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104B1 - 피아식별용 질문장치 및 질문방법 - Google Patents

피아식별용 질문장치 및 질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7104B1
KR102667104B1 KR1020230063039A KR20230063039A KR102667104B1 KR 102667104 B1 KR102667104 B1 KR 102667104B1 KR 1020230063039 A KR1020230063039 A KR 1020230063039A KR 20230063039 A KR20230063039 A KR 20230063039A KR 102667104 B1 KR102667104 B1 KR 102667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ion
signals
unit
transmission frequency
frequency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3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5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transponders powered from received waves, e.g. using passive transponders, or using passive reflectors
    • G01S13/751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transponders powered from received waves, e.g. using passive transponders, or using passive reflectors wherein the responder or reflector radiates a coded signal
    • G01S13/758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transponders powered from received waves, e.g. using passive transponders, or using passive reflectors wherein the responder or reflector radiates a coded signal using a signal generator powered by the interrogation sig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78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discriminating between different kinds of targets, e.g. IFF-radar, i.e. identification of friend or foe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피아식별 모드별로 질문신호를 생성 가능하고, 질문신호들을 조합하여 표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질문기; 질문신호들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질문기에 연결되는 측정기; 및 상기 측정기의 측정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여 송신주파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처리기;를 포함하고, 표적으로 송신하는 질문신호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원하는 범위로 최적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아식별용 질문장치 및 질문방법{INTERROG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FRIEND OR FOE}
본 발명은 피아식별용 질문장치 및 질문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적의 피아를 식별하기 위해 표적으로 송신하는 질문신호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원하는 범위로 최적화할 수 있는 피아식별용 질문장치 및 질문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근하는 표적에 대응하려면 우선 표적이 아군 또는 적군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차나 군함 등의 군용 이동체에는 표적의 피아 식별을 수행할 수 있는 피아식별장치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피아식별장치는 질문신호를 표적으로 전송하고, 표적으로부터 전송된 응답신호를 분석하여 표적의 피아를 식별한다. 표적이 응답신호를 전송하지 않거나 잘못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피아식별장치는 표적을 적군으로 판단하고, 표적이 정상적인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피아식별장치는 표적을 아군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아군에게 오인 사격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피아식별장치는 아군 또는 적군에 상관없이 표적으로 질문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적군이 질문신호를 분석하여 질문신호가 송신된 아군의 위치를 파악할 위험성이 있다.
KR 10-2042428 B
본 발명은 표적의 피아를 식별하기 위해 표적으로 송신하는 질문신호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원하는 범위로 최적화할 수 있는 피아식별용 질문장치 및 질문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질문신호를 송신한 위치가 적군에게 노출될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피아식별용 질문장치 및 질문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피아식별 모드별로 질문신호를 생성 가능하고, 질문신호들을 조합하여 표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질문기; 질문신호들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질문기에 연결되는 측정기; 및 상기 측정기의 측정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여 송신주파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처리기;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기는, 질문신호들 각각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송신주파수 출력값을 피아식별 모드에 따라 분류하여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기는, 질문신호들 각각의 송신주파수 출력값을 합산하여 합산출력값을 산출하기 위한 합산부; 상기 합산출력값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 및 상기 합산출력값이 상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질문기가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부는,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는 기준 설정부; 상기 기준 설정부가 설정한 기준에 따라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비교하기 위한 우선순위 확인부; 및 질문신호들 중 우선순위가 낮은 질문신호를, 상기 질문기가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에서 탈락시키기 위한 탈락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 설정부는, 질문신호가 생성된 피아식별 모드에 따른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제1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제1 설정부; 및 질문신호의 포맷 형태에 따른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제2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제2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 확인부는, 질문신호들의 피아식별 모드에 따른 우선순위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기준에 따라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탈락부가 탈락시킨 질문신호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기 위한 알림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피아식별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생성된 질문신호들을 조합하는 과정; 질문신호들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측정하는 과정; 및 측정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여 송신주파수 출력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주파수 출력은 펄스반복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질문신호들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측정하는 과정은, 질문신호들 각각의 펄스반복주파수를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여 송신주파수 출력을 조절하는 과정은, 질문신호들 각각의 송신주파수 출력값을 합산하여 합산출력값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합산출력값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합산출력값이 상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설정값은 450Hz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하는 과정; 및 질문신호들 중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질문신호를,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에서 탈락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하는 과정은, 질문신호가 생성된 피아식별 모드에 따른 제1 기준에 따라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하는 과정; 및 질문신호들의 피아식별 모드에 따른 우선순위가 동일한 경우, 질문신호의 포맷 형태에 따른 제2 기준에 따라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표적의 피아를 식별하기 위해 표적으로 송신하는 질문신호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원하는 범위로 최적화할 수 있다. 이에, 질문신호를 송신한 위치를 적군이 파악하기 어렵게 질문신호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질문신호를 송신한 위치가 적군에게 노출되어 공격받을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용 질문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용 질문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용 질문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용 질문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용 질문장치는, 표적의 피아를 식별하기 위해 표적으로 질문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질문장치이다. 피아식별용 질문장치는 함정에 탑재된 피아식별장비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피아식별용 질문장치(100)는 질문기(110), 측정기(120), 및 처리기(130)를 포함한다.
