트(100)의 헤드(101)에서 선단 또는 선단에서 헤드(101)로 갈수록, 산(105)은 볼트(100)의 축(P)과의 거리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게 된다. 또한 볼트(100)의 헤드(101)에서 선단 또는 선단에서 헤드(101)로 갈수록 골(107)은 볼트(100)의 축(P)과의 거리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게 된다. 즉 다각형의 수나사부(103)가 비틀어져 형성되므로, 복수의 나사산은 각각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고 형성된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
이때, 축(P)과 가장 먼 산(105)은 축(P)과 가장 먼 골(107)과 연결되고, 축(P)과 가장 가까운 산(105)은 축(P)과 가장 가까운 골(107)과 연결된다.
또한 다각형의 수나사부(103)가 비틀어져 형성되므로,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치가 일정하지 않다.
한편, 도 7의 'A' 선은 축(P)과 가장 먼 산(105)을 볼트(100)의 축(P)과 나란하게 그린 가상의 직선이다. 또한, 도 7의 'B' 선은 축(P)과 가장 가까운 골(107)을 볼트(100)의 축(P)과 나란하게 그린 가상의 직선이다.
한편, 각각의 산(105)의 일지점들을 연결하면 대략 파형의 가상의 곡선(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각각의 골(107)의 일지점들을 연결하면 대략 파형의 또 다른 가상의 곡선(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어스용 볼트(100)는 너트(N)와 체결시, 압입부(110)의 도료박리편(120)이 암나사부의 골(107)지름 부위에 가압 마찰되면서 너트(N)에 덮인 도료를 잘 박리시킬 수 있다.
체결시, 볼트(100) 선단에 가장 가까운 수나사가 처음으로 너트(N)의 일지점에 덮인 도료를 박리시키고 난 후, 이웃하는 후측의 수나사가 연속으로 상기 너트(N)의 일지점에 마찰 접촉하여 도료를 더 박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어스용 볼트(100)는 너트(N)와 체결됨에 따라 압입부(110)가 너트(N)의 여러 부위에서 도료를 박리시킬 수 있다.
도 8에는 수나사부(103) 중 도 7에 네모 박스('8')로 표시된 4 개의 수나사(#3, #4, #5, #6)가 너트(N)의 4 개의 암나사의 플랭크(N3, N4, N5, N6)에 접촉되어 도료를 박리시키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N)와 접촉되는 수나사(#3, #4, #5, #6)가 압입부(110)가 아닌 부분일 경우에는 플랭크가 암나사의 플랭크(N3, N4, N5, N6)와 접촉되어 도료를 박리시키고, 압입부(110)일 경우에는 박리면(121,123)이 암나사의 플랭크(N3, N4, N5, N6)와 접촉되어 도료를 박리시킨다.
박리된 도료는 도 8에 도시된 너트(N)의 골(107) 부근과 볼트(100)의 수나사(#3, #4, #5, #6) 사이의 이격 공간인 빈 공간(S)에 모일 수 있다.
어스용 볼트(100)와 너트(N)의 체결이 진행될수록, 도료박리편(120)은 외측 단부부터 내측 단부, 즉 산(105)에 접하는 부분부터 골(107)에 접하는 부분까지 점차적으로 너트(N)와 간섭될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박리면(121,123)의 경사가 종래의 도료박리부 경사보다 완만하고 너트(N)와 간섭될 수 있는 표면적이 종래보다 크다. 따라서 체결이 진행됨에 따라 박리면(121,123)과 너트(N)의 간섭량 증가폭이 종래보다 작아진다. 즉 박리면(121,123)의 경사가 완만할수록 체결이 진행됨에 따라 도료박리부(110)와 너트(N)간에 간섭되는 양의 증가폭이 작다. 따라서 도료박리편(120)의 박리면(121,123)이 너트(N)와 부드럽게 간섭되므로, 어스용 볼트(100)와 너트(N)의 가체결시 초기 토크가 급격하게 높아지는 현상이 감소되거나 없어지고, 너트(N)에 덮인 도료가 잘 박리될 수 있다.
또한, 완만한 경사를 갖는 박리면(121,123)에 의해 수나사부(103)와 너트(N)간에 체결시 간섭량이 증가함으로써, 어스용 볼트(100)의 표면처리 종류에 따른 전압강하의 편차가 종래의 어스용 볼트(100)보다 충분히 줄어들 수 있고, 통전성이 종래보다 증가될 수 있다.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스용 볼트(100)는 전조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자세하게, 어스용 볼트(100)의 수나사부(103)는 일정 각도를 갖는 수나사부(103)의 나선에 상응하는 홈이 연속형성된 다이(Die)와 블록(Block)에 의해 압입 가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어스용 볼트 101 : 헤드부
103 : 수나사부 105 : 산
107 : 골 110 : 압입부
111 : 외측면 120 : 도료박리편
121 : 상측 박리면 123 : 하측 박리면
125 : 제1연결면 127 : 제1외측면
130 : 연결편 131 : 상측 경사면
133 : 하측 경사면 135 : 제2연결면
137 : 제2외측면 N : 너트
L1 : 박리면 길이 L2 : 경사면 길이
Figure 112019079104162-pat00010
3 : 박리면 각도
Figure 112019079104162-pat00011
4 : 경사면 각도

