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133B1 - 가열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가열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133B1
KR102103133B1 KR1020200021409A KR20200021409A KR102103133B1 KR 102103133 B1 KR102103133 B1 KR 102103133B1 KR 1020200021409 A KR1020200021409 A KR 1020200021409A KR 20200021409 A KR20200021409 A KR 20200021409A KR 102103133 B1 KR102103133 B1 KR 102103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heating
conveyor
state
he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열
Original Assignee
김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열 filed Critical 김정열
Priority to KR1020200021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4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by heat drying, by cooling, by applying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0872Machines for printing on articles having essentially cylindric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9/00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8Print finishing devices, e.g. for glossing pr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가열 컨베이어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가열 컨베이어 장치는, 표면을 가열하고자하는 제품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품의 측면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제1 비전 카메라,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상에 이동하는 상기 제품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걸림부, 상기 컨베이어 상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품의 측면을 정렬 및 가이드하는 가이드 가열부재, 상기 컨베이어 상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측정된 상기 제품의 측면 프로파일을 따라 상기 제품의 측면을 가열하는 수평 가열부재, 상기 컨베이어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하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품의 측면 프로파일을 따라 상기 제품의 측면을 가열하는 수직 가열부재 및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에 대한 상기 걸림부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수평 가열부재 및 상기 수직 가열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 상에 이동하는 상기 제품의 상태에 따라 상기 수평 가열부재 및 수직 가열부재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열 컨베이어 장치{HEATING CONVEYOR APPARATUS}
본 개시는 제품의 측면을 가열 및 이송의 효율이 개선된 가열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사출로 외관이 형성된 제품은 제품의 외면에 제품의 성분표시, 광고지 등 수요자에게 제품의 여러가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실크스크린 인쇄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출로 형성된 샴푸 용기, 린스 용기, 가글 용기 등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 사출 제품이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제품의 측면에는 제품의 종류, 특징, 성분 등을 나타내기 위한 실크스크린 인쇄가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의 제조 과정에는 제품의 외면의 일부에 실크스크린의 지속성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가열이 필요하나, 다양한 크기의 제품에 따라 컨베이어 상에 제품이 넘어지거나 전체적인 가열로 인해 가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제품의 측면을 가열 및 이송의 효율이 개선된 가열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는, 표면을 가열하고자하는 제품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품의 측면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제1 비전 카메라,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상에 이동하는 상기 제품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걸림부, 상기 컨베이어 상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품의 측면을 정렬 및 가이드하는 가이드 가열부재, 상기 컨베이어 상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측정된 상기 제품의 측면 프로파일을 따라 상기 제품의 측면을 가열하는 수평 가열부재, 상기 컨베이어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하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품의 측면 프로파일을 따라 상기 제품의 측면을 가열하는 수직 가열부재 및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에 대한 상기 걸림부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수평 가열부재 및 상기 수직 가열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 상에 이동하는 상기 제품의 상태에 따라 상기 수평 가열부재 및 수직 가열부재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가열 컨베이어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비전 카메라에서 측정된 상기 제품의 측면 프로파일의 높이와 기 설정된 높이를 비교하여, 상기 제품의 측면 가열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측면 가열 방식을 기초로, 상기 걸림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품을 상기 컨베이어 상에 선택적으로 눕히며, 상기 가이드 가열부재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중앙부를 향해 상기 가이드 가열부재 사이의 폭이 순차적으로 좁아지는 가이드부 및 일단이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중앙부를 향해 복수의 가이드 가열구가 격자형태로 배열된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가열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품과 인접하도록 상기 가이드 가열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가열구가 상기 컨베이어 상에 이동하는 상기 제품의 프로파일과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가이드 가열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제품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측면 가열 방식은, 상기 제품의 측면 프로파일의 제1 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보다 작을 경우, 수평 가열부재를 통해 세워진 제1 상태의 제품의 측면을 가열하는 제1 측면 가열 상태 및 상기 제품의 측면 프로파일의 제2 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수직 가열부재를 통해 눕혀진 제2 상태 제품을 가열하는 제2 측면 가열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가열부재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중앙부를 향해 복수의 제1 가열구가 격자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평 가열부재가 상기 제품과 인접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상태의 제품의 측면을 상기 복수의 제1 가열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수직 가열부재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롤러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가열구가 형성된 복수의 하부 가열부재 및 상기 복수의 하부 가열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3 가열구가 형성된 상부 가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상태의 제품을 측면을 상기 복수의 제2 가열구 및 상기 복수의 제3 가열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가열하며, 상기 복수의 롤러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롤러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가 유동하며, 상기 복수의 하부 가열부재는 상기 복수의 