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695B1 - 정보 표시 장치, 프로그램 및 정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표시 장치, 프로그램 및 정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695B1
KR102103695B1 KR1020197033519A KR20197033519A KR102103695B1 KR 102103695 B1 KR102103695 B1 KR 102103695B1 KR 1020197033519 A KR1020197033519 A KR 1020197033519A KR 20197033519 A KR20197033519 A KR 20197033519A KR 102103695 B1 KR102103695 B1 KR 102103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 material
screen
data
screen lay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3268A (ko
Inventor
신지 마에다
야스노리 츠바키
히로노부 아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3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6Display of layout of documents; Preview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2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plural electronic cash registers [ECR] or to host computer, e.g. network details, transfer of information from host to ECR or from ECR to EC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9Specified transaction journal output feature, e.g. printed receipt or voice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으로부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을 선택하는 입력, 복수의 콘텐츠 소재로부터, 선택된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배치하는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선택하는 입력, 및, 선택된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이 갖는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배치하는 표시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부(111)와,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있어서, 선택된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의 콘텐츠 소재 화상을, 선택된 표시 영역에 배치한 콘텐츠 화면 화상의 화상 데이터인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콘텐츠 작성부(124)와,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콘텐츠 화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1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정보 표시 장치, 프로그램 및 정보 표시 방법
본 발명은, 정보 표시 장치, 프로그램 및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콘텐츠 화면 화상을 표시하는 정보 표시 장치, 프로그램 및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디스플레이 등의 정보 표시 장치를 사용해서, 광고, 판촉 또는 안내 등의 콘텐츠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옥외, 상업 시설 또는 교통 기관 등에서 널리 보급되어 있다. 정보 표시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사람들의 취향에 따라, 미리 콘텐츠를 편성하는 것에 의해, 디지털 사이니지는, 그 장소에 따른 효과적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은, 유통업에 있어서의 점두(店頭)에서의 디지털 사이니지로서, POS(Point Of Sales) 단말의 매상 상황의 정보를 이용해서, 정보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판매 촉진용 콘텐츠를 변경하는 기술을 나타내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은, 복수의 상품의 매상 목표를 미리 설정하여, 각 상품의 매상 상황의 정보를 POS 단말로부터 수집하고, 매상 목표와 매상 상황에 기초하여, 정보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콘텐츠를, 매상 목표가 미달성된 상품의 콘텐츠로 자동적으로 변경한다.
또한, 특허문헌 2는, 정보 표시 장치에 콘텐츠를 배신(配信)하는 서버에 있어서, 정보 표시 장치로부터 콘텐츠의 광고 효과의 정보를 수집하고, 광고 효과가 높은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술을 나타내고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은, 배신 서버가 정보 표시 장치로부터 콘텐츠의 광고 효과의 평가에 사용하는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배신 서버에 있어서 콘텐츠의 광고 효과를 평가하고, 콘텐츠의 화면 템플릿마다 광고 효과의 평가 결과를 축적하고, 콘텐츠 생성 시에 광고 효과가 높은 화면 템플릿을 사용한다.
일본 특허공개 2016-11891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4-52399호 공보
유통업에서는, 모든 점포에서 공통으로 판매 촉진에 주력하고자 하는 상품과, 점포의 객층, 입지, 기후 또는 재고 등의 상황에 따라, 점포마다 주력하고자 하는 상품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사이니지는, 정보 표시 장치에 콘텐츠를 배신하는 서버로 콘텐츠를 생성하고, 배신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기 때문에, 정보 표시 장치를 설치하는 관리자, 즉 점포의 책임자가 자신의 의사에 기초해서, 독자적으로 콘텐츠를 작성하거나, 정보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콘텐츠로서 다른 점포에서 작성된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해서 이용하는 것이 곤란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은, 자신의 점포의 상품의 매상 상황의 정보에 기초해서 정보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콘텐츠를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지만, 동일한 상품을 취급하는 다른 점포 중에서 매상이 호조인 점포가 이용하는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자신의 점포의 정보 표시 장치에 표시시킬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은, 서버가 콘텐츠를 생성할 때에, 광고 효과가 높은 콘텐츠의 상품 템플릿을 이용할 수 있지만,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콘텐츠의 상품과, 점포의 책임자가 주력하고자 하는 상품이 반드시 일치한다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서버가 배신하는 콘텐츠를 적절히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는, 복수의 표시 영역을 각각이 갖는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 복수의 콘텐츠 소재를 나타내는 콘텐츠 소재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의 각각의 화상에 각각이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소재 화상의 화상 데이터인 콘텐츠 소재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으로부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을 선택하는 입력,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로부터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배치하는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선택하는 입력, 및,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이 갖는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배치하는 표시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부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 화상 중에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의 콘텐츠 소재 화상을 특정하고,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있어서, 상기 특정된 콘텐츠 소재 화상을 상기 선택된 표시 영역에 배치한 콘텐츠 화면 화상의 화상 데이터인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콘텐츠 작성부와, 상기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콘텐츠 화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복수의 표시 영역을 각각이 갖는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 복수의 콘텐츠 소재를 나타내는 콘텐츠 소재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의 각각의 화상에 각각이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소재 화상의 화상 데이터인 콘텐츠 소재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 상기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으로부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을 선택하는 입력,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로부터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배치하는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선택하는 입력, 및,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이 갖는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배치하는 표시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 화상 중에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의 콘텐츠 소재 화상을 특정하고,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있어서, 상기 특정된 콘텐츠 소재 화상을 상기 선택된 표시 영역에 배치한 콘텐츠 화면 화상의 화상 데이터인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콘텐츠 작성부, 및, 상기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콘텐츠 화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정보 표시 방법은, 복수의 표시 영역을 각각이 갖는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으로부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고, 복수의 콘텐츠 소재로부터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배치하는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고,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이 갖는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배치하는 표시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의 각각의 화상에 각각이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소재 화상 중에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의 콘텐츠 소재 화상을 특정하고,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있어서, 상기 특정된 콘텐츠 소재 화상을 상기 선택된 표시 영역에 배치한 콘텐츠 화면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서버가 배신하는 콘텐츠를 적절히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정보 표시 시스템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정보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화면 레이아웃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화면 레이아웃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콘텐츠 소재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콘텐츠 소재 데이터로 나타내어지는 콘텐츠 소재의 속성을 테이블 형식으로 나타낸 표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정보 표시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정보 표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콘텐츠 소재 데이터와, 선택된 콘텐츠 소재 및 위치의 대응 관계를 테이블 형식으로 나타낸 표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정보 표시 시스템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상품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정보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정보 표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실시형태 1.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정보 표시 시스템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100)은, 정보 표시 장치(110A, 110B, 110C)와, 서버(130)를 구비한다.
