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229B1 - 철도선로 하부 통과 지하구조물 시공을 위한 가시설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철도선로 하부 통과 지하구조물 시공을 위한 가시설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229B1
KR102105229B1 KR1020170123290A KR20170123290A KR102105229B1 KR 102105229 B1 KR102105229 B1 KR 102105229B1 KR 1020170123290 A KR1020170123290 A KR 1020170123290A KR 20170123290 A KR20170123290 A KR 20170123290A KR 102105229 B1 KR102105229 B1 KR 102105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w
support
railroad track
rail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4814A (ko
Inventor
정영도
김영필
전진택
김동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70123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22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4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선로의 하부를 지반침하나 선로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안정되게 굴착할 수 있고, 시공 비용이 저렴하도록 한 철도선로 하부 통과 지하구조물 시공을 위한 가시설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a) 철도선로의 일정 구간에서 레일을 지지하는 침목간의 사이마다에 레일 받침대를 삽입하는 단계와; (b) 철도선로의 양측으로 레일 받침대 연결빔을 배치한 후, 레일 받침대의 양단을 레일 받침대 연결빔에 결속하는 단계와; (c) 레일 받침대 연결빔에서 각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제1열 지지말뚝과 제2열 지지말뚝을 철도선로의 길이방향으로 2개소 이상 배치하여 지반으로 일정깊이만큼 관입하여 2열 종대 방향으로 설치시켜 놓는 단계와; (d) 제1열 지지말뚝의 상단에 제1열 캡빔을 안착 고정시키고, 제2열 지지말뚝의 상단에 제2열 캡빔을 안착 고정시키는 단계와; (e) 제1열 캡빔과 제2열 캡빔의 각기 상면에 복수개 이상의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을 설치하는 단계와; (f) 철도선로의 하부에 직교방향으로 복수개 이상의 크로스 빔이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의 상단을 지나도록 배치한 후, 크로스 빔을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에 고정시켜 두는 단계와; (g)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을 조작하여 크로스 빔이 레일 받침대 연결빔을 지지토록 하는 단계와; (h) 상기 (c) 내지 (g) 단계를 철도선로의 일정 구간에서 2개소 이상으로 작업하여 지하구조물이 시공될 위치를 통과하는 철도선로를 안정되게 지지토록 한 후, 철도선로의 하부를 목표하는 굴착 바닥까지 단계적으로 굴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선로 하부 통과 지하구조물 시공을 위한 가시설물 시공방법{Temporary facility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fo railroad track lower pass}
본 발명은 철도선로 하부 통과 지하구조물 시공을 위한 가시설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선로의 하부를 지반침하나 선로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안정되게 굴착할 수 있고, 시공 비용이 저렴하도록 한 철도선로 하부 통과 지하구조물 시공을 위한 가시설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의 지하를 횡단하는 횡단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 임시 가교량을 설치하여 열차를 운행하면서 하부를 굴착하여 구조물을 설치한 후, 가교량을 철거하고 선로를 원상복귀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는 공사 완료후에도 노반침하로 인해 지속적 보수관리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열차운행선에 인접한 별도의 임시 선로를 부설하여 열차를 우회운행하면서 구조물을 설치한 후 선로를 원상 복귀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서행운전 장기화로 인한 간접기회비용 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임시 가교량을 설치하고 열차를 운행하면서 하부를 굴착하여 구조물을 설치한 후 가교량을 철거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이는 열차상간을 이용하여 작업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안전 확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폐레일 다발을 선로중앙부에 설치하여 보강하고 강관추진 공법 등을 적용하여 시공되고 있으나 토피고가 낮은 경우에는 폐레일 다발 보강으로 궤도의 변형을 막기가 힘든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94810호로서, '데크압입을 이용한 도로 및 철도하부의 지하구조물 구축용터파기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지상에 선도판을 설치한 후 그 하부에 강관을 추진하면서 굴착작업을 하고 굴착된 공간에 지보를 설치하면서 새로운 추진공간을 확보하며 선도판의 후방으로 데크를 연속적으로 압입 설치함으로써, 지상의 이동은 유지하면서 데크의 저면에는 다양한 지하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지표의 침하가 없는 이점을 갖는데 반해, 강관 추진방식으로서 시공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94810호
