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231B1 -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231B1
KR102103231B1 KR1020190040934A KR20190040934A KR102103231B1 KR 102103231 B1 KR102103231 B1 KR 102103231B1 KR 1020190040934 A KR1020190040934 A KR 1020190040934A KR 20190040934 A KR20190040934 A KR 20190040934A KR 102103231 B1 KR102103231 B1 KR 102103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body
master cylinder
mold
manufacturing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주)디오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오시스 filed Critical (주)디오시스
Priority to KR1020190040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21C1/22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08Making wire, bars, tubes
    • B21C23/085Mak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9/00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 B22D19/08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for building-up linings or coverings, e.g. of anti-frictional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측단이 밀폐되고, 개구단 타측단에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내부체를 성형하는 단계 ; 상기 내부체의 개구된 일측과 대응하는 밀봉재로서 상기 내부체의 입구단을 밀봉하는 단계 ; 상기 내부체를 금형의 캐비티에 배치한 다음 상기 캐비티로 소재를 주입하여 상기 내부체의 외부면을 덮으면서 일체화되는 외부체를 성형하는 단계 ; 상기 내부체의 입구단을 밀봉하는 밀봉재를 분리제거하는 단계 ; 상기 외부체와 내부체를 관통하는 제1유출입공과 제2유출입공을 형성하여 후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the master cylinder of break}
본 발명은 차량의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마스터 실린더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강성재로 이루어지는 내부체를 선공정으로 성형한 다음 연성재로 이루어지는 외부체를 내부체와 일체화는 후공정을 수행하여 실린더 본체를 제조할 수 있는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제동장치는 주행중인 차량을 감속 또는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차상태를 지속하기 위한 필수 불가결한 장치로서, 이러한 제동장치에는 차량을 주행 중 정지시킬 때에 사용하는 주브레이크가 있는데, 이러한 주브레이크에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차량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공기식 브레이크와 유압을 이용하여 차량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식 브레이크가 있다.
그리고 유압식 브레이크에는 브레이크 페달의 압력을 유압으로 변환시키는 마스터실린더와, 상기 마스터실린더의 유압을 전달받아 브레이크슈를 드럼에 밀어붙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휠실린더와, 휠실린더와 마스터실린더의 사이에서 유로를 형성하는 브레이크라인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마스터 실린더(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소재로 성형되는 실린더 본체(10)와, 상기 실린더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왕복이동되는 피스톤(20)과 스템을 매개로 연결되는 플런저(30) 및 브레이크 페달(P)과 연결되어 작동되는 플런저(30)와 피스톤(20)과의 사이에 구비되는 복귀스프링(40)으로 구비된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P)의 누름작동시 상기 플런저와 피스톤사이에 해당하는 실린더 본체 내의 브레이크 오일은 실린더 본체(10)에 관통형성된 제2유출입공(12)과 연통연결된 오일공급라인(55)을 통하여 릴리즈 실린더(미도시)측으로 공급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누름해제시 오일탱크에 저장된 브레이크오일은 실린더 본체에 관통형성되어 오일탱크(50)와 연통연결되는 제1유출입공(11)을 통하여 보충되는 것이다.
