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950B1 -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 Google Patents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950B1
KR102104950B1 KR1020180096350A KR20180096350A KR102104950B1 KR 102104950 B1 KR102104950 B1 KR 102104950B1 KR 1020180096350 A KR1020180096350 A KR 1020180096350A KR 20180096350 A KR20180096350 A KR 20180096350A KR 102104950 B1 KR102104950 B1 KR 102104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ing
tube
mixing functio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540A (ko
Inventor
정해원
정서희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096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95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89Dispens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3Transparent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를 다른 물질과 혼합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제공하고, 통 형상을 갖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혼합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저장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저장 공간 내에서 회전축 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저장 공간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상기 회전축 선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날개를 포함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VESSEL CAPABLE OF MIXING FLUID}
본 발명은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 화장품, 맞춤형 화장품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화장료, 또는 서로 다른 제형을 갖는 화장료를 서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화장품 용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4645호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교반 날개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화장료를 혼합할 수 있는 용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용기는 교반 날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음으로 인해, 교반 날개와의 충돌 작용 없이 주변 유동에 의한 영향으로 간접적으로 교반되는 영역이 존재한다. 또한, 회전축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교반 날개가 형성되기 어려운 바, 이 부분에도 주변 유동에 의한 영향으로 간접적으로 교반되는 영역이 형성될 수밖에 없다. 이에 의해 용기 전체적으로, 충분한 교반이 이뤄지기 어렵거나, 충분한 교반을 위해서는 많은 회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교반 날개의 배치 구조와 더불어 교반 날개의 반경 방향 단부가 용기의 내측 벽면과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용기의 내측 벽면에 묻어 있는 화장료가 교반 작용에 참여하지 못하고 그대로 잔류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는, 혼합 기능을 소비자에게 어필하기 위해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보통인데, 투명한 용기의 내벽에 화장료가 혼합되지 않고 묻어 있는 것은 디자인상 심각한 마이너스 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 특히, 점성이 높은 화장료가 사용되는 경우 이와 같은 단점은 더욱 부각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구조는 중앙의 회전축에 교반 날개가 고정되어 있는 것인 바, 펌프를 사용하는 용기, 특히 펌프의 튜브가 용기의 바닥에 닿거나 거의 닿는 수준까지 연장되어 있는 딥 튜브 펌프를 사용하는 용기에는 교반 날개를 적용하기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의 화장품 용기가 갖는 문제점은 화장료의 혼합을 위한 용도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유체를 혼합하는 목적을 가진 용기에서도 동일하게 발생될 수 있다.
특허문헌: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4645호 (2013.01.07.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적은 회전수로도 유체를 충분히 혼합할 수 있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빠르게 유체를 충분히 혼합할 수 있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용기의 내측 벽에 섞이지 않은 유체가 묻어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용기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튜브를 구비하는 펌프의 사용이 가능한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를 다른 물질과 혼합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제공하고, 통 형상을 갖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혼합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저장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저장 공간 내에서 회전축 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저장 공간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상기 회전축 선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날개를 포함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부는, 상기 혼합 유체를 펌핑하는 압력을 생성하는 펌핑부; 및 상기 펌핑부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 공간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혼합 유체를 흡입하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튜브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제공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저장부의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토출부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른 압력을 상기 펌핑부에 인가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에 제공되고, 상기 튜브를 통해 흡입되는 유체를 외부를 노즐부를 포함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중심으로서 기능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튜브의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튜브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튜브 삽입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부가 상기 저장부에 결합될 때 상기 튜브는 상기 튜브 삽입부에 끼워지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중심부에 연결되고,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저장 공간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튜브 삽입부에 연결되고,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저장 공간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튜브가 삽입되기 위한 튜브 삽입홀을 구비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의 일측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날개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연속된 형상을 갖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 삽입부의 단부에는 상기 튜브의 인입을 가이드하고, 상기 튜브 삽입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삽입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는 내측 엣지가 상기 튜브 삽입부와 이격되어 있는 구간을 포함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통 형상이고, 상기 날개의 외측 엣지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저장부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어 미끄러지도록 형성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의 외측 엣지에는 상기 저장부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고, 연성의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 벽면을 쓸어내는 와이퍼가 제공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플레이트; 타측에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제공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회전력을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회전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의 양측 단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각각 