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228B1 - 전동식 서핑보드 - Google Patents

전동식 서핑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228B1
KR102103228B1 KR1020190061282A KR20190061282A KR102103228B1 KR 102103228 B1 KR102103228 B1 KR 102103228B1 KR 1020190061282 A KR1020190061282 A KR 1020190061282A KR 20190061282 A KR20190061282 A KR 20190061282A KR 102103228 B1 KR102103228 B1 KR 102103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board
module
driving module
housing
suppor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원
배영진
최정복
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테이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테이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테이컴퍼니
Priority to KR1020190061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228B1/ko
Priority to PCT/KR2020/006708 priority patent/WO20202421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10Motor-propelled water sports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60Board appendages, e.g. fins, hydrofoils or centre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propulsion power units being controlled from exterior of engine room, e.g. from navigation bridge; Arrangements of order telegrap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서핑보드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서핑보드를 추진하여 수면 위로 부상시킬 수 있고, 서핑보드와 추진장치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폭방향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부에 탑승하는 서핑보드; 일측 단부가 서핑보드에 설치되는 지지모듈; 지지모듈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고, 서핑보드를 추진하는 구동모듈; 구동모듈에 설치되고, 구동모듈의 추진력에 의해 서핑보드를 부상시키는 수중익; 및 구동모듈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서핑보드, 지지모듈, 구동모듈, 수중익 중 어느 한 쌍이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된다.

Description

전동식 서핑보드{POWERED SURFING BOARD}
본 발명은 전동식 서핑보드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서핑보드를 추진하여 수면 위로 부상시킬 수 있고, 서핑보드와 추진장치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핑(surfing)은 사용자가 서핑보드의 상부에 탑승한 상태에서 무게중심을 이동하며 서핑보드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고, 해안쪽으로 밀려드는 파도를 이용하여 서핑보드를 추진하며 속도를 즐기는 스포츠의 일종이다.
이러한 서핑은 수면에 파도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또는 서핑보드를 처음 접하거나 능숙하지 않은 경우 서핑보드가 진행되기 위한 추진력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물살에 의한 저항에 의해 서핑보드의 속도가 저감되는 문제가 있다.
KR 20-0248305
본 발명의 목적은 서핑보드를 추진하여 수면 위로 부상시킬 수 있고, 서핑보드와 추진장치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폭방향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부에 탑승하는 서핑보드; 일측 단부가 서핑보드에 설치되는 지지모듈; 지지모듈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고, 서핑보드를 추진하는 구동모듈; 구동모듈에 설치되고, 구동모듈의 추진력에 의해 서핑보드를 부상시키는 수중익; 및 구동모듈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서핑보드, 지지모듈, 구동모듈, 수중익 중 어느 한 쌍이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된다.
본 발명에서 서핑보드는 지지모듈이 설치되는 몸체; 구동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배터리가 수용되는 공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서핑보드는 몸체에 힌지결합되어 공간부를 개폐하는 덮개; 공간부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몸체에 설치되어 몸체로부터 덮개를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서핑보드, 지지모듈, 구동모듈, 수중익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거나 형성되는 수부; 및 나머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거나 형성되어 수부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암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어모듈에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모듈의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리모트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서핑보드는 구동모듈과 수중익을 통해 서핑보드를 추진하여 수면 위로 부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핑보드가 수면 위로 부상됨으로써 서핑보드에 가해지는 저항이 감소되어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구성 간 결합 또는 분리됨으로써 운반 및 관리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순차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서핑보드의 블록도,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정면도, 후면도, 단면도, 분해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에 도시된 공간부의 확대도이다.
도 8a,b는 순차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지지모듈의 사시도,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구동모듈에서 포드의 일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2b는 도 1에 도시된 체졀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도 8b에 도시된 유체케이스에 유체가 유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a,b는 순차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구동모듈의 작동 전, 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리모트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후술되는 내용에 표현된 방향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지지모듈(120)을 기준하여 "상부"의 상(上)은 서핑보드(110) 측으로 향한 방향이며, "하부"의 하(下)는 구동모듈(130) 측으로 향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서핑보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순차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서핑보드의 블록도,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정면도, 후면도, 단면도,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전동식 서핑보드(100)는 사용자가 탑승하기 위한 서핑보드(110), 상기 서핑보드(110)를 추진하여 수면 위로 부상시키기 위한 추진장치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진장치는 지지모듈(120), 구동모듈(130), 수중익(140), 제어모듈(150)을 포함한다.