본 발명은 철도선로의 하부를 지반침하나 선로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안정되게 굴착할 수 있고, 시공 비용이 저렴하도록 한 철도선로 하부 통과 지하구조물 시공을 위한 가시설물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a) 철도선로의 일정 구간에서 레일을 지지하는 침목간의 사이마다에 레일 받침대를 삽입하는 단계와; (b) 철도선로의 양측으로 레일 받침대 연결빔을 배치한 후, 레일 받침대의 양단을 레일 받침대 연결빔에 결속하는 단계와; (c) 레일 받침대 연결빔에서 각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제1열 지지말뚝과 제2열 지지말뚝을 철도선로의 길이방향으로 2개소 이상 배치하여 지반으로 일정깊이만큼 관입하여 2열 종대 방향으로 설치시켜 놓는 단계와; (d) 제1열 지지말뚝의 상단에 제1열 캡빔을 안착 고정시키고, 제2열 지지말뚝의 상단에 제2열 캡빔을 안착 고정시키는 단계와; (e) 제1열 캡빔과 제2열 캡빔의 각기 상면에 복수개 이상의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을 설치하는 단계와; (f) 철도선로의 하부에 직교방향으로 복수개 이상의 크로스 빔이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의 상단을 지나도록 배치한 후, 크로스 빔을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에 고정시켜 두는 단계와; (g)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을 조작하여 크로스 빔이 레일 받침대 연결빔을 지지토록 하는 단계와; (h) 상기 (c) 내지 (g) 단계를 철도선로의 일정 구간에서 2개소 이상으로 작업하여 지하구조물이 시공될 위치를 통과하는 철도선로를 안정되게 지지토록 한 후, 철도선로의 하부를 목표하는 굴착 바닥까지 단계적으로 굴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h)단계에서 굴착 단계마다 제1열 지지말뚝과 제2열 지지말뚝에 각기 브레이스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 받침대는 강재로 제작된 받침대 박스와, 받침대 박스에 채워저 양생되어 레일 바닥에 접하는 콘크리트 블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레일 받침대 연결빔은 H 단면을 갖는 강재로 제작되고, 레일 받침대 연결빔에는 일정 간격마다 웨브의 일측면에 접합되어 있는 결속용 연결블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철도선로 하부 통과 지하구조물 시공을 위한 가시설물 시공방법에 따르면, 철도선로의 하부를 통과하는 지하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 필요한 철도선로의 하부를 가시설물을 통해 확고하게 지지시켜 놓고 지반침하나 선로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안정되게 굴착할 수 있다. 또한 강관 추진 공법에 비해 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이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 중 레일받침대를 시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레일받침대의 사시도 및 A-A선 단면확대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 중 레일받침대 연결빔의 설치전 및 후상태도.
도 3c는 도 3a의 'B'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 중 제1열 및 제2열 지지말뚝의 시공상태도.
도 5는 도 4의 제1열 및 제2열 지지말뚝에 캡빔이 설치된 시공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 중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 그리고 크로스 빔설치상태도.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선로의 3개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의 (나)는 도 7 (가)의 상태에서 굴착 및 브레이스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철도선로의 하부에 지하구조물이 시공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 중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 그리고 크로스 빔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존의 철도선로(20)의 하부에 지하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비개착 시공방법은 먼저, 도 1과 같이 철도선로(20)의 일정 구간에서 레일(21)을 지지하는 침목(22와 22)간의 사이마다에 레일 받침대(3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 경우, 철도선로(20)에 자갈이 깔려 있는 경우 일부의 자갈이 제거되면서 레일 받침대(30)가 설치되는 단계를 갖는다.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레일 받침대(30)는 강재로 제작된 받침대 박스(301)와, 받침대 박스(301)에 콘크리트로 채워저 양생되어 레일(21) 바닥에 접하는 콘크리트 블럭(302)으로 구성된다. 받침대 박스(301)는 어느 방향으로도 삽입이 원할하도록 양단에 테이퍼 형태를 갖을 수 있다.