질문기(110)는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피아식별 모드별로 질문신호를 생성 가능하고, 질문신호들을 조합하여 표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질문기(110)는 질문신호 생성부(111), 질문신호 조합부(112), 및 안테나부(113)를 포함한다.
질문신호 생성부(111)는 피아식별 모드에 따라 질문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문신호 생성부(111)는 모드 1, 2, 3/A, 5, C, S 등과 같은 모드를 가지고 동작한다. 모드 1은 국가부호를 의미하고, 모드 2는 소속명(또는, 함정명)을 의미하고, 모드 3/A는 관제사가 부여하는 군용기나 민항기의 비행에 필요한 고유번호를 의미하고, 모드 C는 항공기의 정보(예를 들어, 고도 등)를 의미하고, 모드 5는 피아식별을 위한 정보로 암호화된 코드를 의미하고, 모드 S는 데이터 링크를 위한 GPS 위치나 선택적 문의에 응답하기 위한 암호 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피아식별 모드별 생성되어 조합된 질문신호들을 이용하여 다른 군용 이동체(예를 들어, 함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질문신호 조합부(112)는 질문신호 생성부(111)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질문신호 조합부(112)는 질문신호 생성부(111)로부터 전달받은 질문신호들을 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운용자는 질문신호 조합부(112)를 이용하여 원하는 질문신호들을 선택해서 하나의 송신신호로 조합할 수 있다.
안테나부(113)는 질문신호 조합부(112)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안테나부(113)는 질문신호 조합부(112)가 조합한 질문신호를 표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측정기(120)는 질문기(110)에 연결될 수 있다. 측정기(120)는 질문신호들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기(120)는 측정부(121), 및 표시부(122)를 포함한다.
측정부(121)는, 질문신호 생성부(111)와 질문신호 조합부(112)를 연결하는 케이블, 또는 질문신호 조합부(11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측정부(121)는 질문신호 조합부(112)에 전달되는 질문신호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주파수 출력은 펄스반복주파수일 수 있고, 측정부(121)는 질문신호들 각각의 펄스반복주파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안테나부(113)의 RPM(Revolution Per Minute)에 따라 피아식별 모드별 송신주파수 출력값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안테나부(113)의 RPM에 따라 측정부(121)의 측정조건을 세팅할 수 있다.
표시부(122)는 측정부(121)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측정부(121)가 측정한 질문신호들의 송신주파수 출력값에 대한 정보가 표시부(122)에 전달될 수 있다. 표시부(122)는 측정부(121)에서 측정된 송신주파수 출력값을 피아식별 모드에 따라 분류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운용자는 표시부(122)를 통해 피아식별 모드별로 생성된 질문신호들 각각의 송신주파수 출력값을 확인할 수 있다.
처리기(130)는 측정기(12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처리기(130)는 측정기(120)의 측정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여 송신주파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처리기(130)는 합산부(131), 비교부(132), 및 처리부(133)를 포함한다.
합산부(131)는 측정부(121)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측정부(121)가 피아식별 모드별로 측정한 질문신호들의 송신주파수 출력값에 대한 정보가 합산부(131)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합산부(131)는 피아식별 모드별로 측정된 질문신호들 각각의 송신주파수 출력값을 합산하여 합산출력값을 산출할 수 있다.
비교부(132)는 합산부(131)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합산부(131)가 합산한 합산출력값에 대한 정보가 비교부(132)에 전달될 수 있다. 비교부(132)는 합산출력값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값은 450Hz일 수 있다. 그러나 설정값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처리부(133)는 비교부(132)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비교부(132)의 비교결과에 대한 정보가 처리부(133)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산출력값이 450Hz를 초과하는 경우, 질문신호들을 송신한 안테나부(113)의 위치가 적군에게 노출될 위험이 있다. 합산출력값이 설정값 이하이면 처리부(133)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고, 합산출력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처리부(133)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여 합산출력값을 낮출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합산출력값이 상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처리부(133)는 질문기(110)가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처리부(133)가 질문신호 조합부(112)에서 안테나부(113)로 전달되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할 수 있다. 처리부(133)는 기준 설정부(133a), 우선순위 확인부(133b), 및 탈락부(133c)를 포함한다.
