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124B1 -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124B1
KR102105124B1 KR1020180059929A KR20180059929A KR102105124B1 KR 102105124 B1 KR102105124 B1 KR 102105124B1 KR 1020180059929 A KR1020180059929 A KR 1020180059929A KR 20180059929 A KR20180059929 A KR 20180059929A KR 102105124 B1 KR102105124 B1 KR 102105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motor
stirring
flui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379A (ko
Inventor
김만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빌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빌스
Priority to KR1020180059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124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5Mixers with both stirrer and drive unit submerged in the material being mixed
    • B01F7/00733
    • B01F13/0032
    • B01F15/0073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50Movable or transportable mixing devices or plants
    • B01F33/501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 B01F33/5013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movable by mechanical means, e.g. hoisting systems, grippers or 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0Mounting or supporting mixing devices or receptacles; Clamping or holding arrangements therefor
    • B01F35/42Clamping or hold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receptacles on mixing devices
    • B01F7/0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방향에서 유체를 교반시킬 수 있는 교반유닛을 승하강 또는 회전시켜 저장조 내부에 저장된 유체를 효율적으로 균일하게 교반시킬 수 있는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교반장치는 저장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상기 가이드부재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베이스부가 마련된 승강부재;m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양단에 제1,2회전축이 마련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모터의 작동에 따라 저장조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를 교반시키는 제1,2교반부를 구비하여 양방향에서 유체를 교반할 수 있는 교반유닛;과m상기 승강부재를 가이드부재를 따라 승하강시키는 승강유닛과;m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저장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회전각도조절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교반장치{agitator}
본 발명은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방향에서 유체를 교반시킬 수 있는 교반유닛을 승하강 또는 회전시켜 저장조 내부에 저장된 유체를 효율적으로 균일하게 교반시킬 수 있는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폐수나 산업폐수는 정화처리를 위해서 커다란 저장조에 저장되고 있으며, 이러한 폐수 저장에 있어서는 폐수에 함유하고 있는 각종 슬러지가 물(폐수)보다 비중이 무겁기 때문에 바닥으로 자연 침전되어 응집되거나 굳어서 고착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완전한 폐수 처리에 곤란성이 따르거나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수중에 산소 공급 하면서 슬러지가 침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교반장치가 이용되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0085호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중교반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3741호에는 회전 가능한 수중교반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교반기들은 승강 또는 회전시켜 유체를 교반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나 교반기의 일측에서만 교반이 가능하여 교반영역이 좁고 한정된다. 이에, 교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008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374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양방향에서 유체를 교반시킬 수 있는 교반유닛을 승하강 또는 회전시켜 저장조 내부에 저장된 유체를 효율적으로 균일하게 교반시킬 수 있는 교반장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반장치는 저장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베이스부가 마련된 승강부재;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모터의 작동에 따라 저장조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를 교반시키는 제1,2교반부를 구비하여 양방향에서 유체를 교반할 수 있는 교반유닛;과 상기 승강부재를 가이드부재를 따라 승하강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저장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회전각도조절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교반부는 상기 모터의 일측단부에 설치되어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1임펠러와, 상기 제1임펠러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제1중공부를 형성하며 제1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제1쉬라우드와, 상기 제1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모터와 상기 제1쉬라우드 사이에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모터와 상기 제1쉬라우드를 연결하는 제1유동로형성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2교반부는 상기 모터의 타측단부에 설치되어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2임펠러와, 상기 제2임펠러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제2중공부를 형성하며 제2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유체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제2쉬라우드와, 상기 제2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모터와 상기 제2쉬라우드 사이에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모터와 상기 제2쉬라우드를 연결하는 제2유동로형성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2쉬라우드는 적어도 일단에 상기 제1,2중공부와 각각 연통되며 직경이 단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된 확개공이 형성된 제1,2확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각도조절부는 상기 저장조의 상부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힌지홀 및 상기 힌지홀을 중심으로 주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각도조절홀이 형성된 각도조절판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판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힌지홀에 삽입되는 힌지축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각도조절판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각도조절홀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고정홀이 형성된 힌지결합판과, 상기 각도조절홀과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각도조절판에 대해 회전된 힌지결합판의 각도를 고정시키는 각도고정핀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승강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본체는 승강부재의 승하강을 보조할 수 있도록 내측면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롤러가 구비된다.