고정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의 내측 엣지는 상기 회전축부로부터 이격된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의 외측 엣지는 상기 저장부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는 구간을 포함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상기 날개부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가 제공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측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날개부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중심 기어가 제공되고, 상기 회전부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주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주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중심 기어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기어가 제공되고, 상기 주 기어와 상기 연결 기어와 상기 중심 기어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회전부보다 더 큰 회전수를 갖도록 하는 기어비로 형성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부에 삽입되며, 개방되어 있는 삽입부가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개방 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삽입부를 감싸며 상기 삽입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삽입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삽입부의 둘레를 감싸는 하우징부; 및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내측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주면에는 외측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 걸림부가 상기 내측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회전부가 상기 저장부에 고정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외측 걸림부가 상기 내측 걸림부를 따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저장부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가 상기 회전축 선을 둘러싸는 회전 수와 상기 날개의 개수의 곱은 1 이상으로 제공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부에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에 의하면 적은 회전수로도 유체를 충분히 혼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빠르게 유체를 충분히 혼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의 내측 벽에 섞이지 않은 유체가 묻어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용기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튜브를 구비하는 펌프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날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회전부 내측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용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날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회전부 내측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유체는 다른 물질과 혼합되기 전 상태의 유체를 의미하고, 다른 물질과 혼합된 상태의 유체는 혼합 유체로 설명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유체가 혼합 유체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1)는, 유체를 다른 물질과 혼합할 수 있는 저장 공간(102)을 제공하고 통 형상을 갖는 저장부(100)와, 저장부(10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부(200)와, 저장부(100)에 저장된 혼합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500)와, 및 저장부(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회전부(200)의 회전에 의해 저장 공간(102) 내에서 회전축 선(C)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저장 공간(102)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회전축 선(C)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날개(330)를 포함하는 날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성을 갖는 화장료이고, 다른 물질은 상대적으로 높은 점성을 갖는 화장료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일 예로, 유체는 W/O 또는 O/W 에멀젼이고 다른 물질은 컨실러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에멀젼과 컨실러가 혼합된 화장료는 그 혼합 비율에 따라 다른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바,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비율로 에멀젼과 컨실러를 혼합하여 자신에게 딱 맞는 맞춤형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체는 용매로서 작용할 수 있는 임의의 유체일 수 있고, 이에 혼합되는 다른 물질은 해당 유체에 혼합되거나 용해될 수 있는 유체 또는 파우더 등 임의의 물질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부(100)와 회전부(200)와 날개부(300)와 후술할 동력 전달부(400) 및 토출부(500)는 용기 본체(10)를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며, 용기 본체(10)는 뚜껑(20)과 결합되어 하나의 화장품 용기로서 생산, 판매될 수 있다. 뚜껑(20)은 용기(1)의 미 사용시 토출부(5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폐할 수 있으며, 저장부(100)의 토출부(500)측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뚜껑(20)이 제공되는 방향을 상측, 회전부(200)가 제공되는 방향을 하측이라고 설명한다.
저장부(100)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날개부(300)에 의해 유체가 혼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동작에 의해 서로 다른 화장료가 혼합되어 새로운 형태의 화장료가 형성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바,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제고될 수 있으며, 심미적인 효과도 줄 수 있다.
저장부(100)는 양 측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유체 및 혼합 유체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통부(110)와, 통부(110)의 일측에 제공되어 토출부(500)가 결합되는 목부(120)와, 통부(110)의 타측에 제공되어 회전부(200)와 결합하는 삽입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 공간(102)은 원통형일 수 있고, 이에 의해 통부(110)의 내측 벽면에 묻는 화장료가 날개부(300)에 의해 떨어져 나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 예로, 날개부(300)가 통부(110)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지 않는 실시예의 경우 저장 공간(102)은 원통형이 아닐 수도 있다. 또한 통부(110)의 외측 형상은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부(110)가 전체적으로 원통형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또한, 통부(110)는 날개부(300)의 회전 중심 축선(C)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갖는 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부(110)의 내경의 변화에 대응되도록 날개(330)의 형상, 즉 날개(330)의 폭이 변화될 수 있으며, 연장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날개(330)가 통부(110)의 내측 벽면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통부(110)의 상단부에는 뚜껑(20)이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 또는 형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목부(120)는 통부(1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유체 및 이와 혼합되는 다른 물질이 투입되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목부(120)의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토출부(50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부(100)와 토출부(500)의 결합 방법으로서 나사 결합을 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삽입부(130)는 회전부(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회전부(200)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는 원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동력 전달부(400)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삽입부(130)의 둘레에는 회전부(200)를 고정함과 동시에 회전부(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내측 걸림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 걸림부(132) 및 이와 결합되는 외측 걸림부(212)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겠다.