정보 표시 장치(110A, 110B, 110C)의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정보 표시 장치(110)이라고 한다.
정보 표시 장치(110)와, 서버(130)는, 네트워크(101)에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정보 표시 장치(1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정보 표시 장치(110)는, 조작부(111)와, 표시부(112)와, 기억부(113)와, 통신부(114)와, 제어부(120)를 구비한다.
조작부(111)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의 입력을 접수한다. 예를 들면, 조작부(1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으로부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을 선택하는 입력, 선택된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배치하는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복수의 콘텐츠 소재로부터 선택하는 입력, 및, 선택된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이 갖는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배치하는 표시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한다.
한편, 조작부(1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가 특정의 표시 영역을 나타내고, 콘텐츠 소재 데이터가 특정의 콘텐츠 소재를 그 특정의 표시 영역에 배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특정의 콘텐츠 소재를 제외한 복수의 콘텐츠 소재로부터, 선택된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표시하는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선택하는 입력, 및, 특정의 표시 영역을 제외한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배치하는 표시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부(112)는, 각종 화면 화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112)는, 콘텐츠 화면 화상을 표시한다.
기억부(113)는, 정보 표시 장치(110)에서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114)는, 네트워크(101)를 통해서, 서버(130)와 통신을 행한다.
제어부(120)는, 정보 표시 장치(110)에서의 처리를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화면 레이아웃 취득부(121)와, 콘텐츠 소재 취득부(122)와, 콘텐츠 작성부(124)와, 유저 선택 처리부(123)를 구비한다.
화면 레이아웃 취득부(121)는, 통신부(114)를 통해서, 서버(130)로부터,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를 취득한다.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의 각각은, 콘텐츠 소재를 배치하는 복수의 표시 영역을 갖는다. 그리고, 취득된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는, 기억부(113)에 기억된다.
도 3은,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에 나타내어지고 있는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102)는, 화면 레이아웃을 XML 형식으로 표현하고 있고,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을 레이아웃 태그 <Layout>으로 표현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어지고 있는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102)는, 2개의 화면 레이아웃 「Layout_001」 및 「Layout_002」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화면 레이아웃을 표현하는 <Layout> 태그에는, 7개의 속성 「id」, 「rows」, 「cols」, 「elem_width」, 「elem_height」, 「margin_x」 및 「margin_y」가 포함되어 있다.
속성 「id」는, 화면 레이아웃의 식별 정보인 화면 레이아웃 ID를 나타낸다.
속성 「rows」는, 화면 레이아웃에 배치할 수 있는 요소(콘텐츠 소재의 표시 영역)의 행수를 나타낸다. 바꾸어 말하면, 속성 「rows」는, 화면 레이아웃의 세로 방향에 배치할 수 있는 요소의 최대수를 나타낸다.
속성 「cols」는, 화면 레이아웃에 배치할 수 있는 요소의 열수를 나타낸다. 바꾸어 말하면, 속성 「cols」는, 화면 레이아웃의 가로 방향에 배치할 수 있는 요소의 최대수를 나타낸다.
속성 「elem_width」는, 화면 레이아웃의 1행의 폭을 나타낸다.
속성 「elem_height」는, 화면 레이아웃의 1행의 높이를 나타낸다.
속성 「margin_x」는, 화면 레이아웃의 열간의 폭을 나타낸다.
속성 「margin_y」는, 화면 레이아웃의 행간의 폭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3에서는, 최초의 화면 레이아웃의 속성으로서, 화면 레이아웃 ID가 「Layout_001」(id="Layout_001"), 요소의 구성이 3행×4열(rows="3", cols="4"), 1열의 폭이 200픽셀(elem_width="200"), 1행의 높이가 150픽셀(elem_height="150"), 요소간의 여백이 종횡 각 10픽셀(margin_x="10", margin_y="10")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각의 화면 레이아웃은, 엘리먼트 태그 <Element>로 표현되는 요소로 구성된다.
각각의 요소를 표현하는 <Element> 태그에는, 6개의 속성 「id」, 「row」, 「col」, 「size_x」, 「size_y」 및 「show」가 포함되어 있다.
속성 「id」는, 요소의 식별 정보인 요소 ID를 나타낸다.