상기 서핑보드(110)는 폭방향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고, 부력에 의해 수면 위에 떠있는 판상 부재로서, 폴리우레탄 폼, 폴리에틸렌 레진, 발포 폴리스티렌 폼, 에폭시 레진 등과 같이 공지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서핑보드(110)는 사용자가 상부에 탑승하여 별도의 조향장치없이 사용자의 무게중심 이동으로 진로방향이 전환된다.
상기 지지모듈(120)은 상기 서핑보드(110)와 구동모듈(130)이 설치되어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지지모듈(120)의 일측 단부가 상기 서핑보드(110)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듈(130)은 상기 서핑보드(110)를 추진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지지모듈(12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수중익(140)은 상기 구동모듈(130)의 추진력에 의해 상기 서핑보드(110)를 수면 위로 부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구동모듈(1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전방날개(141), 타측에 설치되는 후방날개(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모듈(150)은 상기 구동모듈(13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전동식 서핑보드(100)는 상기 서핑보드(110), 지지모듈(120), 구동모듈(130), 수중익(140) 중 어느 한 쌍이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된다.
즉, 각 구성이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됨으로써 상기 전동식 서핑보드(100)의 운반 및 관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7는 도 6에 도시된 공간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서핑보드(110)는 몸체(111), 배터리(112), 공간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1)는 물살의 저항을 줄여주기 위해 상기 몸체(111)의 일측 단부에 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11)의 타측 단부에 상기 지지모듈(120)이 설치된다.
상기 공간부(113)는 상기 배터리(112)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상기 몸체(111)의 내부에 형성되어 하부 측으로 개방된다.
상기 배터리(112)는 상기 제어모듈(150)과 구동모듈(130)에 전원을 공급하며, 육면체인 박스 형태로 일측에 손잡이(112a)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배터리(112)를 상기 공간부(113)에 인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12)가 상기 공간부(113)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해, 상기 몸체(111)는 브라켓(114), 잠금장치(11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14)은 상기 공간부(113)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112)가 상기 공간부(113)에 인입 시 상기 배터리(112)의 단부가 상기 브라켓(114)에 걸리게 된다.
상기 잠금장치(115)는 회전래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부(113)의 바닥에 설치되고, 회전되어 상기 배터리(112)의 단부에 걸리게 된다.
즉, 상기 배터리(112)가 상기 브라켓(114)에 1차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장치(115)의 2차 고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배터리(112)가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공간부(11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113)의 내부에 물을 비롯한 이물질이 유입되어 배터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서핑보드(110)는 덮개(116)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덮개(116)는 상기 몸체(111)의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공간부(113)를 개폐하며, 상기 덮개(116)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잠금장치(115)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115)는 상기 공간부(113)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몸체(111)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장치(115)의 회전에 의해 상기 덮개(116)가 상기 몸체(111)로부터 고정되거나 해제된다.
즉, 상기 덮개(116)와 잠금장치(115)가 상기 몸체(111)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몸체(111)의 상부에 탑승하는 사용자가 상기 덮개(116) 또는 잠금장치(115)의 모서리에 의해 부상을 당할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116)가 상기 몸체(111)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서핑보드(110)가 수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공간부(113)의 내부 공기에 의한 에어포켓 효과로 인해 유체가 상기 공간부(113)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상기 배터리(112)의 방수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113)의 기밀성을 보다 확보하기 위해 상기 몸체(111)는 실링부재(117), 실링홈(117a)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실링홈(117a)은 상기 공간부(113)의 둘레를 따라 상기 몸체(111)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117)는 상기 실링홈(117a)에 대응되도록 상기 덮개(116)에 설치된다.
즉, 상기 공간부(113)의 폐쇄 시, 상기 실링부재(117)가 상기 실링홈(117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공간부(113)의 기밀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8a,b는 순차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지지모듈의 사시도, 분해사시도이다.
도 8a,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모듈(120)은 프레임(121), 하우징(122)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21)은 내부에 중공(121a)이 형성되어 양측이 연통된다.