롤러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상기 제품의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복수의 제2 비전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비전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품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환되는 경우 수평 가열부재의 작동을 중단하고 수직 가열부재를 작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컨베이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가열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가열부재를 이동하는 제품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가열부재가 위치한 곳으로 제품이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가열부재와 롤러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가열부재가 위치한 곳으로 제품이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하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을 가열하기 위해 가열 컨베이어 장치 상에 제품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의 제품이 가열 컨베이어 장치를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 상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의 제품이 가열 컨베이어 장치를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의 제품이 가이드 가열부재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상태의 제품이 가열 컨베이어 장치를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 상면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상태의 제품이 가열 컨베이어 장치를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제2 상태의 제품이 가이드 가열부재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상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컨베이어 장치(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컨베이어 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가열부재(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가열부재(200)를 이동하는 제품(P)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가열부재(300)가 위치한 곳으로 제품이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가열부재(410)와 롤러(500)를 나타낸 상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가열부재(420)가 위치한 곳으로 제품(P)이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하면도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컨베이어 장치(1)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가열 컨베이어 장치(1)는 스크린 인쇄를 수행하고자 하는 제품(P)의 측면을 가열함과 동시에 제품(P)을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표면을 가열하고자하는 제품(P)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50), 컨베이어(50)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제1 비전 카메라(40), 컨베이어(50)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50) 상에 이동하는 제품(P)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걸림부(100), 컨베이어(50) 상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품(P)의 측면을 정렬 및 가이드하는 가이드 가열부재(200), 컨베이어(50) 상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측정된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을 따라 제품(P)의 측면을 가열하는 수평 가열부재(300), 컨베이어(50)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하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을 따라 제품(P)의 측면을 가열하는 수직 가열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50)는 플라스틱 사출 형식으로 제조된 제품(P)이 컨베이어(5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며, 컨베이어(50)의 길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컨베이어(50)의 폭은 컨베이어(50) 상에 이송하는 제품(P)을 모두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전 카메라(40)는 컨베이어(50)의 일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50)의 이송이 시작되는 시점에서의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을 측정하여 프로세서(10, 도 10 참조) 및 메모리(20, 도 10 참조)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비전 카메라(40)는 제품(P)의 측면 외형 및 프로파일을 측정하여 데이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전 카메라(40)는 2D, 3D 비전 카메라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비전 카메라(40)는 컨베이어(50)의 일단부에 놓아진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은 제품의 형상, 높이, 너비 등 외관상의 제품(P)의 다양한 치수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50)의 일단부는 제품(P)이 이송되기 시작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50)의 타단부는 제품(P)이 일단부로부터 이송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품(P)은 컨베이어(5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컨베이어(50)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제1 비전 카메라(40)는 컨베이어(50)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제품(P)이 이송되기 전에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을 측정해 제품(P)의 가열 방법을 결정하는 제품(P)의 측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걸림부(100)는 컨베이어(50)의 일단부 상에 배치되어 컨베이어(50)에 의해 이송되는 제품(P)을 제1 상태 및 제2 상태로 물리적으로 만들 수 있다.
즉, 걸림부(100)는 컨베이어(50)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컨베이어(50) 상에 이동하는 제품(P)과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걸림부(100)는 컨베이어(50)에 대한 걸림부(1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걸림부(100)의 높이에 따라 제품(P)을 컨베이어(50) 상에 눕히거나 세운 상태를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제품(P)의 측면이 컨베이어(50)와 접촉하지 않고 세워진 상태가 제1 상태이며, 제품(P)의 측면이 컨베이어(50)와 접촉하여 누운 상태가 제2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는 제1 비전 카메라(40)로 측정된 제품(P)의 높이 및 너비 등의 측면 프로파일 정보를 기초로, 제품(P)의 측면 가열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품(P)이 세워진 제1 상태에서 제품(P)의 측면을 가열하는 것은 제1 측면 가열 상태이며, 제품(P)이 컨베이어(50)에 누은 제2 상태에서 제품(P)의 측면을 가열하는 것은 제2 측면 가열 상태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는 측정된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을 기초로 제1 측면 가열 상태 및 제2 측면 가열 상태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제1 측면 가열 상태로 제품(P)을 가열하는 경우 걸림부(100)의 높이가 제품(P)의 높이보다 크도록 이동시켜 걸림부(100)와 제품(P)이 접촉하지 않은 상태를 만들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10)는 제2 측면 가열 상태로 제품(P)을 가열하는 경우 걸림부(100)의 높이가 제품(P)의 높이보다 작도록 이동시켜 걸림부(100)와 제품(P)이 접촉하는 상태를 만들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부(100)가 컨베이어(50)의 표면과 멀어지도록 높이가 상승하여 제품(P)과 접촉하지 않는 경우, 제품(P)은 제1 상태의 제1 측면 가열 상태로 측면이 가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걸림부(100)가 컨베이어(50)의 표면과 가까워지도록 높이가 낮아져 제품(P)과 접촉하는 경우, 제품(P)은 제2 상태의 제2 측면 가열 상태로 측면이 가열될 수 있다.
