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410Y1 - 어스용 보울트 - Google Patents

어스용 보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410Y1
KR200226410Y1 KR2020000025071U KR20000025071U KR200226410Y1 KR 200226410 Y1 KR200226410 Y1 KR 200226410Y1 KR 2020000025071 U KR2020000025071 U KR 2020000025071U KR 20000025071 U KR20000025071 U KR 20000025071U KR 200226410 Y1 KR200226410 Y1 KR 2002264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earth
cross
vertex
thread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0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춘식
Original Assignee
영신금속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신금속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신금속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50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4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4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410Y1/ko
Priority to PCT/KR2001/001493 priority patent/WO2002021003A1/en
Priority to AU2001286287A priority patent/AU2001286287A1/en

Links

Landscapes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나사부를 가지는 보울트의 체결부위에 통전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어스용 보울트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각을 가지는 나사부의 리드부에 상응하는 그루브가 연속형성된 형틀에 의해 압입 가공된 나사부를 가지는 어스용 보울트에 있어서, 나사부의 리드각에 상응하는 나사부의 최외곽의 단면 외형이 다각형인 외곽부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자동차 등의 부품 특히 엔진과 연결되는 부품 등의 조립부품으로 사용할 때, 어스기능과 더불어 충분한 체결력을 부여하고, 전착도장도료의 피막을 여러부위에서 벗겨낸 후 개별 나사 피치에 대하여 벗겨진 도료를 축적할 수 있는 공간을 개별로 부여함으로써, 어떠한 체결조건 하에서도 통전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어스용 보울트{Earth bolt}
본 고안은 어스용 보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 등의 부품 특히 엔진과 연결되는 부품 등의 조립부품으로 사용할 때, 어스기능과 더불어 충분한 체결력을 부여하고, 전착도장도료의 피막을 여러부위에서 벗겨낸 후 개별 나사 피치에 대하여 벗겨진 도료를 축적할 수 있는 공간을 개별로 부여함으로써, 어떠한 체결조건 하에서도 통전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어스 보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어스보울트(10)는 일예로, 자동차의 엔진룸(도시하지 않음)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패널의 통공을 통해, 와셔와 어스(earth)용 단자(20)와 함께, 고정패널에 용접된 고정 너트의 암나사부에 나사박음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어스용 보울트는, 사전에 전체적으로 전착도장된 고정패널의 통공에, 전체적으로 전착도장되어 체결되는 바, 이같은 체결 도중에 보울트 수나사부(30)와 너트 암나사부의 전착도장도료를 벗겨내어 고정판과 어스보울트 사이를 서로 통전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요구되어 왔다.
이와 같은 종래의 어스보울트 체결 구조에서, 구성된 보울트 헤드부(11)와 나사선이 형성된 수나사부(13)로 이루어진 어스전용 보울트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보울트, 플랜지 보울트에 2-커팅 또는 3-커팅한 후, 보울트의 쌩크를 180°간격으로 압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안출되었다(도2 참조).
그러나,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복수의 압입부(15)가 형성된 구조는, 압입가공용 지그가 종종 파손될 우려를 내포하고 있음과 더불어, 압입부(15) 가공 중에 가압력에 의해 보울트(10)의 쌩크 단면형상이 진원이 아닌 타원형으로 변형됨으로써, 체결 토오크가 과다하게 걸려, 작업 효율도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자동차 등의 부품 특히 엔진과 연결되는 부품 등의 조립부품으로 사용할 때, 어스기능과 더불어 충분한 체결력을 부여하고, 전착도장도료의 피막을 여러부위에서 벗겨낸 후 개별 나사 피치에 대하여 벗겨진 도료를 축적할 수 있는 공간을 개별로 부여함으로써, 어떠한 체결조건 하에서도 통전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어스 보울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각을 가지는 나사부의 리드부에 상응하는 그루브가 연속형성된 형틀에 의해 압입 가공된 나사부를 가지는 어스용 보울트에 있어서, 나사부의 리드각에 상응하는 나사부의 최외곽의 단면 외형이 육각형인 외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곽부의 꼭지점 부위 각각은, 나사부의 리드각에 직교하는 단면이 마름모형의 압입지그에 의해 정점 단면부가 마름모형 팽출부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부의 골지름 부위의 단면 외형이 육각형인 골부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부의 외곽부는, 나사부 전체에서 볼 때, 육각외형의 꼭지점 들이 그리는 연장선이 일방향으로 곡선화되도록 일방향으로 소정각씩 트위스트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나사부의 골부는, 나사부 전체에서 볼 때, 육각외형의 꼭지점 들이 그리는 연장선이 일방향으로 곡선화되도록 일방향으로 소정각씩 트위스트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골부의 꼭지점 부위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외곽부의 꼭지점 부위의 연장선에 상응하도록 위치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외곽부와 골부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헤드부에 다각(사각, 육각 포함) 구멍이 함몰 형성된 다각 구멍 붙이 보울트로 이루어져도 된다.