상기 하우징(122)은 상기 프레임(121)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서핑보드(110)에 결합 또는 분리되고, 내부에 상기 제어모듈(150)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22)의 하부는 상기 제어모듈(150)의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구동모듈(130) 간에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되기 위해 상기 중공(121a)에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22)의 하부에 관통공(122a)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22)은 상기 제어모듈(15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알루미늄와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공지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22)은 상기 제어모듈(150)을 보호하는 기능 외에, 상기 서핑보드(110)와 지지모듈(120) 간 결합분리 기능, 상기 제어모듈(150)의 방열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11)는 삽입부(118), 커넥터(11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118)는 상기 하우징(122)에 대응되도록 상기 몸체(111)의 타측 단부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18)에 상기 하우징(122)이 결합되어 상기 몸체(111)에 고정된다.
상기 커넥터(119)는 상기 배터리(112)의 전원 및, 상기 배터리(112)의 전체용량, 충전량과 같은 데이터를 상기 제어모듈(150)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암커넥터(119a), 수커넥터(119b)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된다.
상기 커넥터(119)는 상기 암커넥터(119a)가 상기 공간부(113)와 삽입부(118) 간에 설치되는 경우, 수커넥터(119b)는 상기 하우징(122)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커넥터(119a)와 수커넥터(119b)의 위치는 상호 변경될 수 있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구동모듈에서 포드의 일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모듈(130)은 포드(131), 전동모터(132), 프로펠러(133)를 포함한다.
상기 포드(131)는 내부가 빈 유선형 형태의 하우징으로, 전방포드(131a), 후방포드(131b)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포드(131a)는 상기 지지모듈(120)의 타측 단부가 삽입되고, 내부에 상기 전동모터(132)가 설치된다.
상기 전방포드(131a)와 상기 지지모듈(120)은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제어모듈(150)로부터 전선이 상기 중공(121a)을 통해 상기 전방포드(131a)로 연장되어 상기 전동모터(132)에 연결된다.
상기 전방포드(131a)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방날개(141)가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 상기 프로펠러(133)가 설치된다.
상기 프로펠러(133)는 상기 전동모터(132)의 회전축(132a)에 결합되고, 상기 전동모터(132)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서핑보드(110)의 추진력이 발생한다.
상기 후방포드(131b)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방포드(131a)의 타측 단부에 하방 절곡되어 설치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후방날개(142)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전동모터(132)의 추진력에 의해 상기 전방날개(141)와 후방날개(142)에 양력이 발생하고, 상기 구동모듈(130)에 연결된 지지모듈(120)에 의해 상기 서핑보드(110)가 수면 위로 부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핑보드(110)가 수면 위로 부상됨으로써 상기 서핑보드(110)에 가해지는 저항이 감소되어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전동식 서핑보드(100)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전동식 서핑보드(100)는 각 구성별로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되는 구조로써, 운반의 편의성 및 관리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2b는 도 1에 도시된 체졀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기 전동식 서핑보드(100)는 각 구성 간 결합 또는 분리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체결부(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160)는 수부(161), 암부(162)로 이루어지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부(161)는 상기 서핑보드(110), 지지모듈(120), 구동모듈(130), 수중익(14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거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암부(162)는 나머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거나 형성되어 상기 수부(161)가 결합 또는 분리된다.
도 8a,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160-1)의 제1실시예로, 상기 수부(161-1)는 상기 서핑보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부(118)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드 돌기이다.
그리고, 상기 암부(162-1)는 상기 수부(161-1)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122)의 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이동가이더이다.
즉, 상기 슬라이드돌기가 상기 이동가이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122)이 상기 삽입부(118)에 결합 또는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돌기와 이동가이더의 위치는 상호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160-2)의 제2실시예로, 상기 수부(161-2)는 상기 하우징(122)의 단부에 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후크이며, 상기 암부(162-2)는 상기 후크가 걸리도록 상기 삽입부(118)의 단부에 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홈이다.
즉, 상기 슬라이드 돌기가 상기 이동가이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 후,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홈에 걸리게 되어 상기 서핑보드(110)와 지지모듈(120)의 결합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를 가압하여 상기 걸림홈에서 상기 후크를 해제한 후 상기 이동가이더를 따라 상기 슬라이드 돌기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서핑보드(110)와 지지모듈(120)의 분리가 완료된다.
