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828B1 -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828B1
KR102103828B1 KR1020190077446A KR20190077446A KR102103828B1 KR 102103828 B1 KR102103828 B1 KR 102103828B1 KR 1020190077446 A KR1020190077446 A KR 1020190077446A KR 20190077446 A KR20190077446 A KR 20190077446A KR 102103828 B1 KR102103828 B1 KR 102103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divergence angle
mode
unit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혁재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7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4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of transmitters alo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IFF, i.e. identification of friend or fo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91Details of non-pulse systems
    • G01S7/4911Transmit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 구동 방법이 개시된다.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진부; 상기 레이저 발진부에서 발생된 레이저의 발산각을 조절하는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 상기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에서 발산각이 조절된 레이저를 아군식별 코드에 따라 변조하는 레이저 변조부; 상기 레이저 변조부를 통해 아군식별 코드가 적용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송신부; 및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를 제어하여 레이저의 발산각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합형 레이저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동작 모드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받은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를 제어하여 레이저의 발산각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의 구동 방법{METHOD FOR DRIVING IDENTIFICATION OF FRIEND OR FOE APPARATUS FOR PERSONAL COMBAT SYSTEM}
본 발명은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 거리측정기, 레이저 피아식별기, 레이저 표적지시기를 하나의 광학계로 통합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거리측정기는 표적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한 뒤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를 검출하여 표적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이고, 레이저 피아식별기는 레이저 신호로 특정 코드신호를 발신하여 수신된 신호를 통하여 피아식별을 하는 장치이고, 레이저 표적지시기는 특정 장소 또는 목표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레이저를 조사하는 장치이다.
전술한 레이저 거리측정기, 레이저 피아식별기, 레이저 표적지시기 등은 운용 개념에 따라 발산각이 정해진다.
예를 들어, 레이저 거리측정기는 낮은 반복율(예를 들어, 20Hz 이하)을 가지며, 레이저를 조사한 후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를 감지해야 하므로 높은 에너지와 1.5mrad 이내의 작은 발산각을 갖는다.
그리고 레이저 피아식별기는 높은 반복율(예를 들어, 1Khz 이상)을 갖고, 발산각이 사람의 보통 크기(예를 들어, 1.8m×0.5m) 이상의 크기를 가져야 하므로 6mrad 이내의 큰 발산각을 가지며, 표적까지만 레이저가 도착하면 되므로 레이저 거리측정기에 비해 약한 에너지를 갖는다.
레이저 표적지시기는 아군의 전투기가 헬기, 탱크 등에서 레이저 빛을 볼 수 있도록 아군이 식별할 수 있는 아군식별 코드가 적용된 레이저로 표적을 지정해주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므로, 레이저 거리측정기보다는 큰 발산각을 가지며, 레이저 피아식별기와 유사한 에너지를 갖는다.
이와 같이, 각각의 장치는 운용 개념에 따라 발산각과 에너지, 반복율 등이 서로 다르게 적용된다.
