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270B1 - 약쑥 조청이 포함된 초콜릿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쑥 조청이 포함된 초콜릿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270B1
KR102105270B1 KR1020190130982A KR20190130982A KR102105270B1 KR 102105270 B1 KR102105270 B1 KR 102105270B1 KR 1020190130982 A KR1020190130982 A KR 1020190130982A KR 20190130982 A KR20190130982 A KR 20190130982A KR 102105270 B1 KR102105270 B1 KR 102105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wood
chocolate
weight
syrup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식
김선희
정해표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강화마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강화마니(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강화마니(주)
Priority to KR1020190130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2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1/48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1/4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Abstract

본 발명은 (a) 쌀가루에 액화효소를 혼합하여 액화시킨 후, 엿기름을 첨가하여 당화시키고, 당화액을 여과시킨 후 가열 농축하여 쌀 조청을 제조하는 단계; (b) 약쑥에 익모초, 당귀, 생강 및 감초를 넣고 중탕하여 약쑥 진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쌀 조청과 상기 약쑥 진액을 혼합하여 약쑥 조청을 제조하는 단계; (d) 초콜릿을 녹이는 단계; 및 (e) 녹인 초콜릿과 상기 약쑥 조청을 몰드에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쑥 조청이 포함된 초콜릿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약쑥 조청이 포함된 초콜릿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hocolate comprising mugwort and grain syrup}
본 발명은 약쑥 조청이 포함된 초콜릿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콜릿(chocolate)은 테오브로마 카카오나무(Theobroma cacao)의 카카오 종자를 원료로 하여 설탕, 우유, 버터 등 다양한 식품원료를 가하여 가공한 것으로서, 코코아 가공품인 코코아 매스, 코코아 버터, 코코아 분말 등에 당류와 유가공품 및 식품 첨가물 등을 혼합하고 성형함으로써 전체 코코아 고형분 35% 이상, 또는 코코아 버터 18%, 무지 코코아 분말 14% 이상의 건조물을 말한다. 초콜릿의 주요 원료인 카카오에는 폴리페놀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하고 면역력을 키워주며,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써 노화방지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코코아의 산화 방지 효과가 녹차나 포도주보다 높다고 보고 되었다.
특히, 다크초콜릿의 영양학적 가치와 생리활성 기능이 알려지면서 제품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초콜릿 시장의 확대, 제품의 다양화, 고급화로 이어지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연령층의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기능성 초콜릿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0874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는 조청을 이용한 초콜릿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자들은 조청을 이용하여 초콜릿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은 약쑥 조청을 이용해서 약쑥의 약리활성 성분을 포함시키고, 조청에 의한 맛, 향 및 식감을 향상시켜서, 맛과 건강에 탁월한 기능성 초콜릿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쌀가루에 액화효소를 혼합하여 액화시킨 후, 엿기름을 첨가하여 당화시키고, 당화액을 여과시킨 후 가열 농축하여 쌀 조청을 제조하는 단계; (b) 약쑥에 익모초, 당귀, 생강 및 감초를 넣고 중탕하여 약쑥 진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쌀 조청과 상기 약쑥 진액을 혼합하여 약쑥 조청을 제조하는 단계; (d) 초콜릿을 녹이는 단계; 및 (e) 녹인 초콜릿과 상기 약쑥 조청을 몰드에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쑥 조청이 포함된 초콜릿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약쑥 조청은 쌀 조청과 약쑥 진액을 85 내지 89 중량% 및 11 내지 15 중량%로 혼합하여 90~100 ℃에서 11~13 시간 동안 중탕한 후, 60~70 ℃에서 17~19 시간 동안 발효시키고, 85~95 ℃에서 3~5 시간 동안 가열 농축하여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초콜릿과 약쑥 조청은 70 중량% 및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쑥 조청이 포함된 초콜릿의 제조방법은 쌀 조청과 약쑥 진액을 85 내지 89 중량% 및 11 내지 15 중량%로 혼합하여 약쑥 조청을 제조하고, 녹인 초콜릿과 상기 약쑥 조청을 70 중량% 및 30 중량%로 혼합하여 초콜릿을 제조하는 단계를 통해 약쑥의 약리활성 성분을 포함시키고, 조청에 의한 맛, 향 및 식감을 향상시켜 맛과 건강에 탁월한 기능성 초콜릿을 제조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 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a) 쌀가루에 액화효소를 혼합하여 액화시킨 후, 엿기름을 첨가하여 당화시키고, 당화액을 여과시킨 후 가열 농축하여 쌀 조청을 제조하는 단계; (b) 약쑥에 익모초, 당귀, 생강 및 감초를 넣고 중탕하여 약쑥 진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쌀 조청과 상기 약쑥 진액을 혼합하여 약쑥 조청을 제조하는 단계; (d) 초콜릿을 녹이는 단계; 및 (e) 녹인 초콜릿과 상기 약쑥 조청을 몰드에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쑥 조청이 포함된 초콜릿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청"은 곡식을 엿기름으로 당화시킨 후 농축하여 만든 감미료를 말하는 것으로서, 수분 함량 20% 정도인 것이다. 조청은 인공적으로 만든 꿀이라는 뜻이며, 농축하는 정도에 따라 묽은 조청과 된 조청으로 분류된다. 쌀, 찹쌀, 조, 수수, 옥수수, 고구마 등의 전분질로 만들며, 주로 찹쌀이나 멥쌀과 같은 곡류를 이용한다.