상기 서핑보드(110)와 지지모듈(120)은 상기 체결부(160-1,2)의 제1,2실시예를 통한 이중 결합구조로 이루짐으로써 상기 서핑보드(110)에 상기 지지모듈(120)이 보다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후크, 걸림홈의 위치는 상호 변경될 수 있다.
도 11a,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160-3)의 제3실시예로, 상기 수부(161-3)는 상기 지지모듈(120)의 양측 단부이며, 상기 암부(162-3)는 상기 수부(161-3)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122)의 하부, 또는 상기 포드(131)의 상부에 함몰 형성되는 삽입홈이다.
즉, 상기 삽입홈에 상기 지지모듈(120)이 양측 단부가 인입 또는 인출됨으로써 상기 지지모듈(120)이 상기 서핑보드(110) 또는 구동모듈(130)에 결합 또는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포드(131a)는 한 쌍으로 분리되고, 각각의 단부에 상기 수부(161-3)와 암부(162-3)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된다.
상기 후방포드(131b) 또한 상기 전방포드(131a)와 같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21), 하우징(122), 포드(131) 간 결합을 보다 견고히 유지하기 위해 상기 수부(161-3)와 암부(162-3)는 볼트 체결되어 상호간 고정력을 보다 높여줄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실시예의 후크와 걸림홈이 상기 암부(162-3)와 수부(161-3)에 별도로 형성되거나 설치됨으로써 상호간 고정력을 보다 높여줄 수 있다.
도 12a,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160-4)의 제4실시예로, 상기 암부(162-4)는 상기 포드(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포드(13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홈이다.
그리고, 상기 수부(161-4)는 절개된 상기 포드(131)의 일부에 해당되며 상기 수중익(140)에 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암부(162-4)와 수부(161-4)가 상호 면접촉된 후 볼트체결됨에 따라 상기 수중익(140)이 상기 포드(131)에 결합되어 상호 고정된다.
도 13은 도 8b에 도시된 유체케이스에 유체가 유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그리고, 도 14a,b는 순차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구동모듈의 작동 전, 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b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22)은 모듈케이스(123), 유체케이스(124)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케이스(123)는 상기 제어모듈(150)이 설치되는 공간이고, 상기 유체케이스(124)는 상기 모듈케이스(123)에 접촉하고, 내부에 유체가 유입 또는 유출된다.
유체는 해수와 같은 액체이며, 유체의 유입 또는 유출을 위해 상기 유체케이스(124)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순환공(124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서핑보드(110)가 수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순환공(124a)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어 상기 유체케이스(124)의 내부에 유체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어모듈(150)에 발생하는 열이 유체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상기 제어모듈(150)의 수냉식 냉각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구동모듈(130)이 작동하여 상기 서핑보드(110)가 수면 위로 부상할 경우, 상기 유체케이스(124)에 수용된 유체가 상기 순환공(124a)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고, 상기 제어모듈(150)은 공기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져 상기 제어모듈(150)의 공냉식 냉각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모듈(120)은 카본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모듈(150)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구동모듈(130)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50)은 센서부(151), 작동부(152), 통신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51)는 위치센서, 기울기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센서는 상기 서핑보드의 현재위치 및 속도를 측정하는 위한 구성으로, GPS, 초음파, 측정레이저, 통신망과 같이 이를 기반을 둔 공지의 감지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울기센서는 상기 서핑보드(110)의 방위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자이로센서와 같은 공지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152)는 상기 전동모터(132)의 구동신호 또는 정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통신부(153)는 상기 전동식 서핑보드(100)의 구성 간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구성으로, 블루투스와 같은 공지의 무선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동식 서핑보드(100)는 리모트컨트롤러(170)를 더 포함한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리모트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리모트컨트롤러(170)는 상기 제어모듈(150)에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모듈(150)에 상기 구동모듈(130)의 구동신호를 전달하거나, 상기 제어모듈(150)로부터 상기 배터리(112)의 데이터를 전달받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컨트롤러(170)는 건(Gun)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모트컨트롤러(170)는 본체(171), 손잡이(172), 트리거(173), 디스플레이부(174), 버튼(175)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7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4), 버튼(175)이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손잡이(172)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74)는 현재 시간, 상기 배터리(112)의 용량, 충전량, 상기 전동식 서핑보드(100)의 속도, 좌표값, 작동모드 등이 도시될 수 있다.