이러한 마스터 실린더를 구성하는 실린더 본체(10)를 제조하는 공정은 다이캐스팅 주조법, 중력주조법, 단조법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실린더본체를 성형 제조하고, 성형된 실린더본체의 내,외부를 기계가공한 다음, 피스톤, 플런저 및 복귀스프링과 같은 구성부품과 조립하여 최종적인 마스터실린더 최종제품을 제조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중력주조법으로 마스터실린더의 실린더 본체를 제조하는 경우, 알루미늄소재를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액상화한 상태에서 주형 등에 주입하여 성형하게 되므로 깨끗한 표면을 갖는 성형제품을 얻을 수 있고, 설비비가 비교적 저렴하고 초기 관리유지비가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지만, 주조과정에서 액상소재가 응고되면서 조대한 수지상조직(dendrite)을 생성시켜 물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기포나 응고수축(shrinkage)에 의한 내부결함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응고된 소재가 열처리나 용접 등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우수한 물성을 갖는 최종제품을 제조할 수 없게 되고, 실린더 본체의 내면가공시 노출되는 기공에 의해서 불량제품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제품수율을 저하시키는 한편, 구조적 강성을 위해서 하드 아노다이징과 같은 표면처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는 경우 아노다이징 산처리로 인하여 표면조도가 불량해지면서 누유현상을 초래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단조법으로 마스터실린더의 실린더본체를 제조하는 경우, 냉간 또는 열간 상태의 소재를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프레스의 압력에 의해 금형의 수명이 단축되면서 제조단가가 상승되고, 가공공정이 복잡하며 형상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단조가공된 실린더 본체에 미세한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이캐스팅 주조법으로 마스터 실린더본체를 제조하는 경우, 전체구조가 복잡하면서 얇은 두께를 갖는 제품을 제조함과 동시에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생산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는 반면에, 기계적 성질의 한계가 있고 치수 정확도 및 표면 다듬질의 불량 및 주조면에 내부기공이 발생하는 불량율이 높아 수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1442662 B1
(특허문헌 2) KR10-0833280 B1
(특허문헌 3) KR10-0407836 B1
(특허문헌 4) KR10-2015-0075869 A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강성재로 이루어지는 내부체를 선공정으로 성형한 다음 연성재로 이루어지는 외부체를 내부체와 일체화는 후공정을 수행하여 실린더 본체를 제조할 수 있는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일측단이 밀폐되고, 개구단 타측단에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내부체를 성형하는 단계 ; 상기 내부체의 개구된 일측과 대응하는 밀봉재로서 상기 내부체의 입구단을 밀봉하는 단계 ; 상기 내부체를 금형의 캐비티에 배치한 다음 상기 캐비티로 소재를 주입하여 상기 내부체의 외부면을 덮으면서 일체화되는 외부체를 성형하는 단계 ; 상기 내부체의 입구단을 밀봉하는 밀봉재를 분리제거하는 단계 ; 상기 외부체와 내부체를 관통하는 제1유출입공과 제2유출입공을 형성하여 후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체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일측단이 개구되고, 타측단이 밀폐된 내부체를 단조공정에 의해서 성형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체를 성형하는 단계는, 압출 또는 인발공정에 의해서 양단이 개구된 중공재를 성형하고, 개구된 일단에 차단판을 일체로 용접하여 밀폐한 다음, 개구된 타단에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내부체를 성형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봉재는 상기 내부체의 개구된 일단 외측테두리에 압입되어 내주면이 밀착되는 외부링을 일체로 갖는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봉재는 상기 내부체의 개구된 일단 내측테두리에 압입되어 외주면이 밀착되는 내부링을 일체로 갖는 판체로 이루어질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체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체와 일체화되는 외부체를 사출성형 방식으로 성형하거나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방식으로 성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체는 연성재로 이루어지는 외부체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강성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처리 단계는 상기 외부체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2외부돌출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외부체와 내부체를 관통하는 제1유출입공과 제2유출입공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처리 단계는 상기 내부체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외부체의 외부면에 단부가 노출되는 제1,2 내부돌출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내부체를 관통하는 제1유출입공과 제2유출입공을 관통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강성재로 이루어지는 내부체를 선가공한 다음 연성재로 이루어지는 외부체를 내부체와 일체화하도록 후성형하여 실린더 본체를 제조함으로써 실린더 본체의 중력주조시 발생하는 기공에 기인하는 제품불량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불량율을 낮추어 수율을 높일 수 있다.