토출부(500)는 저장부(100)에 저장된 유체 또는 혼합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공지의 다양한 형태의 토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펌프, 특히 펌프의 흡입 튜브가 저장부(100)의 내측 공간으로 깊게 연장 형상되어 있는 이른 바 딥 튜브(deep tube) 펌프가 이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토출부(500)는, 혼합 유체를 펌핑하는 압력을 생성하는 펌핑부(510)와, 펌핑부(510)에 연결되고 저장 공간(102)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혼합 유체를 흡입하는 튜브(5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토출부(500)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른 압력을 펌핑부(510)에 인가하는 누름부(520)와, 누름부(520)에 제공되고 튜브(540)를 통해 흡입되는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노즐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펌핑부(510)와 누름부(520) 및 노즐부(530)의 구성 및 작용은 공지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튜브(540)는 저장 공간(102)의 바닥면,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베이스(410)의 상면에 닿거나 거의 닿을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튜브(540)의 자유 단부가 저장 공간(102)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는 저장 공간(102)의 전체 길이(바닥면으로부터 목부(120)가 시작되는 위치까지의 거리)의 10% 이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부(100)의 내측으로 깊숙하게 연장되는 튜브(540)를 포함하는 펌프를 사용하게 되면, 종래에는 유체를 혼합하기 위한 회전축을 저장부(100)의 중심부에 형성할 수 없었으므로, 튜브(540)를 포함하는 펌프가 혼합 용기에 사용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실시예는 날개(330)를 튜브(540)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함으로써 튜브(540)를 포함하는 펌프를 사용하면서도 유체의 혼합 기능이 달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날개부(300)는 저장부(100)의 내측에서 회전하며 저장 공간(102) 내에 제공되는 유체를 다른 물질과 혼합할 수 있으며, 유체 및 다른 물질을 유동시키거나 이들과 직접 충돌하여 혼합시키는 혼합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날개(330)를 구비한다.
상술한 것처럼 날개(330)는 저장 공간(102) 내에서 회전축 선(C)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 선(C)은 날개부(30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440)의 중심선이 연장된 가상의 선일 수 있으며, 저장부(10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날개(330)는 저장 공간(102)의 중심 영역, 구체적으로 튜브(540)가 제공되는 영역과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며, 회전 시 튜브(540)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날개(330)가 상하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여기서, 하나의 날개(330)는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연장되며 회전축 선(C)을 중심으로 1회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하나의 날개(330)의 시작점과 끝점은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날개(330)는 회전축 선(C)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균일하게 저장 공간(102) 내부에서의 유체 혼합이 이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날개(330)는 회전부(200)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플레이트(320)와 제1 플레이트(32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1 플레이트(32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340)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플레이트(340)는 생략 가능하나, 날개(330)의 견고한 지지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플레이트(320)와 제2 플레이트(34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겠다.
날개부(300)는, 회전부(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중심으로서 기능하는 중심부(310)와, 중심부(310)로부터 연장되어 튜브(540)의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튜브 삽입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날개(330)는 튜브 삽입부(312)의 둘레에 배치되고, 토출부(500)가 저장부(100)에 결합될 때 튜브(540)는 튜브 삽입부(312)에 끼워질 수 있다.
중심부(310)는 날개부(300)의 회전 중심으로써, 회전부(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축(440)에 고정되어 회전축(440)과 함께 회전한다. 중심부(310)는 토출부(500)와 대향하는 저장부(100)의 회전부(200) 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튜브 삽입부(312)는 중심부(310)로부터 토출부(500)를 향해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튜브 삽입부(312)는 튜브(540)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중심부(310)와 함께 회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튜브 삽입부(312)의 내주면과 튜브(540)는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날개부(300)의 회전에 의해 튜브(540)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튜브 삽입부(312)는 외부에서 튜브(540)의 내측으로의 유동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튜브 삽입부(312)의 적어도 일부 구간(313)은 튜브(5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튜브(540)를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토출부(500)가 저장부(100)에 결합될 때 튜브(54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튜브 삽입부(312)의 상단부는 개구될 수 있다. 이때, 튜브(540)의 삽입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튜브 삽입부(312)의 개구측 단부에는 튜브(540)의 인입을 가이드하고 튜브 삽입부(31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삽입 가이드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 가이드부(314)는 날개(330)의 회전에 의해 유도되는 유동에 불규칙성을 더하기 위해 일부가 절개되어 있는 슬릿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300)는, 중심부(310)에 연결되고 판 형상을 가지며 저장 공간(102)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320)와, 튜브 삽입부(312)에 연결되고 판 형상을 가지며 저장 공간(102)의 타측에 배치되고 튜브(540)가 삽입되기 위한 튜브 삽입홀(342)을 구비하는 제2 플레이트(3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날개(330)의 일측은 제1 플레이트(320)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 플레이트(34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플레이트(320)는 회전부(2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저장 공간(102)을 가로지르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날개(330)는 제1 플레이트(320)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0)로부터 복수 개의 날개(330)는 회전축 선(C)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며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제2 플레이트(34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날개(330)는 제1 플레이트(320)와 제2 플레이트(340) 사이에서 불연속 구간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연속된 나선형의 유동을 만들어낼 수 있음과 동시에 날개(330)가 형성되어 있는 저장 공간(102)의 상하 방향의 구간 내에서는 전체적으로 교반이 이뤄지도록 한다.