속성 「row」는, 요소의 상단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요소의 상단이 위치하는 행 번호를 나타낸다. 행 번호는, 화면 레이아웃 위로부터, 「1」부터 순번대로 자연수가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속성 「col」는, 요소의 상단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요소의 상단이 위치하는 열 번호를 나타낸다. 열 번호는, 화면 레이아웃을 향하여 좌측으로부터, 「1」부터 순번대로 자연수가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속성 「size_x」는, 요소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크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요소가 차지하는 열수를 나타낸다.
속성 「size_y」는, 요소의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크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요소가 차지하는 행수를 나타낸다.
속성 「show」는, 요소에 배치된 화상의 표시가 필수인지 임의인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3에서는, 화면 레이아웃 「Layout_001」의 최초의 요소는, 요소 ID가 Element_001(id="Element_001"), 요소의 상단의 위치가 1행째(row="1"), 좌단의 위치가 1열째(col="1"), 사이즈가 2행×2열(size_x="2", size_y="2"), 표시 속성이 필수(show="필수")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어지고 있는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102)에 있어서, 화면 레이아웃 ID 「Layout_001」에 대응하는 화면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어지고 있는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102)에 있어서, 화면 레이아웃 ID 「Layout_002」에 대응하는 화면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도 5에 나타내어지고 있는 바와 같이,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102)는, 표시부(112)에 표시하는 콘텐츠 화면 화상에 있어서, 콘텐츠 소재를 배치할 수 있는 복수의 표시 영역인 요소를 갖는 화면 레이아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102)는, 속성 「show」를 「필수」로 하는 것에 의해, 특정의 표시 영역(요소)에, 미리 정해진 콘텐츠 소재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로 되돌아가서, 콘텐츠 소재 취득부(122)는, 서버(130)로부터, 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소재를 나타내는 콘텐츠 소재 데이터 및 콘텐츠 소재의 화상인 섬네일 화상의 화상 데이터인 섬네일(thumbnail)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취득된 콘텐츠 소재 데이터 및 섬네일 화상 데이터는, 기억부(113)에 기억된다. 한편, 섬네일 화상은, 콘텐츠 소재의 화상이기 때문에, 콘텐츠 소재 화상이라고도 하고, 섬네일 화상 데이터는, 콘텐츠 소재 화상 데이터라고도 한다.
도 6은, 콘텐츠 소재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에 나타내어지고 있는 콘텐츠 소재 데이터(103)는, 콘텐츠 소재를 XML 형식으로 표현하고 있고, 1개의 콘텐츠 소재를 콘텐츠 태그 <Content>로 표현하고 있다. 도 6에서는, 콘텐츠 리스트 태그 <ContentList>로 나타내어지는 콘텐츠 소재 데이터(103)에, 17개의 콘텐츠 소재가 포함되어 있다.
각각의 콘텐츠 소재를 표현하는 <Content> 태그에는, 6개의 속성 「id」, 「item」, 「show」, 「date」, 「thumbnail」 및 「layout」이 포함되어 있다.
속성 「id」는, 콘텐츠 소재의 식별 정보인 콘텐츠 소재 ID를 나타낸다.
속성 「item」은, 콘텐츠 소재의 섬네일 화상에 의해서 표시되는 상품의 식별 정보인 상품 ID를 나타낸다.
속성 「show」는, 콘텐츠 소재의 표시가 필수인지 임의인지를 나타낸다.
속성 「date」는, 콘텐츠 소재의 섬네일 화상 데이터가 작성된 일시를 나타낸다.
속성 「thumbnail」은, 콘텐츠 소재의 섬네일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을 나타낸다.
속성 「layout」은, 콘텐츠 소재의 섬네일 화상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요소 ID를 나타낸다. 한편, 속성 「layout」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콘텐츠 소재의 섬네일 화상의 배치 위치가 임의인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6에서는, 콘텐츠 소재 데이터(103) 「ContentList」의 최초의 콘텐츠 소재는, 콘텐츠 소재 ID가 001001(id="001001"), 상품 ID가 001(item="001"), 표시 속성이 필수(show="필수"), 날짜가 2016/12/15 10:00(date="2016/12/15 10:00"), 섬네일 화상의 파일명이 tn001001.png(thumbnail="tn001001.png="), 배치 위치의 요소 ID가 Element_001(layout="Element_001")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 콘텐츠 소재 데이터(103)에 의해, 복수의 콘텐츠 소재가 나타내어진다.
또한, 콘텐츠 소재 데이터(103)는, 속성 「layout」에 의해, 특정의 콘텐츠 소재가, 화면 레이아웃의 특정의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도 7은, 도 6에 나타내어지고 있는 콘텐츠 소재 데이터(103)로 나타내어지는 콘텐츠 소재의 속성을 테이블 형식으로 나타낸 표이다.
도 2로 되돌아가서, 유저 선택 처리부(123)는, 조작부(111) 및 표시부(112)를 통해서, 표시하는 콘텐츠 소재 및 콘텐츠 소재를 배치하는 화면 레이아웃의 선택을 접수하는 처리를 제어하는 처리부이다.
콘텐츠 작성부(124)는, 화면 레이아웃 취득부(121)가 취득한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 콘텐츠 소재 취득부(122)가 취득한 콘텐츠 소재 데이터, 및, 유저 선택 처리부(123)가 접수한 유저의 선택에 기초해서, 콘텐츠 화면 화상의 화상 데이터인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콘텐츠 작성부(124)는,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가 특정의 표시 영역을 나타내고, 콘텐츠 소재 데이터가 특정의 콘텐츠 소재를 특정의 표시 영역에 배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선택된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있어서, 특정의 콘텐츠 소재의 섬네일 화상(제 1 콘텐츠 소재 화상; 제 1 섬네일 화상)을 특정하고, 그 섬네일 화상을 특정의 표시 영역에 배치한다.