제1 측면 가열 상태 및 제2 측면 가열 상태로 제품(P)의 측면을 가열하는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한다.
걸림부(100)는 컨베이어(50)의 폭 방향과 평행하며 컨베이어(5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50)에 대한 걸림부(100)의 높이가 낮아지는 경우, 컨베이어(50)의 폭 방향으로 다양하게 놓인 제품과 모두 접촉할 수 있다.
가이드 가열부재(200)는 컨베이어(50) 상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품(P)의 측면을 정렬 및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가열부재(200)는 걸림부(100)의 후방에 배치되어 걸림부(100)에 의한 제1 상태 및 제2 상태의 제품(P)을 컨베이어(50)의 이송 방향으로 정렬 및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2는 참조할 때, 가이드 가열부재(200)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컨베이어(50)의 중앙부(L)를 향해 가이드 가열부재(200) 사이의 폭이 순차적으로 좁아지는 가이드부(210) 및 일단이 가이드부(210)로부터 연장되어 가이드부(210)와 연결되고, 컨베이어(50)의 중앙부를 향해 복수의 가이드 가열구(221)가 격자형태로 배열된 가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210)는 제품(P)의 이송이 시작되는 컨베이어(50)의 일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 상태 및 제2 상태의 제품(P)을 컨베이어(50)의 중앙부(L)로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의 제품(P)이 컨베이어(50)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가이드부(210)에 의해 제품(P)이 컨베이어 중앙부(L)에 정렬됨과 동시에 제품(P)의 넓은 측면부가 수평 가열부재(300)와 마주보도록 정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태의 제품(P)이 컨베이어(50)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가이드부(210)에 의해 제품(P)이 컨베이어 중앙부(L)에 정렬됨과 동시에 제품(P)의 넓은 측면부가 수직 가열부재(400)와 마주보도록 정렬될 수 있다.
가열부(220)는 복수의 가열구(221)가 격자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가열구(221)는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태의 제품(P)이 이동하는 경우,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과 대응되는 가열구(221)가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제품(P)의 측면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는 제1 비전 카메라(40)에 의해 측면된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 정보와, 컨베이어(50)의 이송속도를 바탕으로, 제2 상태의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이 이동을 계산하여, 제2 상태의 제품(P)의 측면과 대응되는 위치의 가열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국부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0)는 복수의 가열구(221) 중 제품(P)의 프로파일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제1 가열구(221-1)를 열 수 있으며, 제품(P)의 프로파일과 대응되는 않는 위치에 있는 제2 가열구(221-2)를 닫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하는 제품(P)의 측면을 국부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제품(P)에 과도한 열이 가해져 제품(P)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필요한 열로 제품(P)을 가열함과 동시에 가열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10)는 복수의 가열구(221)를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에 맞게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가열부재(200)는 서로 비대칭으로 배치되거나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제1 가이드 가열부재(200-1) 및 제2 가이드 가열부재(20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가열부재(200-1)의 제1 가열부(220-1)의 길이는 제2 가이드 가열부재(200-2)의 제2 가열부(220-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P)이 컨베이어(50)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 제1 가이드 가열부재(200-1)에 먼저 접촉됨으로써, 제품(P)의 일부가 회전 및 컨베이어(50) 중앙부(L)로 정렬하게 되며, 제2 가이드 가열부재(200-2)에 순차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제품(P)이 컨베이어(50)의 중앙부(L)에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도 2a를 참조할 때, 프로세서(10)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의 제품(P)의 폭과 대응되도록 가이드 가열부재(200) 사이의 너비(W)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의 제품(P)이 가이드 가열부재(200)의 가열부(220)를 이동하는 경우, 제품(P)이 가열부(220)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품(P)의 측면과 인접하도록 가이드 가열부재(200) 사이의 너비(W)를 조절하여, 제품(P)이 가열부(220)에 의해 간섭되거나 필요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10)는, 가이드 가열부재(200)와 연결되어, 제품과 인접하도록 가이드 가열부재(2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복수의 가이드 가열구(221)가 컨베이어(50) 상에 이동하는 제품의 프로파일과 대응되도록 복수의 가이드 가열구(211)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제품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는 가이드 가열부재(200)를 이동하는 제품(P)의 온도를 실시간을 측정하는 센서(600)를 통해, 제품(P)이 필요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가이드 가열부재(200) 사이의 너비(W)를 넓게 조정하여 제품(P)이 필요 이상으로 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10)는 가이드 가열부재(200)를 이동하는 제품(P)의 온도를 실시간을 측정하는 센서(600)를 통해, 제품(P)이 필요 이하로 가열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가이드 가열부재(200) 사이의 너비(W)를 좁게 조정하여 제품(P)을 필요한 수준으로 가열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 가열부재(200)는 제1 상태의 제품(P)일 때에는 가열작동하지 않고 제1 상태의 제품(P)을 정렬하는 역할만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상태의 제품일 때에는 가열작동하여 제2 상태의 제품(P)을 가열 및 정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가열부재(200)는 제품(P)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함으로써, 가열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품(P)이 필요 이상으로 열 손상되는 것일 방지하여 제조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수평 가열부재(300)는 컨베이어(50) 상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측정된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을 따라 제품(P)의 측면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가열부재(300)는 가이드 가열부재(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 상태의 제품(P)의 측면을 가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가열부재(200)의 후방은 컨베이어(50)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가이드 가열부재(200)의 뒤쪽에 배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수평 가열부재(300)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컨베이어(50)의 중앙부(L)를 향해 복수의 제1 가열구(310)가 격자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아울러, 수평 가열부재(300)의 크기는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면 충분하며, 사용자에 의해 크기가 다양할 수 있다.
