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446B1 - 고려인삼의 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고려인삼의 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446B1
KR102105446B1 KR1020167032896A KR20167032896A KR102105446B1 KR 102105446 B1 KR102105446 B1 KR 102105446B1 KR 1020167032896 A KR1020167032896 A KR 1020167032896A KR 20167032896 A KR20167032896 A KR 20167032896A KR 102105446 B1 KR102105446 B1 KR 102105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korean ginseng
soil
ginseng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2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6966A (ko
Inventor
노리아키 토다
타카히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쓰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쓰무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쓰무라
Publication of KR20160146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5Root crops, e.g. potatoes, yams, beet or wasabi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고려인삼 재배에서의 과제를 극복하여, 고려인삼을 안정적으로 게다가 효율좋게 재배할 수 있는 기술의 제공.
복수개의 평면에서 본 경우에 일방이 상대적으로 길고 타방이 상대적으로 짧은 형상이며, 그 상부에 개구를 가지는 부직포제 포트를 준비하고, 그 각각에 재배용 토양을 넣고, 당해 포트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고려인삼의 모종을 그 축이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심고, 이것을 다단식 선반에 당해 모종의 발아부측이 외측이 되도록 재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려인삼의 재배 방법.

Description

고려인삼의 재배 방법{METHOD FOR CULTIVATING ASIAN GINSENG}
본 발명은 고려인삼의 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려인삼을 안정적으로 게다가 효율좋게 옥내 등에 있어서도 육성할 수 있는 고려인삼의 재배 방법과 옥내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려인삼(Panax ginseng C.A.Meyer)은 주로 중국, 한반도에서 생산되며, 한방약 원료의 약용 식물로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 고려인삼은 건강 지향의 고조와 함께 한방약 원료로서 뿐만아니라 강장을 목적으로 한 건강 식품 등에도 사용되게 되어 그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고려인삼은 일본 내에서도 나가노켄, 후쿠시마켄, 시마네켄 등에서 재배되고 있지만, 그 생산량은 적어 일본 내의 수요를 채우기 위해서 상당한 양을 해외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그런데 일본 내에서 고려인삼의 생산량이 적은 것은 고려인삼은 병들기 쉬운 점, 연작 장해가 있는 점, 수확까지 일수가 걸리는 점, 재배에 많은 수고가 드는 점 등 많은 과제가 있기 때문이다.
우선 고려인삼은 입고병, 근부병, 반점병 등의 병이 발생하기 쉽고, 토양을 통한 전염이나 비에 의한 병해의 발생을 막을 필요가 있었다.
또 고려인삼은 연작 장해가 있기 때문에 하나의 밭에서 계속해서 재배할 수 없고, 또한 파종으로부터 수확까지 4~6년을 필요로 하므로 토지 이용의 면에서 매우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덧붙여서 동일한 밭에서 연작하기 위해서는 한번 재배한 후의 토양을 소독할 필요가 있고, 또한 재배에 적합한 토양으로 하기 위해서 1년 내지 수년에 걸쳐 토양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일컬어지고 있다(비특허문헌 1).
또한 재배에 있어서는 직사 일광을 피하기 위한 차양 지붕의 설치나 밭에 자라는 잡초의 제초에 수고가 든다는 문제도 있다.
이와 같은 수많은 과제가 있기 때문에 고려인삼의 수요의 고조에도 불구하고 그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지 않은 것이 일본의 현상황이다.
또한 솔라 패널 밑에 인삼 재배용의 포트를 두고, 여기서 재배하는 것을 시사하는 것 같은 문헌(특허문헌 1 중 도 2)도 있지만, 당해 문헌 중에는 포트의 소재나 그 형상에 대해서도, 또 인삼을 어떻게 심어 재배할지에 대해서도 전혀 기술은 없어, 당연히 상기 고려인삼 재배에서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 옥내에서 인공 광원을 이용하여 인삼을 재배하는 문헌(특허문헌 2)도 있지만, 당해 문헌은 단순히 옥외와 같이 불안정한 재배 조건이 되지 않도록, 옥내에서 밝기와 온도 등을 제어하는 것이 기술되어 있을 뿐이며, 실제로 효율좋게 고려인삼을 재배할 수 있었는지 여부의 기술조차 없고, 그 밖에 인삼을 어떻게 심을지 등에 대해서도 전혀 기술되어 있지 않다.
국제 공개 제WO2013/108620호 팜플렛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7928호 공보
오스미 도시오, 「약용 인삼 -만드는 법과 판매 방법-」(개정 신판 제6쇄), P38-46, 사단법인 농산어촌문화협회, 소화 61년 7월 20일 발행
따라서 본 발명은 고려인삼 재배에서의 과제를 극복하여, 고려인삼을 안정적으로 게다가 효율좋게 재배할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을 그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일본에서 소비하는 고려인삼의 대부분이 외국으로부터의 수입품인 것에 위기감을 품고, 재배상의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율이 좋은 고려인삼의 재배법이나 재배 시스템에 관하여 검토를 했다. 그리고 그 결과 종래의 발상과 크게 상이한 재료나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옥내에서 효율좋게 고려인삼을 재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복수개의, 평면에서 본 경우에 일방이 상대적으로 길고 타방이 상대적으로 짧은 형상이며, 그 상부에 개구를 가지는 부직포제 포트를 준비하고, 그 각각에 재배용 토양을 넣고, 당해 포트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고려인삼의 모종을 그 축이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심고, 이것을 다단식 선반에 당해 모종의 발아부측이 외측이 되도록 재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려인삼의 재배 방법이다.