한편, 콘텐츠 작성부(124)는, 선택된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있어서, 선택된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의 섬네일 화상(제 2 콘텐츠 소재 화상; 제 2 섬네일 화상)을 특정하고, 그 섬네일 화상이 선택된 표시 영역에 배치된 콘텐츠 화면 화상의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8은, 정보 표시 장치(110)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정보 표시 장치(110)는, 프로세서(160)와, 플래시 메모리(161)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162)과, 기억 매체(163)와, 입력 장치(164)와, 통신 인터페이스(이하, 통신 I/F라고 함)(165)와, 표시 장치 인터페이스(이하, 표시 장치 I/F라고 함)(166)와, 표시 장치(167)를 구비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OS(Operating System), 각종 어플리케이션 및 펌웨어 등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장치이고, 필요에 따라서 DRAM(162) 등에 액세스하고, 정보 표시 장치(110)의 각 블록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20)는, 프로세서(160)가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되어도 되고, 또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서 제공되어도 된다. 즉,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프로그램 프로덕트로서 제공되어도 된다.
플래시 메모리(161)는, 프로세서(160)로 실행되는 OS, 어플리케이션 및 펌웨어 등의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DRAM(162)은, 프로세서(160)가 프로그램 등을 실행할 때에, OS,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휘발성 메모리이다.
기억 매체(163)는, 예를 들면, HDD(Hard Disk Drive)로 구성되고,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 및 콘텐츠 소재 데이터 등을 기록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예를 들면, 기억부(113)는, 플래시 메모리(161), DRAM(162) 및 기억 매체(163)에 의해 실현된다.
입력 장치(164)는, 유저가 지시 등을 입력하는 키 또는 버튼 등이다.
예를 들면, 조작부(111)는, 입력 장치(164)에 의해 실현된다.
통신 I/F(165)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등으로 구성되고, 네트워크(101)를 경유해서, 서버(130)와의 사이의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통신부(114)는, 통신 I/F(165)에 의해 실현된다.
표시 장치 I/F(166)는, 입력된 영상 신호 및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화면 화상 등의 합성 처리를 행하고, 표시 장치(167)에 출력한다.
표시 장치(167)는, 각종 화면 화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112)는, 표시 장치 I/F(166) 및 표시 장치(167)에 의해 실현된다.
도 9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서버(13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서버(130)는, 기억부(131)와, 통신부(132)와, 제어부(140)를 구비한다.
기억부(131)는, 서버(130)에서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132)는, 네트워크(101)를 통해서, 정보 표시 장치(110)와 통신을 행한다.
제어부(140)는, 서버(130)에서의 처리를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화면 레이아웃 배신부(141)와, 콘텐츠 소재 배신부(142)를 구비한다.
화면 레이아웃 배신부(141)는, 정보 표시 장치(110)로부터의 요구에 부응하여, 기억부(131)에 기억되어 있는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를, 통신부(132)를 통해서, 정보 표시 장치(110)에 송신한다.
콘텐츠 소재 배신부(142)는, 정보 표시 장치(110)로부터의 요구에 부응하여, 기억부(131)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소재 데이터 및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통신부(132)를 통해서, 정보 표시 장치(110)에 송신한다.
도 10은, 서버(130)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서버(130)는, 프로세서(170)와, 플래시 메모리(171)와, DRAM(172)과, 기억 매체(173)와, 통신 I/F(174)를 구비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OS, 각종 어플리케이션 및 펌웨어 등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장치이고, 필요에 따라서 DRAM(172) 등에 액세스하고, 서버(130)의 각 블록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프로세서(170)가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되어도 되고, 또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서 제공되어도 된다. 즉,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프로그램 프로덕트로서 제공되어도 된다.
플래시 메모리(171)는, 프로세서(170)로 실행되는 OS, 어플리케이션 및 펌웨어 등의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DRAM(172)은, 프로세서(170)가 프로그램 등을 실행할 때에, OS,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휘발성 메모리이다.
기억 매체(173)는, 예를 들면, HDD로 구성되고,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 및 콘텐츠 소재 데이터 등을 기록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예를 들면, 기억부(131)는, 플래시 메모리(171), DRAM(172) 및 기억 매체(173)에 의해 실현된다.
통신 I/F(174)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등으로 구성되고, 네트워크(101)를 경유해서, 정보 표시 장치(110)와의 사이의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통신부(132)는, 통신 I/F(174)에 의해 실현된다.
다음으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정보 표시 장치(1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정보 표시 장치(110)가 서버(130)에 접속하고, 서버(130)로부터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 콘텐츠 소재 데이터 및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 콘텐츠 화면 화상을 표시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정보 표시 장치(110)의 통신부(114)가 네트워크(101)를 경유해서 서버(130)에 접속하면, 우선, 화면 레이아웃 취득부(121)가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를 취득한다(S10).
그리고, 유저 선택 처리부(123)는, 취득된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에 기초해서, 표시부(112)에 화면 레이아웃의 일람을 표시한다(S11). 예를 들면, 유저 선택 처리부(123)는, 취득된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로 나타내어지고 있는 각각의 화면 레이아웃을 미리 정해진 비율로 축소하는 것에 의해, 화면 레이아웃의 섬네일 화상(화면 레이아웃 화상)의 화상 데이터인 화면 레이아웃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화면 레이아웃 화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표시부(112)에 화면 레이아웃의 일람을 표시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유저 선택 처리부(123)는,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 화상을, 화면 레이아웃의 일람으로서, 표시부(112)에 표시시킨다.