상기 "약쑥"은 쑥의 별칭으로서, 쑥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쑥은 땅속줄기를 길게 뻗으며, 마디에서 줄기가 모여 나고, 원줄기에 세로로 난 종선이 있으며, 전체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또한, 잎은 어긋나며, 뒷면에 백색 털이 밀생하고, 가장자리 결각의 모양이 다양하며, 꽃은 7~9월에 담홍자색으로 피며,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리는 특징이 있다. 또한, 쑥은 아이소쿠마린(isocoumarin), 쿠마린(coumarin), 디터펜락톤(diterpenlactone),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펠란드렌(phellandrene), 쿠프롤(couprol), 카디넨(cadinene), 시네올(cineol), 아테미시닌(artemisinin), 유파티린(eupatilin), 자세오시딘(jaceosidin) 등의 생리활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항암, 항균 및 항산화 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약쑥은 강화사자발 약쑥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강화사자발 약쑥"은 강화도에서 재배된 약쑥을 의미하며, 다른 약쑥에 비해 향이 진하고 색깔 및 잎의 형태가 우수한 특징으로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a) 단계의 전 단계로는 쌀은 3~6 회 세척하여 물에 3~6 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30 분~3 시간 동안 물을 빼고, 분쇄하여 습식 쌀가루를 준비하는 단계가 먼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쌀 조청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쌀을 주성분으로 하여 쌀 조청을 준비하는 공정이다. 습식 쌀가루에 물 및 액화효소를 혼합하여 85~95 ℃에서 1~2 시간 동안 액화시키고, 엿기름을 첨가하여 55~65 ℃에서 3~5 시간 동안 당화시키고, 상기 당화액을 여과하여 85~95 ℃에서 가열하여 당도가 81~85°brix가 되도록 농축시키는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액화"는 효소에 의하여 전분을 임의적으로 가수분해시켜 덱스트린이나 말토올리고당을 생성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당화"는 효소에 의하여 녹말 등 무미한 다당류를 가수분해하여 감미가 있는 당으로 바꾸는 반응 및 조작을 말한다.
상기에서, 물은 습식 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30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일 수 있고, 액화효소는 습식 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5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3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액화효소는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에서 유래된 내열성, 내산성, 고역가의 α-아밀레이스(alpha-amylase) 인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엿기름은 습식 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7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약쑥 진액 또는 약쑥 엑기스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약쑥에 익모초, 당귀, 생강 및 감초를 첨가하여 중탕하여 제조하는 공정이다.
상기 (b) 단계의 전 단계로는 약쑥을 수세하고 그늘에서 건조하여 숙성하고 숙성된 약쑥을 절단하여 세척하는 단계가 먼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숙성은 15~25 ℃에서 3~5 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약쑥의 절단 방법과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2~5 cm의 크기로 잎과 줄기를 같이 절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쑥은 습식 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20 중량부로 제조될 수 있다. 약쑥의 양이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약쑥의 활성성분이 충분히 포함되지 않을 수 있고, 약쑥의 양이 20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면 쑥의 향이 너무 강하고 맛이 쓰며 식감이 나빠져 전체적인 기호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익모초"는 많이 이용되는 약용 식물 중 하나로서, 혈압강하, 이뇨, 진정 및 진통 효과가 있다.
상기 "당귀"는 대표적인 약용 식물로서, 내분비 기능 개선, 혈액 순환 개선, 식욕 증진, 빈혈 및 여성질환에 효과가 있다.
상기 "생강"은 매운 맛과 향긋한 냄새가 나는 식용 및 약용 식물로서, 위액분비촉진, 소화력 증진, 심장흥분 작용, 혈액순환촉진, 억균 작용 등이 있다.