상기 버튼(175)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74)에 도시되는 설정값을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이다.
상기 트리거(173)는 상기 전동모터(132)의 작동신호가 입력되는 입력수단으로 상기 손잡이(172)에 설치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72)를 잡고 상기 트리거(173)를 당길 경우, 상기 작동부(152)가 상기 전동모터(132)의 작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동모터(132)를 작동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트리거(173)를 놓을 경우, 상기 작동부(152)가 상기 전동모터(132)의 정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동모터(132)를 정지한다.
상기 리모트컨트롤러(170)는 도킹부(176)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킹부(176)는 상기 손잡이(172)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리모트컨트롤러(170)의 배터리가 상기 도킹부(176)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손잡이(172)의 내부에 배터리가 설치될 경우, 상기 도킹부(176)에 별도의 충전장치를 끼워서 충전이 진행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서핑보드는 구동모듈과 수중익을 통해 서핑보드를 추진하여 수면 위로 부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핑보드가 수면 위로 부상됨으로써 서핑보드에 가해지는 저항이 감소되어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구성 간 결합 또는 분리됨으로써 운반 및 관리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전동식 서핑보드 110 : 서핑보드
120 : 지지모듈 130 : 구동모듈
140 : 수중익 150 : 제어모듈
160 : 체결부

Claims (5)

  1. 폭방향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부에 탑승하는 서핑보드(110);
    프레임(121)과, 상기 프레임(121)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서핑보드(110)의 단부에 함몰 형성되는 삽입부(118)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하우징(122)으로 이루어진 지지모듈(120);
    상기 지지모듈(12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서핑보드(110)를 추진하는 구동모듈(130);
    상기 구동모듈(130)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듈(130)의 추진력에 의해 상기 서핑보드(110)를 부상시키는 수중익(140);
    상기 하우징(122)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듈(13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제어모듈(150);
    을 포함하고,
    상기 서핑보드(110), 지지모듈(120), 구동모듈(130), 수중익(140) 중 어느 하나에 수부(161)가 설치되거나 형성되고, 나머지 중 어느 하나에 암부(162)가 설치되거나 형성되어 상기 수부(161)가 상기 암부(162)에 결합 또는 분리되되,
    상기 삽입부(118)의 측면 또는 하우징(122)의 측면에 슬라이드 돌기(161-1)가 형성되고, 나머지에 이동가이더(162-1)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18)의 단부 또는 하우징(122)의 단부에 후크(161-2)가 설치되고, 나머지에 걸림홈(162-2)이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돌기(161-1)가 상기 이동가이더(162-1)에 삽입되고 상기 이동가이더(162-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후크(161-2)가 상기 걸림홈(162-2)에 걸리게 되는 전동식 서핑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핑보드(110)는
    상기 지지모듈(120)이 설치되는 몸체(111);
    상기 구동모듈(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2); 및
    상기 몸체(111)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112)가 수용되는 공간부(113);
    를 포함하는 전동식 서핑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핑보드(110)는
    상기 몸체(111)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공간부(113)를 개폐하는 덮개(116); 및
    상기 공간부(113)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몸체(111)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111)로부터 상기 덮개(116)를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잠금장치(115);
    를 포함하는 전동식 서핑보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150)에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듈(130)의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리모트컨트롤러(170)를 더 포함하는 전동식 서핑보드.