다음으로, 유저가, 조작부(111)를 이용해서, 화면 레이아웃의 일람으로부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의 섬네일 화상을 선택하면(S12), 유저 선택 처리부(123)는, 선택된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화면 레이아웃의 화면 레이아웃 ID를 기억부(113)에 기억시킴으로써, 보존한다(S13).
또, 콘텐츠 소재 취득부(122)는, 콘텐츠 소재 데이터 및 콘텐츠 소재의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S14).
그리고, 유저가, 정보 표시 장치(110)의 조작부(111)에, 콘텐츠 소재를 표시하고자 하는 상품의 식별 정보인 상품 ID를 입력하면(S15), 유저 선택 처리부(123)는, 취득된 콘텐츠 소재 데이터 및 섬네일 화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입력된 상품 ID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의 일람을 표시부(112)에 표시시킨다(S16). 여기에서, 유저 선택 처리부(123)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로 나타내어지는 섬네일 화상을 축소해서, 그 일람을 표시부(112)에 표시시켜도 된다.
다음으로, 유저가, 조작부(111)를 이용해서, 섬네일 화상의 일람으로부터 1개의 섬네일 화상을 선택하면(S17), 유저 선택 처리부(123)는, 선택된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콘텐츠 소재의 콘텐츠 소재 ID를 기억부(113)에 기억시킴으로써, 보존한다(S18).
또, 유저가, 조작부(111)를 이용해서, 스텝(S12)에서 선택된 화면 레이아웃에 있어서의, 스텝(S17)에서 선택된 콘텐츠 소재의 배치 위치인 요소를 선택하면(S19), 유저 선택 처리부(123)는, 선택된 콘텐츠 소재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요소 ID를 기억부(113)에 기억시킴으로써, 보존한다(S20). 예를 들면, 유저 선택 처리부(123)는, 스텝(S12)에서 선택된 화면 레이아웃의 섬네일 화상(예를 들면, 도 4 또는 도 5)을 표시부(112)에 표시해서, 유저로부터 조작부(111)를 통해서, 스텝(S17)에서 선택된 콘텐츠 소재의 배치 위치(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내어지고 있는 「Element」)의 선택을 접수하면 된다.
그리고, 유저가 콘텐츠 작성을 계속하는 경우(S21에서 Yes)에는, 처리는 스텝(S15)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유저가 콘텐츠 작성을 종료하는 경우(S21에서 No), 유저는 콘텐츠 작성의 종료를 조작부(111)에 입력한다(S22). 도 12는, 콘텐츠 소재 데이터와, 선택된 콘텐츠 소재 및 위치의 대응 관계를 테이블 형식으로 나타낸 표이다.
이에 의해, 콘텐츠 작성부(124)는, 스텝(S12)에서 선택된 화면 레이아웃에 있어서, 스텝(S17)에서 선택된 콘텐츠 소재의 섬네일 화상을, 스텝(S19)에서 선택된 배치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한다. 그리고, 콘텐츠 작성부(124)는, 작성된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112)에 보냄으로써, 표시부(112)에 콘텐츠 화면 화상을 표시시킨다(S23).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정보 표시 장치(110)가 콘텐츠 화면 화상을 작성할 때에, 콘텐츠 소재의 표시 속성에 기초하여, 콘텐츠 소재를 선택하고, 화면 레이아웃에 배치하도록 구성했으므로, 모든 정보 표시 장치(110)에서 공통으로 표시하고자 하는 상품의 콘텐츠 소재의 표시 속성을 필수로 설정하고, 각 정보 표시 장치(110)에서 독자적으로 표시하는 상품의 콘텐츠 소재의 표시 속성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콘텐츠 화면 화상을 적절히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13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정보 표시 시스템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200)은, 정보 표시 장치(210A, 210B, 210C)와, 서버(230)와, POS 단말(280A, 280B, 280C)과, POS 서버(290)를 구비한다.
정보 표시 장치(210A, 210B, 210C)의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정보 표시 장치(210)라고 한다.
POS 단말(280A, 280B, 280C)의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POS 단말(280)이라고 한다.
정보 표시 장치(210)와, 서버(130)와, POS 단말(280)과, POS 서버(290)는, 네트워크(101)에 접속되어 있다.
POS 단말(280)은, 각각의 점포에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점포에서 판매된 상품의 판매 데이터를 POS 서버(290)에 송신한다. 판매 데이터는, 상품마다, 상품의 식별 정보인 상품 ID와, POS 단말(280)이 설치되어 있는 점포의 식별 정보인 점포 ID와, POS 단말(280)이 설치되어 있는 점포에서 표시되어 있는 콘텐츠 화면 화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품에 대응하는 콘텐츠 소재(표시 콘텐츠 소재)의 식별 정보인 콘텐츠 소재 ID(표시 콘텐츠 소재 ID)와, 상품의 매상을 나타내는 정보인 매상액을 포함한다.
POS 서버(290)는, POS 단말(280)로부터 보내져 온 판매 데이터를 상품마다 집계함으로써, 상품마다 상품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14는, 상품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품 데이터(291)는, 대응하는 상품의 판매 데이터를, 점포마다 집계한 테이블 형식의 데이터이다.
상품 데이터(291)는, 상품 ID열(291a)과, 점포 ID열(291b)과, 콘텐츠 소재 ID열(291c)과, 점포 입지열(291d)과, 상품 매상액열(291e)을 갖는다.
상품 ID열(291a)은, 상품 데이터(291)의 대상이 되고 있는 상품의 상품 ID를 저장한다.
점포 ID열(291b)은, POS 단말(280)이 설치되어 있는 점포의 점포 ID를 저장한다.