상기 "감초"는 단맛이 나는 약용식물로서,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고, 해독작용, 진해 거담, 근육이완, 이뇨작용, 항염작용이 있다.
상기에서, 숙성된 약쑥에 익모초, 당귀, 생강 및 감초를 첨가한 경우 약쑥의 쓴맛을 완화시키고, 맛과 풍미를 증가시키며, 식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익모초, 당귀, 생강 및 감초는 습식 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익모초, 당귀, 생강 및 감초를 각각 2.5, 4, 2.5 및 2.5 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중탕의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80~95 ℃에서 30~35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5~92 ℃에서 32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제조된 쌀 조청과 약쑥 진액을 혼합하여 약쑥 조청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약쑥 조청"은 약쑥이 포함된 조청을 말한다.
상기 약쑥 조청은 쌀 조청과 약쑥 진액을 각각 85 내지 89 중량% 및 11 내지 15 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쌀 조청과 약쑥 진액은 5.7:1 내지 8: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쌀 조청의 양이 90 중량% 이상이고 약쑥 진액의 양이 11 중량% 미만인 경우 단맛이 강하고 약쑥의 활성성분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쌀 조청이 84 중량% 미만이고 약쑥 진액의 양이 16 중량% 이상인 경우 맛, 향미 등의 전체적인 기호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혼합은 쌀 조청과 약쑥 진액을 넣고, 90~100 ℃에서 11~13 시간 동안 중탕을 하고, 60~70 ℃에서 17~19 시간 동안 발효시키고, 85~95 ℃에서 3~5 시간 동안 가열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95 ℃에서 12 시간 동안 중탕, 65 ℃에서 18 시간 동안 발효, 90 ℃에서 4 시간 동안 가열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초콜릿을 녹이는 단계로서, 초콜릿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52%의 다크초콜릿(코코아매스 48%, 코코아버터 10.7%, 백설탕, 레시틴, 천연바닐라향 포함)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고형의 초콜릿은 42~46 ℃에서 1차 멜팅(melting), 25~29 ℃에서 템퍼링(tempering) 및 34~36 ℃에서 2차 멜팅(melting) 단계를 통해 준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4 ℃에서 1차 멜팅(melting), 27 ℃에서 템퍼링(tempering) 및 36 ℃에서 2차 멜팅(melting) 단계를 통해 준비될 수 있다.
상기 템퍼링은 멜팅 단계에서 분해된 초콜릿 성분이 합쳐지는 과정이고, 템퍼링 단계에서 식용색소를 첨가하여 초콜릿에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식용색소는 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 안토잔틴,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타르 색소, 베타-카로틴 및 리보플라빈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e) 단계는 녹인 초콜릿과 약쑥 조청을 몰드에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로서, 녹인 초콜릿을 몰드에 주입한 후 냉동실에 3~5 분 동안 넣어 경화시키고, 경화된 초콜릿 위에 약쑥 조청을 주입하고, 주입된 약쑥 조청 위에 녹인 초콜릿을 주입한 후 냉동실에 3~5 분 동안 넣어 경화시킨 후, 몰드에서 제조된 초콜릿을 분리하여 초콜릿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상기 초콜릿은 녹인 초콜릿과 약쑥 조청을 각각 70 중량% 및 30 중량%로 포함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즉, 녹인 초콜릿과 약쑥 조청은 7:3 의 중량비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녹인 초콜릿의 양이 70 중량% 초과이고 약쑥 조청이 30 중량% 미만인 경우 약쑥 조청의 맛이 약하고 약쑥의 활성성분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녹인 초콜릿의 양이 70 중량% 미만이고 약쑥 조청이 30 중량% 초과인 경우 상온에서 초콜릿의 형태가 유지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자들은 약쑥 조청이 포함된 초콜릿의 제조하기 위하여, (a) 쌀을 수세하고 분쇄하여 습식 쌀가루를 준비하고, 준비된 습식 쌀가루 100 중량부에 물 250 중량부 및 액화효소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90 ℃에서 1.5 시간 동안 액화시킨 후, 엿기름 5.5 중량부를 첨가하여 60 ℃에서 4 시간 당화시키고, 당화액을 여과시킨 후 90 ℃에서 가열하여 당도가 81~85°brix가 되도록 농축하여 쌀 조청을 제조하는 단계; (b) 3 년 동안 그늘에서 숙성된 약쑥 17 중량부에 익모초 2.5 중량부, 당귀 4 중량부, 생강 2.5 중량부 및 감초 2.5 중량부를 넣고, 90 ℃에서 32 시간 동안 중탕하여 약쑥 진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조된 쌀 조청과 약쑥 진액은 87.5 중량% 및 12.5 중량%로 혼합하고, 95 ℃에서 12 시간 동안 중탕을 하고, 65 ℃에서 18 시간 동안 발효시키고, 90 ℃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여 농축하여 약쑥 조청을 제조하는 단계; (d) 