따라서 레이저 거리측정기, 레이저 피아식별기, 레이저 표적지시기 등을 하나의 무기 체계(예를 들어, 소총조준경)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무기 체계에 장착되는 각각의 장치에 따라 발산각과 에너지, 반복율 등이 서로 다르게 적용된 레이저 광학 장치가 사용되어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발산각에 따른 레이저의 빔 사이즈(직경)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으로, 각각의 장치는 운용 개념에 따라 발산각이 서로 다르게 적용되어 사용되는데, 종래에는 장치에 적용된 발산각이 고정되어 있어서, 레이저 피아식별기나 레이저 표적지시기의 경우에는 근거리(예를 들어, 50m 이내)에서 빔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작아 표적지시나 피아식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71684호(공고일 2019.04.2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38089호(공고일 2012.04.27.)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레이저 거리측정기, 레이저 피아식별기, 레이저 표적지시기를 하나의 광학계로 통합하여 각각의 운용 개념에 맞게 발산각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근거리 및 모든 운용 거리에서 동일한 빔 사이즈(직경)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 구동 방법은,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진부; 상기 레이저 발진부에서 발생된 레이저의 발산각을 조절하는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 상기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에서 발산각이 조절된 레이저를 아군식별 코드에 따라 변조하는 레이저 변조부; 상기 레이저 변조부를 통해 아군식별 코드가 적용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송신부; 및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를 제어하여 레이저의 발산각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합형 레이저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동작 모드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받은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를 제어하여 레이저의 발산각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이저의 발산각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받은 동작 모드가 거리측정 모드이면, 거리측정 모드에 대응되는 기설정 값에 의거하여 발산각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선택받은 동작 모드가 피아식별 모드이면, 피아식별 모드에 대응되는 기설정 값에 의거하여 발산각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받은 동작 모드가 표적지시 모드이면, 표적지시 모드에 대응되는 기설정 값에 의거하여 발산각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 구동 방법은, 레이저 거리측정기, 레이저 피아식별기, 레이저 표적지시기를 하나의 광학계로 통합하여 각각의 운용 개념에 맞게 발산각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근거리 및 모든 운용 거리에서 동일한 빔 사이즈(직경)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발산각에 따른 레이저의 빔 사이즈(직경)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표적과의 거리별로 조사되는 레이저의 발산각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100)는 레이저 발진부(110),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 레이저 변조부(130), 레이저 송신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레이저 발진부(110)는 전원을 공급받아 레이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레이저 발진부(110)는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서로 다른 출력 에너지를 갖는 레이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150)는 동작 모드에 따라 레이저 발진부(110)로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모드는 거리측정 모드, 피아식별 모드, 표적지시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는 레이저 발진부(110)에서 발생된 레이저의 발산각을 동작 모드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물 렌즈(121), 조절 렌즈(123), 결상 렌즈(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대물 렌즈(121)는 레이저 발진부(110)에서 발생된 레이저를 수광·집속할 수 있다.
조절 렌즈(123)는 대물 렌즈(121)를 통해 집속된 레이저의 발산각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 렌즈(123)는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대물 렌즈(121)와 결상 렌즈(125) 사이에서 앞·뒤로 움직이면서 발산각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 렌즈(123)는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대물 렌즈(121) 방향(앞)으로 이동하여 발산각을 크게 늘리고,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결상 렌즈(125) 방향(뒤)으로 이동하여 발산각을 작게 줄일 수 있다.
결상 렌즈(125)는 조절 렌즈(123)를 통과한 레이저를 결상할 수 있다.
전술한 대물 렌즈(121), 조절 렌즈(123), 결상 렌즈(125)는 파장에 따라 적외선 렌즈(예를 들어, Zns, Znse, Germanium, IG5 등), 근적외선 렌즈(예를 들어, Fused Silica)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 변조부(130)는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에서 발산각이 조절된 레이저를 피아식별 코드 또는 아군식별 코드에 따라 변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이저 변조부(130)는 피아식별을 위한 피아식별 코드, 아군이 식별할 수 있는 아군식별 코드 등을 저장하고 있다가, 동작 모드가 피아식별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에서 발산각이 조절된 레이저를 피아식별 코드에 따라 변조하여 출력하고, 동작 모드가 표적지시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에서 발산각이 조절된 레이저를 아군식별 코드에 따라 변조하여 출력할 수 있다.