아울러, 수평 가열부재(300)는 제1 상태의 제품(P)의 측면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는 제1 상태의 제품(P)의 측면을 복수의 제1 가열구(31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할 때, 제1 상태의 제품(P)이 이동하는 경우,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과 대응되는 복수의 제1 가열구(310)가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제품(P)의 측면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는 제1 비전 카메라(40)에 의해 측면된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 정보와, 컨베이어(50)의 이송속도를 바탕으로, 제1 상태의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이 이동을 계산하여, 제1 상태의 제품(P)의 측면과 대응되는 위치의 복수의 제1 가열구(31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국부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는 복수의 가열구(310) 중 제품(P)의 프로파일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복수의 제1 가열구(310)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 전체가 아닌 측면 프로파일의 일부 영역(R)에 대한 국부 가열이 필요한 경우, 프로세서(10)는 수평 가열부재(300)의 복수의 제1 가열구(310)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는 이동하는 제1 상태의 제품(P)의 일부 영역(R)과 대응되는 복수의 제1 가열구(310-1)를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영역(R)과 대응되는 위치의 개방 상태의 복수의 제1 가열구(310-1)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하는 제품(P)의 측면을 국부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제품(P)에 과도한 열이 가해져 제품(P)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필요한 열로 제품(P)을 가열함과 동시에 가열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는 수평 가열부재(300)가 제품(P)과 인접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 가열부재(300)가 제1 상태의 제품(P)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제1 상태의 제품(P)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품(P)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는 제1 상태의 제품(P)과 수평 가열부재(3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는 수평 가열부재(300)를 이동하는 제품(P)의 온도를 실시간을 측정하는 센서(600)를 통해, 제품(P)이 필요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수평 가열부재(300) 사이의 거리를 크게 조정하여 제품(P)이 필요 이상으로 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10)는 수평 가열부재(300)를 이동하는 제품(P)의 온도를 실시간을 측정하는 센서(600)를 통해, 제품(P)이 필요 이하로 가열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수평 가열부재(300) 사이의 거리를 좁게 조정하여 제품(P)을 필요한 수준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는 센서(600)를 통해 제품(P)에 가해지는 열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컨베이어(5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는 센서(600)를 통해 제품(P)에 가해지는 가열량이 부족하다고 측정하는 경우 컨베이어(50)의 이송 속도를 느리게 조절하여 가열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10)는 센서(600)를 통해 제품(P)에 가해지는 가열량이 초과되는 것으로 측정하는 경우, 컨베이어(50)의 이송 속도를 빠르게 조절하여 가열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0)는 센서(600)를 통해 컨베이어(50)의 이송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제품(P)에 가해지는 열량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10)는 제1 상태의 제품(P)일 경우 수평 가열부재(300)를 작동시키며, 제2 상태의 제품(P)일 경우 수평 가열부재(300)를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0)는 제품(P)의 상태에 따라 가이드 가열부재(200)와 수평 가열부재(30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제조비용 및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는 제1 상태의 제품(P)일 경우 가이드 가열부재(200)를 통해 제품(P)을 가열하지 않고 수평 가열부재(300)를 통해 제품(P)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는 제2 상태의 제품(P)일 경우 가이드 가열부재(200)를 통해 제품(P)을 가열하고, 수평 가열부재(300)를 통해 제품(P)을 가열하지 않을 수 있다.