또 본 발명은 옥내에 설치한 다단식 선반에
평면에서 본 경우에 일방이 상대적으로 길고 타방이 상대적으로 짧은 형상이며, 그 상부에 개구를 가지는 부직포제 포트에 재배용 토양을 넣고, 당해 포트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고려인삼의 모종을 그 축이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심고, 상기 모종의 발아부측이 상기 선반의 외측이 되도록 한 고려인삼 재배 포트를 복수개 재치하고,
상기 다단식 선반과 다단식 선반 사이에 광원을 설치하고,
상기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광원 제어부를 설치하고,
옥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 제어부를 설치하고,
상기 고려인삼 재배 포트의 토양 함수율을 제어하기 위한 관수량 제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려인삼의 옥내 재배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재배 방법이나 재배 시스템에 의하면, 옥내 등에 있어서 고려인삼을 안정적으로 또한 효율좋게 재배할 수 있기 때문에, 고려인삼의 경제성이 높은 공급 방법으로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스듬히 심기 재배(A)와 세로로 심기 재배(B)에서의 심고 약100일 후의 근부 중량의 증가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재배 시스템에 사용되는 고려인삼을 비스듬히 심은 재배 포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재배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재배법에 있어서 재배에 사용하는 부직포제 포트(이하, 「재배 포트」라고 한다)는 그 평면에서 본 형상이 일방이 상대적으로 길고 타방이 상대적으로 짧은 것인데, 그 구체예로서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타원형, 배형 등의 형상을 들 수 있다. 또 이 포트의 상부는 개구를 가지고, 그 개구는 완전히 개방되어 있어도 되고, 천면이 설치되어 그 일부가 개방되어 있어도 되며, 또 그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이 바람직하다.
이 재배 포트의 일례로서는 부직포의 바닥면이 되는 부분 및 2장의 측면이 되는 부분을 합쳐서 꿰맨 상부가 개방된 배형의 것을 들 수 있고, 이것은 1장의 부직포를 W자형상으로 접어 그 양측을 봉제하고, 이것을 펼침으로써 바닥면 및 측면을 형성하는 것 등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또 상부가 완전히 개방된 것 뿐만아니라 측면 상부에 천면이 되는 부직포를 부착하고 그 천면의 일부를 절결하여 개방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재배 포트에 사용되는 부직포로서는 폴리락트산, 셀룰로오스,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및 그들의 조합 등의 재료로 구성된 부직포이며, 이 중 폴리락트산, 셀룰로오스 및 폴리에스터의 재료로 구성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부직포로서는 구체적으로 악스터(도레제), 엘타스(아사히카세이제), 하이본(신와제), 타이벡(아사히·듀폰·플래시 스펀·프로덕츠제) 등의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이 재배 포트로서 부직포를 이용하는 이유는 이것이 통수성 및 토양에 대한 통기성이 우수하여, 고려인삼의 포트 재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재배 포트에 재배용 토양을 넣고, 이것에 축이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모종을 심는다.
본 발명 방법에서 사용하는 재배용 토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무균이며, 양분이 포함되지 않고, 또한 보수성이 좋은 토양 모재와 밑거름을 혼화한 것이 간이하며 또한 염가로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재배용 토양의 토양 모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점토질의 화산회토나 화산 분출물의 풍화물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염가이며 또한 대량으로 입수 가능한 적옥토, 녹소토 등이다.
상기 토양 모재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밑거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부엽토, 유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밑거름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토양 모재와 밑거름을 질량비로 10:1~1:1로 혼화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재배용 토양의 보비성을 나타내는 양이온 교환 용량(CEC;단위:meq/100g)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0~60, 특히 25~45가 바람직하다. 또 재배용 토양의 통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토양의 공극률로 환산하여 30~40%정도, 특히 34~37%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배용 토양의 pH나 전기 전도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pH가 4.8~6.4정도이며, 그 전기 전도도(EC;단위:mS/cm)가 0.1~0.5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옥외에 있어서의 고려인삼의 재배는 단립 구조가 발달한 토양이 바람직한 것으로 되어 있고(중국 특허공개 103430743호, 중국 특허공개 102577835호), 재배 전에 토양에 멸균 작업이나 1~수년에 걸쳐 대량의 녹비나 퇴비 등을 섞어 충분히 교반하는 등의 고려인삼 이식 전의 준비가 필요하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이 단립 구조가 발달한 토양은 보비성, 통기성이 적당하여 재배가 양호하지만, 이와 같은 토양을 얻기 위해서는 임지를 벌채하여 새로운 밭으로 쓸 땅을 조성하거나, 한번 고려인삼을 재배한 장소에서는 동물성을 포함하는 비료를 토양에 혼화한 후에 옥수수 등을 재배하여 토양에 섞어 녹비로 하는 등 엄청난 수고와 기간에 걸쳐 토양 개량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 방법에서는 상기와 같은 단립 구조가 발달한 토양을 사용해도 되지만, 이것을 사용하지 않아도 보수성이 좋은 토양 모재와 밑거름을 혼화한 것으로 충분히 고려인삼을 재배할 수 있다.
상기한 재배용 토양을 충전한 재배 포트로의 고려인삼 모종의 심기는 그 모종의 축 방향을 재배 포트의 길이 방향에 맞추고 또한 비스듬히 심는다. 이 심는 각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6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0~4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0°이다. 또한 이와 같이 심는 것에 있어서는 모종의 발아 부분에 토양을 뿌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병 대책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심는 각을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세로(수평면에 대하여 90°)로 심은 경우 고려인삼 주근 전체에 세근이 자라는데, 비스듬히 심은 경우는 고려인삼 주근의 하측 절반면에 밖에 자라지 않기 때문에 주근이 굵어지기 쉽기 때문이다.