레이저 송신부(140)는 레이저 변조부(130)를 통해 피아식별 코드가 적용된 레이저 또는 아군식별 코드가 적용된 레이저를 표적에 조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동작 모드에 따라,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셔터(도시하지 않음), 레이저 발진부(110),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 등을 제어하여 출력되는 레이저의 반복율, 출력 에너지, 발산각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작 모드가 거리측정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50)는 낮은 반복율(예를 들어, 20Hz 이하), 높은 출력 에너지(레이저를 조사한 후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를 감지해야 하므로), 작은 발산각(예를 들어, 1.5mrad 이내)를 갖는 거리측정 모드의 운용 개념에 따라 낮은 반복율을 갖도록 셔터 속도를 제어하고, 레이저 발진부(110)로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생성되는 레이저가 높은 출력 에너지를 갖도록 제어하고,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의 조절 렌즈(123)를 결상 렌즈(125)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출력되는 레이저가 작은 발산각을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모드가 피아식별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50)는 높은 반복율(예를 들어, 1Khz 이상), 거리측정 모드에 비해 약한 에너지(표적까지만 레이저가 도착하면 되므로), 큰 발산각(예를 들어, 6mrad 이내)를 갖는 피아식별 모드의 운용 개념에 따라 높은 반복율을 갖도록 셔터 속도를 제어하고, 레이저 발진부(110)로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거리측정 모드의 1/2 정도가 되도록 제어하고,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의 조절 렌즈(123)를 대물 렌즈(12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출력되는 레이저가 큰 발산각을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모드가 표적지시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50)는 거리측정 모드보다는 작고 피아식별 모드보다는 큰 반복율, 피아식별 모드와 동일한 에너지, 거리측정 모드보다는 크고 피아식별 모드보다는 작은 발산각(예를 들어, 4mrad 이내)을 갖는 표적지시 모드의 운용 개념에 따라 거리측정 모드보다는 작고 피아식별 모드보다는 큰 반복율을 갖도록 셔터 속도를 제어하고, 레이저 발진부(110)로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피아식별 모드와 동일하게 제어하고,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의 조절 렌즈(123)를 대물 렌즈(121)와 결상 렌즈(125)의 중간 부분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출력되는 레이저가 거리측정 모드보다는 크고 피아식별 모드보다는 작은 발산각을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동일한 동작 모드에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느 거리에서든 동일한 빔 사이즈(직경)를 유지하도록 표적과의 거리에 따라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를 제어하여 출력되는 레이저의 발산각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아식별 모드에서 거리가 800m 떨어진 표적과 거리가 100m 떨어진 표적에 각각 레이저를 조사할 때, 800m 거리에서의 레이저 빔 사이즈와 100m 거리에서의 레이저 빔 사이즈가 예를 들어, 6mrad로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제어부(150)는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느 거리에서든 동일한 빔 사이즈(직경)를 유지시키기 위해, 제어부(150)는 표적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더 큰 발산각을 갖도록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가 800m 떨어진 표적에 레이저를 조사할 때보다, 거리가 100m 떨어진 표적에 레이저를 조사할 때 더 큰 발산각을 갖도록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거리가 100m 떨어진 표적에 레이저를 조사할 때 제어부(150)는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의 조절 렌즈(123)를 대물 렌즈(12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출력되는 레이저가 큰 발산각을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
우선,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100)는 운용자(병사)의 조작에 따라 동작 모드를 선택받는다(S10).
상기한 단계 S10에서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100)는 거리측정 모드, 피아식별 모드, 표적지시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동작 모드로 선택받을 수 있다.
상기한 단계 S10에서 선택받은 동작 모드가 거리측정 모드인 경우에는(S20:예), 거리측정 모드의 운용 개념에 따라 기설정된 설정 값(반복율, 출력 에너지, 발산각 등)에 의거하여 셔터, 레이저 발진부(110),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 등을 제어하되, 낮은 반복율(예를 들어, 20Hz 이하)을 갖도록 셔터 속도를 제어하고, 레이저 발진부(110)에서 생성되는 레이저가 높은 출력 에너지를 갖도록 레이저 발진부(110)로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제어하고, 출력되는 레이저가 작은 발산각(예를 들어, 1.5mrad 이내)을 갖도록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의 조절 렌즈(123)를 결상 렌즈(125)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
상기한 단계 S10에서 선택받은 동작 모드가 피아식별 모드인 경우에는(S40:예), 거리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한다(S50).
상기한 단계 S50의 확인결과 거리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피아식별 모드의 운용 개념에 따라 기설정된 설정 값(반복율, 출력 에너지, 발산각 등)에 의거하여 셔터, 레이저 발진부(110),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 등을 제어하되, 높은 반복율(예를 들어, 1Khz 이상)을 갖도록 셔터 속도를 제어하고, 레이저 발진부(110)에서 생성되는 레이저의 출력 에너지가 거리측정 모드의 1/2이 되도록 레이저 발진부(110)로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제어하고, 출력되는 레이저가 큰 발산각(예를 들어, 6mrad 이내)을 갖도록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의 조절 렌즈(123)를 대물 렌즈(12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0).