기준 설정부(133a)는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기준 설정부(133a)가 설정한 기준을 이용하여 질문순위들을 비교할 수 있다. 기준 설정부(133a)는 제1 설정부, 및 제2 설정부를 포함한다.
제1 설정부는 질문신호가 생성된 피아식별 모드에 따른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제1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국방부의 AIMS 인증 표준 기술문서에 따라 모드 5, 모드 3/A, 모드 2, 모드 1, 모드 C, 모드 S 순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순에서 낮아지도록 제1 기준이 설정하여, 모드 5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고, 모드 S의 우선순위가 가장 낮을 수 있다. 그러나 제1 설정부가 제1 기준을 설정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 설정부는 질문신호의 포맷 형태에 따른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제2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질문신호는 다양한 포멧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모드 5 방식으로 생성된 질문신호는 5개의 포멧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포멧 형태에 따라 질문신호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국방부의 AIMS 인증 표준 기술문서에 따라 포멧 3, 포멧 4, 포멧 1, 포멧 2, 포멧 0 순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순에서 낮아지도록 설정하여 포멧 3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고, 포멧 0의 우선순위가 가장 낮을 수 있다. 그러나 제2 설정부가 제2 기준을 설정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우선순위 확인부(133b)는 비교부(132) 및 기준 설정부(133a)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비교부(132)의 비교결과 합산출력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우선순위 확인부(133b)는 기준 설정부(133a)가 설정한 기준에 따라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 확인부(133b)는 제1 설정부가 설정한 제1 기준에 따라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한 후, 우선순위가 낮은 질문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질문신호들의 피아식별 모드에 따른 우선순위가 동일한 경우, 제2 설정부가 설정한 제2 기준에 따라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제2 기준에서 우선순위가 낮은 질문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우선순위 확인부(133b)는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질문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로 미리 설정된 개수에 포함되는 질문신호를 우선순위가 높은 질문신호로 분류하고, 설정된 개수에 포함되지 않는 질문신호는 우선순위가 낮은 질문신호로 분류할 수 있다.
탈락부(133c)는 우선순위 확인부(133b)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우선순위 확인부(133b)가 확인한 우선순위가 낮은 질문신호에 대한 정보가 탈락부(133c)에 전달될 수 있다. 탈락부(133c)는 질문신호들 중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질문신호(또는, 우선순위가 낮은 질문신호로 분류된 질문신호)를, 질문기(110)가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에서 탈락시킬 수 있다. 즉, 탈락부(133c)는 질문신호 조합부(112)와 안테나부(113)를 연결하는 케이블, 또는 질문신호 조합부(112)에 연결되어, 질문신호 조합부(112)에서 안테나부(113)로 전달되는 질문신호들 중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질문신호를 탈락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탈락된 질문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조합된 질문신호만 안테나부(113)로 전달되어 표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탈락된 질문신호에 의해 안테나부(113)가 송신하는 질문신호의 합산출력값은 설정값 이하가 될 수 있다.
한편, 처리부(133)는 알림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탈락부(133c)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탈락부(133c)가 탈락시킨 질문신호에 대한 정보가 알림부에 전달될 수 있다. 알림부는 탈락부(133c)가 탈락시킨 질문신호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운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운용자는 조합된 질문신호들 중 질문하지 않도록 탈락된 질문신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표적의 피아를 식별하기 위해 표적으로 송신하는 질문신호들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원하는 범위로 최적화할 수 있다. 따라서, 질문신호들을 송신한 위치를 적군이 파악하기 어렵게 질문신호들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낮출 수 있다. 이에, 질문신호들을 송신한 위치가 적군에게 노출되어 공격받을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용 질문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용 질문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용 질문방법은, 표적의 피아를 식별하기 위해 표적으로 질문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질문방법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피아식별용 질문방법은,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피아식별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생성된 질문신호를 조합하는 과정(S110), 질문신호들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측정하는 과정(S120), 및 측정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여 송신주파수 출력을 조절하는 과정(S130)을 포함한다.