중량재로 이루어지는 내부체를 선가공한 다음 경량재로 이루어지는 외부체를 내부체와 일체화하도록 후성형하여 실린더본체를 제조함으로써 중력주조시 및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조되는 실린더 본체의 전체중량에 비하여 무게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구성부품이 내장되는 내부체를 무게가 무거운 강성재로 이루어지고, 외부노출되는 외부체를 무게가 가벼운 연성재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성부품과 결합되어 조립되는 내부체의 내부면을 표면가공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고, 외부체에 대한 마무리가공이 용이하여 구성부품과의 결합력을 높이고 조립정밀도를 높일 수 있어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후처리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내부체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내부체와 밀봉재를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내부체를 금형에 배치하여 외부체를 성형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내부체를 다른 금형에 배치하여 외부체를 성형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내부체와 일체화된 외부체로부터 밀봉재를 분리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내부체와 외부체된 실린더 본체에 제1,2유출입공을 형성하는 상태들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다른 내부체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내부체에 다른 밀봉재를 적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다른 내부체와 이에 일체로 외부체가 일체로 성형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은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체 성형단계(S1), 내부체의 입구 밀봉단계(S2), 외부체 성형단계(S3), 밀봉재 분리제거단계(S4) 및 후처리 단계(S5)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체 성형단계(S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강성재를 원소재로 하여 일측단이 밀폐되고, 개구된 타측단에 플랜지부(103)를 구비하는 중공원통형의 내부체(100)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체(100)는 마스터 실린더를 구성하는 피스톤, 플런저 및 복귀스프링을 내부수용하여 조립하고, 상기 피스톤(20) 및 플런저(30)의 각 외주면이 내주면에 접하게 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내부체(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103)를 구비하는 일측단이 개구되고, 타측단이 밀폐된 중공형 원통부재로 단조공정에 의해서 성형제조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출 또는 인발공정에 의해서 양단이 개구된 중공재를 성형하고, 개구된 일단에 차단판(110)을 일체로 용접하여 밀폐처리한 다음, 개구된 타단에 플랜지부(103)를 성형하는 것에 의해서 성형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103)는 상기 내부체의 외부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내부체의 외부면에 나사방식 또는 용접방식으로 일체화되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체(100)는 상기 피스톤(20) 및 플런저(30)의 외주면과 접하는 내주면을 대략 평균입도 4 내지 10㎛ 를 갖도록 기계가공하여 표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내부체(100)의 내부면에 대한 표면처리에 의해서 상기 피스톤 및 플런저와의 접촉시 브레이크오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부체(100)의 내부면에 대한 표면처리 기계가공은 상기 내부체를 성형제조한 다음 CNC 선반을 이용하여 정밀 가공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외부체와 일체화한 다음 NC 선반을 이용하여 정밀 가공할 수 있다.
상기 내부체(100)의 입구 밀봉단계(S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체(100)의 개구된 일측과 대응하는 대략 원반상의 밀봉재(150)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체(100)의 개방된 입구를 완전히 밀봉처리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체(100)의 개방된 입구를 밀봉재(150)로서 밀봉하여 차단함으로써 상기 내부체(100)와 일체화하기 위한 외부체(300)의 성형시 주입되는 소재가 내부체(10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밀봉재(1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체(100)의 개구된 일단 외측테두리에 외주면이 압입되는 외부링(151)을 일측면에 일체로 갖는 판체로 이루어지거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체(100)의 개구된 일단 내측테두리에 외주면이 압입되는 내부링(152)을 일측면에 일체로 갖는 판체로 이루어질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체(100)의 개구된 일단 외측테두리에 외력에 의해서 압입되어 밀착되는 외부링(151)의 내주면과, 상기 내부체(100)의 개구된 일단 내측테두리에 압입되어 밀착되는 내부링(152)의 외주면에는 상기 내부체(100)의 개구된 일단과의 대응결합 및 외력에 의한 압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부체의 개구된 일단은 상기 밀봉재의 프레스 압입방식에 의해서 밀봉처리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내부체의 개구된 일단은 상기 밀봉재의 내부링 또는 외부링과 나사결합방식으로 조립되어 밀봉처리할 수 있다.