Claims (2)

  1. 복수의 산 및 골로 이루어지며 외곽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수나사부를 갖는 어스용 볼트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는 다각형의 꼭짓점에 압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입부는 상기 수나사부의 선단에 가깝게 배치된 도료박리편과, 상기 도료박리편의 후측에 연결된 연결편을 포함하되,
    수직경계선과 수직을 이루며 다각 수나사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도료박리편과 상기 연결편이 대칭을 이루며,
    상기 도료박리편은 상기 수평경계선을 따라 상기 수직경계선과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고, 상기 연결편은 상기 수평경계선을 따라 상기 수직경계선과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며,
    상기 도료박리편은 일측 수나사와 연결된 박리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편은 상기 박리면과 타측 수나사에 연결된 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수평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박리면의 경사가 상기 경사면의 경사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도료박리편은 양측이 상기 수나사과 상기 연결편에 연결되는 상하측의 박리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편은 양측이 박리면과 타측 수나사에 연결되는 상하측의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 박리면과 상기 상측 경사면의 연결지점과 상기 하측 박리면과 상기 하측 경사면의 연결 지점을 이은 상기 수직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도료박리편과 상기 연결편이 서로 비대칭을 이루며,
    상기 도료박리편과 상기 경사면 각각은 상기 골에서 상기 산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넓어지며,
    상기 박리면의 길이가 상기 경사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박리면의 표면적이 상기 경사면의 표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어스용 볼트
  2. 삭제
KR1020190093771A 2019-08-01 2019-08-01 어스용 볼트 KR102106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771A KR102106035B1 (ko) 2019-08-01 2019-08-01 어스용 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771A KR102106035B1 (ko) 2019-08-01 2019-08-01 어스용 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035B1 true KR102106035B1 (ko) 2020-06-04

Family

ID=71081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771A KR102106035B1 (ko) 2019-08-01 2019-08-01 어스용 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03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3418A (ja) * 1993-04-27 1994-11-08 Toopura:Kk 塗装取りボルト
JPH10184637A (ja) * 1996-12-25 1998-07-14 Toopura:Kk ね じ
JP3436724B2 (ja) * 1999-09-27 2003-08-18 株式会社メイドー ボルトおよび該ボルトの製造方法
JP2003278729A (ja) * 2002-03-27 2003-10-02 Aoyama Seisakusho Co Ltd 切欠付きねじ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07315B1 (ko) 2000-09-25 2008-02-28 영신금속공업 주식회사 어스용 보울트
USD696103S1 (en) * 2010-04-07 2013-12-24 Fastex Industry Co., Ltd. Screw
JP5827722B2 (ja) * 2013-05-24 2015-12-02 スパック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ー・カー・ゲーSpax International Gmbh & Co. Kg ねじ要素
KR20170118374A (ko) * 2016-04-15 2017-10-25 한만진 셀프태핑 나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3418A (ja) * 1993-04-27 1994-11-08 Toopura:Kk 塗装取りボルト
JPH10184637A (ja) * 1996-12-25 1998-07-14 Toopura:Kk ね じ
JP3436724B2 (ja) * 1999-09-27 2003-08-18 株式会社メイドー ボルトおよび該ボルトの製造方法
KR100807315B1 (ko) 2000-09-25 2008-02-28 영신금속공업 주식회사 어스용 보울트
JP2003278729A (ja) * 2002-03-27 2003-10-02 Aoyama Seisakusho Co Ltd 切欠付きねじ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D696103S1 (en) * 2010-04-07 2013-12-24 Fastex Industry Co., Ltd. Screw
JP5827722B2 (ja) * 2013-05-24 2015-12-02 スパック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ー・カー・ゲーSpax International Gmbh & Co. Kg ねじ要素
KR20170118374A (ko) * 2016-04-15 2017-10-25 한만진 셀프태핑 나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D 696103 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5689A (en) Self-locking fastener
AU2016303475B2 (en) Threaded fastener
CA2884490C (en) Screw-type fastener
US9903405B2 (en) Bolt
US8317443B2 (en) Shear screw
EP2679835A1 (en) Threaded fastener
JP2013529278A (ja) 導電性ネジ接続方法及びこの接続方法用の特殊ネジ
US9121430B2 (en) Wave thread form
US10233963B2 (en) Deformable fastening thread providing wedge-effect
KR102106035B1 (ko) 어스용 볼트
EP1775483A1 (en) Anti-loosening screw
JP5065735B2 (ja) セルフタッピンねじ
EP2999054A1 (en) Binding screw for a wire connection assembly and wire connection assembly
US20170016474A1 (en) Screw for an electrically contacting connection
JP3715188B2 (ja) 端子と電線の接続方法
WO2020166415A1 (ja) ねじ
JPH06221319A (ja) ね じ
KR102112168B1 (ko) 어스용 볼트
JP2011249044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JP6501578B2 (ja) 焼付き防止ボルト
US4735535A (en) Locknut having a single-turn thread
KR200226410Y1 (ko) 어스용 보울트
KR100807315B1 (ko) 어스용 보울트
US20110159736A1 (en) Appliance for connecting high-current electric apparatuses, primarily conductor bars
US11788569B2 (en) Anti-pullout and low-resistance scr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