제1 플레이트(320)는 저장 공간(102)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후술할 베이스(410)에 안착되어 회전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340)는 목부(120), 즉 저장 공간(102)의 입구에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플레이트(340)가, 목부(120)와 저장부(110)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길이는 저장 공간(102)의 전체 길이의 10% 이내일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공간(102)의 90%에 대응되는 구간에 날개부(30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인 바, 날개부(300)가 저장 공간(102) 전체적으로 교반 작용을 수행할 수 있어, 빠른 교반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날개부(300)의 날개(330)는 전체적인 교반을 위해 저장 공간(102)의 전체 길이의 50% 이상의 길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320)의 위치는 베이스(410)에 안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저장 공간(102) 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 날개(330)를 지지할 수 있다.
날개(330)는 소정의 폭을 갖는 블레이드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제1 플레이트(320)와 제2 플레이트(340) 사이에서 유체를 밀어내거나 유체와 충돌하며 유동을 일으킬 수 있다. 이때, 날개(330)의 내측 엣지(332)는 튜브 삽입부(312)와 이격되어 있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날개(330)의 외측 엣지(334)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저장부(100)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어 미끄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날개(330)의 내측 엣지(332)는 전체적으로 튜브 삽입부(312)와 이격되어 있고, 외측 엣지(334)는 전체적으로 통부(110)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날개(330)의 일 부분은 튜브 삽입부(312)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날개(330)의 구조적인 강성을 보완함과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동에 불규칙성을 가할 수 있으므로 교반 효과가 향상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날개부(300)가 구성되는 경우 날개(330)에 의해 나선형의 유동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유동은 내측 엣지(332)와 튜브 삽입부(31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섞일 수 있다. 이때, 삽입 가이드부(314)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은 유동에 불규칙성을 더해 유체의 혼합을 더욱 가속시킬 수 있다. 또한, 날개(330)의 외측 엣지(334)는 저장부(100)의 내측 벽면에 묻어 잔류할 수 있는 유체 또는 다른 물질을 긁어내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바, 저장부(100)의 내측 벽면이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는 바, 고객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여기서, 날개(300)는 저장부(100)에 스크래치를 내지 않기 위해, 저장부(100)보다 강도가 낮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저장부(100)는 투명 ABS로 형성되고, 날개(330)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날개(330)의 외측 엣지(334)에는 저장부(100)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고, 연성의 소재로 형성되어 내측 벽면을 쓸어내는 와이퍼가 제공될 수 있다. 와이퍼는 저장부(100)의 내측 벽면에서 미끄럼 운동을 하면서도 내측 벽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테프론과 같은 저마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엣지(334)가 저장부(100)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측 엣지(334)는 저장부(100)의 내측 벽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날개(330)의 폭은 날개(330)가 저장부(100)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날개(330)의 외측 엣지(334)와 저장부(100)의 내측 벽면이 이격된 거리는 유동에 의해 형성되는 압력에 의해 저장부(100)의 내측 벽면에 묻어 있는 유체 또는 다른 물질이 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일 예로 1mm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혼합되는 대상물의 특성에 따라 유체 또는 다른 물질이 저장부(100)의 내측 벽면에 묻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날개(330)의 외측 엣지(334)는 저장부(100)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외측 엣지(334)와 저장부(100)의 내측 벽면 사이로도 상하 방향의 유동이 발생되어 유체가 더욱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튜브 삽입부(312)는 제1 플레이트(320)와 제2 플레이트(340)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날개부(300)의 전체적인 회전축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튜브 삽입부(312)를 회전축부라고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축부(312)는 토출부(500)로서 펌프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즉, 튜브(540)가 제공되지 않는 용기(1)인 경우에는 내측에 별도의 중공의 공간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날개(330)의 내측 엣지(332)는 회전축부(312)로부터 이격된 구간을 포함할 수 있고, 외측 엣지(334)는 저장부(100)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작용 효과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하겠다.
한편, 저장부(100)의 일측에는 회전부(200)의 회전을 날개부(30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400)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력 전달부(400)로서 소정의 기어 어셈블리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벨트, 체인, 롤러 등 공지의 다양한 회전력 전달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력 전달부(400)는 저장부(100)의 일측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저장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베이스(4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날개부(300)는 베이스(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410)는 삽입부(130)의 내측에 삽입되어 개방 공간을 차폐할 수 있는 형상 및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저장부(100)의 일측은 베이스(410)에 의해 차폐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저장 공간(102)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410)의 상면에는 제1 플레이트(320)의 바닥면 일부를 미끄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412)가 형성된다. 일 예로 회전 지지부(412)는 제1 플레이트(320)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출 영역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홈일 수 있다.