상기한 단계 S60에서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의 조절 렌즈(123)를 대물 렌즈(12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때, 제어부(150)는 피아식별 모드에서 거리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발산각에 의거하여 표적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더 큰 발산각을 갖도록 조절 렌즈(123)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단계 S50의 확인결과 거리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피아식별 모드의 운용 개념에 따라 기설정된 반복율, 출력 에너지, 발산각에 의거하여 셔터, 레이저 발진부(110),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S70).
상기한 단계 S10에서 선택받은 동작 모드가 표적지시 모드인 경우에는(S80:예), 거리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한다(S90).
상기한 단계 S90의 확인결과 거리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표적지시 모드의 운용 개념에 따라 기설정된 설정 값(반복율, 출력 에너지, 발산각 등)에 의거하여 셔터, 레이저 발진부(110),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 등을 제어하되, 거리측정 모드보다는 작고 피아식별 모드보다는 큰 반복율을 갖도록 셔터 속도를 제어하고, 레이저 발진부(110)에서 생성되는 레이저의 출력 에너지가 거리측정 모드의 1/2이 되도록 레이저 발진부(110)로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제어하고, 출력되는 레이저가 거리측정 모드보다는 크고 피아식별 모드보다는 작은 발산각(예를 들어, 4mrad 이내)을 갖도록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의 조절 렌즈(123)를 대물 렌즈(121)와 결상 렌즈(125)의 중간 부분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00).
상기한 단계 S100에서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의 조절 렌즈(123)를 대물 렌즈(121)와 결상 렌즈(125)의 중간 부분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때, 제어부(150)는 표적지시 모드에서 거리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발산각에 의거하여 표적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더 큰 발산각을 갖도록 조절 렌즈(123)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단계 S90의 확인결과 거리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표적지시 모드의 운용 개념에 따라 기설정된 반복율, 출력 에너지, 발산각에 의거하여 셔터, 레이저 발진부(110),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S110).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 110. 레이저 발진부,
120.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 121. 대물 렌즈,
123. 조절 렌즈, 125. 결상 렌즈,
130. 레이저 변조부, 140. 레이저 송신부,
150. 제어부

Claims (2)

  1.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진부; 상기 레이저 발진부에서 발생된 레이저의 발산각을 조절하는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 상기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에서 발산각이 조절된 레이저를 아군식별 코드에 따라 변조하는 레이저 변조부; 상기 레이저 변조부를 통해 아군식별 코드가 적용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송신부; 및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를 제어하여 레이저의 발산각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동작 모드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받은 동작 모드가, 거리측정 모드이면, 거리측정 모드에 대응되는 기설정 값에 의거하여 레이저 발산각 조절 광학부의 조절 렌즈를 결상 렌즈 방향으로 이동시켜 레이저의 발산각을 줄이고, 기설정된 값 이하의 반복율을 갖도록 셔터 속도를 제어하고, 레이저 발진부에서 생성되는 레이저가 기설정된 값 이상의 출력 에너지를 갖도록 상기 레이저 발진부로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선택받은 동작 모드가 피아식별 모드이면, 거리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여 거리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거리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발산각에 의거하여 상기 조절 렌즈를 대물 렌즈 방향으로 이동시켜 레이저의 발산각을 키우고, 기설정된 값 이상의 반복율을 갖도록 셔터 속도를 제어하고, 상기 레이저 발진부로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가 거리측정 모드의 1/2이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받은 동작 모드가 표적지시 모드이면, 거리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여 거리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거리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발산각에 의거하여 상기 조절 렌즈를 상기 대물 렌즈와 결상 렌즈의 중간부로 이동시키고, 거리측정 모드보다는 작고 피아식별 모드보다는 큰 반복율을 갖도록 셔터 속도를 제어하고, 상기 레이저 발진부로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피아식별 모드와 동일하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의 구동 방법.