또 재배 포트 중에 비스듬히 심은 결과, 주근은 세로로 심은 경우와 비교하여 재배 포트의 높이가 낮아져, 성장하는 지상부의 높이를 고려해도 전체의 높이는 억제되므로, 후술하는 다단 선반의 단수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여, 단위면적당 재배 효율이 높아진다는 메리트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려인삼을 심은 재배 포트는 이것을 직사 일광이 차단되고 바람직하게는 일중의 50% 이상의 시간이 그늘이 되는 장소에 설치한 다단식 선반에 당해 모종의 발아부측이 외측이 되도록 재치한다. 이 직사 일광이 차단되고 또한 일중의 50% 이상의 시간이 그늘이 되는 장소는 예를 들면 단순히 금속제 또는 비금속제의 지붕을 설치한 장소 아래여도 되지만, 또한 주위가 벽으로 둘러싸인 옥내가 바람직하다. 이 중 옥내에서 재배하는 경우는, 당해 옥내에서의 온도, 습도, 토양중의 함수율의 관리나, 인공 광원의 이용에 의한 조명의 관리가 가능한 옥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광원으로서는 자연광, 인공 조명 등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광의 조사 방향은 직접광 또는 반사광이 선반의 측면에 닿도록 하면 된다. 선반의 측면에 광을 쏘임으로써 선반의 측방으로 지상부를 신장시켜 적절하게 광이 닿도록 할 수 있다. 선반의 측면에 광을 쏘는 방법으로서는 선반의 배치 등을 궁리하여 반사광이 측면에 닿도록 조정해도 되고, 선반의 측면을 향하여 인공 조명을 설치해도 된다.
상기 인공 조명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백색 전구, 형광등, LED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고려인삼의 지하부를 비대시키기 위해서는 적색광과 청색광을 포함하는 LED 또는 적색 LED 및 청색 LED로 이루어지는 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적색 LED와 청색 LED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8:2~6:4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3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적색 LED의 파장으로서는 예를 들면 발광 파장이 650~700nm에 피크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660nm에 피크가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청색 LED의 파장으로서는 예를 들면 발광 파장이 450~500nm에 피크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470nm에 피크가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인공 조명을 사용하는 경우, 고려인삼의 지하부를 비대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고려인삼의 잎에 대하여 1일당 4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8~16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6~10시간, 광합성 광량자속 밀도의 평균이 12~24μmol m-2s-1이 되도록 광을 조사한다. 잎에 대하여 조사되는 광합성 광량자속 밀도의 평균이 상기 범위보다 적으면 고려인삼의 지하부의 비대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많으면 고려인삼이 시들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광합성 광량자속 밀도의 평균은 고려인삼의 개체마다 잎 부근의 복수 개소에서 광량자량 측정기로 측정된 광합성 광량자속 밀도의 평균값이다.
또 다단식 선반은 선반 사이의 높이가 재배 포트의 높이와, 생장하는 지상부가 선반 상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측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신장 가능한 정도의 간극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각 선반의 간격(하단 선반판과 상단 선반판의 간격)은 성장하는 지상부를 방해하지 않는 높이이면 특별히 제약은 없지만, 25~50cm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40cm가 바람직하다. 선반 사이의 높이가 25cm보다 좁으면 선반의 상하단에 설치한 재배 포트로부터 신장하는 고려인삼의 지상부(잎)가 선반측면에서 겹치는 일이 있어, 하단의 고려인삼의 지상부가 충분한 광 조사를 받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 이 선반판은 슬릿 등이 있는 망상의 것으로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약한 일광 조사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이 다단식 선반에는 재배 포트는 고려인삼 모종의 발아 부분측을 선반판의 외측을 향하여 재치하는데, 이것은 발아 후의 지상부 특히 잎을 선반의 측방으로 신장시킴으로써, 어느 정도 차광된 일광이나 약한 인공 조명이었다고 해도 충분히 받을 수 있게 한다. 이것에 의해 다단식 선반이라도 충분히 고려인삼을 성장시킬 수 있다.
또 고려인삼은 지상부가 직립한 경우의 높이가 1m정도나 되기도 하여, 통상의 재배법에서는 포트의 높이도 더하면 선반 1단당 높이가 1.5m정도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옥내에서 재배하는 것을 상정한 경우, 일반적인 건물의 높이가 1층당 3~4m, 창고여도 5~7m인 점에서, 선반의 단수는 2단 많아도 3단정도로밖에 할 수 없다. 이에 대해 본 발명과 같이 모종을 경사진 상태로 심고, 지상부를 선반의 측방으로 신장시킴으로써, 선반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어, 많은 단수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면적당 재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다단식 선반에 재치된 재배 포트에 대한 관수는 주근에 너무 가깝지 않은 위치로의 적하 또는 포트 측면으로부터의 침윤에 의해 행하고, 그 양은 재배용 토양이 습기를 머금을 정도의 양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관수 후의 재배용 토양의 함수율을 8% 이상, 바람직하게는 8~20%가 되도록 하면 되며, 항상 8% 이상일 필요는 없다. 또 관수 후는 관수한 직후로부터 2시간 이내를 말한다. 이와 같은 함수율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재배용 토양 4L에 대하여 20~40mL의 물을 관수하면 된다. 관수의 횟수는 2일에 1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1일 1회 내지 2회정도이다.