수직 가열부재(400)는 컨베이어(50)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하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을 따라 제품(P)의 측면을 가열할 수 있다. 즉, 수직 가열부재(400)는 제2 상태의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을 가열할 수 있다.
수직 가열부재(400)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롤러(500)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가열구(411)가 형성된 복수의 하부 가열부재(410) 및 복수의 하부 가열부재(410)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3 가열구(421)가 형성된 상부 가열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가열부재(410)와 상부 가열부재(42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2 상태의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을 가열할 수 있다.
상부 가열부재(420)는 복수의 하부 가열부재(410)를 포함하는 면적을 가지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하부 가열부재(410)는 복수의 롤러(500)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복수의 롤러(500)를 통해 이동하는 제품(P)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롤러(500)는 컨베이어(50)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컨베이어(50)에 의해 이동된 제품(P)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하부 가열부재(410)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롤러(500)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할 때, 프로세서(10)는 제품(P)의 측면 프로파일 전체가 아닌 측면 프로파일의 일부 영역(R)에 대한 국부 가열이 필요한 경우, 수직 가열부재(400)의 복수의 제2 가열구(411) 및 복수의 제3 가열구(421)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는 이동하는 제2 상태의 제품(P)의 일부 영역(R)과 대응되는 복수의 제2 가열구(411) 및 복수의 제3 가열구(421-1)를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영역(R)과 대응되는 위치의 개방 상태의 복수의 제3 가열부(421-2)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하는 제품(P)의 측면을 국부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제품(P)에 과도한 열이 가해져 제품(P)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필요한 열로 제품(P)을 가열함과 동시에 가열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는 수직 가열부재(4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는 수직 가열부재(400)를 이동하는 제품(P)의 온도를 실시간을 측정하는 센서(600)를 통해, 제품(P)이 필요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부 및 하부 가열부재(410, 420) 사이의 거리를 크게 조정하여 제품(P)이 필요 이상으로 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10)는 수직 가열부재(400)를 이동하는 제품(P)의 온도를 실시간을 측정하는 센서(600)를 통해, 제품(P)이 필요 이하로 가열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부 및 하부 가열부재(410, 420) 사이의 거리를 크게 조정하여 제품(P)을 필요한 수준으로 가열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10)는 제1 상태의 제품(P)일 경우 수직 가열부재(400)를 작동시키지 않으며, 제2 상태의 제품(P)일 경우 수평 가열부재(3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0)는 제품(P)의 상태에 따라 수직 가열부재(40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제조비용 및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는 제1 상태의 제품(P)일 경우 수직 가열부재(400)를 통해 제품(P)을 가열하지 않고 수평 가열부재(300)를 통해 제품(P)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는 제2 상태의 제품(P)일 경우 수직 가열부재(400)를 통해 제품(P)을 가열하고, 수평 가열부재(300)를 통해 제품(P)을 가열하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가열 컨베이어 장치(1)에 내재되어 가열 컨베이어 장치(1)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는 메모리(20), 가열원(30), 컨베이어(50), 걸림부(100), 가이드 가열부재(200), 수평 가열부재(300) 및 수직 가열부재(400)와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는 걸림부(100)와 연결되어 컨베이어(50)에 대한 걸림부(100)의 높이를 조절하고, 수평 가열부재(300) 및 수직 가열부재(400)와 연결되어, 컨베이어(50) 상에 이동하는 제품의 상태에 따라 수평 가열부재(300) 및 수직 가열부재(400)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메모리(20)는 가열 컨베이어 장치(1) 내에 내재되어 있으며,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롬(ROM), 램(RAM), 하드 디스크(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20)는 프로세서(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프로세서(10)와 상호간 신호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20)는 입력된 제품(P)의 특정 정보를 저장하여 프로세서(10)에 저장된 특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품(P)의 재질에 따른 녹는 점 및 일정 영역(R)을 기반으로 프로세서(10)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0)는 메모리(20)에 저장된 제품(P)의 녹는점을 기준으로 오차범위 내로 제품(P)을 가열할 수 있다.