도1은 일반적인 어스 보울트의 개략도,
도2는 도1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어스용 보울트의 개략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어스용 보울트의 사시도,
도5는 도4의 어스용 보울트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스용 보울트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어스 볼트 41 : 헤드부
43 : 보울트 쌩크 45 : 수나사부
47 : 다각 구멍 50 : 외곽부
60 : 골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어스용 보울트의 개략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어스용 보울트의 사시도이며, 도5는 도4의 어스용 보울트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스용 보울트의 개략도이다.
부호 '40'는 본 고안에서 일예로 예시한 육각머리 환형목 보울트(일명, 플랜지 보울트)로서, 그 쌩크(43, shank)에 나사부(45)를 가지는 보울트의 체결부위에 통전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어스용 보울트이며, 그 헤드부에 다각(사각, 육각 포함) 구멍(47)이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다각 구멍 붙이 보울트가 채용될 수 있다.
또, 이러한 어스용 보울트(40)는, 소정각을 가지는 나사부(43)의 리드부에 상응하는 그루브가 연속형성된 형틀에 의해 압입 가공된 나사부를 가지는 바, 이는 종래의 슬라이딩 단조기법과 동일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나사부(45)의 리드각에 상응하는 나사부(45)의 최외곽의 단면 외형이 육각형인 외곽부(50)를 가지도록 가공되어 있다.
또, 상기 외곽부(50)의 꼭지점 부위 각각은, 나사부(45)의 리드각에 직교하는 단면이 마름모형의 압입지그에 의해 정점 단면부가 마름모형 팽출부(51)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나사부(45)의 골지름 부위의 단면 외형이 육각형인 골부를 가지도록 가공되어 있다.
또, 상기 나사부(45)의 외곽부(50)는, 나사부(45) 전체에서 볼 때, 육각외형의 꼭지점 들이 그리는 연장선이 일방향으로 곡선화되도록 일방향으로 소정각씩 트위스트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나사부(45)의 골부(60)는, 나사부(45) 전체에서 볼 때, 육각외형의 꼭지점 들이 그리는 연장선이 일방향으로 곡선화되도록 일방향으로 소정각씩 트위스트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외곽부(50)와 골부(60)의 꼭지점들을 연장하는 연장선은, 일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지는 곡선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압입지그에 의한 압입 깊이는 나사산 유효높이이 대략 90% 정도로 하고, 나사산 단면은 트위스트 부분은 약 60°~ 65°정도이고, 트위스트 사이 각은 대략 55°~ 60°이다.
또, 상기 골부(60)의 꼭지점 부위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외곽부(50)의 꼭지점 부위의 연장선에 상응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한편, 도1에서, 부호 ''는, 보울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보울트의 지름 보다 클 때, 접촉 표면이 거칠 때, 접촉 표면이 기울어져 있을 때, 또 철재, 목재 또는 고무와 같은 고정체가 압축에 약하여 너트가 내려앉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을 때, 보울트에 끼워서 사용되는 와셔이다.
다음에, 본 고안에 따른 어스용 볼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와셔를 보울트의 쌩크에 관통 삽입시키고, 고정체에 부착된 너트의 체결공에 보울트의 쌩크 중심선과 체결공의 중심선을 일치시켜 일정 토오크(torque)로 나사박음한다.
상기 체결 도중에는, 상기 외곽부(50)의 꼭지점 부위 각각의 정점 단면부가 마름모꼴로 압입 가공되기 때문에, 보울트의 수나사부(45)의 외곽부(50)의 꼭지점들이 너트의 암나사부(45)의 골지름 부위에 가압 마찰되면서, 보울트의 쌩크부 전체와 너트 전체에 전착도장된 도료가 벗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벗겨진 도료는, 너트의 암나사 골부(60)와, 보울트의 수나사 외곽부(50) 사이의 빈 공간에 집결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보울트와 너트가 체결된 상태를 단면에서 볼 때, 너트의 원형 암나사 골부(60)와, 보울트의 육각형 수나사 외곽선이 이루는 초승달 형상의 공간에 집결되게 되기 때문에, 보울트의 수나사 꼭지점 부위와, 너트의 암나사 골부(60)의 도료가 벗겨진 상태에서 접촉하여 통전 가능한 구조가 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쌩크의 너트 체결 상 전방 단부의 수나사 꼭지점 부위가 도료를 벗겨 내면서, 다음의 이웃하는 수나사 꼭지점 부위에 의해 나사선 전체의 꼭지점 부위가 연속적으로 동일 위치에서 마찰 접촉하기 때문에, 도료를 완전히 벗겨낼 수 있게 된다.
또, 체결 시, 상기 쌩크의 수나사 외곽부(50)와 골부(60)의 꼭지점들의 연장선이 트위스트된 곡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너트의 암나사의 골부 및 내경부와의 접촉 위치가, 너트의 길이방향에서 볼 때, 동일 선상에 있지 않아, 마찰 접촉력의 분산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체결 중의 파손이 방지됨과 더불어, 적은 체결력으로도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 도중에는, 보울트의 수나사 외곽부(50)의 마름모꼴 꼭지점 부위와 너트의 암나사부(45)의 상호 접촉력에 의거한 마름모꼴 꼭지점 부위의 수축력으로 인해, 마름모꼴 꼭지점 부위의 형상이 변형되어 체결지지밸런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한정하기 위함이 아닌, 단지 일예로서 기재되었다. 예를 들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울트의 수나사 나사선의 외곽이 파형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어스용 보울트에 의하면, 어스기능을 접목하기 위한 요소의 일정 부위에 대한 충분한 체결력을 부여하고, 전착도장도료의 피막을 여러부위에서 벗겨낸 후 개별 나사 피치에 대하여 벗겨진 도료를 축적할 수 있는 공간을 개별로 부여함으로써, 어떠한 체결조건 하에서도 통전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기술하기 위해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항목을 활용하여 설명되었으나, 다음과 같이 본고안의 사상이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8)