콘텐츠 소재 ID열(291c)은, 상품 데이터(291)의 대상이 되고 있는 상품에 있어서, POS 단말(280)이 설치되어 있는 점포에서 표시되어 있는 콘텐츠 화면 화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콘텐츠 소재(표시 콘텐츠 소재)의 콘텐츠 소재 ID(표시 콘텐츠 소재 ID)를 저장한다.
점포 입지열(291d)은, POS 단말(280)이 설치되어 있는 점포의 입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점포의 입지를 나타내는 정보는, 점포마다 미리 POS 서버(290)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상품 매상액열(291e)은, 점포마다의, 상품 데이터(291)의 대상이 되고 있는 상품의 매상액을 저장한다.
이상과 같은 상품 데이터는, POS 서버(290)에 의해 생성되고, 서버(230)에 송신된다.
도 15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정보 표시 장치(2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정보 표시 장치(210)는, 조작부(111)와, 표시부(112)와, 기억부(213)와, 통신부(114)와, 제어부(220)를 구비한다.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정보 표시 장치(210)의 조작부(111), 표시부(112) 및 통신부(114)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기억부(213)는, 정보 표시 장치(210)에서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실시형태 2에서는, 서버(230)로부터 취득된 상품 데이터도 기억된다.
제어부(220)는, 정보 표시 장치(210)에서의 처리를 제어한다.
제어부(220)는, 화면 레이아웃 취득부(121)와, 콘텐츠 소재 취득부(122)와, 콘텐츠 작성부(124)와, 유저 선택 처리부(223)와, 상품 데이터 취득부(225)를 구비한다.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제어부(220)의 화면 레이아웃 취득부(121), 콘텐츠 소재 취득부(122) 및 콘텐츠 작성부(124)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상품 데이터 취득부(225)는, 통신부(114)를 통해서, 서버(230)로부터 상품 데이터를 취득한다. 취득된 상품 데이터는, 기억부(213)에 기억된다.
유저 선택 처리부(223)는, 조작부(111) 및 표시부(112)를 통해서, 표시하는 콘텐츠 소재 및 콘텐츠 소재를 배치하는 화면 레이아웃의 선택을 접수하는 처리를 제어한다.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유저 선택 처리부(223)는, 서버(230)로부터 취득된 상품 데이터로부터, 표시하는 콘텐츠 소재의 선택을 받는다.
도 16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서버(23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서버(230)는, 기억부(231)와, 통신부(132)와, 제어부(240)를 구비한다.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서버(230)의 통신부(132)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기억부(231)는, 서버(230)에서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실시형태 2에서는, 기억부(231)는, POS 서버(290)로부터 취득된 상품 데이터도 기억한다.
제어부(240)는, 서버(230)에서의 처리를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화면 레이아웃 배신부(141)와, 콘텐츠 소재 배신부(142)와, 상품 데이터 배신부(243)을 구비한다.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제어부(240)의 화면 레이아웃 배신부(141) 및 콘텐츠 소재 배신부(142)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상품 데이터 배신부(243)는, 통신부(132)를 통해서, POS 서버(290)로부터 상품 데이터를 취득해서, 취득된 상품 데이터를 기억부(231)에 기억한다.
또한, 상품 데이터 배신부(243)는, 정보 표시 장치(210)로부터의 요구에 부응하여, 기억부(231)에 기억되어 있는 상품 데이터를, 통신부(132)를 통해서, 정보 표시 장치(210)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정보 표시 장치(2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정보 표시 장치(210)가 서버(230)에 접속하고, 서버(230)로부터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 콘텐츠 소재 데이터, 섬네일 화상 데이터 및 상품 데이터를 취득하고,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 콘텐츠 화면 화상을 표시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한편, 도 17에 나타내어지고 있는 플로 차트의 스텝 중, 도 11에 나타내어지고 있는 플로 차트의 스텝과 마찬가지의 스텝에 대해서는, 도 11과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도 17의 스텝(S10)∼스텝(S14)은, 도 11의 스텝(S10)∼스텝(S14)과 마찬가지이다. 단, 도 17에 있어서, 스텝(S14) 후에는, 처리는 스텝(S30)으로 진행된다.
스텝(S30)에서는, 상품 데이터 취득부(225)는, 상품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유저가, 정보 표시 장치(210)의 조작부(111)에, 콘텐츠 소재를 표시하고자 하는 상품의 식별 정보인 상품 ID를 입력하면(S15), 유저 선택 처리부(223)는, 입력된 상품 ID에 대응하는 상품 데이터를 표시부(112)에 표시한다(S31). 한편, 유저 선택 처리부(223)는, 취득된 콘텐츠 소재 데이터 및 섬네일 화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입력된 상품 ID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의 일람도 상품 데이터와 함께 표시부(112)에 표시해도 된다.
다음으로, 유저가, 조작부(111)를 이용해서, 상품 데이터로부터 1개의 콘텐츠 소재 ID를 선택하면, 유저 선택 처리부(223)는, 선택된 콘텐츠 소재 ID를 기억부(213)에 기억시킴으로써, 보존한다(S33).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어지고 있는 상품 데이터(291)에 기초해서, 입지가 주택지인 점포의 책임자가, 상품 ID 「002」의 판매 촉진용의 콘텐츠 화면 화상을 작성하는 경우, 점포의 입지 조건이 자신의 점포와 동일한 주택지인 점포 ID 「003」∼「005」의 3점포 중, 상품 ID 「002」의 상품의 매상액이 가장 큰 점포 ID 「005」로 사용되고 있는 콘텐츠 소재 ID 「002005」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가장 매상이 큰 점포와 동등한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는, 스텝(S19)으로 진행되고, 이후의 스텝(S19∼S23)은, 도 11의 스텝(S19∼S23)과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2에 의하면, 정보 표시 장치(210)의 유저는, 콘텐츠 화면 화상을 작성할 때에, 점포의 입지 조건 및 상품의 매상액을 포함하는 상품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 소재를 선택하고, 화면 레이아웃에 배치함으로써, 정보 표시 장치(210)의 유저, 즉, 점포의 책임자가, 다른 점포에서 사용되고 있는 콘텐츠 화면 화상을 참조해서, 보다 광고 효과가 높은 콘텐츠 화면 화상을 작성할 수 있다.