이때, 피아식별용 질문방법은 도 1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용 질문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용 질문장치(100)로 피아식별용 질문방법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의 피아식별용 질문장치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용 질문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피아식별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생성된 질문신호를 조합한다(S110). 질문신호 생성부(111)는 피아식별 모드에 따라 질문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질문신호들을 표적을 송신하기 위해, 질문신호 생성부(111)가 선택된 피아식별 모드에 따라 생성한 질문신호들을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아식별 모드가 모드 1, 2, 3/A, 5, C, S를 포함하는 경우, 질문신호들의 조합은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았을 때 1개 조합, 질문신호를 1개를 선택했을 때 6개 조합, 질문신호를 2개를 선택했을 때 15개 조합, 질문신호를 3개를 선택했을 때 20개 조합, 질문신호를 4개를 선택했을 때 15개 조합, 질문신호를 5개를 선택했을 때 6개 조합, 질문신호를 6개를 선택했을 때 1개 조합으로, 총 64개의 경우의 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모드 5(Mode 5)는 다른 모드와는 다르게 5개의 포맷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 다음, 질문신호들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측정한다(S120). 송신주파수 출력은 펄스반복주파수일 수 있다. 이에, 질문신호들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측정하기 위해, 질문신호들 각각의 펄스반복주파수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질문신호 생성부(111)와 질문신호 조합부(112)를 연결하는 케이블, 또는 질문신호 조합부(112)에 연결되는 측정부(121)를 이용하여, 질문신호 조합부(112)로 전달되는 질문신호들 각각의 펄스반복주파수를 송신주파수 출력값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측정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여 송신주파수 출력을 조절한다(S130). 이를 위해, 질문신호들 각각의 송신주파수 출력값을 합산하여 합산출력값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측정부(121)가 합산출력값을 측정하지 못하고 질문신호들 각각의 송신주파수 출력값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질문신호들의 송신주파수 출력값을 합산하여 합산출력값을 산출할 수 있다. 합산출력값이 산출되면, 질문신호들의 조합이 변경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합산출력값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값은 450Hz일 수 있다. 합산출력값이 450Hz 이하인 경우 질문신호들을 송신한 안테나부(113)의 위치가 적군에게 노출될 위험이 적기 때문에,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합산출력값이 450Hz를 초과하는 경우, 질문신호들을 송신한 안테나부(113)의 위치가 적군에게 노출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여 합산출력값을 낮출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합산출력값이 상기 설정값을 초과하여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아식별 모드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여, 모드 5, 모드 3/A, 모드 2, 모드 1, 모드 C, 모드 S 순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순에서 낮아지도록 제1 기준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포멧 형태에 따라 질문신호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포멧 3, 포멧 4, 포멧 1, 포멧 2, 포멧 0 순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순에서 낮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기준이 정해지면 질문신호들 중 우선순위가 낮은 질문신호를,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에서 탈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에 따라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우선순위가 낮은 질문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질문신호들의 피아식별 모드에 따른 우선순위가 동일한 경우, 제2 기준에 따라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제2 기준에서 우선순위가 낮은 질문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우선순위 확인부(133b)는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질문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로 미리 설정된 개수에 포함되는 질문신호를 우선순위가 높은 질문신호로 분류하고, 설정된 개수에 포함되지 않는 질문신호는 우선순위가 낮은 질문신호로 분류할 수 있다. 질문신호들 중 우선순위가 낮은 질문신호질문신호들 중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질문신호(또는, 우선순위가 낮은 질문신호로 분류된 질문신호)를, 안테나부(113)로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에서 탈락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탈락된 질문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조합된 질문신호만 안테나부(113)로 전달되어 표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탈락된 질문신호에 의해 안테나부(113)가 송신하는 질문신호의 합산출력값은 설정값 이하가 될 수 있다.
이처럼 표적의 피아를 식별하기 위해 표적으로 송신하는 질문신호들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원하는 범위로 최적화할 수 있다. 따라서, 질문신호들을 송신한 위치를 적군이 파악하기 어렵게 질문신호들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낮출 수 있다. 이에, 질문신호들을 송신한 위치가 적군에게 노출되어 공격받을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며, 실시 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피아식별용 질문장치 110: 질문기
111: 질문신호 생성부 112: 질문신호 조합부
113: 안테나 120: 측정기
121: 측정부 122: 표시부
130: 처리기 131: 합산부
132: 비교부 133: 처리부
133a: 기준 설정부 133b: 우선순위 확인부
133c: 탈락부

Claims (12)

  1.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피아식별 모드별로 질문신호를 생성 가능하고, 질문신호들을 조합하여 표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질문기;
    질문신호들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질문기에 연결되는 측정기; 및
    상기 측정기의 측정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여 송신주파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기는,
    질문신호들 각각의 송신주파수 출력값을 합산하여 합산출력값을 산출하기 위한 합산부,
    상기 합산출력값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 및
    상기 합산출력값이 상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질문기가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는 기준 설정부,
    상기 기준 설정부가 설정한 기준에 따라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비교하기 위한 우선순위 확인부, 및
    질문신호들 중 우선순위가 낮은 질문신호를, 상기 질문기가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에서 탈락시키기 위한 탈락부를 포함하는 피아식별용 질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는,
    질문신호들 각각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송신주파수 출력값을 피아식별 모드에 따라 분류하여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피아식별용 질문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 설정부는,
    질문신호가 생성된 피아식별 모드에 따른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제1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제1 설정부; 및
    질문신호의 포맷 형태에 따른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제2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제2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 확인부는,
    질문신호들의 피아식별 모드에 따른 우선순위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기준에 따라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하는 피아식별용 질문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탈락부가 탈락시킨 질문신호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기 위한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피아식별용 질문장치.