  1. 소정각을 가지는 나사부의 리드부에 상응하는 그루브가 연속형성된 형틀에 의해 압입 가공된 나사부를 가지는 어스용 보울트에 있어서, 나사부의 리드각에 상응하는 나사부의 최외곽의 단면 외형이 다각형인 외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용 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의 꼭지점 부위 각각은, 나사부의 리드각에 직교하는 단면이 마름모형의 압입지그에 의해 정점 단면부가 마름모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용 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의 골지름 부위의 단면 외형이 다각형인 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용 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의 외곽부는, 나사부 전체에서 볼 때, 다각외형의 꼭지점 들이 그리는 연장선이 일방향으로 곡선화되도록 일방향으로 소정각씩 트위스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용 보울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의 골부는, 나사부 전체에서 볼 때, 다각외형의 꼭지점 들이 그리는 연장선이 일방향으로 곡선화되도록 일방향으로 소정각씩 트위스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용 보울트.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골부의 꼭지점 부위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외곽부의 꼭지점 부위의 연장선에 상응하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용 보울트.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와 골부의 단면 형상은 육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용 보울트.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는 다각형 단면 상 구멍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용 보울트.
KR2020000025071U 2000-09-04 2000-09-04 어스용 보울트 KR2002264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071U KR200226410Y1 (ko) 2000-09-04 2000-09-04 어스용 보울트
PCT/KR2001/001493 WO2002021003A1 (en) 2000-09-04 2001-09-04 Foreign material removing bolt
AU2001286287A AU2001286287A1 (en) 2000-09-04 2001-09-04 Foreign material removing bo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071U KR200226410Y1 (ko) 2000-09-04 2000-09-04 어스용 보울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194A Division KR100807315B1 (ko) 2000-09-04 2000-09-25 어스용 보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410Y1 true KR200226410Y1 (ko) 2001-06-15

Family

ID=73088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071U KR200226410Y1 (ko) 2000-09-04 2000-09-04 어스용 보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4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007B1 (ko) * 2016-02-24 2018-04-04 대천볼트(주) 앵커볼트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007B1 (ko) * 2016-02-24 2018-04-04 대천볼트(주) 앵커볼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2832B1 (ja) ゆるみ止めナット
US5358367A (en) Screw or nut packing micro-adjustment
EP3054174B1 (en) Bolt
US20070297870A1 (en) Self-attaching female fastener
ES2391660T3 (es) Elemento postizo de tipo ciego para un perno
JP4225546B2 (ja) タッピンねじ
US5494462A (en) Ground rod clamp
EP3399200B1 (en) Screw for thin iron sheets
JP2015524751A (ja) トーションバー
AU684600B2 (en) Insert nut and fastener
KR200226410Y1 (ko) 어스용 보울트
KR20140012690A (ko) 전기 전도성 나사 체결 및 이러한 형태의 나사 체결을 위한 특수 부싱
KR20020018919A (ko) 어스용 보울트
GB2144194A (en) Fastener for fixing objects to panels or walls
US20080038089A1 (en) Screw with two threads having different orientations
EP1384905B1 (fr) Ecrou noyé à sertir autofreiné par un filet rapporté
CN209539772U (zh) 一种抗振防松螺栓螺母组件
JPH1162933A (ja) ね じ
CA2497932A1 (en) Threaded fastener assembly
US20080260489A1 (en) Captured nut assembly
JP4668565B2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及び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用のスペーサ連結部品
JP3125160U (ja) ロックナット
KR200236522Y1 (ko) 이물질 제거 보울트
CN219994155U (zh) 一种防松脱的螺母构件
CN214465425U (zh) 一种紧固自攻螺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