상기 외부체 성형단계(S3)는 도 4a 와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가공된 내부체(100)를 금형(200)의 캐비티(C)에 배치한 다음 상기 캐비티(C)로 액상의 소재를 강제주입하여 채움으로써, 상기 내부체(100)의 외부면을 전체적으로 덮어 일체화되는 외부체(300)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체(100)와 일체화하도록 외부체(300)를 성형하는 금형(200)은 용융된 소재를 강제 주입하여 기계가공된 금형과 동일한 제품을 주조성형하는 사출금형금형이거나 다이캐스팅 금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외부체(300)는 사출 성형방식 또는 다이캐스팅주조 성형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체(100)와 일체화하도록 외부체(300)를 성형하는 금형(200)은 도 4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체(100)가 내부배치되는 캐비티(C)를 형성하는 제1금형(210a)과, 융용된 소재를 주입하는 주입구(225a)를 형성한 제2금형(220a)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내부체(100)가 배치되는 제1금형(210a)과, 주입구(225a)를 형성한 제2금형(220a)간의 합형으로 형성되는 캐비티(C)의 내부로 용융된 원소재를 주입하여 충진함으로써 상기 내부체(100)의 외부면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덮으면서 일체화되는 외부체(300)를 성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부체(100)의 밀봉재(150)는 상기 제1금형(210a)의 캐비티 중심에 정위치되도록 상기 제2금형(220a)의 일측면과 접하여 가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체가 배치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1금형(210a)의 내부면에는 상기 실린더 본체의 제1,2유출입공(11,12)을 형성하기 위한 제1,2요홈(211,212)을 서로 인접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1금형(100)의 입구단에는 상기 내부체(100)의 플랜지부(103)가 배치되는 제2요홈(213)을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 사출 성형방식 또는 다이캐스팅주조 성형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성형후 제1,2금형(210a,220a)으로 이루어지는 금형(200)이 탈형되면, 상기 내부체(100)를 덮어 일체화되도록 성형되는 외부체(300)의 외부면에는 제1,2요홈에 의해서 상기 제1,2유출입공(11,12)을 관통형성하기 위한 제1,2외부돌출부(301,302)를 돌출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체(100)의 플랜지부(103)를 덮어 일체화하는 플랜지 덮개부(303)를 성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부체(300)는 정밀한 성형이 가능하고 성형후 후처리 기계가공이 용이하도록 상기 내부체(100)를 구성하는 원소재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수지 또는 금속재의 원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체(100)와 일체화하도록 외부체(300)를 성형하는 다른 금형(200)은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체(100)가 내부배치되는 캐비티(C)를 형성하는 제1코어금형(210)을 내부에 구비하는 제1베이스금형(210b)과, 융용된 원소재를 주입하는 주입구(225b)를 형성하는 제2코어금형(220)을 갖는 제2베이스금형(220b)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내부체(110)가 배치되는 제1코어금형(210)을 갖는 제1베이스금형(210b)과, 주입구(225b)를 형성한 제2코어금형(220)을 갖는 제2베이스금형(220b)의 합형으로 형성되는 캐비티의 내부로 용융된 원소재를 주입하여 충진함으로써 상기 내부체(100)의 외부면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덮으면서 일체화되는 외부체(300)를 성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베이스금형(220b)에는 합형시 상기 제2코어금형(220)의 주입구(225b)와 연통연결되어 용융된 원소재가 주입되는 다른 주입구(225c)를 형성하며, 상기 내부체(100)의 밀봉재(150)는 상기 제1코어금형(210)의 캐비티 중심에 정위치되도록 상기 제2코어금형(220)의 일측면과 접하여 가고정되거나 함몰형성되는 조립홈(221)에 억지끼움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코어금형(210,220)은 상기 제1,2베이스금형(210b,220b)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조립됨으로써 상기 내부체에 일체로 성형되는 외부체의 두께 및 형상에 관련된 성형조건에 따라 다른 코어금형으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어금형(210)의 내부면에는 상기 제1,2유출입공(11,12)을 형성하기 위한 제1,2요홈(211,212)을 서로 인접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1코어금형(220)의 입구단에는 상기 내부체(100)의 플랜지부(103)가 배치되는 제2요홈(213)을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 사출 성형방식 또는 다이캐스팅주조 성형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성형후, 상기 제1코어금형(210)을 갖는 제1베이스금형(210b)과, 상기 제2코어금형(220)을 갖는 제2베이스금형(220b)으로 이루어지는 금형(200)이 탈형되면, 상기 내부체(100)를 덮어 일체화되도록 성형되는 외부체(300)의 외부면에는 제1,2요홈에 의해서 상기 제1,2유출입공(11,12)을 관통형성하기 위한 제1,2외부돌출부(301,302)를 돌출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체(100)의 