고려인삼은 건조 상태가 계속되면 시들어버리는 일이 있지만, 재배 포트중에 체류하는 수분이 많으면 병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이 관수의 방법이나 재배용 토양의 함수율에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시비는 고려인삼의 모종을 심어 맹아하고 지상부에 잎이 형성되어 모종의 세근이 충분히 토양중에 퍼진 타이밍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모종의 근부 선단으로부터 3~5cm의 위치에, 주사기 등의 페이스트상 액비의 주입이 가능한 기구로, 1년에 1~수회, 바람직하게는 1~3회 행하고, 다음해 이후도 동일한 타이밍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시비에 사용하는 비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식물유 찌꺼기류에 유래하는 원료로 만들어지는 식물질 비료 및 물고기, 가축에 유래하는 원료로 만들어지는 동물질 비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료에 있어서의 식물질 비료와 동물질 비료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식물질 비료가 많은 편이 바람직하고, 식물질 비료와 동물질 비료의 비율은 질량비로 9:1~7:3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 비료는 토양중에 체류하여 서서히 녹아나와 효과가 지속되기 때문에, 반고형상(겔상) 또는 페이스트상 비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비료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민나유키페이스트(가타쿠라치카린제), 유키이리페이스트222아야히메(선아그로제), 세이와페이스트(세이와히료코교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반고형상 또는 페이스트상 비료는 점도계에 의해 측정되는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1000~300만mPa·s(밀리파스칼초) 또는 퍼넬 점도가 8~20초(500ml/500ml)에 해당하는 액비를 말한다.
또한 모종의 근부 선단측에 시비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고려인삼의 주근에 비료가 직접 접촉하는 것에 의한 비료 화상을 막기 위해서이며, 주근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에 시비함으로써, 토양중에서의 체류, 확산에 의해 비료의 서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모종의 근부 선단의 시비 위치는 구체적으로는 뿌리 선단으로부터 3~5cm 떨어진 재배용 토양중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비 위치가 3cm보다 가까우면 뿌리가 썩어버리는 일이 있고, 또 시비 위치가 뿌리 선단부로부터 5cm보다 멀면 시비의 효과가 높아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토양중으로의 추비와 함께 잎면 산포용 비료에 의해 추비할 수도 있다. 이 잎면 산포는 잎 표면 전체에 1년에 1~수회, 바람직하게는 1~3회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음해 이후도 동일한 타이밍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잎면 산포용 비료에 의한 추비와 토양중으로의 추비를 함께 행함으로써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잎면 산포용 비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무기 성분으로서 적어도 마그네슘 및 칼슘을 포함하는 액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잎면 산포용 비료로서는 G헬퍼(무사시노슈뵤엔제), 파워풀그린(가타쿠라치카린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재배법에서는 상기와 같이 부직포제 포트중에 식재한 고려인삼을 다단식 선반에 재치하여 재배를 행하는 것인데, 그 때는 광을 컨트롤할 필요가 있다. 즉 인삼은 음성 식물이므로, 하루종일 강한 광에 쏘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필요에 의해 한랭사 등으로 최적 광량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단식 선반 재배로 함으로써 광이 닿는 각도에 따라 선반의 그림자가 생기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한 환경을 유지하기 쉽지만, 예를 들면 옥내 환경에서의 재배에서는 조명 라이트의 파워 또는 각도를 바꿈으로써 조도를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재배법에 있어서 옥내의 온도는 대략 1년의 평균 기온을 20℃정도(여름철은 25℃정도, 겨울철은 10℃ 이하)로 하면 되지만, 새싹을 보다 비대시키기 위해서는 고려인삼의 지상부가 존재하는 기간 중 30~60일간은 온도를 23~28℃, 그 이외에는 온도를 10~20℃로 유지하고, 고려인삼의 지상부가 고사하면, 그로부터 60~100일간은 온도를 -3~5℃로 유지한 후, 고려인삼의 지상부가 새롭게 형성될 때까지 온도를 10~2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재배법에 있어서 옥내의 습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재배 기간을 통하여 70~8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재배법에 의하면, 고려인삼은 개별의 재배 포트에 의해 재배되기 때문에, 병해가 생긴 재배 포트를 개별로 제거할 수 있어, 토양을 통한 병의 전염이나 비에 의한 병해의 발생 및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재배에 사용한 토양을 교체함으로써, 연작 장해의 문제가 없고 동일한 장소에서 몇번이라도 재배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 노동 부하를 저감할 수도 있다. 또한 옥내에서 재배하면 날씨에 좌우되지 않아 효율적 또한 안정적으로 재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특히 본 발명의 재배법은 옥내에서 재배할 때는 이하에 설명하는 재배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옥내에
다단식 선반을 설치하고, 이 선반에 상기에서 설명한 고려인삼 재배 포트를 상기 모종의 발아부측이 상기 선반의 외측이 되도록 하여 복수개 재치하고,
상기 다단식 선반과 다단식 선반 사이에 광원을 설치하고,
상기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광원 제어부를 설치하고,
옥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 제어부를 설치하고,
상기 고려인삼 재배 포트의 토양 함수율을 제어하기 위한 관수량 제어부를 설치한다.
상기 재배 시스템에 있어서 다단식 선반에 재치되는 고려인삼 재배 포트는 이것에 심어진 고려인삼의 발아부측이 상기 선반의 외측이 되도록 경사진 상태로 심어져 있기 때문에, 고려인삼이 성장하면 그 잎은 다단식 선반으로부터 외측으로 뛰어나오게 된다. 그 때문에 각 단의 높이는 세로로 심은 경우보다 낮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재배 시스템에 있어서 옥내에 설치하는 광원은 다단식 선반과 다단식 선반 사이에 설치되는데, 다단식 선반으로부터 외측으로 잎을 신장시킴으로써 효율좋게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 광원으로서 인공 조명을 사용하면 광의 조사 방향을 컨트롤하는 것도 용이하다. 또한 광원은 선반 2~4단에 1개, 바람직하게는 3단에 1개정도 설치하면 된다. 또한 이 광원의 제어부는 예를 들면 광량(광합성 광량자속 밀도)이나 조사 시간을 수동 또는 자동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또한 통상의 실내 재배에서는 각 단의 천정부에 광원을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상기 재배 시스템에서는 그럴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재배 시스템에 있어서 옥내에 설치하는 옥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 제어부는 일반적인 공조기이면 된다.