한편, 정보 표시 장치(110, 210)가, 자기 장치로 작성된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를 서버(130, 230)에 송신하고, 서버(130, 230)에서 그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를 기억(보존) 해 둠으로써, 다른 정보 표시 장치(110, 210)가 서버(130, 230)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에,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상품의 매상액을 연결해 둠으로써, 다른 정보 표시 장치(110, 210)의 유저는, 보다 광고 효과가 높은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100, 200: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110, 210: 정보 표시 장치, 111: 조작부, 112: 표시부, 113: 기억부, 114: 통신부, 120, 220: 제어부, 121: 화면 레이아웃 취득부, 122: 콘텐츠 소재 취득부, 123, 223: 유저 선택 처리부, 124: 콘텐츠 작성부, 225: 상품 데이터 취득부, 130, 230: 서버, 280: POS 단말, 290: POS 서버.

Claims (10)

  1. 복수의 표시 영역을 각각이 갖는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 복수의 콘텐츠 소재를 나타내는 콘텐츠 소재 데이터,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의 각각의 화상에 각각이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소재 화상의 화상 데이터인 콘텐츠 소재 화상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로부터 선택된 콘텐츠 소재인 표시 콘텐츠 소재의 콘텐츠 소재 화상을 배치한 콘텐츠 화면 화상을 표시한 점포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 콘텐츠 소재에 대응하는 상품의 매상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으로부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을 선택하는 입력,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로부터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배치하는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선택하는 입력, 및,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이 갖는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배치하는 표시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부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 화상 중에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의 콘텐츠 소재 화상을 특정하고,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있어서, 상기 특정된 콘텐츠 소재 화상을 상기 선택된 표시 영역에 배치한 콘텐츠 화면 화상의 화상 데이터인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콘텐츠 작성부와,
    상기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콘텐츠 화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의 각각을 각각이 나타내는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킴과 함께, 상기 상품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표시 콘텐츠 소재에 대응하는 상품의 매상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을 선택하는 입력으로서, 상기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 화상으로부터 1개의 화면 레이아웃 화상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함과 함께,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선택하는 입력으로서, 상기 표시 콘텐츠 소재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의 각각이 갖는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 내의 특정의 표시 영역에, 미리 정해진 콘텐츠 소재가 배치되는 것을 더 나타내고 있고,
    상기 콘텐츠 소재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 중의 특정의 콘텐츠 소재가 상기 특정의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더 나타내고 있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특정의 콘텐츠 소재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로부터,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표시하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선택하는 입력, 및, 상기 특정의 표시 영역을 제외한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배치하는 상기 표시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고,
    상기 콘텐츠 작성부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 화상 중에서, 상기 특정의 콘텐츠 소재의 콘텐츠 소재 화상을 제 1 콘텐츠 소재 화상으로서 특정함과 함께,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 화상 중에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의 콘텐츠 소재 화상을 제 2 콘텐츠 소재 화상으로서 특정하고,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텐츠 소재 화상을 상기 특정의 표시 영역에 배치하고, 상기 제 2 콘텐츠 소재 화상을 상기 선택된 표시 영역에 배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콘텐츠 소재 화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복수의 콘텐츠 소재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선택하는 입력으로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 화상으로부터,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배치하는 콘텐츠 소재의 콘텐츠 소재 화상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를 취득해서, 상기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화면 레이아웃 취득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 소재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 소재 화상 데이터를 취득해서, 상기 콘텐츠 소재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 소재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콘텐츠 소재 취득부를 더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장치.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데이터는, 상기 점포의 입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나타내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상품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표시 콘텐츠 소재에 대응하는 상품의 매상을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상기 점포의 입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를 취득해서, 상기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화면 레이아웃 취득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 소재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 소재 화상 데이터를 취득해서, 상기 콘텐츠 소재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 소재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콘텐츠 소재 취득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데이터를 취득해서, 상기 상품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상품 데이터 취득부를 더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장치.