베이스(410)의 중앙, 구체적으로는 회전 지지부(412)의 중앙에는 날개부(300)의 중심부(310)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414)이 형성될 수 있고, 중심부(310)는 관통홀(414)을 통해 회전축(44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날개부(300)는 베이스(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440)은 중심부(3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회전부(200)와 베이스(410) 사이의 내측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410)의 둘레에는 삽입부(130)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부(416)가 제공될 수 있다. 안착부(416)는 삽입부(130)의 단부를 가압하며 지지할 수 있는데, 이는 회전부(200)가 삽입부(130)에 결합되어 베이스(410)에 형성된 연결 기어 회전축(420)을 가압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회전부(200)는 베이스(410)와 삽입부(130)를 감싸며 삽입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 요소로서, 사용자는 회전부(200)를 저장부(100)에 대해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날개부(300)를 회전시켜 유체와 다른 물질을 혼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200)는, 삽입부(130)의 둘레를 감싸는 하우징부(210)와, 본체(1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삽입부(130)의 외주면에는 내측 걸림부(132)가 형성되고, 하우징부(210)의 내주면에는 외측 걸림부(212)가 형성되며, 외측 걸림부(212)가 내측 걸림부(132)에 걸림으로써 회전부(200)가 저장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부(200)는 외측 걸림부(212)가 내측 걸림부(132)를 따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저장부(10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걸림부(132)와 외측 걸림부(212)는 각각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라운드 형상의 돌기일 수 있으며, 회전부(200)를 저장부(10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삽입부(130)와 하우징부(210)가 일정 수준 탄성 변형되고, 외측 걸림부(212)가 내측 걸림부(132)를 타고 넘어가 내측 걸림부(132)에 걸림으로써 회전부(200)가 저장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측 걸림부(212)는 내측 걸림부(132)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회전부(200)는 일정한 위치에서 저장부(10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바닥부(220)는 베이스(410)에 형성된 연결 기어 회전축(420)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베이스(410)는 상방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 이는 삽입부(130)의 단부를 가압하는 작용을 하게 되는 바, 베이스(410)는 삽입부(130)에 끼워진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410)가 삽입부(130)에 회전부(20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베이스(410)는 삽입부(130)에 접착 고정되거나 억지 끼움 고정될 수도 있다.
베이스(410)에는 날개부(3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440)과 회전축(440)에 결합된 중심 기어(450)가 제공되고, 회전부(200)의 내측에는 회전부(20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주 기어(230)가 형성되며, 베이스(410)에는 주 기어(230)의 회전력을 중심 기어(450)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기어(430)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회전축(440)은 베이스(410)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심부(3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중심 기어(450)는 주 기어(230)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축(440)을 회전시킨다.
연결 기어(430)는 베이스(4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 기어 회전축(420)에 고정되며, 중심 기어(450)를 중심으로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기어(430)는 원통의 내주면에 형성된 형태를 갖는 주 기어(230)의 회전력을 중심 기어(45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주 기어(230)와 연결 기어(430)와 중심 기어(450)는, 회전축(440)이 회전부(200)보다 더 큰 회전수를 갖도록 하는 기어비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부(200)의 1회전에 의해 중심 기어(450)는 더 많은 회전을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날개부(300)는 회전부(200)보다 더 많은 회전을 하게 되는 바, 사용자는 적은 노력으로도 용이하게 유체를 혼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기어(430)가 중심 기어(450)의 양 측에 한 쌍이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
우선, 본체(10)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날개부(300)를 동력 전달부(400)에 결합한다. 이때, 날개부(300)의 중심부(310)는 베이스(410)의 일측으로부터 관통홀(414)에 삽입될 수 있고, 회전축(440)은 베이스(410)의 타측으로부터 중심부(31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회전축(440)에는 중심 기어(45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날개부(300)는 회전축(440)에 중심 기어(450)가 결합됨으로써 베이스(4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후, 베이스(410)의 연결 기어 회전축(410)에 연결 기어(430)를 중심 기어(450)와 연동 가능하게 삽입한다.