  7.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피아식별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생성된 질문신호들을 조합하는 과정;
    질문신호들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측정하는 과정; 및
    측정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여 송신주파수 출력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여 송신주파수 출력을 조절하는 과정은,
    질문신호들 각각의 송신주파수 출력값을 합산하여 합산출력값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합산출력값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인 450Hz와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합산출력값이 상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주파수 출력은 펄스반복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질문신호들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측정하는 과정은, 질문신호들 각각의 펄스반복주파수를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피아식별용 질문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피아식별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생성된 질문신호들을 조합하는 과정;
    질문신호들의 송신주파수 출력을 측정하는 과정; 및
    측정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여 송신주파수 출력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여 송신주파수 출력을 조절하는 과정은,
    질문신호들 각각의 송신주파수 출력값을 합산하여 합산출력값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합산출력값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합산출력값이 상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하는 과정, 및
    질문신호들 중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질문신호를, 송신하려는 질문신호들의 조합에서 탈락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피아식별용 질문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하는 과정은,
    질문신호가 생성된 피아식별 모드에 따른 제1 기준에 따라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하는 과정; 및
    질문신호들의 피아식별 모드에 따른 우선순위가 동일한 경우, 질문신호의 포맷 형태에 따른 제2 기준에 따라 질문신호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피아식별용 질문방법.
KR1020230063039A 2023-05-16 피아식별용 질문장치 및 질문방법 KR102667104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7104B1 true KR102667104B1 (ko) 2024-05-20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037B1 (ko) 2018-04-06 2018-06-19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피아 식별용 질문 장치
KR102103828B1 (ko) 2019-06-28 2020-04-2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037B1 (ko) 2018-04-06 2018-06-19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피아 식별용 질문 장치
KR102103828B1 (ko) 2019-06-28 2020-04-2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개인전투체계용 피아식별 장치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2084T3 (es) Sistema y método de vigilancia y para evitar colisiones.
US79611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ir traffic surveillance
EP1464037B1 (en) On-board air traffic surveillance display distinguishing between formation and non-formation aircraft
EP2603814B1 (en) Method for providing spoof detection
US7474251B2 (en)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a collision avoidance system to enhance pilot awareness
EP2821808A1 (en) Radar apparatus and radar signal processing method
EP0653643A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vehicles
EP1953565B1 (en) Secondary surveillance radar and method of analyzing replies for secondary surveillance radar
JP2003511707A (ja) レーダーシステム及びレーダー法
Alincourt et al. Methodology for AIS signature identification through magnitude and temporal characterization
US20170011634A1 (en) Method for air-to-ground iff
Khandker et al. Cybersecurity attacks on software logic and error handling within AIS implementations: A systematic testing of resilience
US5461571A (en) Complementary thread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KR102667104B1 (ko) 피아식별용 질문장치 및 질문방법
CN107690590B (zh) 发射功率控制方法和实施该方法的飞行器防碰撞系统
JP4203819B2 (ja) Ssrモードs地上局での不良トランスポンダ応答除去システム及び方法
US7847722B2 (en) Secondary surveillance radar and method of analyzing replies for secondary surveillance radar
Hannah et al. Traffic collision avoidance system: threat actor model and attack taxonomy
EP3185623A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tealth radio communication
US2406396A (en) Equisignal radio beacon system
CN108351408A (zh) 由用于防止在飞行期间发生飞行器碰撞的系统实施的用于控制消息发射功率的方法
CN113933800A (zh) 一种融合航管二次雷达、ads-b和ais的检测系统及方法
EP01079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radar targets
Hannah A cyber threat taxonomy and a viability analysis for false injections in the TCAS
JPH0317586A (ja) 2次監視レーダのアンテナ放射素子遠隔監視法とその遠隔監視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