초콜릿을 44 ℃에서 1차 멜팅(melting), 27 ℃에서 템퍼링(tempering) 및 36 ℃에서 2차 멜팅(melting)하여 준비하는 단계; 및 (e) 녹인 초콜릿과 약쑥 조청은 70 중량% 및 30 중량%로 주입되록 하고, 녹인 초콜릿을 몰드에 주입한 후 냉동실에 3~5 분 동안 넣어 경화시키고, 경화된 초콜릿 위에 약쑥 조청을 주입하고, 주입된 약쑥 조청 위에 녹인 초콜릿을 주입한 후 냉동실에 3~5 분 동안 넣어 경화시킨 후, 몰드에서 제조된 초콜릿을 분리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c) 단계에서 쌀 조청과 약쑥 진액을 각각 90 중량% 및 10 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c) 단계에서 쌀 조청과 약쑥 진액을 각각 75 중량% 및 25 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c) 단계에서 쌀 조청과 약쑥 진액을 각각 60 중량% 및 40 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e) 단계에서 녹인 초콜릿과 약쑥 조청을 각각 90 중량% 및 10 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e) 단계에서 녹인 초콜릿과 약쑥 조청을 각각 60 중량% 및 40 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e) 단계에서 녹인 초콜릿과 약쑥 조청을 각각 50 중량% 및 50 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쌀 조청 (중량%) 87.5 90 75 60
약쑥 진액 (중량%) 12.5 10 25 40
실시예 1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녹인 초콜릿 (중량%) 70 90 60 50
약쑥 조청 (중량%) 30 10 40 50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초콜릿의 외관, 맛, 향 등을 비교하기 위하여 50 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5 점 척도법 (5: 매우 우수하다, 4: 우수하다, 3: 보통이다, 2: 나쁘다, 1: 매우 나쁘다)에 따라 실시되었으며, 외관, 맛, 향, 식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조사한 후, 이를 산술평균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외관 식감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 4.7 4.5 4.7 4.6 4.6
실시예 2 4.6 4.4 4.5 4.4 4.4
실시예 3 4.6 4.5 4.6 4.5 4.5
실시예 4 4.5 4.2 4.4 4.1 4.2
실시예 5 4.5 4.3 4.1 4.3 4.3
실시예 6 4.2 4.1 4.3 4.2 4.2
실시예 7 3.9 4.0 4.2 4.0 4.0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쌀 조청과 약쑥 진액을 혼합하여 약쑥 조청의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실시예 1의 경우에서 외관, 맛, 향, 식감 등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났다. 또한, 녹인 초콜릿과 약쑥 조청으로부터 초콜릿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도 실시예 5 또는 7 보다 실시예 1의 경우에서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났다.
이로써, 쌀 조청과 약쑥 진액을 각각 85~89 중량% 및 11~15 중량%로 혼합하여 약쑥 조청을 제조, 즉, 5.7:1 내지 8.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약쑥 조청을 제조하고, 녹인 초콜릿과 상기 약쑥 조청을 각각 70 중량% 및 30 중량%로 포함되도록 초콜릿을 제조, 즉, 7:3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초콜릿을 제조한 경우 약쑥의 약리활성 성분을 포함하면서 외관, 맛, 향 및 식감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초콜릿 가공품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삭제

Claims (3)

  1. (a) 쌀가루에 액화효소를 혼합하여 액화시킨 후, 엿기름을 첨가하여 당화시키고, 당화액을 여과시킨 후 가열 농축하여 쌀 조청을 제조하는 단계;
    (b) 약쑥에 익모초, 당귀, 생강 및 감초를 넣고 중탕하여 약쑥 진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쌀 조청과 상기 약쑥 진액을 85 내지 89 중량% 및 11 내지 15 중량%로 혼합하고, 90~100℃에서 11~13 시간 동안 중탕한 후, 60~70℃에서 17~19 시간 동안 발효시키고, 85~95℃에서 3~5 시간 동안 가열 농축하여 약쑥 조청을 제조하는 단계;
    (d) 초콜릿을 42~46℃에서 1차 멜팅(melting)하고, 25~29℃에서 템퍼링(tempering)한 후, 34~36 ℃에서 2차 멜팅(melting)해서 녹이는 단계; 및
    (e) 상기 녹인 초콜릿을 몰드에 주입한 후 냉동실에 3~5 분 동안 넣어 경화시키고, 상기 경화된 초콜릿 위에 약쑥 조청을 주입하고, 상기 주입된 약쑥 조청 위에 녹인 초콜릿을 주입한 후 냉동실에 3~5 분 동안 넣어 경화시킨 후, 몰드에서 제조된 초콜릿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e) 단계에서 상기 녹인 초콜릿과 상기 약쑥 조청은 각각 70 중량% 및 30 중량%로 주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쑥 조청이 포함된 초콜릿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약쑥 조청은 쌀 조청과 약쑥 진액을 87.5 중량% 및 12.5 중량%로 혼합하고, 95℃에서 12 시간 동안 중탕한 후, 65℃에서 18 시간 동안 발효시키고, 90℃에서 4 시간 동안 가열 농축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쑥 조청이 포함된 초콜릿의 제조 방법.