그 다음,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철도선로(20)의 양측으로 레일 받침대 연결빔(40,40)을 배치한 후, 레일 받침대(30)의 양단을 레일 받침대 연결빔(40,40)에 결속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이 단계에서 레일 받침대 연결빔(40)은 H 단면을 갖는 강재로 제작된다. 따라서 레일 받침대 연결빔(40)은 큰 휨 강성을 갖는다. 레일 받침대 연결빔(40)은 후술할 굴착구간보다 더 길게 구성된다. 이때 레일 받침대 연결빔(40)은 보강을 위해 웨브에 도시되지 않은 보강판이 일정 간격마다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c와 같이 레일 받침대 연결빔(40)에는 일정 간격마다 웨브(403)의 일측면에 접합되어 있는 결속용 연결블록(42)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레일 받침대(30)의 양단은 결속용 연결블록(42)에 볼트(45) 결합을 통해 고정되어 레일 받침대 연결빔(40,40)에 결속된다. 볼트(45)는 레일 받침대(30)의 관통홀(301a)에 삽입되어 결속용 연결블록(42)의 나사홀(42a)에 나사 체결된다.
그 다음, 도 4와 같이 레일 받침대 연결빔(40,40)에서 각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제1열 지지말뚝(50)과 제2열 지지말뚝(50a)을 철도선로(20)의 길이방향으로 2개소 이상 배치하고 지반으로 일정깊이만큼 관입하여 2열 종대 방향으로 설치시켜 놓는 단계를 갖는다.
이때 제1열 지지말뚝(50)과 제2열 지지말뚝(50a)은 그 선단이 후 시공될 지하구조물의 바닥슬래브보다 더 아래에 위치되도록 관입될 수 있다. 또한 제1열 지지말뚝(50)과 제2열 지지말뚝(50a)의 상단 위치는 철도선로(20)가 배치된 위치보다 일정구간을 두고 하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는 제1열 지지말뚝(50)(또는 제2열 지지말뚝(50a))의 상단과 철도선로(20)의 사이의 높이 구간에 제1열 캡빔(60), 제1열 서포트 잭(70)(또는 제2열 서포트 잭(70a) 및 크로스 빔(80)을 설치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열 지지말뚝(50)과 제2열 지지말뚝(50a)은 H단면을 갖는 강재 말뚝으로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말뚝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다음, 도 6과 같이 제1열 지지말뚝(50)의 상단에 제1열 캡빔(60)을 안착 고정시키고, 제2열 지지말뚝(50a)의 상단에 제2열 캡빔(60a)을 안착 고정시켜 놓는다. 제1열 캡빔(60)과 제2열 캡빔(6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H 강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1열 캡빔(60)과 제2열 캡빔(60a)의 고정 방법은 제1열 및 제2열 지지말뚝(50,50a)의 상단에 플랜지를 구비시켜 볼트 및 너트 결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열 캡빔(60)과 제2열 캡빔(60a)은 철도선로(20)보다 낮을 위치에서 철도선로(2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각기 제1열 지지말뚝(50)과 제2열 지지말뚝(50a)에 연결된다.
그 다음, 도 6과 같이 제1열 캡빔(60)과 제2열 캡빔(60a)의 각기 상면에 복수개 이상의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70,70a)을 설치하는 단계를 갖는다.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70,70a)은 볼트 수단을 통해 제1열 캡빔(60)과 제2열 캡빔(60a)의 각기 상부 플랜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70,7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잭이 사용되었으나 유압잭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70,70a)은 철도선로(20)를 운행하는 철도차량에 의해 작업구간에서 발생되는 활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이 선택된다.
그 다음, 철도선로(20)의 하부에 굴착이 이루어진 후 도 6 및 도 9와 같이 철도선로(20)의 하부에 직교방향으로 복수개 이상의 크로스 빔(80)이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70,70a)의 상단을 지나도록 배치한 후, 크로스 빔(80)을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70,70a)에 고정시켜 두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크로스 빔(80)은 H 강재로 제작된 빔이 사용된다. 이때 굴착의 깊이는 크로스 빔(80)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2개의 크로스 빔(80,80)은 서로 나란하면서 제1열 캡빔(60)과 제2열 캡빔(60a)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위치된다.
이같이 1개소에서 철도선로(20)의 하부에 굴착이 이루어질 때 철도선로(20)로 철도 차량이 운행되더라도 철도선로(20)에 작용하는 활하중은 레일 받침대(30)를 통해 레일받침대 연결빔(40)에 작용하고, 레일받침대 연결빔(40)은 철도선로(20)가 배치된 지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 다음,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70,70a)을 조작하여 크로스 빔(80)이 레일 받침대 연결빔(40,40)을 충분히 지지토록 하는 단계를 갖는다.