상기 교반유닛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가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승강부재 지지하는 흔들림방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흔들림방지부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측면에 설치된 지지프레임부와,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상기 교반유닛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 상기 지지프레임부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안착부를 구비한다.
또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지지프레임부는 고정되고, 상기 지지프레임부는 보조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가 승강될 시 상기 가이드부재 따라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반장치는 제1,2교반부가 구비된 교반유닛을 승하강 및 회전시켜 저장조 내부의 유체를 교반시킴으로서, 효율적으로 저장조 내부의 유체를 균일하게 교반시킬 수 있다.
또한, 흔들림방지부가 구비되어 교반유닛 작동에 따라 교반유닛의 진동이 발생할 시에도 안정적으로 교반유닛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반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교반유닛을 도시한 일부절개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교반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반장치(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교반장치(100)는 저장조(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재(10), 가이드부재(1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베이스부(35)가 마련된 승강부재(30), 베이스부(35)에 설치되고 저장조(1) 내부에 저장된 유체(A)를 양방향에서 교반할 수 있는 교반유닛(50)과, 교반유닛(50)에 연결된 와이어(5)를 통해 승강부재(30)를 가이드부재(10)를 따라 승하강 시키는 승강유닛(40), 가이드부재(10)와 저장조(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회전각도조절부(70)를 구비한다.
그리고, 교반유닛(50)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30)가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승강부재(30) 지지하는 흔들림방지부(90)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저장조(1)는 철근 콘크리트제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소화조이며, 저장조(1)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A)는 유기폐기물인 슬러지이다. 본 발명의 저장조(1)는 유기폐기물이 저장된 소화조를 설명하고 있으나 저수조, 저탕조, 저유조, 탱크 등 유체(A)를 저장한 저장시설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저장조(1)는 상면에 개구(2)가 형성되어 교반유닛(50)에 연결된 와이어(5)가 상기 개구를 통해 저장조(1)의 외부로 빠져나와 승강유닛(40)에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0)는 승강부재(30)가 저장조(1)의 상하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저장조(1)의 내부에 저장조(1)의 바닥과 수직으로 설치된다. 가이드부재(10)는 내부에 저장조(1)의 바닥과 수직으로 결합된 수직봉(11)이 구비되어 수직봉(11)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부재(10)는 사각단면을 갖는 사각관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승강부재(30)는 가이드부재(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부재(10)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승강본체(31)와, 승강본체(31)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베이스부(35)를 구비한다.
승강본체(31)는 승강부재(30)의 승하강을 보조할 수 있도록 내측면에 가이드부재(10)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제1,2롤러(32)(34)가 구비된다. 제1,2롤러(32)(34)는 가이드부재(10)의 양측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가이드본체에 대한 승강본체(31)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승강본체(31)는 베이스부(35)에 설치되는 교반유닛(50)과 마주보는 일측면에 보조판부재(33)가 더 구비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보조판부재(33)에 교반유닛(50)이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35)는 가이드부재(10)와 직교하는 방향 즉, 저장조(1)의 바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승강본체(31)에 설치된다. 베이스부(35)는 판형상의 부재로 베이스부(35)의 상면에는 교반유닛(50)이 고정된다.
승강부재(30)는 승강유닛(40)에 의해 가이드부재(10)를 따라 승하강 함으로써, 베이스부(35)의 상면에 설치된 교반유닛(50)이 가이드부재(10)를 따라 저장조(1)의 내부에서 곧게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교반유닛(50)은 양단에 모터(51)과, 모터(51)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모터(51)의 작동에 따라 저장조(1)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A)를 교반시키는 제1,2교반부(55)(65)를 구비한다.
모터(51)는 양단부에 제1,2회전축(미도시)이 마련된 모터로 작동시 양단에 마련된 제1,2회전축이 동시에 회전된다. 모터(51)는 하면이 베이스부(35)에 고정되도록 고정부(5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후술할 승강유닛(40)과 연결되는 와이어(5)가 고정되는 고리(52)를 형성한다. 그리고, 모터(51)의 작동을 위한 케이블(53)이 모터(51)의 상면에 연결된다.