작업자는 날개부(300)와 동력 전달부(400)의 조립체를 삽입부(130)를 통해 저장부(100)의 저장 공간(102) 측으로 집어 넣는다. 이때, 조립체의 삽입 깊이는 베이스(410)에 형성된 안착부(416)가 삽입부(130)의 단부에 걸림으로써 제한될 수 있다. 베이스(410)는 삽입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저장 공간(102)의 일측을 차폐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삽입부(130)를 회전부(200)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시킨다. 이때, 외측 걸림부(212)가 내측 걸림부(132)에 후크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회전부(200)가 저장부(10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회전부(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주기어(230)가 연결 기어(430) 및 중심 기어(450)와 연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목부(120)를 통해 저장부(100) 내측으로 소정의 유체가 주입될 수 있으며, 이후 토출부(500)를 저장부(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토출부(500)는 튜브(540)가 날개부(300)의 튜브 삽입부(312)에 끼워지도록 조립될 수 있으며, 튜브(540)는 튜브 삽입부(312) 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의 조립이 완료되면 뚜껑(20)이 결합되어 완성된 용기(1)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용기(1)를 구매한 후, 토출부(500)를 저장부(100)로부터 분리한 후, 목부(120)를 통해 혼합하고자 하는 물질을 저장부(100)에 투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부(500)를 분리한 후 혼합하고자 하는 물질을 투입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토출부(500)를 통해 투입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용기(1)는 혼합을 위한 물질이 함께 저장부(100)에 저장된 채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체와 혼합되는 물질을 저장부(100)에 제공하는 방법은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저장부(100)에 유체 및 이와 혼합되는 다른 물질을 집어 넣은 후, 토출부(500)를 재결합하는 등의 방법으로 저장부(100)를 밀폐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00)와 회전부(200)를 상대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저장부(100)를 한 손으로 잡고 고정시킨 후 회전부(200)를 다른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주 기어(230)와 연결 기어(430)와 중심 기어(450)의 연동에 의해, 사용자가 회전부(20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보다 더 많은 회전수로 날개부(300)는 회전될 수 있다.
튜브(540)는 날개부(300)의 튜브 삽입홈(312) 내에 위치되어 있고, 튜브 삽입홈(312)이 날개부(300)의 회전축으로서 기능하는 바, 튜브(540)는 날개부(300)의 회전과 관계없이 그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날개부(300)에 형성된 날개(330)는 저장부(10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저장부(1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나선형으로 연속되게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바, 저장부(100) 전체적으로 교반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날개(330)의 일측 단부를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320)가 베이스(410)에 지지되고, 제2 플레이트(340)가 목부(1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저장 공간(102) 전체에 걸쳐 날개(330)가 형성되는 경우, 교반 효과는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날개(330)의 외측 엣지(334)가 저장부(100)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어 회전됨으로써 저장부(100)의 내측 벽면에 유체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날개(330)의 내측 엣지(332)가 회전축으로서 기능하는 튜브 삽입부(312)와 이격되어 있는 구간을 포함함으로써, 날개(330)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이 상하 방향으로도 섞이게 할 수 있는 바, 교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외측 엣지(334)가 전체적으로 저장부(100)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어 있는 경우, 내측 엣지(332)와 튜브 삽입부(312) 사이의 공간은 날개(330) 이외에 유체가 상하 방향으로 섞일 수 있는 유일한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날개(330)에 의해 나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유동과 내측 엣지(332)와 튜브 삽입부(312) 사이의 공간으로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동이 혼합되어 유체의 교반이 잘 일어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혼합 용기(1)에 의하면, 날개부(330)가 회전축 선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전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날개부(330)의 적은 회전수로도 유체를 충분히 혼합할 수 있으며, 빠르게 혼합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330)가 저장부(100)의 내측 벽면에 유체나 다른 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저장부(100)가 항상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으로서 기능하는 튜브 삽입부(312)의 내측에 튜브(5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튜브(540)를 사용하는 펌프를 토출부(500)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5 및 도 6의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날개부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1a)는, 두 개의 날개가 상하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하나의 날개가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연장되며 회전축 선(C)을 중심으로 0.5회전하도록 형성된 날개부(300a)를 포함한다. 즉,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하나의 날개의 시작점과 끝점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1b)는, 네 개의 날개가 상하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하나의 날개가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연장되며 회전축 선(C)을 중심으로 0.5회전 하도록 형성된 날개부(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날개부(300b)의 날개의 폭은 상술한 실시예들보다 좁게 형성되어 외측 엣지가 저장부(100)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날개부의 날개는 날개가 회전축 선(C)을 둘러싸는 회전 수와 날개의 개수의 곱이 1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교반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나열이다.
항목 1은, 유체를 다른 물질과 혼합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제공하고, 통 형상을 갖는 저장부; 저장부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부; 저장부에 저장된 혼합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 및 저장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저장 공간 내에서 회전축 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저장 공간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회전축 선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날개를 포함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이다.