이같이 작업구간의 1개소에서 제1열 지지말뚝(50)과 제2열 지지말뚝(50a), 제1열 캡빔(60)과 제2열 캡빔(60a),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70,70a), 크로스 빔(80)의 설치가 모두 완료되면, 도 7의 (가)와 같이 철도선로(20)의 다른 개소에서 동일한 작업과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소 이상 이러한 시공 작업이 이루어진다. 시공될 지하구조물(1000)의 폭에 따라 예를 들어 2개소 또는 3개소에서 이루어져 지하구조물(1000)이 시공될 위치를 통과하는 철도선로(20)를 안정되게 지지토록 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7의 (나)와 같이 철도선로(20)의 하부를 목표하는 굴착 바닥까지 굴착하는 단계를 갖는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굴착을 여러 단계로 계획한 후 매 굴착 단계마다 제1열 지지말뚝(50)과 제2열 지지말뚝(50a)에 각기 브레이스(52)를 설치하여 말뚝 보강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 굴착 단계에서는 각 작업 개소마다 제1열 지지말뚝(50)과 제2열 지지말뚝(50a)이 철도선로(20)를 안정되게 지지하고 있으므로, 선로 붕괴의 염려가 없다.
이와 같이 하여 철도선로(20)의 일정 구간에 굴착이 완료되면, 도 8과 같이 지하구조물(100)을 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지하구조물(100)은 예로 지하차도 구조물이 될 수 있다. 지하구조물(100)은 바닥슬래브, 벽체, 상부 슬래브의 순으로 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공법에 따르면, 철도선로(20)의 하부를 통과하는 지하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 필요한 철도선로(20)의 하부를 가시설물을 통해 확고하게 지지시켜 놓고 지반침하나 선로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안정되게 굴착할 수 있다. 또한 강관 추진 공법에 비해 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이점을 갖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30: 레일 받침대
40: 레일 받침대 연결빔
50: 제1열 지지말뚝
50a: 제2열 지지말뚝
60: 제1열 캡빔
60a: 제2열 캡빔
70: 제1열 서포트 잭
70a: 제2열 서포트 잭
80: 크로스 빔

Claims (4)

  1. 기존의 철도선로(20)의 하부에 지하구조물(1000)을 시공하기 위한 비개착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철도선로(20)의 일정 구간에서 레일(21)을 지지하는 침목(22와 22)간의 사이마다에 강재로 제작된 받침대 박스(301)와, 받침대 박스(301)에 채워저 양생되어 레일(21) 바닥에 접하는 콘크리트 블럭(302)으로 구성된 레일 받침대(30)를 삽입하는 단계와;
    (b) 철도선로(20)의 양측으로 H 단면을 갖는 강재로 제작되어 일정 간격마다 웨브(403)의 일측면에 접합되어 있는 결속용 연결블록(42)이 설치되어 있는 레일 받침대 연결빔(40,40)을 배치한 후, 레일 받침대(30)의 양단을 레일 받침대 연결빔(40,40)에 결속하는 단계와;
    (c) 레일 받침대 연결빔(40,40)에서 각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제1열 지지말뚝(50)과 제2열 지지말뚝(50a)을 철도선로(20)의 길이방향으로 2개소 이상 배치하여 지반으로 일정깊이만큼 관입하여 2열 종대 방향으로 설치시켜 놓는 단계와;
    (d) 철도선로(20)의 상부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해 제1열 지지말뚝(50)의 상단에 제1열 캡빔(60)을 안착 고정시키고, 제2열 지지말뚝(50a)의 상단에 제2열 캡빔(60a)을 안착 고정시키는 단계와;
    (e) 제1열 캡빔(60)과 제2열 캡빔(60a)의 각기 상면에 복수개 이상의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70,70a)을 설치하는 단계와;
    (f) 철도선로(20)의 하부에 직교방향으로 복수개 이상의 크로스 빔(80)이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70,70a)의 상단을 지나도록 배치한 후, 크로스 빔(80)을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70,70a)에 고정시켜 두는 단계와;
    (g) 제1열 및 제2열 서포트 잭(70,70a)을 조작하여 크로스 빔(80)이 레일 받침대 연결빔(40,40)을 지지토록 하는 단계와;