플랜지부(103)를 덮어 일체화하는 플랜지 덮개부(303)를 성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부체(300)는 정밀한 성형이 가능하고 성형후 후처리 기계가공이 용이하도록 상기 내부체(100)를 구성하는 원소재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수지 또는 금속재의 원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재 분리제거단계(S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체(300)를 내부체(100)와 일체화하기 위한 후공정인 성형공정을 위해서 상기 내부체(100)의 개방된 입구단을 임시적으로 밀봉하고 있던 밀봉재(150)를 상기 외부체(300)의 성형이후에 분리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체(100)의 개방된 입구단으로부터 상기 밀봉재(150)를 분리제거하는 공정은, 상기 내부체(100)의 개방된 입구단에 압입된 밀봉재(150)를 외측으로 강제로 외력에 의해서 당기어 분리해제하거나 상기 플랜지부(103)와 이에 대응하는 밀봉재(150)의 단부와의 사이에 해당하는 경계영역을 절단하여 분리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상기 밀봉재(150)를 분리제거하여 개방된 내부체의 입구단은 밀봉재가 압입된 부위 또는 절단부위를 기계가공하여 표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적으로, 상기 후처리 단계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체(100)와 외부체(300)가 서로 일체화된 일체 구조물을 관통하여 오일탱크(50)와 연통연결되는 제1유출입공(11)과, 릴리이즈 실린더의 오일공급라인(55)과 연통연결되는 제2유출입공(12)을 각각 관통형성하여 후처리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유출입공(11)과 제2유출입공(12)은 상기 외부체의 외부면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2외부돌출부(301,302)에 상기 외부체(300)와 내부체(100)를 동시에 통과하는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출입공(11)과 제2유출입공(12)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체(300)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2외부돌출부(301,302)를 기준으로 하여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유출입공(11)과 제2유출입공(12)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체(100)의 성형시 그 외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2내부 돌출부(101,102)를 기준으로 하여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내부 돌출부(101,102)가 내부체(100)의 외부면에 선공정에서 돌출형성된 다음, 상기 제1,2내부돌출부(101,102)의 각 단부가 후공정으로 성형되는 외부체(300)의 외부면에 노출됨으로써, 상기 제1유출입공(11)과 제2유출입공(12)은 상기 외부체를 경유하지 않고 내부체 만을 통과하는 단일한 형태의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지와 같은 연성재로 이루어지는 외부체(300)에 제1,2유출입공(11,12)을 관통형성하는 기계가공작업에 비하여 금속과 같은 강성재로 이루어지는 내부체에 제1,2유출입공(11,12)을 관통형성하는 기계가공작업을 보다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나라 강성재로 이루어지는 내부체에 형성된 제1,2유출입공과 연결라인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밀폐된 내부체를 1차 성형한 다음, 선가공된 내부체와 일체화되도록 외부체를 2차 성형함으로써 제1,2유출입공(11,12)과 플랜지부(103)를 갖는 마스터 실린더용 실린더 본체(10)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부체와 일체화된 내부체의 내부공간에 피스톤, 플런저 및 복귀스프링을 조립하여 오일탱크와 릴리즈 실린더사이에 사용되는 마스터 실린더를 제조완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내부체
101 : 제1내부 돌출부
102 : 제2외부 돌출부
103 : 플랜지부
150 : 밀봉재
151 : 외부링
152 : 내부링
200 : 금형
210, 220 : 제1,2코어금형
210a,220a : 제1,2금형
210b,220b : 제1,2베이스금형
225a,225b : 주입구
300 : 외부체
301 : 제1외부 돌출부
302 : 제2외부 돌출부
303 : 플랜지 덮개부

Claims (9)

  1. 일측단이 밀폐되고, 개구단 타측단에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내부체를 성형하는 단계 ;
    상기 내부체의 개구된 일측과 대응하는 밀봉재로서 상기 내부체의 입구단을 밀봉하는 단계 ;
    상기 내부체를 금형의 캐비티에 배치한 다음 상기 캐비티로 소재를 주입하여 상기 내부체의 외부면을 덮으면서 일체화되는 외부체를 성형하는 단계 ;
    상기 내부체의 입구단을 밀봉하는 밀봉재를 분리제거하는 단계 ;
    상기 외부체와 내부체를 관통하는 제1유출입공과 제2유출입공을 형성하여 후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체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일측단이 개구되고, 타측단이 밀폐된 내부체를 단조공정에 의해서 성형제조하는,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체를 성형하는 단계는, 압출 또는 인발공정에 의해서 양단이 개구된 중공재를 성형하고, 개구된 일단에 차단판을 일체로 용접하여 밀폐한 다음, 개구된 타단에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내부체를 성형제조하는,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는 상기 내부체의 개구된 일단 외측테두리에 압입되어 내주면이 밀착되는 외부링을 일체로 갖는 판체로 