항목 2는, 토출부는, 혼합 유체를 펌핑하는 압력을 생성하는 펌핑부; 및 펌핑부에 연결되고, 저장 공간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혼합 유체를 흡입하는 튜브를 포함하고, 날개는 튜브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항목 1의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이다.
항목 3은, 회전부는 저장부의 일측에 제공되고, 토출부는 저장부의 타측에 제공되며, 토출부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른 압력을 펌핑부에 인가하는 누름부; 및 누름부에 제공되고, 튜브를 통해 흡입되는 유체를 외부를 노즐부를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2의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이다.
항목 4는, 날개부는, 회전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중심으로서 기능하는 중심부; 중심부로부터 연장되어 튜브의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튜브 삽입부를 포함하고, 날개는 튜브 삽입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토출부가 저장부에 결합될 때 튜브는 튜브 삽입부에 끼워지는 항목 1 내지 항목 3의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이다.
항목 5는, 날개부는, 중심부에 연결되고, 판 형상을 가지며 저장 공간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튜브 삽입부에 연결되고, 판 형상을 가지며 저장 공간의 타측에 배치되고, 튜브가 삽입되기 위한 튜브 삽입홀을 구비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날개의 일측은 제1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날개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연속된 형상을 갖는 항목 1 내지 항목 4의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이다.
항목 6은, 튜브 삽입부의 단부에는 튜브의 인입을 가이드하고, 튜브 삽입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삽입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5의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이다.
항목 7은, 날개는 내측 엣지가 튜브 삽입부와 이격되어 있는 구간을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6의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이다.
항목 8은, 저장부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통 형상이고, 날개의 외측 엣지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저장부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어 미끄러지도록 형성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7의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이다.
항목 9는, 날개의 외측 엣지에는 저장부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고, 연성의 소재로 형성되어 내측 벽면을 쓸어내는 와이퍼가 제공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8의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이다.
항목 10은, 날개부는, 일측에 형성되고, 회전부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플레이트; 타측에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에 제공되어 제1 플레이트의 회전력을 제2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회전축부를 포함하고, 날개의 양측 단부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에 각각 고정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9의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이다.
항목 11은, 날개의 내측 엣지는 회전축부로부터 이격된 구간을 포함하고, 날개의 외측 엣지는 저장부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는 구간을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10의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이다.
항목 12는, 저장부의 일측에는 회전부의 회전을 날개부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가 제공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11의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이다.
항목 13은, 동력 전달부는 저장부의 일측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저장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날개부는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12의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이다.
항목 14는, 베이스에는 날개부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결합된 중심 기어가 제공되고, 회전부의 내측에는 회전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주 기어가 형성되며, 베이스에는 주 기어의 회전력을 중심 기어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기어가 제공되고, 주 기어와 연결 기어와 중심 기어는 회전축이 회전부보다 더 큰 회전수를 갖도록 하는 기어비로 형성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13의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이다.
항목 15는, 저장부의 일측에는 회전부에 삽입되며, 개방되어 있는 삽입부가 제공되고, 베이스는 삽입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개방 공간을 차폐하고, 회전부는 베이스와 삽입부를 감싸며 삽입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14의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이다.
항목 16은, 베이스는 삽입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회전부는, 삽입부의 둘레를 감싸는 하우징부; 및 용기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내측 걸림부가 형성되고, 하우징부의 내주면에는 외측 걸림부가 형성되며, 외측 걸림부가 내측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회전부가 저장부에 고정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15의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이다.
항목 17은, 회전부는 외측 걸림부가 내측 걸림부를 따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저장부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항목 1 내지 항목 16의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이다.
항목 18은, 날개가 회전축 선을 둘러싸는 회전 수와 날개의 개수의 곱은 1 이상으로 제공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17의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이다.
항목 19는, 저장부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18의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이다.