가열원(30)은 가이드 가열부재(200), 수평 가열부재(300) 및 수직 가열부재(400)와 연결되어 각 가열부재에 가열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2는 참조하여 제1 상태의 제품(P)의 제1 측면 가열 상태에 따른 가열 동작에 대해 설명하고,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제2 상태의 제품(P)의 제2 측면 가열 상태에 따른 가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P1)을 가열하기 위해 가열 컨베이어 장치(1) 상에 제품(P1)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의 제품(P1)이 가열 컨베이어 장치(1)를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 상면도이며,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의 제품(P1)이 가열 컨베이어 장치(1)를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의 제품(P1)이 가이드 가열부재(200)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할 때, 프로세서(10)는 제1 비전 카메라(40)를 통해 제품(P1)의 높이(H1)와 측면 프로파일을 측정하여, 제1 비전 카메라(40)에서 측정된 제품(P1)의 측면 프로파일의 높이(H1)와 기 설정된 높이를 비교하여, 제품(P1)의 측면 가열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는 결정된 측면 가열 방식을 기초로, 걸림부(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제품을 컨베이어(50) 상에 선택적으로 눕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면 가열 방식은 제품(P1)의 측면 프로파일의 제1 높이(H1)가 기 설정된 높이보다 작은 경우, 수평 가열부재(300)를 통해 세워진 제1 상태의 제품(P1)의 측면을 가열하는 제1 측면 가열 상태 및 제품(P2)의 프로파일의 제2 높이(H2)가 기 설정된 높이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수직 가열부재(400)를 통해 눕혀진 제2 상태의 제품(P2)을 가열하는 제2 측면 가열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측정된 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보다 큰 경우에는 제품이 컨베이어(50) 상에 이동하는 동안 제품이 쓰러지거나 제품의 측면 가열 도중 안정적이 이송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일정 높이 이상의 제품을 선택적으로 눕혀 측면 가열을 함으로써, 안정적인 제품의 측면 가열 및 이송을 통해 제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측면 가열 상태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0)는 측정된 제품(P1)의 측면 프로파일의 제1 높이(H1)가 기 설정된 높이보다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0)는 걸림부(100)의 높이를 제1 높이(H1)보다 높게 조절하여 제품(P1)이 걸림부(100)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있는 제1 상태의 제품(P1)은 가이드 가열부재(200)에 의해 컨베이어(50)의 중앙부(L)에 정렬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는 제1 상태의 제품(P1)이 가이드 가열부재(200)를 지나가는 동안 가이드 가열부재(200)의 가이드 가열구(221)를 모두 닫아 가이드 가열부재(200)가 제1 상태의 제품(P1)을 가열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상태의 제품(P1)이 수평 가열부재(300)를 통과하는 경우, 프로세서(10)는 수평 가열부재(300)의 복수의 제1 가열구(310-1)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제1 상태의 제품(P1)의 측면을 국부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는 수평 가열부재(300)가 이동하는 제품(P1)의 측면 프로파일과 대응되는 부분의 복수의 제1 가열구(310-1)를 개방하여 지속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제품(P1)의 효율적인 가열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10)는 수직 가열부재(400)의 복수의 제2 및 제3 가열구(411, 421)를 모두 막음으로써, 수직 가열부재(400)가 작동하여 필요 이상으로 제품(P1)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서 있는 상태의 제품(P1)의 상부 및 하부는 가열하지 않고 측면만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 컨베이어 장치(1)는 일차적으로 컨베이어(50)에 의해 이송 중인 제품(P1)이 쓰러지지 않을 제품(P1)의 높이를 기준으로 제품(P1)이 서 있는 상태에서 측면을 가열함으로써, 안정적인 제품(P1)의 측면을 가열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컨베이어 장치(1)는 컨베이어(50)를 따라 제품의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복수의 제2 비전 카메라(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0)는 제2 비전 카메라(700)를 통해 제품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환되는 경우 수평 가열부재(300)의 작동을 중단하고 수직 가열부재(400)를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품이 쓰러지는 것을 제2 비전 카메라(700)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쓰러진 제품의 측면을 가열하기 위한 수평 가열부재(300)를 중단 및 수직 가열부재(400)를 작동시킴으로써, 추가적인 가열을 방지하여 제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열원을 절약함으로써 제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측면 가열 상태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0)는 측정된 제품(P2)의 측면 프로파일의 제2 높이(H2)가 기 설정된 높이보다 같거나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0)는 걸림부(100)의 높이를 제2 높이(H2)보다 낮게 조절하여 제품(P2)이 걸림부(100)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 설정된 높이보다 큰 제2 높이(H2)의 제품(P2)을 눕혀 측면을 가열함으로써, 비교적 큰 높이로 인해 이송과정에서 쓰러져 측면 가열이 수행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컨베이어 장치(1)는 기 설정된 높이를 기준으로 측면 가열을 방식을 다르게 함으로써, 빠른 이송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제품의 상태에 따라 효율적인 측면 가열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눕혀진 제2 상태의 제품(P2)은 가이드 가열부재(200)에 의해 컨베이어(50)의 중앙부(L)에 정렬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는 