또한 상기 재배 시스템에 있어서 옥내에 설치하는 고려인삼 재배 포트의 토양 함수율을 제어하기 위한 관수량 제어부는 예를 들면 관수 시스템과 토양 수분 측정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고려인삼 재배 포트에 관수용의 관과 토양 수분 측정용의 센서를 삽입하고 이들로 토양 함수율을 제어하면 된다.
또한 상기 재배 시스템에 있어서는 또한 옥내 습도를 제어하기 위한 습도 제어부, 시비를 위한 제어부, 탄산 가스 농도의 제어부 등을 추가하여 설치해도 된다.
또 상기한 제어부는 또한 퍼스널컴퓨터, 서버 등에 접속하여 자동 제어를 행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재배법이나 재배 시스템은 고려인삼의 효율적 또한 안정적인 공급에 매우 유리한 것이다.
실시예
이어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전혀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재배용 용기 소재의 검토 :
고려인삼의 뿌리는 수분이 정체되는 조건이나 지온이 높은 조건하에서는 뿌리 썩음을 야기한다. 그래서 통기성, 배수성이 우수하고, 지온이 상승하지 않는 등의 조건을 클리어하는 재배용 포트에 최적인 용기를 다음과 같이 선정했다.
우선 재배용 용기의 후보로서 부직포 포트(악스터:루트 랩 포트 흑 10A), 폴리 포트(론 UL120) 및 설구이 6호 화분을 준비했다. 이어서 이 중에 재배용 토양으로서 적옥(소), 적옥(중) 및 부엽토를 3:2: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준비했다. 이 재배용 토양을 각 재배 용기에 넣고 위에서 물뿌리개로 관수하고 배수성을 확인했다.
이 결과 부직포 포트는 그 전체면으로부터 신속한 배수가 확인되어 배수성은 매우 양호했다. 폴리 포트와 비교하여 통기성, 배수성과 보수성이 우수하다고 생각되고, 또 설구이 6호 화분과 비교하여 통기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비용이 저렴하며, 더욱 경량이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했다.
한편 상기 재배용 토양을 각 재배용 용기에 채워넣은 후, 차양 조건하(차광률 70%, 90%)에서 한여름의 지온의 상승을 조사했다. 7월 27일은 13시 30분 시점에 측정하고, 7월 31일과 8월 2일은 부직포 포트와 폴리 포트에 온도계를 설치하여 1시간마다 기록을 측정하여 최고 온도, 최저 온도, 평균 온도의 데이터를 취했다.
이 결과 2012년 7월 27일(금) 13시 30분 시점에서 차광률 70% 정도의 장소에 있어서의 부직포 포트, 폴리 포트, 설구이 6호 화분의 지온은 각각 29.3℃, 34.8℃, 35.0℃이며, 부직포 포트는 폴리 포트, 설구이 6호 화분과 비교하여 지온이 5.5~5.7℃ 낮았다. 또 7월 31일, 차광률 70% 조건하에서의 부직포 포트의 지온은 폴리 포트와 비교하여 최고 온도가 -8.3℃, 최저 온도가 -4.7℃, 평균 기온이 -8.7℃였다. 또한 8월 2일, 차광률 90% 조건하에서의 부직포 포트의 지온은 폴리 포트와 비교하여 최고 온도가 -6.4℃, 최저 온도가 +1.1℃, 평균 기온이 -2℃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부직포 포트는 상하좌우로부터의 배수성이 우수하고, 지온은 설구이의 화분이나 폴리 포트보다 6~8℃ 저하된 결과가 얻어진 점에서, 앞으로의 고려인삼 재배용 포트로서 부직포 포트(루트 랩 포트 흑)를 선택했다.
(실시예 2)
옥내 재배 시험
부직포제의 시판의 종형 재배 포트(악스터 루트 랩 포트 흑 10AΦ15cm×34cm)와 동일한 부직포를 사용한 비스듬히 심기용 재배 포트(단변 12cm×장변 34cm×높이 13cm)를 사용하여, 하기의 재배 조건에 의해 옥내 재배를 행했다.
고려인삼 모종은 나가노켄산의 2년생 모종을 사용하고, 종형 재배 포트에서는 그 발아 부분이 흙에 덮이지 않도록 똑바로 심고, 비스듬히 심기용 재배 포트에서는 모종을 발아 부분이 흙에 덮이지 않고 또한 모종이 수평면에 대하여 약45°의 각도가 되도록 심었다. 또 비교로서 동일한 모종을 사용하고, 옥외의 포장(圃場)에서 통상의 노지 재배를 행했다.
또한 추비로서 맹아 14일 후, 42일 후 및 64일 후의 합계 3회 민나유키페이스트(가타쿠라치카린제; 질소:인:칼륨=4:3:3; 식물질 비료:동물질 비료=8:2; 퍼넬 점도:15~20)를 1주당 2mL, 3mL, 3mL 근권(근부 선단으로부터 5cm정도 떨어진 장소에 스포이트상의 기구로 주입) 투여했다(추비를 행하지 않는 무처리군도 마련했다).
<옥내 재배에 있어서의 조건 설정>
온도 : 공조기를 사용하여 20℃ 전후가 되도록 설정
습도 : 70~80%
광 : 식물 육성용 형광등(FL40SFRP 파나소닉제)
일장 : 명기 14시간, 암기 10시간
토양 : 적옥토(중):적옥토(소):부엽토=2:3:1
사용 모종 : 나가노켄산 2년생 모종
이와 같은 재배로 고려인삼은 모두 생육했지만, 노지 재배의 것은 6월부터 반점병이 발생하고 이것이 만연했기 때문에 생육이 나빠졌다. 이에 대해 옥내 재배의 것은 세로로 심기, 비스듬히 심기 모두 병해의 발생은 매우 경미했다.