상기 제1교반부(55)는 모터(51)의 제1회전축에 설치되어 제1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임펠러(56)와, 제1임펠러(56)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제1중공부(57)가 형성된 제1쉬라우드(58)와, 제1임펠러(56)의 회전에 따라 모터(51)과 제1쉬라우드(58) 사이에 유체(A)가 유동될 수 있는 제1유동로(59)를 형성하도록 모터(51)과 제1쉬라우드(58)를 연결하는 제1유동로형성프레임(61)을 구비한다.
상기 제2교반부(65)는 모터(51)의 제2회전축에 설치되어 제2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임펠러(66)와, 제2임펠러(66)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제2중공부(67)가 형성된 제2쉬라우드(68)와, 제2임펠러(66)의 회전에 따라 모터(51)과 제2쉬라우드(68) 사이에 유체(A)가 유동될 수 있는 제2유동로(69)를 형성하도록 모터(51)과 제2쉬라우드(68)를 연결하는 제2유동로형성프레임(62)을 구비한다.
제1,2임펠러(56)(66)는 모터(51)의 양단에 구비된 제1,2회전축 각각에 설치됨에 따라, 모터(51)의 양측에서 제1,2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저장조(1)의 내부에 설치된 유체(A)를 교반시킨다.
제1,2쉬라우드(58)(68)는 각각 양단이 개방된 제1,2중공부(57)(67)를 형성하는 관형의 부재로, 각각의 내부에 제1,2임펠러(56)(66)가 회전가능하도록 모터(51)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제1,2쉬라우드(58)(68)는 양단이 개방되어 제1,2임펠러(56)(66)의 회전에 따라 내부로 유체(A)가 유입 및 배출된다. 제1,2쉬라우드(58)(68)는 제1,2중공부(57)(67)와 연통되며 직경이 단부로 갈수록 커지는 제1,2확개공(63a)(64a)이 형성된 제1,2확개부(63)(64)를 각각의 단부에 더 구비한다. 제1,2확개부(63)(64)는 제1,2쉬라우드(58)(68)의 모터(51)과 대향되는 일측에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2확개부(63)(64)는 제1,2쉬라우드(58)(68)의 모터(51)과 대향되는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2쉬라우드(58)(68)의 각각의 양측단부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제1,2확개부(63)(64)는 제1,2쉬라우드(58)(68)의 내부에서 제1,2임펠러(56)(66)의 회전에 의해 유체(A)가 교반될 시 흐름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교반의 효율성을 높인다.
제1,2유동로형성프레임(61)(62)은 모터의 양측단부에서 일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것으로, 제1유동로형성프레임(61)은 제1쉬라우드(58)가 마련된 모터의 일측단부에서 제1쉬라우드(58)와 모터(51)을 소정길이 이격되게 연결하고, 제2유동로형성프레임(62)은 제2쉬라우드(68)가 마련된 모터의 타측단부에서 제2쉬라우드(68)와 모터(51)을 소정길이 이격되게 연결한다.
제1,2유동로형성프레임(61)(62)에 의해 이격된 모터(51)과 제1,2쉬라우드(58)(68) 사이에는 제1,2임펠러(56)(66)의 회전에 따라 교반되는 유체(A)가 유동할 수 있는 제1,2유동로(59)(69)가 형성된다. 제1,2유동로(59)(69)를 통해 교반되는 유체(A)가 유동됨에 따라 유체(A)가 교반되는 영역이 넓어지며 교반효율이 증가한다.
상기 승강유닛(40)는 저장조(1)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41)와, 수직지지대(41)에 설치되며 교반유닛(50)의 고리에 일단이 묶여진 와이어(5)를 감거나 풀 수 있는 윈치(43)와, 수직지지대(41)와 결합되고 윈치(43)에서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5)를 보조하는 도르래(45)가 설치된 도르래지지대(47)를 구비한다.