제2 상태의 제품(P2)이 가이드 가열부재(200)를 지나가는 동안, 제2 상태의 제품(P2)의 측면 프로파일과 대응되는 위치의 가이드 가열구(221-1)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제2 상태의 제품(P2)의 측면을 지속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상태의 제품(P2)의 측면과 대응되는 부분만을 지속적으로 개방하여 가열함으로써, 제품(P2)의 필요한 부분에 대한 지속적인 가열을 통한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상태의 제품(P2)이 수평 가열부재(300)를 통과하는 경우, 프로세서(10)는 수평 가열부재(300)의 복수의 제1 가열구(310)를 모두 닫을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10)는 제2 상태의 제품(P2)의 측면 프로파일과 대응되는 수직 가열부재(400)의 복수의 제2 및 제3 가열구(411, 421)를 개방함으로써, 제품(P2)의 효율적인 가열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 컨베이어 장치(1)는 제품(P)의 크기에 따라 제품의 측면 가열 방식을 결정하여 제품의 안정적이 이송을 구현함과 동시에, 제품의 상태에 따른 제품의 효율적인 측면 가열을 통해 제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상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가열 컨베이어 장치 100: 걸림부
200: 가이드 가열부재 300: 수평 가열부재
400: 수직 가열부재

Claims (5)

  1. 표면을 가열하고자하는 제품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품의 측면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제1 비전 카메라;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상에 이동하는 상기 제품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걸림부;
    상기 컨베이어 상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품의 측면을 정렬 및 가이드하는 가이드 가열부재;
    상기 컨베이어 상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측정된 상기 제품의 측면 프로파일을 따라 상기 제품의 측면을 가열하는 수평 가열부재;
    상기 컨베이어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하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품의 측면 프로파일을 따라 상기 제품의 측면을 가열하는 수직 가열부재; 및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에 대한 상기 걸림부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수평 가열부재 및 상기 수직 가열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 상에 이동하는 상기 제품의 상태에 따라 상기 수평 가열부재 및 수직 가열부재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가열 컨베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비전 카메라에서 측정된 상기 제품의 측면 프로파일의 높이와 기 설정된 높이를 비교하여, 상기 제품의 측면 가열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측면 가열 방식을 기초로, 상기 걸림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품을 상기 컨베이어 상에 선택적으로 눕히며,
    상기 가이드 가열부재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중앙부를 향해 상기 가이드 가열부재 사이의 폭이 순차적으로 좁아지는 가이드부; 및
    일단이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중앙부를 향해 복수의 가이드 가열구가 격자형태로 배열된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가열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품과 인접하도록 상기 가이드 가열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가열구가 상기 컨베이어 상에 이동하는 상기 제품의 프로파일과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가이드 가열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제품을 가열하는 가열 컨베이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가열 방식은,
    상기 제품의 측면 프로파일의 제1 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보다 작을 경우, 수평 가열부재를 통해 세워진 제1 상태의 제품의 측면을 가열하는 제1 측면 가열 상태; 및
    상기 제품의 측면 프로파일의 제2 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수직 가열부재를 통해 눕혀진 제2 상태 제품을 가열하는 제2 측면 가열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가열부재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중앙부를 향해 복수의 제1 가열구가 격자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평 가열부재가 상기 제품과 인접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상태의 제품의 측면을 상기 복수의 제1 가열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가열하는 가열 컨베이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가열부재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롤러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가열구가 형성된 복수의 하부 가열부재; 및
    상기 복수의 하부 가열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3 가열구가 형성된 상부 가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상태의 제품을 측면을 상기 복수의 제2 가열구 및 상기 복수의 제3 가열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가열하며,
    상기 복수의 롤러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롤러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가 유동하며,
    상기 복수의 하부 가열부재는 상기 복수의 롤러보다 하부에 배치된 가열 컨베이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상기 제품의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복수의 제2 비전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비전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품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환되는 경우 수평 가열부재의 작동을 중단하고 수직 가열부재를 작동하는 가열 컨베이어 장치.