KR1020190061282A 2019-05-24 2019-05-24 전동식 서핑보드 KR102103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282A KR102103228B1 (ko) 2019-05-24 2019-05-24 전동식 서핑보드
PCT/KR2020/006708 WO2020242146A1 (ko) 2019-05-24 2020-05-22 전동식 서핑보드 및 전동식 서핑보드 추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282A KR102103228B1 (ko) 2019-05-24 2019-05-24 전동식 서핑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228B1 true KR102103228B1 (ko) 2020-04-23

Family

ID=7047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282A KR102103228B1 (ko) 2019-05-24 2019-05-24 전동식 서핑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22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146A1 (ko) * 2019-05-24 2020-12-03 주식회사 스테이컴퍼니 전동식 서핑보드 및 전동식 서핑보드 추진장치
US10940917B2 (en) 2016-09-12 2021-03-09 Kai Concepts, LLC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eller system
WO2022144278A3 (en) * 2020-12-28 2022-09-15 Ride Awake Ab Power systems for watercraft
US11608144B2 (en) 2020-01-03 2023-03-21 Ride Awake Ab Motorized watercraft
USD995678S1 (en) 2020-01-03 2023-08-15 Ride Awake Ab Electronically propelled surfboard
US11780538B2 (en) 2017-12-27 2023-10-10 Ride Awake Ab Electric motorised watercraft and driveline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305Y1 (ko) 2001-06-13 2001-10-26 김용남 모터가 부착된 보드 스키
JP3109601U (ja) * 2004-12-28 2005-05-19 崇▲徳▼ 廖 動力式サーフボード
US20150104985A1 (en) * 2013-10-10 2015-04-16 Jacob Willem Langelaan Weight-shift controlled personal hydrofoil watercraft
KR101857099B1 (ko) * 2017-05-26 2018-05-11 김재윤 전동 서프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305Y1 (ko) 2001-06-13 2001-10-26 김용남 모터가 부착된 보드 스키
JP3109601U (ja) * 2004-12-28 2005-05-19 崇▲徳▼ 廖 動力式サーフボード
US20150104985A1 (en) * 2013-10-10 2015-04-16 Jacob Willem Langelaan Weight-shift controlled personal hydrofoil watercraft
KR101857099B1 (ko) * 2017-05-26 2018-05-11 김재윤 전동 서프보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https://www.youtube.com/watch?v=ijDBdCbvR0Y"(2019.04.12.) *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0917B2 (en) 2016-09-12 2021-03-09 Kai Concepts, LLC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eller system
US11479324B2 (en) 2016-09-12 2022-10-25 Kai Concepts, LLP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eller system
US11919608B2 (en) 2016-09-12 2024-03-05 Kai Concepts, LLC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eller system
US11780538B2 (en) 2017-12-27 2023-10-10 Ride Awake Ab Electric motorised watercraft and driveline system
WO2020242146A1 (ko) * 2019-05-24 2020-12-03 주식회사 스테이컴퍼니 전동식 서핑보드 및 전동식 서핑보드 추진장치
US11608144B2 (en) 2020-01-03 2023-03-21 Ride Awake Ab Motorized watercraft
USD995678S1 (en) 2020-01-03 2023-08-15 Ride Awake Ab Electronically propelled surfboard
WO2022144278A3 (en) * 2020-12-28 2022-09-15 Ride Awake Ab Power systems for watercraf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228B1 (ko) 전동식 서핑보드
KR102103229B1 (ko) 서핑보드 추진장치
JP5914608B2 (ja) 交換可能なモーターモジュールを備えるモーター式ウォータークラフトシステム
CN111670140B (zh) 带有水翼和电动螺旋桨系统的船艇装置
JP6698562B2 (ja) 水上乗り物の水中推進装置
US8851947B2 (en) Inflatable watercraft with battery powered motorized cassette
US10029775B2 (en) Propulsion system for a person or a watercraft
CN103781700A (zh) 用于将动力卡匣安装于水上工具主体上的系统
KR101522667B1 (ko) 동력식 서핑보드
US20240010306A1 (en) Hydrofoil watercraft
WO2001076935A1 (en) Swimmer transport device
US202401405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powered watercraft
US11608144B2 (en) Motorized watercraft
CN211810107U (zh) 一种电动冲浪装置
JP2020111331A (ja) 水上乗り物の水中推進装置
US20240059375A1 (en) Power systems for watercraft
CN218258582U (zh) 无线遥控船
CN209467304U (zh) 一种应用双向吸水泵喷结构的v型水上援助机器人
WO2022218985A1 (en) A watercraft, and an alignment structure for an electrically powered watercraft
CN117222578A (zh) 用于动力船只中的无线通信的装置和方法
JP2020111332A (ja) 水中推進装置
SE2250420A1 (en) Powered watercraft with driveline with wireless char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