수직지지대(4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1)의 상면의 개구와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저장조(1)의 외부 바닥면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윈치(43)는 회전방향에 따라 와이어(5)를 감거나 푸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윈치(43)를 사용한다.
도르래지지대(47)는 수직지지대(41)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되 저장조(1)의 개구(2)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도르래지지대(47)의 단부에 도르래(45)가 마련된다. 도르래(45)는 와이어(5)를 지지하여 교반유닛(50)에 연결된와이어(5)가 윈치(43)에 원활하게 감기도록 보조한다.
승강유닛(40)는 교반유닛(50)을 저장조(1)의 내부에서 승하강시켜 저장조(1)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A)가 효율적으로 고르게 교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승강유닛(40)와 교반유닛(50)은 조작본체(49)에 마련된 조작부(48)와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다. 조작부(48)는 윈치(43) 및 모터(51) 작동을 지시하거나, 작동을 종료하거나, 윈치(43) 및 모터(51)의 회전속도를 조정하거나 등 지원되는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키들을 구비한다. 제어부는 조작부로터 입력된 조작신호에 따라 제어대상 요소가 되는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윈치(43)를 제어하고, 제1,2임펠러(56)(66)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조절하도록 모터(51)을 제어한다.
상기 회전각도조절부(70)는 승강유닛(40)에 의해 승하강되는 교반유닛(50)을 좌우로 회전시켜 교반의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저장조(1)의 상부에 고정된 각도조절판(71), 각도조절판(71)과 힌지결합된 힌지결합판(75), 각도조절판(71)에 대해 회전된 힌지결합판(75)을 고정하는 각도고정핀(79)을 구비한다.
각도조절판(71)은 가이드부재(10)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각도조절판(71)은 저장조(1)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의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일단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판(73)이 형성된다. 각도조절판(71)은 가이드부재(10)와 힌지결합되도록 힌지홀(72)과, 힌지홀(72)을 중심으로 주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각도조절홀(74)이 형성된다. 각도조절홀(74)은 힌지홀(72)의 중심으로부터 회전반경을 이루는 궤적을 따라 각도조절판(71)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다.
힌지결합판(75)은 가이드부재(10)에 상면에 결합된 것으로, 각도조절판(71)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힌지홀(72)에 삽입되는 힌지축(77)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힌지결합판(75)이 힌지축(77)을 중심으로 힌지결합판(75)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힌지결합판(75)과 결합된 가이드부재(10)는 저장조(1)의 내부에서 회전된다. 힌지결합판(75)은 각도조절판(71)의 각도조절홀(74)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고정홀(76)이 형성된다. 고정홀(76)은 고정홀(76)의 중심과 힌지축의 중심과의 거리가 각도조절판(71)의 각도조절홀(74)의 중심과 힌지홀(72)의 중심과의 거리와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각도고정핀(79)은 고정홀(76)과 각도조절홀(74)에 삽입되어 회전된 힌지결합판(75)을 각도조절판(71)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가이드부재(10)의 회전은 각도조절판(71)에 대한 힌지결합판(75)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작업자가 원하는 각도록 각도조절판(71)에 대해 힌지결합판(75)을 회전시킨 후 각도고정핀(79)을 이용하여 각도조절판(71)과 힌지결합판(75)을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재(10)가 회전됨에 따라 승강부재(30)가 회전되고 승강부재(30)에 결합된 교반유닛(50)이 가이드부재(10)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보다 골고루 저장조(1)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A)를 교반시킬 수 있다.
상기 흔들림방지부(90)는 가이드부재(10)의 외측면에 설치된 지지프레임부(91)와, 지지프레임부(91)에 교반유닛(5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베이스부(35)의 하면에 지지프레임부(91)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안착부(95)를 구비한다.