KR1020200021409A 2020-02-21 2020-02-21 가열 컨베이어 장치 KR102103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409A KR102103133B1 (ko) 2020-02-21 2020-02-21 가열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409A KR102103133B1 (ko) 2020-02-21 2020-02-21 가열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133B1 true KR102103133B1 (ko) 2020-04-21

Family

ID=70456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409A KR102103133B1 (ko) 2020-02-21 2020-02-21 가열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1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2938A (zh) * 2020-07-24 2020-11-10 郑州龙之樾自控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高温环境下的阳极二氧化碳装载输送系统
CN112079046A (zh) * 2020-08-18 2020-12-15 韦海民 一种钢材加工用带有上料导向装置的加工设备主体及方法
CN112976777A (zh) * 2021-04-06 2021-06-18 广东旭业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镜片自动丝印烘烤生产装置及方法
KR102646612B1 (ko) * 2022-12-19 2024-03-13 주식회사 리퓨터 식물용 3차원 스캔 자동화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8026A (ja) * 1995-02-01 1996-08-13 Murata Mfg Co Ltd 円板状被処理物の整列装置
JP3755630B2 (ja) * 1998-02-26 2006-03-15 大和製罐株式会社 缶詰の加熱装置
KR20060104937A (ko) * 2005-03-28 2006-10-09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인쇄 건조 방법,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인쇄 건조 장치
KR20100060252A (ko) * 2008-11-27 2010-06-07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속냉각 제어장치
KR101076969B1 (ko) * 2007-11-05 2011-10-26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반송부 위치 결정 방법 및 반송 장치
KR101604316B1 (ko) * 2015-11-05 2016-03-17 덕부화학 주식회사 자동차용 그로메트 제조장치
EP3121017A1 (en) * 2015-06-26 2017-01-25 V.L. Limitronic, S.L. Machine for printing simultaneously on two parallel surfaces
KR102059961B1 (ko) * 2019-09-02 2020-02-11 주식회사 가이아에너지 인라인 타입 드라이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8026A (ja) * 1995-02-01 1996-08-13 Murata Mfg Co Ltd 円板状被処理物の整列装置
JP3755630B2 (ja) * 1998-02-26 2006-03-15 大和製罐株式会社 缶詰の加熱装置
KR20060104937A (ko) * 2005-03-28 2006-10-09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인쇄 건조 방법,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인쇄 건조 장치
KR101076969B1 (ko) * 2007-11-05 2011-10-26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반송부 위치 결정 방법 및 반송 장치
KR20100060252A (ko) * 2008-11-27 2010-06-07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속냉각 제어장치
EP3121017A1 (en) * 2015-06-26 2017-01-25 V.L. Limitronic, S.L. Machine for printing simultaneously on two parallel surfaces
KR101604316B1 (ko) * 2015-11-05 2016-03-17 덕부화학 주식회사 자동차용 그로메트 제조장치
KR102059961B1 (ko) * 2019-09-02 2020-02-11 주식회사 가이아에너지 인라인 타입 드라이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2938A (zh) * 2020-07-24 2020-11-10 郑州龙之樾自控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高温环境下的阳极二氧化碳装载输送系统
CN111912938B (zh) * 2020-07-24 2023-08-08 郑州龙之樾自控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高温环境下的阳极二氧化碳装载输送系统
CN112079046A (zh) * 2020-08-18 2020-12-15 韦海民 一种钢材加工用带有上料导向装置的加工设备主体及方法
CN112976777A (zh) * 2021-04-06 2021-06-18 广东旭业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镜片自动丝印烘烤生产装置及方法
CN112976777B (zh) * 2021-04-06 2023-10-17 广东旭业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镜片自动丝印烘烤生产装置
KR102646612B1 (ko) * 2022-12-19 2024-03-13 주식회사 리퓨터 식물용 3차원 스캔 자동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133B1 (ko) 가열 컨베이어 장치
US8052146B2 (en) Sheet transport apparatus
JP7252000B2 (ja) エアーカーテン生成装置
CN206218722U (zh) 一种可定位及纠偏的托盘输送系统
CN102849480A (zh) 薄片处理装置、薄片输送路径打开方法以及消色装置
US20160369427A1 (en) Horizontal heat treatment apparatus and carbon fiber production method using horizontal heat treatment apparatus
BR112015014009B1 (pt) processo e dispositivo de agrupamento em lotes de objetos flutuantes
JP5892651B2 (ja) 物品の移送方法及び物品の移送装置
CN113371526B (zh) 一种叠衣机
KR20130085808A (ko) 온도 최적제어형 컨베이어 이송식 핫멜트 합지기 및 그의 발열 제어방법
KR102124372B1 (ko) 이에프이엠 시스템
JP7034509B2 (ja) 熱風機
CN113373667B (zh) 一种叠衣机及其控制方法
JP6455948B2 (ja) 被処理板材の多段搬送装置
KR101489270B1 (ko)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이송장치
JP4955057B2 (ja) ストックから繊維製品を作るためのタンク組立品
KR100620843B1 (ko) 무장력 코팅장치
KR102451363B1 (ko) 속도 조절 장치
US10591216B2 (en) Solidifying device
CN207259776U (zh) 一种纺织品烘干箱
CN207895542U (zh) 自动售货机
CN206599071U (zh) 一种可清洗的料盒结构
JP2020050526A (ja) 被印刷物用の搬送装置および印刷機
KR102068047B1 (ko) 흄 차단 기능을 갖는 에칭 장치
KR101210508B1 (ko) 수평경화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