  9. 컴퓨터를,
    복수의 표시 영역을 각각이 갖는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 복수의 콘텐츠 소재를 나타내는 콘텐츠 소재 데이터,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의 각각의 화상에 각각이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소재 화상의 화상 데이터인 콘텐츠 소재 화상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로부터 선택된 콘텐츠 소재인 표시 콘텐츠 소재의 콘텐츠 소재 화상을 배치한 콘텐츠 화면 화상을 표시한 점포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 콘텐츠 소재에 대응하는 상품의 매상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
    상기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으로부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을 선택하는 입력,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로부터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배치하는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선택하는 입력, 및,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이 갖는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배치하는 표시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 화상 중에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의 콘텐츠 소재 화상을 특정하고,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있어서, 상기 특정된 콘텐츠 소재 화상을 상기 선택된 표시 영역에 배치한 콘텐츠 화면 화상의 화상 데이터인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콘텐츠 화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의 각각을 각각이 나타내는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킴과 함께, 상기 상품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표시 콘텐츠 소재에 대응하는 상품의 매상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을 선택하는 입력으로서, 상기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 화상으로부터 1개의 화면 레이아웃 화상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함과 함께,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선택하는 입력으로서, 상기 표시 콘텐츠 소재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10. 복수의 표시 영역을 각각이 갖는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 복수의 콘텐츠 소재를 나타내는 콘텐츠 소재 데이터,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의 각각의 화상에 각각이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소재 화상의 화상 데이터인 콘텐츠 소재 화상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로부터 선택된 콘텐츠 소재인 표시 콘텐츠 소재의 콘텐츠 소재 화상을 배치한 콘텐츠 화면 화상을 표시한 점포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 콘텐츠 소재에 대응하는 상품의 매상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
    상기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으로부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을 선택하는 입력,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로부터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배치하는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선택하는 입력, 및,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이 갖는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배치하는 표시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소재 화상 중에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의 콘텐츠 소재 화상을 특정하고,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에 있어서, 상기 특정된 콘텐츠 소재 화상을 상기 선택된 표시 영역에 배치한 콘텐츠 화면 화상의 화상 데이터인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콘텐츠 화면 화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콘텐츠 화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정보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레이아웃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의 각각을 각각이 나타내는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킴과 함께, 상기 상품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표시 콘텐츠 소재에 대응하는 상품의 매상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1개의 화면 레이아웃을 선택하는 입력으로서, 상기 복수의 화면 레이아웃 화상으로부터 1개의 화면 레이아웃 화상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함과 함께,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소재를 선택하는 입력으로서, 상기 표시 콘텐츠 소재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방법.
KR1020197033519A 2017-05-19 2017-05-19 정보 표시 장치, 프로그램 및 정보 표시 방법 KR102103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8863 WO2018211693A1 (ja) 2017-05-19 2017-05-19 情報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表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268A KR20190133268A (ko) 2019-12-02
KR102103695B1 true KR102103695B1 (ko) 2020-04-23

Family

ID=6057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519A KR102103695B1 (ko) 2017-05-19 2017-05-19 정보 표시 장치, 프로그램 및 정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066018A1 (ko)
JP (1) JP6242556B1 (ko)
KR (1) KR102103695B1 (ko)
CN (1) CN110612551A (ko)
DE (1) DE112017007447T5 (ko)
TW (1) TWI680402B (ko)
WO (1) WO20182116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6864B2 (en) * 2018-06-11 2021-03-02 Adobe Inc. Grid layout determination from a document image
US11574429B1 (en) * 2019-04-30 2023-02-07 Splunk Inc. Automated generation of display layou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5092A (ja) 2003-09-10 2005-03-31 Dainippon Printing Co Ltd Pop広告票作成装置及び方法、並びにpop広告票作成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40136935A1 (en) 2012-11-13 2014-05-15 Cas Designs Group, Lp Dba Kaleidoscope Digital medi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of use
JP2015082694A (ja) 2013-10-21 2015-04-2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作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6185557A1 (ja) 2015-05-19 2016-11-24 楽天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2399A (ja) 2012-09-05 2014-03-20 Toshiba Tec Corp 情報配信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18916A (ja) 2014-12-19 2016-06-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77410A (ja) * 2015-03-19 2016-10-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5092A (ja) 2003-09-10 2005-03-31 Dainippon Printing Co Ltd Pop広告票作成装置及び方法、並びにpop広告票作成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40136935A1 (en) 2012-11-13 2014-05-15 Cas Designs Group, Lp Dba Kaleidoscope Digital medi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of use
JP2015082694A (ja) 2013-10-21 2015-04-2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作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6185557A1 (ja) 2015-05-19 2016-11-24 楽天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7007447T5 (de) 2020-01-23
US20200066018A1 (en) 2020-02-27
WO2018211693A1 (ja) 2018-11-22
TWI680402B (zh) 2019-12-21
TW201901408A (zh) 2019-01-01
JPWO2018211693A1 (ja) 2019-06-27
CN110612551A (zh) 2019-12-24
JP6242556B1 (ja) 2017-12-06
KR20190133268A (ko) 201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0728B2 (en) Dynamic user interface for previewing live content
CN101086739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程序
US20120278730A1 (en) Ordering content in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US10339587B2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creating a product by applying images to materials
JP2007527065A (ja) 画像グループを表すアイコンを生成する方法、当該方法を実行するよう構成される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プロダクト及びデータキャリア
CN100444098C (zh) 图像选择方法和设备
CN101546588A (zh) 图像处理装置及方法
US20160283099A1 (en) Interactive content timeline platform
KR102103695B1 (ko) 정보 표시 장치, 프로그램 및 정보 표시 방법
US9779077B2 (en) Representation of data records in graphic tables
JP6170966B2 (ja)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US202201295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ook-based personalized social media service
JP2021051718A5 (ko)
JP7386085B2 (ja) 情報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表示方法
JP6823104B2 (ja) 画像データ処理システム、画像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画像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KR20170049739A (ko) 전자 카탈로그 제작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JP682939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配信方法、及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US20110205595A1 (en) System for creating medium having image laid out thereon,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 th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6545870B2 (ja) 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商品データ設定システムおよび価格表示設定方法
US201501495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displaying and managing content units
JP6551846B2 (ja) ページ処理装置、ページ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66808B1 (ja) 拡張現実映像提供システム
JP2024014868A (ja) アプリケーション生成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システム
JP6303445B2 (ja) 電子帳票システム、帳票検索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560933B2 (ja) リンク統合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