지지프레임부(91)는 가이드부재(10)와 수직으로 설치된 수평프레임(92)과, 수평프레임(92)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가이드부재(10) 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이드부재(10)에 설치된 경사프레임(94)을 구비한다. 수평프레임(92)의 상면에 베이스부(35)가 접촉되고 수평프레임(92)의 양측면에 안착부(95)가 접촉된다. 경사프레임(94)은 수평프레임(92)이 베이스부(35)의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하중을 견딜수 있도록 수평프레임(92)의 지지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안착부(95)는 베이스부(35)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베이스부(35)의 하면과 함께 안착홈(95a)을 형성한다. 승강부재(30)가 저장조(1)의 상부에서 저장조(1)의 바닥부 방향으로 하강시 안착홈에 수평프레임(92)의 상부면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부(91)의 상부면에 안착부(95)가 설치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승강부재(30)가 가이드부재(10)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교반유닛(50)이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승강부재(30)가 흔들려 시간경과에 따라 승강부재(30)와 교반유닛(50)이 결합된 승강본체(3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교반장치(100)는 제1,2교반부(55)(65)가 구비된 교반유닛(50)을 승하강 및 회전시켜 저장조 내부의 유체를 교반시킴으로서 교반영역을 증대시켜 효율적으로 저장조 내부의 유체를 균일하게 교반시킬 수 있다.
또한, 흔들림방지부(90)가 구비되어 교반유닛(50)의 작동에 따라 교반유닛(50)의 진동이 발생할 시에도 안정적으로 교반유닛(5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110)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부(111)는 제1,2보조승강부재(112)(114)에 의해 가이드부재(10)에 설치되어 승강부재(30)가 승하강될 시 가이드부재(10)를 따라 승하강이 가능하다.
이때, 베이스부(35)와 지지프레임부(111)는 결합고정된다.
지지프레임부(111)의 수평프레임(113)은 제1보조승강부재(112)에 의해 가이드부재(10)에 설치되며 경사프레임(115)은 제2보조승강부재(114)에 의해 가이드부재(10)에 설치된다.
제1,2보조승강부재(112)(114)는 가이드부재(10)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2보조승강본체(116)(118)를 구비하며 제1,2보조승강본체(116)(118)는 승강본체(31)와 구조가 동일하다. 제1,2보조승강본체(116)(118)는 승강본체(31)의 제1,2롤러(32)(34)와 대응되는 제1,2보조롤러(117)(119)가 각각 설치된다. 제1,2보조승강부재(112)(114)에 의해 지지프레임부는 가이드부재를 따라 곧게 승하강이 가능하다.
베이스부(35)와 지지프레임부(111)가 고정됨에 따라 승강유닛(40)에 의해 승강부재(30)가 가이드부재(10)를 따라 승하강 될 시 지지프레임부(111) 역시 가이드부재(10)를 따라 승하강되며 승강부재(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이에 따라 승강부재(30)가 가이드부재(10)를 따라 승하강 될 시 어느 위치에서도 지지프레임부(111)가 승강부재(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교반장치는 제1,2교반부가 구비된 교반유닛을 이용하여 저장조 내부의 유체를 교반시킴으로서, 교반영역이 증대되어 효율적으로 저장조 내부의 유체를 균일하게 교반시킬 수 있다. 또한 교반장치를 승하강 및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어 보다 균일하고 효율적으로 저장조 내부의 유체를 교반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부가 구비되어 교반유닛 작동에 따라 교반유닛의 진동이 발생할 시에도 안정적으로 승강부재를 지지하고, 이에 따라 승강부재에 고정된 교반유닛 역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교반장치의 지지프레임부는 승강부재가 승하강됨에 따라 승하강 되어 승강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할 수 있어, 가이드부재를 따라 승하강 되는 교반유닛이 가이드 부재의 어느 위치에 있어도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교반장치 10 : 가이드부재
30 : 승강부재 50 : 교반유닛

Claims (6)

  1. 저장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베이스부가 마련된 승강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모터의 작동에 따라 저장조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를 교반시키는 제1교반부 및 제2교반부를 구비하여 양방향에서 유체를 교반할 수 있는 교반유닛과;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승하강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저장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회전각도조절부와;
    상기 교반유닛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가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승강부재를 지지하는 흔들림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흔들림방지부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와 고정되며, 상기 승강부재가 승강될 시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부는 상기 가이드부재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보조승강본체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에서 상기 가이드부재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보조승강본체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에 설치되는 경사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보조승강본체와 상기 제2보조승강본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접촉되는 제1보조롤러 및 제2보조롤러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부는 상기 모터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1임펠러와,