또 무처리군에서는 맹아 82일 후경부터 잎이 황화하기 시작한 것에 대해, 추비를 행한 경우는 그러한 현상이 보이지 않아, 페이스트상 비료가 유효한 것을 나타냈다. 또한 종형 재배 포트의 경우 근권에 페이스트상 비료를 잘 투여할 수 없고, 주근의 주위에 머물러버리는 것도 있으며, 뿌리 썩음 현상도 확인되었다.
(실시예 3)
비스듬히 심기 재배와 세로로 심기 재배의 비교
맹아 후 30일 후에 잎부에 분무기로 잎면 산포제 G헬퍼(무사시노슈뵤엔제; 해초 엑기스 100%(N:0.10%, P:0.20%, K:1.02%, Ca:0.11% Na:0.13%, Mg:0.01%, Cu:16ppm, Zn:19ppm, Fe:256ppm, Mn:13ppm))를 수회 분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스듬히 심기(A)와 세로로 심기(B)에서의 고려인삼의 2년생 모종을 재배하고, 지상부가 고사한 맹아 약100일 후에 근부를 파내어, 모종을 심을 때의 중량과의 차를 비교했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이 결과로부터 본 재배 시험의 결과, 본 발명의 비스듬히 심기 재배에 의해, 근부 중량은 평균 6.6g 증가한 것에 대해, 세로로 심기 재배에서의 근부 중량은 3.57g밖에 증가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비스듬히 심기에서는 세로로 심기와 비교하여 그 근부 중량이 약1.85배나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옥내 재배 시스템에 의한 재배 시험
공조기에 의해 온습도 관리가 가능한 옥내에 선반 간격이 20cm, 30cm, 36cm인 폭 60cm의 다단식 선반을 복수 배열하여 설치했다. 실시예 2에서 사용한 비스듬히 심기용 부직포제 재배 포트에 재배용 토양을 깊이 10~12cm가 되도록 넣고, 고려인삼의 2년생 모종(5g~20g)을 중량을 측정한 후 축이 수평면에 대하여 15~30°가 되도록 비스듬히 심고, 맹아부가 상부에 나오도록 재배용 토양으로 덮어 고려인삼 모종을 이식했다. 이 모종을 이식한 재배 포트의 단면도를 도 2에 나타냈다. 또 다단식 선반 사이의 통로부 중앙에 광원을 선반 3단에 대하여 하나가 되도록 설치하고, 광원의 광의 주조사 방향을 하향으로 했다. 이 옥내 재배 시스템의 모식도를 도 3에 나타냈다. 이 옥내 재배 시스템을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고려인삼 모종을 재배했다.
<재배 조건>
온도 : 공조기를 사용하여 1년의 평균 기온이 20℃정도가 되도록 설정(여름 철 25℃정도, 겨울철 10℃ 이하)
습도 : 70~80%
광원 : 적색 LED(표면실장형 1W형 적색 파워 LED 발광 파장 660nm 피크)와 청색 LED(표면실장형 1W형 청색 파워 LED 발광 파장 470nm 피크)를 적색 LED:청색 LED 7:3으로 설치
일장 : 명기 8시간, 암기 4시간을 2사이클
토양 : 적옥토(중):적옥토(소):부엽토=2:3:1
사용 모종:일본산 또는 외국산 고려인삼 2년생 또는 3년생 모종
또한 모종을 이식한 재배 포트는 지상부가 선반의 외측으로 신장하도록 맹아부를 외측으로 하여 다단식 선반에 재치하고, 포트의 측면에 자동 관수 장치의 관수부가 접하도록 설치하고, 관수량을 토양 함수율이 표 1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했다. 토양 함수율의 측정은 TDR 토양 수분 측정기(TDR-251A:Nakamura제)를 사용하여, 관수 1~2시간 후에 토양 수분 센서의 로드 부분을 측정 토양중에 근원까지 삽입하여 행했다. 측정은 1개소를 1회 행하여 그 측정값을 구하고, 환산표로부터 체적 함수율을 구했다.
또 맹아 후 약4개월 후에 각 개체의 지상부의 작은 잎마다 광량자량 측정기(SE-MQ200:Apogee Instruments사제)를 사용하여 광합성 광량자속 밀도를 측정하여, 개체마다의 평균값을 구했다.
또한 재배중 추비로서 맹아 30일 후에 민나유키페이스트를 1주당 5mL를 근권(근부 선단으로부터 아래로 약3cm 떨어진 장소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주입)에 투여함과 아울러, 맹아 후 1~2개월 후의 잎이 충분히 전개했을 때에 지상부의 잎의 표면에 잎면 산포제 G헬퍼를 산포했다. 재배 개시 후 약7개월이 경과하고 지상부가 고사한 모종을 파내어 그 지하부 중량을 측정했다. 이 측정한 지하부 중량과 모종을 심을 때의 지하부 중량의 차로부터 개체마다의 비대량(g)을 구하여, 해당하는 개체의 비대량의 평균을 산출했다. 고려인삼 모종의 평균 비대량(g)에 대한 광합성 광량자속 밀도(PPFD)와 토양 함수율의 관련성을 표 1에 나타냈다.