  3. 삭제
KR1020190130982A 2019-10-21 2019-10-21 약쑥 조청이 포함된 초콜릿의 제조방법 KR102105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982A KR102105270B1 (ko) 2019-10-21 2019-10-21 약쑥 조청이 포함된 초콜릿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982A KR102105270B1 (ko) 2019-10-21 2019-10-21 약쑥 조청이 포함된 초콜릿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270B1 true KR102105270B1 (ko) 2020-04-27

Family

ID=70467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982A KR102105270B1 (ko) 2019-10-21 2019-10-21 약쑥 조청이 포함된 초콜릿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2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1594A (ko) * 2013-07-23 2015-02-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쌀 조청의 제조방법
KR20190011539A (ko) * 2017-07-25 2019-02-07 농업회사법인 강화마니(주) 약쑥 진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1594A (ko) * 2013-07-23 2015-02-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쌀 조청의 제조방법
KR101508748B1 (ko) 2013-07-23 2015-04-06 대한민국 쌀 조청의 제조방법
KR20190011539A (ko) * 2017-07-25 2019-02-07 농업회사법인 강화마니(주) 약쑥 진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화군산림조합 강화약쑥 효능 좋아요",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nfcfkh/221340037434) (2017.03.27.) *
"쑥 초콜릿/쑥&곡물 초콜릿", 네이버 블로그(http://blog.naver.com/nfcfkh/221340037434) (2017.03.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284B1 (ko) 연막걸리의 제조방법
CN104877888A (zh) 一种具有养生功能的黑苦荞黑米醋的制备方法
KR101638295B1 (ko) 홍삼 말랭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홍삼 말랭이
CN104187351A (zh) 一种黑苦荞养颜芝麻糊及其制备方法
KR102105270B1 (ko) 약쑥 조청이 포함된 초콜릿의 제조방법
KR100894537B1 (ko) 복분자를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CN108410635B (zh) 一种圣女果果酒的酿造方法
KR101914339B1 (ko) 대추찹쌀떡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대추찹쌀떡
CN102067937B (zh) 一种红豆粉蛋筒及其制备方法
KR100994690B1 (ko) 막걸리 제조용 발효혼합물
KR20190070186A (ko) 숙성울금을 이용한 막걸리 제조방법
KR101752571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CN107373008A (zh) 一种富含糙米冲调粉的冰淇淋的制备方法
CN102461951A (zh) 一种莲藕饮料及其制备方法
KR20220081786A (ko) 항비만활성이 증가된 꾸지뽕열매 발효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102077487B1 (ko) 연식물을 이용한 과자제조방법
KR101985700B1 (ko) 산양삼 및 황칠나무를 함유하는 증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증편
KR102595524B1 (ko) 도라지 및 쌀조청을 포함하는 도라지 발효물 및 이의제조 방법
KR102444275B1 (ko) 쌀가루를 이용한 아로니아과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349965B1 (ko) 백향과 잎 부각의 제조방법
KR102627679B1 (ko) 샤인머스켓 및 블루베리를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KR102503289B1 (ko) 인삼 전분과 도라지 분말을 이용한 식혜의 제조방법
KR102346060B1 (ko) 전통주 제조방법
KR102390434B1 (ko) 가을무를 이용한 식혜
KR102201601B1 (ko) 도라지청이 피었습니다(도라지 액상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