이루어지는,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는 상기 내부체의 개구된 일단 내측테두리에 압입되어 외주면이 밀착되는 내부링을 일체로 갖는 판체로 이루어지는,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체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체와 일체화되는 외부체를 사출성형 방식으로 성형하거나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방식으로 성형하는,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체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2외부돌출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외부체와 내부체를 관통하는 제1유출입공과 제2유출입공을 형성하는,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체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외부체의 외부면에 단부가 노출되는 제1,2 내부돌출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내부체를 관통하는 제1유출입공과 제2유출입공을 관통형성하는,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
KR1020190040934A 2019-04-08 2019-04-08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 KR102103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934A KR102103231B1 (ko) 2019-04-08 2019-04-08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934A KR102103231B1 (ko) 2019-04-08 2019-04-08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231B1 true KR102103231B1 (ko) 2020-04-23

Family

ID=70472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934A KR102103231B1 (ko) 2019-04-08 2019-04-08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2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1263A (ja) * 1985-06-19 1986-12-22 Tokico Ltd マスタシリンダ用シリンダ装置
KR940007432Y1 (ko) * 1992-11-03 1994-10-20 마규하 차량용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의 구조
KR20000024988A (ko) * 1998-10-07 2000-05-06 토니헬샴 복합재료 실린더 및 그 제조방법
KR100407836B1 (ko) * 2000-04-14 2003-12-01 강충길 자동차용 마스터실린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1263A (ja) * 1985-06-19 1986-12-22 Tokico Ltd マスタシリンダ用シリンダ装置
KR940007432Y1 (ko) * 1992-11-03 1994-10-20 마규하 차량용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의 구조
KR20000024988A (ko) * 1998-10-07 2000-05-06 토니헬샴 복합재료 실린더 및 그 제조방법
KR100407836B1 (ko) * 2000-04-14 2003-12-01 강충길 자동차용 마스터실린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856B1 (ko)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구조의 캘리퍼 하우징 제조 방법
US6298818B1 (en) Cylinder liner and cylinder blo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03231B1 (ko)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
KR20020075200A (ko) 주조방법 및 주조용 금형장치
US8997834B2 (en) Method for producing of hollow die cast products
KR101619722B1 (ko) 알루미늄 클러치 하우징 제조용 3단 다이캐스팅 금형
JPS61135852A (ja) マスターシリンダ
EP4063040A1 (en) Master cylinder manufacturing method
US5617725A (en) Piston for a master cylinder
JP3758103B2 (ja) 据込み鍛造方法
US6123539A (en) Die assembly for making a propeller structure
JP5798965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中空ピストン及び成形ダイス
WO2021101102A1 (ko) 마스터 실린더 제조방법
KR20210086453A (ko) 마스터 실린더의 외부체 형성용 다이캐스팅재, 이를 이용한 마스터 실린더 및 이의 제조방법
US6412171B1 (e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piston wherein inner bottom surface of hollow head section has 3-dimensional configuration nonaxisymmetric with respect to its centerline
KR101627982B1 (ko) 알루미늄 클러치 하우징의 제조 방법
EP2268518B1 (en) Modular master cylinder body
KR101467426B1 (ko) 하이브리드 다이캐스팅 공법
CN218207687U (zh) 利用芯轴射胶生产的汽车齿轮泵齿轮
KR20200024469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시뮬레이터 피스톤의 제조방법
JP2002192294A (ja) 球冠状シューの製造方法
JP2545024B2 (ja) 射出成形用金型
JPH084916B2 (ja) 溶湯鍛造方法および装置
JPH0586733B2 (ko)
CN219597977U (zh) 一种闭塞模锻造模具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