    상기 제1임펠러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제1중공부를 형성하며 제1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제1쉬라우드와,
    상기 제1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모터와 상기 제1쉬라우드 사이에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모터와 상기 제1쉬라우드를 연결하는 제1유동로형성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2교반부는 상기 모터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2임펠러와,
    상기 제2임펠러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제2중공부를 형성하며 제2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유체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제2쉬라우드와,
    상기 제2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모터와 상기 제2쉬라우드 사이에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모터와 상기 제2쉬라우드를 연결하는 제2유동로형성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2쉬라우드는 적어도 일단에 상기 제1,2중공부와 각각 연통되며 직경이 단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된 확개공이 형성된 제1,2확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도조절부는 상기 저장조의 상부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힌지홀 및 상기 힌지홀을 중심으로 주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각도조절홀이 형성된 각도조절판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판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힌지홀에 삽입되는 힌지축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각도조절판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각도조절홀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고정홀이 형성된 힌지결합판과,
    상기 각도조절홀과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각도조절판에 대해 회전된 힌지결합판의 각도를 고정시키는 각도고정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59929A 2018-05-25 2018-05-25 교반장치 KR102105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929A KR102105124B1 (ko) 2018-05-25 2018-05-25 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929A KR102105124B1 (ko) 2018-05-25 2018-05-25 교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79A KR20190134379A (ko) 2019-12-04
KR102105124B1 true KR102105124B1 (ko) 2020-05-29

Family

ID=6900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929A KR102105124B1 (ko) 2018-05-25 2018-05-25 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1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178B1 (ko) * 2020-12-01 2021-06-25 고일영 상하 각도조절이 가능한 수중 교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7375A (ja) * 1998-12-09 2000-06-20 Shin Meiwa Ind Co Ltd 水中ミキサーの据付装置
KR101097197B1 (ko) * 2011-06-09 2011-12-21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액이송 폭기,교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275A (ko) * 2009-09-30 2011-04-06 김유학 수중 교반기
KR101450085B1 (ko) 2014-05-13 2014-10-13 권헌실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중교반기
KR101573741B1 (ko) 2015-05-11 2015-12-02 권헌실 회전 가능한 수중교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7375A (ja) * 1998-12-09 2000-06-20 Shin Meiwa Ind Co Ltd 水中ミキサーの据付装置
KR101097197B1 (ko) * 2011-06-09 2011-12-21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액이송 폭기,교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79A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124B1 (ko) 교반장치
JP2762241B2 (ja) 深礎基礎コンクリート打設装置
JP4536591B2 (ja) 攪拌機
KR101797984B1 (ko) 고농도 입상 슬러지 교반장치
KR102044881B1 (ko) 수질 측정 센서용 홀더
US4053421A (en) Sedimentation tank with raking structure
JP2938834B2 (ja) 洗浄装置
JP4585710B2 (ja) 水中ミキサの搬入出装置
JP2002361062A (ja) 水中ミキサの取付姿勢変更機構
KR100862884B1 (ko) 선박용 크레인의 지지기둥 보강장치
JP2005095768A (ja) 水中撹拌機の据付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水中撹拌装置
JP6300356B2 (ja) 鉄塔の解体・組立装置
JP2000167375A (ja) 水中ミキサーの据付装置
KR20200017795A (ko) 멀티형 수중교반기
KR100302661B1 (ko) 콘크리트플레이싱붐장치
JP2010188300A (ja) 散気装置
JP2005213866A (ja) スライムの処理方法と装置
US20150314989A1 (en) Material Lift Hoist Assembly
KR200268096Y1 (ko) 침지형 분리막 인양장치
JP2005270900A (ja) 曝気槽における散気体の昇降装置
JP2015514008A (ja) 水平型撹拌装置
JP2985068B2 (ja) 排土飛散防止型掘削式杭打機
JP4238116B2 (ja) 円筒容器の内壁ライニング装置
JP2011033100A (ja) 被取付体の昇降架台装置
US915372A (en) Agit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