  2. 삭제
KR1020190077446A 2019-06-28 2019-06-28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103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446A KR102103828B1 (ko) 2019-06-28 2019-06-28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446A KR102103828B1 (ko) 2019-06-28 2019-06-28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의 구동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163A Division KR102103826B1 (ko) 2019-05-22 2019-05-22 개인전투체계용 소형 피아식별 장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828B1 true KR102103828B1 (ko) 2020-04-24

Family

ID=7046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446A KR102103828B1 (ko) 2019-06-28 2019-06-28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8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27316A (zh) * 2020-10-27 2021-02-05 北醒(北京)光子科技有限公司 一种雷达测距方法及激光雷达
KR102667104B1 (ko) 2023-05-16 2024-05-20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피아식별용 질문장치 및 질문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477A (ko) * 2001-02-24 2001-06-05 최원하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070105346A (ko) * 2005-01-24 2007-10-30 명 조 다니엘 자동차 에어백 시스템을 위한 로직
JP2009535645A (ja) * 2006-05-02 2009-10-01 クオリティー ヴィジョ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レーザーレンジセンサシステムの光学アダプタおよび方法
KR101138089B1 (ko) 2008-12-19 2012-04-27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다중 파장 펄스 변조를 이용한 레이저 표적 지시기 시스템
KR20150039855A (ko) * 2012-08-09 2015-04-13 이스라엘 에어로스페이스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피아 식별 시스템 및 방법
KR101971684B1 (ko) 2018-12-14 2019-04-2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레이저 피아식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477A (ko) * 2001-02-24 2001-06-05 최원하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070105346A (ko) * 2005-01-24 2007-10-30 명 조 다니엘 자동차 에어백 시스템을 위한 로직
JP2009535645A (ja) * 2006-05-02 2009-10-01 クオリティー ヴィジョ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レーザーレンジセンサシステムの光学アダプタおよび方法
KR101138089B1 (ko) 2008-12-19 2012-04-27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다중 파장 펄스 변조를 이용한 레이저 표적 지시기 시스템
KR20150039855A (ko) * 2012-08-09 2015-04-13 이스라엘 에어로스페이스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피아 식별 시스템 및 방법
KR101971684B1 (ko) 2018-12-14 2019-04-2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레이저 피아식별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27316A (zh) * 2020-10-27 2021-02-05 北醒(北京)光子科技有限公司 一种雷达测距方法及激光雷达
KR102667104B1 (ko) 2023-05-16 2024-05-20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피아식별용 질문장치 및 질문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9116B2 (ja) 走行路に配光を生成する配光生成方法および前照灯
EP2112456B1 (en) Device and method for a sighting apparatus
US5837918A (en) Weapons system for a laser
KR102103825B1 (ko) 개인전투체계용 소형 피아식별 장치
US7631432B2 (en) Compact multifunction sight
AU2011234207B2 (en) Dazzlers
CZ61197A3 (en) Apparatus for measuring distance by making use of light waves and method of determining a distance of a target object
KR102103828B1 (ko)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103826B1 (ko) 개인전투체계용 소형 피아식별 장치 구동 방법
KR102103827B1 (ko)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
CN110500919A (zh) 一种快速高精度调焦的激光防御系统及方法
US10578717B2 (en) Dimmable glass for eye safety for LiDAR technology
US20210270568A1 (en) Laser irradiation apparatus and laser irradiation method
US6384904B1 (en)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CN210731347U (zh) 一种基于温度检测的激光加工设备
US6723974B1 (en) Process for the adaptive beam control of medium-energy laser weapons
CN213956130U (zh) 无人车激光反狙击系统
KR101301878B1 (ko) 안전거리 조절이 가능한 가시광 레이저 조명
CN111670521B (zh) 用于发射激光的方法
JPH1019561A (ja) 測距装置
AU2021311046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ducing eye safety minimum distances in conjunction with illumination laser radiation
JP6740453B2 (ja) 視準校正装置および視準校正システム
GB2595189A (en) Apparatus for emitting or detecting two beams of light along a common axis
JPH06265773A (ja) 顕微鏡自動焦点装置
KR20100025708A (ko) 리모트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피제어기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