항목 20은, 토출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저장부에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19의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용기 10: 본체
20: 뚜껑 100: 저장부
200: 회전부 300: 날개부
400: 동력 전달부 500: 토출부

Claims (20)

  1. 유체를 다른 물질과 혼합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제공하고, 통 형상을 갖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혼합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저장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저장 공간 내에서 회전축 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저장 공간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상기 회전축 선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날개를 포함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저장 공간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혼합 유체를 흡입하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튜브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튜브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튜브 삽입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튜브 삽입부의 적어도 일부는 절개되어 있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혼합 유체를 펌핑하는 압력을 생성하는 펌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상기 펌핑부에 연결되고,
    상기 날개는 상기 튜브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제공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저장부의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토출부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른 압력을 상기 펌핑부에 인가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에 제공되고, 상기 튜브를 통해 흡입되는 유체를 외부를 노즐부를 포함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중심으로서 기능하는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삽입부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튜브의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가 상기 저장부에 결합될 때 상기 튜브는 상기 튜브 삽입부에 끼워지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중심부에 연결되고,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저장 공간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튜브 삽입부에 연결되고,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저장 공간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튜브가 삽입되기 위한 튜브 삽입홀을 구비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의 일측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날개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연속된 형상을 갖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삽입부의 단부에는 상기 튜브의 인입을 가이드하고, 상기 튜브 삽입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삽입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내측 엣지가 상기 튜브 삽입부와 이격되어 있는 구간을 포함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통 형상이고,
    상기 날개의 외측 엣지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저장부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어 미끄러지도록 형성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외측 엣지에는 상기 저장부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고, 연성의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 벽면을 쓸어내는 와이퍼가 제공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플레이트;
    타측에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제공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회전력을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회전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의 양측 단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각각 고정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내측 엣지는 상기 회전축부로부터 이격된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의 외측 엣지는 상기 저장부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는 구간을 포함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상기 날개부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가 제공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측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날개부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중심 기어가 제공되고,
    상기 회전부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주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주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중심 기어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기어가 제공되고,
    상기 주 기어와 상기 연결 기어와 상기 중심 기어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회전부보다 더 큰 회전수를 갖도록 하는 기어비로 형성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부에 삽입되며, 개방되어 있는 삽입부가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개방 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삽입부를 감싸며 상기 삽입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삽입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삽입부의 둘레를 감싸는 하우징부; 및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내측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주면에는 외측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 걸림부가 상기 내측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회전부가 상기 저장부에 고정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외측 걸림부가 상기 내측 걸림부를 따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저장부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가 상기 회전축 선을 둘러싸는 회전 수와 상기 날개의 개수의 곱은 1 이상으로 제공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19. 제1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20. 제1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부에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KR1020180096350A 2018-08-17 2018-08-17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KR102104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350A KR102104950B1 (ko) 2018-08-17 2018-08-17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350A KR102104950B1 (ko) 2018-08-17 2018-08-17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540A KR20200020540A (ko) 2020-02-26
KR102104950B1 true KR102104950B1 (ko) 2020-04-29

Family

ID=6963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350A KR102104950B1 (ko) 2018-08-17 2018-08-17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9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860Y1 (ko) 2008-09-02 2011-01-17 (주)아모레퍼시픽 가루녹차 용기
KR200464645Y1 (ko) * 2010-12-09 2013-01-11 (주)아모레퍼시픽 수동식 쉐이크 용기
KR101548477B1 (ko) * 2015-01-12 2015-08-28 변준민 진공용기의 내부에서 교반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941A (ko) * 2003-07-28 2006-05-19 브라이언 제임스 라킨 스프레이 어플리케이터
KR20170003449U (ko) * 2016-03-28 2017-10-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860Y1 (ko) 2008-09-02 2011-01-17 (주)아모레퍼시픽 가루녹차 용기
KR200464645Y1 (ko) * 2010-12-09 2013-01-11 (주)아모레퍼시픽 수동식 쉐이크 용기
KR101548477B1 (ko) * 2015-01-12 2015-08-28 변준민 진공용기의 내부에서 교반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540A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534B1 (ko) 화장료 혼합용 주 용기, 화장료 혼합용 보조 용기 및 이들을 포함하는 화장품
EP3155936A1 (en)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r
JP3020122B2 (ja) ペースト状の化粧品用の塗布器アセンブリ
US3085281A (en) Nail polish container, mixer and removable applicator
US10493413B2 (en) Stirring tool and stirrer comprising a tool of said type
KR20210025489A (ko) 이중 속도 수동 스탠드 믹서
KR102104950B1 (ko) 유체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US1930948A (en) Mixer
KR102153901B1 (ko) 화장품 용기
KR20130108877A (ko) 착즙기용 반죽용기
KR101863619B1 (ko) 소량의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 장치
KR101775776B1 (ko) 진공용기의 내부에서 교반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PL63165Y1 (pl) Urzadzenie do wytwarzania mieszanek recepturowych PL PL PL
KR102083886B1 (ko) 마이크로 유화기
CN106455585A (zh) 家用电器搅拌装置
KR101167275B1 (ko) 수평 탈착 구조를 갖는 착즙기용 반죽용기
KR101918946B1 (ko) 자동판매기의 혼합장치
AU201623511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ixing and dispensing fluids
CN211837382U (zh) 一种用于化学混合物的混合设备
US20140204698A1 (en) Blender blade or mixer blade guard device
US1178171A (en) Stirring or agitating appliance for paint-cans and other receptacles.
KR102085874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200269338Y1 (ko) 분말제품의 계량 배출장치
KR20210142044A (ko) 혼합 용기
KR200469857Y1 (ko) 내용물 혼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