Figure 112016115085090-pct00001
본 재배 시험의 결과, 광합성 광량자속 밀도(PPFD)를 12~24μmol m-2s-1 또는 관수 직후의 함수율을 8% 이상, 바람직하게는 8~20%로 함으로써 지하부의 비대량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광합성 광량자속 밀도와 함수율의 양쪽이 상기 범위이면 더욱 지하부의 비대량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계속 재배 시험 :
실시예 4의 방법으로 1년간 재배를 행한 것에 대해, 추가로 겨울철에 5℃ 이하의 온도를 30일간 유지한 것과, 90일간 유지한 것에 대해서 재배를 계속하고, 모종의 발아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30일간 저온을 유지한 것은 발아율이 5% 미만이었지만, 90일간 유지한 것은 80% 이상 발아하고, 다음해의 재배를 효율좋게 계속할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재배법이나 재배 시스템에 의하면, 고려인삼의 모종을 재배 포트의 길이 방향으로 비스듬히 심고, 또한 재배 포트를 고려인삼 모종의 발아 부분측을 선반판의 외측을 향하여 재치함으로써, 통상의 세로로 심기 재배 포트에 비해 선반의 단수를 3~5단정도 많게 할 수 있다. 또 비스듬히 심음으로써 근부의 중량이 보다 증가하여 효율적인 재배를 할 수 있다. 또한 다단식 선반을 사용하여 토지를 유효하게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면적의 노지 심기에 비해 수배정도 고밀도로 재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재배법이나 재배 시스템에 의하면, 안정적이며 또한 효율좋게 고려인삼을 재배할 수 있으므로, 생약으로서의 고려인삼의 안정 공급 수단으로서 이용할 수 있어, 한방약의 생산 등에 있어서 매우 유리한 것이다.
1…고려인삼을 비스듬히 심은 재배 포트
2…재배 포트
3…토양
4…고려인삼
10…고려인삼의 옥내 재배 시스템
11…광원
12…다단식 선반

Claims (13)

  1. 복수개의, 평면에서 본 경우에 일방이 상대적으로 길고 타방이 상대적으로 짧은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이며, 그 상부에 개구를 가지는 부직포제 포트를 준비하고, 그 각각에 재배용 토양을 넣고, 당해 포트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고려인삼의 모종을 그 축이 수평면에 대하여 10°~45°가 되도록 심고, 이것을 다단식 선반에, 당해 모종의 발아부측이 상기 선반의 외측을 향하도록 재치하고, 고려인삼의 재배시에 고려인삼의 잎에 대하여 1일당 4시간 이상 광합성 광량자속 밀도의 평균이 12㎛ol m-2s-1 초과 24㎛ol m-2s-1 이하의 광을 조사하고, 관수 후의 재배용 토양의 함수율이 8% 이상이 되도록 관수하며, 옥내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려인삼의 재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색 LED 및 청색 LED로 이루어지는 광원으로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려인삼의 재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재배용 토양이 토양 모재와 밑거름을 질량비로 10:1~1:1로 혼화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려인삼의 재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다단식 선반의 높이 방향의 간격이 25~5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려인삼의 재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식물질 및 동물질의 양쪽을 포함하는 반고형상 또는 페이스트상 비료를 1~3회/년 근부 선단측에 시비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려인삼의 재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 성분으로서 적어도 마그네슘 및 칼슘을 포함하는 액상 비료를 1~3회/년 잎면 산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려인삼의 재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제 포트가 폴리락트산, 셀룰로오스 또는 폴리에스터의 부직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려인삼의 재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려인삼의 지상부가 존재하는 기간 중 30~60일간은 온도를 23~28℃, 그 이외에는 온도를 10~20℃로 유지하고, 고려인삼의 지상부가 고사하면, 그로부터 60~100일간은 온도를 -3~5℃로 유지한 후, 고려인삼의 지상부가 새롭게 형성될 때까지 온도를 10~20℃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려인삼의 재배 방법.
  9. 옥내에 설치한 다단식 선반에
    평면에서 본 경우에 일방이 상대적으로 길고 타방이 상대적으로 짧은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이며, 그 상부에 개구를 가지는 부직포제 포트에 재배용 토양을 넣고, 당해 포트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고려인삼의 모종을 그 축이 수평면에 대하여 10°~45°가 되도록 심고, 상기 모종의 발아부측이 상기 선반의 외측을 향하도록 한 고려인삼 재배 포트를 복수개 재치하고,
    상기 다단식 선반과 다단식 선반 사이에 광원을 설치하고,
    상기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광원 제어부를 설치하고,
    옥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 제어부를 설치하고,
    상기 고려인삼 재배 포트의 토양 함수율을 제어하기 위한 관수량 제어부를 설치하고,
    상기 광원 제어부는 고려인삼의 재배시에 고려인삼의 잎에 대하여 1일당 4시간 이상 광합성 광량자속 밀도의 평균이 12㎛ol m-2s-1 초과 24㎛ol m-2s-1 이하가 되도록 광원을 제어하고,
    상기 관수량 제어부는 관수 후의 재배용 토양의 함수율이 8% 이상이 되도록 함수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려인삼의 옥내 재배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67032896A 2014-06-09 2015-06-05 고려인삼의 재배 방법 KR102105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18821 2014-06-09
JPJP-P-2014-118821 2014-06-09
PCT/JP2015/066312 WO2015190405A1 (ja) 2014-06-09 2015-06-05 オタネニンジンの栽培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966A KR20160146966A (ko) 2016-12-21
KR102105446B1 true KR102105446B1 (ko) 2020-04-29

Family

ID=5483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896A KR102105446B1 (ko) 2014-06-09 2015-06-05 고려인삼의 재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6465110B2 (ko)