    (h) 상기 (c) 내지 (g) 단계를 철도선로(20)의 일정 구간에서 2개소 이상으로 작업하여 지하구조물(1000)이 시공될 위치를 통과하는 철도선로(20)를 안정되게 지지토록 한 후, 철도선로(20)의 하부를 목표하는 굴착 바닥까지 단계적으로 굴착하되, 굴착마다 제1열 지지말뚝(50)과 제2열 지지말뚝(50a)에 각기 브레이스(52)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 하부 통과 지하구조물 시공을 위한 가시설물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23290A 2017-09-25 2017-09-25 철도선로 하부 통과 지하구조물 시공을 위한 가시설물 시공방법 KR102105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290A KR102105229B1 (ko) 2017-09-25 2017-09-25 철도선로 하부 통과 지하구조물 시공을 위한 가시설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290A KR102105229B1 (ko) 2017-09-25 2017-09-25 철도선로 하부 통과 지하구조물 시공을 위한 가시설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814A KR20190034814A (ko) 2019-04-03
KR102105229B1 true KR102105229B1 (ko) 2020-04-27

Family

ID=6616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290A KR102105229B1 (ko) 2017-09-25 2017-09-25 철도선로 하부 통과 지하구조물 시공을 위한 가시설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2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441B1 (ko) * 2019-07-01 2020-01-20 박상원 교통시설 하부 횡단 구조물 시공용 가설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횡단 구조물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6989A (ja) * 2010-05-27 2011-12-08 Dai Nippon Construction 鉄道工事桁およびその架設方法
KR101258807B1 (ko) * 2012-11-30 2013-04-26 한상국 가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횡단 구조물 시공방법
CN204825533U (zh) * 2015-06-19 2015-12-02 中铁六局集团天津铁路建设有限公司 采用d型梁的既有线路加固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6501A (ja) * 1983-05-10 1984-11-22 東急建設株式会社 路線の盛り代え工法
KR100794810B1 (ko) 2006-05-01 2008-01-15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데크압입을 이용한 도로 및 철도하부의 지하구조물 구축용터파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6989A (ja) * 2010-05-27 2011-12-08 Dai Nippon Construction 鉄道工事桁およびその架設方法
KR101258807B1 (ko) * 2012-11-30 2013-04-26 한상국 가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횡단 구조물 시공방법
CN204825533U (zh) * 2015-06-19 2015-12-02 中铁六局集团天津铁路建设有限公司 采用d型梁的既有线路加固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814A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9116B2 (en) Rail track sleeper support
KR101917813B1 (ko) 철도 하부 비개착 횡단 구조물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05230B1 (ko) 기존 철도선로와 철도운행을 유지하는 철도교량 시공방법
KR100834076B1 (ko) 비개착식 터널굴착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설치된터널구조체
JP4540632B2 (ja) 架設桁
KR102105229B1 (ko) 철도선로 하부 통과 지하구조물 시공을 위한 가시설물 시공방법
KR101187282B1 (ko) 2주식교대 구조를 이용한 철도 교량 시공방법
KR102068441B1 (ko) 교통시설 하부 횡단 구조물 시공용 가설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횡단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262755B1 (ko) 가로보가 일체화된 하로판형교 및 이의 시공방법
CN107268352A (zh) 用于隧道换底操作的线路架空装置
US20050252985A1 (en) Rail sleeper and ballast-free track structure
JP4136959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架設桁」
US8459570B2 (en) Supporting arrangement
CN113833022B (zh) 铁路线加固系统及施工方法
JP4477467B2 (ja) 橋梁の構造およびその架け替え方法
CN211285076U (zh) 一种铁路轨道架空加固结构
CN210561510U (zh) 铁路线路防护装置
KR101211693B1 (ko) 오거 및 이동대차를 이용한 선로 하부구조물 시공 방법
JP3396051B2 (ja) 簡易軌框防護桁装置
JP5666329B2 (ja) 鉄道高架橋の架替方法
JP7003376B2 (ja) 構造物の施工方法
EP2282007B1 (en) Supporting arrangement
CN114395945B (zh) 一种龙门吊轨道基础
KR101266094B1 (ko) 접속부의 보수보강 공법
CN211006761U (zh) 循环水管的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