KR (1) KR102105446B1 (ko)
CN (1) CN106413380B (ko)
HK (1) HK1231323A1 (ko)
RU (1) RU2649327C1 (ko)
TW (1) TWI675618B (ko)
WO (1) WO20151904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8853A (zh) * 2017-06-01 2017-09-12 陈义龙 西洋参的人工种植方法
CN107135785A (zh) * 2017-06-01 2017-09-08 陈义龙 人参的抗病虫害的人工种植方法
CN107018792A (zh) * 2017-06-01 2017-08-08 陈义龙 智能温室人参种植的方法
CN107155590A (zh) * 2017-06-01 2017-09-15 陈义龙 红参的补光温室种植的方法
KR102121962B1 (ko) * 2018-08-22 2020-06-11 대한민국 Led를 통한 우량묘삼 재배방법 및 우량묘삼 재배용 장치
JP2020097548A (ja) * 2018-12-19 2020-06-25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オタネニンジン及び/又はそ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US11716938B2 (en) 2019-03-26 2023-08-08 Seoul Viosys Co., Ltd. Plant cultivation light source and plant cultivation device
KR102325226B1 (ko) * 2019-11-05 2021-11-12 김도진 수용성 게르마늄과 각종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비료를 이용한 인삼 재배 방법
CN112088732B (zh) * 2020-09-30 2022-04-08 山西省农业科学院经济作物研究所 一种党参和芝麻的套种方法
CN113273464A (zh) * 2021-04-16 2021-08-20 吉林益鑫科技有限公司 一种人参/山参/野山参的种植方法及加工储藏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346B1 (ko) * 2005-07-18 2005-10-14 주식회사 케이엠에스아이 복제 산삼 재배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880342A1 (ru) * 1980-01-11 1981-11-15 За витель Способ И.Марцинюка выращивани женьшен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JPS6474936A (en) * 1987-09-14 1989-03-20 Sumitomo Cement Co Culture through pebble by multi-stage bed and device therefor
RU1818001C (ru) * 1990-12-10 1993-05-30 Е.А.Кожуховский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 женьшен
JP2507247B2 (ja) * 1991-07-08 1996-06-12 工業技術院長 生分解性育苗ポット
CN201234482Y (zh) * 2008-07-15 2009-05-13 谢宗钦 立体植物栽培架
KR20100137949A (ko) * 2009-06-24 2010-12-31 임주희 건전묘삼 생산을 위한 시설내 육묘상자 재배 기술방법
KR20110079496A (ko) * 2009-12-31 2011-07-07 (주)와이즈산전 유비쿼터스 인삼 재배 플랜트
CN103153039B (zh) * 2010-10-06 2015-08-12 株式会社津村 人参的栽培方法
WO2013108620A1 (ja) 2012-01-18 2013-07-25 株式会社光変換光合成促進農法 植物栽培システムおよび植物栽培方法
KR101510463B1 (ko) * 2012-01-26 2015-04-10 안청근 다층 화분
JP2013223488A (ja) * 2012-03-19 2013-10-31 Ehime Prefecture 育苗用容器および大苗の育成方法
CN102577835B (zh) * 2012-03-27 2013-12-11 集安大地参业有限公司 农田人参种植方法
CN202663850U (zh) * 2012-05-14 2013-01-16 闽侯县农心农业科技示范园 栽培架
KR101459007B1 (ko) * 2012-09-14 2014-11-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기농 인삼 재배 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유기농 인삼 재배방법
KR101457379B1 (ko) * 2012-10-15 2014-11-0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CN103039262B (zh) * 2013-01-30 2014-02-05 东北师范大学 一种大棚营养块人参栽培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346B1 (ko) * 2005-07-18 2005-10-14 주식회사 케이엠에스아이 복제 산삼 재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75618B (zh) 2019-11-01
JPWO2015190405A1 (ja) 2017-04-20
HK1231323A1 (zh) 2017-12-22
WO2015190405A1 (ja) 2015-12-17
RU2649327C1 (ru) 2018-04-02
KR20160146966A (ko) 2016-12-21
JP6465110B2 (ja) 2019-02-06
CN106413380A (zh) 2017-02-15
CN106413380B (zh) 2019-11-12
TW201608963A (zh)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446B1 (ko) 고려인삼의 재배 방법
CN107535247B (zh) 一种防治百香果茎基腐病的限根栽培方法
JP5364163B2 (ja) 緑色光照射を利用した果菜類の栽培方法
CN103168585B (zh) 一种沙冬青容器育苗方法
CN104429531B (zh) 一种茶树、盆架子和紫苜蓿套种方法
CN106105951A (zh) 一种水平直线养拳栽培大棚果桑的方法
CN104541917B (zh) 一种山坡林地改良高产套种油茶树的方法
CN101473754A (zh) 一种防重茬危害的栽培方法
KR101321802B1 (ko) 유기농 묘삼의 하우스 재배 방법
CN106305265A (zh) 一种青钱柳嫩枝扦插繁殖的方法
CN113424748A (zh) 一种大白菜杂交制种方法
CN105248113B (zh) 黄花风铃木根插的繁殖方法
JP3565198B2 (ja) パパイヤの栽培方法
CN103229691A (zh) 宽窄行云南核桃硬枝接穗采穗圃的营建方法
CN108391552A (zh) 一种核桃冬凌草套种的方法
CN106577132A (zh) 一种无公害茶叶栽培技术
CN106171701A (zh) 一种利用山稻进行屋顶绿化的方法
JP2011067172A (ja) ヒシの栽培装置
CN109845571A (zh) 一种利用北方茶叶棚间作猕猴桃的种植方法
CN108040800A (zh) 一种药牡丹花期调控高产栽培方法
CN109819844A (zh) 提高毛竹种子产量的培育方法
RU2618317C2 (ru) Способ содержания почвы виноградников на склоновых землях
CN109258363A (zh) 一种提高滇重楼增产的种植设备及其种植方法
CN108207464A (zh) 一种油茶林下白芨高产种植方法
JP5819472B2 (ja) 植栽用培地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植物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17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408

Effective date: 202002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